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7356B1 - 시각장애인을 위한 기상정보 표출 시스템 - Google Patents

시각장애인을 위한 기상정보 표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7356B1
KR102337356B1 KR1020210092705A KR20210092705A KR102337356B1 KR 102337356 B1 KR102337356 B1 KR 102337356B1 KR 1020210092705 A KR1020210092705 A KR 1020210092705A KR 20210092705 A KR20210092705 A KR 20210092705A KR 102337356 B1 KR102337356 B1 KR 102337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index
pedestrian
voice
weath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2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철
정광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노아엘이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노아엘이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노아엘이디
Priority to KR1020210092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73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7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7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using reflection of acoustic waves
    • G01S15/04Systems determining presence of a targe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using reflection of acoustic waves
    • G01S15/50Systems of measurement, based on relative movement of the target
    • G01S15/58Velocity or trajectory determination systems; Sense-of-movement determination systems
    • G01S15/62Sense-of-movement determin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 G01S17/04Systems determining the presence of a targe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 G01S17/50Systems of measurement based on relative movement of target
    • G01S17/58Velocity or trajectory determination systems; Sense-of-movement determination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02Instruments for indicating weather conditions by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e.g. humidity, pressure, temperature, cloud cover or wind spe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6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audib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4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correcting frequency response

Abstract

시각장애인을 위한 기상정보 표출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기상정보 표출 시스템은 도트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도록 다수의 LED로 구성되어 문자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표출하되, 표출되는 정보의 중요도에 따라 파랑, 녹색, 노랑, 적색 중 어느 하나의 색으로 표시하는 LED 표시부; 기설정된 조건에 안내 음성이 출력되는 음성출력모듈; 기설정된 반경 이내에 적어도 하나의 보행자를 감지하는 보행자 감지부; 현재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환경부 대기정보 및 기상청 기상정보를 수집하고, 바이러스 지수를 산출하는 기상정보 수집부; 현재 위치에서 미세입자 측정기, 박테리아 측정기, 꽃가루 측정기, 곰팡이 측정기, 휘발성유기화합물 측정기, 가스측정기 및 악취측정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유해가스를 측정하여 데이터로 저장하는 유해가스 측정부; 외부환경소음 및 시스템내부소음을 측정하는 소음 측정부; 상기 바이러스 지수 및 상기 유해가스 지수를 포함하는 종합기상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제어부; 및 상기 소음 측정부에서 측정된 소음에 기초하여 상기 음성출력모듈의 출력크기를 제어하는 음성출력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시각장애인을 위한 기상정보 표출 시스템{WEATHER INFORMATION DISPLAY SYSTEM}
본 발명은 기상정보 표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상정보를 수집하여 바이러스 지수를 포함한 기상정보 및 유해가스 데이터를 산출하고 LED 모듈 및 음성출력모듈을 통해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기상정보 표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상 정보제공은 기상청으로 기상정보를 관측하는 각 관측소의 관측 값을 기초로 해당 지역별 관측 값과 기압 및 풍향을 기초로 기상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기술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829825호는 외부의 서버들로부터 대기질 상태 및 오존 상태를 포함하는 환경 데이터를 분석하여 위해 정보를 단계별로 구분하고 위해정도를 LED 색깔 및 문자를 이용하여 표시하는 표출정보 인식이 용이한 실시간 대기오염 알림장치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고,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20745호는 초미세먼지 및 미세먼지의 농도, 확산 및 인체 위해성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보행자에게 제공하는 초미세먼지정보 제공 장치 및 시스템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시각정보만을 포함하고 있어 시각장애인과 같은 사회적 약자에게는 정확한 기상정보를 제공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실시간 기상정보를 수집하여 바이러스 지수를 포함한 기상정보 및 유해가스 데이터를 산출하고 시각정보 및 청각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기상 정보를 제공하는 기상정보 표출 시스템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인근의 미세먼지, 유해가스 데이터 등을 포함하는 실시간 기상정보를 수집하고 LED 모듈 및 음성 출력 모듈을 이용하여 안내 정보를 출력함으로써, 시각정보를 제공받기 어려운 사용자에게도 청각정보를 통해 기상 관련 데이터를 용이하게 전달 가능한 시각장애인을 위한 기상정보 표출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주변의 놀이시설, 꽃가루, 황사, 감염병 알림 등 감염위험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과 인구밀집 지역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바이러스 지수를 산출함으로써, 바이러스 감염 위험도 정보를 제공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기상정보 표출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기상정표 표출 시스템은 도트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도록 다수의 LED로 구성되어 문자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표출하되, 표출되는 정보의 중요도에 따라 파랑, 녹색, 노랑, 적색 중 어느 하나의 색으로 표시하는 LED 표시부, 기설정된 조건에 기초하여 안내 음성이 출력되는 음성출력모듈, 기설정된 반경 이내에 적어도 하나의 보행자를 감지하는 보행자 감지부, 현재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환경부 대기정보 및 기상청 기상정보를 수집하고, 바이러스 지수를 산출하는 기상정보 수집부, 현재 위치에서 미세입자 측정기, 박테리아 측정기, 꽃가루 측정기, 곰팡이 측정기, 휘발성유기화합물 측정기, 가스측정기 및 악취측정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유해가스를 측정하여 데이터로 저장하는 유해가스 측정부, 외부환경소음 및 시스템내부소음을 측정하는 소음 측정부, 바이러스 지수 및 유해가스 지수를 포함하는 종합기상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제어부 및 소음 측정부에서 측정된 소음에 기초하여 음성출력모듈의 출력크기를 제어하는 음성출력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보행자 감지부는 초음파 센서 및 적외선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반경 내에 위치하는 보행자를 감지하되, 초음파 센서 및 적외선 센서에서 감지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보행자의 이동 가능성 여부를 판단하고, 보행자가 정지한 경우, 음성출력 제어부에 음성출력 트리거 신호를 전달하고, 음성출력 제어부는 보행자 감지부로부터 생성된 음성출력 트리거 신호가 수신된 경우, 소음 측정부에서 측정된 외부환경소음과 시스템내부소음을 비교하여 보정소음을 산출하고, 산출된 보정소음에 기초하여 음성출력모듈의 출력크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보행자 감지부는 다수의 초음파 센서를 이용하여 제1 반경 이내에 위치하는 보행자를 감지하고, 다수의 초음파 센서에서 적어도 하나의 보행자가 감지된 경우, 보행자가 감지된 초음파 센서를 이용하여 제2 반경 이내를 1차 스캐닝을 수행하며, 1차 스캐닝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보행자가 가장 많이 위치하는 것으로 예측되는 방향의 초음파 센서를 적어도 하나 결정하고, 결정된 초음파 센서를 이용하여 2차 스캐닝을 수행하고, 2차 스캐닝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기설정된 시간동안 동일한 거리에 위치하는 보행자가 감지되는 경우, 보행자가 정지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음성출력 제어부는 종합기상정보에 기초하여 안내 음성을 출력하되, 안내 음성은 성인여성 목소리, 성인남성 목소리, 어린이 목소리 및 노인 목소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음성으로 기설정된 횟수만큼 반복해서 출력되고, 안내 음성은 임의로 결정되되, 현재위치 정보에 어린이 보호 구역이 포함된 경우, 안내 음성은 어린이 목소리로 적어도 1회 이상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기상정보 수집부는 수집된 하나 이상의 데이터로부터 온도정보, 습도정보, 강수량정보, 풍량정보, 풍속정보, 시정거리정보, 일출/일몰정보를 포함하는 환경정보를 추출하고, 인근 범위 내의 놀이시설정보, 마트정보, 백화점정보, 꽃가루정보, 황사정보를 추출하여 아래 [수학식 1]에 따라 바이러스 지수(Vindex)를 산출하여, 상기 환경정보 및 바이러스 지수로 구성되는 기상정보를 산출하며,
[수학식 1]
Figure 112021081648318-pat00001
(여기서, Vindex는 바이러스 지수, AMlocal은 현재 위치로부터 인근 범위 내의 단위영역당 놀이시설 개수, AMtotal은 전국기준 단위영역당 놀이시설 개수, MTlocal은 현재 위치로부터 인근 범위 내의 단위영역당 마트 개수, MTtotal은 전국기준 단위영역당 마트 개수, DPlocal은 현재 위치로부터 인근 범위 내의 단위영역당 백화점 개수, DPtotal은 전국기준 단위영역당 백화점 개수, POlocal은 현재 위치로부터 인근 범위 내의 단위영역당 꽃가루량, POtotal은 전국기준 단위영역당 꽃가루량, DSlocal은 현재 위치로부터 인근 범위 내의 황사량, DStotal은 전국기준 단위영역당 황사량을 각각 의미함)
표시제어부는 운량지수, 시정거리지수 및 일출/일몰지수를 이용하여 [수학식 2]에 따른 밝기지수를 산출하고 상기 밝기지수에 대응하여 상기 LED 표시부의 밝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기상정보 표출 시스템.
[수학식 2]
Figure 112021081648318-pat00002
(여기서, Bindex는 밝기지수, CLlocal은 운량지수, LSlocal은 시정거리지수, ILlocal은 일출/일몰지수를 각각 의미함)
본 발명의 시각장애인을 위한 기상정보 표출 시스템은 인근의 미세먼지, 유해가스 데이터 등을 포함하는 실시간 기상정보를 수집하고 LED 모듈 및 음성 출력 모듈을 이용하여 안내 정보를 출력함으로써, 시각정보를 제공받기 어려운 사용자에게도 청각정보를 통해 기상 관련 데이터를 용이하게 전달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주변의 놀이시설, 꽃가루, 황사, 감염병 알림 등 감염위험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과 인구밀집 지역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바이러스 지수를 산출함으로써, 바이러스 감염 위험도 정보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기상정표 표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기상정보 표출 시스템의 LED 표시부 및 표시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기상정보 표출 시스템의 음성출력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기상정보 표출 시스템의 보행자 정지 판단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례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례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기상정표 표출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기상정보 표출 시스템의 LED 표시부 및 표시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기상정보 표출 시스템의 음성출력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기상정보 표출 시스템의 보행자 정지 판단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실시례 1>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시시례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기상정표 표출 시스템(100)은 도트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도록 다수의 LED로 구성되어 문자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표출하되, 표출되는 정보의 중요도에 따라 파랑, 녹색, 노랑, 적색 중 어느 하나의 색으로 표시하는 LED 표시부(110), 기설정된 조건에 기초하여 안내 음성이 출력되는 음성출력모듈(120), 기설정된 반경 이내에 적어도 하나의 보행자를 감지하는 보행자 감지부(130), 현재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환경부 대기정보 및 기상청 기상정보를 수집하고, 바이러스 지수를 산출하는 기상정보 수집부(140), 현재위치에서 미세입자 측정기, 박테리아 측정기, 꽃가루 측정기, 곰팡이 측정기, 휘발성유기화합물 측정기, 가스측정기 및 악취측정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유해가스를 측정하여 데이터로 저장하는 유해가스 측정부(150), 외부환경소음(Nexterior) 및 시스템내부소음(Ninner)을 측정하는 소음 측정부(160), 상기 바이러스 지수 및 상기 유해가스 지수를 포함하는 종합기상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제어부(170) 및 상기 소음 측정부(160)에서 측정된 소음에 기초하여 상기 음성출력모듈(120)의 출력크기를 제어하는 음성출력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LED 표시부(110)는 도트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도록 다수의 LED로 구성되어 문자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표출하되, 표출되는 정보의 중요도에 따라 파랑, 녹색, 노랑, 적색 중 어느 하나의 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즉, 상기 LED 표시부(110)는 문자, 이미지 등을 표출할 수 있으며, 도트 매트릭스 구조를 통해 문자, 이미지 등을 세부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때 현재 표출할 정보의 중요도에 따라 다수의 색상으로 구분하여 표출할 수 있으며, 일례로 파랑, 녹색, 노랑, 적색 순서로 위급 정도에 따라 색상을 달리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LED 표시부(110)는 상기 표시제어부(170)는 기설정된 관리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상기 LED 표시부(110)의 표지정보 데이터 및 표출노출시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지정보 데이터는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오존, 일산화탄소, 이산화질소, 아황산가스, 온도, 습도, 강수, 풍속, 풍향 및 시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표지노출시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표지정보 데이터가 기설정된 시간(ex. 3초)마다 교번하여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보행자 감지부(130)는 초음파 센서(131) 및 적외선 센서(13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반경 내에 위치하는 보행자를 감지하되, 상기 초음파 센서(131) 및 상기 적외선 센서(132)에서 감지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보행자의 이동 가능성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보행자가 정지한 경우, 상기 음성출력 제어부(180)에 음성출력 트리거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즉, 상기 보행자 감지부(130)에서 기설정된 반경(ex. 2m)내에 위치하는 보행자를 인식하더라도, 상기 보행자가 상기 시각장애인을 위한 기상정표 표출 시스템(100)을 지나쳐 계속해서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음성출력 트리거 신호가 생성되지 않으며, 상기 보행자가 상기 기설정된 반경(ex. 2m)내에 정지해있는 경우에만 상기 음성출력 트리거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보행자 감지부(130)는 터치센서가 포함된 점자 표지판(133)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시각장애인에 의해서 상기 점자 표지판(133)의 터치 센서가 감지된 경우에 상기 음성출력 트리거 신호가 생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보행자 감지부(130)는 이동중인 보행자와 정지한 보행자를 구분하고, 상기 보행자가 정지한 경우에만 음성메시지가 출력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보행자 감지부(130)는 상기 다수의 초음파 센서(132)를 이용하여 제1 반경 이내에 위치하는 보행자를 감지(S410)하고, 상기 다수의 초음파 센서(132)에서 적어도 하나의 보행자가 감지된 경우, 상기 보행자가 감지된 상기 초음파 센서(132)를 이용하여 제2 반경 이내를 1차 스캐닝을 수행(S420)하고, 상기 1차 스캐닝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보행자가 가장 많이 위치하는 것으로 예측되는 방향의 상기 초음파 센서(132)를 적어도 하나 결정(S430)할 수 있다. 이후, 상기 결정된 상기 초음파 센서를 이용하여 2차 스캐닝이 수행(S440)되고, 상기 2차 스캐닝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기설정된 시간동안 동일한 거리에 위치하는 보행자가 위치하는지 판단(S450)할 수 있다. 기설정된 시간동안 동일한 거리에 위치하는 보행자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보행자가 정지한 것으로 판단하고, 음성출력 트리거 신호를 생성(S460)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반경이 상기 제2 반경보다 넓은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보행자 감지부(130)는 상시출력모드를 포함하여, 상기 IR 적외선 센서(131) 또는 상기 초음파 센서(132)로부터 상기 제2 반경보다 좁은 범위로 설정된 제3 반경 이내에 위치하는 보행자가 감지된 경우, 상기 음성출력 트리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성출력 트리거 신호에 의해 상기 음성출력모듈(120)에서 안내 음성이 출력되는 동안 상기 보행자 감지부(130)는 기설정된 반경 이내에 위치하는 보행자를 감지하는 작업을 일시적으로 중단하고, 상기 음성출력모듈(120)에서 출력되는 안내 음성이 완전히 종료된 후에 다시 보행자를 감지하는 작업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일례로, 상기 보행자 감지부(130)는 상기 IR 적외선 센서(131)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반경 이내에 위치하는 보행자를 감지할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음성출력모듈(120)에서 출력되는 안내 음성이 완전히 종료된 후에, 타 보행자가 연속해서 감지된 경우, 상기 음성출력모듈(120)은 성인여성 목소리, 성인남성 목소리, 어린이 목소리 및 노인 목소리 중 직전에 출력된 안내 음성과 다른 안내 음성을 출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성출력 제어부(180)는 상기 보행자 감지부(130)로부터 생성된 상기 음성출력 트리거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소음 측정부(160)에서 측정된 상기 외부환경소음(Nexterior)과 상기 시스템내부소음(Ninner)을 비교하여 보정소음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보정소음에 기초하여 상기 음성출력모듈(120)의 출력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정소음은 상기 외부환경소음(Nexterior)과 상기 시스템내부소음(Ninner)의 차이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산출된 보정소음이 기설정된 기준 수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음성출력모듈(120)의 출력크기를 증가시키고, 상기 산출된 보정소음이 기설정된 기준 수치 이하인 경우, 상기 음성출력모듈(120)의 출력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유동인구가 적은 지역, 주택가, 도시공원 등과 같이 상기 외부환경소음(Nexterior)이 상대적으로 작게 측정되는 장소에서는 상기 음성출력모듈(180)의 최대 출력크기를 제한하여 소음공해 유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성출력 제어부(180)는 상기 종합기상정보에 기초하여 안내 음성을 출력하되, 상기 안내 음성은 성인여성 목소리, 성인남성 목소리, 어린이 목소리 및 노인 목소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음성으로 기설정된 횟수만큼 반복해서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내 음성은 임의로 결정되되, 상기 현재위치 정보에 어린이 보호 구역이 포함된 경우, 상기 안내 음성은 어린이 목소리로 적어도 1회 이상 출력되어 보행자의 집중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상정보 수집부(140)는 수집된 하나 이상의 데이터로부터 온도정보, 습도정보, 강수량정보, 풍량정보, 풍속정보, 시정거리정보, 일출/일몰정보를 포함하는 환경정보를 추출하고, 인근 범위 내의 놀이시설정보, 마트정보, 백화점정보, 꽃가루정보, 황사정보를 추출하여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바이러스 지수(Vindex)를 산출하여, 상기 환경정보 및 바이러스 지수로 구성되는 기상정보를 산출하며,
[수학식 1]
Figure 112021081648318-pat00003
(여기서, Vindex는 바이러스 지수, AMlocal은 현재 위치로부터 인근 범위 내의 단위영역당 놀이시설 개수, AMtotal은 전국기준 단위영역당 놀이시설 개수, MTlocal은 현재 위치로부터 인근 범위 내의 단위영역당 마트 개수, MTtotal은 전국기준 단위영역당 마트 개수, DPlocal은 현재 위치로부터 인근 범위 내의 단위영역당 백화점 개수, DPtotal은 전국기준 단위영역당 백화점 개수, POlocal은 현재 위치로부터 인근 범위 내의 단위영역당 꽃가루량, POtotal은 전국기준 단위영역당 꽃가루량, DSlocal은 현재 위치로부터 인근 범위 내의 황사량, DStotal은 전국기준 단위영역당 황사량을 각각 의미함)
상기 표시제어부(170)는 운량지수, 시정거리지수 및 일출/일몰지수를 이용하여 [수학식 2]에 따른 밝기지수를 산출하고 상기 밝기지수에 대응하여 상기 LED 표시부의 밝기를 제어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112021081648318-pat00004
(여기서, Bindex는 밝기지수, CLlocal은 운량지수, LSlocal은 시정거리지수, ILlocal은 일출/일몰지수를 각각 의미함)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에 따르면, 인근의 미세먼지, 유해가스 데이터 등을 포함하는 실시간 기상정보를 수집하고 LED 모듈 및 음성 출력 모듈을 이용하여 안내 정보를 출력함으로써, 시각정보를 제공받기 어려운 사용자에게도 청각정보를 통해 기상 관련 데이터를 용이하게 전달 가능한 시각장애인을 위한 기상정보 표출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주변의 놀이시설, 꽃가루, 황사, 감염병 알림 등 감염위험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과 인구밀집 지역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바이러스 지수를 산출함으로써, 바이러스 감염 위험도 정보를 제공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기상정보 표출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기상정보 표출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례는 비록 한정된 실시례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례는 상기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례는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0 : LED 표시부
120 : 음성출력모듈
130 : 보행자 감지부 131 : IR 적외선 센서
132 : 초음파 센서
133 : 터치 센서
140 : 기상정보 수집부
150 : 위해가스 측정부
160 : 소음 측정부
170 : 표시 제어부
180 : 음성출력 제어부

Claims (5)

  1. 도트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도록 다수의 LED로 구성되어 문자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표출하되, 표출되는 정보의 중요도에 따라 파랑, 녹색, 노랑, 적색 중 어느 하나의 색으로 표시하는 LED 표시부;
    기설정된 조건에 기초하여 안내 음성이 출력되는 음성출력모듈;
    기설정된 반경 이내에 적어도 하나의 보행자를 감지하는 보행자 감지부;
    현재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환경부 대기정보 및 기상청 기상정보를 수집하고, 바이러스 지수를 산출하는 기상정보 수집부;
    현재 위치에서 미세입자 측정기, 박테리아 측정기, 꽃가루 측정기, 곰팡이 측정기, 휘발성유기화합물 측정기, 가스측정기 및 악취측정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유해가스를 측정하여 데이터로 저장하는 유해가스 측정부;
    외부환경소음 및 시스템내부소음을 측정하는 소음 측정부;
    상기 바이러스 지수 및 유해가스 지수를 포함하는 종합기상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제어부; 및
    상기 소음 측정부에서 측정된 소음에 기초하여 상기 음성출력모듈의 출력크기를 제어하는 음성출력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행자 감지부는,
    초음파 센서 및 적외선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반경내에 위치하는 보행자를 감지하되,
    상기 초음파 센서 및 상기 적외선 센서에서 감지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보행자의 이동 가능성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보행자가 정지한 경우, 상기 음성출력 제어부에 음성출력 트리거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음성출력 제어부는,
    상기 보행자 감지부로부터 생성된 상기 음성출력 트리거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소음 측정부에서 측정된 상기 외부환경소음과 상기 시스템내부소음을 비교하여 보정소음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보정소음에 기초하여 상기 음성출력모듈의 출력크기를 결정하며,
    상기 보행자 감지부는,
    상기 다수의 초음파 센서를 이용하여 제1 반경 이내에 위치하는 보행자를 감지하고,
    상기 다수의 초음파 센서에서 적어도 하나의 보행자가 감지된 경우, 상기 보행자가 감지된 상기 초음파 센서를 이용하여 제2 반경 이내를 1차 스캐닝을 수행하며,
    상기 1차 스캐닝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보행자가 가장 많이 위치하는 것으로 예측되는 방향의 상기 초음파 센서를 적어도 하나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초음파 센서를 이용하여 2차 스캐닝을 수행하고,
    상기 2차 스캐닝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기설정된 시간동안 동일한 거리에 위치하는 보행자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보행자가 정지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기상정보 표출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출력 제어부는,
    상기 종합기상정보에 기초하여 안내 음성을 출력하되,
    상기 안내 음성은 성인여성 목소리, 성인남성 목소리, 어린이 목소리 및 노인 목소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음성으로 기설정된 횟수만큼 반복해서 출력되고,

    상기 안내 음성은 임의로 결정되되,
    상기 현재위치 정보에 어린이 보호 구역이 포함된 경우, 상기 안내 음성은 어린이 목소리로 적어도 1회 이상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기상정보 표출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상정보 수집부는,
    수집된 하나 이상의 데이터로부터 온도정보, 습도정보, 강수량정보, 풍량정보, 풍속정보, 시정거리정보, 일출/일몰정보를 포함하는 환경정보를 추출하고, 인근 범위 내의 놀이시설정보, 마트정보, 백화점정보, 꽃가루정보, 황사정보를 추출하여 아래 [수학식 1]에 따라 바이러스 지수(Vindex)를 산출하여, 상기 환경정보 및 바이러스 지수로 구성되는 기상정보를 산출하며,
    [수학식 1]
    Figure 112021081648318-pat00005


    (여기서, Vindex는 바이러스 지수, AMlocal은 현재 위치로부터 인근 범위 내의 단위영역당 놀이시설 개수, AMtotal은 전국기준 단위영역당 놀이시설 개수, MTlocal은 현재 위치로부터 인근 범위 내의 단위영역당 마트 개수, MTtotal은 전국기준 단위영역당 마트 개수, DPlocal은 현재 위치로부터 인근 범위 내의 단위영역당 백화점 개수, DPtotal은 전국기준 단위영역당 백화점 개수, POlocal은 현재 위치로부터 인근 범위 내의 단위영역당 꽃가루량, POtotal은 전국기준 단위영역당 꽃가루량, DSlocal은 현재 위치로부터 인근 범위 내의 황사량, DStotal은 전국기준 단위영역당 황사량을 각각 의미함)

    상기 표시제어부는,
    운량지수, 시정거리지수 및 일출/일몰지수를 이용하여 [수학식 2]에 따른 밝기지수를 산출하고 상기 밝기지수에 대응하여 상기 LED 표시부의 밝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기상정보 표출 시스템.
    [수학식 2]
    Figure 112021081648318-pat00006

    (여기서, Bindex는 밝기지수, CLlocal은 운량지수, LSlocal은 시정거리지수, ILlocal은 일출/일몰지수를 각각 의미함)
KR1020210092705A 2021-07-15 2021-07-15 시각장애인을 위한 기상정보 표출 시스템 KR102337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705A KR102337356B1 (ko) 2021-07-15 2021-07-15 시각장애인을 위한 기상정보 표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705A KR102337356B1 (ko) 2021-07-15 2021-07-15 시각장애인을 위한 기상정보 표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7356B1 true KR102337356B1 (ko) 2021-12-13

Family

ID=78831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2705A KR102337356B1 (ko) 2021-07-15 2021-07-15 시각장애인을 위한 기상정보 표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735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76410A (ko) * 1996-05-30 1997-12-12 김광호 차량용 교통안내 시스템의 음성 출력장치
KR20160036219A (ko) * 2014-09-25 2016-04-04 장태순 횡단보도용 보행자 음성안내를 포함하는 안전 통합시스템이 구비된 지능형 볼라드
KR20190132807A (ko) * 2018-05-21 2019-11-29 주이스 주식회사 교통약자를 위한 정류장 정보안내 시스템
KR102257328B1 (ko) * 2021-03-30 2021-05-28 주식회사 노아엘이디 주변시설 빅데이터를 활용한 기상정보 표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76410A (ko) * 1996-05-30 1997-12-12 김광호 차량용 교통안내 시스템의 음성 출력장치
KR20160036219A (ko) * 2014-09-25 2016-04-04 장태순 횡단보도용 보행자 음성안내를 포함하는 안전 통합시스템이 구비된 지능형 볼라드
KR20190132807A (ko) * 2018-05-21 2019-11-29 주이스 주식회사 교통약자를 위한 정류장 정보안내 시스템
KR102257328B1 (ko) * 2021-03-30 2021-05-28 주식회사 노아엘이디 주변시설 빅데이터를 활용한 기상정보 표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6720B1 (ko) 미세먼지 정보 알림기능을 구비한 마스크 자판기
WO2016129715A1 (ko) 환경 재난, 재해 조기감지를 위한 대기질 예측 및 관리 시스템
Contini et al. Analysis of particles an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s and fluxes in an urban area: Correlation with traffic rate and local micrometeorology
CN103632158B (zh) 森林防火监控方法及森林防火监控系统
WO2005069222A1 (ja) 情報認識装置、情報認識方法、情報認識プログラム及び警報システム
CN110969561A (zh) 密集人群应急疏散方法
CN110723621B (zh) 基于深度神经网络检测电梯轿厢内吸烟的装置和方法
CN110002302A (zh) 一种基于深度学习的电梯开关门检测系统与方法
CN108389359A (zh) 一种基于深度学习的城市火灾报警方法
CN109697807A (zh) 一种智能火情探测分析的物联网逃生引导系统
CN108139423A (zh) 记录装置、移动终端、分析装置、程序以及存储介质
CN113018725B (zh) 基于远程图像分析处理技术的智慧消防分析管理一体化平台
KR20170058827A (ko) 인체의 형상 내지 동태 분석을 이용한 보안 감시장치, 보안 감시방법 및 쓰레기 투기 감시장치
CN115326661B (zh) 一种基于大气环境的监测方法、系统和可读存储介质
CN111986436B (zh) 一种基于紫外、深度神经网络的综合火焰检测方法
CN103456168A (zh) 一种交通路口行人行为监测系统和方法
KR102337356B1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기상정보 표출 시스템
CN113593170B (zh) 一种基于远程感烟探测的智能预警系统
CN110674887A (zh) 一种基于视频分类的端到端道路拥堵检测算法
CN109979601B (zh) 一种具有自动学习功能的流感预测摄像机
Cao et al. Walking performance of pedestrians in corridors under different visibility conditions
KR102103786B1 (ko) 지능형 화재 대피 유도시스템
KR20200009395A (ko) 능동반응 led 조형물을 활용한 기상 인자 및 대기 오염물질 기반 실시간 미세먼지/초미세먼지 예측시스템
CN114219271A (zh) 一种智能社区的应急服务管理系统及方法
KR100627483B1 (ko) 화상 이미지 분석을 통한 배출매연 인식 및 경보장치 및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