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6527A - 높이변경이 가능한 도로의 중앙분리대 - Google Patents

높이변경이 가능한 도로의 중앙분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6527A
KR20200056527A KR1020180139968A KR20180139968A KR20200056527A KR 20200056527 A KR20200056527 A KR 20200056527A KR 1020180139968 A KR1020180139968 A KR 1020180139968A KR 20180139968 A KR20180139968 A KR 20180139968A KR 20200056527 A KR20200056527 A KR 202000565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air
tube
unit
r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9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0647B1 (ko
Inventor
강예석
현동헌
송주엽
오홍석
전창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80139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0647B1/ko
Publication of KR20200056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65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0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06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06Lane control by movable lane separating barriers, e.g. shiftable barriers, retractable kerbs ; Apparatus or barri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heeled barriers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의 중앙분리선을 따라 복수개가 인접하게 배열되는 중앙분리유닛들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중앙분리유닛은, 상기 중앙분리선을 따라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부가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블록몸체부와,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고 에어가 충진되면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승강되도록 구성되는 승강차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수개의 중앙분리블록들과, 상기 승강차폐부로 에어를 공급하는 가압유닛과, 상기 가압유닛을 구동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변경이 가능한 도로의 중앙분리대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평상시와 달리 집중호우나 장마철과 같이 강수량이 증가하는 경우에는 높이를 선택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차량 주행 시 빗물이 반대 차선으로 유입되어 차량 운전자의 시거확보를 방해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안전사고 위험을 저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높이변경이 가능한 도로의 중앙분리대 {Median strip for road with height changeable}
본 발명은 높이변경이 가능한 도로의 중앙분리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집중호우와 같이 강수량이 증가할 시 높이를 선택적으로 승강시켜 차량 주행에 의한 반대차선으로의 빗물 유입을 방지함으로써, 반대차선을 주행하는 차량 운전자로 하여금 안전운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높이변경이 가능한 도로의 중앙분리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속도로와 같이 자동차가 고속으로 주행하는 도로에는 중앙선의 구분을 확실히 함과 동시에 주행 중인 자동차가 반대차선으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중앙분리대와 같은 방호책이 설치된다.
이러한 중앙분리대는 도로의 중앙부에 장방형의 콘크리트블록이 도로를 따라 일렬로 길게 배치하고 그 상단부에는 차량의 전조등 불빛을 차단할 수 있도록 광차단망이 설치되어, 주행중이던 자동차가 돌발 상황이나, 교통사고 등에 의해 일시적으로 방향을 잃고서 반대방향에서 주행하는 자동차와 충돌하는 최악의 상황을 예방하는 효과를 제공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중앙분리대에 대한 기술의 예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594892호는 도로 내측으로 조립식몸체(20)를 수용하는 수납부(13)와 거치대(15)가 구비되고 하부측에 별도의 우수저장부(14)가 구비되어 도로의 중앙에 자립되게 세워지도록 콘크리트로 형성되는 중앙분리대(10)와, FRP로 형성되는 몸체(21)의 내측으로 흙이 채워지는 식재부(24)와 우수가 유입되는 우수유입부(25)로 양분되는 조립식몸체(20)와, 식재부(24)의 나무(60)에 물을 공급하도록 외주면에 다수의 노즐구멍(34)이 천공되는 급수관(35)이 구비되는 물급수장치(30)와, 우수저장부(14)와 연통되는 배수구(19)를 단속하는 제어밸브(41)를 갖는 우수 배수장치(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우수저장이 가능한 친환경 도로 중앙분리대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도로의 중앙분리대는, 운전자의 시거확보 등을 이유로 그 높이가 한정되어 있는 만큼, 집중호우나 장마철과 같이 강수량이 증가하는 경우에는 차량 주행 시 빗물이 반대편 차선으로 유입되는 상황이 발생하면서, 차량 운전자의 시야확보를 어렵게 하여 차량의 안전사고 위험을 높이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594892호
본 발명은, 평상시와 달리 집중호우나 장마철과 같이 강수량이 증가하는 경우에는 높이를 선택적으로 증가시켜, 빗물이 반대 차선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반대차선을 주행하는 차량 운전자의 시거를 확보하여 안전사고 위험을 저감시킬 수 있는 높이변경이 가능한 도로의 중앙분리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도로의 중앙분리선을 따라 복수개가 인접하게 배열되는 중앙분리유닛들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중앙분리유닛은, 상기 중앙분리선을 따라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부가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블록몸체부와,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고 에어가 충진되면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승강되도록 구성되는 승강차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수개의 중앙분리블록들과, 상기 승강차폐부로 에어를 공급하는 가압유닛과, 상기 가압유닛을 구동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변경이 가능한 도로의 중앙분리대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승강차폐부는, 내부공간으로 에어가 충진되면 높이가 신장되도록 팽창되는 에어튜브와, 상기 에어튜브와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가압유닛으로부터 공급된 에어를 상기 에어튜브로 공급하는 에어공급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제어유닛에 의하여 구동 제어되고 에어를 공급하는 가압펌프와, 상기 중앙분리블록에 설치되고, 상기 에어공급관들 각각과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가압펌프로부터 공급된 에어를 상기 에어공급관들로 공급하는 가압파이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중앙분리유닛은, 상기 승강차폐부와 연결되어, 승강된 상기 승강차폐부를 상기 블록몸체부의 내부로 수납되도록 복원하는 복원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복원유닛은, 상기 승강차폐부과 연결되어 이동에 따라 상기 승강차폐부를 하강시키는 케이블과, 상기 블록몸체부의 내부에 매설되고, 내부로 상기 케이블이 삽입되어 상기 케이블을 가이드하는 케이블가이드와, 상기 케이블과 연결되고, 상기 제어유닛으로부터 구동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케이블을 권취하는 권취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케이블은, 상기 케이블가이드 내부에 매설되어, 일측은 상기 권취부와 연결되고, 상기 권취부의 권취에 의하여 상기 중앙분리블록들의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케이블과, 일단이 상기 에어튜브의 상면과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이동케이블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케이블의 이동에 따라 상기 에어튜브의 상단면을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튜브케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튜브는, 상하 방향을 따라 관통홀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의 내부로 상기 튜브케이블이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가이드는, 관 형상으로 내부로 상기 이동케이블이 삽입되는 제1가이드관과, 관 형상으로 일측 단부가 상기 제1가이드관의 외측면에 연통되게 결합하고, 내부로 상기 튜브케이블이 삽입되는 제2가이드관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가이드관은, 상기 권취부를 향하는 일측 단부의 외주면 일부가 상기 튜브케이블의 이동 시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곡면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중앙분리블록은, 상기 에어공급관에 설치되어 상기 에어튜브 내의 압력을 측정하고 측정된 압력정보를 상기 제어유닛으로 송신하는 압력센서와, 상기 에어공급관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유닛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에어튜브로 공급되는 상기 에어의 공급유량을 조절하는 조절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중앙분리블록들 각각에 설치된 상기 압력센서들로부터 상기 에어튜브들 각각에 대한 압력정보들을 수신하여 상기 에어튜브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고, 이상(異常)으로 판단된 상기 에어튜브의 에어공급을 중단하도록 상기 조절밸브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에어튜브의 이상 유무 판단에 대한 근거로, 설정시간 동안 상기 가압펌프의 공급압력 기준에 대하여 상기 압력정보들 중 설정범위 이하로 압력강하가 발생하는 에어튜브를 이상 에어튜브로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중앙분리대는 상기 중앙분리블록에 상기 압력센서와 상기 조절밸브가 포함되어 구성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에어튜브의 압력강하에 의하여 상기 가압펌프의 구동량이 설정값 이상으로 구동되거나, 또는 설정시간 이상으로 구동될 시, 상기 가압펌프의 구동을 중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높이변경이 가능한 도로의 중앙분리대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평상시와 달리 집중호우나 장마철과 같이 강수량이 증가하는 경우에는 중앙분리블록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차량 주행 시 빗물이 반대 차선으로 유입되어 차량 운전자의 시거확보를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운전자의 안전사고 위험을 저감시킬 수 있다.
둘째, 중앙분리블록의 구성을 블록몸체부와 에어튜브를 포함하는 승강차폐부로 구성하고, 필요 시 에어튜브로 에어를 공급하여 승강차폐부의 높이를 증가시키도록 구성함으로써, 승강구조가 간단하고 중량을 저감시킬 수 있어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어 경제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셋째, 승강을 위하여 작업자가 각 중앙분리블록들에 대하여 일일이 작업할 필요 없이, 가압유닛을 통하여 각 에어튜브들의 높이를 일괄적으로 승강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 조작 및 제어가 용이하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넷째, 승강차폐부가 제조 및 설계변경이 용이한 에어튜브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설치하는 환경에 대응하여 설계변경 및 이에 대한 제조변경이 용이하다.
다섯째, 복원유닛을 통하여 승강된 승강차폐부를 블록몸체부에 수납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승강 후 원상태로의 복원이 용이하다.
여섯째, 압력센서와 조절밸브를 구성하고 제어부는 이를 통해 에어튜브의 이상유무를 판단하여 에어공급을 중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유지보수 및 관리가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이변경이 가능한 도로의 중앙분리대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이변경이 가능한 도로의 중앙분리대의 승강차폐부와 가압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이변경이 가능한 도로의 중앙분리대의 제어유닛의 제어흐름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이변경이 가능한 도로의 중앙분리대에서 각 에어튜브로 에어를 공급하는 가압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이변경이 가능한 도로의 중앙분리대에서 승강차폐부와 복원유닛의 연결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이변경이 가능한 도로의 중앙분리대에서 승강된 승강차폐부를 복원시키는 복원유닛의 작동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이변경이 가능한 도로의 중앙분리대(1, 이하 '중앙분리대'라 한다)는, 도로의 중앙분리선을 따라 복수개가 인접하게 배열되는 중앙분리유닛(10a,10b)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중앙분리유닛(10a,10b)은, 복수개의 중앙분리블록(100)들과, 가압유닛(200)과, 복원유닛(400)과, 제어유닛(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중앙분리대(1)는 상기한 바와 같이 중앙분리유닛(10a,10b)이 복수개의 중앙분리블록(100)들과, 가압유닛(200)과, 복원유닛(400)과, 제어유닛(300)을 포함하여 하나의 그룹단위로 구성되고, 이러한 중앙분리유닛(10a,10b) 복수개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구성된다.
이는, 상기 중앙분리대(1)를 길이가 긴 중앙분리선을 따라 복수개의 중앙분리유닛(10a,10b)으로 분할하여 구성함으로써, 후술되는 각 에어튜브(121)들로의 에어공급이 신속하고 원활하게 함은 물론 케이블(410)의 길이를 적정 길이로 구성하여 복원유닛(400)의 작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중앙분리대(1)는 도면에서와 같이 각 중앙분리유닛(10a,10b)이 3개의 중앙분리블록(100)들로 이루어진 경우를 나타내었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가압유닛(200)과 복원유닛(400)의 작동에 대응하여 중앙분리블록(100)의 개수를 다양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중앙분리대(1)를 구성하는 중앙분리유닛(10a,10b)들 중 이를 구성하는 단위 중앙분리유닛(10a,10b)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살펴보기로 하며, 중앙분리유닛(10a,10b)을 구성하는 중앙분리블록(100)과, 가압유닛(200)과, 제어유닛(300)과, 복원유닛(400)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상기 중앙분리블록(100)은, 중앙분리선을 따라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며, 블록몸체부(110)와, 승강차폐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블록몸체부(110)는, 중앙분리블록(100)의 몸체를 이루는 구성으로 상부가 개방된 개구부(111)가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승강차폐부(120)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서, 상기 블록몸체부(110)는, 외관이 공지의 중앙분리블록(100)의 형태를 이루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으며, 반대차선으로의 차량진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콘크리트 구조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블록몸체부(110)는, 하부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가압유닛(200)과 복원유닛(400)이 매설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승강차폐부(120)가 이들과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승강차폐부(120)는, 상기 블록몸체부(110)의 수용공간에 수용되어, 집중호우와 같이 강수량이 증가하는 경우 제어유닛(3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중앙분리블록(100)의 높이를 승강시키도록 구성된다. 이에, 상기 승강차폐부(120)는, 양측의 반대차선이 서로 차폐되어 차량 주행에 의하여 물이 넘쳐흘러 반대차선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승강차폐부(120)는, 높이를 승강시키는 구성으로, 에어를 이용하여 에어가 충진되면 팽창하여 개구부(111)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승강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승강차폐부(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공간으로 에어가 충진되면 팽창하여 높이가 신장되는 에어튜브(121)와, 에어튜브(121)와 연통되게 연결되는 에어공급관(1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에어튜브(121)는, 팽창 전 수용공간에 용이하게 수납됨은 물론, 팽창하는 동안 블록몸체부(110)와의 간섭을 줄여 원활한 팽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블록몸체부(110)에 형성된 수용공간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그 형상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는 상기 에어튜브(121)가 박스형상의 수용공간에 대응하여, 팽창 시 수용공간의 내측면과의 간섭 및 마찰을 줄일 수 있도록 박스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이는 일 실시예로, 원활한 팽창이 이루어질 수 있고 효과적인 차폐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상으로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에어공급관(122)은, 에어튜브(121)와 연통되게 연결되어 가압유닛(200)으로부터 공급된 에어를 에어튜브(121)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도면에서, 상기 에어공급관(122)은 에어튜브(121)의 하부 중앙에 수직하게 세워지도록 연결되어, 가압유닛(200)에 의하여 하부로부터 공급되는 에어가 에어튜브(121)로 신속하고 원활하게 공급되게 하여 에어튜브(121)의 신속한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에어공급관(122)은 에어튜브(121)의 용적 등에 따라 직경을 달리하여 에어튜브(121)의 팽창시간을 조절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중앙부에 하나가 아닌 그 개수를 복수개로 하여 에어충진이 보다 신속하게 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는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가압유닛(200)은, 상기 승강차폐부(120)로 에어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가압유닛(200)은, 가압펌프(210)와, 가압파이프(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압펌프(210)는, 에어를 공급하는 구성으로, 제어유닛(300)으로부터 수신된 구동신호에 의하여 구동 제어된다. 상기 가압펌프(210)는 에어튜브(121)의 용적과 에어튜브(121)들의 개수에 대응하여 용량을 달리하여 적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가압펌프(210)의 구성은 공지의 에어펌프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가압파이프(220)는, 일단부가 가압펌프(210)와 연통되게 연결되어 가압펌프(210)로부터 에어를 공급받도록 구성되며, 수용공간의 하부 중앙분리블록(100)에 설치된다.
상기 가압파이프(220)는 상부 외주 측면으로 각 승강차폐부(120)의 에어공급관(122)들 각각과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가압펌프(210)로부터 공급된 에어를 상기 에어공급관(122)들 각각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복원유닛(400)은, 상기 승강차폐부(120)와 연결되어, 승강된 승강차폐부(120)를 블록몸체부(110)의 내부로 수납되도록 복원하는 역할을 하며,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케이블(410)과, 케이블가이드(420)와, 권취부(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케이블(410)은, 상기 승강차폐부(120)와 연결되어 이동에 따라 승강차폐부(120)를 하강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동케이블(412)과, 튜브케이블(41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동케이블(412)은, 케이블가이드(420)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중앙분리블록(100)들의 수평방향으로 위치하고, 일측이 권취부(430)와 연결되어 권취부(430)의 권취에 의하여 중앙분리블록(100)들의 수평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튜브케이블(411)은, 일단이 에어튜브(121)의 상면과 연결되고 타단부는 이동케이블(412)에 연결되며, 에어튜브(121)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위치하여 이동케이블(412)의 수평 방향 이동에 따라 에어튜브(121)의 상단면을 하방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튜브케이블(411)은, 에어튜브(121)와 연결되는 일단이 에어튜브(121)의 평면상으로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에어튜브(121)의 상면이 평편하게 수평 하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에어튜브(121)는, 튜브케이블(411)의 이동이 원활하도록 평면상 중앙부로부터 상단과 하단을 서로 연결하도록 상하 방향을 따라 관통홀(1211)이 관통 형성되어(도 2참조), 상기 관통홀(1211)의 내부로 튜브케이블(411)이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튜브케이블(411)은, 하면이 에어튜브(121)의 상단면에 안착 고정되어, 이동 시 일단이 에어튜브(121)의 상단면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일단에 걸림부재(413)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재(413)는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홀(1211)의 평면형상에 대응하여 원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다양한 구성으로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케이블가이드(420)는, 상기 블록몸체부(110)의 내부에 매설되고, 내부로 케이블(410)이 삽입되어 케이블(410)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상세하게, 상기 케이블가이드(420)는, 관 형상으로 내부로 이동케이블(412)이 삽입되는 제1가이드관(421)과, 관 형상으로 일측 단부가 제1가이드관(421)의 외측면에 연통되게 결합하고, 내부로 튜브케이블(411)이 삽입되는 제2가이드관(4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여기서 상기 제2가이드관(422)은, 권취부(430)를 향하는 일측 단부의 외주면 일부가 나팔형상을 이루는 곡면부(423)로 형성되어, 상기 튜브케이블(411)의 이동 시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권취부(430)는, 상기 이동케이블(412)과 연결되고, 제어유닛(300)으로부터 구동신호를 수신하여 이동케이블(412)을 권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권취부(430)는 외주면에 이동케이블(412)이 연결되어 회전에 따라 이동케이블(412)을 권취하는 권취롤러(431)와, 권취롤러(431)를 축회전시키는 회전모터(4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이외 다른 구성도 추가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공지의 구성으로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복원유닛(400)은 권취롤러(431)의 회전에 의하여 이동하는 케이블(410)이 에어튜브(121)를 하강시킴으로써 팽창된 에어튜브(121)를 블록몸체부(110)의 내부로 수납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가압펌프(210)는 에어의 공급뿐만 아니라 흡입도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복원유닛(400)의 작동 시 에어튜브(121) 내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 외 에어튜브(121)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배출되는 바이패스유로를 형성하는 등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권취부(420)는 에어튜브(121)의 복원 시에는 작동하고, 에어튜브(121)의 팽창 시에는 권취롤러(431)의 구속을 해제하여, 에어튜브(121)내 에어가 충진됨에 따른 케이블(410)의 이동이 원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제어유닛(300)의 제어흐름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상기 제어유닛(300)은, 상기 가압유닛(200)과 복원유닛(400)으로 구동신호를 송신하여 각각을 구동 제어하며, 에어튜브(121)를 승강시키고자 하는 경우 가압펌프(210)를 구동하여 에어튜브(121)로 에어를 공급하고, 승강 후 에어튜브(121)를 수용공간에 수납하여 복원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가압유닛(200)의 작동을 중단하고 권취부(430)를 구동하여 에어튜브(121)를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한편, 상기 에어튜브(121)는, 오랜 시간 외부에 노출됨에 따른 내구성 저하와, 파손 등으로 인하여, 에어충진이 원활하지 않게 되면서 승강이 어려울 수 있다.
이에 상기 제어유닛(300)은, 에어튜브(121)들 중 이러한 이상(異常) 에어튜브(121)를 판단하고, 이상으로 판단된 에어튜브(121)의 에어공급을 제어함으로써, 이상 에어튜브(121)로 인한 중앙분리블록(100)들의 승강 및 차폐기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제어유닛(300)의 이상 에어튜브(121)의 감지 및 판단과 이에 따른 관리(처리)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 제1실시예
상기 제1실시예는 상기 중앙분리블록(100)이,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에어튜브(121)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130)와, 에어튜브(121)의 에어 공급유량을 조절하는 조절밸브(1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경우이다.
우선, 상기 압력센서(130)는, 각 에어튜브(121)에 연결된 에어공급관(122)에 설치되어 에어튜브(121) 내의 압력을 측정하도록 구성되며, 이렇게 측정된 압력정보는 제어유닛(300)으로 송신한다.
그리고 상기 조절밸브(140)는, 상기 에어공급관(122)에 설치되고 제어유닛(300)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구동 제어되어, 에어튜브(121)로 공급되는 에어의 공급유량을 조절한다.
이에, 상기 제어유닛(300)은, 압력센서(130)들로부터 에어튜브(121)들 각각에 대한 압력정보들을 수신하여 이를 통해 에어튜브(121)의 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으며, 어느 에어튜브(121)가 이상(異常)으로 판단되면 해당 에어튜브(121)의 에어공급을 중단하도록 해당 조절밸브(140)를 제어하여 에어튜브(121)로의 에어공급을 중단한다.
이때, 상기 제어유닛(300)은, 에어튜브(121)의 이상 유무 판단에 대한 근거로, 각 에어튜브(121)들의 압력정보들 중 설정범위 이하로 압력강하가 발생하는 에어튜브(121)를 이상 에어튜브(121)로 판단한다.
이는, 만약 에어튜브(121)에 파손 등이 발생하게 되면, 에어공급 시 에어가 외부로 누출되면서 에어튜브(121) 내 압력강하가 발생한다는 점을 고려한 것으로, 이에 상기 제어유닛(300)은 가압펌프(210)의 공급압력 기준에 대하여 에어튜브(121)들 각각의 압력정보들 중에서 설정범위 이하로 압력강하가 발생하는 에어튜브(121)를 이상 에어튜브(121)로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에어튜브(121)의 압력강하 설정범위는, 에어손실과 이 외 조건들을 감안하여 에어튜브(121)의 에어 누출 시 발생하는 설정 압력변화와, 에어튜브(121)의 승강이 어려운 조건에서의 압력강하 범위 등을 조건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2실시예
상기 제2실시예는 중앙분리블록(100) 각각에 압력센서(130)와 조절밸브(140)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로서, 이러한 경우 압력센서(130)와 조절밸브(140)를 설치하지 않음에 따른 제조비용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살펴보면, 상기한 경우 제어유닛(300)은, 이상 에어튜브(121)가 발생하면 압력강하로 인하여 가압펌프(210)의 구동량이 기준 구동량에 비하여 그 구동량이 증가한다는 점과, 나아가 이상 에어튜브(121)의 에어 누출로 인하여 가압펌프(210)의 작동시간이 늘어나는 점을 이상 에어튜브(121)의 발생 판단의 근거로 하여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유닛(300)은, 이상 에어튜브(121)의 압력강하에 의하여 가압펌프(210)의 구동량이 설정값 이상 및 설정시간 이상 구동될 시, 이를 에어튜브(121) 중 이상 에어튜브(121)가 있다는 것으로 판단하고, 이에 가압펌프(210)의 구동을 중단하거나, 이상 발생을 작업자에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가 가압펌프(210)의 구동을 중단한 후 현장에서 에어튜브(121)를 점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가압펌프(210)의 구동량과 구동시간에 따른 이상 에어튜브(121)의 판단 및 제어는 전술한 중앙분리블록(100)에 압력센서(130)와 조절밸브(140)가 설치된 경우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며, 이러한 경우에는 각 에어튜브(121)의 압력정보와, 가압펌프(210)의 공급압력의 조건들을 고려하여 이상 에어튜브(121)의 판단근거로 설정하고, 가압펌프(210) 또는 조절밸브(140)의 통합 또는 개별 제어를 통해 제어가 이루어 질 수 있다.
-제3실시예
상기 제3실시예는 중앙분리블록(100) 각각에 조절밸브(140)가 설치된 경우이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어유닛(3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가압펌프(210)의 구동량이 설정값 이상 및 설정시간 이상 구동되면, 이를 에어튜브(121) 중 이상 에어튜브(121)가 있다는 것으로 판단하고, 이를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한다.
이때, 상기 제어유닛(300)은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화면 또는 램프를 통하여 작업자에게 이러한 이상 상황을 알람(Alarm)할 수 있으며, 이러한 디스플레이구성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공지의 구성을 적용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한 바와 따라 제어유닛(300)이 이상 에어튜브(121) 발생을 알람하면, 작업자는 이를 확인하여 현장에서 각 에어튜브(121)의 점검을 실시하는데, 이때 제어유닛(300)은 각 에어튜브(121)와 연결되는 조절밸브(140)를 순차적으로 개폐하고 이에 따른 가압펌프(210)의 상태를 체크하면서 판단하고, 이에 따라 이상 에어튜브(121)로 판단된 에어튜브(121)를 작업자에게 알려준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중앙분리대 10a,10b : 중앙분리유닛
100 : 중앙분리블록 110 : 블록몸체부
120 : 승강차폐부 121 : 에어튜브
122 : 에어공급관 130 : 압력센서
140 : 조절밸브 200 : 가압유닛
210 : 가압펌프 220 : 가압파이프
300 : 제어유닛 400 : 복원유닛
410 : 케이블 411 : 튜브케이블
412 : 이동케이블 413 : 걸림부재
420 : 케이블가이드 421 : 제1가이드관
422 : 제2가이드관 423 : 곡면부
430 : 권취부 431 : 권취롤러
432 : 회전모터

Claims (8)

  1. 도로의 중앙분리선을 따라 복수개가 인접하게 배열되는 중앙분리유닛들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중앙분리유닛은,
    상기 중앙분리선을 따라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부가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블록몸체부와,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고 에어가 충진되면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승강되도록 구성되는 승강차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수개의 중앙분리블록들과;
    상기 승강차폐부로 에어를 공급하는 가압유닛과;
    상기 가압유닛을 구동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변경이 가능한 도로의 중앙분리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차폐부는,
    내부공간으로 에어가 충진되면 높이가 신장되도록 팽창되는 에어튜브와,
    상기 에어튜브와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가압유닛으로부터 공급된 에어를 상기 에어튜브로 공급하는 에어공급관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변경이 가능한 도로의 중앙분리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제어유닛에 의하여 구동 제어되고 에어를 공급하는 가압펌프와,
    상기 중앙분리블록에 설치되고, 상기 에어공급관들 각각과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가압펌프로부터 공급된 에어를 상기 에어공급관들로 공급하는 가압파이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변경이 가능한 도로의 중앙분리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분리유닛은,
    상기 승강차폐부와 연결되어, 승강된 상기 승강차폐부를 상기 블록몸체부의 내부로 수납되도록 복원하는 복원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변경이 가능한 도로의 중앙분리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유닛은,
    상기 승강차폐부과 연결되어 이동에 따라 상기 승강차폐부를 하강시키는 케이블과,
    상기 블록몸체부의 내부에 매설되고, 내부로 상기 케이블이 삽입되어 상기 케이블을 가이드하는 케이블가이드와,
    상기 케이블과 연결되고, 상기 제어유닛으로부터 구동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케이블을 권취하는 권취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변경이 가능한 도로의 중앙분리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상기 케이블가이드 내부에 삽입되어, 일측은 상기 권취부와 연결되고, 상기 권취부의 권취에 의하여 상기 중앙분리블록들의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케이블과,
    일단이 상기 에어튜브의 상면과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이동케이블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케이블의 이동에 따라 상기 에어튜브의 상단면을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튜브케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변경이 가능한 도로의 중앙분리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튜브는,
    상하 방향을 따라 관통홀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의 내부로 상기 튜브케이블이 삽입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변경이 가능한 도로의 중앙분리대.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가이드는,
    관 형상으로 내부로 상기 이동케이블이 삽입되는 제1가이드관과,
    관 형상으로 일측 단부가 상기 제1가이드관의 외측면에 연통되게 결합하고, 내부로 상기 튜브케이블이 삽입되는 제2가이드관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가이드관은,
    일측 단부의 외주면 일부가 상기 튜브케이블의 이동 시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나팔형상을 이루는 곡면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변경이 가능한 도로의 중앙분리대.
KR1020180139968A 2018-11-14 2018-11-14 높이변경이 가능한 도로의 중앙분리대 KR102210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9968A KR102210647B1 (ko) 2018-11-14 2018-11-14 높이변경이 가능한 도로의 중앙분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9968A KR102210647B1 (ko) 2018-11-14 2018-11-14 높이변경이 가능한 도로의 중앙분리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0844A Division KR102244749B1 (ko) 2021-01-26 2021-01-26 월류 방지용 승강 차폐부를 구비한 중앙분리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6527A true KR20200056527A (ko) 2020-05-25
KR102210647B1 KR102210647B1 (ko) 2021-02-03

Family

ID=70914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9968A KR102210647B1 (ko) 2018-11-14 2018-11-14 높이변경이 가능한 도로의 중앙분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06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06921A (zh) * 2021-06-23 2021-09-17 哈尔滨工业大学 一种交互式可升降中央分隔带及其控制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8116Y1 (ko) * 2000-07-21 2000-12-15 보람엔지니어링주식회사 도로 및 터널 분리대 충격 완화장치
KR100594892B1 (ko) 2006-03-30 2006-06-30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우수저장이 가능한 친환경 도로 중앙분리대
KR100608932B1 (ko) * 2006-04-14 2006-08-03 보람엔지니어링주식회사 에어를 이용한 가변식 도로 중앙 분리봉
KR101104084B1 (ko) * 2011-06-10 2012-01-11 (주) 충청에스엔지 측량용 기준점을 가지는 개선된 도로 중앙분리대용 비상유턴장치
KR20120041188A (ko) * 2012-04-10 2012-04-30 (주)에스알디코리아 경보기능을 가지는 중앙분리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8116Y1 (ko) * 2000-07-21 2000-12-15 보람엔지니어링주식회사 도로 및 터널 분리대 충격 완화장치
KR100594892B1 (ko) 2006-03-30 2006-06-30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우수저장이 가능한 친환경 도로 중앙분리대
KR100608932B1 (ko) * 2006-04-14 2006-08-03 보람엔지니어링주식회사 에어를 이용한 가변식 도로 중앙 분리봉
KR101104084B1 (ko) * 2011-06-10 2012-01-11 (주) 충청에스엔지 측량용 기준점을 가지는 개선된 도로 중앙분리대용 비상유턴장치
KR20120041188A (ko) * 2012-04-10 2012-04-30 (주)에스알디코리아 경보기능을 가지는 중앙분리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06921A (zh) * 2021-06-23 2021-09-17 哈尔滨工业大学 一种交互式可升降中央分隔带及其控制方法
CN113406921B (zh) * 2021-06-23 2021-11-26 哈尔滨工业大学 一种交互式可升降中央分隔带及其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0647B1 (ko) 2021-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52342B2 (en) Flood protection for underground air vents
KR102304842B1 (ko) 승하강식 월류 차단 구조물
US20190197892A1 (en) Flood warning system and process for detecting a level of water in a waterway
CN207499107U (zh) 一种城市道路应急排水装置
KR102301082B1 (ko) 차수장치, 진출입 차단 게이트장치, 스마트 볼라드장치 및 타이어 킬러 타입 차량진입 차단장치를 통합 관리 및 제어하는 광역 안전시스템
KR20200056527A (ko) 높이변경이 가능한 도로의 중앙분리대
KR101973643B1 (ko) 진입로 출입 통제용 게이트장치
KR100970234B1 (ko) 비상시 상승 높이가 제어되는 매설형 바리케이드 및 그 제어방법
KR102244749B1 (ko) 월류 방지용 승강 차폐부를 구비한 중앙분리대
KR101463398B1 (ko) 터널 조명제어 시스템 및 그 조명제어방법
KR20110007092U (ko) 도로용 가변차선 표시장치
CN106498962B (zh) 浅层地下集水排水系统及施工方法
CN111576586A (zh) 地下车库防淹排涝系统
KR100608932B1 (ko) 에어를 이용한 가변식 도로 중앙 분리봉
KR102023410B1 (ko) 속도감응식 과속방지시스템
JP6668177B2 (ja) トンネル内消火栓設備
KR101193373B1 (ko) 방향 안내장치를 미리 안내하는 기능을 갖는 승하강장치
KR101188986B1 (ko) 안전 발판부가 구비된 지하매설 작업탱크용 진입커버
KR102237142B1 (ko) 차량통행 지시기능 및 휴게시설을 갖춘 싸인보드 차량시스템
KR100740082B1 (ko) 보행자를 위한 횡단보도 안전장치
CN113737718A (zh) 公路隧道建筑自动防洪装置
CN111341118A (zh) 一种在特大桥上对团雾进行预警的系统和方法
CN220709580U (zh) 应用于隧道的水位控制装置
CN220120202U (zh) 一种城市下穿桥内涝监测防护装置
KR102295773B1 (ko) 수위 확인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침수 경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