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0593B1 - 도로의 역주행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도로의 역주행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0593B1
KR102200593B1 KR1020200007344A KR20200007344A KR102200593B1 KR 102200593 B1 KR102200593 B1 KR 102200593B1 KR 1020200007344 A KR1020200007344 A KR 1020200007344A KR 20200007344 A KR20200007344 A KR 20200007344A KR 102200593 B1 KR102200593 B1 KR 1022005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vehicle
swash plate
present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7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우
고학림
이건용
마호성
Original Assignee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07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05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0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05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8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by swinging into closed position about a transverse axis situated in the road surface, e.g. tiltable sections of the road surface, tiltable parking pos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08G1/0108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based on the source of data
    • G08G1/0116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based on the source of data from roadside infrastructure, e.g. beac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08G1/0175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by photographing vehicles, e.g. when violating traffic r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의 역주행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버스 및 대형차량의 하부를 보호하면서 승용차, 버스의 일방향 통행만을 허용하는 도로의 역주행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도로(50)상에서 주행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상승각도를 유지하는 경사판(200); 도로(50)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경사판(200)의 회전축(140)을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제 1, 2 기둥부(120a, 120b); 제 1, 2 기둥부(120a, 120b) 내에 각각 설치되어 회전축(140)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130); 스프링(130)의 일측에 설치되어, 스프링(130)의 압축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멈춤수단; 제 1, 2 기둥부(120a, 120b)에 설치되어 상기 경사판(200) 위로 지나가는 차량(10)의 높이를 판단하는 높이감지수단; 및 높이감지수단의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멈춤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역주행 방지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도로의 역주행 방지장치{Converse driving prevention apparatus in a road}
본 발명은 도로의 역주행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버스 및 대형차량의 하부를 보호하면서 주행 차량의 일방향 통행만을 허용하는 도로의 역주행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의 진출램프, 자동차 전용도로의 진출로, 고속도로, 고가도로의 진출구와 같은 곳에서는 운전자의 순간적인 착각이나 부주의로 인해 역방향 진입이 일어나는 사례가 있다. 이러한 잘못된 운전은 특히, 고령화 사회로 인해 노인 운전자의 착각이나 주의력 부족, 인지 부족에 기인하고 있으며, 심야시간대나 심야 악천후에서 전방 시야를 충분히 확보하지 못해 발생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로상의 역주행은 마주오는 차량과의 정면추돌로 이어져 대형 교통사고를 일으킬 수 있고, 인명사고로도 이어질 수 있는 중대 위반행위이다.
이러한 위험을 해결하고자 몇가지 역주행 방지장치가 제안되곤 하였다. 그러나, 기존의 역주행 방지장치는 센서로 역주행을 감지하고 기계적 구동으로 역주행을 방지하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센서의 고장이나 오작동, 기계적 결함 등으로 인해 잦은 고장이 발생할 소지가 있고, 이는 차량의 진행을 방해하는 원인이 될수 있으며, 이로 인해 교통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할 가능성이 존재했다. 그리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오직 주기적인 점검과 유지 보수만을 통해 해결할 수 있기 때문에 이는 많은 비용과 인력을 필요로 하여 비경제적인 부분이 발생할 수 있다.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 20-0364650 호(역주행방지장치), 2.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10-2009-0040636 호(역주행방지시스템), 3.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2038432 호(역주행 방지장치).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정방향 차량의 물리적 이동만으로 주행을 허용하고, 역방향 차량의 진입은 원척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도로의 역주행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정방향 차량중 경사판의 길이(L1) 보다 축거리가 긴 차량(예 : 버스)을 인식하여 대형 차량의 통과시 차량의 하부를 보호할 수 있는 도로의 역주행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역주행 방지장치를 통과하는 차량에 관한 데이터와 영상을 생성하여 중앙의 관제실로 전송함으로써, 교통상황의 파악이나 교통안내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도로의 역주행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도로(50)상에서 주행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상승각도를 유지하는 경사판(200); 도로(50)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경사판(200)의 회전축(140)을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제 1, 2 기둥부(120a, 120b); 제 1, 2 기둥부(120a, 120b) 내에 각각 설치되어 회전축(140)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130); 스프링(130)의 일측에 설치되어, 스프링(130)의 압축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멈춤수단; 제 1, 2 기둥부(120a, 120b)에 설치되어 상기 경사판(200) 위로 지나가는 차량(10)의 높이를 판단하는 높이감지수단; 및 높이감지수단의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멈춤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역주행 방지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경사판(200)의 길이(L1)는 승용차의 축거리(L2)에 대응한다.
또한, 경사판(200)의 양단중 적어도 일단에는 경사면(21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멈춤수단은, 스프링(130)이 압축상태일 때, 회전축(140)의 상부를 가로질러 돌출되는 로드(175); 및 로드(175)를 왕복운동시키는 스토퍼(170);를 포함한다.
또한, 높이감지수단은, 제 1, 2 기둥부(120a, 120b)중 적어도 하나의 기둥부에 높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센서(150)이다.
또한, 높이감지수단이 차량(10)을 버스(60)라고 판단하는 경우, 제어부(300)는 멈춤수단을 제어하여 버스(60)가 통과할 때까지 경사판(200)이 도로(5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도로(50)는 하향 경사진 일방향통행 도로이고, 경사판(200)은 적어도 수평방향을 유지한다.
또한, 제 1, 2 기둥부(120a, 120b)중 적어도 일단에 설치된 CCTV(320); 및 제어부(300)의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부(330);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300)는 통신부(330)를 통해 차량(10)의 데이터 및 CCTV(320)의 영상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차량의 데이터는 차량(10)의 종류, 차량(10)의 댓수, 차량(10)의 통과시간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경사판(200)이 상기 상승각도를 유지하는 상태일때, 경사판(200)의 일단에 형성된 제 1 경사면(210)은 상기 도로(50)상에 접하고, 그리고 경사판(200)의 타단에 형성된 제 2 경사면(220)은 공중에 떠 있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정방향 차량의 물리적 이동만으로 주행을 허용하고, 역방향 차량의 진입은 원척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즉, 차량의 무게로 경사판을 밟게 되므로 동작을 위한 전력이 필요치 않고, 차량은 순조롭게 방지장치를 통과할 수 있다. 그리고, 역방향 차량은 도로상에 떠 있는 경사판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멀리서부터 역방향의 주행을 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정방향 차량중 경사판의 길이(L1) 보다 축거리가 긴 차량(예 : 버스, 트럭, 화물차, 등)이 통과하더라도 경사판(200)이 상승하지 않아 대형 차량의 하부를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정방향으로 진행하는 모든 차량의 흐름을 원활하게 유지할 수 있고, 역방향으로 진입하려는 차량은 멀리서부터 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대형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장치의 유지 보수도 매우 간편하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역주행 방지장치를 통과하는 차량에 관한 데이터와 영상을 생성하여 중앙의 관제실로 전송함으로써, 교통상황의 파악이나 교통안내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역주행 방지장치의 설치상태도,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차량(10)이 승용차일 때, 승용차가 역주행 방지장치를 통과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동작상태도,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차량(10)이 버스(60)일 때, 버스(60)가 역주행 방지장치를 통과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동작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역주행 방지장치에 역방향 차량(20)이 접근한 상태를 나타내는 동작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역주행 방지장치의 사시도,
도 5a는 차량이 통과하지 않을 때, 가이드홀(180) 주변의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상태도,
도 5a는 버스(60)가 통과할 때, 가이드홀(180) 주변의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역주행 방지장치의 개략적인 시스템 블럭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실시예의 구성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역주행 방지장치의 설치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역주행 방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지장치가 설치될 수 있는 도로(50)는 도로의 진출램프, 자동차 전용도로의 진출로, 고속도로, 고가도로의 진출구, 주차장 진출구 등이다. 이러한 도로(50)는 수평인 도로일 수도 있고, 하향 경사진 도로일 수도 있다.
경사판(200)의 길이(L1)는 승용차(10)의 축거리(L2)와 같거나 조금 더 긴 거리를 갖고, 폭은 1차선 도로를 충분히 커버할 수 있는 정도면 족하다. 경사판(200)는 금속제로 제작되며, 일단에는 제 1 경사면(210)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제 2 경사면(220)이 형성되어 진입하거나 진출하는 차량(10)이 충격없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제 1, 2 경사면(210, 220)에는 야광 스티커나 페인트 등을 코팅하여 운전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경사판(200)의 중간영역에는 폭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회전축(140)이 돌출되어 있다. 회전축(140)은 제 2 경사면(220)쪽으로 약간 편심되어 있어, 차량(10)이 없을 때에는 제 1 경사면(210)이 항상 도로(50)에 접하도록 한다. 이러한 회전축(140)은 경사판(200)이 회동하는 중심점 역할을 한다.
높이감지수단인 센서(150)는 제 1, 2 기둥부(120a, 120b)에 설치되어 경사판(200) 위로 지나가는 차량(10)의 높이를 감지한다. 이를 위해, 센서(150)는 제 1, 2 기둥부(120a, 120b)의 높이 방향으로 다수개가 설치된다. 이러한 센서(150)는 자력을 이용하는 자기장센서, 빛을 이용한 적외선 센서, 근접센서, 레이저 센서 등이 될 수 있다. 센서(150)는 역주행 방지장치(100)를 통과하는 차량(10)이 승용차인지 버스(60)인지를 높이로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제어부(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는 차고가 높은 대형 차량인 경우 축거리(휠베이스)가 길기 때문이다.
도 5a는 차량이 통과하지 않을 때, 가이드홀(80) 주변의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상태도이고, 도 5a는 버스(60)가 통과할 때, 가이드홀(180) 주변의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상태도이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2 기둥부(120a, 120b)는 도로(50)의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하부에는 회전축(140)이 회동 자유롭게 끼워진다. 가이드홀(180)은 하부에 형성되고, 회전축(140)이 끼워지며, 지면과 회전축(140) 사이에는 압축 코일 스프링(130)이 게재된다.
멈춤수단인 스토퍼(170)는 제 1, 2 기둥부(120a, 120b)의 하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며, 로드(175)를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송가능하다. 회전축(140)에 의해 스프링(130)이 압축된 상태에서 로드(175)가 수평으로 돌출되면 회전축(140)의 상부를 가로지르게 되어 회전축(140)의 상승을 막게 된다. 이러한 스토퍼(170)와 로드(175)는 솔레노이드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역주행 방지장치의 개략적인 시스템 블럭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00)는 필요한 소프트웨어가 내장되는 마이컴, CPU 등이 될 수 있다.
전원부(310)는 역주행 방지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장치이다. 전원부(310)는 2차전지와 태양광 등의 패널이 될 수 있고, 외부로부터의 220 V 플러그 전원이 될 수도 있다.
CCTV(320)는 역주행 방지장치(100)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이다. CCTV(320)가 촬영한 영상은 통신부(330)를 통해 중앙의 관제실로 보내진다.
통신부(330)는 무선 통신부 또는 유선 통신부가 될 수 있다. 유선 통신인 경우 별도의 전용 케이블이나, 전화선, 전력선 모뎀, 랜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인 경우, LTE, 와이파이, 블루투스, 무선 랜 등의 모듈이 될 수 있다.
실시예의 동작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차량(10)이 승용차일 때, 승용차가 역주행 방지장치를 통과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동작상태도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방향 차량(10)은 승용차인 경우 아무런 제지없이 경사판(200)을 누르면서 도로(50)를 주행할 수 있다. 이때, 차량(10)의 하중에 의해 경사판(200)이 눌려지고, 회전축(140)이 양단의 스프링(130)을 각각 누르게 된다.
센서(150)는 통과하는 차량(10)이 승용차임을 감지하여 스토퍼(170)를 동작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차량(10)의 뒷바퀴가 경사판(200)을 다 통과하면 스프링(130)의 복원력에 의해 회전축(140)과 경사판(200)이 다시 들어올려진다.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차량(10)이 버스(60)일 때, 버스(60)가 역주행 방지장치를 통과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동작상태도이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150)가 버스(60)라고 감지하면, 제어부(300)는 스토퍼(170)를 동작시킨다. 그러면, 도 5b와 같이 로드(175)가 회전축(140)의 상승을 저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경사판(200)은 들려지지 않게 되어, 경사판(200)이 버스(60)의 하부를 긁어서 고장내는 일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버스(60)가 완전히 통과하였음을 센서(150)가 감지하면, 스토퍼(170)를 동작해제시킨다(도 5a 참조). 그러면, 스프링(130)에 의해 회전축(140)이 상승하면서 경사판(200)이 처음상태와 같이 들려진다.
차량(10)의 종류(승용차, 대형차량). 통과시간, 통과 댓수는 제어부(300)에 의해 생성되고, 저장되었다가 통신부(330)를 통해 중앙의 관제실로 보내진다.
CCTV(320)는 실시간으로 또는 동작시마다 주변을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을 중앙의 관제실로 전송한다. 중앙의 관제실로 보내진 차량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는 교통상황의 파악이나 교통안내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역주행 방지장치에 역방향 차량(20)이 접근한 상태를 나타내는 동작상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방향 차량(20)의 운전자는 멀리서부터 역주행 방지장치(100)로 점차 접근하면서 들려진 경사판(200)을 보게 된다. 경사판(200)의 제 2 경사면(220)에 형광 스티커나 페인트를 도색하거나 역주행을 알리는 문구(예 : 진입금지, 위험, 역주행 등)를 표시하면 더욱 효과적이다. 운전자는 들려져 있는 경사판(200)을 보면서 직감적으로 잘못된 주행임을 알게 되어 속도를 줄인 후 다른 방향으로 차량(20)을 돌리게 된다. 이를 통해 도로의 역주행을 쉽게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게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10 : 정방향 차량,
20 : 역방향 차량,
50 : 도로,
60 : 정방향 버스,
100 : 역주행 방지장치,
120 : 기둥부,
120a : 제 1 기둥부,
120b : 제 2 기둥부,
130 : 스프링,
140 : 회전축,
150 : 센서,
170 : 스토퍼,
175 : 로드,
180 : 가이드홀,
200 : 경사판,
210 : 제 1 경사면,
220 : 제 2 경사면,
300 : 제어부,
310 : 전원부,
320 : CCTV,
330 : 통신부,
L1 : 경사판 길이,
L2 : 승용차 축거리,
L3 : 버스 축거리.

Claims (10)

  1. 도로(50)상에서 주행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상승각도를 유지하는 경사판(200);
    상기 도로(50)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경사판(200)의 회전축(140)을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제 1, 2 기둥부(120a, 120b);
    상기 제 1, 2 기둥부(120a, 120b) 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140)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130);
    상기 스프링(13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스프링(130)의 압축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멈춤수단;
    상기 제 1, 2 기둥부(120a, 120b)에 설치되어 상기 경사판(200) 위로 지나가는 차량(10)의 높이를 판단하는 높이감지수단; 및
    상기 높이감지수단의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멈춤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역주행 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판(200)의 길이(L1)는 승용차의 축거리(L2)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역주행 방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판(200)의 양단중 적어도 일단에는 경사면(21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역주행 방지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수단은,
    상기 스프링(130)이 압축상태일 때, 상기 회전축(140)의 상부를 가로질러 돌출되는 로드(175); 및
    상기 로드(175)를 왕복운동시키는 스토퍼(1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역주행 방지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감지수단은, 상기 제 1, 2 기둥부(120a, 120b)중 적어도 하나의 기둥부에 높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센서(1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역주행 방지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감지수단이 상기 차량(10)을 버스(60)라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멈춤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버스(60)가 통과할 때까지 상기 경사판(200)이 상기 도로(5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역주행 방지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50)는 하향 경사진 일방향통행 도로이고,
    상기 경사판(200)은 적어도 수평방향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역주행 방지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기둥부(120a, 120b)중 적어도 일단에 설치된 CCTV(320); 및
    상기 제어부(300)의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부(3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통신부(330)를 통해 상기 차량(10)의 데이터 및 상기 CCTV(320)의 영상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역주행 방지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데이터는 상기 차량(10)의 종류, 상기 차량(10)의 댓수, 상기 차량(10)의 통과시간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역주행 방지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판(200)이 상기 상승각도를 유지하는 상태일때,
    상기 경사판(200)의 일단에 형성된 제 1 경사면(210)은 상기 도로(50)상에 접하고, 그리고
    상기 경사판(200)의 타단에 형성된 제 2 경사면(220)은 공중에 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역주행 방지장치.
KR1020200007344A 2020-01-20 2020-01-20 도로의 역주행 방지장치 KR1022005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7344A KR102200593B1 (ko) 2020-01-20 2020-01-20 도로의 역주행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7344A KR102200593B1 (ko) 2020-01-20 2020-01-20 도로의 역주행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0593B1 true KR102200593B1 (ko) 2021-01-11

Family

ID=74129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7344A KR102200593B1 (ko) 2020-01-20 2020-01-20 도로의 역주행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0593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4650Y1 (ko) 2004-07-19 2004-10-19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역주행방지장치
KR20090040636A (ko) 2007-10-22 2009-04-27 주식회사 아이디시스 역주행방지시스템
JP2011012482A (ja) * 2009-07-03 2011-01-20 Asahi Seimitsu Kk 通行方向規制装置
JP2012159968A (ja) * 2011-01-31 2012-08-23 Nec Commun Syst Ltd 逆走防止装置
JP3207489U (ja) * 2016-09-02 2016-11-10 秀一 眞中 逆走防止設備
KR20180012619A (ko) * 2016-07-27 2018-02-06 (주)상경씨티 플랩형 노상주차 무인 차단장치
KR20190036433A (ko) * 2017-09-27 2019-04-04 (주)에스디시스템 차량 통행 통제 설비 및 장치
KR102038432B1 (ko) 2019-04-09 2019-10-30 한라케미칼(주) 역주행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4650Y1 (ko) 2004-07-19 2004-10-19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역주행방지장치
KR20090040636A (ko) 2007-10-22 2009-04-27 주식회사 아이디시스 역주행방지시스템
JP2011012482A (ja) * 2009-07-03 2011-01-20 Asahi Seimitsu Kk 通行方向規制装置
JP2012159968A (ja) * 2011-01-31 2012-08-23 Nec Commun Syst Ltd 逆走防止装置
KR20180012619A (ko) * 2016-07-27 2018-02-06 (주)상경씨티 플랩형 노상주차 무인 차단장치
JP3207489U (ja) * 2016-09-02 2016-11-10 秀一 眞中 逆走防止設備
KR20190036433A (ko) * 2017-09-27 2019-04-04 (주)에스디시스템 차량 통행 통제 설비 및 장치
KR102038432B1 (ko) 2019-04-09 2019-10-30 한라케미칼(주) 역주행 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271593A1 (en) Vehicle passage control device
CN108411820B (zh) 一种高速公路应急车道智能管理与控制系统
KR20180012619A (ko) 플랩형 노상주차 무인 차단장치
JP6374787B2 (ja) ゲート装置及びゲート制御システム
CN106143295A (zh) 无人车预警方法、装置及无人车
KR102009681B1 (ko) 터널의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KR102200593B1 (ko) 도로의 역주행 방지장치
KR20180117776A (ko) 고속도로 진출로 역주행 방지장치
KR20200142718A (ko) 차량 충돌을 방지하는 주차 차단기
CN210072930U (zh) 一种智能车位辅助停车设备
KR100647522B1 (ko) 철도건널목의 자동차 차단장치
KR101073539B1 (ko) 차량충돌 완충장치
KR100638328B1 (ko) 보행자 안내용 입출차 차단기를 구비한 주차관리시스템
KR101654228B1 (ko) 연쇄충돌사고 방지를 위한 자주식 전광판
KR101505116B1 (ko) 보행자 보호용 안전 차단기 시스템
CN109488086B (zh) 旋转式无避让立体停车装置用安全监控方法
CN109488087B (zh) 旋转式无避让立体停车装置用安全监控系统
CN112634656A (zh) 一种基于城市道路的智能限高控制方法及其系统
CN112277859A (zh) 一种无人驾驶防撞保护装置
KR101636942B1 (ko) 차량 진출입로에서의 적정한 스티어링 유도를 위한 유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유도시스템
KR101915266B1 (ko) 이동식 바리케이드
KR102591105B1 (ko) 일방통행용 도로의 역방향 주행 방지장치
CN115075166A (zh) 带警示功能的智能道闸
CN215706767U (zh) 一种移动式查验设备
JP2016211322A (ja) ゲート装置及びゲート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