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7142B1 - 차량통행 지시기능 및 휴게시설을 갖춘 싸인보드 차량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통행 지시기능 및 휴게시설을 갖춘 싸인보드 차량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7142B1
KR102237142B1 KR1020200123652A KR20200123652A KR102237142B1 KR 102237142 B1 KR102237142 B1 KR 102237142B1 KR 1020200123652 A KR1020200123652 A KR 1020200123652A KR 20200123652 A KR20200123652 A KR 20200123652A KR 102237142 B1 KR102237142 B1 KR 102237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upport
boom
rest
traff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3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현국
신인우
Original Assignee
연후산업 주식회사
신인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후산업 주식회사, 신인우 filed Critical 연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23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71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7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7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25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the object being a shop, cafeteria or display the object being a theatre or stage
    • B60P3/0255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the object being a shop, cafeteria or display the object being a theatre or stage the object being a display, i.e. for display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1/00Mobile visual advertising
    • G09F21/04Mobile visual advertising by land vehicles
    • G09F21/048Advertisement panels on sides, front or back of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통행 지시기능 및 휴게시설을 갖춘 싸인보드 차량시스템에 관련되며, 이는 지원차량에 탑재되어 회의, 휴식, 취사 및 용변을 해결할 수 있는 이동식 휴게시설을 제공함과 더불어 도로 공사구간으로 접근하는 통행차량 측으로 통행지시정보를 정확하게 전달하여 대형 충돌사고를 미연에 예방하고, 특히, 확장거치부에 의해 통행지시정보 전달 영역이 도로 폭 및 길이방향으로 확대되어 운전자가 먼 거리에서도 작업상황을 효과적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휴게룸(10), 고정식 표식부(20), 확장거치부(30), 유동식 표식부(40)를 주요구성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통행 지시기능 및 휴게시설을 갖춘 싸인보드 차량시스템 {Signboard vehicle system with vehicle traffic indication function and rest facility}
본 발명은 차량통행 지시기능 및 휴게시설을 갖춘 싸인보드 차량시스템에 관련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지원차량에 탑재되어 회의, 휴식, 간단한 취사 및 용변을 해결할 수 있는 이동식 휴게시설을 제공함과 더불어 도로 공사구간으로 접근하는 통행차량 측으로 통행지시정보를 정확하게 전달하여 대형 충돌사고를 미연에 예방하고, 특히, 확장거치부에 의해 통행지시정보 전달 영역이 도로 폭 및 길이방향으로 확대되어 운전자가 먼 거리에서도 작업상황을 효과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차량통행 지시기능 및 휴게시설을 갖춘 싸인보드 차량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싸인보드 차량은 고속도로나 일반도로에서 일시적으로 차량통제나 차량유도가 필요한 경우, 차량 또는 통행자가 작업 장소를 우회하도록 방향을 지시 또는 유도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려는 것으로, 고속도로 등과 같이 차량이 고속으로 주행하는 경우, 고속으로 주행하는 차량이 신속하게 공사현장을 우회하여 통과할 수 있도록 우회방향을 지시 또는 유도함으로써 공사현장으로 차량이 진입하여 작업자 또는 지원차량과의 충돌 등의 사고 발생을 미연에 차단하는데 널리 이용된다.
하지만, 싸인보드 차량에 탑재된 싸인보드 지시등을 이용하여 우회방향을 안내하는 방식의 특성상, 고속주행 차량의 경우 싸인보드 차량에 일정 거리까지 접근해야만 싸인보드의 신호를 인지할 수 있고, 이러한 시인성 저하로 공사 중 교통사고가 비일비재하게 발생되고 있다.
이에 종래에 개시된 등록특허 10-1719099호에서, 싸인보드의 좌측부 및 우측부 각각에 배치되는 한 쌍의 ㄷ형 장착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ㄷ형 장착프레임 각각의 외면을 따라 배치되는 한 쌍의 ㄷ형 외측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ㄷ형 외측프레임 각각의 외면을 따라 배치되는 한 쌍의 ㄷ형 지지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ㄷ형 외측프레임 각각을 상기 한 쌍의 ㄷ형 지지프레임 각각에 대하여 상하 구동시키고, 상기 한 쌍의 ㄷ형 장착프레임을 상기 한 쌍의 ㄷ형 외측프레임 각각에 대하여 상하 구동시키는 다단실린더부를 포함하는 기술이 선 등록된바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간명한 구조로 싸인보드의 다단 승하강이 가능하여 시인성이 향상된 싸인보드승강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나, 싸인보드가 상방향으로 높게 돌출되더라도 원거리 차량에 대한 시인성 개선에 한계가 따랐다.
한편, 고속도로 등과 같이 차량이 고속으로 주행하는 장소에서 장시간 공사를 진행함에 따라 작업자의 피로도가 상당하고, 그럼에도 도로라는 장소적 특성상 잠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공간마저 마련되지 못하여 피로누적에 따른 안전사고 발생률이 해마다 증가하는 폐단이 따랐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 된 것으로서, 지원차량에 탑재되어 회의, 휴식, 취사 및 용변을 해결할 수 있는 이동식 휴게시설을 제공함과 더불어 도로 공사구간으로 접근하는 통행차량 측으로 통행지시정보를 정확하게 전달하여 대형 충돌사고를 미연에 예방하고, 특히, 확장거치부에 의해 통행지시정보 전달 영역이 도로 폭 및 길이방향으로 확대되어 운전자가 먼거리에서도 작업상황을 효과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차량통행 지시기능 및 휴게시설을 갖춘 싸인보드 차량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특징은, 지원차량(1)에 탑재되고, 내부에 휴게시설(12)이 구비되는 휴게룸(10); 상기 지원차량(1) 후방에 설치되어, 통행지시정보를 전달하도록 구비되는 고정식 표식부(20); 상기 지원차량(1)에 탑재되어 종축(32)을 중심으로 선회각도, 높낮이 조절 및 복수의 붐대(34)에 의해 길이 조절되도록 구비되는 확장거치부(30); 및 상기 확장거치부(30)의 붐대(34)에 설치되어, 통행지시정보를 전달하도록 구비되는 유동식 표식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휴게룸(10)은 내부에 테이블, 의자, 침대, 탕비실, 회장실, 세면대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선택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식 표식부(20)는, 통행지시정보를 문자로 전달하는 전광판(21), 통행지시정보를 램프 출력으로 표시하는 지시등(22) 중 적어도 1종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동식 표식부(40)는 각각의 붐대(34)에 복수로 설치되고, 상기 붐대(34)가 확장시, 이웃하는 유동식 표식부(40) 간에 간격이 이격되면서 지원차량(1)을 기준으로 단계적으로 거리가 멀어지는 위치에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원차량(1)이 도로의 통행 방향으로 정차된 상태로, 확장거치부(30)의 붐대(34)가 도로 폭방향으로 확장되고, 각각의 붐대(34)에 설치되는 복수의 유동식 표식부(40)는 각각의 차선영역(2) 상부에 위치되며, 각각의 차선영역(2)에 대한 통행지시정보는 그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유동식 표식부(40)를 통하여 전달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원차량(1)이 도로의 통행 방향으로 정차된 상태로, 확장거치부(30)의 붐대(34)가 지원차량(1) 후방으로 확장되고, 붐대(34) 말단에 설치되는 유동식 표식부(40)는 지원차량(1)이 정차된 차선영역(2) 후방으로 이격 배치되어, 지원차량(1)이 정차된 차선영역에 대한 통행지시정보를 전달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동식 표식부(40)에 빔출력부(50)가 설치되고, 상기 빔출력부(50)는 도로 표면에 통행지시정보 광원을 출력하여 표식부(52)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동식 표식부(40)에 단속카메라(60)가 설치되고, 상기 단속카메라(60)는 유동식 표식부(40)를 통하여 출력되는 통행지시정보를 위반하는 통행차량(C)을 촬영하여 단속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붐대(34) 말단에 설치되어 판상 베이스광원을 상향 출력하는 베이스광출력부(70)가 구비되고, 다른 붐대(34)에 설치되어 판상 베이스광원 측으로 광원을 출력하여, 판상 베이스광원과의 광원 교차점을 이용하여 통행지시정보를 표시하는 통행지시정보광출력부(7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원차량(1)이 도로의 통행 방향으로 정차된 상태로, 확장거치부(30)의 붐대(34)가 지원차량(1) 후방으로 확장되고, 상기 붐대(34) 말단에 설치되어 지원차량(1) 후방 영역의 통행차량(C)을 감지 및 지원차량(1)을 기준으로 이동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부(80)가 구비되며, 상기 붐대(34) 말단에 설치되어 도로면으로 통행지시정보 광원을 출력하여 표식부(52)를 형성하는 빔출력부(50)가 구비되고, 상기 빔출력부(50)는 제어부에 의해 거리측정부(80)를 통하여 검출된 통행차량(C) 거릿값을 기반으로 힌지를 축으로 구동부에 의해 선회각도가 제어되어 통행차량(C) 위치 대비 1~5m 전방 도로면에 표식부(52)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원차량(1)이 도로의 통행 방향으로 정차된 상태로, 확장거치부(30)의 붐대(34)가 지원차량(1) 후방으로 확장되고, 상기 붐대(34) 말단에 설치되어 지원차량(1)을 기준으로 설정까지 통행차량(C)이 근접시 이를 감지하는 감지부(90)가 구비되며,
상기 휴게룸(10)은 지원차량(1)에 탑재된 상태로 복수의 링크바(100)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링크바(100)는 일단이 휴게룸(10) 저면에 힌지(110)로 결합되며, 다른 일단은 지원차량(1) 상부에 힌지(110)로 결합되어, 휴게룸(10) 자체 중량에 의해 링크바(100) 선회반경을 따라 지원차량(1) 후방으로 선회되어 지원차량(1)에 안착되고,
상기 휴게룸(10) 후방 하단에 지지축(122)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하게 설치되는 충격흡수패널(120)이 구비되고, 충격흡수패널(120) 일면에 에어백(130)이 설치되며, 상기 에어백(130)은 상기 감지부(90)를 통하여 통행차량(C)이 감지되는 순간 on 작동되어 펼쳐지도록 구비되며, 충격흡수패널(120)과 대응하는 휴게룸(10) 저면에 충격흡수쇼바(140)가 설치되고,
상기 통행차량(C)이 지원차량(1)으로 충돌하는 경우, 에어백(130)이 펼쳐진 상태로 통행차량(C) 충격을 1차 흡수하고, 이어서 충격흡수패널(120)이 지지축(122)을 중심으로 선회되면서 통행차량(C) 충격을 2차 흡수하며, 이후 통행차량(C) 충격 하중에 의해 휴게룸(10)이 링크바(100) 선회반경을 따라 상향 이동되면서 통행차량(C) 충격을 3차 흡수하고,
상기 복수의 링크바(100)는 연결대(102)에 의해 연계작동되도록 연결되어, 휴게룸(10)이 상향 이동시 수평상태가 유지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발명은 지원차량에 탑재되어 회의, 휴식, 간단한 취사 및 용변을 해결할 수 있는 이동식 휴게시설을 제공함과 더불어 도로 공사구간으로 접근하는 통행차량 측으로 통행지시정보를 정확하게 전달하여 대형 충돌사고를 미연에 예방하고, 특히, 확장거치부에 의해 통행지시정보 전달 영역이 도로 폭 및 길이방향으로 확대되어 운전자가 먼 거리에서도 작업상황을 효과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차량통행 지시기능 및 휴게시설을 갖춘 싸인보드 차량시스템을 정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차량통행 지시기능 및 휴게시설을 갖춘 싸인보드 차량시스템을 측면 몇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차량통행 지시기능 및 휴게시설을 갖춘 싸인보드 차량시스템의 휴게룸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차량통행 지시기능 및 휴게시설을 갖춘 싸인보드 차량시스템의 도로 폭방향 확장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차량통행 지시기능 및 휴게시설을 갖춘 싸인보드 차량시스템의 도로 길이방향 확장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차량통행 지시기능 및 휴게시설을 갖춘 싸인보드 차량시스템의 빔출력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차량통행 지시기능 및 휴게시설을 갖춘 싸인보드 차량시스템의 단속카메라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차량통행 지시기능 및 휴게시설을 갖춘 싸인보드 차량시스템의 베이스광출력부와 통행지시정보광출력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차량통행 지시기능 및 휴게시설을 갖춘 싸인보드 차량시스템의 거리측정부와 빔출력부의 연계작동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차량통행 지시기능 및 휴게시설을 갖춘 싸인보드 차량시스템을 정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차량통행 지시기능 및 휴게시설을 갖춘 싸인보드 차량시스템을 측면 몇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차량통행 지시기능 및 휴게시설을 갖춘 싸인보드 차량시스템에 관련되며, 이는 지원차량에 탑재되어 회의, 휴식, 취사 및 용변을 해결할 수 있는 이동식 휴게시설을 제공함과 더불어 도로 공사구간으로 접근하는 통행차량 측으로 통행지시정보를 정확하게 전달하여 대형 충돌사고를 미연에 예방하고, 특히, 확장거치부에 의해 통행지시정보 전달 영역이 도로 폭 및 길이방향으로 확대되어 운전자가 먼 거리에서도 작업상황을 효과적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휴게룸(10), 고정식 표식부(20), 확장거치부(30), 유동식 표식부(40)를 주요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게룸(10)은 지원차량(1)에 탑재되고, 내부에 휴게시설(12)이 구비된다. 휴게룸(10)은 컨테이너형태로 모듈화되어, 적재함이 구비된 지원차량(1)에 착탈식으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휴게룸(10)은 도 3과 같이 내부에 테이블, 의자, 침대, 탕비실, 회장실, 세면대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선택적으로 구비된다. 여기서 테이블, 의자, 침대를 포함하는 구성은 접이식으로 구비되어 상황에 따라 휴게실 내부 공간을 회의실, 취침실을 포함하는 다양한 용도로 이용하게 된다.
한편, 상기 휴게룸(10) 벽면에는 창문이 설치되고, 지붕에는 어닝이 설치되어 여름철 햇볕을 차단하는 그늘을 제공한다. 또, 상기 지원차량(1) 전방에는 쐐기가 설치되어 구동부에 의해 지면에 접지된 상태로 정차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고, 상부에 조명등 및 지향성 스피커가 설치되며, 어느 일측에는 작업장비를 보관하는 창고공간을 형성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정식 표식부(20)는 상기 지원차량(1) 후방에 설치되어, 통행지시정보를 전달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고정식 표식부(20)는, 통행지시정보를 문자로 전달하는 전광판(21), 통행지시정보를 램프 출력으로 표시하는 지시등(22) 중 적어도 1종 이상으로 구성된다. 도 2 (a)에서 고정식 표식부(20)는 지원차량(1)의 후방에 통행지시정보를 문자로 전달하는 전광판(21) 및 통행지시정보를 화살표로 표시하는 지시등(22)이 복합적으로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확장거치부(30)는 상기 지원차량(1)에 탑재되어 종축(32)을 중심으로 선회각도, 높낮이 조절 및 복수의 붐대(34)에 의해 길이 조절되도록 구비된다. 종축(32)은 하단부가 지원차량(1)에 고정되어 상하방향으로 신축조절됨과 더불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복수의 붐대(34) 중 어느 하나는 종축(32) 상단부에 연결되어 각도조절되면서 다른 이웃하는 붐대(34)들과 삽입식으로 연결되어 신축길이 조절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동식 표식부(40)는 상기 확장거치부(30)의 붐대(34)에 설치되어, 통행지시정보를 전달하도록 구비된다. 유동식 표식부(40)는 지원차량(1) 정차 위치 및 도로유형, 공사위치를 포함하는 현장 상황을 고려하여 유동식 표식부(40)에 의해 설치 위치 및 통행지시정보 전달 방식이 결정되는바, 이에 따른 유동식 표식부(40)를 이용한 다양한 유형의 통행지시정보 전달 방식은 후술하는 도 4 내지 9를 참조한다.
도 4에서, 상기 유동식 표식부(40)는 각각의 붐대(34)에 복수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붐대(34)가 확장시, 이웃하는 유동식 표식부(40) 간에 간격이 이격되면서 지원차량(1)을 기준으로 단계적으로 거리가 멀어지는 위치에 이격 배치된다.
일예로서, 도 4와 같이 상기 지원차량(1)이 도로의 통행 방향으로 정차된 상태로, 확장거치부(30)의 붐대(34)가 도로 폭방향으로 확장된다.
그리고, 각각의 붐대(34)에 설치되는 복수의 유동식 표식부(40)는 각각의 차선영역(2) 상부에 위치되며, 각각의 차선영역(2)에 대한 통행지시정보는 그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유동식 표식부(40)를 통하여 전달되도록 구비된다.
이에 도로가 2차선 이상인 경우, 각각의 유동식 표식부(40)가 각각의 차선영역(2) 상부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통행이 가능한 차선영역(2)과 통행 불가한 차선영역(2)을 정확하게 표시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차선영역(2) 별로 통행 여부를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일시 예로서, 도 5와 같이 상기 지원차량(1)이 도로의 통행 방향으로 정차된 상태로, 확장거치부(30)의 붐대(34)가 지원차량(1) 후방으로 확장된다.
그리고, 상기 붐대(34) 말단에 설치되는 유동식 표식부(40)는 지원차량(1)이 정차된 차선영역(2) 후방으로 이격 배치되어, 지원차량(1)이 정차된 차선영역에 대한 통행지시정보를 전달되도록 구비된다.
이에 상기 유동식 표식부(40)는 지원차량(1) 후방으로 이격 배치되어 통행차량(C)이 지원차량(1)에 접근하기 이전에 통행지시정보의 식별이 가능하게 된다.
도 6에서, 상기 유동식 표식부(40)에 빔출력부(50)가 설치되고, 상기 빔출력부(50)는 도로 표면에 통행지시정보 광원을 출력하여 표식부(52)를 형성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표식부(52)는 'X'형으로 통행금지표시, '<-'형으로 통행 가능 표시는 물론 '차선변경, 서행, 위험'을 포함하는 문자로 출력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에 통행차량(C) 운전자가 운전 중에 고정식 표식부(20), 유동식 표식부(40)를 인지하더라도, 빔출력부(50)에 의해 도로 표면에 출력되는 표식부(52)를 이용하여 통행지시정보를 식별하여 교통사고를 예방하게 된다.
도 7에서, 상기 유동식 표식부(40)에 단속카메라(60)가 설치되고, 상기 단속카메라(60)는 유동식 표식부(40)를 통하여 출력되는 통행지시정보를 위반하는 통행차량(C)을 촬영하여 단속하도록 구비된다.
일예로서, 상기 유동식 표식부(40)에 의해 어느 하나의 차선구간(2)이 통행금지로 표시된 상황에서, 이를 무수하고 통행차량(C)이 이동하는 경우, 이를 촬영하여 통행지시정보 위반으로 패널치를 부가하게 된다.
도 8에서, 상기 붐대(34) 말단에 설치되어 판상 베이스광원을 상향 출력하는 베이스광출력부(70)가 구비되고, 다른 붐대(34)에 설치되어 판상 베이스광원 측으로 광원을 출력하여, 판상 베이스광원과의 광원 교차점을 이용하여 통행지시정보를 표시하는 통행지시정보광출력부(72)를 포함한다.
이에 상기 베이스광출력부(70)에 의해 형성되는 판상 베이스광원 사이즈에 따라 통행지시정보를 표시사이즈가 확장됨에 따라 원거리에서도 도로 작업 위치 식별 및 교통상황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9에서, 상기 지원차량(1)이 도로의 통행 방향으로 정차된 상태로, 확장거치부(30)의 붐대(34)가 지원차량(1) 후방으로 확장되고, 상기 붐대(34) 말단에 설치되어 지원차량(1) 후방 영역의 통행차량(C)을 감지 및 지원차량(1)을 기준으로 이동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부(8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붐대(34) 말단에 설치되어 도로면으로 통행지시정보 광원을 출력하여 표식부(52)를 형성하는 빔출력부(50)가 구비된다.
상기 빔출력부(50)는 제어부에 의해 거리측정부(80)를 통하여 검출된 통행차량(C) 거릿값을 기반으로 힌지를 축으로 구동부에 의해 선회각도가 제어되어 통행차량(C) 위치 대비 1~5m 전방 도로면에 표식부(52)를 형성하도록 구비된다.
이에 상기 표식부(52)가 통행차량(C)을 따라 이동하면서 통행지시정보를 제공하여 시인성을 높이고, 특히, 통행차량(C)이 과속 중이거나, 전방에 지원차량(1)이 정차상태임으로 이를 인지하지 못하고 접근하는 차량에게 지속적으로 통행지시정보가 전달되어 운전자 부주의로 인한 교통사고를 방지하게 된다.
도 10에서, 상기 지원차량(1)이 도로의 통행 방향으로 정차된 상태로, 확장거치부(30)의 붐대(34)가 지원차량(1) 후방으로 확장되고, 상기 붐대(34) 말단에 설치되어 지원차량(1)을 기준으로 설정까지 통행차량(C)이 근접시 이를 감지하는 감지부(90)가 구비된다.
상기 휴게룸(10)은 지원차량(1)에 탑재된 상태로 복수의 링크바(100)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링크바(100)는 일단이 휴게룸(10) 저면에 힌지(110)로 결합되며, 다른 일단은 지원차량(1) 상부에 힌지(110)로 결합되어, 휴게룸(10) 자체 중량에 의해 링크바(100) 선회반경을 따라 지원차량(1) 후방으로 선회되어 지원차량(1)에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휴게룸(10) 후방 하단에 지지축(122)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하게 설치되는 충격흡수패널(120)이 구비되고, 충격흡수패널(120) 일면에 에어백(130)이 설치되며, 상기 에어백(130)은 상기 감지부(90)를 통하여 통행차량(C)이 감지되는 순간 on 작동되어 펼쳐지도록 구비되며, 충격흡수패널(120)과 대응하는 휴게룸(10) 저면에 충격흡수쇼바(140)가 설치된다.
이에 상기 통행차량(C)이 지원차량(1)으로 충돌하는 경우, 에어백(130)이 펼쳐진 상태로 통행차량(C) 충격을 1차 흡수하고, 이어서 충격흡수패널(120)이 지지축(122)을 중심으로 선회되면서 통행차량(C) 충격을 2차 흡수하며, 이후 통행차량(C) 충격 하중에 의해 휴게룸(10)이 링크바(100) 선회반경을 따라 상향 이동되면서 통행차량(C) 충격을 3차 흡수하고, 상기 복수의 링크바(100)는 연결대(102)에 의해 연계작동되도록 연결되어, 휴게룸(10)이 상향 이동시 수평상태가 유지되도록 구비됨에 따라 휴게룸(10)에 탑승한 작업자의 안전이 확보된다.
10: 휴게룸 20: 고정식 표식부
30: 확장거치부 40: 유동식 표식부

Claims (11)

  1. 지원차량(1)에 탑재되고, 내부에 휴게시설(12)이 구비되는 휴게룸(10); 상기 지원차량(1) 후방에 설치되어, 통행지시정보를 전달하도록 구비되는 고정식 표식부(20); 상기 지원차량(1)에 탑재되어 종축(32)을 중심으로 선회각도, 높낮이 조절 및 복수의 붐대(34)에 의해 길이 조절되도록 구비되는 확장거치부(30); 및 상기 확장거치부(30)의 붐대(34)에 설치되어, 통행지시정보를 전달하도록 구비되는 유동식 표식부(40);를 포함하고,
    상기 유동식 표식부(40)는 각각의 붐대(34)에 복수로 설치되고, 상기 붐대(34)가 확장시, 이웃하는 유동식 표식부(40) 간에 간격이 이격되면서 지원차량(1)을 기준으로 단계적으로 거리가 멀어지는 위치에 이격 배치되며,
    상기 지원차량(1)이 도로의 통행 방향으로 정차된 상태로, 확장거치부(30)의 붐대(34)가 지원차량(1) 후방으로 확장되고, 붐대(34) 말단에 설치되는 유동식 표식부(40)는 지원차량(1)이 정차된 차선영역(2) 후방으로 이격 배치되어, 지원차량(1)이 정차된 차선영역에 대한 통행지시정보를 전달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지원차량(1)이 도로의 통행 방향으로 정차된 상태로, 확장거치부(30)의 붐대(34)가 지원차량(1) 후방으로 확장되고, 상기 붐대(34) 말단에 설치되어 지원차량(1)을 기준으로 설정까지 통행차량(C)이 근접시 이를 감지하는 감지부(90)가 구비되며,
    상기 휴게룸(10)은 지원차량(1)에 탑재된 상태로 복수의 링크바(100)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링크바(100)는 일단이 휴게룸(10) 저면에 힌지(110)로 결합되며, 다른 일단은 지원차량(1) 상부에 힌지(110)로 결합되어, 휴게룸(10) 자체 중량에 의해 링크바(100) 선회반경을 따라 지원차량(1) 후방으로 선회되어 지원차량(1)에 안착되고,
    상기 휴게룸(10) 후방 하단에 지지축(122)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하게 설치되는 충격흡수패널(120)이 구비되고, 충격흡수패널(120) 일면에 에어백(130)이 설치되며, 상기 에어백(130)은 상기 감지부(90)를 통하여 통행차량(C)이 감지되는 순간 on 작동되어 펼쳐지도록 구비되며, 충격흡수패널(120)과 대응하는 휴게룸(10) 저면에 충격흡수쇼바(140)가 설치되고,
    상기 통행차량(C)이 지원차량(1)으로 충돌하는 경우, 에어백(130)이 펼쳐진 상태로 통행차량(C) 충격을 1차 흡수하고, 이어서 충격흡수패널(120)이 지지축(122)을 중심으로 선회되면서 통행차량(C) 충격을 2차 흡수하며, 이후 통행차량(C) 충격 하중에 의해 휴게룸(10)이 링크바(100) 선회반경을 따라 상향 이동되면서 통행차량(C) 충격을 3차 흡수하고,
    상기 복수의 링크바(100)는 연결대(102)에 의해 연계작동되도록 연결되어, 휴게룸(10)이 상향 이동시 수평상태가 유지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통행 지시기능 및 휴게시설을 갖춘 싸인보드 차량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게룸(10)은 내부에 테이블, 의자, 침대, 탕비실, 회장실, 세면대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선택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통행 지시기능 및 휴게시설을 갖춘 싸인보드 차량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식 표식부(20)는, 통행지시정보를 문자로 전달하는 전광판(21), 통행지시정보를 램프 출력으로 표시하는 지시등(22) 중 적어도 1종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통행 지시기능 및 휴게시설을 갖춘 싸인보드 차량시스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원차량(1)이 도로의 통행 방향으로 정차된 상태로, 확장거치부(30)의 붐대(34)가 도로 폭방향으로 확장되고, 각각의 붐대(34)에 설치되는 복수의 유동식 표식부(40)는 각각의 차선영역(2) 상부에 위치되며, 각각의 차선영역(2)에 대한 통행지시정보는 그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유동식 표식부(40)를 통하여 전달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통행 지시기능 및 휴게시설을 갖춘 싸인보드 차량시스템.
  6. 삭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식 표식부(40)에 빔출력부(50)가 설치되고, 상기 빔출력부(50)는 도로 표면에 통행지시정보 광원을 출력하여 표식부(52)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통행 지시기능 및 휴게시설을 갖춘 싸인보드 차량시스템.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식 표식부(40)에 단속카메라(60)가 설치되고, 상기 단속카메라(60)는 유동식 표식부(40)를 통하여 출력되는 통행지시정보를 위반하는 통행차량(C)을 촬영하여 단속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통행 지시기능 및 휴게시설을 갖춘 싸인보드 차량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붐대(34) 말단에 설치되어 판상 베이스광원을 상향 출력하는 베이스광출력부(70)가 구비되고, 다른 붐대(34)에 설치되어 판상 베이스광원 측으로 광원을 출력하여, 판상 베이스광원과의 광원 교차점을 이용하여 통행지시정보를 표시하는 통행지시정보광출력부(7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통행 지시기능 및 휴게시설을 갖춘 싸인보드 차량시스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원차량(1)이 도로의 통행 방향으로 정차된 상태로, 확장거치부(30)의 붐대(34)가 지원차량(1) 후방으로 확장되고, 상기 붐대(34) 말단에 설치되어 지원차량(1) 후방 영역의 통행차량(C)을 감지 및 지원차량(1)을 기준으로 이동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부(80)가 구비되며, 상기 붐대(34) 말단에 설치되어 도로면으로 통행지시정보 광원을 출력하여 표식부(52)를 형성하는 빔출력부(50)가 구비되고, 상기 빔출력부(50)는 제어부에 의해 거리측정부(80)를 통하여 검출된 통행차량(C) 거릿값을 기반으로 힌지를 축으로 구동부에 의해 선회각도가 제어되어 통행차량(C) 위치 대비 1~5m 전방 도로면에 표식부(52)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통행 지시기능 및 휴게시설을 갖춘 싸인보드 차량시스템.
  11. 삭제
KR1020200123652A 2020-09-24 2020-09-24 차량통행 지시기능 및 휴게시설을 갖춘 싸인보드 차량시스템 KR102237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652A KR102237142B1 (ko) 2020-09-24 2020-09-24 차량통행 지시기능 및 휴게시설을 갖춘 싸인보드 차량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652A KR102237142B1 (ko) 2020-09-24 2020-09-24 차량통행 지시기능 및 휴게시설을 갖춘 싸인보드 차량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7142B1 true KR102237142B1 (ko) 2021-04-07

Family

ID=75469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3652A KR102237142B1 (ko) 2020-09-24 2020-09-24 차량통행 지시기능 및 휴게시설을 갖춘 싸인보드 차량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71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0130B1 (ko) * 2022-07-19 2023-04-11 주식회사 제다코리아 도로 공사용 라바콘 이송차량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8106U (ja) * 1993-04-16 1994-11-01 株式会社日昭工業 工事支援用移動事務所車
KR20110027878A (ko) * 2009-09-11 2011-03-17 이명수 차량용 비상 표시 장치
KR102124059B1 (ko) * 2019-10-08 2020-06-17 주식회사 대경기술산업 도로 공사용 안내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8106U (ja) * 1993-04-16 1994-11-01 株式会社日昭工業 工事支援用移動事務所車
KR20110027878A (ko) * 2009-09-11 2011-03-17 이명수 차량용 비상 표시 장치
KR102124059B1 (ko) * 2019-10-08 2020-06-17 주식회사 대경기술산업 도로 공사용 안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0130B1 (ko) * 2022-07-19 2023-04-11 주식회사 제다코리아 도로 공사용 라바콘 이송차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77268B (zh) 引导式高速公路防雾系统
KR102237142B1 (ko) 차량통행 지시기능 및 휴게시설을 갖춘 싸인보드 차량시스템
CN205975405U (zh) 一种可调道路限高装置
KR102539862B1 (ko) 터널진입차단장치
KR200255636Y1 (ko) 횡단보도 보행자 교통안전 보호장치
EP3431661A1 (en) Structure for supporting an information or surveillance device above a road
KR20130000173U (ko) 통합형 도로교통 시설물
CN106812074B (zh) 公路路侧安全与噪声综合防护体系
KR102537705B1 (ko) 차량 진입 제한 시스템
KR102546590B1 (ko) 차량용 세이프티 싸인보드시스템
KR100921250B1 (ko) 도로용 표지장치
CN210122694U (zh) 一种道路桥梁用限高装置
CN206942320U (zh) 一种跨铁路连续梁施工安全防护栏
CN108266020B (zh) 一种空中停车装置
KR20210110017A (ko) 공영주차장 안전관리 시스템
CN214194215U (zh) 一种市政工程用维修管道警示牌
KR20200014058A (ko) 안전 휀스
CN215888050U (zh) 一种防撞雨布升降装置
CN217467843U (zh) 一种占道钻探施工防撞报警装置
KR102662706B1 (ko) 전도방지를 위한 공사안내판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공사안내판
KR102617054B1 (ko) 과속방지턱 규격 측정장치
CN208136752U (zh) 一种道路桥梁施工用安全警示装置
CN111476998B (zh) 可移动交通指挥装置及无人车
KR200281801Y1 (ko) 공이감지봉을 이용한 차량 통행 도로 높이제한 확인장치
CN219973017U (zh) 一种管廊架限高防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