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0974B1 - 공기압으로 승하강하는 차선 규제봉 - Google Patents

공기압으로 승하강하는 차선 규제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0974B1
KR102630974B1 KR1020230019175A KR20230019175A KR102630974B1 KR 102630974 B1 KR102630974 B1 KR 102630974B1 KR 1020230019175 A KR1020230019175 A KR 1020230019175A KR 20230019175 A KR20230019175 A KR 20230019175A KR 102630974 B1 KR102630974 B1 KR 102630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lane
conduit
ro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9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우현
Original Assignee
(주)우연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연시스템 filed Critical (주)우연시스템
Priority to KR1020230019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09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0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09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03Individual devices arranged in spaced relationship, e.g. buffer boll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4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the barrier being formed by obstructing members situated on, flush with, or below the traffic surface, e.g. with inflatable members on the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06Lane control by movable lane separating barriers, e.g. shiftable barriers, retractable kerbs ; Apparatus or barri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heeled b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 E01F9/617Illuminated or wired-up posts, bollards, pillars or like upstanding bodies or structures for traffic guidance, warning or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압으로 승하강하는 차선 규제봉에 관한 것으로서, 도로 차선에 매설되어 공기의 주입 및 흡입에 따라 도로 노면으로부터 돌출됨으로써 차선을 규제하는 유니트 분리 차선 규제봉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공기의 주입 또는 흡입에 따라 도로 노면으로부터 승하강을 반복함으로써 차선을 규제하도록 도로 노면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는 복수의 차선 규제봉, 복수의 차선 규제봉에 공기를 주입하여 차선 규제봉이 상승하도록 하고 공기 주입부, 복수의 차선 규제봉의 내측 공기를 흡입하여 차선 규제봉이 하강하여 수축도록 하는 공기 흡입부, 공기 주입부 및 공기 흡입부를 제어하는 규제봉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으로 승하강하는 차선 규제봉이 개시된다.

Description

공기압으로 승하강하는 차선 규제봉{The stick to control traffic lane}
본 발명은 공기압으로 승하강하는 차선 규제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로 차선에 매설되어 공기의 주입 및 흡입에 따라 도로 노면으로부터 돌출됨으로써 차선을 규제하는 유니트 분리 차선 규제봉에 관한 것이다.
선행특허문헌인 KR 10-1033088(발명의 명칭 : 가변 차선의 중아선 표시를 위한 상하 자동 차선규제봉)에는 몸체, 브라켓, 실린더를 포함함으로써 실린더, 이동체 및 브라켓(bracket)을 이용하여 차선규제봉의 몸체를 상하로 움직이도록 하여 자동차를 안전하게 가이드하여 사고를 줄임과 동시에 차선규제봉의 몸체가 파손 시 교체가 용이하도록 한 발명이다.
그러나 선행문헌에 개시된 발명은 실린더를 포함하기 때문에 실린더의 고장으로 인한 교체 제반 비용이 높을 뿐만아니라 가벼운 차선 규제봉을 실린더를 구동시켜 승하강시킴으로써 비용 대비 효율이 낮은 문제가 있다.
KR 10-1033088 KR 10-2022-0152883 KR 20-0299918 KR 10-1709896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차선 규제봉을 2개의 모듈로 분리하면서 착탈 결합이 용이하도록 제작함으로써 유지보수시에 비용 대비 효율이 좋을 뿐만 아니라 가변운 규제봉을 에어에 의해 팽창 및 수축시킴으로써 전체적인 모듈의 구성이 간단하고 제어가 간편한 발명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의 주입 또는 흡입에 따라 도로 노면으로부터 승하강을 반복함으로써 차선을 규제하도록 도로 노면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는 복수의 차선 규제봉, 복수의 차선 규제봉에 공기를 주입하여 차선 규제봉이 상승하도록 하고 공기 주입부, 복수의 차선 규제봉의 내측 공기를 흡입하여 차선 규제봉이 하강하여 수축도록 하는 공기 흡입부, 공기 주입부 및 공기 흡입부를 제어하는 규제봉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으로 승하강하는 차선 규제봉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차선 규제봉 각각은,
공기 주입에 따라 부풀려져 도로 노면으로부터 상승하고, 공기 흡입에 따라 수축되어 도로 노면으로 하강하는 규제봉, 규제봉의 내측에 배치되는 와이어, 와이어에 묶여 있어 공기의 주입 또는 흡입에 따라 상하 이동하는 무게 추, 무게 추가 상하로 이동하도록 무게 추 이동공간이 마련되는 내측 하우징, 내측 하우징이 내측으로 삽입되어 착탈 가능하도록 유니트 결합되는 외측 하우징, 규제봉의 상승시에 발광색을 제공하는 엘이디, 외측 하우징의 몸체 내측을 따라 마련된 공기주입 도관, 외측 하우징의 몸체 내측을 따라 마련된 공기흡입 도관을 포함한다.
또한, 내측 하우징의 벽의 내측을 따라 마련된 공기공급 분기도관, 공기주입 도관으로부터 분기되며, 내측 하우징이 외측 하우징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착탈 결합될 때 공기공급 분기도관과 서로 연통되도록 착탈 결합되는 공기주입 분기도관, 공기흡입 도관으로부터 분기되며, 내측 하우징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공기 흡입시에 내측 하우징의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흡입 분기도관을 더 포함한다.
또한, 공기공급 분기도관과 공기주입 분기도관이 서로 연통되도록 내측 하우징이 외측 하우징에 탈부착 결합된다.
또한, 복수의 차선 규제봉의 각각의 공기주입 도관과 공기흡입 도관은 상호 직렬로 연결 접속되어 하나의 공기 주입경로와 공기 흡입경로를 형성함으로써 공기 주입부와 공기 흡입부의 동작에 따라 일체로 복수의 차선 규제봉을 승하강시킨다.
또한, 어느 하나의 차선 규제봉의 공기주입 도관의 주입포트는 공기 주입부와 연결 접속되고, 어느 하나의 차선 규제봉의 공기주입 도관의 배출포트는 다른 하나의 차선 규제봉의 공기주입 도관의 주입포트와 서로 연결 접속되고, 어느 하나의 차선 규제봉의 공기흡입 도관의 입력포트는 공기 흡입부와 연결 접속되고, 어느 하나의 차선 규제봉의 출력포트는 다른 하나의 차선 규제봉의 공기흡입 도관의 입력포트와 서로 연결 접속됨으로써 공기 주입부와 공기 흡입부의 동작에 따라 일체로 복수의 차선 규제봉을 승하강시킨다.
또한, 복수의 차선 규제봉의 각각의 공기주입 도관과 공기흡입 도관에 각기 개별적으로 공기를 주입하고 흡입하도록 복수의 공기 주입경로와 복수의 공기 흡입경로를 형성함으로써 공기 주입부와 공기 흡입부의 동작에 따라 개별적으로 복수의 차선 규제봉을 승하강시킨다.
또한, 입력 포트는 공기 주입부 및 공기 흡입부의 일측과 개별적으로 각각 연결 접속되며, 출력 포트는 복수의 차선 규제봉의 각각의 공기주입 도관 및 공기흡입 도관과 개별적으로 각각 연결 접속되는 밸브부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차선 규제봉을 2개의 모듈로 분리하면서 착탈 결합이 용이하도록 제작함으로써 유지보수시에 비용 대비 효율이 좋을 뿐만 아니라 가변운 규제봉을 에어에 의해 팽창 및 수축시킴으로써 전체적인 모듈의 구성이 간단하고 제어가 간편한 발명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압으로 승하강하는 차선 규제봉의 제1 규제봉 분리 모듈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압으로 승하강하는 차선 규제봉의 제2 규제봉 분리 모듈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 주입경로 및 공기주입 분기경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 흡입경로 및 공기흡입 분기경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공기 흡입에 따라 규제봉이 수축되어 원상복귀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 공급경로 및 공기 흡입경로가 '직렬'로 구성되어 복수의 차선 규제봉이 동시에 일체로 동작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 공급경로 및 공기 흡입경로가 '트리'로 구성되어 선택된 차선 규제봉이 개별적으로 동작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 차선에 차선 규제봉을 매설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 차선에 매설된 차선 규제봉을 구동시킨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의 차선 정지선에 차선 규제봉이 매설되어 횡단보도 신호등과 연동되어 동작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 주차도로에 차선 규제봉을 매설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일실시예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또한, 종래 기술 및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은 설명을 생략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생략된 구성요소(방법) 및 기능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충분히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
(유니트 분리 차선 규제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니트 분리 차선 규제봉은 제1 규제봉 분리 모듈부(100)와 제2 규제봉 분리 모듈부(200)가 착탈(또는 탈부착) 가능하도록 서로 유니트 결합된다. 제1 규제봉 분리 모듈부(100)는 제2 규제봉 분리 모듈부(200)에 착탈 결합되며, 제2 규제봉 분리 모듈부(200)는 도로 노면에 매설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규제봉 분리 모듈부(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규제봉(100), 와이어(120), 무게 추(130), 내측 하우징(140), 공기공급 분기도관(150) 및 엘이디(16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규제봉(110)은 일예로서 부드러운 천 재질로 이루어져 하측에서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부풀려져 도로 노면에 돌출되며, 이에 따라 차선을 규제할 수 있다. 공급된 공기가 흡입에 의해 빠지면 다시 수축되어 원상복귀 된다. 규제봉(110)은 후술하는 내측 하우징(140)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유지 보수가 편리하다. 다만 규제봉(110)의 재질은 공기에 의해 팽창 및 수축될 수 있는 다양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120)의 일측은 규제봉(110)의 상측 중앙영역에 고정되며, 와이어(120)의 타측은 후술하는 무게 추(130)에 고정된다. 와이어(120)는 무게 추(130)가 자중에 의해 규제봉(110)에 매달리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게 추(130)는 소정의 무게를 가지는 추일 수 있다. 무게 추(130)의 무게는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에 따라 알맞게 설정될 수 있다. 즉,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규제봉(110)이 잘 팽창되도록 하면서도 공기의 흡입에 의해 규제봉(110)이 잘 수축되도록 하는 적당한 무게를 가질 수 있다. 무게 추(130)는 내측 하우징(140)에 마련된 무게 추 이동공간(141)을 승하강 한다. 무게 추(130)에 의해 부드러운 천으로 이루어진 규제봉(110)이 다시 돌출되지 않도록 하고(규제봉의 부풀어짐을 방지), 더 나아가 규제봉(110)의 수축시에 무게 추(130)에 의해 제대로 수축(부드러운 천이 쭈글쭈글 해지지 않도록)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측 하우징(140)은 후술하는 외측 하우징(210)에 착탈 가능하도록 유니트 결합한다. 내측 하우징(140)의 프레임은 외측 하우징(210)에 삽입되며, 이때 공기공급 분기도관(150)의 주입포트가 공기주입 분기도관(221)의 배출포트와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하며, 또한 공기흡입 분기도관(231)의 흡입포트가 내측 하우징(140)의 무게 추 이동공간(141)으로 삽입 돌출된다. 내측 하우징(140)의 몸체의 단면은 대략 'ㄷ'자 형상으로서 상측이 개방된다.
내측 하우징(140)의 내측 상측영역에는 수평 또는 가로 방향으로 상측 지지대가 배치 지지되며, 내측 하측영역에는 상측 지지대와 동일한 하측 지지대가 배치 지지된다. 상측 지지대와 하측 지지대의 사이공간은 무게 추(130)가 승하강하는 무게 추 이동공간(141)이다. 상측 지지대와 하측 지지대의 중심부는 통공이 형성된다. 상측 지지대의 통공은 와이어(120)가 관통되며, 무게 추 이동공간(141)이나 또는 규제봉(110)의 공기 흡입시에 하측 지지대의 통공은 공기흡입 분기도관(231)으로 공기가 흡입되도록 통로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공급 분기도관(150)은 내측 하우징(140)의 내벽을 따라 배치된다. 공기공급 분기도관(150)의 주입포트는 내측 하우징(140)의 하부면을 관통한 공기주입 분기도관(221)의 포트와 착탈 결합하며, 공기공급 분기도관(150)의 배출포트는 규제봉(110)으로 공기가 공급되도록 내측 하우징(140)의 상측 지지대의 상측방향에 배치된다. 따라서, 공기의 주입에 의해 규제봉(110)이 팽창되어 도로 노면으로부터 돌출됨으로써 차선을 규제하고, 공기의 흡입에 의해 규제봉(110)의 내측 공기가 흡입됨과 동시에 무게 추(130)의 자중에 의해 규제봉(110)이 수축되어 돌출된 규제봉(110)이 원위치 된다. 전체적으로 공기의 주입은 규제봉(110)의 하부에서 이루어지고, 공기의 흡입은 내측 하우징(140)의 하부공간에서 이루어진다. 도 1에는 공기공급 분기도관(150)이 단면을 기준으로 '우측'에 배치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좌측 또는 다양한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이디(160)는 내측 하우징(140)의 상측 지지대의 일측에 배치된다. 엘이디(160)는 규제봉(110)이 발광되도록 하며, 필요에 따라 신호등 시스템과 연동되어 발광색이 조절될 수 있다. 즉, 신호등이 '적색'이면 엘이디(160)의 발광에 의해 규제봉(110)도 적색이 표시되도록 하고, 신호등이 '녹색'이면 엘이디(160)의 발광에 의해 규제봉(110)도 녹색이 표시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규제봉 분리 모듈부(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하우징(210), 공기주입 도관(220), 공기흡입 도관(23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측 하우징(210)은 단면이 대략 'ㄷ'자 형상으로서 내측 하우징(140)이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형상이다. 또한, 상부 몸체는 둘레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경사진 '사선'으로 디자인되어 규제봉(110)이 부딪힘에 의해 꺾이는 경우에도 파손이 되지 않도록 규제봉(110)을 보호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주입 도관(220)과 공기흡입 도관(230)은 외측 하우징(210)의 내벽에 도 2와 같이 대략 'ㄷ'자 형상으로 배치된다. 공기주입 도관(220)의 주입포트는 외부에서 공기를 주입받을 수 있으며, 공기주입 도관(220)의 일 분기점에는 공기주입 분기도관(221)이 분기 형성된다. 공기주입 분기도관(221)은 공기공급 분기도관(150)과 착탈 결합된다. 공기주입 도관(220)의 배출포트는 필요에 따라 다른 차선 규제봉의 공기주입 도관(220)의 주입포트와 착탈 결합하여 외부에서 공급된 공기를 하나의 공기 주입 경로를 통해 전달 공급할 수 있다.
공기흡입 도관(230)의 입력포트는 외부에서 공기를 진공흡입 할 수 있도록 외부 포트와 결합한다. 공기흡입 도관(230)의 출력포트는 필요에 따라 다른 차선 규제봉의 공기흡입 도관(230)의 입력포트와 착탈 결합하여 각각의 규제봉(110)의 내측 공기를 하나의 공기 흡입 경로를 통해 외부로 진공흡입 배출할 수 있다. 공기흡입 도관(230)의 일 분기점에서 분기된 공기흡입 도관(230)은 내측 하우징(140)의 내측에 돌출 결합되어 규제봉(110)의 내측 공기를 흡입한다.
(공기압으로 승하강하는 차선 규제봉)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선 규제봉은 제1 규제봉 분리 모듈부(100)와 제2 규제봉 분리 모듈부(200)가 서로 착탈 결합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선 규제봉은 외부에서 공급된 공기가 공기 주입경로를 통해 차선 규제봉의 하측으로 공급됨으로써 공기 팽창하여 도로 차선을 규제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흡입경로를 따라 차선 규제봉의 내측에 존재하는 공기를 외부로 흡입 배출함과 동시에 무게 추(130)의 자중에 의해 차선 규제봉이 수축함으로써 다시 원래대로 원상복귀 한다. 이때, 무게 추(130)는 공기 흡입시에 수축되는 차선 규제봉의 원상태로의 복귀 이탈을 방지한다.
공기 주입경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주입 도관(220)을 따라 흐르는 경로이고, 공기 흡입경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흡입 도관(230)을 따라 공기가 흡입되는 경로이다. 공기주입 분기경로는 공기주입 도관(220)의 일지점에서 분기된 공기주입 분기도관(221)과 공기주입 분기도관(221)과 탈착 결합되는 공기공급 분기도관(150)을 흐르는 분기 경로이고, 공기흡입 분기경로는 공기흡입 도관(230)의 일지점에서 분기된 공기흡입 분기도관(231)을 따라 공기가 흡입되는 분기 경로이다. 따라서, 공기주입 경로를 따라 외부에서 공급된 공기가 공기주입 분기경로를 따라 분기 공급됨으로써 차선 규제봉이 팽창 상승하고, 내측 하우징(140)의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를 공기흡입 분기경로를 따라 흡입한 후에 분기 합류되는 공기흡입 경로를 따라 외부로 공기를 배출함으로써 팽창 상승한 차선 규제봉이 수축되어 원상복귀된다.
차선 규제봉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개가 일정 간격을 두고 직렬 또는 수평으로 도로 차선을 규제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외부에서 공기를 주입하거나 공기를 흡입할 때 공기 주입경로 및 공기 흡입경로를 "직렬" 또는 "트리"로 구성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주입경로 및 공기 흡입경로를 "직렬"로 구성하면, 제1,….,3 차선 규제봉의 각각의 공기주입 도관(220)과 각각의 공기흡입 도관(230)이 서로 연통되도록 직렬 구성된다. 따라서 제3 차선 규제봉(313)의 공기주입 도관(220)을 따라 공급된 공기는 순차적으로 제2 차선 규제봉 (312)및 제1 차선 규제봉(311)의 공기주입 도관(220)을 따라 직렬로 공급된다. 동일한 원리로 제1 차선 규제봉(311)의 공기흡입 도관(230)을 따라 흡입된 공기는 순차적으로 제2 차선 규제봉(312) 및 제3 차선 규제봉(313)의 공기흡입 도관(230)을 따라 직렬 흡입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공기 주입경로 및 공기 흡입경로를 "직렬"로 구성하면, 제3 차선 규제봉(313)의 공기주입 도관(220)의 주입포트는 공기 주입부(320)와 연결 접속되고, 공기흡입 도관(230)의 흡입포트는 공기 흡입부(330)와 연결 접속된다.
도 5에 도시된 공기 주입부(320)는 규제봉 제어부(340)의 공기 제어부(341)의 공기공급 제어신호에 따라 공기를 제3 차선 규제봉(313)의 공기주입 도관(220)으로 공급한다. 이에 따라 직렬 구성된 공기 주입경로를 따라 순차적으로 제2 차선 규제봉(312) 및 제1 차선 규제봉(311)으로 공기가 공급된다. 공기 주입부(320)는 일예로서 압축기(컴프레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공기 흡입부(330)는 규제봉 제어부(340)의 공기 제어부(341)의 공기흡입 제어신호에 따라 공기를 진공 흡입한다. 이에 따라 직렬 구성된 공기 흡입경로를 따라 제1,….,3 차선 규제봉(311,312,313)의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한다. 공기 흡입부(330)는 일예로서 진공 펌프로 구현될 수 있다.
공기 주입경로 및 공기 흡입경로를 "직렬"로 구성하면, 서로 직렬 연결 접속된 차선 규제봉 모두의 공기 주입 및 공기 흡입을 동시에 일체로 동작시킬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주입경로 및 공기 흡입경로를 "트리"로 구성하면, 제1,….,3 차선 규제봉의 각각의 공기주입 도관(220)과 각각의 공기흡입 도관(230)에 개별적으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어 차선 규제봉 각각을 개별 동작시킬 수 있다. 물론, 개별 동작시킬 때에도 각각의 차선 규제봉을 선택적으로 동작시킬 수도 있고, 시간을 맞추어 동시에 개별 동작시켜 전체 차선 규제봉이 동시에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공기 주입경로 및 공기 흡입경로를 "트리"로 구성하면, 제3 차선 규제봉(313)의 공기주입 도관(220)의 주입포트는 밸브부(350)의 밸브3과 연결 접속되고, 공기흡입 도관(230)의 흡입포트는 밸브부(350)의 밸브6과 연결 접속된다. 제2 차선 규제봉(312)의 공기주입 도관(220)의 주입포트는 밸브부(350)의 밸브2와 연결 접속되고, 공기흡입 도관(230)의 흡입포트는 밸브부(350)의 밸브5와 연결 접속된다. 또한, 제1 차선 규제봉(311)의 공기주입 도관(220)의 주입포트는 밸브부(350)의 밸브1과 연결 접속되고, 공기흡입 도관(230)의 흡입포트는 밸브부(350)의 밸브4와 연결 접속된다.
도 6에 도시된 공기 주입부(320)는 규제봉 제어부(340)의 공기 제어부(341)의 공기공급 제어신호에 따라 공기를 밸브부(350)로 공급한다. 도 6에 도시된 공기 흡입부(330)는 규제봉 제어부(340)의 공기 제어부(341)의 공기흡입 제어신호에 따라 공기를 진공 흡입한다. 밸브 제어부(342)는 밸브구동 제어신호를 밸브부(350)로 전송함으로써 밸브부(350)의 개별 밸브를 온/오프 제어한다. 따라서 밸브구동 제어신호에는 각 밸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가 포함된다. 일예로서, 밸브1은 "ON"하고, 밸브2 및 밸브 3은 'OFF"하는 밸브구동 제어신호를 밸브부(350)로 전송하거나, 또는 전체 밸브를 모두 "ON" 하거나 "OFF"하는 밸브구동 제어신호를 밸브부(350)로 전송할 수 있다. 공기를 주입하는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공기 제어부(341)가 공기 주입부(320)를 먼저 구동시킨 후에 밸브 제어부(342)의 밸브구동 제어신호에 따라 선택된 밸브를 동작시켜 공기를 주입하는 바람직하고, 공기를 흡입하는 경우에는, 밸브 제어부(342)의 밸브구동 제어신호에 따라 선택된 밸브를 먼저 동작시킨 후에 공기 제어부(341)가 공기 흡입부(330)를 구동시켜 공기를 흡입 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 도시된 공기 주입경로 및 공기 흡입경로를 "트리"로 구성하면, 각 밸브와 서로 개별적으로 연결 접속된 각각의 공기 주입경로 및 공기 흡입경로를 따라 선택적으로 개별 동작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기 주입경로와 공기 흡입경로는 전체가 "직렬" 구성되거나 또는 전체가 "트리"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다른 예로서 일부는 "직렬" 구성되고 나머지는 "트리"로 구성할 수도 있다. "직렬 또는 트리" 구성의 선택은 적용되는 도로 환경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선 규제봉이 실제 적용된 것을 일예를 들어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선 규제봉(420a,420b)은 가변 차로(410)의 제1,2 가변 차로(411,412)를 따라 도로 노면에 설치될 수 있다. 도로 환경에 따라 제1,2 가변 차로(411,412)에 각각 매설된 차선 규제봉을 선택적으로 일체로 제어함으로써 가변 차선을 규제할 수 있다. 일예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변 차로(411)의 차선 규제봉(420a)을 동작시켜 가변 차로를 통제할 수 있다.
도 9는 차선 정지선(512,513) 앞에 차선 규제봉(520a,520b)을 매설하여 차선 규제봉을 횡단보도의 신호에 연동하여 동작시킴으로써 횡단보도(511)를 건너는 보행자가 안전하게 횡단보도를 건널 수 있도록 배치한 것이다.
도 10은 가변 주차도로(612,613)에 차선 규제봉(620a,620b)을 매설함으로써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주차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종래 기술 및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은 설명을 생략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생략된 구성요소(방법) 및 기능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충분히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설명하였을 뿐 여기에서 설명되지 아니한 구성요소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추가될 수 있다.
상술한 각부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한 설명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서로 분리하여 설명하였을 뿐 필요에 따라 어느 한 구성 및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로 통합되어 구현되거나, 또는 더 세분화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한 것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 또는 본 발명의 각 구성에 대한 결합관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100 : 제1 규제봉 분리 모듈부
110 : 규제봉
120 : 와이어
130 : 무게 추
140 : 내측 하우징
141 : 무게 추 이동공간
150 : 공기공급 분기도관
160 : 엘이디
200 : 제2 규제봉 분리 모듈부
210 : 외측 하우징
211 : 내측 하우징 삽입공간
220 : 공기주입 도관
221 : 공기주입 분기도관
230 : 공기흡입 도관
231 : 공기흡입 분기도관
310 : 차선 규제봉
311,….,313 : 제1,….,3 차선 규제봉
320 : 공기 주입부(또는 압축기)
330 : 공기 흡입부(또는 진공 펌프)
340 : 규제봉 제어부
341 : 공기 제어부
342 : 밸브 제어부
350 : 밸브부
410 : 가변 차로
411 : 제1 가변 차로
412 : 제2 가변 차로
420a,420b : 차선 규제봉
510 : 도로
511 : 횡단보도
512 : 제1 정지선
513 : 제2 정지선
520a,520b : 차선 규제봉
610 : 도로
611 : 도로(차선)
612 : 제1 가변 주차도로
613 : 제2 가변 주차도로
620a,620b : 차선 규제봉

Claims (8)

  1. 공기의 주입 또는 흡입에 따라 도로 노면으로부터 승하강을 반복함으로써 차선을 규제하도록 도로 노면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는 복수의 차선 규제봉,
    상기 복수의 차선 규제봉에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차선 규제봉이 상승하도록 하고 공기 주입부,
    상기 복수의 차선 규제봉의 내측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차선 규제봉이 하강하여 수축도록 하는 공기 흡입부,
    상기 공기 주입부 및 공기 흡입부를 제어하는 규제봉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차선 규제봉 각각은,
    상기 차선 규제봉의 상승시에 도로 노면으로부터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는 규제봉, 와이어 및 무게 추를 구비하는 제1 규제봉 분리 모듈부가 도로 노면에 매설되는 외측 하우징, 공기주입 도관 및 공기흡입 도관을 구비하는 제2 규제봉 분리 모듈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내측으로 착탈 결합되며,
    상기 복수의 차선 규제봉 각각은,
    공기 주입에 따라 부풀려져 상기 도로 노면으로부터 상승하고, 공기 흡입에 따라 수축되어 상기 도로 노면으로 하강하는 상기 규제봉,
    상기 규제봉의 내측에 배치되는 상기 와이어,
    상기 와이어에 묶여 있어 상기 공기의 주입 또는 흡입에 따라 상하 이동하는 상기 무게 추,
    상기 무게 추가 승하강하는 무게 추 이동공간을 제한하도록 상측과 하측 영역에 수평방향으로 마련된 상측 지지대 및 하측 지지대를 구비하는 내측 하우징,
    상기 제1 규제봉 분리 모듈부가 제2 규제봉 분리 모듈부에 결합시에 상기 내측 하우징이 삽입되어 착탈 유니트 결합하며, 상부 몸체는 둘레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경사진 사선으로 형성되는 상기 외측 하우징,
    상기 외측 하우징의 몸체 내벽에 'ㄷ'자 형상으로 배치되는 상기 공기주입 도관,
    상기 외측 하우징의 몸체 내벽에 'ㄷ'자 형상으로 배치되는 상기 공기흡입 도관,
    상기 내측 하우징의 내벽을 따라 마련되며, 일측 포트는 상기 공기주입 도관에서 주입된 공기가 규제봉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내측 하우징의 상측 지지대의 상측 방향에 배치되는 공기공급 분기도관,
    상기 공기주입 도관으로부터 분기되며, 상기 내측 하우징이 상기 외측 하우징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착탈 결합될 때 상기 공기공급 분기도관의 주입포트와 서로 연통되도록 착탈 결합되는 공기주입 분기도관,
    상기 공기흡입 도관으로부터 분기되며, 상기 내측 하우징의 상기 무게 추 이동공간으로 돌출되어 공기 흡입시에 상기 내측 하우징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흡입 분기도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으로 승하강하는 차선 규제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차선 규제봉 각각은,
    상기 규제봉의 상승시에 발광색을 제공하는 엘이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으로 승하강하는 차선 규제봉.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봉은 상기 무게 추 이동공간 보다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공기공급 분기도관의 배출포트는 상기 무게 추보다 상측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으로 승하강하는 차선 규제봉.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차선 규제봉의 각각의 공기주입 도관과 공기흡입 도관은 상호 직렬로 연결 접속되어 하나의 공기 주입경로와 공기 흡입경로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공기 주입부와 공기 흡입부의 동작에 따라 일체로 복수의 차선 규제봉을 승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으로 승하강하는 차선 규제봉.
  6. 제 5 항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차선 규제봉의 공기주입 도관의 주입포트는 공기 주입부와 연결 접속되고, 어느 하나의 차선 규제봉의 공기주입 도관의 배출포트는 다른 하나의 차선 규제봉의 공기주입 도관의 주입포트와 서로 연결 접속되고,
    어느 하나의 차선 규제봉의 공기흡입 도관의 입력포트는 공기 흡입부와 연결 접속되고, 어느 하나의 차선 규제봉의 출력포트는 다른 하나의 차선 규제봉의 공기흡입 도관의 입력포트와 서로 연결 접속됨으로써 상기 공기 주입부와 공기 흡입부의 동작에 따라 일체로 복수의 차선 규제봉을 승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으로 승하강하는 차선 규제봉.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차선 규제봉의 각각의 공기주입 도관과 공기흡입 도관에 각기 개별적으로 공기를 주입하고 흡입하도록 복수의 공기 주입경로와 복수의 공기 흡입경로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공기 주입부와 공기 흡입부의 동작에 따라 개별적으로 복수의 차선 규제봉을 승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으로 승하강하는 차선 규제봉.
  8. 제 7 항에 있어서,
    밸브의 입력 포트는 상기 공기 주입부 및 공기 흡입부의 일측과 개별적으로 각각 연결 접속되며, 밸브의 출력 포트는 상기 복수의 차선 규제봉의 각각의 공기주입 도관의 주입포트 및 공기흡입 도관의 흡입포트와 개별적으로 각각 연결 접속되는 밸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으로 승하강하는 차선 규제봉.
KR1020230019175A 2023-02-14 2023-02-14 공기압으로 승하강하는 차선 규제봉 KR102630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9175A KR102630974B1 (ko) 2023-02-14 2023-02-14 공기압으로 승하강하는 차선 규제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9175A KR102630974B1 (ko) 2023-02-14 2023-02-14 공기압으로 승하강하는 차선 규제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0974B1 true KR102630974B1 (ko) 2024-01-30

Family

ID=89714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9175A KR102630974B1 (ko) 2023-02-14 2023-02-14 공기압으로 승하강하는 차선 규제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0974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8916A (ja) * 1997-06-09 1998-12-22 Fuji Sangyo:Kk 車両通行規制装置
KR200241042Y1 (ko) * 2001-04-12 2001-10-11 김동준 차량 유도 통제기
KR200299918Y1 (ko) 2002-10-15 2003-01-06 임승하 보행자 보호용 차량 진입 차단봉의 은폐 구조
KR101033088B1 (ko) 2010-11-26 2011-05-06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가변차선의 중앙선 표시를 위한 상하 자동 차선규제봉
KR101142003B1 (ko) * 2011-12-14 2012-05-11 주원통신 주식회사 어린이 보호구역 안전차단기
KR101246249B1 (ko) * 2012-07-20 2013-03-22 동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충격을 흡수하는 가변형 안전 볼라드
KR101709896B1 (ko) 2016-06-30 2017-02-23 신현수 태양광을 이용한 발광기능과 복원기능을 갖는 차선규제봉
KR20190065510A (ko) * 2017-12-02 2019-06-12 오유선 시간대와 상관없이 시야에 잘 들어오는 에어벌룬볼라드
KR20220152883A (ko) 2021-05-10 2022-11-17 이태경 차단봉을 이용해 사고를 방지하는 신호등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8916A (ja) * 1997-06-09 1998-12-22 Fuji Sangyo:Kk 車両通行規制装置
KR200241042Y1 (ko) * 2001-04-12 2001-10-11 김동준 차량 유도 통제기
KR200299918Y1 (ko) 2002-10-15 2003-01-06 임승하 보행자 보호용 차량 진입 차단봉의 은폐 구조
KR101033088B1 (ko) 2010-11-26 2011-05-06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가변차선의 중앙선 표시를 위한 상하 자동 차선규제봉
KR101142003B1 (ko) * 2011-12-14 2012-05-11 주원통신 주식회사 어린이 보호구역 안전차단기
KR101246249B1 (ko) * 2012-07-20 2013-03-22 동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충격을 흡수하는 가변형 안전 볼라드
KR101709896B1 (ko) 2016-06-30 2017-02-23 신현수 태양광을 이용한 발광기능과 복원기능을 갖는 차선규제봉
KR20190065510A (ko) * 2017-12-02 2019-06-12 오유선 시간대와 상관없이 시야에 잘 들어오는 에어벌룬볼라드
KR20220152883A (ko) 2021-05-10 2022-11-17 이태경 차단봉을 이용해 사고를 방지하는 신호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777689B (zh) 一种建筑工地用自清洁型道路指示牌
KR102630974B1 (ko) 공기압으로 승하강하는 차선 규제봉
CN1086747A (zh) 除标签机及除标签法
CN110367181B (zh) 一种生鲜物流运输箱
CN104832870A (zh) 自然散热的太阳能led路灯装置及其使用方法
CN107013495A (zh) 具备双风道切换的风机集成系统及其风道切换方法
US20160263491A1 (en) Apparatus for Producing Reconfigurable Walls of Water
JP5312979B2 (ja) 減圧揚液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液体散布装置
CN108194080A (zh) 一种煤矿巷道连续掘进系统
AU2018203044B2 (en) Air filtration for a mobile mining machine
KR101864542B1 (ko) 필드 순환식 수경재배장치
KR20110007092U (ko) 도로용 가변차선 표시장치
CN217776994U (zh) 一种适用于雨雪天气的机器人
CN208708535U (zh) 一种高空测报灯
JP5148558B2 (ja) 茶枝葉の移送装置並びにこれを具えた茶刈装置
CN108194880A (zh) 一种具有驱蚊功能的太阳能路灯
CN104481956A (zh) 一种基于行程控制的双作用气缸的自动换向控制系统
CN206801499U (zh) 气控排放装置
CN219473464U (zh) 一种园林路灯
CN205028024U (zh) 立体投影幕形成系统
CN205875026U (zh) 一种可快速弹出的升降路桩
JP6425182B2 (ja) 伸縮自在な注意喚起装置
CN207064327U (zh) 具备双风道切换的风机集成系统
CN114987769A (zh) 可分离式复合翼垂直起飞的无人机系统
CN106600997A (zh) 道路交通智能指挥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