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7828B1 - 좌우 위치조절이 가능한 볼라드 - Google Patents

좌우 위치조절이 가능한 볼라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7828B1
KR101037828B1 KR1020110022643A KR20110022643A KR101037828B1 KR 101037828 B1 KR101037828 B1 KR 101037828B1 KR 1020110022643 A KR1020110022643 A KR 1020110022643A KR 20110022643 A KR20110022643 A KR 20110022643A KR 101037828 B1 KR101037828 B1 KR 1010378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racket
cylinder
bollard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2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주
황기현
이광일
차경환
유재정
Original Assignee
아이리얼 주식회사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리얼 주식회사,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아이리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2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78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7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78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6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by swinging into open position about a vertical or horizontal axis parallel to the road direction, i.e. swinging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몸체; 상기 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몸체를 고정시키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하부 내측단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판 및 상기 몸체를 고정시키는 경첩; 상기 경첩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판 및 상기 몸체를 슬라이딩하여 이동시키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하부에 설치되고, 공기압 입출구 포트를 통해 공급된 공기에 의해 상기 브라켓을 슬라이딩하여 이동시키는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 및 상기 브라켓의 하단을 감싸는 형태로서 상기 실린더 및 상기 브라켓의 하단을 보호하기 위한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실린더, 상기 브라켓의 하단 및 상기 하우징은 과속방지턱의 내부에 매설되고, 차량의 출입이 없을 때 상기 몸체는 상기 과속방지턱의 중앙부에 존재하고, 상기 차량의 출입이 있을 때 상기 몸체는 상기 과속방지턱의 끝단으로 이동하는 좌우 위치조절이 가능한 볼라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통행이 없을 때는 볼라드가 정지되어 있고, 차량의 통행이 있을 때는 센서 등의 작동에 의해 볼라드의 위치를 좌 또는 우로 조절하여 차량을 통행시킴으로써 차량을 안전하게 가이드하여 사고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과속방지턱의 내부에 실린더 등을 매설함으로써 별도로 도로 하부를 굴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비용 및 효율성 면에서 탁월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좌우 위치조절이 가능한 볼라드{BOLLARD CAPABLE OF ADJUSTING LEFT AND RIGHT POSITION}
본 발명은 좌우 위치조절이 가능한 볼라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파트의 주차장 등에 과속방지턱을 설치하여 차량의 과속에 의한 사고를 방지함에 있어서 과속방지턱에 좌우 위치조절이 가능한 볼라드를 설치함으로써 고속으로 이동 중인 차량의 진입을 통제할 뿐만 아니라 센서 등의 작동에 의해 볼라드의 위치를 조절하여 차량을 통과시킴으로써 미연에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좌우 위치조절이 가능한 볼라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원이나 광장, 도로와 인접하는 인도, 일반 건축물 및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을 포함한 건축물 주변에는 주차공간의 부족으로 인한 무분별한 차량의 진입을 차단하거나 주차를 금지시키고 보행자를 보호하기 위한 차량진입차단시설인 볼라드(bollard)가 설치된다.
상기 볼라드는 주로 석재로 이루어져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되도록 고정 설치되는데, 이러한 볼라드는 차량진입 및 무분별한 주차를 차단하기 위한 원래의 목적은 수행가능하나 구급차 또는 소방차량 등 긴급차량의 근접통행이 불가능하여 이러한 볼라드가 오히려 방해요소로 작용하여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하였다.
또한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의 주차장에는 차량간의 이동에 의해 접촉사고가 빈번하여 이를 방지하고자 과속방지턱을 설치하는 경우가 많지만, 접촉사고를 방지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량의 통행이 없을 때는 볼라드가 정지되어 있고, 차량의 통행이 있을 때는 센서 등의 작동에 의해 볼라드의 위치를 좌 또는 우로 조절하여 차량을 통행시키는 좌우 위치조절이 가능한 볼라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통행시 센서 등이 미리 작동을 하지 않더라도 볼라드의 몸체가 차량의 진행방향으로 기울여지도록 하는 좌우 위치조절이 가능한 볼라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몸체; 상기 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몸체를 고정시키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하부 내측단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판 및 상기 몸체를 고정시키는 경첩; 상기 경첩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판 및 상기 몸체를 슬라이딩하여 이동시키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하부에 설치되고, 공기압 입출구 포트를 통해 공급된 공기에 의해 상기 브라켓을 슬라이딩하여 이동시키는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 및 상기 브라켓의 하단을 감싸는 형태로서 상기 실린더 및 상기 브라켓의 하단을 보호하기 위한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실린더, 상기 브라켓의 하단 및 상기 하우징은 과속방지턱의 내부에 매설되고, 차량의 출입이 없을 때 상기 몸체는 상기 과속방지턱의 중앙부에 존재하고, 상기 차량의 출입이 있을 때 상기 몸체는 상기 과속방지턱의 끝단으로 이동하는 좌우 위치조절이 가능한 볼라드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경첩 및 상기 브라켓의 상단은 상기 과속방지턱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고, 상기 경첩은 상기 몸체와 상기 차량과의 충돌시 상기 차량의 진행방향으로 접혔다 원위치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볼라드는 상기 차량의 접근시 상기 차량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 및 상기 위치감지센서와 연동하여 상기 차량의 진입 여부에 따라 상기 실린더에 공급될 상기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공기량조절센서를 포함한 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몸체; 상기 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몸체를 고정시키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판 및 상기 몸체를 고정시키는 연결 브라켓; 상기 연결 브라켓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판 및 상기 몸체를 슬라이딩하여 이동시키는 이송 브라켓; 상기 이송 브라켓의 하부에 설치되고, 공기압 입출구 포트를 통해 공급된 공기에 의해 상기 이송 브라켓을 슬라이딩하여 이동시키는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 상기 이송 브라켓 및 상기 연결 브라켓의 하단을 감싸는 형태로서 상기 실린더, 상기 이송 브라켓 및 상기 연결 브라켓의 하단을 보호하기 위한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실린더, 상기 이송 브라켓, 상기 연결 브라켓의 하단 및 상기 하우징은 과속방지턱의 내부에 매설되고, 차량의 출입이 없을 때 상기 몸체는 상기 과속방지턱의 중앙부에 존재하고, 상기 차량의 출입이 있을 때 상기 몸체는 상기 과속방지턱의 끝단으로 이동하는 좌우 위치조절이 가능한 볼라드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연결 브라켓의 상단은 상기 과속방지턱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고, 상기 몸체는 상기 차량과의 충돌시 상기 차량의 진행방향으로 접혔다 원위치할 수 있는 탄성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볼라드는 상기 차량의 접근시 상기 차량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 및 상기 위치감지센서와 연동하여 상기 차량의 진입 여부에 따라 상기 실린더에 공급될 상기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공기량조절센서를 포함한 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통행이 없을 때는 볼라드가 정지되어 있고, 차량의 통행이 있을 때는 센서 등의 작동에 의해 볼라드의 위치를 좌 또는 우로 조절하여 차량을 통행시킴으로써 차량을 안전하게 가이드하여 사고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과속방지턱의 내부에 실린더 등을 매설함으로써 별도로 도로 하부를 굴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비용 및 효율성 면에서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통행시 센서 등에 의하여 자동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차량의 통행이 훨씬 수월하게 진행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만일의 경우에 차량의 통행시 센서 등이 미리 작동을 하지 않더라도 볼라드의 몸체가 차량의 진행방향으로 기울여지도록 하여 볼라드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라드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라드를 나타내는 분해 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라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라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볼라드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볼라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좌우 위치조절이 가능한 볼라드의 실제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라드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라드를 나타내는 분해 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라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라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볼라드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볼라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7a 내지 도 7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좌우 위치조절이 가능한 볼라드의 실제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좌우 위치조절이 가능한 볼라드(10)는 몸체(100), 지지판(200), 경첩(hinge, 300), 브라켓(bracket, 400), 실린더(500) 및 하우징(housing, 600)을 포함한다.
몸체(100)는 볼라드(10)의 주요 구성요소 중 하나로서, 상기 몸체(100)는 탄력봉, 시선유도봉, 차단봉 또는 차량진입 방지대 등으로 불리워진다.
상기 몸체(100)는 주행 중인 차량이 부딪쳤을 경우에 상기 차량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우레탄 재질, 플라스틱 재질, 고무 재질 및 탄성 재질 중의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금속 재질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야간 운전을 하는 운전자의 안전을 위해 상기 몸체(100)의 외측에 야광띠를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 광원을 설치해 이로 인해 빛이 은은하게 표시되도록 하여 야간 운전자의 시야를 원활히 확보할 수도 있다.
지지판(200)은 상기 몸체(1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몸체(10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며, 상기 지지판(200)은 'ㄱ'자 형태로 되어 상기 몸체(100)를 고정시킴과 동시에 경첩(300)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200)은 상기 몸체(100)를 지지 및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라면 원형, 사각형, ㄱ자 형태 등 어떠한 형태라도 가능하다. 상기 지지판(200)과 상기 몸체(100)는 볼트 및 너트 등의 체결구조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경첩(300)은 상기 지지판(200)의 하부 내측단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판(200) 및 상기 몸체(10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경첩(300)은 상기 지지판(200)의 하부 내측단과 볼트 및 너트 등의 체결구조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브라켓(400)은 상기 경첩(300)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판(200) 및 상기 몸체(100)를 슬라이딩하여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차량의 접근시 상기 실린더(500)의 중앙부에 있던 상기 브라켓(400)은 상기 실린더(500)의 끝단으로 슬라이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브라켓(400)의 하단은 과속방지턱(700)의 내부에 매설되어 차량이 상기 몸체(100)와 부딪치더라도 상기 브라켓(400)은 아무런 손상이 가지 않게 된다.
실린더(500)는 상기 브라켓(400)의 하부에 설치되고, 공기압 입출구 포트(510)를 통해 공급된 공기에 의해 상기 브라켓(400)을 슬라이딩하여 이동시킨다. 상기 공기압 입출구 포트(510)는 차량의 출입이 있는 경우 압축공기를 상기 실린더(500)에 공급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압축공기의 공급에 의해 실린더(500)의 상부에 있는 상기 브라켓(400)은 슬라이딩하여 과속방지턱(700)의 끝단 또는 상기 실린더(500)의 끝단으로 이동하게 된다. 콤프레샤(미도시)에 의해 상기 압축공기는 공급되고, 상기 공급된 압축공기는 상기 공기압 입출구 포트(510)를 통해 상기 실린더(500)로 전달된다.
하우징(600)은 상기 실린더(500) 및 상기 브라켓(400)의 하단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실린더(500) 및 상기 브라켓(400)의 하단을 감싸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600)은 앵커 볼트(610)에 의해 상기 하우징(600) 전체가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600)은 상기 앵커 볼트(610)에 의해 과속방지턱(700)의 내부에 안전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600)의 일측단은 상기 공기압 입출구 포트(510)와의 연결을 위해 일정한 크기의 홀(hole)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600)의 타측단은 덮개형식으로 제작된 덮개단으로 막혀 있다.
상기 실린더(500), 상기 브라켓(400)의 하단 및 상기 하우징(600)은 과속방지턱(700)의 내부에 매설된다. 차량의 출입이 없을 때 상기 몸체(100)는 과속방지턱(700)의 중앙부에 존재하고, 상기 차량의 출입이 있을 때 상기 몸체(100)는 과속방지턱(700)의 끝단으로 이동한다.
상기 경첩(300) 및 상기 브라켓(400)의 상단은 과속방지턱(700)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고, 상기 경첩(300)은 상기 몸체(100)와 차량과의 충돌시 상기 차량의 진행방향으로 접힐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경첩(300)은 "ㄱ"자 형태 또는 "T"자 형태 등일 수 있다. 만약의 경우에 상기 몸체(100)와 차량과의 충돌시 상기 차량의 진행방향으로 상기 경첩(300)이 접힘과 동시에 상기 차량이 통과했을 경우에 상기 경첩(300)의 탄력성을 이용해 자동으로 상기 몸체(100)가 세워지도록 하는 형태로 상기 경첩(300)이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볼라드(10)는 위치감지센서(810) 및 공기량조절센서(820)를 포함한 제어수단(8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감지센서(810)는 차량의 접근시 이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공기량조절센서(820)는 상기 위치감지센서(810)와 연동하여 상기 차량의 진입 여부에 따라 상기 실린더(500)에 공급될 공기의 양을 조절한다. 상기 공기량조절센서(820)는 솔레노이드 밸브 등을 통해 콤프레샤(미도시)에서 공급하는 압축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위치감지센서(810)는 교통카드, 출입증 등과 같은 RFID 카드로서 차량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감지센서(810)는 차량과의 적외선 통신, 초음파 통신 및 기타 무선 통신 등의 방식을 이용해 상기 차량의 위치를 감지할 수도 있다. 물론 차량에서 리모콘 등의 원격제어를 통해 상기 위치감지센서(810)로 신호를 전송해 상기 볼라드(10)의 몸체(100)를 과속방지턱(700)의 끝단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 위치감지센서(810)를 내장시켜 상기 차량의 출입을 통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과속방지턱(700)의 앞쪽과 뒷쪽에 위치감지센서(810)를 매설시켜 상기 차량의 바퀴에 의한 압력을 통해 상기 볼라드(10)를 작동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좌우 위치조절이 가능한 볼라드(10)는 몸체(100), 지지판(200'), 연결 브라켓(300'), 이송 브라켓(400'), 실린더(500) 및 하우징(600)을 포함한다. 몸체(100), 실린더(500) 및 하우징(600) 등 앞서 설명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은 생략하기로 한다.
지지판(200')은 상기 몸체(1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몸체(10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연결 브라켓(300')은 상기 지지판(200')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판(200') 및 상기 몸체(10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송 브라켓(400')은 상기 연결 브라켓(300')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판(200') 및 상기 몸체(100)를 슬라이딩하여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실린더(500)는 상기 이송 브라켓(400')의 하부에 설치되고, 공기압 입출구 포트(510)를 통해 공급된 공기에 의해 상기 이송 브라켓(400')을 슬라이딩하여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하우징(600)은 상기 실린더(500), 상기 이송 브라켓(400') 및 상기 연결 브라켓(300')의 하단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실린더(500), 상기 이송 브라켓(400'), 상기 연결 브라켓(300')의 하단 및 상기 하우징(600)은 과속방지턱(700)의 내부에 매설된다. 차량의 출입이 없을 때 상기 몸체(100)는 과속방지턱(700)의 중앙부에 존재하고, 상기 차량의 출입이 있을 때 상기 몸체(100)는 과속방지턱(700)의 끝단으로 이동한다.
상기 연결 브라켓(300')의 상단은 상기 과속방지턱(700)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고, 상기 몸체(100)는 차량과의 충돌시 상기 차량의 진행방향으로 접혔다 원위치할 수 있는 탄성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볼라드(10)는 위치감지센서(810) 및 공기량조절센서(820)를 포함한 제어수단(8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감지센서(810)는 차량의 접근시 이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공기량조절센서(820)는 상기 위치감지센서(810)와 연동하여 상기 차량의 진입 여부에 따라 상기 실린더(500)에 공급될 공기의 양을 조절한다.
도 7a 내지 도 7e를 참조하여 상기 볼라드(10)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몸체(100)를 포함한 상기 볼라드(10)를 과속방지턱(700)의 내부에 매설하고, 차량의 진입시 상기 위치감지센서(810)에 의해 상기 차량이 감지되고, 상기 공기량조절센서(820)에 의해 압축공기량이 조절되며 상기 실린더(500)에 상기 압축공기량이 공급되어 상기 브라켓(400)이 과속방지턱(700)의 끝단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몸체(100) 또한 함께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차량이 통과한 후에는 상기 브라켓(400)은 원래의 위치인 상기 실린더(500)의 중앙부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몸체(100)도 상기 실린더(500)의 중앙부로 이동하게 된다. 도면에는 상기 몸체(100)를 한개 설치하였지만, 경우에 따라서 두개 이상이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아파트나 빌딩,각종 시설물 등에 무단으로 차량이 들어오거나 주차를 할 경우를 대비하여 차량 과속 방지를 위한 과속방지턱을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볼라드(10)를 설치한다. 특히 아파트 주차장 등에 상기 볼라드(10)를 과속방지턱(700)에 매설하여 설치함으로써 과속으로 인한 사고를 줄임과 동시에 허용된 차량만 출입을 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볼라드(10)를 설치하기 위해 도로나 인도를 따로 굴착할 필요없이 과속방지턱(700)과 함께 상기 볼라드(10)를 설치함으로써 일석이조의 효과를 누릴 수 있다. 상기 과속방지턱(700)은 콘크리트나 아스팔트 등으로 만들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조립식 과속방지턱을 이용하여 상기 볼라드(10)를 상기 조립식 과속방지턱 내부에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볼라드
100: 몸체
200, 200': 지지판
300: 경첩
300': 연결 브라켓
400: 브라켓
400': 이송 브라켓
500: 실린더
510: 공기압 입출구 포트
600: 하우징
610: 앵커 볼트
700: 과속방지턱
800: 제어수단
810: 위치감지센서
820: 공기량조절센서

Claims (6)

  1. 몸체;
    상기 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몸체를 고정시키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하부 내측단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판 및 상기 몸체를 고정시키는 경첩;
    상기 경첩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판 및 상기 몸체를 슬라이딩하여 이동시키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하부에 설치되고, 공기압 입출구 포트를 통해 공급된 공기에 의해 상기 브라켓을 슬라이딩하여 이동시키는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 및 상기 브라켓의 하단을 감싸는 형태로서 상기 실린더 및 상기 브라켓의 하단을 보호하기 위한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실린더, 상기 브라켓의 하단 및 상기 하우징은 과속방지턱의 내부에 매설되고, 차량의 출입이 없을 때 상기 몸체는 상기 과속방지턱의 중앙부에 존재하고, 상기 차량의 출입이 있을 때 상기 몸체는 상기 과속방지턱의 끝단으로 이동하는 좌우 위치조절이 가능한 볼라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첩 및 상기 브라켓의 상단은 상기 과속방지턱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고, 상기 경첩은 상기 몸체와 상기 차량과의 충돌시 상기 차량의 진행방향으로 접혔다 원위치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 위치조절이 가능한 볼라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볼라드는 상기 차량의 접근시 상기 차량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 및 상기 위치감지센서와 연동하여 상기 차량의 진입 여부에 따라 상기 실린더에 공급될 상기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공기량조절센서를 포함한 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 위치조절이 가능한 볼라드.
  4. 몸체;
    상기 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몸체를 고정시키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판 및 상기 몸체를 고정시키는 연결 브라켓;
    상기 연결 브라켓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판 및 상기 몸체를 슬라이딩하여 이동시키는 이송 브라켓;
    상기 이송 브라켓의 하부에 설치되고, 공기압 입출구 포트를 통해 공급된 공기에 의해 상기 이송 브라켓을 슬라이딩하여 이동시키는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 상기 이송 브라켓 및 상기 연결 브라켓의 하단을 감싸는 형태로서 상기 실린더, 상기 이송 브라켓 및 상기 연결 브라켓의 하단을 보호하기 위한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실린더, 상기 이송 브라켓, 상기 연결 브라켓의 하단 및 상기 하우징은 과속방지턱의 내부에 매설되고, 차량의 출입이 없을 때 상기 몸체는 상기 과속방지턱의 중앙부에 존재하고, 상기 차량의 출입이 있을 때 상기 몸체는 상기 과속방지턱의 끝단으로 이동하는 좌우 위치조절이 가능한 볼라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브라켓의 상단은 상기 과속방지턱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고, 상기 몸체는 상기 차량과의 충돌시 상기 차량의 진행방향으로 접혔다 원위치할 수 있는 탄성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 위치조절이 가능한 볼라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볼라드는 상기 차량의 접근시 상기 차량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 및 상기 위치감지센서와 연동하여 상기 차량의 진입 여부에 따라 상기 실린더에 공급될 상기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공기량조절센서를 포함한 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 위치조절이 가능한 볼라드.
KR1020110022643A 2011-03-15 2011-03-15 좌우 위치조절이 가능한 볼라드 KR101037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2643A KR101037828B1 (ko) 2011-03-15 2011-03-15 좌우 위치조절이 가능한 볼라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2643A KR101037828B1 (ko) 2011-03-15 2011-03-15 좌우 위치조절이 가능한 볼라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7828B1 true KR101037828B1 (ko) 2011-05-31

Family

ID=44366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2643A KR101037828B1 (ko) 2011-03-15 2011-03-15 좌우 위치조절이 가능한 볼라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782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0396A (ko) * 1999-07-20 2001-02-05 이영재 차량 통행 차단장치
KR20030051160A (ko) * 2001-12-19 2003-06-25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불휘발성 반도체 기억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734216B1 (ko) 2006-12-27 2007-07-02 (주)포텍건축사사무소 위치이동이 가능한 공동주택 주차장의 차량 진입방지볼라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0396A (ko) * 1999-07-20 2001-02-05 이영재 차량 통행 차단장치
KR20030051160A (ko) * 2001-12-19 2003-06-25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불휘발성 반도체 기억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734216B1 (ko) 2006-12-27 2007-07-02 (주)포텍건축사사무소 위치이동이 가능한 공동주택 주차장의 차량 진입방지볼라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65092B (zh) 一种智能防撞护栏结构
US10612200B2 (en) Ground-based vehicle barrier system
US7645090B2 (en) Traffic control speed bump
KR102194543B1 (ko) 복합 신호등 장치
US20200263372A1 (en) Device with electrical or pneumatic actuation of a folding mechanism for encouragement of reduction of vehicle speed
KR101131851B1 (ko) 횡단보도의 야간 조명 및 보조 신호등 기능을 구비한 볼라드
CA2772369C (en) Transportable vehicle access control system
KR101103050B1 (ko) 차량 차단기
CN108411820A (zh) 一种高速公路应急车道智能管理与控制系统
KR101095846B1 (ko) 휀스형 차단기
KR101246249B1 (ko) 충격을 흡수하는 가변형 안전 볼라드
KR100915336B1 (ko) 보행자 보호용 방호장치
KR20190061602A (ko) 차량 통제용 스마트 안내 시스템
KR102023410B1 (ko) 속도감응식 과속방지시스템
KR101750879B1 (ko) 횡단보도 안전 관리 시스템
KR100970234B1 (ko) 비상시 상승 높이가 제어되는 매설형 바리케이드 및 그 제어방법
WO2012070748A1 (ko) 가변차선의 중앙선 표시를 위한 상하 자동 차선규제봉
RU2751291C1 (ru) Пешеходный переход с принудительной системой остановки авто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KR101196611B1 (ko) 스쿨존 횡단보도의 보행자 보호용 차단장치
KR101146608B1 (ko) 상하이동이 가능한 전동식 자동볼라드
KR20120095126A (ko) 안전운전 유도장치가 설치된 지주
KR101037828B1 (ko) 좌우 위치조절이 가능한 볼라드
RU2541589C1 (ru) Пешеходный переход
KR102209138B1 (ko) 신호등 감응형 방지턱
KR20190036433A (ko) 차량 통행 통제 설비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