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8932B1 - 에어를 이용한 가변식 도로 중앙 분리봉 - Google Patents

에어를 이용한 가변식 도로 중앙 분리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8932B1
KR100608932B1 KR1020060034280A KR20060034280A KR100608932B1 KR 100608932 B1 KR100608932 B1 KR 100608932B1 KR 1020060034280 A KR1020060034280 A KR 1020060034280A KR 20060034280 A KR20060034280 A KR 20060034280A KR 100608932 B1 KR100608932 B1 KR 100608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road
housing
rod
ai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4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성
Original Assignee
보람엔지니어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람엔지니어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보람엔지니어링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34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89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8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8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06Lane control by movable lane separating barriers, e.g. shiftable barriers, retractable kerbs ; Apparatus or barri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heeled b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03Individual devices arranged in spaced relationship, e.g. buffer boll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를 이용한 가변식 도로 중앙 분리봉에 관한 것으로, 평상시에는 운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안전사고가 발생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필요시 무단 횡단과 불법 유턴 등이 불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에어를 이용한 가변식 도로 중앙 분리봉은, 도로의 조도를 감지하는 광센서와; 도로면의 중앙선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도로의 내부에 삽입되며 내부에 수납부를 갖는 다수의 하우징(11)과; 상기 하우징의 수납부에 밀폐형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도로면 내부에 외부로 출몰 가능하게 삽입되며 표면에 반사부를 갖는 자바라식 표시봉(10)과; 상기 표시봉 내부에 에어를 공급하거나 에어를 빼내는 에어공급수단(30)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며 전원을 인가받아 점등되는 램프(40)와; 상기 광센서에서 감지된 조도값을 근거로 하여 상기 에어공급수단을 통해 상기 표시봉을 세우거나 상기 도로면 내부에 삽입시키는 한편, 상기 램프를 점소등시키는 컨트롤러(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로, 중앙, 분리대, 가변, 에어

Description

에어를 이용한 가변식 도로 중앙 분리봉{A VARIABLE MEDIAN STRIP USING AIR}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에어를 이용한 가변식 도로 중앙 분리봉의 설치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를 이용한 가변식 도로 중앙 분리봉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표시봉, 11 : 하우징
20 : 컨트롤러, 21 : 광센서
22 : 기압센서, 30 : 에어공급수단
31 : 에어탱크, 32 : 에어공급관
33 : 에어펌프, 34 : 밸브
40 : 램프,
본 발명은 에어를 이용한 가변식 도로 중앙 분리봉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고형물인 중앙분리대를 시공하지 못하는 도로에서 안전사고가 유발될 수 있는 야간에 무단횡단, 무단 유턴 등을 막을 수 있도록 한 에어를 이용한 가변식 도로 중앙 분리봉에 관한 것이다.
중앙분리대는 운전자의 생명선이기도 하지만 반대 차변에서 차량이 침범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도로 구조물이다.
이러한 중앙분리대는 콘크리트 벽체로 타설되는 콘크리트형 중앙분리대, 또는 다수의 금속재 포스트를 지면에 등간격으로 직립되도록 설치하고 이들 포스트에 가로 방향의 봉 등을 결합한 난간형 중앙분리대 등이 있다.
그러나, 도로의 상황에 따라 콘크리트형 중앙분리대, 난간형 중앙분리대 모두 설치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예컨대, 시내 도로, 도로 폭이 협소한 도로의 경우에는 차량의 주행 속도가 대개 시속 60km 또는 70km로 규정되어 있기 때문에 콘크리트형 중앙분리대와 난간형 중앙분리대를 설치하지 않아도 안전사고의 발생율이 높지 않지만, 중앙분리대를 설치할 여유공간이 없기 때문에 이러한 도로에는 중앙분리대를 설치하지 않는다.
이처럼 중앙분리대가 없는 도로에서 주간에는 교통 경찰 등이 있기 때문에 무단 횡단이나 무단 유턴 등을 하지 않지만, 야간에는 무단 횡단과 무단 유턴을 하기 때문에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특히나, 도로 변에 가로등이 없을 경우에는 운전자가 전방 시야를 확보하지 못하여 안전사고의 발생이 더욱 큰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로 상황에 의해 중앙분리대를 설치하지 못하는 경우 넓은 공간을 사용하지 않아 도로 폭을 줄이지 않으면서 무단횡단과 무단유턴 등에 의한 안전사고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 에어를 이용한 가변식 도로 중앙 분리봉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를 이용한 가변식 도로 중앙분리봉은, 도로의 중앙선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도로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에어를 공급받아 세워지는 다수의 표시봉, 상기 표시봉 내부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수단, 상기 도로 측의 조도를 근거로 하여 현재 조도가 일정 조도 이하시 상기 에어공급수단을 통해 상기 표시봉이 도로 면으로부터 세워지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과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에어를 이용한 가변식 도로 중앙분리봉은, 양방향 도로의 중앙선(C)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도로의 내 부에 삽입되며 필요시 도로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세워지는 다수의 표시봉(10)과, 표시봉(10)의 출몰을 제어하는 컨트롤러(20)와, 컨트롤러(20)의 제어를 받아 표시봉(10)을 출몰시키는 에어공급수단(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표시봉(10)은 도로에 매설된 하우징(11)에 삽입되어 도로 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은 상태(도로 면에서 약간 돌출되어도 무방함)를 유지하다가 에어공급수단(30)으로부터 에어를 공급받아 도로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세워져 중앙분리대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구조는 자바라식이 바람직하고, 야간에 주행 차량의 전조등에서 조사되는 빛을 재귀반사할 수 있는 반사부를 갖는다.
하우징(11)은 상부를 향해 개구된 통 구조이며, 표시봉(10)이 하단부가 고정된 상태로 삽입된다. 즉, 표시봉(10)은 내부가 빈 상태에서 접혀 하우징(11) 내부에 삽입되고 에어를 공급받으면 세워지게 되는 것이다.
컨트롤러(20)는 표시봉(10)의 출몰을 제어하는 것으로, 도로 측 조도에 따라 표시봉(10)이 주간에는 사용되지 않고 야간에만 사용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도로측 조도를 감지하는 광센서(21)가 포함된다. 광센서(21)는 도로 측 조도를 감지하여 감지 데이터를 컨트롤러(20)에 인가하고, 컨트롤러(20)는 현재 감지된 조도 데이터를 기 설정된 기준 조도 데이터와 비교하여 현재 조도 데이터가 기준 조도 데이터보다 낮으면 표시봉(10)이 세워지도록 제어하고, 현재 조도 데이터가 기준 조도 데이터보다 높으면 표시봉(10)이 하우징(11) 내부에 삽입되도록 제어한다.
에어공급수단(30)은, 에어탱크(31), 에어탱크(31)와 다수의 하우징(11)들을 유체 연통 가능하게 연결하여 에어탱크(31) 내의 에어가 하우징(11)들을 경유하여 표시봉(10) 내부에 공급되도록 안내하는 에어공급관(32), 에어탱크(31) 내의 에어를 에어공급관(32)으로 펌핑하는 에어펌프(33) 및 에어공급관(32)의 개도를 조절하는 밸브(34)로 구성될 수 있다.
표시봉(10)은 에어공급수단(30)으로부터 에어를 공급받아 세워지게 되는 것인데, 과도하게 에어를 공급받으면 표시봉(10)이 터질 수 있고 반대로 에어의 공급량이 부족하면 세워지지 않을 수 있으므로 표시봉(10) 내부에 기압센서(22)가 장착되어, 컨트롤러(20)는 기압센서(22)로부터 인가되는 기압 데이터를 기 설정된 기준 기압 데이터와 비교하여 표시봉(10) 내부에 항상 적정 수준의 에어가 공급되도록 한다.
그리고, 표시봉(10)이 단순히 반사부를 갖는 구성인 경우 차량의 통행이 빈번하다면 차량의 전조등에서 조사되는 빛에 의해 표시봉(10)을 확인시켜줄 수 있지만, 차량의 통행이 많지 않으면 표시봉(10)을 원거리에서 확인할 수 없을 것이므로 하우징(11) 내부에는 자체 전원을 인가받아 점등되는 램프(40)가 갖추어진다. 램프(40)는 컨트롤러(20)의 제어를 받아 표시봉(10)의 출몰과 연동하게 되며, 즉, 표시봉(10)이 세워지면 점등하고, 표시봉(10)이 접혀 하우징(11) 내부에 삽입되면 소등한다. 더불어, 램프(40)에서 조사되는 빛이 표시봉(10)으로 집중될 수 있도록 하우징(11)의 내면에는 반사부(41)가 더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에어를 이용한 가변식 도로 중앙 분리봉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표시봉(10)이 하우징(11) 내부에 삽입된 상태를 기준으 로 하여 설명한다.
광센서(21)는 도로 측 조도를 감지하여 조도 데이터를 컨트롤러(20)에 실시간으로 전송한다.
컨트롤러(20)는 광센서(21)에서 입력되는 현재 조도 데이터를 기 설정된 기준 조도 데이터와 비교하며, 현재 조도 데이터가 기준 조도 데이터보다 높으면 현 상태를 유지하고, 현재 조도 데이터가 기준 조도 데이터보다 낮으면 컨트롤러(20)는 에어공급수단(30)을 통해 표시봉(10)이 세워지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밸브(34)에 의해 에어공급관(32)이 개방되고, 에어펌프(33)는 에어탱크(31) 내부의 에어를 펌핑하여 에어공급관(32)에 에어를 공급한다.
에어는 각각의 하우징(11) 내부에 공급되고, 이 에어에 의해 표시봉(10)이 서서히 세워지게 된다.
기압센서(22)는 하우징(11) 내부의 기압을 감지하여 컨트롤러(20)에 전송하며, 컨트롤러(20)는 기압센서(22)에서 입력되는 현재 기압 데이터와 기 설정된 기준 기압 데이터를 비교하여 현재 기압 데이터가 기준 기압 데이터보다 낮으면 계속해서 에어가 공급되도록 하고, 현재 기압 데이터가 기준 기압 데이터에 도달하면 에어공급수단(30)의 작동을 정지하여 에어가 더 이상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
동시에, 램프(40)에 전원이 인가되어 램프(40)가 점등되어 표시봉(10)은 빛을 발산하게 된다. 이때, 램프(40)에서 조사되는 빛은 반사부(41)에 의해 표시봉(10)측으로 반사되어 빛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이렇게 되면, 표시봉(10)이 중앙선(C)을 따라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며, 표시봉(10)은 직경이 중앙선의 폭보다 크지 않기 때문에 차량의 주행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빛을 발산하여 야간에 원거리에서도 한눈에 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보행자는 표시봉(10)들에 의해 주위를 의식하게 되므로 무단횡단하지 않게 되고, 차량 운전자도 표시봉(10)들에 의해 진로가 막혀 무단유턴하지 않게 된다.
표시봉(10)이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다가 광센서(21)에서 입력되는 현재 조도 데이터가 기준 조도 데이터보다 높으면 컨트롤러(20)는 표시봉(10)이 하우징(11) 내부에 삽입되도록 에어공급수단(30)을 제어하여 표시봉(10) 내부의 에어를 빼내도록 함과 동시에 램프(40)에 인가되던 전원을 차단하여 램프(40)를 소등시킨다.
표시봉(10)은 에어가 빠짐에 따라 서서히 접혀 하강하게 되고, 에어가 완전히 빠지게 되면 하우징(11) 내부에 삽입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어를 이용한 가변식 도로 중앙분리봉에 의하면, 도로 폭, 규정 속도 등의 조건에 의해 고형체의 중앙분리대를 설치할 수 없는 여건에서 공간점유율을 최소로 하여 주간과 야간에 차량의 주행을 간섭하지 않고, 안전사고의 발생율이 높은 야간에는 무단횡단과 무단유턴을 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 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3)

  1. 도로의 조도를 감지하는 광센서와;
    도로면의 중앙선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도로의 내부에 삽입되며 내부에 수납부를 갖는 다수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수납부에 밀폐형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도로면 내부에 외부로 출몰 가능하게 삽입되며 표면에 반사부를 갖는 자바라식 표시봉과;
    상기 표시봉 내부에 에어를 공급하거나 에어를 빼내는 에어공급수단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며 전원을 인가받아 점등되는 램프와;
    상기 광센서에서 감지된 조도값을 근거로 하여 상기 에어공급수단을 통해 상기 표시봉을 세우거나 상기 도로면 내부에 삽입시키는 한편, 상기 램프를 점소등시키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를 이용한 가변식 도로 중앙분리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공급수단은, 에어탱크, 상기 에어탱크와 상기 하우징들을 유체 연통 가능하게 연결하는 에어공급관, 상기 에어공급관의 도중에 장착되어 상기 에어공급관을 개폐하는 밸브,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의 기압을 감지하는 기압센서 및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를 받아 상기 에어탱크 내의 에어를 상기 표시봉에 공급하는 에어펌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를 이용한 가변식 도로 중앙분리봉.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벽면에는 상기 램프에서 조사되는 빛을 상기 중앙분리봉으로 반사시키는 반사판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를 이용한 가변식 도로 중앙분리봉.
KR1020060034280A 2006-04-14 2006-04-14 에어를 이용한 가변식 도로 중앙 분리봉 KR100608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4280A KR100608932B1 (ko) 2006-04-14 2006-04-14 에어를 이용한 가변식 도로 중앙 분리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4280A KR100608932B1 (ko) 2006-04-14 2006-04-14 에어를 이용한 가변식 도로 중앙 분리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8932B1 true KR100608932B1 (ko) 2006-08-03

Family

ID=37184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4280A KR100608932B1 (ko) 2006-04-14 2006-04-14 에어를 이용한 가변식 도로 중앙 분리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893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6775B1 (ko) * 2008-06-05 2011-01-10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접을 수 있는 볼라드
KR101246249B1 (ko) 2012-07-20 2013-03-22 동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충격을 흡수하는 가변형 안전 볼라드
KR20200056527A (ko) * 2018-11-14 2020-05-25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높이변경이 가능한 도로의 중앙분리대
KR20210016451A (ko) * 2021-01-26 2021-02-15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월류 방지용 승강 차폐부를 구비한 중앙분리대
CN112411440A (zh) * 2020-11-09 2021-02-26 广西壹嘉云科技有限公司 一种市政道路用应急隔离栏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6775B1 (ko) * 2008-06-05 2011-01-10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접을 수 있는 볼라드
KR101246249B1 (ko) 2012-07-20 2013-03-22 동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충격을 흡수하는 가변형 안전 볼라드
KR20200056527A (ko) * 2018-11-14 2020-05-25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높이변경이 가능한 도로의 중앙분리대
KR102210647B1 (ko) * 2018-11-14 2021-02-03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높이변경이 가능한 도로의 중앙분리대
CN112411440A (zh) * 2020-11-09 2021-02-26 广西壹嘉云科技有限公司 一种市政道路用应急隔离栏
KR20210016451A (ko) * 2021-01-26 2021-02-15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월류 방지용 승강 차폐부를 구비한 중앙분리대
KR102244749B1 (ko) * 2021-01-26 2021-04-28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월류 방지용 승강 차폐부를 구비한 중앙분리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8932B1 (ko) 에어를 이용한 가변식 도로 중앙 분리봉
KR100782931B1 (ko) 횡단보도 안전차단장치
KR20110093418A (ko) 과속 방지턱 겸용 횡단보도 장치
KR100661758B1 (ko) 튜브식 차단바를 구비한 안전차단장치
KR200448358Y1 (ko) 횡단보도 보행자 안전램프
KR100977609B1 (ko) 중앙분리대의 엘이디 제어방법
KR101196611B1 (ko) 스쿨존 횡단보도의 보행자 보호용 차단장치
KR101201879B1 (ko) 차량 검지센서에 의한 충돌예방시스템
KR101143981B1 (ko) 가로보 각도 조절장치
KR200432405Y1 (ko) 보조신호등램프가 설치된 보행자신호등
KR102449234B1 (ko) 표지병을 적용한 스마트 신호등 제어시스템
KR20080056698A (ko) 도로 표면에 설치한 신호등에 의한 교통 제어 방법
KR102351316B1 (ko) 스마트 횡단보도 시스템
CN210466738U (zh) 一种交通信号灯投射警示装置
CN110777697B (zh) 一种隔离墩
KR101518408B1 (ko) 교통신호 제어기 장치
KR200426097Y1 (ko) 야간 횡단보도 보행등기구
KR200449557Y1 (ko) 충돌방지 경고기능을 가지는 교통신호 제어기 구조물
KR101031632B1 (ko) 횡단보도용 조명등이 결합된 신호등 지주장치
JP2009187340A (ja) 縁石及び仕切り側面補助信号灯。
KR200193134Y1 (ko) 보행자 보호용 조명등을 부착한 신호등 철주 조립체
KR102106391B1 (ko) 도로 교통 신호 통제 시스템
KR200367225Y1 (ko) 보행자신호등
CN215629297U (zh) 一种防坠落安装结构及应用其的人行天桥
CN220208507U (zh) 一种地埋led发光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