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6433A - 차량 통행 통제 설비 및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통행 통제 설비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6433A
KR20190036433A KR1020180000135A KR20180000135A KR20190036433A KR 20190036433 A KR20190036433 A KR 20190036433A KR 1020180000135 A KR1020180000135 A KR 1020180000135A KR 20180000135 A KR20180000135 A KR 20180000135A KR 20190036433 A KR20190036433 A KR 201900364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active
bollard
upper plate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0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9840B1 (ko
Inventor
박봉용
석 영 정
이동수
Original Assignee
(주)에스디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디시스템 filed Critical (주)에스디시스템
Publication of KR20190036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64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9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9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8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by swinging into closed position about a transverse axis situated in the road surface, e.g. tiltable sections of the road surface, tiltable parking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12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for forcibly arresting or disabling vehicles, e.g. spiked ma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상에서 역방향 진입 차량을 선별적으로 차단하는 등의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본 발명은 역방향 진입차량을 물리적인 장해물로 차단하되 상기 차단된 상태에서도 정방향으로 진행하는 차량에게는 장해 요소로 작용하지 않는 편방향 통행 제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차량의 역방향 진입을 감지하는 역주행감지부; 도로상에 설치되어 평상시에는 양방통행로를 제공하되 차량의 역방향 진입을 감지한 상태에서 스토퍼를 작동하면 자체 탄성력으로 도로를 편방향으로 차단하는 액티브형 역주행차단부; 상기 역주행감지부와 역주행차단부를 연동하되 차량의 역방향 진입 상태를 선별적으로 감지하여 상기 역주행차단부를 트리거 하는 등의 실시예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정방향 진행차량에는 장해요소로 영향을 주지 않음으로써 소음이 방지되고, 기구장치의 수명이 극대화 연장되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역방향 진입차량을 선별하는 센서 기능에서 오작동이 일어나더라도 순방향 진행차량에게는 위해를 주지 않아 불의의 안전사고를 적극적으로 예방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차량 통행 통제 설비 및 장치{Vehicle traffic controlling system and device}
본 발명은 도로상에서 역방향 진입 차량을 선별적으로 차단하거나 정문에서 검문대상의 차량을 선별적으로 정지시키기 위한 장치 기술이다. 본 발명은 휴게소의 진출·진입 지점, 일방통행 도로의 진입 지점 및 군부대 등 중요기관의 정문에서 차량 진출입 통제용으로 활용될 수 있다.
편도 일방으로 구획된 도로에 차량이 역방향으로 비정상 진입하면 정상적으로 주행하는 차량과 정면으로 충돌할 위험이 있다. 특히 고속도로에서는 휴게소를 나온 차량이 잘못하여 역방향으로 진입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일단 역방향으로 진입을 한 후에는 유턴할 방법이 없으므로 램프 등 도로의 초입에 역방향 진입을 방지하기 위한 고려가 필요하다.
이에 관하여 종래는 도로의 램프에 진입불가를 안내하는 교통표지판을 설치하거나 차량이 역방향으로 도로에 진입할 때 섬광 내지 경고음을 울리는 정도의 소극적인 대안이 제시되어 왔다. 하지만 섬광을 터트린다거나, 경고 문구를 표출 한다거나, 경고음을 울린다거나 표지판을 설치하는 간접적인 방법으로는 차량의 역방향 도로 진입을 근본적으로 막을 수는 없어, 차량의 진입을 물리적으로 직접 막기 위한 적극적인 방안은 아직 미지의 기술로 남아 있다.
이 분야에 패시브 타입(도 1 참조)의 플립을 적용하는 것을 생각해 보면, 패시브 타입의 플립은 차량이 통과할 때마다 플립이 열고 닫히는 구조이므로 이것만으로는 잦은 개폐로 기구적인 수명이 짧아질 뿐만 아니라 개폐작동에서 발생되는 소음, 그리고 불시로 열고 닫히는 작동에서 사람의 신체나 사물이 끼일 염려가 있는 등의 문제가 있어 미흡하다.
또한, 볼라드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이하 본 발명 명세서에서 편방향으로 유연성을 부여한 전동식 볼라드의 실시예에 대비해서 알 수 있듯이, 역방향 주행차량 내지 진입차량을 선별적으로 차단토록 하는 기능으로 더욱 개량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의 제1목적은 역방향 진입차량을 물리적인 장해물로 차단하되 상기 차단된 상태에서도 정방향으로 진행하는 차량에게는 장해 요소로 작용하지 않는 편방향 통행 통제장치를 제공코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상기 정방향 진행차량만 있는 경우에는 상시 편방향 통행 통제장치가 장해물로 전개되지 않고 상시 폐쇄된 상태로서 평상시와 다름이 없는 도로 통행 환경을 유지하는 기술적 수단을 제공코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3목적은 상기 역방향 진입 장해물로 전개된 상태에서 섬광, 음향, 안내표지판으로 작동하는 기계, 전기, 전자의 융합적 기술을 더 제공코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4목적은 상기 편방향 통행 통제장치를 유사시 발전기로 활용하는 목적을 더 포함하고 나아가 차선을 구분하여 차량 통행 통제장치가 각 차선에서 개별적으로 작동하도록 하는 등 활용의 다양성을 제공코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통행 통제 장치는 도로면에 대응하는 하판; 상기 하판의 종단부와 연결되며, 상기 하판과 연결된 상태로 상기 하판으로부터 펼쳐지거나 상기 하판과 겹쳐지도록 접히는 상판; 상기 하판과 상기 상판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부재; 및 액티브 on 모드 또는 액티브 off 모드에 따라 상기 상판이 상기 하판에 접히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액티브 on 모드에서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상판은 계속적으로 접혀져서 상기 하판과 겹쳐진 상태로 존재하며, 상기 액티브 off 모드에서는 상기 상판은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펼쳐지거나 접힘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볼라드 타입의 차량 통행 통제 장치는 상기 볼라드는 편방향으로 접혀지는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액티브 on 모드에서는 상기 볼라드는 지속적으로 접혀져서 진입하는 모든 차량의 진행이 가능하고, 액티브 off 모드에서는 상기 볼라드는 펼쳐지거나 접힘이 가능하며, 역방향으로 진행하는 차량 또는 미등록된 차량은 상기 펼쳐진 볼라드에 의해 진행이 차단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볼라드 타입의 차량 통행 통제 장치는 볼라드 베이스; 및 상기 볼라드 베이스에 수직하게 형성된 몸체로서 수직부를 포함하며, 수직 방향에서 상기 수직부의 일부분은 강성부재로 이루어지고 다른 부분은 유연성부재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강성부재로부터 상기 유연성부재 방향으로 차량 진입시 상기 수직부가 상기 차량의 진행 방향으로 접혀져서 상기 차량의 통행이 가능하나, 상기 유연성부재로부터 상기 강성부재 방향으로 차량 진입시 상기 강성부재에 의해 상기 차량의 진입이 제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통행 통제 설비는 차량의 진입 또는 상기 차량의 등록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의 감지 또는 외부 명령에 따라 액티브 on 모드 또는 액티브 off 모드로 동작하는 차량 통행 통제 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액티브 on 모드에서는 모든 차량이 통과가 가능하도록 상기 차량 통행 통제 장치는 계속적으로 졉혀져 있고, 상기 액티브 off 모드에서는 정방향으로 진행하는 차량 또는 등록된 차량은 통과가 가능하도록 상기 차량 통행 통제 장치가 접혀지며, 역방향으로 진행하는 차량 또는 미등록 차량의 통행을 차단하도록 상기 차량 통행 통제 장치가 펼쳐진다.
상기 각각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세부구성은 이하 명세서에서 상술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정방향 진행차량에는 장해요소로 영향을 주지 않음으로써 소음이 방지되고, 기구장치의 수명이 극대화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역방향 진입차량을 선별하는 센서 기능에서 오작동이 일어나더라도 순방향 진행차량에게는 위해를 주지 않으므로 불의의 안전사고를 적극적으로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일방통행 기구가 전개된 상태를 이용하여 도로의 바닥면에서 섬광, 음향, 안내표지판의 기능을 전개할 수 있으므로, 정방향으로 진행하는 차량에는 전혀 불쾌감이나 전방주시에 악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운전자가 주시해야 할 도로의 노면에서 직접 경고를 함으로써 역주행 차량에게는 강한 경고를 주어 사고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플립으로 여닫는 힘에 의해 발전기 작동이 가능하게 되므로, 상용전원이 없이도 스토퍼가 정상 작동이 되는 설치장소 프리(free)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방통행을 위해 도로에 설치되는 패시스 플립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전동식 볼라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2a는 볼라드가 바닥으로부터 솟아올라온 펼침 상태, 도 2b는 바닥으로 볼라드가 내려간 접힘 상태.
도 3a 내지 도 3c는 액티브 플립의 작동 개념과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a 내지 도 4c는 탄성력을 구비한 전동식 볼라드의 작동 개념과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액티브 플립 또는 탄성력이 구비된 전동식 볼라드를 역주행방지 시스템으로서 휴게소 진입로에 설치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 개념도.
도 6은 차량의 역방향 주행 및 정방향 주행을 감지하기 위하여 도로의 노면에 설치되는 루프코일의 일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검문소의 출입구에 본 발명의 액티브 플립과 탄성력이 구비된 전동식 볼라드들을 효율적으로 배치 활용하는 일례를 도시한 개념도.
도 8은 도 4a 내지 도 4c의 볼라드가 탄성력으로 직립하거나 경사각도로 꺾어지는 모습을 원리적으로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한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므로, 이하 개시하는 구성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으나, 예를 들어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고 있을 뿐, 이 구성요소들을 제1, 제2 등으로 용어를 붙여서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 상기 용어들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마찬가지의 원리로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원칙하에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방통행을 위해 도로에 설치되는 본 발명의 패시브 플립을 도시한 도면이다.
즉, 일방통행 도로를 구성하기 위하여 노면에 개설되는 설비 구성에 있어서,
상판과 하판이 경사면을 이루어 편방향으로 통행을 개설하는 패시브 플립으로서,
하판(12)은 도로면의 높이에 대응되고 상판(11)은 탄성력(13)에 의한 경사각도 펼침이고 상기 상판(11)의 엣지부(11a)는 적어도 노면으로부터 10Cm 이상의 높이로 솟아올라 노면상에서 역주행 차량에게 통행장해물로서 작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진출입통제 장치를 개시한 것이다.
여기서 도 1의 (A)는 하판(12)으로부터 스프링(13)의 힘으로 상판(11)이 들어 올려진 평상시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B)는 차량이 상판을 디딤에 따라 상판(11)과 하판(12)이 차량의 무게로 인하여 겹쳐진 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A)상태를 펼침이라 하고, (B)상태를 접힘이라 칭하기로 한다.
(A)는 예를 들면 스프링(13)의 탄성력에 의해 상판이 들려짐으로써 역방향(2000)에서 접근하는 차량은 이를 넘어서 갈 수가 없도록 물리적인 저지력으로 작동한다. 이때 상기 상판의 엣지부(11a)를 날카로운 톱니형태로 형성하면 역방향 진입 차량이 이를 타고 넘으려 할 때 타이어를 파손시키는 등 손상을 주므로 실질적인 주행의 장해물로 작용하여 주행이 불가능하게 된다.
반면에 차량이 정방향(1000)에서 진입해서 이를 타고 넘어갈 때는 상판(11)의 낮은 높이부터 진입해서 지나가면서 차량의 무게로 탄성력(13)을 무력화시켜서 상판과 하판이 겹쳐지는 (B)의 상태로 되므로 차량을 저지하는 장해물로는 작용하지 않는다. 즉 노면과 같은 높이의 상판(11)을 밟고 지나가는 개념이므로, 이러한 작용에 따라 역방향 주행은 저지되고 정방향은 순조롭게 주행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도 1은 가장 간단한 본 발명의 착상으로 역주행 차단의 목적을 달성한다. 하지만, 차량이 정방향(1000)으로 지나갈 때마다 플립이 열리고 닫힘으로써 기구적인 수명이 짧아지고 여닫는 작용에 따른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고, 차량의 통행에서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에 예기치 않게 사람의 신체 내지 사물이 끼이는 안전사고의 우려도 있어, 본 발명에서는 기본적 착상으로 개시한 후, 이를 용도에 따라 활용하는 확장적인 착상을 점진적으로 제공한다.
도 2는 전동식 볼라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2a는 볼라드가 바닥으로부터 솟아올라온 펼침 상태, 도 2b는 바닥으로 볼라드가 내려간 접힘 상태를 나타낸다. 도 2는 수동으로 쉽게 조작할 수 있고 도 5로서 후술하는 설명에서처럼 역방향 및 정방향 차량 진행감지부(센서)를 연동하면 자동 역주행 차단장치로 활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도 2a로 볼라드의 펼침이 이루어지면 역방향(2000), 정방향(1000)의 어느 방향이든 차량이 통행을 하지 못하게 된다는 단점이 있고, 자칫 센서에서 오작동이 일어나면 펼쳐진 상태의 볼라드(21)가 정상적인 주행차량에게 충돌을 일으키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때문에 전동식 볼라드는 원칙적으로 차량을 검문하는 검문소에 상시 펼침의 상태로 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인도의 경계면에서 감지부를 연동하여 운용한다면 고속으로 주행하는 차량에 손상을 줄 리 없으므로 본 발명의 구성에서는 이것도 기본적 착상으로 포함하고 있다.
각 도면 부호에서 도 2a의 21은 볼라드가 장해물로 펼쳐진 상태를 실선의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2b의 21은 볼라드가 베이스(22) 내에 접혀 들어간 상태를 점선으로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b로서 볼라드가 베이스 속으로 접혀지면 차량은 역방향(2000), 정방향(1000) 모두 통행이 가능하게 된다.
볼라드(21)가 베이스(22)로부터 펼쳐지거나 접혀지는 것은 전기를 동력으로 제어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전동력이란 전력으로 기어 등 기계기구를 제어함은 물론이고 유압이나 공압으로도 작동될 수 있음을 포함한다.
요지를 요약하면, 도 1은 오직 펼침 상태 하나만 있어 이로써 도로의 역방향 진입을 차단하는 구성이다. 이에 비하여 도 2는 펼침 상태에서 도로의 양방향 통행 모두를 제한하고 접힘 상태에서는 도로의 양방향 통행로를 제공하는 2개의 기능을 포함한다.
서로의 장단점으로서 도 1은 오작동 없이 편방향으로만 통행로가 제공되는 잇점이 있지만 정방향 통행에서는 여닫기 작동이 계속 이루어지는 부자연스런 문제가 있으며, 도 2는 자연스럽게 양방향 통행로가 제공되는 반면에 오작동이 일어나면 정방향 통행 차량에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만약 도 1에서 플립 상판(11)을 평상시에는 접힘 상태가 되도록, 즉 정방향 통행 차량에게는 여닫기가 없는 액티브 플립으로 개량한다면 상기 패시브 플립에서의 편방향 통행로 확보 및 상기 전동식 볼라드에서의 부드러운 양방향 통행로의 장점을 동시에 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2의 전동식 볼라드의 경우에도 펼침 상태에서 편방향으로 탄성력이 갖추어지도록 개량할 수 있다면, 상기 액티브 플립에서처럼 상기 볼라드가 정방향 주행 차량에게 위해를 줄 가능성을 현저히 줄이면서 부드러운 양방향 통행로를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처럼 서로의 장점을 취하여 더더욱 새로운 기능을 만들어내고자 하는 착상이 포함되어 있는바, 이제부터 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3a는 상기 도 1의 패시브 플립(10)을 액티브 플립(10a)으로 개량했을 때 달라지는 작용을 원리적으로 설명한 도면이다.
즉, 도 3a의 (A)인 패시브 플립(10)은 상판(11)이 펼침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차량은 정방향(1000)으로만 진행이 가능하고, 역방향(2000)은 진행이 차단된다.
반면에 도 3a의 (B)인 액티브 플립(10a)은 유사시에만 (A)처럼 펼침으로 전환될 뿐, 평상시에는 상시 접힘 상태로 유지된다. 이에 따라 (B)에서 보듯이 역방향(2000)이든 정방향(1000)이든 양방향 통행로가 제공되므로 액티브 플립인 경우는 차량이 마치 종래의 노면 그대로를 지나가는 것과 같이 느끼게 된다. 이에 따라 상판(11)과 하판(12) 사이에 사람의 신체나 사물이 불의로 끼일 염려가 없고, 상판(11)이 여닫히는 소음도 없을 뿐만 아니라 차량이 자나갈 때마다 상시 여닫힘에 따른 기구물의 수명 저하도 일어나지 않게 된다. 게다가 차량통행이 제한되는 인도의 입구에 설치하더라도 사람이 걸어가다가 턱에 걸려서 넘어지는 사고를 철저히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액티브 플립은 차량의 역주행 내지 역방향 진입 상태를 감지하여 감지된 순간에만 스토퍼가 트리거됨으로써 이때 비로소 상기 패시브 플립 기능이 작동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의 용어정의에 있어서, 액티브 플립이 액티브 off로 된다는 것은 탄성력에 의존하는 패시브 플립이 됨을 의미하는 것이고, 액티브 on으로 된다는 것은 상기 패시브 플립의 기능에서 탄성력이 억제된, 플립이 상시 접힘 상태로 됨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액티브 on (모드) 또는 액티브 off (모드) 작용을 상술하는 도 3b의 (A)는 종래의 패시브 플립인 액티브 off 상태에서의 역방향 통행 차단 및 정방향 통행 허용의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 역방향(2000)으로는 차량의 진입이 차단되고 정방향(1000)으로 차량이 통행될 수 있는데, 도 3b의 (A)는 차량이 통행될 때의 단계에 따라, 차량 진입전에 플립이 상시 펼침(a) 상태, 차량이 플립 상판(11)을 밟으면 차량의 중량에 의해 플립은 일시 접힘(b) 상태, 그리고 차량이 지나간 후에는 플립이 다시 펼쳐져 상시 펼침(c)의 상태로 자동 복귀되는 일련의 과정을 도면으로 전개하여 설명한 것이다. 즉, 탄성력(13)과 차량의 무게에 의하여 상판(11)의 펼침과 접힘 작용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액티브 on 모드 및 액티브 off 모드는 플립에 설치되는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제어부는 차량의 진입 또는 차량의 등록 여부에 대한 감지 결과에 응답하여 액티브 on 모드 또는 액티브 off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도 3b의 (B)는 액티브 on 모드를 설명하고 있다. 이 상태는 강제적으로 상판(11)을 하방으로 위치시켜서 상판(1)과 노면을 같은 높이로 유지시킴으로써, 상판과 하판이 평상시에도 겹쳐진 상태인 것이다. 즉 액티브 on 모드가 되면 역방향(2000) 및 정방향(1000) 모두 통행이 가능하게 되므로 마치 플립이 없는 것과 동일하게 노면상으로는 무장해물의 상태가 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도 3b의 (A)에서처럼 차량이 통행될 때의 단계에 따라 펼침(a), 접힘(b), 펼침(c)로 플립이 자동으로 여닫히는 작동이 없이, 즉 도 3b의 (B)에서처럼 차량의 통행에 불구하고 (a), (b), (c)가 항시 접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액티브 on 모드를 가능하게 하는 스토퍼(제어부)는 플립의 상판(11)을 들어 올리는 탄성력(유압, 공압, 스프링 등)을 제거하거나, 전동피스톤으로 탄성력을 억압하거나, 탄성력에 의해 들려지는 상판(11) 높이를 상쇄시킬 만큼 하판(12)의 높이를 상대적으로 하향 이동시키거나, 상판(11)이 접혀 내려온 상태를 고리 형태로 걸어 두는 후크(14)로서 달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후크(14)는 차량의 무게로 상판(11)이 노면의 높이로 내려왔을 때 자동으로 로크되고, 센서 등 후술하는 감지부가 작동될 때 순간적으로 트리거 되어 언로크 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언로크라는 것은 액티브 off를 의미하며, 액티브 off라 함은 상기 스토퍼의 역할을 해제시켜서 상기 액티브 플립의 작동을 상시 탄성력에 의해 작동하는 패시브 플립으로 전환시킴을 의미한다.
도 3c는 이에 대한 액티브 플립(10a)의 상세 구조 및 부가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즉, 도 3c의 본 발명은
일방통행 도로, 차량진입을 제한하는 인도 또는 검문을 필요로 하는 출입구의 노면에 개설되는 차량 진입 통제 설비로서,
상판(11)이 일방통행로를 제공할 때의 기초판이 될 수 있도록 도로면에 대응시키는 하판(12);
상기 하판(12)으로부터 경사각도로 들어 올려져 차량의 역방향 통행을 차단하는 상판(11);
탄성력(13)과 힌지(13a)로서 상기 하판(12)과 상판(11)을 결합하되,
상기 하판(12) 위에서 상기 상판(11)이 경사각으로 형성되거나 수평으로 형성되도록 자세를 변화시키는 스토퍼 계통을 포함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진출입 통제 장치를 개시한 것이다.
여기서 스토퍼 계통이란 후크(14)를 솔레노이드(14a)로 제어하는 것이거나, 스프링(13)의 기초를 하향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이거나, 힌지(13a)의 걸림턱을 아래쪽으로 이동시켜서 하판(12)의 기초를 하향 이동하는 등의 전동, 유압 내지 공압으로의 실행제어를 말한다. 구체적인 제어의 동인은 후술하는 바의 센서 계통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한편, 역방향으로 진입하는 차량의 정면을 향하는 상기 하판(12)과 상판(11)의 사이의 개방면(16)에는 경고용 디스플레이(16a), 섬광(16b) 내지 음향(16c)을 부가 설치할 수 있으며, 상판(11)의 엣지부(11a)는 도시생략된 톱니형 날카로운 장해물을 부가할 수 있다.
또한 플립의 반개 상태(예를 들면 5Cm 높이)에서 유효하게 작동될 수 있는 발전기의 연동 구성을 포함할 수 있고, 자체적인 배터리를 보유할 수도 있다. 이때 발전기와 배터리는 적어도 스토퍼를 작동시킬 수 있는 전력을 조달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이에 의하여 상용전원이 없는 구역에서도 예를 들면 태양전지, 풍력 등과 혼합하여 전력을 조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액티브 플립을 검문용으로 적용할 때 유용한 카메라(조명 포함)를 장착할 수도 있다. 이 카메라는 번호인식에 유효하다.
주요 부분의 작용을 좀 더 설명한다.
하판(12)은 기본적으로 상판(11)이 도로면과 같은 높이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도로면과 같은 높이란 상판(11)이 하판과 겹쳐졌을 때를 기준으로 하는 개념이다.
상판(11)은 액티브 off 모드 때에 역방향 진입 차량에는 방해물로서 작용하고 정방향 진입 차량에게는 장해물로 작용하지 않는 플립의 요소이다. 이때 정방향 차량은 플립 상판(11)을 밟으면서 지나가게 된다. 액티브 on 모드에서는 정방향이든 역방향이든 통행 차량이 부드럽게 통과할 수 있다.
탄성력(13)과 힌지(13a)로서 상기 하판(12)과 상판(11)을 결합한다라는 것은 상판이 펼쳐질 때 일정한 경사각을 이루도록 형성시키는 것을 말한다. 이 경사각에 의해 한쪽 방향으로는 차량이 올라가서 통행을 할 수 있되 반대방향으로는 통행을 차단하는 작용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스토퍼는 후크(14)를 거는 고리를 예시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솔레노이드(14a)로 후크를 제어하게 된다. 즉 전원을 넣으면(반대 개념으로 전원을 끊는 경우를 포함한다) 고리가 제거되면서 탄성력(13)이 발생되어 패시브 플립으로 되는 것이다. 전원의 투입 여부는 감지부인 역방향감지부 센서(2000a)에서 결정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센서(2000a)에서 역방향 진입 차량을 발견하면 전원 ‘온’으로 솔레노이드(14a)를 끌어당겨서 후크(14)의 고리 역할을 해제한다. 이 해제에 의해 탄성력이 작동되어 상판은 들어 올려지고 이에 따라 액티브 플립은 패시브 플립으로 전환된다. 이 상태에서 역방향 차량이 없고 일정한 타이머 기간이 종료되면 후크가 제자리로 복귀되는데, 이 복귀 상태에서 정방향 차량의 통행으로 상판이 내려오면 후크는 이때 상판을 걸어서 액티브 on으로서의 자동으로 복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판은 전동 또는 유압을 통해 아래쪽으로 강제로 끌어당겨서 차량 통행에 의한 하중이 없이도 후크(14)에 걸 수도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스토퍼는 후크 외에도 솔레노이드(13b)로서 스프링(13)의 기초를 하향 이동하도록 하는 것이거나, 솔레노이드(13b)를 통해 힌지(13a)의 걸림턱을 아래쪽으로 이동시켜서 하판(12)의 기초를 노면 아래쪽으로 하향 이동하는 등으로 달성될 수도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원리적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어서 설계 수준의 더 이상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16a)는 운전자가 반드시 주시하는 도로의 정면에서 차량의 운전자를 향해, 예를 들면 ‘차량 절대 진입금지’라는 문구 등의 경고를 표시하는 것이므로 도로 가장자리에서의 표지판과는 그 효과의 수준이 현저하게 다른 강력한 경고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섬광(16b) 역시 전방 시야에서 직접 운전자를 향해 백색 램프(또는 적색과 청색 등의 칼라 램프)를 비추는 것이므로 예를 들면 시력을 일시 마비시킬 수 있는 정도로 직접 조사의 강력한 효과가 있는데, 이것들은 모두 액티브 플립에서 이루어낼 수 있는 특별한 효과이다. 음향(16c) 역시 가까운 곳의 정면에서 들리는 경적 같은 것이므로 이러한 효과는 종래에 비하여 현저한 효과에 해당한다.
차량이 지나갈 때마다 플립의 상판(11)에는 항상 차량의 중량이 실리게 된다. 이 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에는 플립 하부에 발전기(17b)를 포함할 수 있는 바, 이 구성은 본 발명의 액티브 플립이 상용전원에서 멀리 떨어진 거리의 장소에도 쉽게 설치될 수 있는 환경적 여건을 제공한다. 다만 이 발전기는 기어 비율을 적용한 가속기 등을 결합하여 플립의 반개 상태, 예를 들면 바닥으로부터 5Cm~10Cm 내외의 높이에서 작동하도록 하는 것이 차량 통행에 방해를 주지 않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역방향 통행을 차단할 때는 예를 들어 20Cm~45Cm의 높이로 상판의 엣지부(11a)를 들어 올리고, 발전기만을 가동하고자 할 때는 예를 들어 5Cm~10Cm 내외의 높이로 엣지부(11a)를 들어 올리는 다단계 제어가 더욱 좋다. 발전기(17b)는 자체 내장된 배터리(17a)를 충전하는 용도에서 더 나아가 외부의 에너지 공급원으로 응용 활용될 수 있다. 즉 액티브 플립 내지 패시브 플립을 에너지 발생원으로 응용 활용될 수 있는 것이다. 액티브 on 모드 때는 발전기 기능이 차단되는 것이므로, 이 발전기는 상시 작동이 아니라 배터리의 방전이 일어났을 때를 한정하여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카메라(15)는 번호인식에 유효한 구성인데, 이에 대하여는 후술하는 볼라드의 개량발명 설명 시에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 내지 도 4c는 전동식 볼라드에 수평면상 일측방 탄성력을 더 부가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즉,
일방통행 도로, 차량진입을 제한하는 인도 또는 검문을 필요로 하는 출입구의 노면에 개설되는 차량 진입 통제 설비로서,
등록차량 여부를 감지하는 차량및번호인식감지부(15, 15a);
등록된 차량이 접근한 경우 볼라드를 접고 미등록 차량이 근접하는 경우에는 볼라드를 펴되, 펴진 상태에서는 어느 한 쪽으로 통행이 차단되는 한편 다른 한 쪽으로는 통행이 가능한 편방향차단볼라드(20a, 20b);
상기 차량및번호인식감지부와 편방향차단볼라드를 연동하여서 알지 못하는 차량의 진입 상태를 선별하여 상기 편방향차단볼라드를 작동시키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진출입 통제 장치를 개시한 것이다.
이때 상기 차량및번호인식감지부는 볼라드에 설치되는 카메라(15)와 번호인식 소프트웨어, 서버, 네트워크(15a)로 구성될 수 있다. 차량인식 기능은 그 외에도 RFID, 카메라 영상, 이미지 스케닝 등으로 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차량및번호인식감지부라고 언급하였지만, 차량 감지부와 번호 인식 감지부가 별도로 존재할 수도 있다.
전동식 볼라드는 전동력에 의해 베이스(22)로부터 볼라드 몸체(21)가 수직으로 솟아오르거나 베이스(22) 쪽으로 줄어들어 접히는(23) 작동을 한다.
본 발명 도 4a는 일방 탄성력을 구비한 수직 전동식 볼라드(20a)로서 여기에서는 수평적인 탄성력이 더 부가되어 있다. 이러한 탄성력에 의하여 역방향(2000) 진입 차량은 통과할 수 없되 정방향(1000) 진입 차량은 미처 볼라드가 접히지 못한 경우라도 긴급하게 통과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미설명 부호 (21a)는 탄성력에 의해 기울어진 상태를 나타낸 것이지만, 이것은 단일 봉의 형태가 아니라 여러 마디가 결합되어서 예를 들면 전동식으로 줄어드는 상황에서도 수평적으로는 탄성력으로 기울어질 수 있는 구조로 실시될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역주행차단부로서는 탄성력이 없는 전동식 볼라드(20)로도 기본적인 역주행 차단기를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볼라드는 직립(20a) 뿐만 아니라 노면에 대하여 일정한 경사각으로 펴지는 구성(20b)을 채택할 수 있다.
도 4b는 상기 도 4a에서 수직 상태로 펼쳐진 볼라드가 경사진 형태로 기울어져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다. 즉, 일방 탄성력을 구비한 경사각 전동식 볼라드(20b)로 도시된 것인바, 이 구성은 역방향(2000) 진입 차량에 대하여 볼라드 몸체가 수직으로 대항하므로 저지력이 강화되는 동시에 정방향(1000) 진행 차량에게는 수직 상태에서보다 충격을 완화하면서 진행 통로를 형성하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31)은 경사각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펼쳐진 볼라드 몸체이고, (31a)는 탄성에 의해 기울어진 상태를 나타내며, (32)는 볼라드 베이스이다. (33)은 기울어진 각도를 제한하는 버팀구이고, (34)는 수평으로 기울어짐이 가능하도록 중심을 잡는 힌지이다.
한편, 상기 전동식 볼라드는 베이스(22)로부터 볼라드 몸체(21)가 수직으로 솟아오르는 작동 뿐만 아니라, 노면과 평행하게 기울여 접거나 노면에 장해물로 전개된 형상을 스토퍼(제어부의 일종임)에 의해 볼라드를 기울이고 펴는 구성을 실시할 수도 있다. 즉 이러한 구성은 앞에서 설명한 액티브 플립 및 패시브 플립의 작동과 유사한 원리를 전동식 볼라드에도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4b는 경사각도와 탄성력을 지닌 전동식 볼라드이므로 원리적으로 볼라드 몸체(31)가 솟아올라오는 도중에 상단부로 물체가 닿는 일이 있더라도 탄성력에 의하여 상부물체에 손상을 일으키지 않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부에 물체가 닿을 때는 부하(load)가 증가되고 이에 따라 전동모터의 작동전류가 증가되므로, 이러한 전류 증가를 회로적으로 감지하여 볼라드를 그 자리에서 정지하거나 또는 아랫방향으로 되돌려 내려서 접히도록 하는 전기 및/또는 전자 회로적인 안전장치를 더 부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c는 볼라드(20a)에 장착되는 번호인식용 카메라(15) 및 전동식 볼라드를 구동하는 제어부(19)를 좀 더 상세히 도시한 구성도이다.
즉 본 발명의 탄성력을 구비한 전동식 볼라드(20a, 20b)는 전원(19a)을 공급받는 전동모터(19)에 의해 늘어나거나(21) 접어지는 구성(23)으로 작동될 수 있으며, 카메라에 연동되는 서버 내지 네트워크(15a)와 번호인식 프로그램으로 등록된 차량 여부를 인식하게 되는데, 이러한 기능은 특히 검문소용으로 적합하다. 한편 상기 카메라 및 번호인식 기능은 도 3c에도 같은 개념으로 적용된다.
도 5는 액티브 플립 또는 탄성력이 구비된 전동식 볼라드를 역주행방지 시스템으로서 휴게소 진입로에 설치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 개념도이다. 도 5의 본 발명은 실제 시스템으로 총괄 구성한 실시예이다. 즉,
도로의 본선과 연결되는 진입 진출 도로의 노면 설비 구성으로서,
차량의 역방향 진입을 감지하는 역주행감지부(2000a);
도로상에 설치되어 평상시에는 양방통행로를 제공하되 차량의 역방향 진입을 감지한 상태에서 스토퍼를 작동하면 자체 탄성력으로 역방향 진입을 차단하는 액티브형 역주행차단부(10a, 20a 또는 20b);
상기 역주행감지부(2000a)와 역주행차단부((10a, 20a 또는 20b)를 연동하되 차량의 역방향 진입 상태에서만 상기 역주행차단부(10a, 20a 또는 20b)가 액티브 온 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진출입 통제 장치를 개시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역주행감지부(2000a)는 도로상에 전후 복수개의 열로 배치한 루프코일로서 측정되는 방향 및 시간차 감지로서 역방향 진입 여부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정방향을 감지하는 정주행감지부(1000a)는 정방향으로 진행하는 차량에 상기 역주행차단부가 영향을 주지 않도록 앞에서 설명한 스토퍼를 신속히 제거하는 목적으로 연동된다. 상기 역주행감지부와 정주행감지부가 통합된 용어를 통행감지부라 칭하기로 한다.
차량 정상 진입 영역 및 차량 역방향 진입 판단 영역에 지자기센서, 루프코일 등을 바닥에 설치한 다수의 차량 검지센서(역주행감지부 및 정주행감지부)로부터 차량의 주행 방향을 감지하고, 정방향 진입 차량이 있을 경우에는 역주행차단부(10a, 20a 또는 20b)를 평상시 상태로 해제시키며, 정방향 진입 차량이 없고, 역방향 진입 차량이 감지되었을 시에는 역주행차단부(10a, 20a 또는 20b)를 물리적인 차량 저지 수단으로 동작시켜서 차량의 역방향 진입을 통제한다.
역주행차단부는 앞에서 설명한 바의 스토퍼로서 제어될 수 있다.
미설명부호 (200) 및 (300)은 고속도로 본선을 의미하며, (100)은 휴게소 진입로를 의미한다.
운전자가 역주행차단부(10a, 20a 또는 20b)에 의한 물리적 저지 수단을 인식함으로써 되돌아가게 되면 상기 차량 검지센서가 이를 인지하여 역주행차단부(10a, 20a 또는 20b)를 해제한다. 상기 물리적 저지 수단에는 앞에서 설명한 디스플레이, 섬광, 음향 등이 포함된다.
비상차량이나 부득이한 특수 목적의 차량이 도로에 역방향으로 진입해야 하는 경우에는 카메라의 번호인식 기능이나 RFID를 통한 자동 또는 수동으로(사용자 명령에 따라) 액티브 on 상태로 강제 전환함으로써 역주행차단부(10a, 20a 또는 20b)를 해제할 수 있다.
상기 루프코일은 차량의 유무 및 차량의 진행 방향을 판단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적 기능이 있는 레이저(라이다) 장치, 레이더 장치, 초음파 감지장치, 기계식 발판 또는 도플러 감지 등의 감지센서로, 혹은 원근 이동 영상을 감지하는 CCTV 영상감지 장치로 대체되거나 이들과 혼합되어 차량 정상 진입 영역 및 차량 역방향 진입 영역 판단을 정밀하게 포함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도 6은 차량의 역방향 주행 및 정방향 주행을 감지하기 위하여 도로의 노면에 설치되는 루프코일의 일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그 중에서 (A)는 복수개의 루프코일 라인(2000a-1, 2000-2....)을 도로에 횡으로 설치하여 각각의 라인에서 차량의 무게로 감지되는 차량의 접근 유무 및 위치 변동에 따른 이동을 감지하여 차량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통행을 감지하는 것이고, (B)는 루프코일을 매트릭스 형태인 종횡으로 배열(2000a-1, 2000a-2..... 및 2000-11, 200012....)하여 정방향 또는 역방향은 물론이고 사행으로 주행하는 차량에도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며, 예를 들어 복수의 차선에 역주행차단부가 개별적으로 설치된 경우 어느 차선인지를 구분 판단하여 복수개의 역주행차단부가 독립적으로 작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볼라드(20)은 탄성력을 구비한 전동식 볼라드(20a, 20b) 뿐만 아니라 탄성력이 없고 단순한 수직형으로 펼치거나 접히는 작동을 하는 전동식 볼라드(20)도 역주행 방지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검문소의 출입구에 본 발명의 액티브 플립과 탄성력이 구비된 전동식 볼라드들을 효율적으로 배치 활용하는 일례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즉,
차량의 출입구 노면에 개설되는 설비 구성으로서,
도로상에 설치되어 평상시에 역방향 진입을 차단하고 정방향 통행에는 방해가 되지 않도록 탄성력으로 개폐 작동하는 역주행차단부(10 또는 10a);
등록차량 여부를 감지하는 차량및번호인식감지부(15);
등록된 차량이 접근한 경우 차단기를 접고 미등록 차량이 접근하는 경우에는 차단기를 펴되, 펴진 상태에서는 어느 한 쪽으로 통행이 차단되는 한편 다른 한 쪽으로는 통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일방 탄성력을 구비한 액티브형 차단기구부(10a, 20a, 20b);
상기 역주행차단부를 진출도로에 설치하고 상기 액티브형 차단기구부를 진입도로에 설치하여 진출하는 차량은 역주행차단부를 경유하면서 무정지통과가 가능하고, 진입차량 중 등록차량은 역주행차단부에서 차단되지만 액티브형 차단기구부를 경유하여 무정지통과가 가능하며, 진입차량 중 미등록차량은 역주행차단부에서 차단되고 액티브형 차단기구부에서 검문을 받은 후 통과하도록 통행을 제한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진출입 통제 장치를 개시한 것이다.
도 7의 본 발명은 진출 차선(500)으로는 무정지 통과가 가능하지만 검문소를 진입하는 진입 차선(600)에 대하여는 차량번호 인식을 통해 (액티브형 차단기구부) 통과 자격 여부를 검사한다. 이때 등록된 차량은 무정지로 통과가 가능하지만 미등록 차량은 앞에서 설명한 바의 (액티브형 차단기구부에 의한) 역방향 진입 차단의 작용이 이루어진 후, 검문을 통해 적격 차량으로 판단되었을 시에 수동으로 액티브 on 모드로 함으로써 차량을 통과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개념이다.
즉, 미등록된 차량은 검문소에서 통과를 위한 행정조치나 검색을 받은 후에야 통과가 가능하며, 검문 후 통과시키고자 할 때 관리자는 액티브 on 모드로 수동 조작을 하게 된다.
반면에 진출 차선은 역주행차단부에서의 패시브 플립 또는 액티브 플립으로 이루어지므로, 차단기의 개방 작동을 기다릴 필요 없이 자연스럽게 노면을 밟고 빠른 속도로 통과할 수 있게 된다.
요컨대, 역 내에서 밖으로 나가는 진출차선(500)은 외부 방향으로 통행로가 항상 열려 있는 반면(다만 역방향은 차단된다), 역 내로 들어오는 진입차선(600)에 있어서는 등록된 차량에게는 자동으로 진입 통행로가 제공되지만 미등록차량은 검문을 거쳐서 수동으로 진입 통행로를 제공할 수 있도록 작동하는 데, 진입차선(600)의 통행로는 액티브 플립 또는 탄성력을 구비한 전동식 볼라드(20a, 20b)로 구성되므로, 이 플립 또는 볼라드의 탄성 특성에 의하여 비록 미등록된 차량이라 하더라도 역 내에서 외부로 진출을 할 때는 진입차선(600)을 통해 외부로 임의 통과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진입차선(600)을 통해 차량이 외부 방향으로 임의 진출하는 경우는 비상시 또는 긴급한 경우에 해당한다.
패시브 플립 또는 액티브 플립에 관한 상세한 작동은 도 3a 내지 도 3c 또는 도 4a 내지 도 4c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가 준용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요컨대, 도 5는 ‘도 3a 내지 도 3c’ 또는 ‘도 4a 내지 도 4c’의 구성을 정방향 무정지 통과 위주로 적용한 실시예에 해당하며, 도 7은 ‘도 3a 내지 도 3c’ 또는 ‘도 4a 내지 도 4c’의 구성을 역방향 통과 검문의 위주로 적용한 실시예에 해당한다. 즉, 서로는 반대의 개념으로 운용되는 것일 뿐, 원리적으로 동일한 것이므로 도 7에서 다시금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도 7의 실시예에서는 차선을 진출과 진입으로 구분하여서 각각 상황에 맞추어 편의성을 확보하는 바, 정문 차량의 효과적 통제가 가능하면서도, 2개로 분리된 차선의 독립적인 기능에 의하여 진입차량은 검문을 위해 정지하도록 통제하고 진출차량은 무정지 통과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되, 진입 차선에서도 볼라드 등에서 탄성력이 구비되므로 긴급 시에 진출차선과 진입차선 모두 무정지로 차량이 진출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볼라드는 바닥에서 경사진 볼라드 몸체(21a)의 형체 그대로 들렸다 내렸다 하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액티브 플립은 상기 볼라드처럼 가로 폭이 좁은 구조로서 인도의 입구에 설치하여 행인의 보행 장해를 최소화하는 한편, 오토바이 등 소형 차량의 진행 경로만을 한정하는 역주행 방지의 구성으로 실시될 수도 있다.
한편, 도 8은 상기 도 4a 내지 도 4c에 개념적으로 도시된 편방향차단볼라드(20a, 20b)를 좀 더 상세히 묘사함으로써 본 발명의 원리를 알기 쉽게 설명하고자 도시한 단면도이다.
즉, 도 8은 볼라드(20a)의 몸체(21)의 상단부와 볼라드 베이스(22)의 사이에서 수직면 부재(수직부)를 2등분하여 한쪽은 금속 등 강성부재(21-1)로, 다른 한쪽은 튜브 등 유연성부재(21-2)로 구성한 다음에 상기 강성부재(21-1)의 몸체에 힌지(22a)를 설치한 것이다. 이러한 구조에서 정방향인 (21-1) 쪽에서 차량이 진입하여 부딪히면 볼라드의 수직부는 힌지(22a)를 중심축으로 유연성부재(21-2)를 압착하여 차량의 진행방향으로 넘어져서(21a, 21a-1, 21a-2) 차량이 진행할 수 있도록 통행을 허용하게 된다. 이때 볼라드가 넘어지는 것은 유연성부재(21-2)가 탄성력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작용을 더욱 신뢰성 있게 달성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볼라드 몸체(21)의 상단부와 유연성부재(튜브, 21-2)의 사이에 스프링 등 탄성부재를 보강하면 더욱 좋다.
반대로, 차량이 역방향(21-2)으로 와서 부딪히면 상기 강성부재(21-1)가 베이스(22)와의 사이에서 굽힘이 없는 버팀 상태로 되므로 차량의 통행을 제한하게 되는 것이다.
튜브(21-2, 21a-2)의 내부는 공기 펌프로 스토퍼 제어(팽창축소 제어)가 가능하므로 차량의 진행방향에 따라 액티브 작동으로서 공기압 팽창으로 통행저지 및 공기압 축소로 통행허용을 하여 실제로는 차량이 부딪히기 전에 미리 공기압을 제어하는 작동도 가능하며, 또 한편으로 이러한 공기펌프 제어와 기구물의 버팀구 형상을 통해 앞에서 설명한 경사각도의 편방향차단볼라드(20b)도 가능함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상술한 일실시예들은 각각의 예시에 한정적인 것이 아니며, 특히 특허청구범위의 용어가 직접적으로 지정하는 문리적 의미와 범위는 물론이고 그 등가의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도로의 본선, 도로와 연결되는 램프, 일방통행도로, 차량통행금지 인도, 중요기관의 정문에서 차량통제 등의 시설 및 장비로 공사, 제조, 전시 등을 하는 업으로 활용될 수 있다.
하판(12)
상판(11)
탄성력(13)
엣지부(11a)
역방향(2000)
정방향(1000)
볼라드가 펼쳐진 몸체(21)
볼라드가 접혀진 몸체(23)
볼라드 베이스(22)
패시브 플립(10)
액티브 플립(10a)
후크(14)
힌지(13a)
경고용 디스플레이(16a)
섬광(16b)
음향(16c)
솔레노이드(14a, 13b)
스프링(13)
카메라(15)
차량및번호인식감지부(15, 15a)
편방향차단볼라드(20a, 20b)
번호인식 소프트웨어, 서버, 네트워크(15a)
힌지(34)
일방 탄성력을 구비한 수직 전동식 볼라드(20a)
버팀구(33)
전동식 볼라드를 구동하는 제어부(19)
전원(19a)
역주행감지부(2000a);
액티브형 역주행차단부(10a, 20a 또는 20b)
여기서 상기 역주행감지부(2000a)
고속도로 본선(200, 300)
패시브형 역주행차단부(10 또는 10a);
차량및번호인식감지부(15);
액티브형 차단기구부(10a, 20a, 20b);
진출 차선(500)
진입 차선(600)
몸체(21)
볼라드 베이스(22)
강성부재(21-1)
유연성부재(21-2)
힌지(22a)

Claims (13)

  1. 도로면에 대응하는 하판;
    상기 하판의 종단부와 연결되며, 상기 하판과 연결된 상태로 상기 하판으로부터 펼쳐지거나 상기 하판과 겹쳐지도록 접히는 상판;
    상기 하판과 상기 상판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부재; 및
    액티브 on 모드 또는 액티브 off 모드에 따라 상기 상판이 상기 하판에 접히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액티브 on 모드에서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상판은 계속적으로 접혀져서 상기 하판과 겹쳐진 상태로 존재하며, 상기 액티브 off 모드에서는 상기 상판은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펼쳐지거나 접힘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통행 통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 on 모드에서는 상기 상판이 접혀져 있음에 따라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진행하는 차량 모두가 상기 상판을 통하여 진행 가능하고,
    상기 액티브 off 모드에서는 상기 정방향으로 진행하는 차량은 상기 차량이 상기 상판을 누름에 따라 상기 상판이 접혀져서 진행이 가능하고, 상기 상판은 상기 차량이 통과한 후에는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다시 펼쳐지며, 상기 역방향으로 진행하는 차량은 상기 펼쳐진 상판에 의해 진행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통행 통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역방향으로 진행하는 차량이 감지되었을 때는 상기 차량 통행 통제 장치는 상기 액티브 off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역방향으로 진행하는 차량이 감지되지 않았을 때에는 상기 차량 통행 통제 장치는 상기 액티브 on 모드로 동작하되,
    상기 역방향으로 진행하는 차량의 감지는 상기 차량 통행 통제 장치의 외부 소자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부는 유압 방식, 공압 방식, 전동피스톤 방식, 후크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상판의 접힘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통행 통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통행 통제 장치는 일방통행 도로, 차량진입을 제한하는 인도 또는 검문을 필요로 하는 출입구의 노면에 개설되고,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은 힌지를 통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통행 통제 장치.
  5. 볼라드 타입의 차량 통행 통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볼라드는 편방향으로 접혀지는 구조를 가지되,
    액티브 on 모드에서는 상기 볼라드는 지속적으로 접혀져서 진입하는 모든 차량의 진행이 가능하고,
    액티브 off 모드에서는 상기 볼라드는 펼쳐지거나 접힘이 가능하며, 역방향으로 진행하는 차량 또는 미등록된 차량은 상기 펼쳐진 볼라드에 의해 진행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통행 통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볼라드는 전동 방식을 통하여 접혀지며, 상기 볼라드에 설치된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펼쳐지되,
    상기 액티브 on 모드와 상기 액티브 off 모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통행 통제 장치.
  7. 볼라드 베이스; 및
    상기 볼라드 베이스에 수직하게 형성된 몸체로서 수직부를 포함하며,
    수직 방향에서 상기 수직부의 일부분은 강성부재로 이루어지고 다른 부분은 유연성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강성부재로부터 상기 유연성부재 방향으로 차량 진입시 상기 수직부가 상기 차량의 진행 방향으로 접혀져서 상기 차량의 통행이 가능하나, 상기 유연성부재로부터 상기 강성부재 방향으로 차량 진입시 상기 강성부재에 의해 상기 차량의 진입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라드 타입의 차량 통행 통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 위에 형성되어 상기 수직부를 덮는 헤드; 및
    상기 강성부재로 이루어진 수직부에 형성되는 힌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수직부의 절반은 상기 강성부재로 이루어지고, 나머지 절반은 상기 유연성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강성부재는 금속이고, 상기 유연성부재는 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라드 타입의 차량 통행 통제 장치.
  9. 차량의 진입 또는 상기 차량의 등록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의 감지 또는 외부 명령에 따라 액티브 on 모드 또는 액티브 off 모드로 동작하는 차량 통행 통제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액티브 on 모드에서는 모든 차량이 통과가 가능하도록 상기 차량 통행 통제 장치는 계속적으로 졉혀져 있고,
    상기 액티브 off 모드에서는 정방향으로 진행하는 차량 또는 등록된 차량은 통과가 가능하도록 상기 차량 통행 통제 장치가 접혀지며, 역방향으로 진행하는 차량 또는 미등록 차량의 통행을 차단하도록 상기 차량 통행 통제 장치가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통행 통제 설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통행 통제 장치는 플립 타입 장치로서,
    도로면에 대응하는 하판;
    상기 하판의 종단부와 연결되며, 상기 하판과 연결된 상태로 상기 하판으로부터 펼쳐지거나 상기 하판과 겹쳐지도록 접히는 상판;
    상기 하판과 상기 상판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액티브 on 모드 또는 상기 액티브 off 모드에 따라 상기 상판이 상기 하판에 접히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통행 통제 설비.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통행 통제 장치는 편방향으로 접힘이 가능한 볼라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통행 통제 설비.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도로에 설치된 루프코일 또는 지자기센서, 레이더 장치, 라이다 장치, 초음파 감지 장치, 카메라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통행 통제 설비.
  13. 제1항 및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 사이의 개방면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되,
    상기 디스플레이에는 차량 진입 금지를 경고하는 경고 메시지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통행 통제 설비.



KR1020180000135A 2017-09-27 2018-01-02 차량 통행 통제 설비 및 장치 KR1019698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5400 2017-09-27
KR20170125400 2017-09-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6433A true KR20190036433A (ko) 2019-04-04
KR101969840B1 KR101969840B1 (ko) 2019-08-13

Family

ID=66105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0135A KR101969840B1 (ko) 2017-09-27 2018-01-02 차량 통행 통제 설비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984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0593B1 (ko) * 2020-01-20 2021-01-11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도로의 역주행 방지장치
KR102513304B1 (ko) * 2022-10-05 2023-03-24 (주)지앤티솔루션 버스전용차로 위반 차량 검출을 위한 감시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1105B1 (ko) * 2023-04-25 2023-10-19 주식회사 한국엔텍 일방통행용 도로의 역방향 주행 방지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0284U (ko) * 1998-11-18 2000-06-15 이주환 자동바리케이드
JP2006241723A (ja) * 2005-03-01 2006-09-14 Jun Aoki 車両進入禁止装置
JP2011012482A (ja) * 2009-07-03 2011-01-20 Asahi Seimitsu Kk 通行方向規制装置
KR101050526B1 (ko) * 2010-12-01 2011-07-20 율진이앤씨(주) 자기장을 이용한 역주행방지장치
KR20110116929A (ko) * 2010-04-20 2011-10-26 최상암 횡단보도 안전장치
KR20120073060A (ko) * 2010-12-24 2012-07-04 신예담 일방통행 진입금지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0284U (ko) * 1998-11-18 2000-06-15 이주환 자동바리케이드
JP2006241723A (ja) * 2005-03-01 2006-09-14 Jun Aoki 車両進入禁止装置
JP2011012482A (ja) * 2009-07-03 2011-01-20 Asahi Seimitsu Kk 通行方向規制装置
KR20110116929A (ko) * 2010-04-20 2011-10-26 최상암 횡단보도 안전장치
KR101050526B1 (ko) * 2010-12-01 2011-07-20 율진이앤씨(주) 자기장을 이용한 역주행방지장치
KR20120073060A (ko) * 2010-12-24 2012-07-04 신예담 일방통행 진입금지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0593B1 (ko) * 2020-01-20 2021-01-11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도로의 역주행 방지장치
KR102513304B1 (ko) * 2022-10-05 2023-03-24 (주)지앤티솔루션 버스전용차로 위반 차량 검출을 위한 감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9840B1 (ko) 2019-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36433A (ko) 차량 통행 통제 설비 및 장치
US20190088112A1 (en) Pedestrian protection system using beacon signal
KR101507451B1 (ko) 역주행 차량 방지 시스템
US20220172626A1 (en) System for warning about intersection danger based on situation prediction
KR102210645B1 (ko) 보행안전지원시스템
KR101095846B1 (ko) 휀스형 차단기
KR101101257B1 (ko)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역주행 방지 시스템의 전원공급장치
ES2695425T3 (es) Procedimiento y dispositivo para la activación de un elemento de cierre para un vehículo
KR102126118B1 (ko) 지그비통신과 높이측정을 이용한 차량 통제 시스템
KR101567894B1 (ko) 횡단보도의 음성 안내 시스템
KR102290649B1 (ko) 횡단보도 진입 안내용 차량 보조신호등
CN110195387A (zh) 一种节能和智能的电子马路系统
KR101372803B1 (ko) 스쿨존 횡단보도 안내 장치
KR20060090374A (ko) 차량 충돌예방 시스템
KR100970234B1 (ko) 비상시 상승 높이가 제어되는 매설형 바리케이드 및 그 제어방법
KR101146608B1 (ko) 상하이동이 가능한 전동식 자동볼라드
KR101750879B1 (ko) 횡단보도 안전 관리 시스템
KR101246249B1 (ko) 충격을 흡수하는 가변형 안전 볼라드
KR102144772B1 (ko) 가변구간 설치용 차선 변환시스템
KR102181851B1 (ko) 지능형 차량교행신호 제어 시스템
KR20220071514A (ko) 영상 기반의 객체 인식 및 주변 환경 감지를 통한 보행 신호 제어 장치
KR200489836Y1 (ko) 주차장용 입출고 경보 시스템
KR100647522B1 (ko) 철도건널목의 자동차 차단장치
KR20130004561U (ko) 스쿨존 내에 설치되는 교통신호기 및 이를 포함하는 교통신호 시스템
KR102293290B1 (ko) 보행자와 운전자의 안전을 위한 도로시설물 제어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