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2271B1 - 보행자 보호용 스크린 도어 - Google Patents

보행자 보호용 스크린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2271B1
KR102102271B1 KR1020190148995A KR20190148995A KR102102271B1 KR 102102271 B1 KR102102271 B1 KR 102102271B1 KR 1020190148995 A KR1020190148995 A KR 1020190148995A KR 20190148995 A KR20190148995 A KR 20190148995A KR 102102271 B1 KR102102271 B1 KR 1021022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rian
pair
lifting
traffic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8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길섭
Original Assignee
임길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길섭 filed Critical 임길섭
Priority to KR1020190148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22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2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22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48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with obstructing members moving in a translatory motion, e.g. vertical lift barriers, sliding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E06B11/02Gates; Doors
    • E06B11/022Gates; Door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11/023Gates; Door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where the gate opens within the plane of the gate
    • E06B11/025Gates; Door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where the gate opens within the plane of the gate verticall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횡단보도의 인근에 설치되는 신호등과 연계된 상태로 통행 신호의 변화에 따라 횡단보도로 진입하는 통행로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으로부터 보행자를 보호함과 동시에 크기가 변화되는 신호등의 역할을 겸용할 수 있는 스크린 도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보행자 보호용 스크린 도어는 일측면과 상단 일측을 동시에 개방하는 승강 홈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그 승강 홈이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횡단보도와 인접한 인도에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대, 일측면을 개방하는 가이드 홈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그 가이드 홈이 서로 마주보도록 승강 홈 각각에 내입된 상태로 인근에 설치된 신호등과 연계되어 승강하는 한 쌍의 승강부, 양측 말단부가 각각 가이드 홈의 내부에 체결된 상태로 승강되는 복수 개의 차단바 및, 인근에 설치된 신호등과 연계되어 신호에 따라 승강부를 승강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행자 보호용 스크린 도어{Screen door for pedestrian protection}
본 발명은 횡단보도 양 옆의 인도에 설치되어 보행자를 보호할 수 있는 스크린 도어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횡단보도의 인근에 설치되는 신호등과 연계된 상태로 통행 신호의 변화에 따라 횡단보도로 진입하는 통행로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으로부터 보행자를 보호함과 동시에 크기가 변화되는 신호등의 역할을 겸용할 수 있는 스크린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전한 교통질서를 위하여 교차로 등에 설치되는 교통신호 장치를 신호등이라고 하며, 이러한 신호등은 표시구의 수와 배열 방식에 따라 횡형 삼색등, 횡형 사색등, 종형 삼색등, 종형 사색등, 차량 보조등, 버스 삼색등 등의 다양한 종류로 분류할 수 있다.
이때, 신호등으로 표시하는 색은 정지 신호를 의미하는 적색, 통행 신호를 의미하는 녹색 그리고 신호가 전환되기 전 주의하도록 하거나 우회 신호를 의미하는 주황색의 삼색이며, 각각의 신호를 참고하여 보행자와 운전자 모두 교통질서를 준수하는 경우에는 도로 횡단시의 사고 위험성이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신호를 무시하고 도로를 무단으로 횡단하거나 차량을 정지하지 않아 보행자와 차량의 충돌에 의한 인명사고가 발생하는 일이 빈번한 실정이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발명으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85564호의 “횡단보도용 신호 차단장치”,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1068호의 “횡단보도의 보행자 통행차단용 안전장치”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77657호의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가 제안되어 공개된 바 있다.
상기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85564호의 “횡단보도용 신호 차단장치”에는 보행신호시 차량의 진입을 차단하는 차량차단기를 구비하고 보행금지신호시 보행자의 횡단보도 진입을 차단하는 보행자차단기를 구비하여 보행신호시 보행자가 안전하게 횡단보도를 횡단할 수 있게 하는 장치에 관한 발명이 제안되었고, 상기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1068호의 “횡단보도의 보행자 통행차단용 안전장치”에는 어린이 등의 통행량이 많은 횡단보도와 시간대에는 성인남녀를 기준으로 설치된 보행자 신호등을 어린이의 눈높이에 맞게 변경 적용하여 주의력 부족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발명이 제안되었다.
또한,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77657호의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에는 교통신호의 변화에 따라 보행자 또는 차량의 진입을 차단하여 보행자가 안전하게 횡단보도를 통행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운전자로 하여금 정지선을 준수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교통사고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발명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발명들 중 일부는 차량의 진행을 차단하기 위한 용도로 구비되는 차단봉 또는 차량차단바가 힌지축을 매개로 도로측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되므로, 그 차단봉 또는 차량차단바가 주행중인 차량에 손상을 입히거나 차량과 충돌하여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할 여지가 충분하고, 보행자의 통행을 직접 제한하는 기능이 모두 부족하여 인명사고의 예방효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차량의 통행을 직접 제한하는 방식 대신 차량 통행시의 보행자의 통행을 강하게 제한하도록 구성되어 보행자와 차량의 충돌에 의한 인명사고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발명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또한, 도로의 통행량이 증가하는 경우에는 맞은편의 신호등을 바라보는 보행자의 시야가 차량에 의해 방해되어 신호를 뒤늦게 인지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고, 횡단보도를 통과하며 상공의 신호등을 바라보는 차량의 운전자가 도로로 진입하는 보행자를 미처 인지하지 못하여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러한 문제를 모두 해결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발명 또한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85564호(2002. 07. 3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1068호(2006. 11. 07)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77657호(2007. 11. 13)
본 발명에 의한 보행자 보호용 스크린 도어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신호등과 종래 발명들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기술로써,
종래의 신호등만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도로의 통행량이 증가하는 경우에 맞은편의 신호등을 바라보는 보행자의 시야가 차량에 의해 방해되어 신호를 뒤늦게 인지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상공의 신호등을 바라보는 차량의 운전자가 도로로 진입하는 보행자를 미처 인지하지 못하여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며,
종래의 발명들은,
차량의 진행을 차단하기 위한 용도로 구비되는 차단봉 또는 차량차단바가 힌지축을 매개로 도로측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되므로, 그 차단봉 또는 차량차단바가 주행중인 차량에 손상을 입히거나 차량과 충돌하여 파손될 수 있는 문제가 있고,
차량의 통행시 보행자의 통행을 직접 제한하는 기능이 미약하여 보행자와 차량의 충돌에 의한 인명사고의 예방효과가 기대에 미치는 못하는 문제가 있었기 때문에, 이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고자,
일측면과 상단 일측을 동시에 개방하는 승강 홈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그 승강 홈이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횡단보도와 인접한 인도에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대; 일측면을 개방하는 가이드 홈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그 가이드 홈이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승강 홈 각각에 내입된 상태로 인근에 설치된 신호등과 연계되어 승강하는 한 쌍의 승강부; 양측 말단부가 각각 상기 가이드 홈의 내부에 체결된 상태로 승강되는 복수 개의 차단바; 및, 인근에 설치된 신호등과 연계되어 신호에 따라 상기 승강부를 승강시키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보호용 스크린 도어를 제시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지지대에는 도로를 향하여 배치되는 일측면과 인도를 향하여 배치되는 타측면을 포함한 복수 개의 면에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인근에 설치된 신호등과 동일한 보행자 신호를 표시하는 제1 표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한 쌍의 승강부에는 도로를 향하여 배치되는 일측면과 인도를 향하여 배치되는 타측면 그리고 상단면을 포함한 복수 개의 면에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인근에 설치된 신호등과 동일한 보행자 신호를 표시하는 제2 표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지지대는 일측에 경사부가 형성되는 오각기둥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경사면에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인근에 설치된 신호등과 동일한 차량 신호를 표시하는 제3 표시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보행자 보호용 스크린 도어는,
한 쌍의 지지대에 제1 표시부를 구비하고, 보행자 신호에 따라 수직 상승하는 상기 한 쌍의 승강부에 제2 표시부를 구비하여, 보행자 신호의 표시 범위를 확장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고,
한 쌍의 지지대를 일측에 경사부가 형성되는 오각기둥의 형태로 구성하고, 그 경사면에 제3 표시부를 구비하여, 차량의 운전자가 보행자와 신호를 동시에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하며,
횡단보도와 인접한 인도에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대를 가이드로 하여 보행자의 통행을 제한하는 복수 개의 차단바가 인도측에서만 수직 방향으로 승강하도록 구성되므로, 차량과의 접촉 또는 충돌이 원천적으로 방지되는 효과가 발생하고,
상기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차단바가 수직 방향으로 승강하며 보행자의 통행을 직접 제한하도록 구성되므로, 차단봉 또는 차량차단바 등이 회동하도록 구성되는 종래의 방식에 비해 보행자의 통행을 강하게 제한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보행자 보호용 스크린 도어의 지지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의한 보행자 보호용 스크린 도어의 승강부 및 차단바가 상승하는 모습을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보행자 보호용 스크린 도어의 제1 표시부, 제2 표시부 및 제3 표시부 각각에 신호가 표시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의한 보행자 보호용 스크린 도어의 다양한 실시형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보행자 보호용 스크린 도어에 보행자 감지 센서가 구비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본 발명은 횡단보도 양 옆의 인도에 설치되어 보행자를 보호할 수 있는 스크린 도어에 관한 것으로써,
일측면과 상단 일측을 동시에 개방하는 승강 홈(101)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그 승강 홈(101)이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횡단보도와 인접한 인도에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대(100); 일측면을 개방하는 가이드 홈(111)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그 가이드 홈(111)이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승강 홈(101) 각각에 내입된 상태로 인근에 설치된 신호등과 연계되어 승강하는 한 쌍의 승강부(110); 양측 말단부가 각각 상기 가이드 홈(111)의 내부에 체결된 상태로 승강되는 복수 개의 차단바(120); 및, 인근에 설치된 신호등과 연계되어 신호에 따라 상기 승강부(110)를 승강시키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보호용 스크린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상기 한 쌍의 지지대(100)는 일측면과 상단 일측을 동시에 개방하는 승강 홈(101)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체로써,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 홈(101)이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횡단보도와 인접한 인도에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승강 홈(101)은 상기 승강부(110)가 내입됨과 동시에 승강부(110)의 승강을 위한 통로가 되는 홈이며, 상기 지지대(100)의 상단 일측을 개방함으로써 승강부(110)가 수직으로 승강할 수 있도록 하고, 지지대(100)의 일측면을 개방함으로써 상기 복수 개의 차단바(120)가 지면과 수평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승강 홈(101)은 반드시 상기 지지대(100)의 상단으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길이가 형성되어야 하나, 그 전체 길이는 상기 승강부(110)의 길이에 따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지지대(100) 상호 간의 간격은 보행자의 통행에 방해가 되지 아니하도록 인접한 횡단보도의 너비를 고려하여 그 너비와 동일하거나 그 이상의 길이를 가져야함이 바람직하며, 그 높이에 제한은 없으나 상기 승강부(110)의 승강시 보행자의 통행에 방해가 발생하지 아니하도록 최소한 120㎝ 이상의 높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승강부(110)는 상기 복수 개의 차단바(120)를 승강시키는 장치로써, 일측면을 개방하는 가이드 홈(111)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그 가이드 홈(111)이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승강 홈(101) 각각에 내입된 상태로 인근에 설치된 신호등과 연계되어 승강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 홈(111)은 상기 복수 개의 차단바(120)의 설치 및 승강을 위한 통로가 되는 홈으로써, 상기 승강부(110)의 일측면을 개방하여 복수 개의 차단바(120)가 모두 지면과 수평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점에 있어서는 그 목적 및 기능이 상기 승강 홈(101)의 일부 목적 및 일부 기능과 동일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홈(111)은 상기 승강 홈(101)과 동일하게 상기 승강부(110)의 상단으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길이가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복수 개의 차단바(120)의 설치가 가능하다면 반드시 상단이 개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측방으로만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부(110)는 수직 방향으로의 길이가 상기 지지대(100)의 수직 방향으로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짧게 형성되어, 하강한 상태일 때의 상단의 높이가 지지대(100)의 상단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와 같은 형태로만 한정되게 구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므로 그 상단의 높이가 지지대(100)의 상단의 높이보다 다소 높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승강부(110)는 상승한 상태일 때 보행자의 통행에 방해가 발생하지 아니하도록 수직 방향으로의 길이가 최소한 90㎝ 이상의 높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이는 곧, 최소한 120㎝ 이상의 높이로 형성되는 상기 지지대(100)의 높이를 고려하여 승강부(110) 상단의 높이가 지면으로부터 195㎝ 이상의 높이로 형성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 인근에 설치된 신호등이라 함은 주로 보행자가 활용하는 종형식 신호등 또는 주로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가 활용하는 횡형식 신호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인근에 설치된 신호등을 종형식 신호등으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한 쌍의 지지대(100) 각각에, 도로를 향하여 배치되는 일측면과 인도를 향하여 배치되는 타측면을 포함한 복수 개의 면에,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인근에 설치된 신호등과 동일한 보행자 신호를 표시하는 제1 표시부(10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한 쌍의 승강부(110) 각각에는 도로를 향하여 배치되는 일측면과 인도를 향하여 배치되는 타측면 그리고 상단면을 포함한 복수 개의 면에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인근에 설치된 신호등과 동일한 보행자 신호를 표시하는 제2 표시부(11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제1 표시부(102)는 상기 지지대(100)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면중 도로를 향하여 배치되는 일측면과 인도를 향하여 배치되는 타측면을 반드시 포함하되 그 외의 면 중 어느 이상에 더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2 표시부(112)는 상기 승강부(110)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면중 도로를 향하여 배치되는 일측면과 인도를 향하여 배치되는 타측면 그리고 상단면을 반드시 포함하되 그 외의 면 중 어느 이상에 더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제1 표시부(102)에서 보행자 신호를 항상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표시부(112) 또한 보행자 신호를 항상 표시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승강부(110)가 승강함에 따라 상기 스크린 도어를 이용한 보행자 신호의 표시 범위가 확장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 표시부(102)는 신호등에 표시되는 고유의 색상인 녹색, 주황색 그리고 적색을 하나씩 표시 가능한 3단의 층으로 구성될 수 있고, 녹색, 주황색 그리고 적색을 모두 표시 가능한 하나의 층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또는 십자형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어 가시성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지지대(100)에는 신호 대기중이거나 통행중인 차량의 운전자가 통행 신호, 통행 금지 신호 등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제3 표시부(104)가 구비될 수 있으며, 그 전제조건으로써, 한 쌍의 지지대(100) 각각은 도 2a 내지 도 2c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경사부(103)가 형성되는 오각기둥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한 쌍의 지지대(100) 각각은 본체의 대부분이 사각의 기둥형태와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로 구성되나 도로측을 향하여 배치되는 일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주행중인 차량의 운전자가 그 경사면인 경사부(103)를 정면에서 바라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지지대(100)에는 상기 경사부(103)에 구비된 상태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인근에 설치된 신호등과 동일한 차량 신호를 표시하는 제3 표시부(104)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는 곧, 차량의 운전자가 보행자와 신호를 동시에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차단바(120)는 보행자의 통행을 차단하기 위한 용도로 지면과 수평하게 설치되는 장애물로써, 양측 말단부가 각각 상기 가이드 홈(111)의 내부에 체결된 상태로 상기 승강부(110)의 승강시 함께 승강되며, 충돌에 의한 파손 또는 변형의 정도를 최소화하고자 특수 알루미늄 등 강한 강도의 재질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차단바(120)는 보행자와 접촉하거나 충돌하였을 때 보행자 또는 보행자의 의류 등에 발생할 수 있는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원형인 봉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러한 형태로만 한정되게 구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차단바(120)는 상기 승강부(110)가 상승할 때 서로 간의 거리가 축소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승강부(110)가 하강할 때에는 서로 간의 거리가 확장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복수 개의 차단바(120)는 보행자의 통행을 차단하기 위한 용도로 구비되는 것으로써, 인근에 설치된 신호등에 보행자의 통행 금지 신호가 표시될 때에는 상기 승강부(110)에 의해 하강하여 지면에 인접하게 위치되나, 그 신호등에 보행자의 통행 신호가 표시될 때에는 승강부(110)와 함께 상승하여 보행자가 횡단보도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복수 개의 차단바(120)는 상기 승강부(110)에 의해 하강시에는 보행자의 통행을 충분히 차단할 수 있도록 서로 간의 간격이 일정거리 이격됨이 바람직하나, 승강부(110)에 의해 상승시에는 최상층의 차단바(120)를 제외한 모든 차단바(120)가 상승하거나 모든 차단바(120)가 상승하여 보행자가 통행하기 충분한 높이가 확보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더하여, 상기 한 쌍의 지지대(100) 각각에는 보행자의 통행을 항시 차단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복수 개의 고정바(130)가 상기 차단바(120)가 설치된 방향의 반대 방향에 설치될 수 있으며, 고정바(130)의 길이에 따라서는 그 각각의 말단을 지지하는 수직바가 지지대(100)가 설치된 반대 방향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한 쌍의 지지대(100)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거나 그 인근에 설치되는 제어 장치로써, 인근에 설치된 신호등과 연계되어 그 신호등에 발생하는 통행 신호에 따라 상기 승강부(110)를 승강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인근에 설치된 신호등에 보행자의 통행을 허용하는 신호, 즉, 녹색의 통행 신호가 표시되는 경우에는 상기 한 쌍의 승강부(110)를 상승시켜 상기 한 쌍의 지지대(100) 사이에 보행자의 통행을 위한 통행로가 개방되도록 하고, 그 신호등에 보행자의 통행을 불허하는 신호, 즉, 적색의 통행 금지 신호가 표시되는 경우에는 상승된 상태인 한 쌍의 승강부(110)를 하강시켜 한 쌍의 지지대(100) 사이에 형성된 통행로가 폐쇄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승강부(110)의 승강 개시부터 승강 완료에 이르기까지의 시간은 승강시 접촉 또는 충돌에 의한 보행자의 부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보행자의 통행에 불편함이 발생하지 아니하도록 3 내지 10초의 범위 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보행자와의 접촉 또는 충돌에 의한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 또는 수단이 더 적용될 수 있다.
이에 관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써, 상기 승강부(110)는 접촉 또는 충돌에 의한 보행자의 부상을 방지하고자 상승 개시 후 수초동안 느린 속도로 상승하되, 그 후에는 빠른 속도로 상승함으로써 그 느린 속도에 의해 보행자의 통행에 불편함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승강부(110)가 하강하는 속도는 접촉 또는 충돌에 의한 보행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승시의 느린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관련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지지대(100)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상기 한 쌍의 지지대(100) 사이에 위치한 보행자 등을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보행자 감지 센서(105)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보행자 감지 센서(105)에서 보행자 등이 감지되면 기설정된 경고음을 출력하는 스피커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보행자 감지 센서(105)는 상기 한 쌍의 승강부(110)의 하강전부터 하강중에만 한 쌍의 지지대(100) 사이에 위치한 보행자 등을 감지함으로써, 경고음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은 상기 보행자 감지 센서(105)에서 보행자 등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승강부(110)의 하강이 시작되지 않거나 하강이 중단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만, 상기 보행자 감지 센서(105)에서 상기 복수 개의 차단바(120)가 감지되어 승강부(110)의 하강이 중단되는 것은 지양되어야 하고, 승강부(110)가 일정높이 이하로 하강한 후 하강이 중단되는 것은 실익이 없으므로, 보행자 감지 센서(105)가 설치되는 높이는 상기 지지대(100)의 높이의 절반 이하임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승강부(110)가 일정높이 이하로 하강한 후에는 보행자 감지 센서(105)의 작동이 중지되거나 보행자 감지 센서(105)에 의해 사람 또는 물건 등이 감지되더라도 승강부(110)의 하강이 중지되지 아니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복수 개의 차단바(120)가 진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통행 신호가 표시되기 전 복수 개의 차단바(120) 각각에 진동이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보행자가 그 진동을 인지하고 차단바(120)와의 접촉을 회피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지대(100) 또는 상기 차단바(12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수동 입력 방식으로 상기 승강부(110)를 승강시키는 입력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보행자 보호용 스크린 도어와 인접한 신호등에 보행자의 통행 금지 신호가 표시되는 경우에는 상기 승강부(110)와 상기 복수 개의 차단바(120)가 하강하여 보행자의 횡단보도로의 진입을 차단하게 되나, 이에 따라 횡단보도의 횡단을 마친 보행자의 통행 또한 차단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승강부(110)를 상승시키는 입력부가 상기 한 쌍의 지지대(10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구비되도록 하거나 상기 복수 개의 차단바(12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구비되도록 하거나 지지대(100)와 차단바(120) 모두에 하나 이상이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복수 개의 차단바(120)에 의해 통행이 차단된 보행자가 통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입력부에 의해 상승한 복수 개의 차단바(120)는 수초가 경과한 후 다시 자동으로 하강함으로써, 보행자의 통행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으로부터 보행자를 보호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써, 횡단보도로 진입하는 차량을 감지하는 차량 감지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차량 감지 센서에서 횡단보도로 진입하는 차량이 감지되면, 상기 승강부(110)의 상승이 시작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승이 중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승이 중지된 후 하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위에서 소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써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 또는 축소되어 표현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100 : 지지대 101 : 승강 홈
102 : 제1 표시부 103 : 경사부
104 : 제3 표시부 105 : 보행자 감지 센서
110 : 승강부 111 : 가이드 홈
112 : 제2 표시부
120 : 차단바
130 : 고정바

Claims (7)

  1. 일측면과 상단 일측을 동시에 개방하는 승강 홈(101)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그 승강 홈(101)이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횡단보도와 인접한 인도에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대(100);
    일측면을 개방하는 가이드 홈(111)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그 가이드 홈(111)이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승강 홈(101) 각각에 내입된 상태로 인근에 설치된 신호등과 연계되어 승강하는 한 쌍의 승강부(110);
    양측 말단부가 각각 상기 가이드 홈(111)의 내부에 체결된 상태로 승강되는 복수 개의 차단바(120); 및,
    인근에 설치된 신호등과 연계되어 신호에 따라 상기 승강부(110)를 승강시키는 제어부(미도시);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한 쌍의 지지대(100)에,
    도로를 향하여 배치되는 일측면과 인도를 향하여 배치되는 타측면을 포함한 복수 개의 면에 상기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되며 인근에 설치된 신호등과 동일한 보행자 신호를 표시하는 제1 표시부(102)가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승강부(110)에,
    도로를 향하여 배치되는 일측면과 인도를 향하여 배치되는 타측면 그리고 상단면을 포함한 복수 개의 면에 상기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되며 인근에 설치된 신호등과 동일한 보행자 신호를 표시하는 제2 표시부(112)가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지지대(100)는,
    사각기둥의 형태에서 도로측을 향하여 배치되는 일측에 경사부(103)가 형성되는 오각기둥의 형태로 구성되되, 주행중인 차량의 운전자가 상기 경사부(103)를 정면에서 바라볼 수 있게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지지대(100)에는,
    상기 경사부(103)에 구비된 상태로 상기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되며 인근에 설치된 신호등과 동일한 차량 신호를 표시하는 제3 표시부(104)가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지지대(100)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상기 한 쌍의 지지대(100) 사이에 위치한 보행자를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보행자 감지 센서(105)와,
    상기 보행자 감지 센서(105)에서 사람 또는 물건이 감지되면 기설정된 경고음을 출력하는 스피커(미도시)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차단바(120)는,
    상기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통행 신호가 표시되기 전에 진동이 발생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지지대(100) 또는 상기 차단바(12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수동 입력 방식으로 상기 승강부(110)를 승강시키는 입력부가 구비되고,
    상기 보행자 감지 센서(105)는,
    상기 한 쌍의 승강부(110)의 하강전부터 하강중에만 상기 한 쌍의 지지대(100) 사이에 위치한 사람 또는 물건을 감지하고,
    상기 보행자 감지 센서(105)에서 사람 또는 물건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승강부(110)의 하강이 시작되지 않거나 하강이 중단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보행자 감지 센서(105)가 설치되는 높이는 상기 지지대(100)의 높이의 절반 이하로 하여, 상기 승강부(110)가 일정높이 이하로 하강한 후에는 상기 보행자 감지 센서(105)의 작동이 중지되거나 상기 보행자 감지 센서(105)에 의해 사람 또는 물건이 감지되더라도 상기 승강부(110)의 하강이 중지되지 아니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복수 개의 차단바(120)에 의해 통행이 차단된 보행자가 통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입력부에 의해 상승한 상기 복수 개의 차단바(120)는 수초가 경과한 후 다시 자동으로 하강되도록 하여 보행자의 통행을 차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승강부(110)가 상승할 때,
    상기 복수 개의 차단바(120) 서로 간의 거리가 축소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승강부(110)가 하강할 때,
    상기 복수 개의 차단바(120) 서로 간의 거리가 확장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보호용 스크린 도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자 보호용 스크린 도어는,
    횡단보도로 진입하는 차량을 감지하는 차량 감지 센서(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차량 감지 센서(미도시)에서 횡단보도로 진입하는 차량이 감지되면,
    상기 승강부(110)의 상승이 시작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승이 중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승이 중지된 후 하강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보호용 스크린 도어.
KR1020190148995A 2019-11-19 2019-11-19 보행자 보호용 스크린 도어 KR1021022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8995A KR102102271B1 (ko) 2019-11-19 2019-11-19 보행자 보호용 스크린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8995A KR102102271B1 (ko) 2019-11-19 2019-11-19 보행자 보호용 스크린 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2271B1 true KR102102271B1 (ko) 2020-05-29

Family

ID=70911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8995A KR102102271B1 (ko) 2019-11-19 2019-11-19 보행자 보호용 스크린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227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26458A (zh) * 2020-12-31 2021-04-30 长沙环境保护职业技术学院 一种自动升降式斑马线儿童防护围栏
KR20220016653A (ko) 2020-08-03 2022-02-10 주식회사 정원엘피 횡단보도용 스크린 도어 장치
WO2022211192A1 (ko) * 2021-03-31 2022-10-06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횡단보도의 보행자 안전 장치
KR102626817B1 (ko) * 2023-06-20 2024-01-18 김병기 교통사고 방지를 위한 횡단보도용 안전도어
KR102691659B1 (ko) * 2023-05-25 2024-08-05 현대제철 주식회사 안전사고 방지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5564Y1 (ko) 2002-05-20 2002-08-13 주식회사 투원테크 횡단보도용 신호 차단장치
KR200400235Y1 (ko) * 2005-08-09 2005-11-04 한성무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
KR200431068Y1 (ko) 2006-08-31 2006-11-13 이동기 횡단보도의 보행자 통행차단용 안전장치
KR100777657B1 (ko) 2007-04-13 2007-11-19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
KR20130066794A (ko) * 2011-12-13 2013-06-21 (주) 미도랜드 횡단보도용 지능형 안전사고 방지장치
KR20140148044A (ko) * 2013-06-21 2014-12-31 이동훈 차량 및 보행자 통행 차단 시스템의 차단봉 자동 개방 장치
KR20160036219A (ko) * 2014-09-25 2016-04-04 장태순 횡단보도용 보행자 음성안내를 포함하는 안전 통합시스템이 구비된 지능형 볼라드
JP2016141183A (ja) * 2015-01-30 2016-08-08 日本信号株式会社 昇降式ホーム安全柵
KR20190052341A (ko) * 2017-11-08 2019-05-16 이병하 로드킬 방지수단이 구비된 가드레일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5564Y1 (ko) 2002-05-20 2002-08-13 주식회사 투원테크 횡단보도용 신호 차단장치
KR200400235Y1 (ko) * 2005-08-09 2005-11-04 한성무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
KR200431068Y1 (ko) 2006-08-31 2006-11-13 이동기 횡단보도의 보행자 통행차단용 안전장치
KR100777657B1 (ko) 2007-04-13 2007-11-19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
KR20130066794A (ko) * 2011-12-13 2013-06-21 (주) 미도랜드 횡단보도용 지능형 안전사고 방지장치
KR20140148044A (ko) * 2013-06-21 2014-12-31 이동훈 차량 및 보행자 통행 차단 시스템의 차단봉 자동 개방 장치
KR20160036219A (ko) * 2014-09-25 2016-04-04 장태순 횡단보도용 보행자 음성안내를 포함하는 안전 통합시스템이 구비된 지능형 볼라드
JP2016141183A (ja) * 2015-01-30 2016-08-08 日本信号株式会社 昇降式ホーム安全柵
KR20190052341A (ko) * 2017-11-08 2019-05-16 이병하 로드킬 방지수단이 구비된 가드레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6653A (ko) 2020-08-03 2022-02-10 주식회사 정원엘피 횡단보도용 스크린 도어 장치
CN112726458A (zh) * 2020-12-31 2021-04-30 长沙环境保护职业技术学院 一种自动升降式斑马线儿童防护围栏
WO2022211192A1 (ko) * 2021-03-31 2022-10-06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횡단보도의 보행자 안전 장치
KR102691659B1 (ko) * 2023-05-25 2024-08-05 현대제철 주식회사 안전사고 방지장치 및 그 방법
KR102626817B1 (ko) * 2023-06-20 2024-01-18 김병기 교통사고 방지를 위한 횡단보도용 안전도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2271B1 (ko) 보행자 보호용 스크린 도어
KR100777657B1 (ko)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
KR101904762B1 (ko) 우회전 진입경고신호를 표시하는 보행자 신호등
KR100782931B1 (ko) 횡단보도 안전차단장치
KR101667569B1 (ko) 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장치 및 상기 고소작업장치의 동작방법
KR20110125038A (ko) 승강식 과속방지턱 장치
KR101695723B1 (ko) 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장치 및 상기 고소작업장치의 동작방법
KR20130066794A (ko) 횡단보도용 지능형 안전사고 방지장치
KR20120120549A (ko) 횡단 보도 안전 장치
KR102147872B1 (ko) 횡단보도용 차량 진입방지 스크린 장치
KR101607318B1 (ko) 유지관리가 용이한 터널화재시 자동차 진입 차단장치
KR20010103326A (ko) 보행자 보호용 신호등 제어시스템
KR20100004407U (ko) 횡단보도 차단기
KR20200034574A (ko) 승강형 볼라드를 이용한 교통 안전 시스템
KR100949180B1 (ko) 세이프존에서의 차량 제어장치
KR101171268B1 (ko) 횡단보도용 지능형 안전사고 방지장치
KR101270431B1 (ko) 횡단보도의 경고 표시장치
KR100647522B1 (ko) 철도건널목의 자동차 차단장치
JP6544947B2 (ja) ロープ式ホーム安全柵
KR101713157B1 (ko) 횡단보도 표시장치
JP2006265911A (ja) 単純昇降式駐車装置
WO2019199123A1 (ko) 횡단보도 안전 보행 시스템
KR102050492B1 (ko) 인지 강화형 교통신호 시스템
KR102121656B1 (ko) 횡단보도 안전 보행 시스템
CN113216041A (zh) 一种智能联防升降路障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