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0083Y1 - 과속방지장치 - Google Patents

과속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0083Y1
KR200180083Y1 KR2019990025332U KR19990025332U KR200180083Y1 KR 200180083 Y1 KR200180083 Y1 KR 200180083Y1 KR 2019990025332 U KR2019990025332 U KR 2019990025332U KR 19990025332 U KR19990025332 U KR 19990025332U KR 200180083 Y1 KR200180083 Y1 KR 2001800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 plate
plate
casing
speed
return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53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창식
Original Assignee
신창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창식 filed Critical 신창식
Priority to KR20199900253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00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00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00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29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specially adapted for signalling by sound or vibrations, e.g. rumble strips; specially adapted for enforcing reduced speed, e.g. speed b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과속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로의 횡단보도 근접부위나 과속주행의 발생소지가 있는 지역에 설치되어, 과속주행으로 인한 사고 및 피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갖으며, 몸체 내측으로는 공간부(11)가 형성된 케이싱(10)과, 상기 케이싱(10)의 상부에 소정 높이로 돌출되게 위치되며, 몸체 외부면에는 운전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반사부재(22)가 구비되는 표식판(20)과, 상기 표식판(20)의 저면과, 케이싱(10)의 공간부(11)에 위치되며, 차량과 표식판(20)의 접촉 및 해제시 표식판(20)을 상,하로 위치이동 시키는 리턴수단(40)으로 구성되므로 차량의 바퀴와 표식판(20)이 접촉된 경우에는 리턴수단(40)의 탄성력에 의해 하부로 이동되고, 바퀴와 표식판(20)의 접촉이 해제된 경우에는 리턴수단(40)의 복원력에 의해 표식판(20)이 다시 상부로 승강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종래에 비해 과속방지장치의 제작단가가 저감되고, 차체와 접촉시에도 차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품성 및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과속방지장치 {Overspeed prevention device}
본 고안은 과속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과속방지장치의 표식판이 차량의 바퀴와 접촉 및 해제시 선택적으로 승,하강 되도록 형성하여 차체손상 방지 및 시공단가를 저감시킬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속방지장치는 도로여건상 과속주행의 소지가 있는 장소에 설치하여 운전자의 과속주행을 방지하는 일종의 경계장치이다.
그리고, 통상적으로 도로에 설치되는 과속방지장치로는 도로의 높이에 차등을 두고 요철부를 형성하여 사용하는 과속방지턱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과속방지턱은 도로의 횡방향으로 도로 바닥면에서 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아스팔트 및 시멘트로 요철부를 형성한 후 식별이 용이한 색상을 도색하여 사용하는 일반적이다.
또한, 도로의 바닥면에 원거리에서 식별이 용이한 색상으로 사선무늬의 형상을 표식하여 사용하는 방식도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도로방지장치는 위치상 주의를 요하는 어린이 보호구역이나 인적이 드문 도로 및 지방의 국도등에 설치하여 사용하며, 도로여건상 신호등설치가 용이치 않은 지역에서도 신호등 대용으로 과속방지장치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종래 차량의 과속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과속방지장치 중 과속방지턱은 아스팔트 및 시멘트와 같이 형성 후에는 형상의 변형이 없는 고형의 재료를 사용하여 과속방지턱을 제작하므로, 제작단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주행중인 차량이 과속방지턱을 넘어가는 과정에서 차량의 하체와 과속방지턱이 접촉되면서, 차량 손상이 발생되는 폐단이 있었다.
또, 과속방지턱의 근접된 거리에서 운전자가 급격한 제동을 하므로 도로의 내구성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도로의 바닥면에 식별이 용이한 색상으로 사선무늬의 형상을 표식하는 경우는 제작단가가 과속방지턱에 비해 저렴한 장점은 있으나, 설치된 도로의 통행이 많은 운전자들에게는 표식된 과속방지장치라는 것이 쉽게 노출되어 과속방지의 역활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과속방지장치의 표식판이 차량의 바퀴와 접촉 및 해제시 선택적으로 승,하강 되도록 형성하여 차체손상 방지 및 시공단가를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과속방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품성 및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과속방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과속방지장치가 도로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과속방지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인 과속방지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타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케이싱 11 - 공간부
12 - 안착홈 13 - 접지판
14 - 이동홈 15 - 걸림턱
20 - 표식판 21 - 걸림부
22 - 식별수단 23 - 힌지축
24 - 요철부 25 - 단속부
30 - 지지축 40 - 리턴수단
45 - 스프링부재 46 - 링크부재
50 - 스토퍼판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도로의 횡단보도 근접부위나 과속주행의 발생소지가 있는 지역에 설치되어, 과속주행으로 인한 사고 및 피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갖으며, 몸체 내측으로는 공간부(11)가 형성된 케이싱(10)과;
상기 케이싱(10)의 상부에 소정 높이로 돌출되게 위치되며, 몸체 외부면에는 운전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반사부재(22)가 구비되는 표식판(20)과;
상기 표식판(20)의 저면과, 케이싱(10)의 공간부(11)에 위치되며, 차량과 표식판(20)의 접촉 및 해제시 표식판(20)을 상,하로 위치이동 시키는 리턴수단(40)으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인 과속방지장치는 차량의 바퀴와 표식판(20)이 접촉된 경우에는 리턴수단(40)의 탄성력에 의해 하부로 이동되고, 바퀴와 표식판(20)의 접촉이 해제된 경우에는 리턴수단(40)의 복원력에 의해 표식판(20)이 다시 상부로 승강되는 구조로 형성되므로, 종래에 비해 제작단가가 저감되고, 차체와 접촉시에도 차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품성 및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인 과속방지장치가 도로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 과속방지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과속방지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타실시예를 단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 ∼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과속방지장치의 케이싱(10)은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갖으며, 몸체 내부로는 공간부(11)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11)의 단부면에는 이동홈(1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10)의 몸체 내측에 형성되는 공간부(11)는 후술될 표식판(20)을 선택적으로 승,하강 시키는 구성품을 위치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케이싱(10)은 자동차의 주행중 하중등에도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금속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한편, 상기 케이싱(10)의 내측 공간부(11)에는 몸체 중앙 상부에는 안착홈(12)이 구비되는 스토퍼판(50)이 다수개 설치된다.
상기 스토퍼판(50)은 후술될 표식판(20)의 힌지축(23)이 자동차의 바퀴와 접촉되면서 하강될 때 상기 힌지축(23)을 몸체에 안착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스토퍼판(50)은 표식판(20)이 자동차의 바퀴와 접촉하여 하강될 때, 표식판(20)을 하부에서 지지하면서, 표식판(20)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며, 케이싱(10)의 공간부(11)에 다수개 설치되는 것은 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다수개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10)의 내측 공간부(11)에는 힌지축(23)으로 연결되어 케이싱(10) 상부로 위치되며, 몸체 하부 양측으로는 걸림부(21)가 구비되고, 상기 걸림부(21)의 상부로는 걸림부(21)와 연장되어 케이싱(10)의 양측 상부에 위치되는 접지판(13)이 형성되며, 몸체 상부면에는 반사부재(22)가 구비되는 표식판(20)이 설치된다.
상기 표식판(20)이 몸체 상부 중앙에 형성되는 힌지축(23)은 양측으로 분리설치되는 표식판(20)을 상호 고정시키는 역할과 동시에 표식판(20)이 힌지축(23)을 중심으로 이동하면서, 표식판(20)이 승,하강 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표식판(20)의 몸체 하부 양측에 형성되는 걸림부(21)는 표식판(20)이 자동차의 바퀴와 접촉되어 하강될 때 후술될 리턴수단(40)과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또, 상기 표식판(20)의 걸림부(21)에는 지지축(30)이 끼워져 표식판(20)을 지지 및 회동시키는 역활을 한다.
한편, 상기 표식판(20)의 걸림부(21) 상부로는 걸림부(21)와 연장된 접지판(13)이 형성되어, 케이싱(10)의 상부 양측으로 위치된다.
즉, 표식판(20)이 자동차의 바퀴와 접촉되면서 하강할 경우 걸림부(21)는 리턴수단(40)의 탄성력에 의해 후측으로 이동하면서, 동시에 걸림부(21)와 연장된 접지판(13) 역시 측면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면서, 표식판(20)이 하강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접지판(13)은 표식판(20)의 걸림부(21)와 연장되어 걸림부(21)의 이동시 동시에 작동되므로, 표식판(20)의 승,하강시 동시에 작동되면서, 표식판(20)이 용이하게 승,하강되도록 하는 보조수단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10) 내부에 설치된 걸림부(21)의 후측에는 리턴수단(40)이 설치되어 표식판(20)이 선택적으로 승,하강 되도록 하는 완충 및 복원수단의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리턴수단(40)으로는 스프링부재(45)을 사용하여 표식판(20)의 승,하강시 발생되는 하중 및 충격을 분산시키는 것이다.
또, 상기 스프링부재(45)는 코일스프링 및 판스프링과 가스스프링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평상시 자동차의 바퀴와 표식판(20)의 접촉이 발생되지 않는 경우에는 리턴수단(40)인 스프링부재(45)의 복원력에 의해 표식판(20)의 걸림부(21)를 밀어 표식판(20)이 상부로 돌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자동차의 바퀴와 표식판(20)이 접촉된 경우에는 양측으로 형성된 표식판(20)이 힌지축(23)을 중심으로 하부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표식판(20)의 걸림부(21)는 표식판(20)의 하부 이동과 함께 후측으로 이동되는데, 이 경우 걸림부(21)가 후측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은 리턴수단(40)인 스프링부재(45)의 탄성력에 의해 후측으로 이동되므로, 표식판(20) 전체가 하부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자동차의 바퀴와 표식판(20)이 접촉되어 하부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표식판(20)의 걸림부(21)에 끼워진 지지축(30)은 케이싱(10)의 이동홈(14) 내에서 선택적으로 이동하면서 표식판(20)을 하부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표식판(20)이 자동차의 바퀴와 접촉되어 하부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걸림부(21)는 지지축(30)을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하면서 후측으로 이동되고, 이때 걸림부(21)와 연장되게 형성된 접지판(13) 역시 후측으로 이동되어 표식판(20)이 원할하게 하부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하부로 이동된 표식판(20)은 자동차의 바퀴와 표식판(20)이 분리된 상태에서는 리턴수단(40)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상부로 승강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에서도 상기 표식판(20)은 힌지축(23)을 중심으로 리턴수단(40)이 걸림부(21)를 전면으로 밀면서 이동시키므로, 상부로 원활하게 승강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표식판(20)의 몸체 상부면에는 반사부재(22)이 형성된다.
상기 반사부재(22)은 원거리 및 야간주행중에도 운전자가 표식판(20)을 식별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에 형광 스티커를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형광스티커 대신 형광 도료를 도색하여 반사부재로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표식판(20)의 몸체 상부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개의 요철부(24)를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표식판(20)의 몸체 상부면에 요철부(24)를 형성하면, 운전자가 주행중 요철부(24)와 바퀴와의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으로 과속방지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반사부재(22) 역시 요철부(24) 내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표식판(20)의 내부 양측 단부에는 선택적으로 과속방지장치가 설치된 도로를 자주 이용하는 운전자가 지속적으로 경계심을 느낄 수 있도록, 지지구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표식판(20)의 내부 양측부에 삼각형 형상의 지지구를 삽입하여 표식판(20)이 하강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으므로, 운전자는 지속적 과속에 경계심을 느낄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4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식판(20)의 저면에 설치되는 리턴수단(40)으로는 스프링부재(45)와 링크부재(46)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식판(20)을 일체로 형성하고, 양측 단부에는 단속부(25)를 형성하고, 케이싱(10)의 양측상부에도 걸림턱(15)을 구비한 후, 표식판(20)의 몸체 저면에 스프링부재(45)를 설치하여 과속방지장치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리턴수단(40)을 링크부재(46)로 형성한 후 링크부재(46)의 상,하 작동에 의해 표식판(20)이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도로에 설치된 운전자에게 경계심을 갖도록 설치된 과속방지장치의 표식판(20)이 선택적으로 자동차의 바퀴의 접촉 유뮤에 따라 승,하강되므로, 차체의 손상방지 및 과속방지장치의 설치단가도 저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첫째, 종래 과속방지턱에 비해 설치비를 저감시킬 수 있다.
둘째, 자동차의 바퀴와 접촉시 표식판(20)이 하부로 이동되므로, 차체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종래 과속방지턱에 비해 설치시간이 단축되어 작업성이 향상된다.
넷째, 동일한 규격의 과속방지장치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주위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상품성 및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8)

  1. 도로의 횡단보도 근접부위나 과속주행의 발생소지가 있는 지역에 설치되어, 과속주행으로 인한 사고 및 피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갖으며, 몸체 내측으로는 공간부(11)가 형성된 케이싱(10)과;
    상기 케이싱(10)의 상부에 소정 높이로 돌출되게 위치되며, 몸체 외부면에는 운전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반사부재(22)가 구비되는 표식판(20)과;
    상기 표식판(20)의 저면과, 케이싱(10)의 공간부(11)에 위치되며, 차량과 표식판(20)의 접촉 및 해제시 표식판(20)을 상,하로 위치이동 시키는 리턴수단(4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과속방지장치.
  2.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수단(40)은 스프링부재(45)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과속방지장치.
  3.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수단(40)은 링크부재(46)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과속방지장치.
  4.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식판(20)은 힌지축(23)을 중심으로 양측에 소정의 경사각을 갖고 형성되며, 리턴수단(40)의 탄성 및 복원력에 의해 이동될 수 있도록, 몸체 하부 양측으로는 걸림부(21)가 구비되고, 상기 걸림부(21)의 상부로는 걸림부(21)와 연장되어 케이싱(10)의 양측 상부에 위치되는 접지판(13)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과속방지장치.
  5. 청구항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식판(20)이 설치되는 케이싱(10)의 단부 양측에는 표식판(20)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이동홈(14)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과속방지장치.
  6. 청구항 4항 및 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식판(20)의 걸림부(21)에는 케이싱(10)의 이동홈(14)내에서 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표식판(20)을 상,하로 위치 이동시키는 지지축(30)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과속방지장치.
  7.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식판(20)의 몸체에는 다수개의 요철부(24)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과속방지장치.
  8. 청구항 제 1 및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0)의 내측 공간부(11)에는 표식판(20)을 지지하는 스토퍼판(50)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과속방지장치.
KR2019990025332U 1999-11-18 1999-11-18 과속방지장치 KR2001800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5332U KR200180083Y1 (ko) 1999-11-18 1999-11-18 과속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5332U KR200180083Y1 (ko) 1999-11-18 1999-11-18 과속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0083Y1 true KR200180083Y1 (ko) 2000-04-15

Family

ID=19597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5332U KR200180083Y1 (ko) 1999-11-18 1999-11-18 과속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0083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6273A (ko) * 2002-02-04 2003-08-09 임경훈 움직이는 도로 안전 턱
KR101197030B1 (ko) 2010-08-02 2012-11-06 한상문 과속방지안전장치
CN105297647A (zh) * 2014-07-23 2016-02-03 汤兴初 一种弹性无损伤车辆减速拱
CN105887710A (zh) * 2016-04-15 2016-08-24 浙江大学 一种发电式减速带
CN110578303A (zh) * 2018-06-11 2019-12-17 徐勇 一种建筑工地用路面减速隔离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6273A (ko) * 2002-02-04 2003-08-09 임경훈 움직이는 도로 안전 턱
KR101197030B1 (ko) 2010-08-02 2012-11-06 한상문 과속방지안전장치
CN105297647A (zh) * 2014-07-23 2016-02-03 汤兴初 一种弹性无损伤车辆减速拱
CN105887710A (zh) * 2016-04-15 2016-08-24 浙江大学 一种发电式减速带
CN110578303A (zh) * 2018-06-11 2019-12-17 徐勇 一种建筑工地用路面减速隔离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05448A (en) Vehicular traffic control apparatus
US20070258764A1 (en) One-way speed bump
US7690860B1 (en) Traffic control device
KR200180083Y1 (ko) 과속방지장치
CA2207926C (en) Traffic sign
KR100871934B1 (ko) 보도의 차량진입 방지장치
KR200189319Y1 (ko) 과속방지장치
KR200400223Y1 (ko) 노면 부착식 차선 표지구
KR200221869Y1 (ko) 도로 안전 표지병의 보호장치
US20110164922A1 (en) Roadway marker and reflector guard
KR20130128954A (ko) 차량용 진입방지블럭
US4218157A (en) Parking lot marker apparatus
KR102110051B1 (ko) 경계석 안전장치
KR100648890B1 (ko) 완충식 도로 표지병
KR200343192Y1 (ko) 완충식 도로 표지병
CN218147980U (zh) 一种车辆单向通行壁障装置
KR100536773B1 (ko) 차량진입 방지용 도로경계석
KR100710877B1 (ko) 유턴차선 표시용 완충식 도로 표지병
KR200453431Y1 (ko) 도로 표지병
KR200347859Y1 (ko) 완충식 도로 표지병
KR200234664Y1 (ko) 도로경계블럭
US11030893B1 (en) System for reducing speed of a vehicle and method thereof
KR200357791Y1 (ko) 일방 통행용 과속 방지 장치
KR200236926Y1 (ko) 도로경계 표시장치
KR200220468Y1 (ko) 횡단보도용 안전표시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