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6219A - 횡단보도용 보행자 음성안내를 포함하는 안전 통합시스템이 구비된 지능형 볼라드 - Google Patents

횡단보도용 보행자 음성안내를 포함하는 안전 통합시스템이 구비된 지능형 볼라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6219A
KR20160036219A KR1020140128091A KR20140128091A KR20160036219A KR 20160036219 A KR20160036219 A KR 20160036219A KR 1020140128091 A KR1020140128091 A KR 1020140128091A KR 20140128091 A KR20140128091 A KR 20140128091A KR 20160036219 A KR20160036219 A KR 201600362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lard
pedestrian
voice guidance
intelligent
cro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8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2685B1 (ko
Inventor
장태순
Original Assignee
장태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태순 filed Critical 장태순
Priority to KR1020140128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2685B1/ko
Publication of KR20160036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62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2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26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보행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횡단보도 구역에서 교통신호의 점등 상태 및 보행자를 탐지하여 안전한 보행을 유도하고 보행자와 운전자 모두에게 횡단보도 상황을 쉽게 알려줌으로서 불시에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횡단보도용 보행자 음성안내를 포함하는 안전 통합시스템이 구비된 지능형 볼라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보도상에 설치되고, 양 방향 도로 또는 교차로의 횡단보도 좌우 양 단에 설치되는 2개 또는 복수개의 볼라드와,
상기 볼라드에 설치되어 보행자가 차도 측으로 진입하는 것을 탐지하고, 신호등과 연계되어 보행자에게 신호대기 및 보행신호, 위치정보를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보행자 감지부와,
상기 보행자 감지부에서 탐지 및 안내된 정보를 음성정보로 출력하는 음향신호발생부와,
상기 볼라드에 설치된 보행자 감지부, 음향신호발생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이들을 기상 악천후에 대응하여 방수코팅을 부가하여, 외부와 절연시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횡단보도용 보행자 음성안내를 포함하는 안전 통합시스템이 구비된 지능형 볼라드{Intelligent Bollard with having Safety Integration System including voice guidance for pedestrian crosswalk}
본 발명은 안전보행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횡단보도 구역에서 교통신호의 점등 상태 및 보행자를 탐지하여 안전한 보행을 유도하고 보행자와 운전자 모두에게 횡단보도 상황을 쉽게 알려줌으로서 불시에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횡단보도용 보행자 음성안내를 포함하는 안전 통합시스템이 구비된 지능형 볼라드에 관한 것이다.
아울러 횡단보도에 다양하게 설치되고 있는 보행안전을 위한 보조장치를 통합하고 지능화 시키면서 새로운 기능을 추가함은 물론 도시 미관까지도 고려한 총체적이고 미래지향적인 통합관리형 IT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이 오가는 도로에는 보행자의 횡단을 위한 횡단보도가 설치되어 있으며, 횡단보도는 보행자에게 횡단 가능 여부의 상황을 인식하도록 하는 신호 기능이 더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횡단보도와 신호등은 단순히 보행자의 횡단 또는 자동차의 주행에 대한 제어신호를 표시하는 것이므로 차도를 주행하는 자동차는 횡단 중인 보행자의 확인이 지연되어 사고로 이어지거나, 위험한 상태가 될 수 있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횡단을 대기중인 보행자는 급한 마음에 심리적으로 도로에 인접하려는 경향으로 교통사고의 주요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특히 상황 판단력이 부족한 노약자나 어린이들의 경우에는 도로 경계를 넘어서서 대기하는 경우가 자주 일어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시각장애자의 경우에는 교통신호 인식이 어려워 더욱 위험한 상황이 만들어지기도 한다.
또한, 보행중 많은 사람들이 이동통신기기를 사용하고 있으며 특히 횡단보행중에는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혀 이에 대한 제재나 지도가 부족한 상황에서 많은 위험에 노출이 되어 있다는 사실은 모두가 공감을 하고 있다.
이로 인한 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해 각 지자체에서는 횡단보도 마다 일차적으로 차량진입을 방지하면서 이차적으로 보행자의 안전경계선을 의미하는 볼라드를 다양한 형태로 설치 운영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렇게 설치된 볼라드는 운전자의 실수로 인한 차량 진입 시 보행대기자를 보호할 수 있는 역할은 할 수 있지만 심리적으로 급하게 횡단하려는 보행자들이나 집중력이 부족한 어린이들 그리고 시각장애자들에게는 크게 구속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한편, 도로교통공단에서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최근 5년간 교통사고 사망자 27,843명중 1,095명(3.9%)이 보행중에 일어났으며, 어린이보호구역(스쿨존)에서 최근 5년간 3,047건의 사고발생중 37명이 사망하고 3,190명이 부상했다고 발표한 바 있다.
통계적으로는 횡단보도의 교통사고가 무단횡단시 보다 2배 많이 발생하였으며, 야간시간대 사고 발생율이 급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OECD 평균보다 높은 교통사고율을 낮추기 위해서 제7차(2012~2016년) 국가교통 안전기본계획에 교통사고사망자 40% 감소 목표를 발표하였고, 이를 실현하기 위해 많은 안전 예산을 확보하고 다양한 교통안전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안전대책 중의 하나로 어린이 교통안전 확보를 위해 스쿨존내 횡단보도에 '횡단보도 음성안내 보조장치'의 설치를 도입 추진하고 있으며 경찰청은 2014년 7월 이에 대한 표준지침을 사전 공개하였다.
위와 같은 '횡단보도 음성안내 보조장치'의 일환으로 횡단보도의 보행자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이미 다양한 공지의 예들이 개시되어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773146호, "시각장애인 및 어린이 보호를 위한 횡단보도의 안전대기장치"에는 신호등에 일체로 설치된 발광부를 포함한 제1대기구역과 수광부지지대로 구성된 제2대기구역을 포함하여 횡단보도의 보행자 안전을 확보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는 신호등과 분리 설치를 기본으로 하는 경찰청 표준지침과 맞지 않으며, 특히 지상에서 1mm~1.5mm 높이로 설치되는 수광부지지대는 그 한정 범위가 지나치게 애매하여 기재불비 사항으로 간주된다.
예를들면, 지상에서 1~1.5mm 높이에서부터 수광부지지대가 형성이 된다고 해석을 한다면, 많은 사람들과 자전거 오토바이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수단이 왕래하는 건널목에 설치되어 외부 충격에 대해 내구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매립식으로 설치되는 것이 통상적이고 일반적인 설치방법인데 이런 사실과 크게 대치되며, 만일 수광부지지대의 전체 높이가 지상으로부터 1~1.5mm 높이를 갖는 크기로 한정이 된다면 이는 당연히 실현 불가능한 기술에 해당된다.
또한, 해외공지의 예로서,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2-157682호 "횡단보도의 신호 제어 방법 및 장치"에는 횡단보도 신호 대기 영역을 커버 하는 검색 범위에 레이저 광을 조사하여 탐지하고, 탐지 범위에서 반사하는 반사 레이저 빛의 반사 시간을 측정하여 검색의 크기와 모양과 위치를 측정하고 시간 경과에 따른 측정에 의해 검출 대상의 이동 속도를 측정하여 장애인 또는 일반인을 구분하여 신호등의 점멸 간격을 제어하여 보행자의 안전문제를 일부 해결하고 하고 있다.
그러나, 이 역시도 단순히 보행자의 보행속도를 측정하여 이를 신호등에 연계시켜 신호등의 제어를 수행하는 것으로, 보행자에게 경고 또는 주의를 환기시키기 위한 보조장치들은 개시되어 있지 않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0878901호 "횡단보도 볼라드 LED 발광장치"에는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하고 운전자에게 경계심을 유발시키기 위해 어두운 횡단보도위로 도로 양쪽에 설치된 볼라드에서 LED 조명을 비춰주는 제안이 공지되어 있으나 횡단보도의 긴 거리를 비추기 위해서는 강한 LED발광이 필요하게 되어 오히려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는 단점이 지적되고 있다.
나아가, 야외에 노출 설치되어 있어 차량에 의해 발생되는 먼지와 흙탕물 그리고 연중 기상 악천후를 대비하여 내부에 탑재된 광센서를 포함하는 여러 전자 부품제품의 신뢰도를 유지하는 것이 크게 요구되며 당초 설치 목적과는 다르게 훼손, 고장등으로 인해 보기 흉하게 방치되는 공공시설물로 전락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되다 보니 무엇보다도 사후 유지관리가 중요한데 지금까지 공지된 어느 기술에서도 이에 대한 근본적 해결안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773146호 "시각장애인 및 어린이 보호를 위한 횡단보도의 안전대기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0878901호 "횡단보도 볼라드 LED 발광장치"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2-157682호 "횡단보도의 신호 제어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이미 오래전부터 횡단보도 주위의 사고와 보행자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들이 다양하게 시행되고 있는 상태이나, 근래에 들어 스쿨존 횡단보도에 "보행신호 음성안내 보조장치"의 설치가 시행령으로 제정되게 됨으로서 횡단보도 구역에는 많은 안전보조장치들이 난립하여 미관상 무질서할 뿐만 아니라 관리에도 어려움이 많은 점 등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일반적인 '차량진입억제용 볼라드', '시각장애인용 음성인식 안내 발생장치', '횡단보도 조명을 위한 보조등' 그리고 '보행신호 음성안내 보조장치'가 혼재되어 설치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어 이는 예산의 이중, 삼중 낭비 요인이 될 수가 있는 문제점을 해결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네가지 기능을 모두 내재하면서 과속방지 카메라, 블랙박스, 휴대폰전파차단장치, 이상발생원격통보장치와 같은 안전한 횡단 보행을 지원하기 위한 통합지능형 IT 보조시스템이 일체화로 구성된 볼라드 시스템을 제공하여 횡단보도상의 복잡함을 단순화 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설치비용의 낭비를 최소화시키고 관리의 효율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다시, 본 발명은 보행자가 횡단 시 단순 일직선 형태의 횡단보도에서는 좌우 양측 2개의 볼라드만 가지고도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나, 교차로 부근의 횡단보도는 서로 교차하는 두 군데 방향의 횡단보도를 모두 포함하는 곡면구조로 되어 있어 수광부의 위치가 도로상에 위치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역시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보행자의 위치를 탐지하여 횡단보도 상의 안전구역 내에서 보행자가 차도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행자 검지부를 제공하는 것을 그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호등의 점등 상태를 원거리에서도 확인이 용이하도록 볼라드 상단에 신호등과 동기화된 LED 신호등을 설치하여 보행자가 사전에 보행여부 판단을 내릴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행자 검지부를 통해 파악된 보행자 상태 또는 신호등의 점등상태를 확인하여 보행자에게 경고하거나 주의를 경각시켜 주기 위한 음향신호발생부를 제공한다.
그리고 별도로 설치되어 운영 관리되고 있는 신호등의 설치 위치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위치정보를 선택적으로 안내하게 함으로써 두 가지 기능을 통합 관리 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CCTV 설치가 없는 횡단보도 근방의 사고 발생시 이를 추적할 수 있고, 학교 앞에 설치된 횡단보도의 경우에는 이를 모니터링하여 이를 무선통신으로 학교로 송신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가로등이 설치되어 있지 않거나 어두운 횡단보도상에는 운전자나 보행자에게 횡단보도임을 멀리서도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고휘도 반사갓이 내재된 지향성(地向性) LED 조명등이 내재된 기능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횡단보도 보행중 휴대폰과 같은 휴대형 통신기기의 사용은 주위 집중력을 잃게 되어 사고 위험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가 되고 있어 향후 횡단보행중의 휴대폰 미사용에 대해서는 강한 구속력이 절실히 필요하여 이에 대한 대안을 제시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보행 보조장치에 접속되는 전기, 전자적 수단들이 습기, 폭우, 침수 등으로 부터 절연·방수·방습기능을 확보 할 수 있으며, 보행자의 안전을 위한 횡단보도 조명수단 및 보조신호등을 일체적 내지 선택적으로 구비할 수 있는 안전보행 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먼지나 기타의 오염 또는 눈보라에 의해 센서 감지부의 인식오류를 줄이기 위한 해결 수단을 제공한다.
그리고,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시설인 만큼 훼손이 쉬우며 내부에 탑재된 많은 전기, 전자 부품들은 수리 및 점검이 빈번해 질수 있는 만큼 보행자와 운전자의 안전 확보에 공백이 생기지 않도록 오작동시 수리 및 점검이 쉽고 최단 시간내에 정상작동을 복구할 수 있도록 부품 통합관리를 제공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볼라드의 빈공간을 활용하여 청각장애인을 위한 안내문구나 홍보문구 또는 광고문구를 사용케 하여 그 효용성을 더욱 높이도록 할 수 있다.
한 걸음 더 나아가, 공공의 이익과 안전을 위해 설치된 시설이나 장치들은 당초의 취지와는 달리 크게 효과를 보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 되는데, 대부분의 경우가 훼손이나 고장 또는 기상 악천후의 영향으로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한 채 방치되기 쉽기 때문이고, 본 발명은 이에 대한 대안을 마련하는 것이 설치 과정 이상으로 중요하므로 이를 해결한다.
본 발명의 기타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게 되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상세한 설명 및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전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보도상에 설치되고, 양 방향 도로 또는 교차로의 횡단보도 좌우 양 단에 설치되는 2개 또는 그 이상의 볼라드와, 상기 볼라드에 설치되어 보행자가 차도 측으로 진입하는 것을 탐지하고, 신호등과 연계되어 보행자에게 신호대기 및 보행신호, 위치정보를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보행자 감지부와,
상기 보행자 감지부에서 탐지 및 안내된 정보를 음성정보로 출력하는 음향신호발생부와,
상기 볼라드에 설치된 보행자 감지부의 감지신호, 음향신호, 화상신호, 시간제어, 전파제어, 데이터 송수신등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이들을 기상 악천후에 대응하는 방수코팅을 부가함으로써 빗물이나 습기로부터 절연시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음향신호발생부는 주변 거주자들로 부터 제기되는 소음 민원에서 벗어나면서 주위의 자동차 소음과 같은 주변음과 분리 식별되어 보행자들에게 전달되어야 하므로 지향각 30도 이내의 지향성(指向性)스피커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음향신호발생부에 녹음된 음성안내 내용은 교차로의 경우 바로 옆에 위치한 음성안내와 혼돈을 할 수 있으므로 이럴 경우에는 음색을 달리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면, 한쪽이 젊은 여성의 목소리면 바로 이웃한 음성안내는 어린이나 남성의 목소리로 차별화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양 방향 도로 또는 교차로에 배치되고, 보행자 감지부가 설치된 볼라드는 발광부 볼라드와 수광부 볼라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인체 감지센서는 본래의 목적에 가장 요구되는 주요 기능이므로 고장이나 훼손에 대비하여 2개 이상을 설치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교차로 부근의 횡단보도에 적용되는 볼라드는 보도면의 정점에 설치하는 사선형 구조로 하되, 선택적으로 중앙에 설치되는 볼라드는 수광부 볼라드이고, 상기 수광부 볼라드의 양면으로는 좌, 우 양 발광부 볼라드의 해당 발광부 신호와 독자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중앙에 설치되는 볼라드에는 수광부와 발광부를 각기 탑재하여 좌, 우 양측의 볼라드에 설치된 각각의 발광부와 수광부에 대응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교차로의 길이가 직선이나 곡면구조나 상관없이 감지거리가 길어질 경우에는 다수의 볼라드가 중간에 설치되고, 각각이 상기와 같이 수광부와 발광부 기능을 갖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보행자 감지부에는 포토센서, 적외선 센서, 레이저 센서, 열감지센서 등이 적용된 인체감지 센서가 설치되어 보행자를 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볼라드에는 상기 센서의 보호를 위한 유리 덮개부가 설치되고, 유리 덮개부에는 먼지나 기타 오염물질이 빗물에 쉽게 씻겨지도록 초발수코팅 처리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볼라드에는 눈보라나 성에, 결빙으로부터 센서부의 감지 능력을 유지시키기 위해서 유리덮개부나 그 주위에 열선 코일을 내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볼라드에는 횡단 보행중 통신기기의 사용을 강제로 차단하기 위한 휴대폰 전파차단기(예를 들면, "Jammer")가 탑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전파차단기는 기지국과 휴대폰 단말기와 주고받는 전파와 동일한 주파수신호를 일정거리 영역이내의 범위에서만 전파를 상쇄간섭시켜 주파수신호를 소멸시키는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횡단보도 옆을 지나는 보행자나 차량에 승차하여 신호 대기중인 승객들의 휴대폰 사용에 방해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주파수 상쇄간섭 지역이 횡단보도의 대기 영역 일부와 횡단보도 도로상에만 집중되는 지향성 성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개인 사생활 침해와 공공의 안전이라는 두 가지 측면을 고려하여 횡단보도 보행 신호가 푸른색으로 바뀌기 직전 또는 일정시간 전에 주파수 상쇄간섭이 자동으로 가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볼라드는 수평방향의 전단면에서 볼 때 원형, 다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볼라드로는 횡단보도의 주위을 조사하기 위한 고휘도 반사갓이 내재된 지향성(地向性) LED로 이루어진 조명장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발광 LED는 단위 LED램프가 여러개 조합되어 직접 광량을 발생하는 점 발광 형태도 가능하지만 야간시 보행자나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부드러운 발광이 필요하며 따라서 반투명의 실리콘이 도포된 면발광 LED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지향성 조명장치는 보행자 녹색신호시 점멸등으로 전환되어 운전자에게 주위를 환기시킬 수 있으며 보행자에게는 신속한 보행을 유도한다.
아울러 에너지 절약을 위해서 야간에만 사용하게 될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타이머나 GPS 수신에 의한 일몰 시간대에 자동 점등과 소등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볼라드로는 횡단보도 전방을 촬영하고, 이를 기록할 수 있는 기록장치가 구비된 블랙박스를 더 포함하고 그리고 횡단보도 통과시 신호위반이나 과속단속을 촬영하는 카메라 기능이 더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볼라드로는 인체열감지센서가 내장되어 볼라드 주위 일정 반경에 사람이 감지되면 조명장치, 블랙박스, 기타 부가장치들이 작동되도록 절전형으로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충격감지 센서가 내재되어 있어 일정 강도 이상의 충격이 감지되면 블랙박스가 작동하거나 원격통신으로 그 사실이 통보되어 조기에 문제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볼라드로는 신호등의 점등과 연계되어 볼라드 상단에 구비된 신호등 연계 LED 등이 발광 또는 소등되는 보조신호등의 역할을 가능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도 상기신호등 연계 LED 등은 점 발광 이나 면 발광 LED로 광원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촬영장치에 의해 촬영된 영상은 횡단보도 근방의 학교로 무선송신되어 녹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적용된 볼라드는 수리나 점검의 용이성과 내구성을 위하여 외부함체와 전기, 전자 제어부가 통합하여 탑재된 카트리지 형태의 내부 함체로 이루어지는 디자인 특성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볼라드로는 저전력 소비용 LED 램프를 사용하여 안내문구 또는 광고문구를 삽입할 수 있도록 광고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광고 표시창은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는데 우선은 저렴한 비용으로 인근 지역 상가의 제품을 홍보하거나 각 지자체 단위 또는 전국 단위의 동일 광고를 일시에 홍보하기도 하며, 이를 통해 발생된 수익은 볼라드 운영비용의 재원으로 활용될 수 있다.
또는, 인접한 상가의 제품을 홍보하는 대신 볼라드의 관리를 책임지게 할 수도 있으며, 이는 본인의 제품을 매일 홍보하고 있는 만큼 누구보다도 볼라드의 상태를 제일 잘 관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는, 볼라드 설치 이후 유지관리 업체를 선정하는 단계에서 이들 업체가 광고비를 대신 수납받는 대신 무상 또는 극히 저렴한 비용으로 볼라드의 유지관리를 책임지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지금까지 설치된 많은 공공시설물들이 시간이 지나면서 책임 관리의 부재로 인해 무용지물화 되는 사례가 많았기 때문에, 앞으로 적지 않은 국민의 세금으로 새롭게 설치되기 시작하는 음성안내 보조장치 볼라드가 동일한 전철을 밟지 않도록 하기 위해 심사숙고하여 도출해 낸 새로운 착안이다.
마지막으로 볼라드의 이상발생시 그 정상작동 상태 여부를 원격에서 상시모니터링이 가능케 하여 유지관리 담당자들로부터 단시간 내에 적절하고 빠른 조치가 취해질 수 있도록 원격통신시스템이 내재 된 기능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보행 보조장치는 신호등과 연계되어 보행자의 보행상태를 판단하여 신호대기시 보행자를 안전하게 보차도 경계선 밖으로 경고 및 유도할 수 있으며, 보행신호시에는 음성안내를 통해 주의를 환기시키면서 더욱 조심스럽게 횡단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교통약자인 장애인, 노약자들을 위해 보행신호시 그 지역의 위치정보 내지 횡단방향 등을 음향신호발생부를 통해 안내할 수 있으며, 여러 가지 횡단보도 내 안전 보조장치들을 통합관리하여 질서있는 도로 미관을 만들 수 있도록 하고, 과도한 예산낭비를 줄일 수 있는 미래지향적인 지능형 통합관리 시스템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조명장치를 통해 원거리에서도 횡단보도의 존재 유무에 대한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촬영장치를 통해 불의의 교통사고를 추적할 수 있고, 특히 이러한 정보는 근방의 학교로 송신되어져 실시간으로 학생들의 횡단보도 통행 상태를 모니터링하거나, 저장되어 사고 예방 및 등·하교를 지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옥외 설비라는 점을 감안하여 사계절의 기상변화에 견딜 수 있고 그리고 차량 속도에 의한 먼지나 바람, 흙탕물 비산 등과 같은 악조건은 물론 집중 호우시 발생되는 침수사고에도 견뎌낼 수 있도록 방수, 방습, 방오, 절연특성을 동시에 확보함으로서 장치의 내구성을 장시간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이상발생원격통보 기능이나 광고부 표시를 활용한 유지관리방안은 적지 않은 예산으로 설치되어 공공의 안전을 책임질 다기능 음성안내 볼라드의 효과를 지속적으로 유지 시킬수 있도록 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생각이 든다.
또한, 보행자의 고의적 훼손이나 운전자의 실수로 인한 훼손시 수리, 교체, 점검이 용이한 이중함체 구조는 안전보행 및 설비의 정상가동에 공백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특징적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보행 보조장치가 일반적인 횡단보도 상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차로 방면에 설치되는 양측 횡단보도용 안전보행 보조장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된 볼라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차량진입방지용 볼라드와 함께 구성되는 안전보행 보조장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된 횡단보도 조명을 위한 고휘도 반사갓으로 구성되는 지향성 LED 조명등을 포함하는 조명장치의 구조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된 이중함체로 구성된 볼라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내, 외부 함체와 구성장치가 탑재된 카트리지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90도 지향각을 갖는 안테나가 탑재된 전파차단기가 설치된 횡단보도 영역의 통화권이탈 지역을 표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볼라드와 일체화 되거나 인접 설치되어 보행대기자들을 양단 볼라드 이내로 유도하기 위한 볼라드 유도가이드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볼라드 내부 또는 별도의 외부 함체에 탑재되어 구성되어질 각 주요기능원들의 회로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면에 걸쳐 기능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보행 보조장치가 일반적인 횡단보도 상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차로 방면에 설치되는 양측 횡단보도용 안전보행 보조장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된 여러 가지 기능들이 탑재된 볼라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차량진입방지용 볼라드와 함께 구성되는 안전보행 보조장치 사시도이며, 도 10은 볼라드 내부 또는 별도의 외부 함체에 탑재되어 구성되어질 각 주요 기능원들의 회로 개념도이다.
우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적용되는 안전보행 보조장치의 설치형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단보도의 구조를 통해 볼라드의 위치와 전체적인 구조형상을 파악할 수 있으며, 도 3 및 도 4,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라드에 설치된 각종 장치들에 의해서 작동되는 구조를 알 수 있다.
여전히 본 발명은 예시한 모델의 활용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위와 같은 목적을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보행 보조장치는 먼저, 도 1 및 도 3, 도 4,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방향, 단순한 일직선 형태의 도로상에 설치되어 보행자가 통행하는 횡단보도(10), 신호등(20), 횡단보도(10)의 좌 우 양단에 볼라드(30)들이 설치되어 있다.
횡단보도(10) 양쪽에 설치된 신호등(20)은 잘 알려진 적색등과 녹색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신호등의 점등 상태를 보행자에게 알려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황단보도(10)는 차도를 횡단하고 있으며, 이 횡단하는 방향을 보행자 기준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정의한다.
횡단보도(10)는 보도와의 경계를 이루는 곳으로는 경계블록(12)이 설치되어 있고, 경계블록(12)의 후방으로는 안전구역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안전구역에서 보행자는 신호를 대기하고, 신호등(20)이 녹색등으로 변환되면 횡단보도(10)의 전방으로 통행한다.
신호등(20)으로는 현재 켜져 있는 신호등(20)의 색, 예를 들면 녹색인 경우 보행자의 횡단시간 등을 표시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할 수도 있다.
횡단보도(10)는 통상 일정한 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폭의 양 단으로는 볼라드(30)와 신호등(20)이 설치되어 있다.
볼라드(30)는 횡단보도 양 단의 좌우 총 4개 또는 그 이상이 설치되어 있으며, 통상 보도에 설치되어 있으나, 경계블록(12)과 동일선상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볼라드(30)는 수평방향의 전단면에서 보면 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통상적으로 성인의 허리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며 어린이의 키를 고려하여 위반감지부(200)는 1m 이하의 높이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상 악천후나 훼손, 오작동의 경우를 대비하여 일정 거리의 간격으로 2군데 이상을 설치하며 이들 중 어느 한곳 이상에서 감지가 되면 작동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볼라드(30)의 재질은 외부 환경을 고려하여 SUS316 재질이나 부식방지를 위한 방청코팅이 필수이며, FRP재질도 가능하나 외관은 반사로 인한 눈부심이 없어야 하고, 미관을 고려한 색상처리가 가능하도록 고려하여 제작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볼라드(30)는 2mm 두께의 무광택 스테인레스를 절단, 용접, 프레스 가공하여 외함 볼라드 형상을 제작한 후 30마이크론 두께 이상의 전착도장으로 제작하며 내함은 가공이 좋고 저렴하며 빛의 투과성이 우수한 3mm 두께 이상의 투명 PVC나 투명 아크릴재료를 적절한 크기로 절단, 접합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볼라드(30)로는 각종 센서류를 비롯하여 보행자의 안전 횡단을 위한 다양한 장비들이 설치되어 있으며 내경 20cm 이상으로 규정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볼라드(30)에는 보행자가 차도 측으로 진입하는 것을 탐지하고, 신호등(20)과 연계되어 보행자에게 신호대기 및 보행신호, 지역정보를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보행자 감지부(100) 및 위반감지부(20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위반감지부(200)는 신호등(20)의 점등 상태에 따른 정보를 보행자에게 알리도록 하는 역할과 보행자에게 횡단보도(10)로의 진입 금지 등을 경고 또는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음향신호발생부(300)를 통하여 보행자에게 진입금지 또는 신호등(20)의 점등 상태 등의 정보들을 음성 출력을 통해 알린다.
이러한 음향신호발생부(300)는 스피커(40)가 적용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부저(42)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그 작동은 예를 들면 보행자가 적색신호 중 횡단보도 상으로 진입을 감지하면 스피커(40)를 통해 "위험하오니 안전구역으로 물러나 주세요" 와 같은 음성 출력 또는 부저(42)를 통해 경고음이나 새소리, 음악 멜로디 등을 출력시킬 수 있다.
또한, 신호등(20)이 적색 신호일 경우에는 "위험하오니 뒤로 물러나 주세요", 녹색 신호일 경우에는 "좌우를 살피고 신속히 건너 주세요" 등과 같은 음성을 스피커(40)를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음향신호발생부(300)는 항시 안내 또는 경고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대신, 필요로 하는 예를 들면, 시각 장애인 또는 노약자와 같은 보행자가 횡단보도(10)을 횡단할 때에는 신호등(20)의 녹색 신호에 연계되어 신호등(20)의 위치, 지역정보(예를 들면 "**아파트 정문 방향입니다")등을 출력할 수도 있다.
그리고 시각장애인을 위한 위치정보 음성안내는 녹색신호 교체 직전에 음성출력하여 시각장애인이 횡단유무를 사전에 판단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를 제공해야 한다.
특히, 스피커(40)는 그 출력 및 지향성을 제어할 수 있어 보행자의 위치에 맞게 출력 방향 등을 제어하거나 출력압의 가변이 가능해져 주위에 소음원으로 폐를 끼치지 않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적용된 스피커(40)의 지향각은 최대 30도를 넘기지 않도록 설계하며 인접한 횡단보도의 음성안내와 혼동을 방지하기 위해 음색을 달리하여 남녀 또는 성인이나 어린이 목소리와 같이 구분지어 관리한다.
또한, 이물질의 부착이나 기상악천후, 고장 또는 고의적 장난으로 인해 센서 검출부가 계속해서 검출이 될 경우에는 음성안내가 지속적으로 송출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일정시간 내에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의 음성안내가 송출이 되고나면 다음 신호 변경시 까지는 자동으로 정지되는 기능이 부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보행자 위반감지부(200)를 통해 보행자를 탐지하거나 신호등(20)과 연계되어 횡단보도(10) 통행 안내를 위해 볼라드(30)에는 일예로 포토센서(50)가 설치된다.
포토센서(50)는 인체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같은 경계블록(12)의 대향하는 볼라드(30)에 각각 설치되거나 일측에만 설치되어 볼라드(30) 사이의 보행자 유무를 식별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인체를 감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센서가 적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적외선센서, 레이저센서, 포토센서, 압력식센서, 인체열감지센서 등 다양한 방식이 가능하나 본 발명에서는 LED를 광원으로 하는 포토센서(50)로 한정 설명을 한다.
이렇게 식별된 보행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위험하오니 안전구역으로 물러나 주세요" 와 같은 음성 출력 또는 부저 등을 통해 경고음이나 새소리, 음악 멜로디 등을 출력시켜 보행자에게 경고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보행자의 안전을 위해 다양한 구성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된 횡단보도 조명을 위한 고휘도 반사갓으로 구성되는 지향성 LED 조명등 구조로서, 교통사고 빈도가 높은 야간에 횡단보도(10)의 주변을 조사하기 위한 조명장치(60)가 더 설치되어 횡단보도(10)의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된 조명장치(60)는 발광다이오드(LED)가 적용될 수 있고, 방사형으로 펼쳐져 조명하는 대신, 고휘도 반사갓(62)이 설치되어 직하(直下) 방향으로만 반사되어 볼라드 주변만을 넓게 하향 조명하여 운전자들의 시야에 방해되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LED등은 점 발광 보다는 면발광체를 사용하는 것이 눈부심 방지에 더욱 유리하면서 고급스러움을 더 할 수 있다.
이러한 조명장치(60)의 설치구조로 인해 보행자 또는 주변을 통행하는 사람들은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고, 특히 운전자에게는 횡단보도(10)의 가시성을 향상시키거나, 그 존재를 알려줄 수 있다.
다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하나의 예로서, 본 발명에는 블랙박스 촬영장치(70)가 볼라드(30)에 설치되어 횡단보도 전방 및 주변을 촬영할 수 있고, 촬영장치(7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은 횡단보도(10) 근방의 학교 교무실, 정문 등의 관리실 등에 전력선, 유선, 무선 등에 의해서 통신되어 녹화되거나 등하교시 실시간으로 횡단보도(10) 주변을 관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된 촬영장치(70)는 전술한 보행자감시부(100) 상의 센서(50)의 탐지 영역을 포함하고, 더 큰 범위를 촬영 영역으로 하여 주변의 교통사고 등을 추적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최소 일주일치 이상의 녹화 분량이 상시 저장되어야 하며 따라서 500 기가 바이트 용량의 HDD 저장장치가 필요하며 설치 공간을 고려하여 부피가 적은 SSD형 저장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운전사 실수로 인한 무단 진입 시 볼라드(30)의 훼손이 발생이 되었을 때에는 차적을 추적하여 그 과실을 물을 수도 있다.
추가로 과속방지 카메라 설치되어 있지 않은 지역에서는 볼라드(30) 내부에 이를 탑재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보행자 감지기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일반적으로는 촬영장치(70)를 정지상태로 두었다가 이와 상대적으로 전력 소비가 적은 상기 센서(50), 일 예로서, 열감지센서나 충격감지센서를 상시 감지장치로 설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50)에 의해 보행자가 감지되면, 촬영장치(70)가 작동하여 활영을 시작한다.
본 발명은 포토센서(50)와 촬영장치(70)의 보호를 위한 유리 덮개부(72)가 설치되고, 유리 덮개부(72)에는 먼지나 기타 오염물질이 빗물에 쉽게 씻겨지도록 초발수코팅 처리되어 있으며, 이러한 유리덮개부(72)나 그 주위에 열선 코일을 내장시켜 동절기 눈 녹임이나 동파를 방지하게 할 수 있다.
유리면에 초발수 코팅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자동차용 유리막 코팅액을 3회 이상 도포하여 사용하면 2년은 그 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
최근에 개발 시판되고 있는 탄소나노튜브와 플루오르 실란을 바인더와 결합하여 일 액형으로 제공되는 '탄소나노튜브 일액형 코팅액'을 2회 이상 코팅하여 사용하면 자동차의 열선유리 기능과 발수코팅에 의한 자가 세정기능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또 다시, 본 발명은 또 다른 예로서, 신호등(20)의 점등과 연계되어 발광 또는 소등되는 보행신호감지부로서의 보조신호등(80)이 볼라드(30)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보조신호등(80)은 신호등(20)과 연계되어 신호등(20)과 함께 점등되어 등하교시 어린아이들의 눈높이에 맞추어 횡단 또는 정지 신호를 표시할 수 있으며, 원거리에서도 현재의 신호상태를 쉽게 알 수 있게 하여 예비 보행자의 판단에 도움을 줄 수가 있으며 특히, 야간에 운전자에게는 전방 신호등 이외에 추가적으로 신호등 상태를 쉽게 판단할 수 있는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보조신호등(80) 역시 발광다이오드(LED), 더욱 구체적으로는 면발광형 LED가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보행자 감지부(100)와 음향신호발생부(300)의 감지신호 이외에도 음향신호, 화상신호, 시간제어, 전파제어, 데이터 송수신등을 관리하는 제어부(C)를 더 포함하고 있다.
제어부(C)는 보조장치 구성부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기능 외에 각 식별수단, 센서(50, 원적외선센서, 충격센서 등), 촬영장치(70) 등을 통해 얻은 정보를 근거로 하여 음향신호발생부(300)를 통해 경고·안내를 수행하며, 신호등(20)과 연계되어 본 발명에 적용된 각종 장치들인 전파방해장치(90), 조명장치(60), 보조신호등(80)을 제어하고, 그 신호들을 종합 분석하여 이상발생시 원격송신이 가능케 한다.
위와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구성들은 볼라드(30) 내부에서 설치되며, 특히 도 6 및 도 7,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라드(30)의 구조를 더욱 구체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이를 위한 볼라드(30)는 수리나 점검이 용이하게 하고 내구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2중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볼라드(30)는 외부에 설치되는 외부함체(32)와 전기, 전자 제어부가 탑재된 카트리지 형태의 내부함체(34)가 쉽게 분리되며, 외부함체(32)에는 센서창과 스피커 출력창, 상부 보조신호등 및 하단의 조명장치에서 발광되는 빛을 외부로 발산하기 위해 미리 일정한 형태로 절단되어 개방화된 구성 등의 디자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볼라드(30)의 훼손이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이거나 각 단위 부품들의 용량이 커지거나, 기능이 추가되어 공간이 부족할 경우에는 제어부의 주요 구성품을 별도로 분리하여 별도 외함으로 제작한 후 신호등, 가로등, 전봇대와 같은 주변 시설물의 보다 높은 위치에 별도 설치하여 관리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각 구성요소들은 볼라드(30) 특히, 카트리지(38) 상에 기본적으로 설치되며, 이들은 기상 악천후 또는 습기 등에 의해서 부식, 누전, 오염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자사가 개발한 상표명 "WATERGUARD" 방수코팅기술을 적용하여 각종 전선의 인입, 인출선 등을 포함한 전기, 전자 부품이 탑재된 PCB제어부에 진공증착 코팅하고, 외부로 표시되는 스피커(40)와 조명장치(60), 보조신호등(80)에 사용되는 LED램프 어셈블리 전체를 코팅시켜 장시간 침수시에도 완벽한 방수가 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온형 CVD장치(모델명: Tony's WaterGuard C-200, 제조사: (주)우리정도)를 사용하여 파라크실렌계 다이머 50g을 투입하여 승화온도 150~170 ℃ 범위, 분해온도 650~700℃ 범위에서 단분자 형태로 나노화된 모노머를 상온의 진공챔버에서 초기진공도 20mTorr이하, 최고 진공도 80mTorr이하, 최종 진공도 15mTorr 이하의 조건으로 60분간 나노코팅을 하여 약 7마이크론 두께의 방수, 절연, 방오 성능을 갖는 폴리머막을 부품상에 형성시키면 된다.
이러한 방수코팅기술은 본 출원인이 발명한 특허출원 제10-2013-69064호 "냉각트랩이 필요없는 상온화학증착장치"와 제10-2013-137567호 "고속증착이 가능한 상온화학증착장치 및 그 증착방법"이 적절히 응용되어 적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그 기술사상 내에서 적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볼라드(30)에는 횡단 보행 중 통신기기의 사용을 강제로 차단하기 위하여 휴대폰 전파차단기(예를 들면 "Jammer")가 탑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직 국내에는 공공장소에서 휴대폰 전파차단기의 사용이 합법화되고 있지 않지만 외국의 경우 공공장소에서 사용이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경향을 고려해볼 때 국내의 경우도 횡단보도와 같이 생명과 직결되고 본인의 부주의로 인해 타인에게 직·간접으로 피해를 줄 수 있는 상황에서는 제한적 허용이 가능해 질 것으로 보인다.
이런 상황 대비하여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휴대폰 전파차단기 중에서 정격용량 10W, 차단범위 5~10M, 지향각 90~120도 범위를 갖는 지향성 안테나를 탑재한다.
이 기능이 작동될 경우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행자가 횡단보도의 일정영역에 대기중이거나 통과할 때에는 휴대폰이 통화권 이탈상태가 되어 사용이 불가능해 지게 된다.
만일 부득이 휴대폰 사용을 해야 하는 경우에는 횡단보도 대기장소의 일정영역을 벗어나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계도기간을 통해 사전 인지하고 있는 상태라면 큰 불편함은 없다.
그리고, 개인 사생활 침해와 공공의 안전이라는 두 가지 측면을 고려하여 횡단보도 보행 신호가 푸른색으로 바뀌기 직전 또는 일정시간 전에 주파수 상쇄간섭이 가동이 되고 적색 신호로 바뀌게 되면 다시 정지되는 자동기능을 부가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이상발생자동통보장치(미도시)를 내재하고 있어 다수의 불특정 관계의 사람들이 사용하면서 많은 곳에 설치되어 있는 공공시설물의 경우에는 지속적 유지 관리가 어려워 본래의 취지와 무색하게 운영되는 경우가 많이 있기 때문에 본 출원인이 발명하여 특허출원한 제10-2013-0153929호 "관형 필터트랩을 갖는 상혼 화학증착장치 및 그 원격제어시스템"에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CVD 장치 원격제어시스템"을 일부 기능을 축소하여 사용하였다.
이 시스템은 국내 각 지방의 휴대폰 매장에 설치되어 있거나 해외 지점에 설치된 CVD 장치들의 이상상태 유무를 인터넷 통신망을 이용하여 정상작동 여부를 상시 감시하는 시스템으로 현재 아주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인체감지 센서가 일정시간 이상 계속 신호의 단락이 있거나, 스피커가 일정시간 이상 계속 시그널 ON 상태이거나, 일정강도 이상의 충격이 감지되었을 때, 주전원이 OFF된 상태이거나 기타 주요기능들의 기능이 정상적이지 않다고 판단이 될 때 이들 볼라드(30)의 유지관리를 담당하고 있는 공공기관 또는 사설기관에 자동으로 통보가 되게 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정보 송신 방식은 상기 특허에서 기술한 대로 즉 이동통신사로부터 고정 IP를 부여 받아 실시간 데이터 전송이 가능케 하며, 교차로와 같이 볼라드 설치가 많은 지역에서는 공유기의 DDNS(Dynamic Dormain Name Service)설정을 통한 고유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부여하는 고정형태의 유동IP 방식을 적용하여 저렴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최근 많이 사용하고 있는 전력선통신이나 다양한 무선통신 방법들이 새롭게 출시되고 있어 이에 대한 기술적, 경제적 구현 가능성은 믿어 의심치 않는다.
이상은 일반적인 일직선 형태의 횡단보도에 설치되는 지능형 음성안내 횡단보도 보조장치의 성능과 구조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교차로 경우에는 횡단보도가 양좌우측에 설치되기 때문에 도 2의 (a)와 같이 곡면구조를 갖게 되는 형태도 있으며, 특히 대형 교차로에 설치된 대각선 횡단보도는 당연히 곡면형태를 나타나게 되는데, 이럴 경우에는 발광부와 수광부로 구성된 단 두 개의 볼라드 형태로는 비효율적 공간(31)이 발생되어 효과적인 기능을 발휘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횡단보도 중간에 양끝단의 발광부 볼라드에 대향하는 2개 이상의 수광부를 갖는 복수개의 중간볼라드(36)을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교차로 부근의 횡단보도는 두 군데 방향의 횡단보도를 모두 포함하는 곡면구조로 되어 있어 수광부 볼라드의 위치를 곡면부의 보도면의 정점에 설치하는 사선형 구조로 하되,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설치되는 1개의 볼라드(36) 양면에 두 횡단보도의 수광부를 탑재하되 각각은 해당 발광부 신호와 독자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중앙에 설치되는 볼라드(30)에는 수광부와 발광부를 각기 탑재하여 좌,우 양측의 볼라드(30)에 설치된 각각의 발광부와 수광부에 대응하는 구조를 갖기도 한다.
그리고 교차로의 길이가 직선이나 곡면구조나 상관없이 감지거리가 길어질 경우에는 다수의 볼라드(30)가 중간에 설치되고 각각이 상기와 같이 수광부와 발광부 기능을 갖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볼라드로는 저전력 소비용 LED 램프를 사용하여 안내문구 또는 광고문구를 삽입할 수 있도록 광고부(95)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도 9는 볼라드와 일체와 되거나 인접 설치되어 보행대기자들을 양단 볼라드(30) 이내로 유도하기 위한 볼라드 유도가이드바(B)의 사시도로서, 횡단보도(10) 양단에 음성안내 볼라드(30)를 설치 후 보행자의 행동인식상태를 모니터링 해 보았을 때 일부의 보행자들은 양단의 볼라드(30)를 밖으로 벗어나서 횡단을 준비하는 경우가 종종 관찰되었으며 따라서 이런 보행자들을 볼라드(30) 영역권 이내로 자연스럽게 유도하기 위한 유도 가이드바(B)의 설치가 더욱 효과적이다.
이런 유도 가이드바(B)는 볼라드(30)와 일체와 하거나 또는 인접하여 일정거리 이상을 외측으로 설치를 하여야 효과가 있으며 재질은 둥근 봉 형태의 금속이나 신체에 압박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디자인을 고려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은 스쿨존 등 어린이 보호 구역 등에 적용되면 통학시간 동안 촬영된 영상을 통해 사고 예방 및 등하교를 지도할 수 있으며, 특히 위치, 지역 정보 등을 포함하는 길 안내 음성 등을 통해 방향감각이 어두운 노약자, 시각, 청각 장애인들에게 큰 도움이 된다. 또한 운전자에게 시각적 정보를 충분히 제공함으로써 안전운행을 사전에 유도할 수 있어 횡단보도(10) 상에서 발생되는 여러 가지 유형의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지능형 음성안내를 포함하는 통합적 안전관리 보행보조장치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그 정신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는 일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전술한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 나타내는 것으로서, 명세서 본문에 의해서는 아무런 구속도 되지 않는다. 다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의 것이다.
10: 횡단보도 12: 경계블록
20: 신호등 30: 볼라드
31: 비효율적 공간 32: 외부함체
34: 내부함체 36: 중간볼라드
38: 카트리지 40, 42: 스피커, 부저
50: 포토 센서 60: 조명장치
62: 고휘도 반사갓 70: 촬영장치
72: 유리 덮개부 80: 보조신호등
90: 전파방해장치 100: 보행자감지부
200: 위반감지부 300: 음향신호발생부
B: 유도가이드바 C: 제어부

Claims (30)

  1. 보도상에 설치되고, 양 방향 도로 또는 교차로의 횡단보도 좌우 양 단에 설치되는 2개 또는 복수개의 볼라드와,
    상기 볼라드에 설치되어 보행자가 차도 측으로 진입하는 것을 탐지하고, 신호등과 연계되어 보행자에게 신호대기 및 보행신호, 위치정보를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보행자 감지부와,
    상기 보행자 감지부에서 탐지 및 안내된 정보를 음성정보로 출력하는 음향신호발생부와,
    상기 볼라드에 설치된 보행자 감지부, 음향신호발생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이들을 기상 악천후에 대응하여 방수코팅을 부가하여, 외부와 절연시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보행자 음성안내를 포함하는 안전 통합시스템이 구비된 지능형 볼라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 방향 도로 또는 교차로에 배치되고, 보행자 감지부가 설치된 볼라드는 발광부 볼라드와 수광부 볼라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보행자 음성안내를 포함하는 안전 통합시스템이 구비된 지능형 볼라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로 부근의 횡단보도에 적용되는 볼라드는 보도면의 정점에 설치하는 사선형 구조로 하되, 선택적으로 중앙에 설치되는 볼라드는 수광부 볼라드이고, 상기 수광부 볼라드의 양면으로는 좌, 우 양 발광부 볼라드의 해당 발광부 신호와 독자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보행자 음성안내를 포함하는 안전 통합시스템이 구비된 지능형 볼라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자 감지부에는 포토센서, 인체열감지센서, 적외선 센서나 레이저 센서가 각각 또는 혼합하여 2개 이상 설치되어 보행자를 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보행자 음성안내를 포함하는 안전 통합시스템이 구비된 지능형 볼라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라드에는 센서의 보호를 위한 유리 덮개부가 설치되고, 유리 덮개부에는 먼지나 기타 오염물질이 빗물에 쉽게 씻겨지도록 초발수코팅 처리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보행자 음성안내를 포함하는 안전 통합시스템이 구비된 지능형 볼라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볼라드에는 유리덮개부나 그 주위에 열선 코일을 내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보행자 음성안내를 포함하는 안전 통합시스템이 구비된 지능형 볼라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라드는 수평방향의 전단면에서 볼 때 원형, 다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내부함체와 연결을 위해 개구부가 사전에 형성된 횡단보도용 보행자 음성안내를 포함하는 안전 통합시스템이 구비된 지능형 볼라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라드로는 횡단보도의 주위을 조사하기 위한 고휘도 반사갓이 내재된 지향성(地向性) LED로 이루어진 조명장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횡단보도용 보행자 음성안내를 포함하는 안전 통합시스템이 구비된 지능형 볼라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라드로는 횡단보도 전방을 촬영하고, 이를 기록할 수 있는 촬영장치가 설치되어 횡단보도 전방을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보행자 음성안내를 포함하는 안전 통합시스템이 구비된 지능형 볼라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라드로는 신호등의 점등과 연계되어 발광 또는 소등되는 보조신호등이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보행자 음성안내를 포함하는 안전 통합시스템이 구비된 지능형 볼라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장치에 의해서 촬영된 영상은 횡단보도 근방의 학교로 무선송신되어 녹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보행자 음성안내를 포함하는 안전 통합시스템이 구비된 지능형 볼라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라드는 수리나 점검이 용이성과 내구성을 위하여 외부함체와 카트리지 형태의 내부 함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보행자 음성안내를 포함하는 안전 통합시스템이 구비된 지능형 볼라드.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볼라드에는 안내문구 또는 광고문구를 삽입할 수 있도록 광고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보행자 음성안내를 포함하는 안전 통합시스템이 구비된 지능형 볼라드.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볼라드에는 보행자들을 볼라드로 영역권 이내로 자연스럽게 유도하기 위한 유도 가이드바를 더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보행자 음성안내를 포함하는 안전 통합시스템이 구비된 지능형 볼라드.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볼라드에는 다수의 장치들의 이상 상태 유무를 인터넷 통신망을 이용하여 정상작동 여부를 상시 감시하도록 이상발생자동통보장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보행자 음성안내를 포함하는 안전 통합시스템이 구비된 지능형 볼라드.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파차단기는 기지국과 휴대폰 단말기와 주고받는 전파와 동일한 주파수신호를 일정거리 영역이내의 범위에서만 전파를 상쇄 간섭시켜 주파수신호를 소멸시키는 전파차단장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보행자 음성안내를 포함하는 안전 통합시스템이 구비된 지능형 볼라드.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볼라드로는 횡단보도 전방을 촬영하고, 이를 기록할 수 있는 기록장치가 구비된 블랙박스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보행자 음성안내를 포함하는 안전 통합시스템이 구비된 지능형 볼라드.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볼라드에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제어부는 보조장치 구성부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기능 외에 각 식별수단, 원적외선센서, 충격센서, 촬영장치 등을 통해 얻은 정보를 근거로 하여 음향신호발생부를 통해 경고, 안내를 수행하고, 신호등과 연계되어 본 발명에 적용된 각종 장치들인 전파방해장치, 조명장치, 보조신호등을 제어하며, 그 신호들을 종합 분석하여 이상발생시 원격송신이 가능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보행자 음성안내를 포함하는 안전 통합시스템이 구비된 지능형 볼라드.
  1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발생부로 30도 이내의 지향각을 갖는 지향성 스피커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보행자 음성안내를 포함하는 안전 통합시스템이 구비된 지능형 볼라드.
  2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볼라드로는 각종 전선의 인입, 인출선 등을 포함한 전기, 전자 부품이 탑재된 PCB제어부에 진공증착 코팅하고, 외부로 표시되는 스피커와 조명장치, 보조신호등에 사용되는 LED램프 어셈블리 전체를 코팅시켜 장시간 침수시에도 완벽한 방수가 되도록 파라크실렌계 다이머를 포함하는 방수코팅기술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보행자 음성안내를 포함하는 안전 통합시스템이 구비된 지능형 볼라드.
  2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볼라드는 발광부를 갖는 볼라드에 대향하는 2개 이상의 수광부를 갖는 복수개의 중간볼라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보행자 음성안내를 포함하는 안전 통합시스템이 구비된 지능형 볼라드.
  22.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에 설치되는 볼라드에는 수광부와 발광부를 각기 탑재하여 좌,우 양측의 볼라드에 설치된 각각의 발광부와 수광부에 대응하는 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보행자 음성안내를 포함하는 안전 통합시스템이 구비된 지능형 볼라드.
  2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볼라드는 외부에 설치되는 외부함체와 전기, 전자 제어부가 탑재된 카트리지 형태의 내부함체가 쉽게 분리되며 외부함체에는 센서창과 스피커 출력부, 상부 보조신호등 하단의 조명장치에서 발광되는 빛을 외부로 발산하기 위해 미리 일정한 형태로 절단되어 개방화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보행자 음성안내를 포함하는 안전 통합시스템이 구비된 지능형 볼라드.
  24.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박스는 횡단보도 통과시 신호위반이나 과속단속을 촬영하는 카메라 기능이 더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보행자 음성안내를 포함하는 안전 통합시스템이 구비된 지능형 볼라드.
  25.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LED는 단위 LED램프가 여러개 조합되어 직접 광량을 발생하는 점 발광 형태 또는 야간시 보행자나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 반투명의 실리콘이 도포된 면발광 LED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보행자 음성안내를 포함하는 안전 통합시스템이 구비된 지능형 볼라드.
  2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장치는 운전사 실수로 인한 무단 진입시 볼라드의 훼손이 발생이 되었을때는 차적을 추적하여 그 과실을 물을 수도 있고, 과속방지 카메라 설치되어 있지 않은 지역에서는 볼라드 내부에 이를 탑재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보행자 음성안내를 포함하는 안전 통합시스템이 구비된 지능형 볼라드.
  2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장치는 보행자 감지기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정지상태로 두었다가 이와 상대적으로 전력소비가 적은 열감지센서 나 충격감지센서를 상시 감지장치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보행자 음성안내를 포함하는 안전 통합시스템이 구비된 지능형 볼라드.
  2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초발수코팅은 '탄소나노튜브 일액형 코팅액'을 2회 이상 코팅하여 자동차의 열선유리 기능과 발수코팅에 의한 자가세정기능을 동시에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보행자 음성안내를 포함하는 안전 통합시스템이 구비된 지능형 볼라드.
  29.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 전파차단기는 정격용량 10W, 차단범위 5~10M, 지향각 90~120도 범위를 갖는 지향성 안테나를 탑재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보행자 음성안내를 포함하는 안전 통합시스템이 구비된 지능형 볼라드.
  30.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전파차단기는 횡단보도 보행 신호가 푸른색으로 바뀌기 직전 또는 일정시간 전에 주파수 상쇄간섭이 가동이 되고 적색 신호로 바뀌게 되면 다시 정지되는 자동기능이 부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보행자 음성안내를 포함하는 안전 통합시스템이 구비된 지능형 볼라드.
KR1020140128091A 2014-09-25 2014-09-25 횡단보도용 보행자 음성안내를 포함하는 안전 통합시스템이 구비된 지능형 볼라드 KR1016726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8091A KR101672685B1 (ko) 2014-09-25 2014-09-25 횡단보도용 보행자 음성안내를 포함하는 안전 통합시스템이 구비된 지능형 볼라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8091A KR101672685B1 (ko) 2014-09-25 2014-09-25 횡단보도용 보행자 음성안내를 포함하는 안전 통합시스템이 구비된 지능형 볼라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6219A true KR20160036219A (ko) 2016-04-04
KR101672685B1 KR101672685B1 (ko) 2016-11-03

Family

ID=55799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8091A KR101672685B1 (ko) 2014-09-25 2014-09-25 횡단보도용 보행자 음성안내를 포함하는 안전 통합시스템이 구비된 지능형 볼라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2685B1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1836B1 (ko) * 2016-06-02 2016-08-29 (주) 삼우홀딩스 스마트 보행신호음성안내보조장치
KR101666829B1 (ko) * 2016-06-28 2016-10-17 주식회사 안타 부채꼴 형 인체감지센서를 이용한 보행신호 음성안내 보조장치
KR101894316B1 (ko) * 2017-08-03 2018-09-04 주식회사 대류 스마트 볼라드 및 스마트 볼라드 시스템
US10431076B2 (en) 2017-12-04 2019-10-01 Passnet Co., Ltd. Smart crosswalk safety system for pedestrian
KR102102271B1 (ko) * 2019-11-19 2020-05-29 임길섭 보행자 보호용 스크린 도어
KR20200086845A (ko) * 2019-01-10 2020-07-20 주식회사 위츠 교차로의 횡단보도 교통 안전장치
KR102208572B1 (ko) * 2020-06-10 2021-01-26 허진희 Led를 이용한 보조 교통 신호등
KR102256714B1 (ko) * 2020-10-27 2021-05-26 주식회사 에스투에이치원 횡단보도 보조 신호 시스템
KR102304484B1 (ko) * 2021-05-10 2021-09-17 박진관 눈부심을 방지하고 시인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횡단보도용 led 바닥신호등
KR102326911B1 (ko) * 2021-03-08 2021-11-16 (주)아이에스디앤피 횡단보도 보행자 안전시스템
KR102337356B1 (ko) * 2021-07-15 2021-12-13 주식회사 노아엘이디 시각장애인을 위한 기상정보 표출 시스템
KR20220029025A (ko) * 2020-09-01 2022-03-08 재단법인 한국조명아이씨티연구원 인체감지센서를 구비한 발광 볼라드
KR20220122031A (ko) * 2021-02-26 2022-09-02 주식회사 본테크 보행자 안내 건널목 신호등 시스템
KR102576678B1 (ko) * 2023-05-22 2023-09-11 주식회사 해솔 360도 전방위 발산으로 빛의 음영지역을 없앤 교통신호 연동형 led 볼라드 및 교통신호 연동형 led 볼라드의 안티글레어층 성형 방법
KR102628768B1 (ko) * 2023-07-17 2024-01-25 김정훈 횡단보도 보행자 안전을 위한 안전 가이드라인 표시형led조명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1929B1 (ko) 2020-05-15 2022-04-28 주식회사 에이디소프트 영상분석 기반의 횡단보도 위험 알림 시스템
KR102365466B1 (ko) * 2021-07-15 2022-02-23 김인영 보행자 안전을 위한 스마트 볼라드 시스템
KR102625803B1 (ko) * 2023-08-31 2024-01-16 박삼열 스마트 IoT 기반을 이용한 다양한 영상정보, 조명 및 다양한 음원의 출력 소리정보를 알리는 다양한 멀티장치 표출솔루션 경관조명 멀티브라켓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7682A (ja) 2000-11-20 2002-05-31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横断歩道の信号制御方法及び装置
KR20050099436A (ko) * 2004-04-10 2005-10-13 김정성 도로위험표시용 경고등
KR100773146B1 (ko) 2006-04-26 2007-11-07 유진열 시각장애인 및 어린이 보호를 위한 횡단 보도의 안전대기장치
KR100878901B1 (ko) 2008-09-24 2009-01-15 광주광역시 남구 횡단보도 조명용 볼라드
JP2009115562A (ja) * 2007-11-05 2009-05-28 Toshiba Corp 電波発射源特定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電波発射源特定方法および無線通信方法
KR20090124725A (ko) * 2008-05-30 2009-12-03 민현주 횡단보도 경보장치
KR101434641B1 (ko) * 2013-10-04 2014-08-26 주식회사 대덕지에스 차단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7682A (ja) 2000-11-20 2002-05-31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横断歩道の信号制御方法及び装置
KR20050099436A (ko) * 2004-04-10 2005-10-13 김정성 도로위험표시용 경고등
KR100773146B1 (ko) 2006-04-26 2007-11-07 유진열 시각장애인 및 어린이 보호를 위한 횡단 보도의 안전대기장치
JP2009115562A (ja) * 2007-11-05 2009-05-28 Toshiba Corp 電波発射源特定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電波発射源特定方法および無線通信方法
KR20090124725A (ko) * 2008-05-30 2009-12-03 민현주 횡단보도 경보장치
KR100878901B1 (ko) 2008-09-24 2009-01-15 광주광역시 남구 횡단보도 조명용 볼라드
KR101434641B1 (ko) * 2013-10-04 2014-08-26 주식회사 대덕지에스 차단기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1836B1 (ko) * 2016-06-02 2016-08-29 (주) 삼우홀딩스 스마트 보행신호음성안내보조장치
KR101666829B1 (ko) * 2016-06-28 2016-10-17 주식회사 안타 부채꼴 형 인체감지센서를 이용한 보행신호 음성안내 보조장치
KR101894316B1 (ko) * 2017-08-03 2018-09-04 주식회사 대류 스마트 볼라드 및 스마트 볼라드 시스템
US10431076B2 (en) 2017-12-04 2019-10-01 Passnet Co., Ltd. Smart crosswalk safety system for pedestrian
KR20200086845A (ko) * 2019-01-10 2020-07-20 주식회사 위츠 교차로의 횡단보도 교통 안전장치
KR102102271B1 (ko) * 2019-11-19 2020-05-29 임길섭 보행자 보호용 스크린 도어
KR102208572B1 (ko) * 2020-06-10 2021-01-26 허진희 Led를 이용한 보조 교통 신호등
KR20220029025A (ko) * 2020-09-01 2022-03-08 재단법인 한국조명아이씨티연구원 인체감지센서를 구비한 발광 볼라드
KR102256714B1 (ko) * 2020-10-27 2021-05-26 주식회사 에스투에이치원 횡단보도 보조 신호 시스템
KR20220122031A (ko) * 2021-02-26 2022-09-02 주식회사 본테크 보행자 안내 건널목 신호등 시스템
KR102326911B1 (ko) * 2021-03-08 2021-11-16 (주)아이에스디앤피 횡단보도 보행자 안전시스템
KR102304484B1 (ko) * 2021-05-10 2021-09-17 박진관 눈부심을 방지하고 시인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횡단보도용 led 바닥신호등
KR102337356B1 (ko) * 2021-07-15 2021-12-13 주식회사 노아엘이디 시각장애인을 위한 기상정보 표출 시스템
KR102576678B1 (ko) * 2023-05-22 2023-09-11 주식회사 해솔 360도 전방위 발산으로 빛의 음영지역을 없앤 교통신호 연동형 led 볼라드 및 교통신호 연동형 led 볼라드의 안티글레어층 성형 방법
KR102628768B1 (ko) * 2023-07-17 2024-01-25 김정훈 횡단보도 보행자 안전을 위한 안전 가이드라인 표시형led조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2685B1 (ko) 2016-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2685B1 (ko) 횡단보도용 보행자 음성안내를 포함하는 안전 통합시스템이 구비된 지능형 볼라드
KR101383563B1 (ko) 스마트 볼라드를 이용한 교통관리 시스템
KR20170095496A (ko) 다기능 가로등
KR100982966B1 (ko) 보행자 보호 장치
KR20180002377U (ko) 다기능 가로등
AU2013101353A4 (en) Improvements to Pedestrian Crossings
KR101212855B1 (ko) 가로등
KR101276385B1 (ko) 보행자 무단 횡단에 대한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안전 알림 시스템 및 이의 사용방법
JP4081511B2 (ja) 歩行者誘導用路面標示装置
KR102411606B1 (ko) 다기능 아이오티 가로등
KR20110012017A (ko) 가로등
EP2516748A1 (en) Illumination device and system for improving safety of an intersection of traffic routes
KR20110043115A (ko) 도로 경계석 안전 표시장치
KR102237412B1 (ko) Iot 스마트 비상벨장치
KR20100071465A (ko) 지능형 도로 경계석 및 상기 지능형 도로 경계석을 이용한 횡단보도 표시 방법
JP4291028B2 (ja) 屋外用照明装置
KR20130098555A (ko) 경계라인 조명용 볼라드
KR102181478B1 (ko) 방범시설 위치표시장치
KR100773146B1 (ko) 시각장애인 및 어린이 보호를 위한 횡단 보도의 안전대기장치
KR102274056B1 (ko) 스마트 도로경계석 커버
KR200336511Y1 (ko) 옥외 소방용수시설 위치표시 경보장치
KR200449792Y1 (ko) 조명시설과 알림신호등을 구비한 버스승강장
KR102006844B1 (ko) 위험경보 알람 및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울타리
KR20220165930A (ko) 위험 알림형 맨홀뚜껑
KR20120001039U (ko) 가로등 지주용 보호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