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7092U - 도로용 가변차선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도로용 가변차선 표시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7092U
KR20110007092U KR2020100000178U KR20100000178U KR20110007092U KR 20110007092 U KR20110007092 U KR 20110007092U KR 2020100000178 U KR2020100000178 U KR 2020100000178U KR 20100000178 U KR20100000178 U KR 20100000178U KR 20110007092 U KR20110007092 U KR 2011000709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member
housing
display
ground
display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01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재진
Original Assignee
우재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재진 filed Critical 우재진
Priority to KR20201000001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7092U/ko
Publication of KR201100070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709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48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with obstructing members moving in a translatory motion, e.g. vertical lift barriers, sliding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12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for forcibly arresting or disabling vehicles, e.g. spiked mats
    • E01F13/123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for forcibly arresting or disabling vehicles, e.g. spiked mats depressible or retractable below the traffic surface, e.g. one-way spike barriers, power-controlled prong b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용 가변차선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도로상의 가변차선을 선택적으로 구획하여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100)는, 상부가 개방된 입구(11)를 갖고, 외측둘레에 연결관(12)이 구비되며, 입구(11)를 제외한 나머지 지면 내에 다수개 매입 설치되는 하우징(10)과, 플렉시블한 봉 형상으로 제작되어 상기 하우징(10)의 개방된 입구(11)에 연결 설치되는 천 소재의 표시봉부재(20)와, 상기 표시봉부재(20)의 일단부에 연결 설치되어 표시봉부재의 미사용시 지면상으로부터 하우징(10)의 입구(11)를 차단하는 캡(30)과, 상기 하우징(10) 내에 일단이 안착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표시봉부재(20)의 종단 내에 고정되며, 표시봉부재(20)의 내측둘레에 외경이 밀착 설치되어 제공되는 에어공급에 따라 표시봉부재를 세우거나 하우징(10)내에 수용시키기 위한 스프링(40)과, 상기 하우징(10)의 연결관(11)을 연결하여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호스(50)와, 상기 공급호스(50)의 말단에 연결 설치되어 표시봉부재에 공기의 공급/흡입시켜 지면으로부터 표시봉부재(20)의 출몰시키는 에어펌프(60)와, 상기 에어펌프(6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박스(7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본 고안에 따른 가변차선 표시장치는 도로의 차선중 가변차선을 선택에 따라 변경함에 있어, 지면으로부터 차선식별이 용이한 표시봉부재를 돌출시켜 기립되게 함으로써, 도로의 지면과 전방을 위주로 시야확보를 하면 운전하는 운전자에게 가변차선임을 인지시키기 용이하여 상대방 차량과의 혼동에 의한 정면 충돌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미사용시에는 지면내에 매입된 하우징으로 수납되도록 한 상태를 유지시켜 줌으로서, 기존의 공중 지시등에 비해 가변차선의 인지효과가 뛰어나다.
또한, 표시장치를 횡단보도측 정지선에 적용하는 경우, 보행신호의 점등 이전 정지선 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기립되는 동작으로서 차량이 정지선을 넘어서지 않게 인식시켜 줌으로써, 안전사고를 이염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도로용 가변차선 표시장치{Reversible lane sign apparatus for road}
본 고안은 도로상의 가변차선을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공중지시등 외에도 도로의 지면상에서 차선의 시야확보가 용이하면서 차량의 진입여부와 진입불가를 운전자에게 정확히 인식시켜 차선의 흐름을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교통량 대비 원활한 소통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도로용 가변차선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상의 가변차선은 일방통행이 아닌 일반도로에서 출퇴근시간 등과 같이 교통량이 시간대별로 현저하게 달라지는 경우에 교통흐름의 원활화를 위해서 적용되는 차선으로, 이는 도로 양측의 비가변차선의 중앙에 노란색의 가변차선 표시선으로 되어 비가변차선과 구분되는데, 이 가변차선의 진입허용(녹색등 또는 녹색 화살표) 또는 진입불가(적색등 또는 적색 X표)를 공중에 설치된 지시등으로 표시하게 된다.
기존의 가변차선 제어방법은 단순히 공중의 표시등을 시간대별로 진입허용 또는 진입불허로 표시하거나, 아니면 공중지시등을 교통경찰관 또는 교통관계자가 조작판넬을 이용하여 강제로 진입허용 또는 진입불허로 조작하게 된다.
그러나, 차선을 보다 효과적으로 이용하고자 도입된 기존의 가변차선제도는 도입된 본래의 목적과는 상이하게 사고의 위험으로 말미암아 그 의미를 잃어 가고 있는 실정인바, 운전자에게 차선의 진행방향을 전달해주는 가변차선 도로의 시작지점 도로의 공중 신호등이 운전자에게 부정확하게 전달됨으로 인하여 운전자가 조금만 방심하거나 부주의하면 정면 충돌이라는 대형 사고의 위험을 가지고 있고, 또 가변차선이 시행되고 있는 도로의 교통량을 자동차 보유대수가 하루가 다르게 변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는 시간대별로 정확하게 조사할 수 없으며, 몇년후에는 정확한 교통량의 파악을 위해 다시 재조사하여야 한다.
이러한 기존의 가변차선제도는 정멸충돌이라는 커다란 안정성의 상실과 이로 인한 운전자의 차선주행 회피의 이유로 오히려 가변차선을 낭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공중지시등 외에도 도로의 지면상에서 차선의 시야확보가 용이하면서 차량의 진입여부와 진입불가를 운전자에게 정확히 인식시켜 차선의 흐름을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교통량 대비 원활한 소통을 제어할 수 있는 도로용 가변차선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하면, 도로상의 가변차선을 선택적으로 구획하여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는, 상부가 개방된 입구를 갖고, 외측둘레에 연결관이 구비되어 입구를 제외한 나머지 지면 내에 다수개 매입 설치되는 하우징과, 플렉시블한 봉 형상으로 제작되어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입구 내에 부착 설치되는 천 소재의 표시봉부재와, 상기 표시봉부재의 일단부에 연결 설치되어 표시봉부재의 미사용시 지면상으로부터 하우징의 입구를 차단하는 캡과, 상기 하우징 내에 일단이 안착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표시봉부재의 종단 내에 고정되며, 표시봉부재의 내측둘레에 외경이 밀착 설치되어 제공되는 에어공급에 따라 표시봉부재를 세우거나 하우징내에 수용시키기 위한 스프링과, 상기 하우징의 연결관을 연결하여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호스와, 상기 공급호스의 말단에 연결 설치되어 표시봉부재에 공기의 공급/흡입시켜 지면으로부터 표시봉부재의 출몰시키는 에어펌프와, 상기 에어펌프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박스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가변차선 표시장치는 도로의 차선중 가변차선을 선택에 따라 변경함에 있어, 지면으로부터 차선식별이 용이한 표시봉부재를 돌출시켜 기립되게 함으로써, 도로의 지면과 전방을 위주로 시야확보를 하면 운전하는 운전자에게 가변차선임을 인지시키기 용이하여 상대방 차량과의 혼동에 의한 정면 충돌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미사용시에는 지면내에 매입된 하우징으로 수납되도록 한 상태를 유지시켜 줌으로서, 기존의 공중 지시등에 비해 가변차선의 인지효과가 뛰어나다.
또한, 표시장치를 횡단보도측 정지선에 적용하는 경우, 보행신호의 점등 이전 정지선 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기립되는 동작으로서 차량이 정지선을 넘어서지 않게 인식시켜 줌으로써, 안전사고를 이염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인 가변차선 표시봉 장치를 도시한 개략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가변차선 표시봉 장치의 주요부분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인 가변차선 표시봉 장치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작동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가변차선 표시장치를 횡단보도측에 적용한 일예를 도시한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인 가변차선 표시장치를 도시한 개략구성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가변차선 표시장치의 주요부분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인 가변차선 표시장치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작동상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가변차선 표시장치를 횡단보도에 적용한 일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로상의 가변차선을 선택적으로 구획하여 표시하기 위한 본 고안의 표시장치(100)는, 상부가 개방된 입구(11)를 갖고, 외측둘레에 연결관(12)이 구비되며, 입구(11)를 제외한 나머지 지면 내에 다수개 매입 설치되는 하우징(10)과, 플렉시블한 봉 형상으로 제작되어 상기 하우징(10)의 개방된 입구(11)내에 부착 설치되는 천 소재의 표시봉부재(20)와, 상기 표시봉부재(20)의 일단부에 연결 설치되어 표시봉부재의 미사용시 지면상으로부터 하우징(10)의 입구(11)를 차단하는 캡(30)과, 상기 하우징(10) 내에 일단이 안착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표시봉부재(20)의 종단 내에 고정되며, 표시봉부재(20)의 내측둘레에 외경이 밀착 설치되어 제공되는 에어공급에 따라 표시봉부재를 세우거나 하우징(10)내에 수용시키기 위한 스프링(40)과, 상기 하우징(10)의 연결관(11)을 연결하여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호스(50)와, 상기 공급호스(50)의 말단에 연결 설치되어 표시봉부재에 공기의 공급/흡입시켜 지면으로부터 표시봉부재(20)의 출몰시키는 에어펌프(60)와, 상기 에어펌프(6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박스(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캡(30)은 내구성을 갖는 소재로 취성에 강하고, 부식될 염려가 적은 합성수지 계열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캡(30)은 도로의 지면상으로부터 차량의 바퀴와의 간섭이 작은 높이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시봉부재(20)는 식별이 용이한 빨간색 천으로 제작되되, 그 외측둘레에는 야각에 주행차량의 운전자가 식별이 용이하도록 야광 띠(22)가 인쇄처리되며, 대략 30~50Cm의 길이로 제작된다.
상기 표시봉부재(20)가 설치되는 하우징(10) 및 에어펌프(60)는 지면(1)으로부터는 마련된 홈통(2)에 안내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10)의 상부는 상기 홈통의 삼부를 막아 지면과 동일선상으로 설치되는 바닥플레이트(80)에 관통되며, 바닥플레이트(80)의 상면과 동일선상으로 설치된다.
참고로, 상기 바닥플레이트(80)는 도로의 지면상으로부터 차선 혹은 회단보도와 근접하는 정지선으로 이용된다.
한편, 상기 표시봉부재(20) 내에 설치되는 스프링(40)은 외압에 따른 파손에 강하고, 천 소재인 표시봉부재와 마찰이 적은 실리콘재질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며, 스프링의 형태는 압축스프링과 같은 탄성이 부여되도록 제작된다.
상기 제어박스(70)는 통상적으로 도로의 가장자리측에 설치되어 신호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된 교통신호 콘트롤박스(도면에서 생략함) 내에 탑재하여 조정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도로용 가변차선 표시장치에 대한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로의 아스팔트가 시공된 상태에서는 일부 지면(1)에 마련된 홈통(2)에 가변차선 표시장치(100)가 설치되며, 상기 홈통(2)상에 설치되는 바닥플레이트(80)를 제거한 상태에서 이상이 있는 구성요소를 교체할 수도 있다.
매입되는 하우징(10)의 연결관(12)으로는 공급호스(50)를 연결하고, 연결된 부위는 견고하게 호스밴드로 감아 고정시켜 주어 에어의 누출이 발생하지 않도록 설치한다.
상기 하우징(10)의 배열 설치는 차선 중 도로의 중앙선 및 다중의 차선중 1차선에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표시장치(100)가 설치되는 1차선은 바닥플레이트(80)가 차선을 대신하여 설치되도록 한다.
도한 상기 바닥플레이트(80)는, 첨부된 도 4에서와 같이 횡단보도와 근접한 정지선으로 대체되도록 한다.
표시장치(100)를 구성하는 표시봉부재(20)는 평상시 그 종단에 부착된 캡(30)이 도로의 지면(1)에 낮은 높이로 돌출되어 있는 상태에서 가변차선의 변경 목적하에서 제어박스(70)를 통한 에어펌프(60)를 가동하면, 공압발생으로서 상기 에어펌프(60)로부터 공급호스(50)를 통해 순차적으로 연결된 각 하우징(10)내의 표시봉부재(20)는 하우징(10)의 입구(11)에서 수직으로 상승되어 기립하게 된다.
이때 직립되는 표시봉부재(20)는 내측에 설치된 스프링(40)의 탄성복원력과 함께 표시봉부재(20)를 기립시켜 차선을 구획하여 주며, 이때 상기 캡(30)은 표시봉부재와 함께 상승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는 중앙선을 기준으로 1차선 즉, 바닥플레이트(80)측으로부터 기립된 표시봉부재(20)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구획됨과 동시에 일률적으로 돌출되어 운전자를 통한 차량의 진행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표시봉부재(20)는 플렉시블한 천 소재재로서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40)의 힘으로 그 기립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는 에어펌프(60)의 가동은 제어박스(70)를 통해 정지시켜 주며, 외측둘레에 표시된 야광 띠(22) 부분은 야간주행시에도 쉽게 표시봉부재(20)의 기립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 가변차선임을 명확히 인식시킬 수 있게 된다.
대략 30~50Cm의 높이로 기립되는 표시봉부재(20)는 전방시야에서 쉽게 운전자의 시양에 들어 오기 때문에 가변 차선임을 알려주고, 가령 차량운전자가 모르고 차량을 진행하였을 때 해당하는 표시봉부재(20)만이 눕혀지게 됨과 동시에 차량의 간섭상태를 인지함으로서 가변차선 상태임을 신속히 파악할 수 있게 해준다.
즉, 차량의 타이어가 지나가면서 다시 표시봉부재(20)는 플렉시블한 형태로 내부에 파손률이 적은 스프링(40)의 탄성으로서 기립되어 복권되므로 차량에 손상을 가하지 않으면서 차선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가변차선을 구획하는 표시봉부재(20)는 주행상태에서 통상 지상으로부터 설치된 공중 지시등을 보지 않았더러도 전방을 주시하며 차량을 주행하는 운전자에게 가변차선임을 명확히 확실히 인식시켜 줄 수 있어 차량의 정면충돌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첨부된 도 4와 같이 횡단보도와 근접한 정지선(바닥플레이트(80))상에 설치된 표시장치(100)의 경우, 통상 건너기 위한 파란불 신호이 점등되어 보행자들이 건너가기 이전 정지신호(황색등 예비신호)에 맞추어 상기 표시장치를 작동하여 줌으로써, 차량 운전자에게 더 이상의 진행을 차단하는 효과로서 안전하게 횡단보도를 건너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표시장치(100)의 해제는 에어펌프(60)의 역구동에 따른 공기흡입으로서 표시봉부재(20)와 함께 스프링(40)을 압축시키며, 이때 표시봉부재(20)는 하우징(10) 내에 수용되고, 최 상부에 부착된 캡(30)은 하우징의 입구 즉, 지면(1)선상과 동일선상으로 설치된 바닥플레이트(80)의 상면에 안착되어 이전 상태로 복원됨으로써, 다시 차량이 진행할 수 있는 상태임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10: 하우징 20: 표시봉부재
30: 캡 40: 스프링
50: 공급호스 60: 에어펌프
70: 제어박스 80: 바닥플레이트
100: 표시장치

Claims (3)


  1. 도로상의 가변차선을 선택적으로 구획하여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100)는, 상부가 개방된 입구(11)를 갖고, 외측둘레에 연결관(12)이 구비되며, 입구(11)를 제외한 나머지 지면 내에 다수개 매입 설치되는 하우징(10)과,
    플렉시블한 봉 형상으로 제작되어 상기 하우징(10)의 개방된 입구(11)에 연결 설치되는 천 소재의 표시봉부재(20)와,
    상기 표시봉부재(20)의 일단부에 연결 설치되어 표시봉부재의 미사용시 지면상으로부터 하우징(10)의 입구(11)를 차단하는 캡(30)과,
    상기 하우징(10) 내에 일단이 안착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표시봉부재(20)의 종단 내에 고정되며, 표시봉부재(20)의 내측둘레에 외경이 밀착 설치되어 제공되는 에어공급에 따라 표시봉부재를 세우거나 하우징(10)내에 수용시키기 위한 스프링(40)과,
    상기 하우징(10)의 연결관(11)을 연결하여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호스(50)와,
    상기 공급호스(50)의 말단에 연결 설치되어 표시봉부재에 공기의 공급/흡입시켜 지면으로부터 표시봉부재(20)의 출몰시키는 에어펌프(60)와,
    상기 에어펌프(6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박스(7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가변차선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봉부재(20)의 외측둘레에는 식별이 용이한 야광 띠(22)가 인쇄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가변차선 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40)은 실리콘재질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가변차선 표시장치.
KR2020100000178U 2010-01-08 2010-01-08 도로용 가변차선 표시장치 KR2011000709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0178U KR20110007092U (ko) 2010-01-08 2010-01-08 도로용 가변차선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0178U KR20110007092U (ko) 2010-01-08 2010-01-08 도로용 가변차선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092U true KR20110007092U (ko) 2011-07-14

Family

ID=45568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0178U KR20110007092U (ko) 2010-01-08 2010-01-08 도로용 가변차선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7092U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6249B1 (ko) * 2012-07-20 2013-03-22 동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충격을 흡수하는 가변형 안전 볼라드
CN105070068A (zh) * 2015-08-20 2015-11-18 山东交通学院 一种潮汐车道线标识的装置及其工作方法
KR102163410B1 (ko) * 2020-03-20 2020-10-08 주식회사 대화 도로안전시설물용 지주 설치 구조
KR102309801B1 (ko) 2021-01-25 2021-10-06 한하림 발광 차선 모듈 시스템
KR20220117086A (ko) 2021-02-16 2022-08-23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가변 차선 표시용 led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6249B1 (ko) * 2012-07-20 2013-03-22 동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충격을 흡수하는 가변형 안전 볼라드
CN105070068A (zh) * 2015-08-20 2015-11-18 山东交通学院 一种潮汐车道线标识的装置及其工作方法
KR102163410B1 (ko) * 2020-03-20 2020-10-08 주식회사 대화 도로안전시설물용 지주 설치 구조
KR102309801B1 (ko) 2021-01-25 2021-10-06 한하림 발광 차선 모듈 시스템
KR20220117086A (ko) 2021-02-16 2022-08-23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가변 차선 표시용 led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07092U (ko) 도로용 가변차선 표시장치
KR100942499B1 (ko) 횡단보도용 지능형 안전차단장치
CN110097768A (zh) 交通信号指示方法、装置、系统和机器可读介质
CN109403168B (zh) 一种基于多级双向预警的智能变色行人过街系统
KR20150058870A (ko) 횡단보도용 보행 및 주행차단장치
CN101634136A (zh) 可连接式交通警示锥
KR101196611B1 (ko) 스쿨존 횡단보도의 보행자 보호용 차단장치
KR100968042B1 (ko) 교차로에서의 신호등 제어 장치 및 방법
CN211742276U (zh) 一种交通灯故障远程报警装置
KR101201879B1 (ko) 차량 검지센서에 의한 충돌예방시스템
KR100981466B1 (ko) 도로 표면에 설치한 신호등에 의한 교통 제어 방법
CN208569874U (zh) 一种城市交叉口行人安全过街警示系统
KR20100043897A (ko) 횡단보도 상의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968040B1 (ko) 교차로에서의 신호등 제어 방법
KR100968041B1 (ko) 교차로에서의 교통 신호등 제어 방법
CN108877206A (zh) 一种城市交叉口行人安全过街警示系统
KR102449234B1 (ko) 표지병을 적용한 스마트 신호등 제어시스템
CN205140430U (zh) 城市地名导向标识装置和城市地名导向标识系统
CN104183146A (zh) 一种交通信号灯
KR102210647B1 (ko) 높이변경이 가능한 도로의 중앙분리대
TW201320022A (zh) 緊急救援警示方法及其系統
CN219327560U (zh) 隧道水深警示装置
KR20140031727A (ko) 차량 후방추돌 방지장치
KR20110049423A (ko) 횡단보도 안전장치
KR200468767Y1 (ko) 차량 정체 표시 기능을 갖는 가로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