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9213B1 - 양방향 차단용 매설형 로드블록 - Google Patents

양방향 차단용 매설형 로드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9213B1
KR102369213B1 KR1020210158490A KR20210158490A KR102369213B1 KR 102369213 B1 KR102369213 B1 KR 102369213B1 KR 1020210158490 A KR1020210158490 A KR 1020210158490A KR 20210158490 A KR20210158490 A KR 20210158490A KR 102369213 B1 KR102369213 B1 KR 102369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locking
link
vehicle
bur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8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앤에스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앤에스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앤에스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210158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92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9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9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12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for forcibly arresting or disabling vehicles, e.g. spiked mats
    • E01F13/123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for forcibly arresting or disabling vehicles, e.g. spiked mats depressible or retractable below the traffic surface, e.g. one-way spike barriers, power-controlled prong b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48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with obstructing members moving in a translatory motion, e.g. vertical lift barriers, sliding g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11/00Defence installations; Defence devices
    • F41H11/08Barbed-wire obstacles; Barricades; Stanchions; Tank traps; Vehicle-impeding devices; Caltr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방향 차단용 매설형 로드블록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차량이 매설형 로드블록의 회전 상승된 차단부의 전방충돌부 또는 후방충돌부와 충돌시 차단부가 젖혀져 파손되거나 하강되어 무력화되지 않도록 링크 접힘 방지용 스프링부가 구비된 다절 링크부, 이 다절 링크부를 지지하는 스토퍼부, 후방에서 접근하는 차량의 승월을 차단하도록 돌출되는 보조블록부를 구비하여 차량에 대한 양방향 차단력을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매설형 로드블록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은 매설형 로드블록에 있어서, 일측에는 전방충돌부(12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수납 또는 돌출되는 보조블록부(18)가 설치된 후방충돌부(122)로 형성되어 양방향 차량 진입을 차단하는 차단부(12)와; 수납부(11)와 차단부(12) 간을 연결하는 다수개의 링크와, 링크 접힘 방지용 스프링부로 이루어져 차단부 돌출시 연동되면서 펼쳐져 차단부가 후방으로 젖혀지거나 차량의 하중에 의해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다절 링크부(15)와; 다절 링크부(15)의 상부 링크를 지지하는 상부스토퍼와 하부 링크를 지지하는 하부스토퍼로 이루어져 펼쳐진 상태의 다절 링크부(15)가 차량충돌시 접히지 않도록 하여 차단부(12)의 하강을 방지하는 스토퍼부(16);를 포함하는 양방향 차단용 매설형 로드블록을 발명의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양방향 차단용 매설형 로드블록{Buried road block for two-way blocking}
본 발명은 양방향 차단용 매설형 로드블록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미인가 차량이 매설형 로드블록의 회전 상승된 차단부에 대하여 전방쪽 또는 후방쪽 어느 방향에서 접근하여 충돌해도 충격 또는 하중의 인가에 의해 차단부가 파손되거나 하강하지 않도록 지탱하는 구조와, 차단부의 후방 경사구조를 통한 차량의 승월도 방지하는 구조를 가져 차량에 대한 양방향 차단력을 복합적으로 제공하도록 구성된 매설형 로드블록에 관한 것이다.
로드블록은 사람이나 차량 등의 통행을 막기 위하여 임시로 설치해 놓은 노상의 장애물을 뜻하는 것으로, 통상 불법 차량의 출입을 통제하도록 시설물의 정문 또는 주차장의 진출입로 등에 많이 설치되어 사용된다.
최근에는 국가 중요시설 등에 대한 폭탄 테러 및 강제 침입시도 차량 등을 차단하고자 다양한 로드블록의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로드블록은 다양한 형태가 존재하는데, 최근에는 평상시에는 도로를 통행하는 차량의 흐름에 방해가 되지 않으면서 필요시 신속하게 도로 지중에 매립된 상태에서 지상으로 상승되어 도로의 차량통행을 통제할 수 있는 지중 매립형 로드블록이 점차 많이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도 18 및 도 19는 종래 바리케이드의 일반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이와 같은 바리케이드의 구조 및 작동을 살펴보면 도로 또는 필요한 지점의 지중에 매립된 수납부(11)에 차단부(12)가 수납된 형태를 유지하다가 필요에 따라 수납부(11)와 차단부(12) 간을 연결하고 있는 메인 실린더부(14)가 유압펌프로부터 유압을 공급받아 메인실린더의 피스톤로드를 신장시킴으로써 힌지축(13)을 중심으로 차단부가 회전하여 상승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차단부(12)가 수납부(11)로부터 회전 상승하여 도로 또는 지면 위로 돌출되어 메인실린더의 유압에 의해 지지되면 차량의 통행을 물리적으로 차단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진 종래 매립형 로드블록으로는 국내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 98-010816호(명칭: 차량 출입통제용 바리케이드)와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529717호(명칭: 충격흡수용 일체형 수납부가 구비된 매립형 바리케이드) 등이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종래 로드블록은 일측 전방충돌부 방향으로만 차량의 통행을 차단할 뿐 양방향 도로 차단기능이 없다는 구조적 단점이 있다.
물론 종래 매설형 로드블록의 설치 목적이 전방에서 접근하는 차량에 대한 차단기능이 주목적이기 때문에 종래의 구조로도 충분하지만, 경우에 따라 검문자를 속여 정상적으로 로드블록을 통과한 후, 보안시설 등에 테러 등을 일으키고 급속히 로드블록의 후방쪽을 통해 도주하는 차량이 발생할 수도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 종래의 매설형 로드블록 구조로는 이를 차단할 방법이 없게 된다.
이와 같은 일방향 차량 차단만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이유는 종래 매설형 로드블록 구조는 주로 차단부의 주충돌 방향이 전방부에서만 이루어질 경우를 대비하여 차단부가 지지력을 발휘하도록 구성된 구조여서 차단부의 타측방향 즉, 정상적으로 인가된 차량만 있다고 가정한 로브블록의 후방 도로쪽에서 접근하는 차량에 대한 차단을 제공할 정도의 지지력을 가진 구조가 구비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로드블록의 차단부 구조는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부가 완만한 경사면 구조로 이루어져 후방에서 접근한 차량이 손쉽게 차단부에 올라타 승월할 수 있다는 구조적 단점을 가진다.
또한 후방에서 접근한 차량이 차단부에 올라탈 경우 차량의 하중에 의해 메인실리더가 수축되면서 차단부가 손쉽게 하강하여 도로면에 접하면서 차량이 손쉽게 승월하여 도주할 수 있다는 구조적 단점을 가진다.
물론, 종래의 구조를 가지는 로드블록을 이용해 양방향 차량 통제를 하기 위해서는 1개의 도로에 2개의 매설형 로드블록을 대칭되게 설치하여 양방향 통제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지만, 로드블록의 매설공간 확보의 문제와 시공비용이 추가로 과도하게 소요된다는 문제점 때문에 현실적인 방안이 될 수 없다.
따라서 하나의 로브블록 구조를 설치하여 전방 뿐만 아니라 후방에서 접근하는 차량에 대한 차단을 제공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로드블록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이러한 기술을 구비한 로드블록이 제공되지 못하고 있어서 이에 대한 기술적 해결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997805(2010.11.25.)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529717(2005.11.11.)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485838(2015.01.19.)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1545264(2015.08.11.)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이 매설형 로드블록의 회전 상승된 차단부의 전방충돌부 또는 후방충돌부와 충돌시 차단부가 젖혀져 파손되거나 하강되어 무력화되지 않도록 차량에 대한 양방향 차단력을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매설형 로드블록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로드블록의 차단부 후방충돌부를 통한 차량의 승월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돌출 또는 수납되도록 함으로써 신속하고 강한 차단력을 가져 차량에 대한 양방향 차단력을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매설형 로드블록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로드블록의 차단부 후방충돌부를 통한 차량의 승월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차단부의 회전 승강 또는 하강에 따른 경사각도에 따라 자중에 의해 돌출 또는 수납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유압구성 없이 간단하게 강한 차단력을 가져 차량에 대한 양방향 차단력을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매설형 로드블록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지중에 매설된 수납부에 수납된 상태의 차단부가 메인 실린더부에 의해 돌출되어 차량 진입을 차단하도록 구성된 매설형 로드블록에 있어서,
일측에는 전방충돌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수납 또는 돌출되는 보조블록부가 설치된 후방충돌부가 형성되어 양방향 차량 진입을 차단하는 차단부와;
수납부와 차단부 간을 연결하도록 상기 차단부에 고정된 상부 결합링크와 힌지 결합되는 상부 링크 및 상기 수납부 바닥에 고정된 하부 결합링크와 힌지 결합되는 하부 링크와, 링크 접힘 방지용 스프링부로 이루어져 차단부 돌출시 연동되면서 펼쳐져 차단부가 후방으로 젖혀지거나 차량의 하중에 의해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다절 링크부와;
다절 링크부의 상부 링크를 지지하도록 상기 차단부에 설치된 상부스토퍼와, 하부 링크를 지지하도록 상기 수납부에 바닥에 설치된 하부스토퍼로 이루어져 펼쳐진 상태의 다절 링크부가 차량충돌시 접히지 않도록 하여 차단부의 하강을 방지하는 스토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차단용 매설형 로드블록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다절 링크부의 상기 하부 링크 상단에 형성된 하부 링크 꺽임부에 힌지 결합되어, 피스톤로드의 신장을 통해 다절 링크부의 상기 상부링크 하단에 형성된 상부 링크 꺽임부와 상기 하부 링크 꺽임부 간의 사선 가공된 접촉면이 일정 각도로 꺾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가압하여 지지하거나 접히도록 다절 링크부의 설치 지점마다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개의 링크 실린더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수납부와 차단부 사이에 설치되어 메인 실린더부 작동시 연동되어 차단부 하중에 대한 반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반력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보조블록부는, 차단부의 후방충돌부에서 돌출 또는 수납되는 스파이크와; 스파이크와 축결합되어 후방충돌부 저면에 고정되는 힌지부와; 힌지부를 축회전시켜 스파이크를 차단부에 연동되어 돌출 또는 수납되도록 하는 작동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보조블록부는 차단부의 후방충돌부 길이방향 기준으로 2개 이상 이격되어 설치되고, 후방충돌부 폭방향 기준으로 중앙 부위에 설치되어 적어도 어느 하나의 보조블록부에는 차량이 걸리면서 추가적인 경사부하 및 걸림 부하가 걸리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스파이크는 후방충돌부에서 돌출된 상부가 뽀죡하게 경사가공된 형상을 가지게 구성되고, 후방충돌부의 상부면과 스파이크의 후방면이 예각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스파이크는 힌지부의 힌지축 상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고정된 2개 이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힌지부는 스파이크와 축결합되어 연동되는 힌지축과; 후방충돌부 저면에 설치되어 힌지축이 회전가능하게 양단을 고정시키는 지지대와; 힌지축 일 지점에서 돌출되어 작동부와 체결되는 연결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작동부는 유압실린더로 구성되어 차단부의 돌출 또는 수납 상태에 따라 피스톤로드를 수축시키거나 신장시켜 후방충돌부로부터 스파이크가 돌출 또는 수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작동부는 무게추로 구성되어 차단부의 돌출 또는 수납 상태에 따라 후방충돌부로부터 스파이크가 돌출 또는 수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링크 접힘 방지용 스프링부는 다절 링크부의 상부 링크에 형성된 상부 스프링 고정부와; 상부 스프링 고정부와 하부 스프링 고정부 간을 연결하는 링크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다절 링크부가 펼져지면 상부 링크 꺽임부와 하부 링크 꺽임부가 링크 스프링의 인장력에 의해 일정각도로 꺾이면서 후방충돌부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접히지 않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상부스토퍼는 다절 링크부가 설치된 간격에 따라 차단부의 전방충돌부 프레임에서 돌출되고, 끝단은 사선 가공되어 다절 링크부가 펼쳐지면 상부 링크와 접촉되어 지지되도록 구성하여 후방충돌부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차량의 하중 인가에 의해 다절 링크부가 접히지 않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하부스토퍼는 다절 링크부가 설치된 간격에 따라 수납부 바닥변에서 상부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다절 링크부가 펼쳐지면 하부 링크와 접촉되어 지지되도록 구성하여 후방충돌부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차량의 하중 인가에 의해 다절 링크부가 접히지 않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차단용 매설형 로드블록은 차량 차단이 필요한 도로나 장소의 지중에 매설된 후, 미인가 차량이 매설형 로드블록의 전방쪽 또는 후방쪽에서 접근하여 신속하게 회전 상승된 차단부의 전방충돌부 또는 후방충돌부와 충돌하여 충격 또는 하중 인가시, 링크 접힘 방지용 스프링부가 구비된 다절 링크부 및 이 다절 링크부를 지지하는 스토퍼부에 의해 차단부가 젖혀져 파손되거나 하강되어 무력화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차량에 대한 양방향 차단력을 복합적으로 제공한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수납부로부터 돌출된 상태에서 경사 구조를 가지는 차단부의 후방충돌부에 수납되게 설치되었다가 차단부 작동에 연동되어 돌출되는 보조블록부를 구비함으로써 승월을 시도하는 차량의 전면부 또는 타이어 또는 차량 하부가 걸려 차량에 대한 차단력을 제공한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보조블록부가 차단부를 회전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메인실린더의 유압 작동에 따라 연동되는 유압식으로 구성되어 돌출 또는 수납되도록 함으로써 신속하고 강한 차단력을 제공한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보조블록부가 차단부의 회전 승강 또는 하강에 따른 경사각도에 따라 연동되는 무게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자중에 의해 돌출 또는 수납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유압구성 없이 간단하게 강한 차단력을 제공한다는 효과를 가진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한 효과를 가진 유용한 발명으로 산업상 그 이용이 크게 기대되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차단용 매설형 로드블록의 수납시 구조를 보인 단면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차단용 매설형 로드블록의 상승 작동시 구조를 보인 단면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차단용 매설형 로드블록의 평면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차단용 매설형 로드블록의 정면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수납부 내부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절 링크부의 펼친 상태 정면 구조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절 링크부의 펼친 상태 측면 구조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보조블록부의 수납시 구조를 보인 확대 단면 예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보조블록부의 상승 작동시 구조를 보인 단면 예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게추 방식 보조블록부의 구조를 보인 확대 단면 예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게추 방식 보조블록부의 작동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링크 실린더부를 포함한 양방향 차단용 매설형 로드블록의 수납시 구조를 보인 단면 예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링크 실린더부를 포함한 양방향 차단용 매설형 로드블록의 상승 작동시 구조를 보인 단면 예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반력부를 포함한 양방향 차단용 매설형 로드블록의 수납시 구조를 보인 단면 예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반력부를 포함한 양방향 차단용 매설형 로드블록의 상승 작동시 구조를 보인 단면 예시도이고,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보조블록부에 의한 차량 차단 작동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18 및 도 19는 종래 바리케이드의 일반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차단용 매설형 로드블록의 수납시 구조를 보인 단면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차단용 매설형 로드블록의 상승 작동시 구조를 보인 단면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차단용 매설형 로드블록의 평면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차단용 매설형 로드블록의 정면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수납부 내부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절 링크부의 펼친 상태 정면 구조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절 링크부의 펼친 상태 측면 구조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보조블록부의 수납시 구조를 보인 확대 단면 예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보조블록부의 상승 작동시 구조를 보인 단면 예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게추 방식 보조블록부의 구조를 보인 확대 단면 예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게추 방식 보조블록부의 작동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차단용 매설형 로드블록은 지중에 매설된 수납부(11)에 수납된 상태의 차단부(12)가 메인 실린더부(14)의 작동에 따라 수납 또는 돌출되어 차량의 진입을 차단하도록 구성된 매설형 로드블록에 있어서, 일측에는 전방충돌부(12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수납 또는 돌출되는 보조블록부(18)가 설치된 후방충돌부(122)로 형성되어 양방향 차량 진입을 차단하는 차단부(12)와; 수납부(11)와 차단부(12) 간을 연결하는 다수개의 링크와, 링크 접힘 방지용 스프링부로 이루어져 차단부(12) 돌출시 연동되면서 펼쳐져 차단부(12)가 후방으로 젖혀지거나 차량의 하중에 의해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다절 링크부(15)와; 다절 링크부(15)의 상부 링크를 지지하는 상부스토퍼와 하부 링크를 지지하는 하부스토퍼로 이루어져 펼쳐진 상태의 다절 링크부(15)가 차량충돌시 접히지 않도록 하여 차단부(12)의 하강을 방지하는 스토퍼부(16);를 포함하여 구섬됨으로써 미인가 차량이 매설형 로드블록의 회전 상승된 차단부(12)에 대하여 전방쪽 또는 후방쪽 어느 방향에서 접근하여 충돌해도 충격 또는 하중의 인가에 의해 차단부(12)가 파손되거나 하강하지 않으면서 차량에 대한 양방향 차단력을 복합적으로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하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수납부(11)는 차량 차단이 필요한 도로나 장소의 지중에 매설된다. 수납부(11)는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태로 내부에 복수개의 메인 실린더부(14)와, 복수개의 다절 링크부(15)가 일정 간격으로 수납부(11)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된다. 수납부(11)는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과, 프레임의 외부를 감싸는 철판으로 형성된다.
상기 수납부(11) 내부에 설치된 메인 실린더부(14)는 수납부(11) 바닥과 일측이 힌지 결합되고 타측은 차단부(12)의 하부 일지점과 힌지 결합되어 구성되고, 수납부(11)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다. 메인 실린더부는 1개만 설치되면 충분하나 수납부(11) 및 차단부(12)의 길이가 크면 2개 이상 설치하여 차단부(12)의 하중을 지탱하면서 신속한 작동을 하게 구성할 수 있다.
메인 실린더부(14)의 피스톤로드를 신축시키면 수납부(11)와 차단부(12) 간을 연결하는 힌지축(13)을 중심으로 차단부(12)를 회전시켜 상부로 돌출시키거나 수납시키게 된다.
또한 수납부(11)에는 미도시 되었지만 내부에 배수를 위한 배수공과 외부에 위치한 전원 공급용 케이블 및 원격지의 제어부에서 로드블록을 원격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케이블을 위한 케이블 구멍 그리고 메인 실린더부를 작동시키는 유압제공 장치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제어부에 의한 원격제어는 제어케이블 뿐만 아니라 무선에 의한 제어도 가능하게 수납함 내부에는 유무선 통신 수단이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차단부(12)는 수납부(11)와 힌지축(13)을 중심으로 축결합되어 메인 실린더부(14)의 작동에 따라 일정 각도만큼 회전하여 수납 또는 돌출되어 차량의 진입을 차단하는 구성으로, 일측에는 전방충돌부(121)가 구성되고 타측에는 수납 또는 돌출되는 보조블록부(18)가 설치된 후방충돌부(122)로 구성되어 돌출된 상태에서 양방향으로 차량의 진입을 차단하게 된다.
전방충돌부(121)와 후방충돌부(122)로 구성된 차단부(12)는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과 철판으로 형성되고, 후방충돌부(122)의 면상은 미끄럼 방지를 위한 요철 등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전방충돌부(121)는 수납부(11)에 수납시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일정한 라운드 형상 또는 절곡 형성된다.
따라서 차단부(12)가 수납부(11)에 수납된 상태에서는 전방충돌부(121)가 수납부(11) 내부 공간에 위치하여 보이지 않고 평면으로 구성된 후방충돌부(122)의 후방면이 개방된 수납부(11)의 상부면을 덮어 도로 역할을 하게 된다.
반대로 차단부(12)가 수납부(11)에서 돌출된 상태에 이르게 되면 전방충돌부(121)와 후방충돌부(122)가 모두 돌출된 삼각형 구조가 되어 양방향 차량 차단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보조블록부(18)는 차단부(12)의 후방충돌부(122) 길이방향 기준으로 2개 이상 설치되어 적어도 어느 하나의 보조블록부에는 차량이 걸리도록 이격되어 설치된다.
또한 차단부(12)의 후방충돌부(122) 폭방향(차량 진행방향) 기준으로 중앙 부위에 설치되어 차량이 후방충돌부에 진입시 경사각에 대한 부하가 걸린 상태에서 추가적인 경사부하 및 걸림 부하가 걸리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배열되어 설치되면 차량의 종류 크기에 상관없이 적어도 차량의 폭 방향 구조 중 어느 일 지점, 예를 들어 차량의 전방 범퍼 구조 또는 양측 타이어 또는 차량의 하체 구조 중 어느 한 곳은 무조건 보조블록부(18)에 걸리게 되면서 추가적인 부하가 발생되어 후방충돌부(122)를 승월하지 못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보조블록부(18)는 차단부(12)의 돌출 또는 수납에 연동되어 후방충돌부(122)에서 돌출 또는 수납되도록 설치되어 차량의 승월을 차단하도록 차단부(12)의 후방충돌부(122)에서 돌출 또는 수납되는 스파이크(181)와; 스파이크(181)와 축결합되어 후방충돌부(122) 바닥면에 고정되는 힌지부(182)와; 힌지부(182)를 축회전시켜 스파이크(181)를 차단부(12)에 연동되어 돌출 또는 수납되도록 하는 작동부(183);로 구성된다.
상기 스파이크(181)는 후방충돌부(122)에 형성된 스파이크용 홈(122a)을 통해 돌출되는 구성으로 후방충돌부(122)에서 돌출된 상부가 뽀죡한 형상을 가지는 삼각형 플레이트로 구성된다. 도시된 한 실시예에서는 삼각형 구조로 예시되지만 이와 같은 형상 외에도 상부로 갈수록 테이퍼진 구조를 가지면서 특히 후방충돌부(122)의 상부면과 스파이크(181)의 후방면 즉, 차량과 마주보는 면이 예각을 이루어 차량이 쉽게 승월하지 못하고 걸리는 구조를 가지면 충분하다. 즉, 뽀족하지 않거나 예각을 가지지 않는 형상을 가지면 차량의 범퍼 또는 차체 하부가 찍혀 걸리지 않거나, 타이어에 펑크를 내지 못하거나 승월을 수월하게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또한 스파이크(181)는 힌지부(182)의 힌지축 상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고정된 2개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1개로 설치해도 되지만 2개 이상 설치하면 내구성이 좋고 또한 1개로 구성시 파손으로 인해 차량의 승월을 차단하지 못할 수도 있는데 이를 방지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상기 힌지부(182)는 스파이크(181)와 축결합되어 연동되는 힌지축(182a)과; 후방충돌부(122) 바닥면에 설치되어 힌지축(182a)이 회전가능하게 양단을 고정시키는 지지대(182b)와; 힌지축(182a) 일 지점에서 돌출되어 작동부(183)와 체결되는 연결대(182c);로 구성된다.
상기 작동부(183)는 한 실시예로 유압실린더(183a)로 구성되어 차단부(12)의 돌출 또는 수납 상태에 따라 피스톤로드를 수축시키거나 신장시켜 후방충돌부(122)로부터 스파이크가 돌출 또는 수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작동부(183)는 다른 실시예로 무게추(183b)로 구성되어 차단부(12)의 돌출 또는 수납 상태에 따라 후방충돌부(122)로부터 스파이크(181)가 돌출 또는 수납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무게추 방식은 항시 무게추가 자중에 의해 하부로 향한 상태로 고정되고 단지 차단부(12)의 후방충돌부 각도 변경에 따라 스파이크가 돌출되거나 수납된 상태가 될 뿐이다.
다절 링크부(15)는 일측은 수납부(11)에 체결되고 타측은 차단부(12)와 체결되게 수납부(11)와 차단부(12) 간을 연결하는 상부 링크(151)와 하부 링크(152)를 포함하는 다수개의 링크와, 링크 접힘 방지용 스프링부(153)로 이루어져 구성된다.
다절 링크부(15)는 메인 실린더부(14)의 피스톤 로드가 신장되어 차단부(12)를 회전시켜 상부로 돌출되면, 함께 연동되어 수납부(11)에서 접힌 상태의 다수개 링크가 펼쳐진 상태로 변환되어 전방에서 차량충돌시 차단부(12)가 후방으로 젖혀지거나 차단부(12) 하중에 의해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고, 후방에서 차단부(12)에 올라탄 차량의 하중이 인가될 경우 링크 접힘 방지용 스프링부(153)가 상부 링크(151)와 하부 링크(152)를 포함하는 링크 간에 인장력을 제공하여 접히지 않도록 함으로써 차단부(12) 또는 차단부(12)에 올라탄 차량의 하중을 지지하여 차단부(12)가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다절 링크부(15)를 구성하는 상부 링크(151)와 하부 링크(152)를 포함하는 다수개의 링크는 상부 링크(151)가 차단부(12)에 고정된 상부 결합링크(154)와 힌지 결합되고, 하부 링크(152)는 수납부(11) 바닥에 고정된 하부 결합링크(155)와 힌지 결합되고, 상기 상부 링크(151)와 하부 링크(152) 간에도 힌지 결합되어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부 링크(151)와 하부 링크(152)가 차단부(12)의 돌출 또는 수납 상태에 따라 연동되어 펼쳐지거나 접히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링크(151)의 하단과 하부 링크(152)의 상단에는 후방충돌 방향으로 돌출된 상부 링크 꺽임부(156)와 하부 링크 꺽임부(157)가 형성되어 상부 링크(151)와 하부 링크(152)가 수직하게 직선으로 펼쳐진 상태가 아닌 후방충돌부(122) 쪽으로 일정 각도로 꺽이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부 링크 꺽임부(156)의 하부면과 하부 링크 꺽임부(157)의 상부면을 수평 가공하지 않고 상부링크(151)와 하부 링크(152)에서 바깥쪽으로 갈수록 상부 링크 꺽임부(156)의 하부면은 상부로 기울어진 각도로 사선 가공되고, 하부 링크 꺽임부(157)의 상부면은 하부로 기울어진 각도를 가지게 사선 가공하여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사선 가공하면 상부 링크 꺽임부(156)의 하부면과 하부 링크 꺽임부(157)의 상부면이 사선 가공된 각도만큼 일정각도 꺾이면서 면접하게 된다.
이와 같이 면접하게 되면 상기 다절 링크부(15)가 펼쳐진 후 일정각도 꺾어진 상태로 되면 상부에 위치한 차단부(12)의 하중이 인가되어도 접히지 않으면서 차단부(12)를 지탱하게 된다.
즉, 이와 같이 다절 링크부(15)가 펼쳐진 상태에서 일정 각도로 꺾인 상태를 가지게 되면 메인 실린더부(14)가 없는 상태일지라도 다절 링크부(15)가 일종의 지지대 역할을 하여 차단부(12)의 하중을 단독으로 지탱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이와 같은 꺾인 상태는 비록 지탱하고 있는 상태라 할지라도 외력이 가해지면 꺾인 상태를 수직한 상태로 만들면서 힌지 결합된 상부 링크(151)와 하부 링크(152)가 회전하여 접힐 수 있기에 안전한게 접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본 발명에 따른 링크 접힘 방지용 스프링부(153)가 구비되어 지탱하게 구성된다.
상기 링크 접힘 방지용 스프링부(153)는 다절 링크부(15)의 상부 링크(151)에 형성된 상부 스프링 고정부(153a)와; 다절 링크부(15)의 하부 링크(152)에 형성된 하부 스프링 고정부(153b)와; 상부 스프링 고정부(153a)와 하부 스프링 고정부(153b) 간을 연결하는 링크 스프링(153c);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링크 접힘 방지용 스프링부(153)는 다절 링크부(15)가 펼져지면서 상부 링크 꺽임부(156)와 하부 링크 꺽임부(157)에 의해 일정 각도로 꺾이면 링크 스프링(153c)의 인장력에 의해 다절 링크부(15)의 상태가 유지되어 후방충돌부(122)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접히지 않도록 구성된다.
만약, 이와 같은 링크 접힘 방지용 스프링부(153)가 없으면 후방충돌부(122)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다절 링크부(15)가 접힐 수 있지만 후방충돌 방향쪽에서 접촉하는 상부 링크 꺽임부(156)와 하부 링크 꺽임부(157)가 위치한 쪽에 설치된 링크 스프링(153c)에 의해 후방충돌부(122)에 가해지는 외력이 발생해도 일정각도로 꺾어진 상태의 다절 링크부(15) 형태를 유지하여 접힘 작용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스토퍼부(16)는 차단부(12)에 설치된 상부스토퍼(161)와 수납부(11)에 설치된 하부스토퍼(162)로 구성되어 후방충돌부(122)에 차량이 충돌하거나 올라탈 경우 다절 링크부(15)가 접히지 않게 지지하여 차단부(12)의 하강을 방지하게 된다.
상부스토퍼(161)는 다절 링크부(15)가 설치된 간격에 따라 차단부(12)의 전방충돌부(121) 프레임에서 돌출되고, 끝단은 사선 가공되어 다절 링크부가 펼쳐지면 상부 링크(151)와 면접촉되어 지지되도록 구성하여 후방충돌부(122)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차량의 하중 인가에 의해 다절 링크부가 접히지 않도록 구성된다.
하부스토퍼(162)는 다절 링크부(15)가 설치된 간격에 따라 수납부(11) 바닥면에서 상부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다절 링크부(15)가 펼쳐지면 하부 링크(152)와 접촉되어 지지되도록 구성하여 후방충돌부(122)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차량의 하중 인가에 의해 다절 링크부가 접히지 않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을 한 실시예에 따라 수납부(11)의 길이 방향 기준으로 메인 실린더부(14), 다절 링크부(15) 및 스프링반력부(19) 간의 설치 구조를 설명하면 중앙부에 1개의 메인 실린더부(14)가 구비되고, 그 양측으로 각각 다절 링크부(15)가 위치하게 설치됨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배치만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수납부(11) 및 차단부(12)의 길이에 따라 그 개수와 배치를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링크 실린더부를 포함한 양방향 차단용 매설형 로드블록의 수납시 구조를 보인 단면 예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링크 실린더부를 포함한 양방향 차단용 매설형 로드블록의 상승 작동시 구조를 보인 단면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납부(11)에 복수개의 링크 실린더부(17)가 다절 링크부(15)의 설치 지점 마다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링크 실린더부(17)에 의해 차단부(12)의 돌출 또는 수납시 연동되어 펼쳐진 다절 링크부(15)를 일정각도로 꺾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가압하여 지지하거나 접히도록 작동된다.
구체적으로 개별 링크 실린더부(17)는 일측단은 수납부(11)에 힌지 결합되고 타측은 개별 다절 링크부(15)에 형성된 하부 링크 꺽임부(157)에 힌지 결합되어 링크 실린더부(17)의 피스톤로드가 신장하면서 하부 링크 꺽임부(157)를 가압하면, 상부 링크 꺽임부(156)와 하부 링크 꺽임부(157)가 접촉된 상태가 되도록 가압되어 링크 접힘 방지용 스프링부(153)에 의한 꺾임 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한다.
한 실시예에 따라 수납부(11)의 길이 방향 기준으로 메인 실린더부(14), 다절 링크부(15), 링크 실린더부(17) 간의 설치 구조를 설명하면 중앙부에 1개의 메인 실린더부(14)가 구비되고, 그 양측으로 각각 다절 링크부(15)가 위치하고, 이 다절 링크부(15)를 지지하는 링크 실린더부(17)가 동일 한 위치의 다른 지점에 설치될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배치만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수납부(11) 및 차단부(12)의 길이에 따라 그 개수와 배치를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반력부를 포함한 양방향 차단용 매설형 로드블록의 수납시 구조를 보인 단면 예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반력부를 포함한 양방향 차단용 매설형 로드블록의 상승 작동시 구조를 보인 단면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납부(11)와 차단부(12) 사이에 스프링반력부(19)가 구성될 수 있다. 스프링반력부(19)는 가이드 실린더(191)와 그 둘레에 설치되고 상단과 하단이 상기 가이드 실린더(191)의 본체와 피스톤로드의 끝단에 형성된 스토퍼 구조에 의해 단속되어 차단부(12)에 반력을 제공하는 코일 형태 반력 스프링(192)으로 구성되어 수납부(11)의 바닥 일지점과 차단부(12)의 하부 일지점에 힌지 고정구를 설치 후 가이드 실린더(191)가 힌지 결합되어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스프링반력부(19)의 설치 지점은 메인 실린더부(14)와 간섭이 되지 않는 수납부(11)와 차단부(12)에 위치하여 설치된다.
한 실시예에 따라 수납부(11)의 길이 방향 기준으로 메인 실린더부(14), 다절 링크부(15), 링크 실린더부(17) 및 스프링반력부(19) 간의 설치 구조를 설명하면 중앙부에 1개의 메인 실린더부(14)가 구비되고, 그 양측으로 각각 다절 링크부(15)가 위치하고, 이 다절 링크부(15)를 지지하는 링크 실린더부(17)가 동일 한 위치의 다른 지점에 설치되고, 다절 링크부(15)의 바깥쪽에 각 1개씩의 각각 스프링반력부(14)가 설치됨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배치만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수납부(11) 및 차단부(12)의 길이에 따라 그 개수와 배치를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프링반력부(19)는 메인 실린더부(14) 작동시 연동되어 차단부(12) 하중에 대한 반력을 제공하게 되어 차단부(12)를 작동시키는 메인 실린더부(14)의 오일량을 줄여 유압모터(도시 생략)를 소형화하여 구동에 따른 에너지 소모량을 줄이면서도 스프링 반력이 제공하는 신장력 또는 수축력을 이용하여 신속하게 차단부(12)를 회전 돌출 또는 수납시킬 수 있게 된다.
한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스프링반력부는 2개로 구성되어 중앙에 위치한 메인 실린더부의 양측에서 작동하면서 메인 실린더부의 신장력 및 수축력을 보조하여 함께 신장하거나 수축하도록 구성하였다. 물론 이와 같은 스프링반력부의 개수는 특정된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증감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대신 상기 스프링반력부은 단독으로는 차단부(12)를 상승시키지 못할 정도의 반력을 가진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즉, 스프링반력부는 상부에 차단부(12)가 위치하여 하중이 가해지면 차단부(12)의 자중에 의해 항시 자연적으로 수축되는 것을 사용하면 된다.
이와 같은 스프링반력부을 사용하여야 하는 이유는 양방향 차단용 매설형 로드블록을 구성하는 차단부(12) 또는 차단부(12)에 올라탄 차량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신장 및 수축되는 메인 실린더부와 항시 연동되어 작동하기 때문에 메인 실린더부의 작동시 부하로 작동되지 않아야 하기 때문이다.
만약 스프링반력부의 신장력이 단독으로 차단부(12) 또는 차단부(12)에 올라탄 차량의 하중을 이기게 되면 차단부(12)는 항시 돌출되기 때문에 이를 억제하는 힘이 필요하여 메인 실린더부 작동시 메인 실린더부의 정상적인 신장 제어가 힘들어지고, 수축때는 차단부(12)를 당겨 수납시키는데 필요한 힘뿐만 아니라 스프링반력부을 수축시키는 힘까지 필요하기 때문에 오히려 유압펌프의 용량이 증대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요구하는 수준의 탄성력을 가진 스프링반력부를 사용하게 되면 메인 실린더부의 피스톤로드가 신장될 때는 보다 적은 힘으로 차단부(12)를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돌출되게 도와주고 메인 실린더부의 피스톤로드가 수축될 때는 보다 적은 힘으로 회전 수납되게 도와주게 된다.
이하 본 발명 양방향 차단용 매설형 로드블록의 작동을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메인 실린더부(14)가 신장되면 수납부(11)에 수납중인 차단부(12)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돌출되고, 차단부(12)가 최대로 돌출되면 다절 링크부(15)가 링크 접힘 방지용 스프링부에 의해 일정각도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지지되어, 이러한 지지력을 압도할 정도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으면 접히지 않으면서 차단부(12)의 하중 및 차단부(12)에 가해지는 차량의 충격을 이기고 지지하게 된다.
이로 인해 차단부(12)의 전방충돌부(121)에 충돌한 차량을 안정적으로 차단하게 된다.
또 다른 실시예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메인 실린더부(14)가 신장되면 수납부(11)에 수납중인 차단부(12)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돌출되고, 회전시 메인 실린더부(14)와 함께 양측에 위치한 스프링반력부(19)가 차단부(12) 또는 차단부(12)에 올라탄 차량의 하중 일부를 지지하면서 신장되고, 차단부(12)가 최대로 돌출되면 다절 링크부(15)가 링크 접힘 방지용 스프링부에 의해 일정각도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고, 추가적으로 이 상태가 링크 실린더부(17)에 의해 추가적으로 지지되어, 이러한 지지력을 압도할 정도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으면 접히지 않으면서 차단부(12)의 하중 및 차단부(12)에 가해지는 차량의 충격을 이기고 지지하게 된다.
이로 인해 차단부(12)의 전방충돌부(121)에 충돌한 차량을 안정적으로 차단하게 된다.
한편, 차단부(12)의 후방출돌부로 승월을 시도하는 차량에 의한 외력 즉 하중이 인가되면 스토퍼부(16)의 다절 링크부(15)의 상부 링크를 지지하는 상부스토퍼와 하부 링크를 지지하는 하부스토퍼가 강하게 지지하여 펼쳐진 상태의 다절 링크부(15)가 차량충돌시 접히지 않도록 하여 차단부(12)의 하강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최대한 차량에 의해 후방충돌부(122)로 인가되는 충격 또는 하중을 저감하기 위해 후방충돌부(122)에 설치된 보조블록부(18)가 후방충돌부(122)의 돌출 작동에 따라 자동으로 작동하면서 스파이크가 돌출되어 차량의 진입 시도를 차단하거나 일부 진입하더라도 스파이크에 걸려 승월이 차단되면서 차량에 의한 하중을 줄이거나 승월을 차단하게 된다,
이로 인해 차단부(12)의 후방충돌부(122)에 충돌한 차량을 안정적으로 차단하게 된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보조블록부에 의한 차량 차단 작동을 보인 예시도로, 도 16에는 트럭이 도 17에는 승용차가 도시되어 있는데 차량의 높이에 따른 차이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 차단부의 후방충돌부에 설치된 보조블록부가 작동된 상태에서는 안정적인 차량 차단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차단용 매설형 로드블록은 차단부(12)의 전방충돌부(121) 및 후방충돌부(122)에 충돌한 차량에 대한 신뢰성 있는 양방향 차량 차단을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1) : 수납부 (12) : 차단부
(13) : 힌지축 (14) : 메인 실린더부
(15) : 다절 링크부 (16) : 스토퍼부
(17) : 링크 실린더부 (18) : 보조블록부
(19) : 스프링반력부 (121) : 전방충돌부
(122) : 후방충돌부 (122a) : 스파이크용 홈
(151) : 상부 링크 (152) : 하부 링크
(153) : 링크 접힘 방지용 스프링부 (153a) : 상부 스프링 고정부
(153b) : 하부 스프링 고정부 (153c) : 링크 스프링
(154) : 상부 결합링크 (155) : 하부 결합링크
(156) : 상부 링크 꺽임부 (157) : 하부 링크 꺽임부
(161) : 상부스토퍼 (162) : 하부스토퍼
(181) : 스파이크 (182) : 힌지부
(182a) : 힌지축 (182b) : 지지대
(182c) : 연결대 (183) : 작동부
(183a) : 유압실린더 (183b) : 무게추
(191) : 가이드 실린더 (192) : 반력 스프링

Claims (13)

  1. 지중에 매설된 수납부(11)에 수납된 상태의 차단부(12)가 메인 실린더부(14)에 의해 돌출되어 차량 진입을 차단하도록 구성된 매설형 로드블록에 있어서,
    일측에는 전방충돌부(12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수납 또는 돌출되는 보조블록부(18)가 설치된 후방충돌부(122)로 형성되어 양방향 차량 진입을 차단하는 차단부(12)와;
    수납부(11)와 차단부(12) 간을 연결하도록 상기 차단부(12)에 고정된 상부 결합링크(154)와 힌지 결합되는 상부 링크(151) 및 상기 수납부(11) 바닥에 고정된 하부 결합링크(155)와 힌지 결합되는 하부 링크(152)와, 링크 접힘 방지용 스프링부(153)로 이루어져 차단부 돌출시 연동되면서 펼쳐져 차단부가 후방으로 젖혀지거나 차량의 하중에 의해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다절 링크부(15)와;
    다절 링크부(15)의 상부 링크(151)를 지지하도록 상기 차단부(12)에 설치된 상부스토퍼(161)와 하부 링크(152)를 지지하도록 상기 수납부(11)에 바닥에 설치된 하부스토퍼(162)로 이루어져 펼쳐진 상태의 다절 링크부(15)가 차량충돌시 접히지 않도록 하여 차단부(12)의 하강을 방지하는 스토퍼부(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차단용 매설형 로드블록.
  2. 청구항 1에 있어서,
    다절 링크부(15)의 상기 하부 링크(152) 상단에 형성된 하부 링크 꺽임부(157)에 힌지 결합되어, 피스톤로드의 신장을 통해 다절 링크부의 상기 상부링크(151) 하단에 형성된 상부 링크 꺽임부(156)와 상기 하부 링크 꺽임부(157) 간의 사선 가공된 접촉면이 일정 각도로 꺾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가압하여 지지하거나 접히도록 다절 링크부(15)의 설치 지점마다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개의 링크 실린더부(17);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차단용 매설형 로드블록.
  3. 청구항 1에 있어서,
    수납부(11)와 차단부(12) 사이에 설치되어 메인 실린더부(14) 작동시 연동되어 차단부 하중에 대한 반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반력부(19);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차단용 매설형 로드블록.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블록부(18)는
    차단부의 후방충돌부(122)에서 돌출 또는 수납되는 스파이크(181)와;
    스파이크와 축결합되어 후방충돌부 저면에 고정되는 힌지부(182)와;
    힌지부를 축회전시켜 스파이크를 차단부(12)에 연동되어 돌출 또는 수납되도록 하는 작동부(18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차단용 매설형 로드블록.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블록부(18)는 차단부의 후방충돌부(122) 길이방향 기준으로 2개 이상 이격되어 설치되고, 후방충돌부(122) 폭방향 기준으로 중앙 부위에 설치되어 적어도 어느 하나의 보조블록부(18)에는 차량이 걸리면서 추가적인 경사부하 및 걸림 부하가 걸리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차단용 매설형 로드블록.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크(181)는 후방충돌부에서 돌출된 상부가 뽀죡하게 경사가공된 형상을 가지게 구성되고, 후방충돌부의 상부면과 스파이크의 후방면이 예각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차단용 매설형 로드블록.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크(181)는 힌지부(182)의 힌지축(182a) 상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고정된 2개 이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차단용 매설형 로드블록.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182)는
    스파이크와 축결합되어 연동되는 힌지축(182a)과;
    후방충돌부 저면에 설치되어 힌지축이 회전가능하게 양단을 고정시키는 지지대(182b)와;
    힌지축 일 지점에서 돌출되어 작동부와 체결되는 연결대(182c);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차단용 매설형 로드블록.
  9.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183)는 유압실린더(183a)로 구성되어 차단부의 돌출 또는 수납 상태에 따라 피스톤로드를 수축시키거나 신장시켜 후방충돌부(122)로부터 스파이크가 돌출 또는 수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차단용 매설형 로드블록.
  10.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183)는 무게추(183b)로 구성되어 차단부의 돌출 또는 수납 상태에 따라 후방충돌부(122)로부터 스파이크가 돌출 또는 수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차단용 매설형 로드블록.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링크 접힘 방지용 스프링부(153)는
    다절 링크부의 상부 링크에 형성된 상부 스프링 고정부(153a)와;
    다절 링크부의 하부 링크에 형성된 하부 스프링 고정부(153b)와;
    상부 스프링 고정부와 하부 스프링 고정부 간을 연결하는 링크 스프링(153c);으로 구성되어, 다절 링크부가 펼져지면 상부 링크 꺽임부와 하부 링크 꺽임부가 링크 스프링의 인장력에 의해 일정각도로 꺾이면서 후방충돌부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접히지 않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차단용 매설형 로드블록.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스토퍼(161)는 다절 링크부(15)가 설치된 간격에 따라 차단부의 전방충돌부(121) 프레임에서 돌출되고, 끝단은 사선 가공되어 다절 링크부가 펼쳐지면 상부 링크(151)와 접촉되어 지지되도록 구성하여 후방충돌부(122)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차량의 하중 인가에 의해 다절 링크부(15)가 접히지 않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차단용 매설형 로드블록.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스토퍼(162)는 다절 링크부(15)가 설치된 간격에 따라 수납부 바닥면에서 상부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다절 링크부가 펼쳐지면 하부 링크(152)와 접촉되어 지지되도록 구성하여 후방충돌부(122)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차량의 하중 인가에 의해 다절 링크부가 접히지 않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차단용 매설형 로드블록.
KR1020210158490A 2021-11-17 2021-11-17 양방향 차단용 매설형 로드블록 KR1023692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8490A KR102369213B1 (ko) 2021-11-17 2021-11-17 양방향 차단용 매설형 로드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8490A KR102369213B1 (ko) 2021-11-17 2021-11-17 양방향 차단용 매설형 로드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9213B1 true KR102369213B1 (ko) 2022-03-02

Family

ID=80815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8490A KR102369213B1 (ko) 2021-11-17 2021-11-17 양방향 차단용 매설형 로드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921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0114B1 (ko) 2022-03-16 2022-06-22 주식회사 디앤에스테크놀로지 평상시 또는 정전시 고속 승하강이 가능한 친환경 매설형 로드블록
CN116752471A (zh) * 2023-08-23 2023-09-15 湖北工业大学 一种潮汐车道可变向阻拦地锁及警示引导系统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28919A2 (en) * 1988-02-16 1989-08-23 Ralph G. Nasatka Hydraulic spring vehicle barricade and hydraulic circuit therefor
KR100529717B1 (ko) 2005-07-21 2005-11-22 주식회사 디앤에스 테크놀로지 충격흡수용 일체형 수납부가 구비된 매설형 바리케이드
KR20050117231A (ko) * 2004-06-10 2005-12-14 주식회사 금강엘리베이터 차량 차단장치
KR100997805B1 (ko) 2010-05-07 2010-12-07 주식회사 디앤에스테크놀로지 차단구역 확대용 차단봉이 구비된 매설형 바리케이드
KR101485838B1 (ko) 2014-06-24 2015-01-27 주식회사 디앤에스테크놀로지 매설형 대전차 바리케이드
KR101545264B1 (ko) 2014-12-18 2015-08-21 주식회사 디앤에스테크놀로지 연속 고속 상승식 매립형 바리케이드
KR101644977B1 (ko) * 2015-12-08 2016-08-04 주식회사 디앤에스테크놀로지 스프링 반력을 이용한 매립형 바리케이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28919A2 (en) * 1988-02-16 1989-08-23 Ralph G. Nasatka Hydraulic spring vehicle barricade and hydraulic circuit therefor
KR20050117231A (ko) * 2004-06-10 2005-12-14 주식회사 금강엘리베이터 차량 차단장치
KR100529717B1 (ko) 2005-07-21 2005-11-22 주식회사 디앤에스 테크놀로지 충격흡수용 일체형 수납부가 구비된 매설형 바리케이드
KR100997805B1 (ko) 2010-05-07 2010-12-07 주식회사 디앤에스테크놀로지 차단구역 확대용 차단봉이 구비된 매설형 바리케이드
KR101485838B1 (ko) 2014-06-24 2015-01-27 주식회사 디앤에스테크놀로지 매설형 대전차 바리케이드
KR101545264B1 (ko) 2014-12-18 2015-08-21 주식회사 디앤에스테크놀로지 연속 고속 상승식 매립형 바리케이드
KR101644977B1 (ko) * 2015-12-08 2016-08-04 주식회사 디앤에스테크놀로지 스프링 반력을 이용한 매립형 바리케이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0114B1 (ko) 2022-03-16 2022-06-22 주식회사 디앤에스테크놀로지 평상시 또는 정전시 고속 승하강이 가능한 친환경 매설형 로드블록
CN116752471A (zh) * 2023-08-23 2023-09-15 湖北工业大学 一种潮汐车道可变向阻拦地锁及警示引导系统
CN116752471B (zh) * 2023-08-23 2023-10-27 湖北工业大学 一种潮汐车道可变向阻拦地锁及警示引导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9213B1 (ko) 양방향 차단용 매설형 로드블록
KR101012914B1 (ko) 에너지 흡수 시스템
CN110072798B (zh) 用于车辆的剪式升降机
US5228237A (en) Vehicle barrier
US7862252B2 (en) Vehicle barrier system
EP1733095B1 (en) Net and mat
US7083357B2 (en) Retractable wide-span vehicle barrier system
EP0092282B1 (en) A retractable road barrier
EP3686346B1 (en) Crash cushion
US20210002836A1 (en) Security barrier for forcing vehicles to a stop
WO2007105940A1 (en) Road blocker
EP1612333A1 (en) Post
KR100997805B1 (ko) 차단구역 확대용 차단봉이 구비된 매설형 바리케이드
KR101545264B1 (ko) 연속 고속 상승식 매립형 바리케이드
KR101246249B1 (ko) 충격을 흡수하는 가변형 안전 볼라드
KR200401533Y1 (ko) 차량진입방지대
JP4097622B2 (ja) 侵入規制装置
CN116104353A (zh) 一种新型防撞缓冲栏
KR200387087Y1 (ko) 가이드레일용 충격흡수대
JP3621803B2 (ja) 緩衝機構を有する車両ロック装置
JP3673057B2 (ja) 駐車車両のロック装置
JP3947099B2 (ja) 駐車装置
KR101006775B1 (ko) 접을 수 있는 볼라드
KR100457890B1 (ko) 충격완화 되는 도로용 가드 레일
KR102476879B1 (ko) 신속 시공이 가능한 싱글데크 회전형 비상회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