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4650Y1 - 역주행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역주행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4650Y1
KR200364650Y1 KR20-2004-0020482U KR20040020482U KR200364650Y1 KR 200364650 Y1 KR200364650 Y1 KR 200364650Y1 KR 20040020482 U KR20040020482 U KR 20040020482U KR 200364650 Y1 KR200364650 Y1 KR 2003646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rning message
groove
driving
block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04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동관
장기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4-00204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46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46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46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10Vehicle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allowing passage in one direction only
    • E01F13/105Vehicle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allowing passage in one direction only depressible by right-way traffic, e.g. pivotally; actuated by wrong-way traffic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12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for forcibly arresting or disabling vehicles, e.g. spiked mats
    • E01F13/123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for forcibly arresting or disabling vehicles, e.g. spiked mats depressible or retractable below the traffic surface, e.g. one-way spike barriers, power-controlled prong b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역주행하는 운전자에게 역주행 사실을 알리는 역주행방지장치에 있어서, 경고메시지가 도로면에 대해 입체적으로 표시되어 있어 운전자가 쉽게 경고메시지를 볼 수 있고, 경고메시지를 확인하지 못하고 계속 역주행할 경우에는 차량에 충격이 가해져 운전자를 인식시키며, 정주행하는 차량에는 거의 충격을 가하지 않는 역주행방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주행방향이 정해진 도로(1)에 형성된 홈(110)과, 상기 홈(110) 내에 위치하며, 주행방향의 상류 쪽에 위치한 일단부가 홈(110)의 내측면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면에는 경고메시지(123)가 표시된 블록(120)과, 블록(120)의 타단부가 도로면 보다 높게 돌출되어 위치하도록 홈(110)의 안쪽에 위치하여 블록(120)의 타단부를 밀어 올리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127)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역주행방지장치는 역주행 경고메시지가 도로면에 대해 수직하게 위치함으로써, 역주행하는 운전자가 상기 경고메시지를 쉽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이를 인식하지 못하고 계속 역주행할 경우에는 도로면에 돌출된 블록을 넘어가면서 충격이 차량에 가해지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는 차량에 가해진 충격을 인식하여 본인이 역주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역주행방지장치는 역주행 경고메시지가 도로면에 수직하게 입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어 눈이 오더라도 눈에 경고메시지가 덮이는 것을 방지할수 있으며, 우천시에 난반사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역주행 경고메시지는 날씨에 관계없이 운전자에게 위험을 경고할 수 있다.
또한, 정주행하는 차량이 본 고안의 역주행방지장치를 지나갈 경우에는 거의 충격이 주지 않게 구성되어 있어, 정주행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좋은 승차감을 줄 수 있다.

Description

역주행방지장치{Converse Driving Prevention Apparatus}
본 고안은 역주행하는 운전자에게 역주행 사실을 알리는 역주행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경고메시지가 도로면에 대해 입체적으로 표시되어 있어 운전자가 쉽게 경고메시지를 볼 수 있고, 경고메시지를 확인하지 못하고 계속 역주행할 경우에는 차량에 충격이 가해져 운전자를 인식시키며, 정주행하는 차량에는 거의 충격을 가하지 않게 구성한 것이다.
도로에는 차량이 주행하는 방향이 정해져 있다. 만약 차량이 정주행방향에 대해 역방향으로 역주행하게 되면, 다른 차량과 정면충돌할 수 있는 위험이 크며, 정면충돌에 따른 대형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에는 역주행방지를 위한 특별한 설비가 없었다. 단지 도로면에 주행방향을 알리는 화살표를 표시하여 운전자에게 인식시켜주는 정도에 불과하다. 또한 과속방지턱은 단지 주행차량의 속도를 감속시키고자 고의적으로 도로면에 볼록한 구조물을 설치한 것으로서, 운전자 자신이 역주행하고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지 못한 경우에는 과속방지턱이 역주행을 막지 못한다.
한편, 도로면에 표시된 화살표나 다른 역주행 경고메시지는 평면적인 구조를 갖고 있어, 겨울철에 눈이 오거나, 또는 비가 와서 빛이 난반사될 경우에는 운전자가 경고메시지를 볼 수 없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도로의 아스팔트는 검정색이고, 경고메시지의 색깔은 보색인 흰색으로서, 눈이 올 경우에는 경고메시지가 잘 보이지 않게 된다. 그리고 타이어 자국 등에 의해 경고메시지가 오염되면, 운전자는 경고메시지를 확인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본 고안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역주행을 방지하는 경고메시지가 도로면에 대해 입체적으로 형성되어 운전자가 쉽게 역주행 사실을 인식하게 함과 동시에, 경고메시지가 수직하게 형성되어 쉽게 오염되지 않으며, 또한 정상적으로 주행하는 차량에는 거의 충격을 가하지 않게 구성된 역주행방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역주행방지장치가 도로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역주행방지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역주행방지장치의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역주행방지장치의 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역주행방지장치가 도로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도로 100 : 역주행방지장치
110 : 홈 111 : 구멍
113 : 배수구 120 : 블록
121 : 홀 123 : 경고메시지
125 : 힌지축 127, 130 : 코일스프링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주행방향이 정해진 도로에 형성된 홈과, 상기 홈 내에 위치하며 상기 주행방향의 상류 쪽에 위치한 일단부가 상기 홈의 내측면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면에는 경고메시지가 표시된 블록과, 상기 블록의 타단부가 도로면 보다 높게 돌출되어 위치하도록 상기 홈의 안쪽에 위치하여 상기 블록의 타단부를 밀어 올리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홈의 마주하는 내측면에는 구멍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구멍과 대응하는 상기 블록의 측면에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에는 코일스프링이 위치하며, 상기 홀의 개방부에는 상기 블록의 측면 밖으로 돌출된 힌지축이 위치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홈의 바닥면은 경사져 있으며, 상기 바닥면에는 배수구가 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블록에는 송곳부가 상기 주행방향의 하류 쪽을 향해 형성된다.
아래에서, 본 고안에 따른 역주행방지장치의 양호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면에서,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역주행방지장치가 도로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역주행방지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역주행방지장치의 종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역주행방지장치의 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1)의 폭 방향으로 형성된 홈(110)과, 상기 홈(110)에 삽입되어 위치하는 블록(120)과, 도로의 폭방향으로 위치하는 상기 홈(110)의 두 내측면과 상기 블록(120)의 양측단을 힌지 결합하는 힌지축(125)과, 상기 블록(120)의 저면과 상기 홈(110)의 바닥면에 접하여 상기 블록(120)을 상부방향으로 밀어 올리는 탄성체를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역주행방지장치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보이듯이, 도로면에는 도로(1)에 사각형의 구조로 홈(110)이 형성된다. 상기 홈(110)의 바닥면에는 배수구(113)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은 상기 배수구(113) 방향으로 점차 낮아지는 경사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홈(110)에 있어서, 상기 도로(1)의 폭방향으로 마주하여 위치하는 두 내측면에는 각각 구멍(111)이 형성된다. 상기 구멍(111)은 홈(110)의 내측면에 있어서, 정주행 방향의 상류 쪽 즉, 차량이 역주행방지장치로 주행해 오는 방향 쪽에 형성된다.
한편, 블록(120)은 도 2에 보이듯이, 상기 홈(110)의 크기보다 다소 작은 크기의 직육면체 구조로서, 블록(120)은 홈(110)에 위치한다. 그리고 구멍(111)이 형성된 홈(110)의 내측면과 마주하는 블록(120)의 양측단면에는 힌지축(125)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축(125)이 상기 홈(110)의 구멍(111)에 각각 삽입됨으로써, 블록(120)의 타단부(정주행 방향의 하류 쪽)는 상부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위치한다.
여기에서, 상기 힌지축(125)은 상기 블록(120)의 양측단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힌지축(125)은 상기 블록(120)의 안쪽으로 들어가거나 나오도록 탄성력체인 코일스프링(127)을 구비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블록(120)의 양측단면에는 홀(121)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홀(121)의 안쪽에는 코일스프링(127)이 위치한다. 그리고 홈(110)의 개방부에는 힌지축(125)이 위치하여 홀(121)의 안쪽으로 삽입 또는 홀(121)의 외부로 돌출되게 구성된다. 따라서 힌지축(125)에 힘이 가해지면 코일스프링(127)의 수축에 의해 홀(121)의 안쪽으로 삽입되고, 가해지던 힘이 제거되면 코일스프링(127)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힌지축(125)은 홀(121)의 외부로 돌출되어 위치한다.
따라서 블록(120)을 홈(110)에 위치함에 있어서, 힌지축(125)을 홀(121)의 안쪽으로 삽입한 상태에서 블록(120)을 홈(110)에 위치한다. 이 과정 중에, 힌지축(125)이 홈(110)에 형성된 구멍(111)과 대응하는 순간, 힌지축(125)에 가해지던 힘이 제거되면서 힌지축(125)은 홀(121)의 구멍(111)에 삽입되어 정합한다.
이 상태에서 블록(120)의 타단부는 힌지축(125)을 중심으로 상부방향으로 선회 가능하다.
또한, 상기 홈(110)의 안쪽 바닥면에는 다수 개의 코일스프링(130)이 위치하며, 상기 코일스프링(130)의 상단은 블록(120)의 저면과 접해 위치한다. 여기에서 블록(120)의 자중에 의한 중력보다 다수 개의 코일스프링(130)의 탄성력이 커서, 평상시에는 블록(120)의 타단부가 홈(110)의 상부로 돌출되어 위치한다. 이와 같은 블록(120)에 있어서, 상기 홈(110)의 상부로 돌출되어 위치한 측면에는 역주행방지장치(100)의 경고메시지(123)가 적혀 있다. 이런 경고메시지(123)는 반사체 또는 반사경을 이용하여 '진입금지'의 문자 또는 화살표 등의 기호로 표시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역주행방지장치(100)에 있어서, 블록(120)은 금속상자 또는 콘크리트 구조물로 구성할 수 있으며, 홈(110)에 위치한 코일스프링(130)을 대신하여 판스프링 또는 고무부재 등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블록(120)의 상면에는 정주행하는 운전자에게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역주행방지장치의 작동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블록(120)은 코일스프링(130)의 탄성력에 의해 경고메시지(123)가 부착된 측면이 홈(110) 밖으로 돌출되어 위치한다. 따라서 역주행방지장치(100)가 설치된 도로(1)의 정주행방향(도 1의 화살표 방향)으로 주행하는 차량의 경우에는 경고메시지(123)가 보이지 않지만, 역주행하는 차량의 운전자는 도로면 상부로 수직하게 돌출된 경고메시지(123)를 쉽게 볼 수 있게 된다. 또한 역주행하는 운전자가 경고메시지(123)를 쉽게 볼 수 있도록 도로면에수직하게 위치하지만, 운전자가 이 경고메시지(123)를 보지 못하고 계속해서 역주행하여 역주행방지장치(100)를 넘어 설 경우에, 블록(120)은 도로면에 수직하게 돌출되어 있어 차량에 충격이 가해진다. 이와 같은 충격에 의해 운전자는 자신이 역주행하고 있음을 인식하게 된다.
한편, 정주행하는 차량이 블록(120)의 상면을 지날 때에, 차량의 무게에 의해 코일스프링(130)은 탄성변형하면서, 블록(120)은 홈(110)의 안쪽으로 밀려들어간다. 이와 같이 홈(110)의 안쪽으로 블록(120)이 삽입되어 들어가면서, 블록(120)의 상면과 도로면이 거의 일치하게 된다. 따라서 차량은 거의 충격을 받지 않는 상태로 역주행방지장치(100)를 넘어 갈 수 있게 된다.
한편 우천시에 빗물이 홈(110)에 유입될 수 있는데, 홈(110)으로 유입된 빗물은 홈(110)의 바닥에 형성된 배수구(113)를 통해 배수된다. 따라서 블록(120)이 차량의 무게에 눌려 홈(110)으로 들어갈 때에, 빗물이 홈(110) 밖으로 튀는 것을 원천적으로 막을 수 있으며, 또한 홈(110)에 채워진 빗물에 의해 경고메시지(123)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제2 실시예를 제1 실시예와 비교하였을 때에,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의 모든 구성요소를 갖고 있으며, 부가적으로 블록에 철판이 고정되어 역주행하는 차량이 역주행방지장치를 넘어갈 때에, 바퀴에 손상을 주어 더 이상 역주행을 하지 못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은 제2 실시예의 역주행방지장치는 역주행진입을 하여서는 안 될 고속도로의 휴게소와 같은 곳에 설치하여 역주행으로 인한 대형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제1 실시예에서 부여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역주행방지장치가 도로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120)에 있어서, 하류 쪽에는 철판(140)이 블록(120)의 상면에 고정된다. 이런 철판(140)은 날카로운 송곳부(143)가 형성되며, 그 송곳부(143)의 방향은 주행방향의 하류 쪽을 향해 위치한다. 여기에서, 송곳부(143)는 하부방향으로 약간 만곡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정주행하는 차량의 경우에는 블록(120) 위에 차량이 올라섰을 때에, 블록(120)이 홈(110)의 내부로 들어가 위치하기 때문에 송곳부(143) 또한 홈(110)의 내부로 들어가 위치하여 정주행차량은 무사히 역주행방지장치(100)를 통과할 수 있다.
하지만, 역주행하는 차량은 차량의 바퀴가 송곳부(143)에 먼저 접하게 되면서, 송곳부(143)가 바퀴를 뚫게 되며, 이런 상태의 차량은 더 이상 주행하지 못하고 멈출 수밖에 없게 된다.
한편, 역주행하는 차량의 운전자가 역주행방지장치(100)를 바라보았을 때에, 송곳부(143)에 의한 바퀴의 파손을 연상시킴으로써, 역주행방지장치(100)를 넘고자 하는 무모한 행동을 예방할 수 있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역주행방지장치는 역주행 경고메시지가 도로면에 대해 수직하게 위치함으로써, 역주행하는 운전자가 상기 경고메시지를 쉽게 인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를 인식하지 못하고 계속 역주행할 경우에는 도로면에 돌출된 블록을 넘어가면서 충격이 차량에 가해지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는 차량에 가해진 충격을 인식하여 본인이 역주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역주행방지장치는 역주행 경고메시지가 도로면에 수직하게 입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어 눈이 오더라도 눈에 경고메시지가 덮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우천시에 빗물이 흘러내려 난반사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역주행 경고메시지는 날씨에 관계없이 운전자에게 위험을 경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정주행하는 차량이 본 고안의 역주행방지장치를 지나갈 경우에는 거의 충격이 주지 않게 구성되어 있어, 정주행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좋은 승차감을 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역주행방지장치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들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Claims (4)

  1. 주행방향이 정해진 도로에 형성된 홈과,
    상기 홈 내에 위치하며, 상기 주행방향의 상류 쪽에 위치한 일단부가 상기 홈의 내측면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면에는 경고메시지가 표시된 블록과,
    상기 블록의 타단부가 도로면 보다 높게 돌출되어 위치하도록 상기 홈의 안쪽에 위치하여 상기 블록의 타단부를 밀어 올리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주행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의 마주하는 내측면에는 구멍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구멍과 대응하는 상기 블록의 측면에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에는 코일스프링이 위치하며, 상기 홀의 개방부에는 상기 블록의 측면 밖으로 돌출된 힌지축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주행방지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홈의 바닥면은 경사져 있으며, 상기 바닥면에는 배수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주행방지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에는 송곳부가 상기 주행방향의 하류 쪽을 향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주행방지장치.
KR20-2004-0020482U 2004-07-19 2004-07-19 역주행방지장치 KR2003646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0482U KR200364650Y1 (ko) 2004-07-19 2004-07-19 역주행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0482U KR200364650Y1 (ko) 2004-07-19 2004-07-19 역주행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4650Y1 true KR200364650Y1 (ko) 2004-10-19

Family

ID=49350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0482U KR200364650Y1 (ko) 2004-07-19 2004-07-19 역주행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465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0526B1 (ko) * 2010-12-01 2011-07-20 율진이앤씨(주) 자기장을 이용한 역주행방지장치
KR102038432B1 (ko) * 2019-04-09 2019-10-30 한라케미칼(주) 역주행 방지장치
KR102200593B1 (ko) 2020-01-20 2021-01-11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도로의 역주행 방지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0526B1 (ko) * 2010-12-01 2011-07-20 율진이앤씨(주) 자기장을 이용한 역주행방지장치
KR102038432B1 (ko) * 2019-04-09 2019-10-30 한라케미칼(주) 역주행 방지장치
KR102200593B1 (ko) 2020-01-20 2021-01-11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도로의 역주행 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8432B1 (ko) 역주행 방지장치
KR102003832B1 (ko) 주행차량의 완충기능을 갖춘 도로의 과속방지턱
KR200364650Y1 (ko) 역주행방지장치
KR200361409Y1 (ko) 이동식 과속방지턱
KR102203663B1 (ko) 역주행 방지장치
KR102348222B1 (ko)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
KR101073539B1 (ko) 차량충돌 완충장치
KR200492789Y1 (ko) 안전 운전을 위한 도로용 매트
AU2002220464B2 (en) Speed bump assembly on a road surface
JPH0124183Y2 (ko)
KR100648890B1 (ko) 완충식 도로 표지병
KR200488416Y1 (ko) 차선표지병
KR200234778Y1 (ko) 과속방지턱
KR200180083Y1 (ko) 과속방지장치
KR200343192Y1 (ko) 완충식 도로 표지병
US20140369748A1 (en) Ramp Guard to Prevent Wrong-Way Driving
KR200387052Y1 (ko) 침지식 도로 표지구
KR200208084Y1 (ko) 분리형 과속 방지턱
KR200347859Y1 (ko) 완충식 도로 표지병
CN220433481U (zh) 一种防撞安全型道闸
CN209652785U (zh) 一种反光减速路拱
KR100806822B1 (ko) 차량 진입 방지구
KR100467283B1 (ko) 도로용 표시병
KR200228524Y1 (ko) 파손방지형도로차선표지병
CN219137507U (zh) 一种自复位单向行车限制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