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8870A - 횡단보도용 보행 및 주행차단장치 - Google Patents

횡단보도용 보행 및 주행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8870A
KR20150058870A KR1020130142160A KR20130142160A KR20150058870A KR 20150058870 A KR20150058870 A KR 20150058870A KR 1020130142160 A KR1020130142160 A KR 1020130142160A KR 20130142160 A KR20130142160 A KR 20130142160A KR 20150058870 A KR20150058870 A KR 201500588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rosswalk
bar
blocking
pedestri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2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진
정종수
Original Assignee
이성진
정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진, 정종수 filed Critical 이성진
Priority to KR1020130142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58870A/ko
Publication of KR20150058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88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4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the barrier being formed by obstructing members situated on, flush with, or below the traffic surface, e.g. with inflatable members on the surface
    • E01F13/046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the barrier being formed by obstructing members situated on, flush with, or below the traffic surface, e.g. with inflatable members on the surface the obstructing members moving up in a translatory motion, e.g. telescopic barrier pos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 F21S4/20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with light sources held by or within elongate suppor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08G1/0175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by photographing vehicles, e.g. when violating traffic ru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Abstract

본 발명은 차도(1)에 구획 형성된 횡단보도(2)의 양측에 구비된 보행자신호등(10); 차도(1)의 상측에 구비되어 차량(5)의 주행을 제어하는 차량신호등(20); 상기 보행자신호등(10)과 차량신호등(20)이 연계되어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신호제어기(30);를 포함하는 횡단보도용 신호 시스템에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횡단보도(2)의 일측 또는 양측에 상향 돌출되게 매립 설치된 몸체(40); 일단이 상기 몸체(40)에 수평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신축가능하게 구성된 차단바(50); 상기 신호제어기(30)에 의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차단바(50)를 차도(1)를 가로지르도록 회동시켜 차량(5)의 횡단보도(2) 진입을 차단하거나 또는 횡단보도(2)를 가로지르도록 회동시켜 보행자의 횡단보도(2) 진입을 차단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차단바(50)가 차도(1)를 가로지르도록 회동될 때 상기 제어부(60)에 의해 길이가 신장되어 복수의 차선에 걸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보행 및 주행차단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횡단보도용 보행 및 주행차단장치{Apparatus for blocking pedestrian walk and drive of vehicle in crosswalk}
본 발명은 횡단보도용 보행 및 주행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차선의 차도에서 각 차선의 차량 운전자의 눈높이에서 주행을 저지함으로써 주의를 좀 더 환기시킬 수 있어 횡단보도 보행자의 교통사고를 더욱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으며, 운전자에게 별도의 보행신호 타이머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편리성을 높이고 신호위반을 효과적으로 적발 및 예방할 수 있는 횡단보도용 보행 및 주행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횡단보도의 측방에는 보행자의 보행편의 및 안전을 위해 차량이 횡단보도 내측에 진입하는 것을 막기 위한 차량정지선이 있는데, 최근에 차량정지선 위반을 단속까지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잘 지켜지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와 같이 횡단보도의 차량정지선 위반은 대부분 차량 운전자의 부주의에 기인하지만, 차량신호등이 횡단보도와 어긋나게 설치된 경우 예를 들면, 차량의 주행방향에서 볼 때 차량신호등이 횡단보도보다 후방에 위치된 경우에는 운전자는 차량신호등만 보고 운전하다가 급하게 정지하더라도 횡단보도를 침범하거나 지나치는 경우가 발생되기도 한다. 또한, 현실적으로 운전자는 앞의 차량을 따라 주행하는데, 도로에서 상당히 높이 위치하고 있는 차량신호등을 미처 발견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상기와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이유로 차량이 상기 차량정지선을 넘어서서 횡단보도 내측으로 돌진하는 경우, 대부분의 보행자는 횡단보도의 정면에 위치한 보행자신호등만 보고 횡단보도를 보행하기 때문에, 횡단보도로 무단진입하는 차량에 치여 상해를 입거나 또는 사망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횡단보도에서 발생되는 교통사고는 차량 운전자의 부주위 뿐만 아니라 상기한 바와 같이 정면의 보행자신호등만 보고 측방에서 차량이 돌진하는지 여부는 확인하지 않는 보행자의 부주위로 인해 발생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보행자 부주위를 환기시키기 위해 횡단보도의 진입구간에 공무원이나 학교 앞에서는 학부모나 교사 등이 깃발을 이용하여 보행자 및 차량의 횡단보도 무단진입을 저지하고 있다.
그러나 보행자의 횡단보도 무단진입은 어느 정도 저지할 수 있겠지만, 복수 차선으로 이루어진 차도에서 중앙선 부위에 근접한 차선에서 주행하는 차량 운전자는 대체로 전방을 주시하기 때문에 횡단보도의 진입구간에 위치한 상기 깃발을 육안으로 확인하는 것은 사실상 어려운 문제가 있어 차량의 횡단보도 무단진입을 효과적으로 저지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수신호로 교통정리를 하는 경우에는 보행자신호와 수신호가 맞지 않아 혼란이 초래되기도 하며, 공무원이나 학부모 등이 바쁜 시간을 할애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47831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 차선의 차도에서 각 차선의 차량 운전자의 눈높이에서 횡단보도 진입저지신호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주의가 좀 더 환기되므로 횡단보도 보행자의 교통사고를 더욱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으며, 운전자에게 별도의 보행신호 타이머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편리성을 높이고 신호위반을 효과적으로 적발 및 예방할 수 있는 횡단보도용 보행 및 주행차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차도(1)에 구획 형성된 횡단보도(2)의 양측에 구비된 보행자신호등(10); 차도(1)의 상측에 구비되어 차량(5)의 주행을 제어하는 차량신호등(20); 상기 보행자신호등(10)과 차량신호등(20)이 연계되어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신호제어기(30);를 포함하는 횡단보도용 신호 시스템에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횡단보도(2)의 일측 또는 양측에 상향 돌출되게 매립 설치된 몸체(40); 일단이 상기 몸체(40)에 수평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신축가능하게 구성된 차단바(50); 상기 신호제어기(30)에 의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차단바(50)를 차도(1)를 가로지르도록 회동시켜 차량(5)의 횡단보도(2) 진입을 차단하거나 또는 횡단보도(2)를 가로지르도록 회동시켜 보행자의 횡단보도(2) 진입을 차단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차단바(50)가 차도(1)를 가로지르도록 회동될 때 상기 제어부(60)에 의해 길이가 신장되어 복수의 차선에 걸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보행 및 주행차단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차단바(50)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LED램프(57)가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상기 다수의 LED램프(57)는 상기 제어부(60)에 의해 상기 보행자신호등(10)의 보행신호의 잔여시간과 연계하여 순차적으로 소등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보행 및 주행차단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횡단보도(2)의 측방에 차량(5)의 횡단보도(2) 진입을 저지하는 차량정지선(3)이 형성되며, 상기 차단바(50)에는 차단바(50)가 차도(1)를 가로지르도록 회동될 때 차량(5)의 차량정지선(3) 위반여부를 단속하는 카메라(70)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보행 및 주행차단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몸체(40)는 바닥에 매설된 통체 형상이며 내부에 상기 차단바(50)를 회동시키는 차단바회동수단(80)이 구비된 제1몸체(41)와, 통체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제1몸체(41) 상단에 결합되되 상기 차단바회동수단(8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2몸체(42)로 이루어지고, 상기 차단바(50)의 일단부에는 제2몸체(42)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연결캡부(53) 또는 연결링부가 더 구비되고, 이 연결캡부(53) 또는 연결링부에는 연결캡부(53) 또는 연결링부가 제2몸체(42)에서 회전될 때 원상복귀시키는 스프링(56)이 더 구비되어, 상기 제2몸체(42) 및 차단바(50)는 차단바회동수단(80)에 의해 제1몸체(41)에서 일체로 회동되나, 차량(5)이 차도(1)를 가로지르도록 회동된 차단바(50)에 충돌하면 차단바(50)가 상기 연결캡부(53) 또는 연결링부에 의해 제2몸체(42)에서 회전됨에 따라 차량(5)에 가해지는 충격력이 저감되어 차량(5)의 파손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보행 및 주행차단장치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수평회동에 의해 차량(5) 및 보행자의 횡단보도(2) 진입을 차단하는 차단바(50)가 길이방향으로 신장되어 복수 차선에 걸쳐지도록 구성함으로써, 복수 차선에 위치한 각 차량(5)의 운전자가 차단바(50)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볼 수 있으므로, 보행자의 무단횡단을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수 차선의 차도(1)에서 모든 차선에 있는 차량(5)의 횡단보도(2) 무단진입을 보다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보행자의 교통사고를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바(50)에 보행신호의 잔여시간과 연계되도록 다수의 LED램프(60)의 순차적으로 소등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보행자 뿐 아니라 운전자도 보행신호의 잔여시간을 쉽게 알 수 있어 기존에 운전자가 보행신호의 잔여시간을 알기 위해 보행자신호등(10)을 보려고 자세가 흐트러져서 운전에 방해가 되던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차단바(50)에 차량정지선(3) 위반 차량(5)을 단속하는 카메라(70)를 설치하여 운전자에게 더욱 주의를 환기시킴으로써, 차량(5)의 횡단보도(2)의 무단진입을 더욱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므로 보행자의 안전보행이 더욱 가능해지게 된다.
한편, 차단바(50)가 몸체(40)에서 차단바회동수단(80)에 의해 회동되는 것과 별개로 슬립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차량(5)이 차단바(50)에 충돌하더라도 차단바(50)에 의해 차량(5)에 가해지는 충격량이 저감되어 차량(5)의 파손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충격에 의해 차단바(50) 및 이 차단바(50)를 회동시키는 차단바회동수단(80)의 파손도 방지되어 유지보수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용 보행 및 주행차단장치의 일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차단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차단장치를 확대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차단장치의 작동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용 보행 및 주행차단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요부인 차단바의 회동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5의 차단바의 회동을 보인 평단면도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용 보행 및 주행차단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도시된 바와 같이 차도(1)에 양측 인도(4)를 연결하는 횡단보도(2)가 구비되고, 이 횡단보도(2)의 측방에 차량(5)이 횡단보도(2)로 진입하는 것을 저지하는 차량정지선(3)이 구비된다.
또한, 횡단보도(2)의 일측 또는 양측인 인도(4)에는 적색등(11)과 녹색등(12)이 교호로 점등되며 녹색등(12)의 점등 잔여시간을 표시하는 타이머등(13)이 구비된 보행자신호등(10)이 구비되고, 인도(4)에서 직립설치되며 그 상단에서 차도(1)쪽으로 수평연장되어 차량(5)의 주행을 제어하는 차량신호등(2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차량신호등(20)과 보행자신호등(10)은 신호제어기(30)에 의해 서로 연계되어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용 보행 및 주행차단장치는 상기와 같이 일반적인 횡단보도용 신호 시스템만으로는 차량(5)이 횡단보도(2)에 무단진입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시스템에 추가적으로 설치한 것으로, 몸체(40), 차단바(50) 및 제어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40)는 횡단보도(2)의 일측 또는 양측에 상향 돌출되게 매립 설치되며, 예를 들면 횡단보도(2)와 인접한 인도(4)에 설치되거나 또는 차도(1)의 가장자리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몸체(40)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단이 지면에 매립된다. 한편, 몸체(40) 또는 보행자신호등(10)에는 보행자신호등(10)의 녹색등(12)이 점등되면 시각장애인에게 보행신호를 알려주도록 멜로디 등을 출력하는 스피커 등으로 이루어진 청각알림수단(100)이 구비된다.
상기 차단바(50)는 일단이 상기 몸체(40)에 수평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데, 횡단보도(2)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차도(1)를 가로지르도록 대략 90ㅀ정도 수평회동되거나 그 역으로 회동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차단바(50)는 차단바회동수단(80)에 의해 회동되며, 이 차단바회동수단(80)은 도시하진 않았지만 모터와 기어, 나사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차단바(50)가 차도(1)를 가로지르도록 회동될 때 차량(5)의 운전자의 눈높이에 위치되도록 하여 시인성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차단바(50)에 멈춤 또는 STOP와 같은 문구가 인쇄된 표지판이 구비되어 차량(5) 운전자의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다.
그리고 차단바(50)는 길이방향으로 신축가능하게 구성되는데,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안테나 형태로 신축되는 것을 예시하였다. 즉, 차단바(50)는 일단이 상기 몸체(4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메인바(51)와, 이 메인바(51)의 중공에(서) 인출입되는 하나 이상의 보조바(52a,52b)로 이루어진다. 이때, 메인바(51)의 중공에는 보조바(52a,52b)를 메인바(51)에(서) 인출입시키는 차단바신축수단(90)이 구비되는데, 이 차단바신축수단(90)은 도시하진 않았지만 모터와 볼스크류, 랙과 피니언 등의 기어, 링크 또는 실린더 등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차단바(50)의 외주면 즉, 메인바(51) 및/또는 보조바(52a,52b)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LED램프(57)가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이 LED램프(60)는 보행자신호등(10)의 타이머등(13)과 연계되어 점등 및 소등되도록 구성된다. 즉, 다수의 LED램프(57)는 차단바(50)가 차도(1)를 가로지르도록 회동될 때 모두 점등된 상태에서 타이머등(13)에 표시되는 잔여시간이 줄어듦에 따라 순차적으로 소등되도록 구성되어, 차량(5) 운전자가 보행신호의 잔여시간을 쉽게 알 수 있도록 해준다. 그리고 차단바(50)에는 메모리가 구비되거나 또는 외부 서버와 연결된 카메라(70)가 설치되어, 차량정지선(3)을 위반한 차량(5)을 단속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는 신호제어기(30)의 신호에 따라 차단바(50)의 회동 및 신축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60)에 의해 상기 차단바회동수단(80) 및 차단바신축수단(90)의 작동이 제어된다. 또한, 제어부(60)는 신호제어기(30)의 신호에 따라 차단바(50)가 차도(1)를 가로지르도록 회동될 때 LED램프(57)의 점등, 순차적 소등 및 카메라(70)의 촬영을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60)는 신호제어기(30)의 신호에 따라 보행자신호등(10)의 녹색등(12)이 점등되면 청각알림수단(100)의 작동을 제어한다. 한편, 상기 몸체(40)에 제어부(60)를 조작하는 도시안된 수동모드스위치가 구비되어 차량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차단바(50)를 수동으로 회동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용 보행 및 주행차단장치의 작동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차단바(50)가 횡단보도(2)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어 보행자의 횡단보도(2) 진입을 차단한 상태에서, 신호제어기(30)에 의해 차량신호등(20)의 차량정지를 알리는 적색등이 점등되면 보행자신호등(10)은 보행신호를 알리는 녹색등(12)이 점등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60)에 의해 차단바회동수단(80)의 모터 등이 구동되어 차단바(50)가 차도(1)를 가로지르도록 회동되므로 차량(5)의 횡단보도(2) 진입이 차단된다.
이때, 제어부(60)에 의해 차단바신축수단(90)의 모터 등이 구동되어 차단바(50)의 길이가 신장됨에 따라 차단바(50)가 여러 차선에 걸쳐지게 되므로, 복수 차선의 차도(1)에서 각 차선에 있는 차량(5) 운전자가 자신의 눈높이에 위치한 차단바(50)를 통해 보행신호를 보다 용이하게 알 수 있어 차량(5)의 횡단보도(2) 진입이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된다.
그리고 보행자신호등(10)의 타이머등(13)의 잔여시간이 마감되면 신호제어기(30)에 의해 보행자신호등(10)의 적색등(11)이 점등되고 차량신호등(20)은 차량주행신호인 녹색등이 점등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60)에 의해 차단바회동수단(80)의 모터 등이 구동되어 차단바(50)가 횡단보도(2)를 가로지르도록 회동되므로 보행자의 횡단보도(2) 진입이 차단된다.
한편, 차단바(50) 전체 또는 일단부가 연질로 이루어지거나, 일부에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를 설치하여 차량(5)이 실수로 차단바(50)와 충돌할 때 차단바(50)가 몸체(40)에서 슬립되어 차량(5) 및 차단바(50)의 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차단바(50)의 외주면에 고무나 스폰지 등의 탄성재를 부착하여 상기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용 보행 및 주행차단장치의 요부인 차단바의 회동구조를 보인 것으로, 상기 몸체(40)가 하단이 바닥에 매립되는 통체 형상의 제1몸체(41)와, 이 제1몸체(41)의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단에 결합돌부(43)가 형성된 캡 또는 통체 형상의 제2몸체(42)로 구성된다. 이때, 제2몸체(42)의 내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내측기어(45)가 형성되고, 결합돌부(43)의 측면에 걸림돌기(44)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몸체(41)에는 차단바(50)를 회동시키는 차단바회동수단(80)이 구비되며, 본 실시예에서 차단바회동수단(80)은 제1몸체(41)에 설치된 모터(81) 및 모터(81)에 축결합되며 제2몸체(42)의 내주면에 형성된 내측기어(45)와 치합되는 원판기어(82)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하였다. 이에 따라, 상기 모터(81)의 작동에 의해 제2몸체(42)가 제1몸체(41)에서 회전된다.
한편, 차단바(50)의 메인바(51)의 일단부에 상기 제2몸체(42)의 결합돌부(43)에 끼워지는 끼움홈(54)이 형성된 연결캡부(53) 또는 끼움공이 형성된 연결링부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연결캡부(53)의 끼움홈(54)의 내측벽에는 제2몸체(42)의 걸림돌기(44) 및 스프링(56)이 삽입되는 장착홈(55)이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길이 연장된다. 이때, 스프링(56)의 일단은 상기 걸림돌기(44)에 걸려지고 타단은 장착홈(55)의 일단 내측벽에 걸려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차단바회동수단(80)의 모터(81)의 구동에 의해 제2몸체(42) 및 차단바(50)가 일체로 회동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81)가 구동되지 않더라도 차단바(50)가 제2몸체(42)에서 회동되며, 즉 차단바(50)가 몸체(40)에서 슬립된다. 또한, 차단바(50)는 스프링(56)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는데, 상기 제2몸체(42)의 걸림돌기(44)가 차단바(50)의 연결캡부(53)의 장착홈(55)의 타단 내측벽에 걸려져서 차단바(50)가 정확히 원위치로 복귀된다.
이에 따라, 차량(5)이 차단바(50)에 충돌하더라도 차단바회동수단(80)의 작동없이 차단바(50)가 몸체(40)에서 슬립되어 차량(5)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줄여 차량(5) 파손을 방지하며 차단바(50) 회동에 따른 차단바회동수단(80)의 과부하 및 파손을 줄일 수 있어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4)

  1. 차도(1)에 구획 형성된 횡단보도(2)의 양측에 구비된 보행자신호등(10); 차도(1)의 상측에 구비되어 차량(5)의 주행을 제어하는 차량신호등(20); 상기 보행자신호등(10)과 차량신호등(20)이 연계되어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신호제어기(30);를 포함하는 횡단보도용 신호 시스템에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횡단보도(2)의 일측 또는 양측에 상향 돌출되게 매립 설치된 몸체(40);
    일단이 상기 몸체(40)에 수평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신축가능하게 구성된 차단바(50);
    상기 신호제어기(30)에 의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차단바(50)를 차도(1)를 가로지르도록 회동시켜 차량(5)의 횡단보도(2) 진입을 차단하거나 또는 횡단보도(2)를 가로지르도록 회동시켜 보행자의 횡단보도(2) 진입을 차단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차단바(50)가 차도(1)를 가로지르도록 회동될 때 상기 제어부(60)에 의해 길이가 신장되어 복수의 차선에 걸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보행 및 주행차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바(50)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LED램프(57)가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상기 다수의 LED램프(57)는 상기 제어부(60)에 의해 상기 보행자신호등(10)의 보행신호의 잔여시간과 연계하여 순차적으로 소등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보행 및 주행차단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횡단보도(2)의 측방에 차량(5)의 횡단보도(2) 진입을 저지하는 차량정지선(3)이 형성되며, 상기 차단바(50)에는 차단바(50)가 차도(1)를 가로지르도록 회동될 때 차량(5)의 차량정지선(3) 위반여부를 단속하는 카메라(70)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보행 및 주행차단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40)는 바닥에 매설된 통체 형상이며 내부에 상기 차단바(50)를 회동시키는 차단바회동수단(80)이 구비된 제1몸체(41)와, 통체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제1몸체(41) 상단에 결합되되 상기 차단바회동수단(8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2몸체(42)로 이루어지고,
    상기 차단바(50)의 일단부에는 제2몸체(42)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연결캡부(53) 또는 연결링부가 더 구비되고, 이 연결캡부(53) 또는 연결링부에는 연결캡부(53) 또는 연결링부가 제2몸체(42)에서 회전될 때 원상복귀시키는 스프링(56)이 더 구비되어,
    상기 제2몸체(42) 및 차단바(50)는 차단바회동수단(80)에 의해 제1몸체(41)에서 일체로 회동되나, 차량(5)이 차도(1)를 가로지르도록 회동된 차단바(50)에 충돌하면 차단바(50)가 상기 연결캡부(53) 또는 연결링부에 의해 제2몸체(42)에서 회전됨에 따라 차량(5)에 가해지는 충격력이 저감되어 차량(5)의 파손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보행 및 주행차단장치.
KR1020130142160A 2013-11-21 2013-11-21 횡단보도용 보행 및 주행차단장치 KR201500588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2160A KR20150058870A (ko) 2013-11-21 2013-11-21 횡단보도용 보행 및 주행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2160A KR20150058870A (ko) 2013-11-21 2013-11-21 횡단보도용 보행 및 주행차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8870A true KR20150058870A (ko) 2015-05-29

Family

ID=53392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2160A KR20150058870A (ko) 2013-11-21 2013-11-21 횡단보도용 보행 및 주행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58870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61741A (zh) * 2018-09-18 2018-12-07 邵鸣 一种封闭式过街人行道及输送车系统
CN110428623A (zh) * 2019-08-01 2019-11-08 滨州学院 一种用于人形通道的红绿灯智能管控系统
CN111206525A (zh) * 2018-11-21 2020-05-29 浙江宇视科技有限公司 过街控制方法、系统及装置
KR102121063B1 (ko) * 2020-04-16 2020-06-10 서영숙 보행자 신호 시스템
KR20210149581A (ko) * 2020-06-02 2021-12-09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횡단보도 신호등 보행자 안전장치
KR102411348B1 (ko) * 2022-03-31 2022-06-22 (주)세영통신 사고 다발지역 노면 상태 표시용 디지털 전광판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61741A (zh) * 2018-09-18 2018-12-07 邵鸣 一种封闭式过街人行道及输送车系统
CN111206525A (zh) * 2018-11-21 2020-05-29 浙江宇视科技有限公司 过街控制方法、系统及装置
CN110428623A (zh) * 2019-08-01 2019-11-08 滨州学院 一种用于人形通道的红绿灯智能管控系统
KR102121063B1 (ko) * 2020-04-16 2020-06-10 서영숙 보행자 신호 시스템
KR20210149581A (ko) * 2020-06-02 2021-12-09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횡단보도 신호등 보행자 안전장치
KR102411348B1 (ko) * 2022-03-31 2022-06-22 (주)세영통신 사고 다발지역 노면 상태 표시용 디지털 전광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58870A (ko) 횡단보도용 보행 및 주행차단장치
KR101061583B1 (ko) 횡단보도용 지능형 안전차단장치
KR101547807B1 (ko) 교통신호 보조안전시스템
JP6551075B2 (ja) 違反抑止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違反抑止システム
US20190103022A1 (en) Portable remotely operated traffic control signals
KR100661758B1 (ko) 튜브식 차단바를 구비한 안전차단장치
AU2010201018A1 (en) Improvements to pedestrian crossings
KR101040769B1 (ko) 횡단보도용 차단기
ES2324143B1 (es) Dispositivo de seguridad para incorporaciones de vehiculos mejorado.
US9096978B2 (en) Expandable roadside safety apparatus
KR100977609B1 (ko) 중앙분리대의 엘이디 제어방법
KR200255636Y1 (ko) 횡단보도 보행자 교통안전 보호장치
KR101196611B1 (ko) 스쿨존 횡단보도의 보행자 보호용 차단장치
KR20130083285A (ko) 엘이디를 이용한 횡단보도 안전 대기 시스템
KR101229884B1 (ko) 스쿨존 로봇 신호등
KR101300244B1 (ko) 출몰 개폐형 차단기
KR100921974B1 (ko) 교통신호등 및 그 제어장치
KR200396001Y1 (ko) 교통안전 차단기
WO2002033175A1 (es) Señalizacion luminosa para la calzada
KR20120002003U (ko) 보행 신호의 가시각을 확장시킨 신호등 장치
KR200365472Y1 (ko) 교통안전 신호장치
KR200299918Y1 (ko) 보행자 보호용 차량 진입 차단봉의 은폐 구조
KR20050097812A (ko) 보행자를 위한 횡단보도 안전장치
KR100720061B1 (ko) 경고등
KR200408879Y1 (ko) 횡단보도용 보행 신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