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6249B1 - 충격을 흡수하는 가변형 안전 볼라드 - Google Patents

충격을 흡수하는 가변형 안전 볼라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6249B1
KR101246249B1 KR1020120079271A KR20120079271A KR101246249B1 KR 101246249 B1 KR101246249 B1 KR 101246249B1 KR 1020120079271 A KR1020120079271 A KR 1020120079271A KR 20120079271 A KR20120079271 A KR 20120079271A KR 101246249 B1 KR101246249 B1 KR 1012462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lard
air
body portion
air pump
waterproof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9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원표
정상훈
Original Assignee
동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79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62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6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62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4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the barrier being formed by obstructing members situated on, flush with, or below the traffic surface, e.g. with inflatable members on the surface
    • E01F13/046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the barrier being formed by obstructing members situated on, flush with, or below the traffic surface, e.g. with inflatable members on the surface the obstructing members moving up in a translatory motion, e.g. telescopic barrier po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도로의 진입을 방지하기 위해 그의 경계부위에 직립되게 설치되어 차량 통행 및 주차를 통제하는 가변형 안전 볼라드를 개시한다. 이를 위하여 흡기와 배기를 조절하는 공기펌프, 및 상기 공기펌프에 연결되고, 튜브로 구성되며, 공기가 주입됨에 따라 기둥 형상의 외형을 가지는 몸통부를 포함하는 가변형 안전 볼라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로부터 충격이 제공되는 경우 볼라드에 충전된 압축공기를 배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볼라드와 상기 볼라드에 접촉된 사물 또는 사람에 작용하는 충격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충격을 흡수하는 가변형 안전 볼라드{VARIABLE-TYPE SAFETY BOLLARD HAVING IMPACT ABSORBING FUNCTION}
본 발명은 가변형 안전 볼라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생활지역 및 그 외 지역의 통과 교통량이나 차량의 속도제어 등이 필요한 곳에 설치하여 안전하고 쾌적한 도로?교통 환경을 조성하며, 추가적으로 차량의 인도 진입을 방지하기 위해 그의 경계부위에 직립되게 설치되어 차량 통행 및 주차를 통제하는 가변형 안전 볼라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원이나 광장, 건물 차량 출입구 또는 보도 등에 차량의 진입을 차단하거나 주차를 금지시키고 차량으로부터 보행자를 보호하는 목적으로 소정 간격으로 다수 개의 볼라드(bollard)가 설치된다.
이러한 목적을 가지고 있는 볼라드의 경우 종래에는 주로 석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되는 기둥형으로 형성되어 지면(바닥)으로부터 고정 설치되었다.
즉, 공원이나 광장, 인구 밀집지역 또는 차량의 출입을 통제하는 지역의 입구에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다수 개의 볼라드를 설치함으로써 차량으로부터 보행자를 보호하도록 하거나, 폭이 넓은 보도에 차량이 주차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볼라드는 재질이 석재로 되어 있어 불가피하게 볼라드와 차량이 부딪힐 경우 볼라드의 파손으로 인한 보수비용이 상승한다는 문제점과 나아가 차량까지 파손되어 차량 운전자의 안전을 위협할 수도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차량과의 충돌시 발생되는 볼라드 및 차량의 파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볼라드가 개발되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8760호(2008년02월25일 등록)에 "탄성 볼라드"가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01440호(2009년02월12일 공개)에 "탄력 볼라드"가 개시되어 있다.
이 같은 기술들은 볼라드가 차량과의 충돌시 발생될 수 있는 볼라드 및 차량의 파손을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탄성을 이용해 볼라드가 휘어지도록 하는 기술이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들은 볼라드와 차량의 충돌시 발생될 수 있는 파손으로 인한 문제점을 어느 정도 해결할 수는 있으나, 단순히 인도나 차량의 출입이 통제된 지역으로 차량이 진입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기술인 바, 볼라드의 활용 범위가 극히 제한되어 있어 활용 범위가 한정되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인도나 차량의 출입이 통제된 지역으로 차량이 진입하는 것을 차단함은 물론, 선택된 차량에 한해서 출입이 허가될 수 있도록 하는 볼라드가 개발되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3447호(2005년12월05일 등록)에 "상하조절식 볼라드"가 개시되어 있다.
이는 볼라드의 설치상태를 선택적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 통행 및 주차를 통제하여 보행자를 보호함과 아울러 유사시에는 구급차, 방송차량, 행사차량 등이 통행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32414호(2006년09월28일 등록)에 "승하강식 볼라드"가 개시되어 있다.
이는 평소에는 지상으로 돌출시켜 차량의 통행 및 주차를 통제하고, 화재 또는 응급환자 발생 등의 유사시에는 소방차량이나 구급차, 방송차량, 행사차량 등에 대하여 통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위에서 언급한 상하이동이 가능한 볼라드의 경우 차량의 통제 및 주차를 통제함은 물론, 유사시에 응급차량 등이 출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출입만을 통제하는 기존 볼라드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상하이동이 가능한 볼라드의 경우 자동이 아닌 수동으로 볼라드의 승강을 조절함에 따라 볼라드의 승강을 위한 별도의 인력이 투입되고, 이로 인한 부가적인 인력 비용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수동이 아닌 자동으로 볼라드를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는 볼라드가 개발되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2545호(2004년05월27일 등록)에 "안내 표지판의 자동 승강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는 실린더의 작용에 의해 지면 위로 볼라드가 슬라이드 형식으로 승강되어 차량의 진입을 통제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이 같은 기술의 경우 유압의 힘을 이용해 슬라이드 형식으로 차량의 진입을 통제할 수는 있으나, 유압을 이용함으로써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로 인해 볼라드의 설치 면적이 넓어 시공 시 면적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볼라드의 시공 시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이로 인한 시공 비용 또한 상승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유압을 이용함으로써 볼라드의 상하 이동시 현장 상황에 대한 즉각적인 대처 즉, 상하 이동 시 차량 또는 보행자가 볼라드와 충돌 위험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 볼라드의 이동을 즉각 적으로 중지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이로 인한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수동이 아닌 자동으로 볼라드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시공 시 면적 효율성이 좋고 현장 상황에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볼라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20-0438760호(2008.03.03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2009-0001440호(2009.02.12 공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52545호(2004.06.05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구성이 우수하고, 완충구조에 의해 차량의 충돌시 차량 및 볼라드 자체의 손상을 방지하며, 보행자가 충돌하더라도 보행자의 신체를 보호할 수 있는 가변형 안전 볼라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로와 보행로의 경계부 또는 안전지대 등에 설치되어 차량의 진입을 방지하는 볼라드에 있어서, 흡기와 배기를 조절하는 공기펌프, 및 상기 공기펌프에 연결되고, 튜브로 구성되며, 공기가 주입됨에 따라 기둥 형상의 외형을 가지는 몸통부를 포함하는 가변형 안전 볼라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안전 볼라드는 외부로부터 충격이 제공되는 경우 볼라드에 충전된 압축공기를 흡기하거나 배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볼라드와 상기 볼라드에 접촉된 사물 또는 사람에 작용하는 충격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주위 물체 감지 및 차량의 식별을 통해 차량의 진출입 및 주차 통제가 가능함은 물론, 보행자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빗물 등의 습기가 침습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우수한 기밀성을 가지며, 내구성이 향상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볼라드의 상하 이동을 전자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전자제어에 의한 제어 응답특성이 우수하여 현장 상황에 대한 즉각적인 대처가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게다가, 종래의 유압식 자동볼라드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여 볼라드의 제조원가가 절감됨은 물론, 시공에 필요한 공간 효율성 및 설치 시간의 절약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안전 볼라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안전 볼라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안전 볼라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안전 볼라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안전 볼라드의 사용 양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는 가변형 안전 볼라드(이하, '안전 볼라드'라고 약칭함)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볼라드는 생활지역 및 그 외 지역의 통과 교통량 및 차량속도 제어가 필요한 곳(예를 들면, 공원, 광장, 인구 밀집지역, 건물 주차장 초입, 및 인도 등)에 설치되어 차량의 진입 및 출입을 통제하는 장치로서, 흡기와 배기를 조절하는 공기펌프(10), 및 상기 공기펌프(10)에 연결되어 공기가 주입됨에 따라 기둥 형상으로 팽창되는 몸통부(20)를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압축공기 저장탱크(15), 충격센서(미도시), 헤드커버(30), 제어부(미도시), 방수튜브(50), 지지대(55), 공기호스(60), 모터(80), 볼스크류(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안전 볼라드는 차도 상에 구비된 황색 실선이나 흰색 실선을 운전자가 명확히 구분할 수 있도록 황색실선이나 흰색 실선에 사용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차량의 진출입 및 주차를 통제하고자 하는 곳에는 어디든지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차도와 인도를 구분 짓는 경계선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안전 볼라드는 차량의 진입을 통제하는 역할을 함은 물론, 선별적으로 진입이 가능한 차량(예를 들면 구급차량, 소방차량, 방송차량, 및 행사차량 등)을 구별하여 진입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별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볼라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 볼라드는 공기펌프(10) 및 몸통부(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볼라드에 포함된 공기펌프(10)는 지상이나 지하에 설치되어 흡기와 배기를 조절하는 것으로서, 몸통부(20)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몸통부(20)에 충전된 공기를 배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필요에 따라, 상기 공기펌프(10)에는 압축공기가 저장된 압축공기 저장탱크(15)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압축공기 저장탱크(15)는 공기펌프(10)를 통해 몸통부(20)에 주입할 압축공기를 저장하는 것으로서, 공기펌프(10)를 통해 몸통부(20)로부터 배출될 압축공기가 저장될 공간도 제공한다. 이러한 압축공기 저장탱크(15)는 지상에 구비될 수도 있지만, 조경을 위해 지하에 매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볼라드에 포함된 몸통부(20)는 상기 공기펌프(10)에 연결되어 공기가 주입됨에 따라 기둥 형상의 외형을 갖는 것으로서, 튜브로 구성된다.
상기 몸통부(20)는 내부에 공기가 완충되는 경우에 원기둥 또는 직육면체형상의 외형을 갖도록 형성되며, 탄성력을 가지는 고무나 합성수지재로 구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몸통부(20)는 내부에 주입되는 공기량을 최소화시켜 팽창과 수축이 원활히 진행되도록 그 횡단면이 도너츠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 볼라드는 충격센서 및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격센서는 몸통부(20)에 설치되어 몸통부(20)에 인가되는 충격을 감지하는 것으로서, 충격이 감지되면 충격발생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충격센서로는 전술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어떠한 센서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제어부는 충격센서에 연결되어 충격센서로부터 전송되는 충격발생신호를 수신하는 것으로서, 충격발생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몸통부(20)에 주입된 공기를 흡입하도록 공기펌프(1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는,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이 지상으로 팽창된 몸통부(20)와 충돌할 경우, 몸통부(20)에 충전된 공기를 배출시켜 차량 및 몸통부(20)에 작용하는 충격을 최소화시키기 위함이다.
다시 말해, 지면에서 상부로 돌출된 몸통부(20)는 팽팽하게 팽창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차량에 의한 충돌이 발생되면, 접혀지지 못하고 표면이 파손될 수 있다. 그러나, 몸통부(20)에 충격이 발생됨에 따라 제어부가 몸통부(20)에 충전된 공기를 배출시키면, 몸통부(20)의 내부에 여유 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에 자체적으로 휘어짐이 발생되어 충격을 분산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몸통부(20)가 탄성 재질로 구성되고, 그 내부가 공기로 충진되어 있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외부로부터 작용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이에 더불어 충돌에 의한 반발력을 줄이고자 몸통부(20)에 충전된 공기를 배출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충돌에 의한 2중 완충구조가 적용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는 몸통부(20)가 팽창된 상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충격발생신호를 수신한 시점의 수초 후, 공기펌프(10)가 몸통부(20)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도록 공기펌프(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볼라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볼라드는 헤드커버(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헤드커버(30)는 몸통부(2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진입 가능한 차량을 식별하는 차량식별 감지부(미도시)가 구비된다.
이러한 차량식별 감지부는 진입이 승인된 차량의 식별이 감지되면, 진입승인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차량식별 감지부로부터 진입승인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는 몸통부(20)에 충전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공기펌프(10)를 제어하거나, 후술하는 볼스크류(90)를 제어하여 지면으로 노출된 몸통부(20)를 지면 아래로 이동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차량식별 감지부는 차량의 진입을 통제하는 볼라드가 선별적으로 진입이 허락된 차량(예를 들면 응급차량, 행사차량, 및 방송차량 등)의 진입이 가능하도록 진입이 허락된 차량을 식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차량식별 감지부를 통해 감지되는 식별 감지 데이터는 제어부로 전송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에서 모터(80)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볼라드 케이스(40)를 상하로 이동시킨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식별 감지부는 몸통부(20)의 상부 측면 테두리에 위치시킬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차량식별 감지부는 차량의 원활한 식별을 위해 차량이 진입할 수 있는 방향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차량식별 감지부는 RFID 기술을 이용해 진입이 가능한 차량을 식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은 전파를 이용해 일정 거리에 있는 정보를 인식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안테나와 집적회로로 이루어진 RFID 태그를 RFID 판독기를 이용해 판독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RFID 기술 이외에도 차량의 선택적인 식별이 가능한 기술이라면 다른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볼라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볼라드는 볼라드 케이스(40) 및 방수튜브(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볼라드를 구성하는 볼라드 케이스(40)는 지하에 매립되되 공기펌프(10) 및 몸통부(20)가 내장되도록 틀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상부가 개방되며 중공이 형성된 케이스 몸체(42)와 상기 케이스 몸체(42)의 상부를 커버하는 케이스 커버(44)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케이스 커버(44)의 중앙에는 몸통부(20)가 통과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볼라드를 구성하는 방수튜브(50)는 볼라드 케이스(40)의 상부, 예컨대 케이스 커버(44)의 하면에 구비되어 몸통부(20)와의 사이에 기밀성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공기가 주입된 튜브로 형성된다. 이때, 몸통부(20)는 상하 이동이 원활이 진행될 수 있도록 상부 및 하부에서 방수튜브(50)와 접촉되고 중부에서 방수튜브(50)에 접촉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몸통부(20)는 상부 및 하부의 너비는 동일하게 형성되며, 중부의 너비는 상부 및 하부의 너비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수튜브(50)는 탄성 재질의 고무나 합성수지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너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방수튜브(50)와 볼라드 케이스(40) 사이에는 안전 볼라드의 기밀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방수튜브 지지대(55)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수튜브 지지대(55)는 방수튜브(50)와 몸통부(20)가 접촉되는 경우 방수튜브(50)가 몸통부(20)에 밀착되도록 방수튜브(50)의 이동을 제한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볼라드 케이스(40)의 상부에 내부면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방수튜브(50)를 안착시킨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수튜브 지지대(55)는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된 원판과, 상기 원판의 테두리를 따라 수직으로 돌출형성된 측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측판의 상단이 케이스 커버(44)의 하면에 결합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볼라드는 공기호스(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호스(60)는 서로 이격된 공기펌프(10)와 몸통부(20)를 연결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서, 공기펌프(10)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일단에 대응되는 타단이 상기 몸통부(20)에 연결되어 공기의 이동경로를 제공한다. 필요에 따라, 공기호스(60)는 타단이 몸통부(20)와 방수튜브(50)에 각각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제 1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공기호스(6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공기펌프(10)에 연결되고 상기 일단에 대응되는 타단이 몸통부(20)에 연결된 제 1 공기호스(62)와, 일단이 상기 제 1 공기호스(62)에 연결되고 상기 일단에 대응되는 타단이 방수튜브(50)에 연결된 제 2 공기호스(64)로 구성될 수 있다.
제 2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공기호스(60)는 일단이 공기펌프(10)에 연결되고 상기 일단에 대응되는 타단이 몸통부(20)에 연결된 제 1 공기호스(62)와, 일단이 상기 공기펌프(10)에 연결되고 상기 일단에 대응되는 타단이 방수튜브(50)에 연결된 제 2 공기호스(64)로 구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제 1 공기호스(62)와 제 2 공기호스(64)에는 공기의 주입과 배출을 제어하는 제 1 에어밸브(72)와 제 2 에어밸브(74)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 1 에어밸브(72)와 제 2 에어밸브(74)로는 3방 밸브(3-way valve)를 사용하거나, 솔레노이드 밸브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솔레노이드 밸브는 제어부에 연결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개폐가 조절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볼라드는 모터(80) 및 볼스크류(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볼라드를 구성하는 모터(80)는 몸통부(20)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제어부에 연결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구동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모터(80)의 회전구동에 의해 후술하는 볼스크류(9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서 몸통부(2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예를 들면, 상기 모터(80)의 정회전에 의해 상기 볼스크류(90)가 상승하게 되고, 상기 모터(80)의 역회전에 의해 상기 볼스크류(90)가 하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모터(80)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 구동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며, 이와 같이 제어부의 회전 구동 제어에 의해 상기 모터(80)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이 가능하도록 모터(80)로는 DC 모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외에도 전자 제어에 의해 상기 모터(80)의 회전구동을 변경할 수 있다면 별도의 구성을 추가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볼라드를 구성하는 볼스크류(90)는 모터(80)의 구동에 의해 상하 운동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볼스크류 샤프트(92)와 볼스크류 너트(94) 및 가동판(96)을 포함한다.
상기 볼스크류 샤프트(92)는 모터(80)에 일단이 연결되어 모터(80)의 구동에 따라 회전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초기 위치를 유지한 상태로 모터(80)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볼스크류 샤프트(92)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볼스크류 너트(94)의 중앙을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볼스크류 너트(94)는 볼스크류 샤프트(92)의 회전에 따라 상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으로서, 볼스크류 샤프트(92)와 접촉되는 내주면에 나사홈이 형성되어 서로 맞물린다.
상기 가동판(96)은 볼스크류 너트(94)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몸통부(20)의 하면을 지지한 상태로 볼스크류 너트(94)와 연동한다. 예를 들어, 가동판(96)은 볼스크류 너트(94)가 상부로 이동하면 몸통부(20)도 상부로 이동시키고, 볼스크류 너트(94)가 하부로 이동하면 몸통부(20)도 하부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볼스크류(90)는 모터(80)의 구동에 따라 몸통부(2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동작하되, 도 3과 같이 볼라드 케이스(40)의 내측 하부에 설치된 하판(100)과, 볼라드 케이스(40)의 내측 상부에 설치된 상판(11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하판(100)과 상판(110) 사이에는 하판(100)과 상판(110)의 이격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복수개, 예를 들면 4개의 지지수단(120)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하판(100)과 상판(110) 사이에는 가동판(96)이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가동판(96)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복수개의, 예를 들면 3개의 볼스크류 보조대(13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볼라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볼라드는 요철판(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요철판(140)은 볼라드 케이스가 매립된 지면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차량의 속도 감속을 유도하기 위한 구성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요철판(140)은 양단이 지면에 접촉되어 있으며, 양단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절곡된 평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안전 볼라드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등과 연동되어 차량의 이동을 제어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안전 볼라드의 제어부는 신호등으로부터 적색등 발광신호가 수집되면, 몸통부(20)가 지면 밖으로 노출되도록 공기펌프(1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는 신호등으로부터 녹색등 발광신호가 수집되면, 몸통부(20)가 지면 밖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공기펌프(10)를 제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볼라드의 구동 흐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차량식별 감지부가 접근 물체(예를 들어 진입이 허락된 차량)를 감지하여 물체에 대한 식별 데이터를 제어부로 전송하고, 제어부는 접근 물체에 대한 승인 여부(진입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S100).
상기 S100 단계에서 충격센서는 몸통부(20)에 작용하는 충격을 실시간으로 감지하며, 설정된 강도 이상의 충격이 발생되는 경우 충격발생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로 전송한다(S110). 이어서, 제어부는 충격발생신호가 전송됨에 따라 공기펌프(10)를 제어하여 몸통부(20)에 충진된 공기를 배출시킨다(S120). 이때, 몸통부(20)에 충진된 공기는 압축공기 저장탱크(15)로 주입하거나 대기 중으로 배출시킨다. 그 다음, 제어부는 수초가 경과된 후, 몸통부(20)가 초기 상태로 팽창되도록 공기펌프(10)를 제어하여 몸통부(20)로 공기를 주입한다(S130).
상기 스텝 S100의 판단 결과에 따라 제어부는 진입이 허락된 차량이 아닐 경우, 모터(80)의 구동을 제어하지 않는다(S200).
만약, 상기 스텝 S100의 판단 결과 진입이 허락된 차량일 경우, 상기 제어부는 모터(80)를 구동시켜 몸통부(20)를 하강시킨다(S300).
상기 S300 단계에서 제어부는 안전 볼라드의 기밀성을 확보하기 위해 공기펌프(10)를 가동시켜 제 2 공기호스(64)를 통해 방수튜브(50)로 공기를 주입한다. 이에 따라, 방수튜브(50)가 팽창되어 몸통부(20) 상부와 접촉됨으로써 기밀성이 확보된다. 한편, 제 2 공기호스(64)가 제 1 공기호스(62)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는 공기펌프(10)에 의해 제 2 공기호스(64)로 주입된 공기가 제 1 공기호스(62)를 통해 몸통부(20)로 주입되지 않도록 제 1 공기호스(62)에 설치된 제 1 에어밸브를 밀폐시킨다.
이어서, 제어부는 수초 후 모터(80)를 구동시켜 몸통부(20)를 상승시킨다(S400).
상기 S400 단계에서 제어부는 먼저 팽창된 방수튜브(50)가 몸통부(20)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공기펌프(10)를 가동시켜 제 2 공기호스(62)를 통해 방수튜브(50)의 공기를 배출한다. 이에 따라, 방수튜브(50)가 축소되어 몸통부(20)와 이격된다. 한편, 제 2 공기호스(64)가 제 1 공기호스(62)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는 몸통부(20)에 충진된 공기가 제 1 공기호스(62)를 통해 배출되지 않도록 제 1 공기호스(62)에 설치된 제 1 에어밸브를 밀폐시킨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공기펌프 15 : 압축공기 저장탱크
20 : 몸통부 30 : 헤드커버
40 : 볼라드 케이스 42 : 케이스 몸체
44 : 케이스 커버 50 : 방수튜브
55 : 방수튜브 지지대 60 : 공기호스
62 : 제 1 공기호스 64 : 제 2 공기호스
72 : 제 1 에어벨브 74 : 제 2 에어밸브
80 : 모터 90 : 볼스크류
92 : 볼스크류 샤프트 94 : 볼스큐류 너트

Claims (8)

  1. 도로와 보행로의 경계부 또는 안전지대 등에 설치되어 차량의 진입을 방지하는 볼라드에 있어서,
    흡기와 배기를 조절하는 공기펌프;
    상기 공기펌프에 연결되고, 튜브로 구성되며, 공기가 주입됨에 따라 기둥 형상의 외형을 가지는 몸통부;
    상기 공기펌프 및 상기 몸통부가 내장되도록 틀 역할을 하는 볼라드 케이스;
    상기 볼라드 케이스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몸통부와의 사이에 기밀성을 제공하는 방수튜브;
    상기 볼라드 케이스의 상부에 내부면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방수튜브를 안착시키고, 상기 방수튜브와 상기 몸통부가 접촉되는 경우 상기 방수튜브가 상기 몸통부에 밀착되도록 상기 방수튜브의 이동을 제한하는 방수튜브 지지대; 및
    상기 공기펌프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일단에 대응되는 타단이 상기 몸통부와 상기 방수튜브에 각각 연결되어 공기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공기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안전 볼라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에 설치되고, 몸통부에 제공되는 충격을 감지하여 충격발생신호를 생성하는 충격센서; 및
    상기 충격센서에 연결되며, 상기 충격발생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몸통부에 주입된 공기를 흡입하도록 공기펌프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롤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안전 볼라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펌프에 연결되고, 지하에 매립되며, 압축공기를 저장하는 압축공기 저장탱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안전 볼라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진입 가능한 차량을 식별하는 차량식별 감지부가 구비된 헤드커버; 및
    상기 차량식별 감지부의 감지 여부에 따라 상기 공기펌프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가변형 안전 볼라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몸통부를 상하 이동시키는 볼스크류 샤프트 및 볼스크류 너트로 이루어진 볼스크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안전 볼라드.
KR1020120079271A 2012-07-20 2012-07-20 충격을 흡수하는 가변형 안전 볼라드 KR1012462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9271A KR101246249B1 (ko) 2012-07-20 2012-07-20 충격을 흡수하는 가변형 안전 볼라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9271A KR101246249B1 (ko) 2012-07-20 2012-07-20 충격을 흡수하는 가변형 안전 볼라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6249B1 true KR101246249B1 (ko) 2013-03-22

Family

ID=48182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9271A KR101246249B1 (ko) 2012-07-20 2012-07-20 충격을 흡수하는 가변형 안전 볼라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624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1816B1 (ko) * 2013-08-08 2015-11-25 정상훈 상사점과 하사점이 설정된 승하강식 볼라드
KR101834700B1 (ko) * 2017-08-25 2018-03-05 선병순 충돌완충용 허니콤유닛이 내장된 시인성 기능을 갖는 차량진입방지대
CN109594494A (zh) * 2018-10-18 2019-04-09 常州大学怀德学院 一种停车桩控制系统
CN112709172A (zh) * 2021-02-26 2021-04-27 深圳市鑫祥盛五金产品有限公司 一种刹车失灵用制动辅助装置
KR102418841B1 (ko) 2021-11-22 2022-07-08 주식회사 로드원 보행자 보호 기능을 구비한 볼라드
KR102630974B1 (ko) * 2023-02-14 2024-01-30 (주)우연시스템 공기압으로 승하강하는 차선 규제봉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0422A (ja) 1997-08-01 1999-02-23 Kyowa Nasuta:Kk 空気昇降式車止め
KR100608932B1 (ko) 2006-04-14 2006-08-03 보람엔지니어링주식회사 에어를 이용한 가변식 도로 중앙 분리봉
KR20110007092U (ko) * 2010-01-08 2011-07-14 우재진 도로용 가변차선 표시장치
KR101146608B1 (ko) 2009-05-19 2012-05-14 김철호 상하이동이 가능한 전동식 자동볼라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0422A (ja) 1997-08-01 1999-02-23 Kyowa Nasuta:Kk 空気昇降式車止め
KR100608932B1 (ko) 2006-04-14 2006-08-03 보람엔지니어링주식회사 에어를 이용한 가변식 도로 중앙 분리봉
KR101146608B1 (ko) 2009-05-19 2012-05-14 김철호 상하이동이 가능한 전동식 자동볼라드
KR20110007092U (ko) * 2010-01-08 2011-07-14 우재진 도로용 가변차선 표시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1816B1 (ko) * 2013-08-08 2015-11-25 정상훈 상사점과 하사점이 설정된 승하강식 볼라드
KR101834700B1 (ko) * 2017-08-25 2018-03-05 선병순 충돌완충용 허니콤유닛이 내장된 시인성 기능을 갖는 차량진입방지대
CN109594494A (zh) * 2018-10-18 2019-04-09 常州大学怀德学院 一种停车桩控制系统
CN112709172A (zh) * 2021-02-26 2021-04-27 深圳市鑫祥盛五金产品有限公司 一种刹车失灵用制动辅助装置
CN112709172B (zh) * 2021-02-26 2022-09-30 台州市驰隆车辆部件有限公司 一种刹车失灵用制动辅助装置
KR102418841B1 (ko) 2021-11-22 2022-07-08 주식회사 로드원 보행자 보호 기능을 구비한 볼라드
KR102630974B1 (ko) * 2023-02-14 2024-01-30 (주)우연시스템 공기압으로 승하강하는 차선 규제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6249B1 (ko) 충격을 흡수하는 가변형 안전 볼라드
US10612200B2 (en) Ground-based vehicle barrier system
US6997638B2 (en) Anti-terrorist road block
US4554695A (en) Vehicular road block
US20120044046A1 (en) Remote Control Parking Barrier
US8128310B2 (en) Vehicle restraint system
US7837409B2 (en) Vehicle incursion inhibitors
KR101146608B1 (ko) 상하이동이 가능한 전동식 자동볼라드
KR101095846B1 (ko) 휀스형 차단기
KR100997805B1 (ko) 차단구역 확대용 차단봉이 구비된 매설형 바리케이드
KR100970234B1 (ko) 비상시 상승 높이가 제어되는 매설형 바리케이드 및 그 제어방법
KR101029604B1 (ko) 반사판 세정시스템을 구비한 과속방지턱
KR102369213B1 (ko) 양방향 차단용 매설형 로드블록
KR100629620B1 (ko) 과속방지 및 정보제공용 차량차단기
KR101571816B1 (ko) 상사점과 하사점이 설정된 승하강식 볼라드
KR20190036433A (ko) 차량 통행 통제 설비 및 장치
KR101721186B1 (ko) 자동 볼라드
KR20100127899A (ko) 보행자 안전용 차량통제장치
WO1999002387A1 (es) Instalacion de vallas de seguridad para evitar caidas desde un anden a una via
KR100740082B1 (ko) 보행자를 위한 횡단보도 안전장치
US7179015B1 (en) Remote controlled tire deflator
KR20220116992A (ko) 스마트 과속 방지 장치
JP3947099B2 (ja) 駐車装置
KR101037828B1 (ko) 좌우 위치조절이 가능한 볼라드
KR20200014058A (ko) 안전 휀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