KR100997805B1 - 차단구역 확대용 차단봉이 구비된 매설형 바리케이드 - Google Patents

차단구역 확대용 차단봉이 구비된 매설형 바리케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7805B1
KR100997805B1 KR1020100043102A KR20100043102A KR100997805B1 KR 100997805 B1 KR100997805 B1 KR 100997805B1 KR 1020100043102 A KR1020100043102 A KR 1020100043102A KR 20100043102 A KR20100043102 A KR 20100043102A KR 100997805 B1 KR100997805 B1 KR 100997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ing
barricade
blocking rod
hinge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3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앤에스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앤에스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앤에스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00043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78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7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78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12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for forcibly arresting or disabling vehicles, e.g. spiked mats
    • E01F13/123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for forcibly arresting or disabling vehicles, e.g. spiked mats depressible or retractable below the traffic surface, e.g. one-way spike barriers, power-controlled prong b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4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the barrier being formed by obstructing members situated on, flush with, or below the traffic surface, e.g. with inflatable members on the surface
    • E01F13/046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the barrier being formed by obstructing members situated on, flush with, or below the traffic surface, e.g. with inflatable members on the surface the obstructing members moving up in a translatory motion, e.g. telescopic barrier po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단구역 확대용 차단봉이 구비된 매설형 바리케이드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목적은 2개이상의 바리케이드 설치가 불가능한 도로에서 한정된 바리케이드 차단막의 폭 길이 때문에 차단이 불가했던 측방향 공간에 대하여 비승인차량의 진입을 차단제어 할 수 있는 차단봉을 구비하여 소형차량이나 오토바이 등의 이륜차 통행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매설형 바리케이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은 매설형 바리케이드(1)에 있어서, 차단막(103) 승강시 차단봉유압실린더(3, 3')에 의해 차단막 양측방향으로 각각 신장되는 차단봉(2, 2')과; 상기 차단봉(2, 2')에 수납되어 자중에 의해 지면으로 펼쳐져 차단봉의 하중을 지지토록 구성된 지지이동수단(5, 5')과; 상기 지지이동수단(5, 5')에 설치되어 차단봉의 신장 방향 쪽 장애물을 감지하여 신장범위를 측정토록 하는 측면 초음파센서(9, 9')와; 상기 차단봉(2, 2')의 전면부에 설치되어 진입하는 미승인 차량의 접근을 감지하는 전방초음파센서(10, 10')와; 전방초음파센서(10, 10')의 신호에 따라 발광하는 경고용 발광 LED(11, 11')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개별 힌지축(102) 양측단에 각각 2개의 마찰방지링이 설치되어 비 수평상태에서도 힌지 회전이 원활토록 구성한 차단구역 확대용 차단봉이 구비된 매설형 바리케이드를 발명의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단구역 확대용 차단봉이 구비된 매설형 바리케이드{Underground barricade with bar for extending shutting area}
본 발명은 차단구역 확대용 차단봉이 구비된 매설형 바리케이드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비승인차량 통과를 제지하는 지중 매설 바리케이드에 양 측면으로 돌출하는 차단봉을 구비하여 매설형 바리케이드의 추가 설치가 어려운 도로 구역에서 바리케이드의 측 방향 공간으로 통과할 수 있는 소형차량이나 오토바이등의 이륜차 등의 진입도 차단 하도록 한 바리케이드에 관한 것이다.
바리케이드는 사람이나 차량 등의 통행을 막기 위하여 임시로 설치해 놓은 노상의 장애물을 뜻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불법 차량의 출입을 통제하도록 시설물의 정문 또는 주차장의 진출입로 등에 설치된다.
최근에는 국가 중요시설 등에 대한 폭탄 테러 및 강제침입시도 차량 등을 예방하고자 비승인된 불법차량의 진입 차단을 위해 다양한 바리케이드의 사용이 더욱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바리케이드의 종류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흔히 볼수 있는 통상적인 것으로는 검문소등에 설치되어 있는 삼각 측면 형상을 수직 및 수평 등의 보강 지지봉으로 연장한 구조로 되어 있고, 하부는 이동이 간편하도록 바퀴가 설치되거나, 이동 수단 없이 지면에 접촉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이 대표적이다. 하지만 이러한 형태의 바리케이드는 차량 출입시마다 바리케이드를 이동시켜야 하고, 차량 통과 후에는 차량의 통제를 위해 다시 원위치로 복귀시켜야 함으로 인한 번거로움과 설치 및 철거시에 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 다른 구조의 바리케이드로는 지중에 매설형으로 설치되는 바리케이드가 있다. 그 형태는 도 6 내지 8에 도시된 것과 같다. 이와 같은 매설형 바리케이드의 기본 적인 작동 구조는 지중에 매설된 수납부에 차단부가 수납된 형태를 유지하다가 필요에 따라 수납부와 차단부간을 연결하고 있는 유입실린더가 유압펌프로부터 유압을 제공받아 유압실린더 내 피스톤인 로드가 신장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차단부가 회전하여 도로상에 차단부가 돌출되어 비승인 차량의 진입을 막도록 한 구성을 가진다. 이러한 종래 기술로는 국내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 98-010816호(명칭:차량 출입 통제용 바리케이드)와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529717호(명칭: 충격흡수용 일체형 수납부가 구비된 매설형 바리케이드)등이 있으므로 이를 참조하면 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 매설형 바리케이드는 보통 도로 한개의 차폭보다 큰 설치 면적을 가지게 된다. 그 이유는 최소한 차단막이 한개의 도포폭 정도는 막도록 3m 이상으로 구성되는데, 실제 설치시는 수납부의 면적과 이 수납부를 지중에 고정시키도록 주변 공간부에 그라우팅 충전부와 콘크리트 시공을 해야하므로 실제 시공 면적이 1개 차폭보다 훨씬 큰 면적을 차지하게 된다.
더욱이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의 양 측단에는 보통 빗물 등의 배수를 위한 하수구가 형성되어 시공 공간을 더욱더 확보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2개 차선 정도의 진입도로가 형성된 장소일 경우 매설형 바리케이드를 2개를 설치할 수 없는 것이 현실적인 시공 사례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2개 차선 정도의 도로를 가지는 정문이나 진입로일 경우 중앙부에 매설형 바리케이드를 설치시, 매설형 바리케이드가 상승한다 할지라도 소형 자동차나 오토바이 등은 그 폭이 작아 충분히 바리케이드의 양측 차단막을 지나쳐 진입할 수 있다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다.
그렇다고 별도의 볼라드 방식 바리케이드를 설치하는 것 역시 추가적인 별도의 시공공간과 볼라드 장비 그리고 이러한 장비를 제어하기 위한 추가적인 시스템이 필요하여 이 역시 바람직한 해결방법은 되지 못한다.
또한 이외에도 종래 매설형 바리케이드의 문제점으로는 바리케이드 설치시 도로 환경에 따라 수평 균형이 맞지 않을 수 있는데, 이 경우 차단부와 수납부의 회전 연결부인 힌지축 어느 일측방향으로 무게 중심이 쏠려 지속적인 힌지 작용시 힌지축을 구성하는 힌지봉이 수납부 상면과 접촉하여 형태의 구조 변형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힌지축의 변형이 생기는 원인은 보통 도로는 빗물등의 배수를 위해 가운데는 높게 양측 도로는 낮게 경사지게 시공하기 때문에 바리케이드 시공시 수평균형이 어긋날 수 있는 현실적인 시공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힌지축의 부하 발생시 이를 해결하여 원활히 힌지가 작용할 수 있는 구조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2개이상의 바리케이드 설치가 불가능한 도로에서 한정된 바리케이드 차단막의 폭 길이 때문에 차단이 불가했던 측방향 공간에 대하여 비승인차량의 진입을 차단제어 할 수 있는 차단봉을 구비하여 소형차량이나 오토바이 등의 이륜차 통행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매설형 바리케이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매설형 바리케이드의 측방향으로 차단봉을 구비시 차단봉 인출에 따르는 하중을 지지함과 동시에 차단봉의 인출거리가 인접한 인도의 경계석과의 거리를 넘지 않도록 자동으로 탐지하여 부딪히지 않도록 센서를 구비한 지지이동수단을 구비한 매설형 바리케이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돌출된 차단봉을 인지하지 못하고 접근하는 비승인차량이 있을 경우 접근거리를 측정하여 경고 발광을 실시하도록 차단봉의 전면 방향에 초음파센서 및 발광 수단을 구비하여 미연에 접촉 사고를 방지토록 한 매설형 바리케이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매설형 바리케이드가 기울어져 시공되어도 힌지축에 가해지는 부하를 지탱하여 원활하게 차단막이 승하강하도록 힌지축에 마찰방지링이 설치된 구조를 가지는 매설형 바리케이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지중에 매설되는 일체형 수납부와, 일체형수납부에서 수납되었다가 필요시 비승인 차량 차단을 위해 승하강하는 차단막과, 차단막에 연결된 피스톤로드를 신축시켜 힌지축을 중심으로 차단막을 회전 승하강시키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는 매설형 바리케이드에 있어서,
차단막 승강시 차단봉유압실린더에 의해 차단막 양측방향으로 각각 신장되는 차단봉과;
상기 차단봉에 수납되어 자중에 의해 지면으로 펼쳐져 차단봉의 하중을 지지토록 구성된 지지이동수단과;
상기 지지이동수단에 설치되어 차단봉의 신장 방향 쪽 장애물을 감지하여 신장범위를 측정토록 하는 측면 초음파센서와;
상기 차단봉의 전면부에 설치되어 진입하는 미승인 차량의 접근을 감지하는 전방초음파센서와;
전방초음파센서의 신호에 따라 발광하는 경고용 발광 LED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구역 확대용 차단봉이 구비된 매설형 바리케이드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이동수단은 차단봉의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홈에 수납된후, 차단봉의 인출에 따라 힌지를 중심으로 자중에 의해 축회전하여 지면에 접촉하여 하부에 설치된 바퀴가 차단봉의 이동에 따라 하중을 지지토록 구성되고, 차단봉진행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접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접철되는 2단링크가 설치되어 스톱퍼 역할을 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2단링크는 접철되도록 3개의 힌지로 구성되는데, 제 1 링크 힌지는 차단봉에 설치되고, 제 2 링크힌지는 2단 링크를 구성하는 링크와 링크간의 연결부에 설치되고, 마지막 제 3 링크힌지는 지지이동수단에 힌지 결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이동수단은 유압, 가스 또는 공압으로 작동하는 쇽압소바(Shock absorber)로 구성하여 측방향 도로 경사도에 대응하여 항시 지면과 접촉토록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차단봉유압실린더는 각각의 유압펌프가 독립 구성되어 유압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측면초음파센서로부터 입력된 각각의 경계석까지 거리에 따라 차단봉의 신장길이를 각각 제어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개별 힌지축의 양측단에는 각각 2개의 볼베어링 방식 마찰방지링을 끼워, 경사지게 시공시 힌지축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매설형 바리케이드측의 방향으로 돌출되는 차단봉을 구비함으로 인해 한정된 바리케이드 차단막의 폭 길이 때문에 차단이 불가했던 측방향 공간에 대하여 추가적인 바리케이드 설치 없이도 비승인차량의 진입을 차단제어 할 수 있다는 장점과,
또한 매설형 바리케이드의 측방향에 설치된 차단봉에 장애물을 탐지하는 초음파센서를 구비한 지지이동수단이 함께 이동하면서 차단봉 인출에 따르는 하중을 지지함과 동시에 차단봉의 인출거리가 인접한 인도의 경계석과의 거리를 넘지 않도록 자동으로 탐지하여 부딪히지 않도록 하여 필요이상으로 신장되거나 덜 신장되어 차단봉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하는 문제를 자동으로 방지하였다는 장점과,
또한 돌출된 차단봉을 인지하지 못하고 접근하는 비승인차량이 있을 경우 접근거리를 측정하여 경고 발광을 실시하도록 차단봉의 전면 방향에 초음파센서 및 발광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미연에 접촉 사고를 방지였다는 장점과,
또한 매설형 바리케이드가 기울어져 시공되어도 힌지축에 가해지는 부하를 지탱하여 원활하게 차단막이 승하강하도록 힌지축에 마찰방지링이 설치된 구조를 가짐으로써 매설형 바리케이드의 회전 내구성을 획기적으로 증대하였다는 장점을 가진 유용한 발명으로 산업상 그 이용이 크게 기대되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바리케이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바리케이드가 도로에 설치되어 차단봉이 신장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바리케이드에 설치된 차단봉 및 마찰방지링의 설치 위치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바리케이드의 상승에 따른 지지이동수단의 펼침 작동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바리케이드의 개략적인 전체 시스템도이고,
도 6 내지 8은 종래 바리케이드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 바리케이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바리케이드가 도로에 설치되어 차단봉이 신장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바리케이드에 설치된 차단봉 및 마찰방지링의 설치 위치를 보인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매설형 바리케이드(1)의 기본 구성은 일반적인 바리케이드와 같이 설치하고자 하는 지면 하부 일정 공간부에 매설되는 일체형 수납부(101)와, 이 일체형수납부(101)에 수납되었다가 축결합된 힌지축(102)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승하강하는 차단막(103)과, 일체형수납부(101)에 설치되어 차단막(103)의 하부 일지점과 연결된 피스톤로드(1041)를 신축시켜 힌지축을 중심으로 차단막을 회전 승하강시키는 유압실린더(104)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상기 차단막(103)의 양측면으로 각각 하나씩의 차단봉(2, 2')이 신장되도록 구성된다. 차단봉(2, 2')은 차단봉유압실린더(3, 3')에 의해 신장되는 피스톤로드로 차단막 내부의 상부쪽 프레임에 차단봉 유압실린더가 체결수단(200)에 의해 고정된다. 체결수단은 용접으로 차단막의 상부쪽 프레임에 고정될 수도 있고, 볼트 너트 체결로 고정될 수도 있다. 물론 기타 다양한 체결수단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한 체결수단 자체는 본 발명을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차단봉유압실린더(3, 3')에 유압을 공급하고 배출하여 차단봉을 신장 또는 수축시키기 위한 제반 유압라인은 수납함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고, 외부에 설치할수도 있다. 단 본 발명의 도면에는 이러한 유압라인의 일반적인 구성 자체가 본 발명의 특징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므로 공지의 구성 등에 대한 도시는 생략하였다. 예를 들자면 차단봉유압실린더(3, 3') 등에 오일이 공급되고 배출되는 구멍 등은 당연 구성이므로 생략하였다.
상기 차단봉(2, 2')은 하부쪽에 길이방향으로 홈(4, 4')이 형성되어 지지이동수단(5, 5')이 수납되어 차단봉(2, 2')이 차단봉유압실린더(3, 3')로부터 신장되어 돌출시 자중에 의해 하부로 떨어져 지면과 접촉되어 차단봉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차단봉과 함께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지지이동수단(5, 5')과 차단봉(2, 2')간에는 힌지(6, 6')가 설치되어 축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힌지에 의해 축회전하여 지면(도로)에 접촉한 지지이동수단(5, 5')이 차단봉의 신장에 따라 이동시 진행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접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이동수단의 일지점과 차단봉의 일지점 즉, 상기 힌지(6, 6')보다 차단봉의 진행방향 전방쪽 일지점에 2단링크(7, 7')가 설치된다. 이 2단링크(7, 7')는 접철되도록 3개의 힌지로 구성되는데, 제 1 링크 힌지(71, 71')는 차단봉에 설치되고, 제 2 링크힌지(72, 72')는 2단 링크를 구성하는 링크와 링크간의 연결부에 설치되고, 마지막 제 3 링크힌지(73, 73')는 지지이동수단(5, 5')에 힌지 결합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2단링크(7, 7')는 최초 차단봉의 홈(4, 4')에 수납시에는 접혀 있다가 차단봉이 차단봉유압실린더(3, 3')에 유압이 제공되어 신장시 점차로 펼쳐져 최종에는 '-'자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2단링크(7, 7')가 하중에 의해 떨어진 지지이동수단(5, 5')에 의해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는 일종의 스톱퍼 역할을 하게 되어 차단봉이 신장하더라도 지지이동수단(5, 5')이 차단봉 진행방향의 후방쪽으로 꺽여 지면과 이격되는 것을 막게 되어 항시 차단봉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지지이동수단(5, 5')은 차단봉의 하중을 지지함과 동시에 도로의 바깥쪽으로 경사진 단차에 적응할 수 있도록 그 길이가 완충지지되도록 유압, 가스 또는 공압으로 작동하는 쇽압소바(Shock absorber)로 구성하였다. 도면을 보면 이러한 쇽 압쇼바로 이루어진 지지이동수단(5, 5')의 외형 구성을 알 수 있는데 그 형태는 하부의 로드가 상부의 실린더에 삽입된 구성임을 알 수 있다. 쇽압쇼바 내부는 밀폐상태의 공기나 오일이 충전되어 최초 압력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따라서 그 길이는 차단막의 최대 상승시 지면과 접촉하는 길이보다 더 길게 설정하여야 함은 당연하다. 이과 같은 구성을 가짐에 따라 도로의 경사면 최외각 하수구쪽에서도 지면에 접촉하게 된다.
또한 지지이동수단(5, 5')의 하부에는 바퀴(8, 8')가 설치되어 이동을 돕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지지이동수단(5, 5')의 하부에는 차단봉의 신장 방향 쪽으로 측면 초음파센서(9, 9')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초음파 센서를 구비한 이유는 특정 도로 상황이 아닌 여러 도로 상황에 맞게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범용의 길이를 가지는 차단봉(2, 2')이 수납된 본 발명에 따른 바리케이드(1)를 2개 차선에 걸쳐 설치시 실제 도로 상황에 따라 경계석까지의 길이가 가까울수도 있고 멀수도 있게 된다. 따라서 바리케이드의 차단막이 상승하면서 차단봉이 신장하면서 일정 길이로만 고정 신장되게 되면 경계석까지의 길이가 멀 경우 소형차량이나 오토바이 등의 진입을 차단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경계석까지의 길이가 가까운 경우는 차단봉이 인도까지 신장될수 있어 보행자의 안전사고를 유발할수 있어 위험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차단봉이 신장시 지지이동수단(5, 5')의 하부에 초음파 센서를 설치함으로 인해 초음파 센서로부터 입력된 신호의 강도(예를 들면 신호음이 가까울수록 짧게 울리는 정도)에 따라 차단봉유압실린더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펌프의 압력을 제어부가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설치된 도로 상황에 따른 특별한 설정없어도 자동으로 안전한 일정 길이까지만 신장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안전한 일정 길이란 것은 차단봉과 경계석까지의 공간을 통해 소형차나 오토바이등이 통과하지 못할 정도로 폭을 말하고, 동시에 경계석을 넘어 인도까지 진입하지 않은 거리를 말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단봉(2,2')이 각각의 유압펌프에 의해 독립적으로 작동하도록 구비함으로써 대칭되게 설치되지 않았을 경우에도 각각의 경계와의 거리에 따라 작동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단봉의 전면부 즉, 진입하는 미승인 차량과 마주보는 방향에는 길이방향으로 홈을 가공하여 다수개의 진입차량식별용 전방초음파센서(10, 10')와 경고용 발광 LED(11, 11')를 설치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을 구비한 이유는 보통 차단막(103)은 진입하는 차량이 관념상 인지할수도 있지만 측면 돌출된 차단봉(2, 2')을 인지하지 못하고 진입할 수 있는데, 이 경우 불의의 접촉에 의한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전방초음파센서(10, 1l')는 입력된 신호의 강도(예를 들면 신호음이 가까울수록 짧게 울리는 정도)에 따라 충돌 사고등이 발생할 정도로 가까워지면 경고용 발광 LED(11, 11')를 발광시켜 운전자의 주의를 환기시키게 된다. 물론 경고용 발광 LED(11, 11') 대신에 전구와 같은 기타 발광 수단을 구비해도 되나, 바람직하게는 LED가 주간에도 시인성이 커서 최근 대부분의 횡단보도 등에 사용되는 것으로 볼때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LED는 전구에 비해 내구성도 크고 설치공간도 작아 바람직하다. 색상은 주로 붉은색 또는 초록색 등의 시인성 있는 색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찰방지링(12)을 개별 힌지축(102)의 양측단에 각각 끼워 2개의 마찰방지링이 개별 힌지축(102)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면서 수평을 맞추어 회전하도록 하였다. 즉, 마찰방지링은 볼 베어링으로 구성되어 힌지축의 회전을 원할히 하도록 함으로써 도로의 경사 상황에 따라 바리케이드가 약간 기울어져 시공된다 하더라도 힌지축과 축결합함으로써 하중이 일측으로 기울어어져도 힌지축의 회전이 원활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로면의 경사 상태에 상관없이 시공될수 있고, 경사 시공시에도 바리케이드의 승하강 내구성이 획기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축(102) 상부면에 고무덮개(13)를 설치함으로써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토록 구성하여 힌지 작용이 원활하도록 하였다. 종래에는 힌지축 부위로 지속적인 이물질이 유입되어 힌지축의 마모, 회전능력 저하와 같은 문제점이 있어왔으나 이와 같은 고무덮개를 구비함으로써 이와 같은 문제점이 모두 해결되었다.
도 4에 따라 본 발명 바리케이드의 상승에 따른 차단봉의 인출 그리고 차단봉의 인출에 따른 지지이동수단의 펼침 작동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A-A선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 설명에서는 일측 구성만을 이용하여 설명하였지만 타측면 차단봉을 포함한 구성 역시 이와 같이 작동됨은 물론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A)단계는 차단막(103)이 수납부(101)에 수납된 상태로, 이 상태에서는 지지이동수단(5)이 차단봉(2)의 홈(4)에 접혀져 수납된 상태로, 차단봉(2) 역시 차단봉유압실린더(3)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상태이다.
또한 (B)단계는 차단막(103)이 도 3에 도시된 유압실린더(104)에 유압펌프(도시생략)로부터의 오일이 일정 압력 이상으로 제공됨에 따라 피스톤로드(1041)이 신장되면서 힌지축(102)이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축결합된 차단막(103)이 상승되는 상태로 본 발명의 차단봉(2)은 차단막(103) 상승과 동시에 차단봉유압실린더(3)에 유압이 제공되어 차단봉(2)이 신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점차로 차단봉이 차단봉유압실린더(3)로부터 돌출되어 신장하면 일지점에 이르러서는 차단봉(2)의 홈(4)에 수납되어 있던 지지이동수단(5)이 힌지(6)를 중심으로 자중에 의해 도로(지면)방향으로 낙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지지이동수단(5)이 힌지에 의해 회전하게 되면, 지지이동수단(5)의 이동시 이동방향의 반대편으로 꺽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2단링크(7)가 펼쳐지게 되는데, 그 작동을 보면 차단봉(2)의 홈(4)에 지지이동수단(5)과 함께 겹쳐져 수납되어 있던 2개로 이루어진 링크가 차단봉에 설치된 제 1 링크 힌지(71)와 지지이동수단(5)에 설치된 제 3 링크힌지(73)간의 각도 간격이 벌어지면서 링크와 링크간을 힌지결합하고 있던 제 2 링크힌지(72)를 중심으로 2단 링크가 점차 펼쳐지게 된다.
마지막으로 (C)단계는 지지이동수단(5)이 완전히 지면과 접촉하고 있고, 이 지지이동수단(5)의 이동방향 반대방향으로의 꺽임을 방지하는 2단링크(7)가 완전히 'ㅡ'자로 펼쳐진 상태를 보이고 있다. 또한 이 상태를 유지한 채로 이동하면서 도로의 폭 방향 끝에 있는 경계석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측면 초음파 센서(9)가 초음파를 발사하여 거리를 측정하고 있는 상태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C)단계가 완료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단봉(2)은 차단막(103)이 차단하지 못하는 측면으로의 소형차 또는 오토바이 등의 이륜차에 대한 진입을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단봉이 구비된 바리케이드만 있으면 2개 차선 정도의 도로에 대한 확실한 진입차량 차단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역순은 차단봉이 수축되면서 상기 작동의 역순으로 수납되게 된다. 이때 지지이동수단의 수납을 위해 차단막의 측면에는 테이퍼지게 가공한 경사부(300)를 구성하여 따라 좀더 쉽게 지지이동수단이 접혀지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 바리케이드의 개략적인 전체 시스템도로, 본 발명은 유압실린더(104) 및 개별 차단봉유압실린더(3, 3')를 구동시키는 각각의 유압펌프(105, 14, 15)가 구성되어 독립적인 유압라인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각각의 유압펌프에 의해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차단봉유압실린더(3, 3')를 구비함으로 실제 시공시도로 여건상 도로의 중앙에서 대칭되게 설치되지 않고 일측으로 쏠려 시공되었을 경우등에도 각각의 경계와의 거리에 따라 작동하도록 독립 작동되게 된다.
상기 각 유압펌프(105, 14, 14')는 제어부(15)가 제어하여 차단봉유압실린더(3, 3')의 신장범위에 따른 유압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15)는 지지이동수단 및 차단봉에 설치된 측면초음파센서(9, 9') 또는 다수개의 전방초음파센서(10, 10')의 신호를 감지하여 처리하게 된다. 즉, 측면초음파센서(9, 9') 또는 다수개의 전방초음파센서(10, 10')로부터의 다양한 신호를 미도시된 A/D컨버터 등으로부터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가지고 경계석까지의 거리를 사전 설정된 접근 허용거리등을 감안하여 차단봉유압실린더(3, 3')의 신장범위를 정하여 유압펌프(14, 14')를 작동시키고, 또한 경고용 발광 LED(11)의 점멸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도면에는 미도시되었으나 상기 각 장치를 구동시키는 전원장치 등이 구비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구성은 당연구성이지만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이 아니므로 생략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매설형 바리케이드 (2, 2') : 차단봉
(3, 3') : 차단봉유압실린더 (4, 4') : 홈
(5, 5') : 지지이동수단 (6, 6') : 힌지
(7, 7') : 2단링크 (8, 8') : 바퀴
(9, 9') : 측면초음파센서 (10, 10') : 전방초음파센서
(11, 11') : 경고용발광LED (12) : 마찰방지링
(13) : 고무덮개 (14, 14') : 유압펌프
(15) : 제어부 (71, 71') : 제 1링크힌지
(72, 72') : 제 2 링크힌지 (73, 73') : 제 3링크힌지
(101) : 수납부 (102) : 힌지축
(103) : 차단막 (104) : 유압실린더
(1041) : 피스톤로드

Claims (6)

  1. 지중에 매설되는 일체형 수납부(101)와, 일체형수납부(101)에서 수납되었다가 필요시 비승인 차량 차단을 위해 승하강하는 차단막(103)과, 차단막(103)에 연결된 피스톤로드(1041)를 신축시켜 힌지축(102)을 중심으로 차단막을 회전 승하강시키는 유압실린더(104)를 포함하는 매설형 바리케이드(1)에 있어서,
    차단막(103) 승강시 차단봉유압실린더(3, 3')에 의해 차단막 양측방향으로 각각 신장되는 차단봉(2, 2')과;
    상기 차단봉(2, 2')에 수납되어 자중에 의해 지면으로 펼쳐져 차단봉의 하중을 지지토록 구성된 지지이동수단(5, 5')과;
    상기 지지이동수단(5, 5')에 설치되어 차단봉의 신장 방향 쪽 장애물을 감지하여 신장범위를 측정토록 하는 측면 초음파센서(9, 9')와;
    상기 차단봉(2, 2')의 전면부에 설치되어 진입하는 미승인 차량의 접근을 감지하는 전방초음파센서(10, 10')와;
    전방초음파센서(10, 10')의 신호에 따라 발광하는 경고용 발광 LED(11, 11')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구역 확대용 차단봉이 구비된 매설형 바리케이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이동수단(5, 5')은 차단봉(2, 2')의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홈(4, 4')에 수납된후, 차단봉의 인출에 따라 힌지(6, 6')를 중심으로 자중에 의해 축회전하여 지면에 접촉하여 하부에 설치된 바퀴(8, 8')가 차단봉의 이동에 따라 하중을 지지토록 구성되고, 차단봉진행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접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접철되는 2단링크(7, 7')가 설치되어 스톱퍼 역할을 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구역 확대용 차단봉이 구비된 매설형 바리케이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2단링크(7, 7')는 접철되도록 3개의 힌지로 구성되는데, 제 1 링크 힌지(71, 71')는 차단봉에 설치되고, 제 2 링크힌지(72, 72')는 2단 링크를 구성하는 링크와 링크간의 연결부에 설치되고, 마지막 제 3 링크힌지(73, 73')는 지지이동수단(5, 5')에 힌지 결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구역 확대용 차단봉이 구비된 매설형 바리케이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이동수단(5, 5')은 유압, 가스 또는 공압으로 작동하는 쇽압소바(Shock absorber)로 구성하여 측방향 도로 경사도에 대응하여 항시 지면과 접촉토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구역 확대용 차단봉이 구비된 매설형 바리케이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단봉유압실린더(3, 3')는 각각의 유압펌프(14, 14')가 독립 구성되어 유압펌프(14, 14')를 제어하는 제어부(15)가 측면초음파센서(9, 9')로부터 입력된 각각의 경계석까지 거리에 따라 차단봉(2, 2')의 신장길이를 각각 제어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구역 확대용 차단봉이 구비된 매설형 바리케이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별 힌지축(102)의 양측단에는 각각 2개의 볼베어링 방식 마찰방지링(12)을 끼워 경사지게 시공시 힌지축(102)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구역 확대용 차단봉이 구비된 매설형 바리케이드.





KR1020100043102A 2010-05-07 2010-05-07 차단구역 확대용 차단봉이 구비된 매설형 바리케이드 KR1009978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3102A KR100997805B1 (ko) 2010-05-07 2010-05-07 차단구역 확대용 차단봉이 구비된 매설형 바리케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3102A KR100997805B1 (ko) 2010-05-07 2010-05-07 차단구역 확대용 차단봉이 구비된 매설형 바리케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7805B1 true KR100997805B1 (ko) 2010-12-07

Family

ID=43512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3102A KR100997805B1 (ko) 2010-05-07 2010-05-07 차단구역 확대용 차단봉이 구비된 매설형 바리케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780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2365B1 (ko) * 2014-01-28 2015-08-06 주식회사 디앤에스테크놀로지 차단바가 구비된 매설형 바리케이드
KR101644977B1 (ko) 2015-12-08 2016-08-04 주식회사 디앤에스테크놀로지 스프링 반력을 이용한 매립형 바리케이드
KR101695134B1 (ko) * 2016-07-06 2017-01-10 하종식 로드블럭 바리케이드
CN108130870A (zh) * 2018-01-29 2018-06-08 马境晨 一种伸缩式移动型阻拦装置
KR102369213B1 (ko) 2021-11-17 2022-03-02 주식회사 디앤에스테크놀로지 양방향 차단용 매설형 로드블록
KR102410114B1 (ko) 2022-03-16 2022-06-22 주식회사 디앤에스테크놀로지 평상시 또는 정전시 고속 승하강이 가능한 친환경 매설형 로드블록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0960B1 (ko) 2005-01-14 2005-05-24 주식회사 건축연합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 부대시설용 볼라드
JP2006090005A (ja) 2004-09-24 2006-04-06 Amano Corp ゲートバー用開閉作動装置
KR100775744B1 (ko) 2007-02-07 2007-11-09 김성수 착탈식 안전표시구의 용이한 결합구조를 갖는 접철식안전휀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90005A (ja) 2004-09-24 2006-04-06 Amano Corp ゲートバー用開閉作動装置
KR100490960B1 (ko) 2005-01-14 2005-05-24 주식회사 건축연합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 부대시설용 볼라드
KR100775744B1 (ko) 2007-02-07 2007-11-09 김성수 착탈식 안전표시구의 용이한 결합구조를 갖는 접철식안전휀스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2365B1 (ko) * 2014-01-28 2015-08-06 주식회사 디앤에스테크놀로지 차단바가 구비된 매설형 바리케이드
KR101644977B1 (ko) 2015-12-08 2016-08-04 주식회사 디앤에스테크놀로지 스프링 반력을 이용한 매립형 바리케이드
KR101695134B1 (ko) * 2016-07-06 2017-01-10 하종식 로드블럭 바리케이드
CN108130870A (zh) * 2018-01-29 2018-06-08 马境晨 一种伸缩式移动型阻拦装置
KR102369213B1 (ko) 2021-11-17 2022-03-02 주식회사 디앤에스테크놀로지 양방향 차단용 매설형 로드블록
KR102410114B1 (ko) 2022-03-16 2022-06-22 주식회사 디앤에스테크놀로지 평상시 또는 정전시 고속 승하강이 가능한 친환경 매설형 로드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7805B1 (ko) 차단구역 확대용 차단봉이 구비된 매설형 바리케이드
US8292538B2 (en) Vehicle barrier control device
KR200400235Y1 (ko)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
KR100777657B1 (ko)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
KR101499827B1 (ko) 태양광 조명이 구비된 차량 방호용 울타리
JP2005516845A (ja) エネルギー吸収システム
KR101542365B1 (ko) 차단바가 구비된 매설형 바리케이드
US6158696A (en) Railroad accident prevention system with ground-retractable vehicle barrier
FI129017B (fi) Kaivon yhteydessä käytettävä turvalaite
KR100970234B1 (ko) 비상시 상승 높이가 제어되는 매설형 바리케이드 및 그 제어방법
KR101246249B1 (ko) 충격을 흡수하는 가변형 안전 볼라드
KR100661758B1 (ko) 튜브식 차단바를 구비한 안전차단장치
KR102369213B1 (ko) 양방향 차단용 매설형 로드블록
KR100915336B1 (ko) 보행자 보호용 방호장치
CN211285436U (zh) 一种带分道提示预警的交通防撞桶
KR100594730B1 (ko) 수동으로 승하강되는 차량진입 차단용 볼라드
KR102284931B1 (ko) 보행자 보호용 안전 볼라드 시스템
KR200307144Y1 (ko) 내 충격성을 갖는 볼라드
EP3800293B1 (en) Barrier
KR101066590B1 (ko) 차량 진입 방지용 지주
KR102210647B1 (ko) 높이변경이 가능한 도로의 중앙분리대
KR20170032007A (ko) 유체 방호벽
KR101057721B1 (ko) 압출지주속에 케이블을 삽입하여 등주가 전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분리형 가로등 지주
KR102476879B1 (ko) 신속 시공이 가능한 싱글데크 회전형 비상회차장치
KR102476885B1 (ko) 신속시공이 가능한 중앙분리대용 개별데크 회전형 비상회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