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4316B1 - 스마트 볼라드 및 스마트 볼라드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볼라드 및 스마트 볼라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4316B1
KR101894316B1 KR1020170098637A KR20170098637A KR101894316B1 KR 101894316 B1 KR101894316 B1 KR 101894316B1 KR 1020170098637 A KR1020170098637 A KR 1020170098637A KR 20170098637 A KR20170098637 A KR 20170098637A KR 101894316 B1 KR101894316 B1 KR 101894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lard
solar panel
smart
coupled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8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태창
서상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류
주식회사 이룸커뮤니케이션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류, 주식회사 이룸커뮤니케이션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류
Priority to KR1020170098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43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4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4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03Individual devices arranged in spaced relationship, e.g. buffer bolla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스마트 볼라드 및 스마트 볼라드 시스템이 개시된다. 개시된 스마트 볼라드 시스템은 차량의 진입을 방지하기 위해 수직방향으로 기둥형상으로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에 결합되어 볼라드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몸체에 결합되어 보행자 또는 차량의 접근을 감지하는 객체감지센서; 상기 객체감지센서에 의해 보행자 또는 차량의 접근이 감지되는 경우 길안내 정보를 음성으로 제공하는 스피커; 상기 스피커에서 제공되는 길안내 정보와 연동하여 빛으로 길안내 정보를 표시하는 엘이디; 볼라드 작동을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 그리고 볼라드를 유지관리하는 볼라드 유지관리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볼라드 및 스마트 볼라드 시스템{Smart bollard and smart bollard system}
본 발명은 스마트 볼라드 및 스마트 볼라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객체감지센서에 의해 보행자의 접근을 감지하여 스피커 및 엘이디를 통해 길안내 정보를 제공하고, 제어부가 볼라드 유지관리서버로부터 최적의 태양광패널 설치각도 및 방위각을 전송받아 태양광패널의 설치각도와 방위각을 제어함으로써 효율적으로 태양광을 통한 전력을 공급하는 한편, 충격센서에 의해 충격이 감지될 때 자가진단신호를 볼라드의 위치정보와 함께 볼라드 유지관리서버에 전송하여 복수의 볼라드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스마트 볼라드 및 스마트 볼라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볼라드는 차도와 인도를 분리하는 경계석이나 인도 등에 있어서의 차량진입방지석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볼라드는 돌이나 기타 재료로 도로의 가장자리에 매설해 놓거나 인도 위에 매설하여 세워 놓은 것이 보통이다.
종래의 볼라드는 차량진입을 방지하는 단순한 방호물 정도의 역할을 하는 것이 전부였고 별다른 용도로 활용되지 못하였다.
특히 시각 장애인의 경우 도로에 매설된 볼라드에 충돌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기도 하고, 스마트폰을 보면서 보행하던 보행자가 볼라드에 충돌하여 다치는 경우도 있다.
한편 볼라드에 각종 편의장치를 부가하여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으며, 이들 편의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태양광패널을 장착하는 기술이 소개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볼라드에는 계절별, 지역별 태양의 경로를 고려하지 않고 태양광패널이 고정된 상태로 장착되었다. 이로 인해 태양광패널의 효율이 떨어져 다양한 편의장치의 전력공급을 원활히 지원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뿐 아니라 도시 내에 무수히 설치된 볼라드에 대한 유지관리가 단지 육안검사에 의존하는 관계로 그 효율성이 매우 낮은 편이다.
따라서 보행자의 충돌 위험을 방지하고, 효율적인 태양광 전력공급이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도시 내 산재된 볼라드를 효율적으로 유지관리할 수 있는 통합시스템의 개발이 절실히 요청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10-0013828호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볼라드 시스템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보행자 및 차량의 볼라드에 대한 충돌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볼라드 시스템은 계절별, 지역별 태양의 경로를 고려한 효율적인 태양광 전력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볼라드 시스템은 도시 내 산재된 볼라드를 효율적으로 유지관리할 수 있는 통합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차량의 진입을 방지하기 위해 수직방향으로 기둥형상으로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에 결합되어 볼라드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몸체에 결합되어 보행자 또는 차량의 접근을 감지하는 객체감지센서; 상기 객체감지센서에 의해 보행자 또는 차량의 접근이 감지되는 경우 길안내 정보를 음성으로 제공하는 스피커; 상기 스피커에서 제공되는 길안내 정보와 연동하여 빛으로 길안내 정보를 표시하는 엘이디; 볼라드 작동을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볼라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몸체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GPS 수신기; 상기 몸체에 장착되어 원격의 볼라드 유지관리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부; 및 상기 몸체 일측에 장착되어 긴급신호를 생성하는 긴급호출버튼;을 더 포함하며, 상기 긴급신호는 상기 몸체의 위치정보와 함께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볼라드 유지관리서버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전원공급부는, 태양광을 전기로 변환하는 태양광패널; 및 상기 태양광패널에서 생성된 전기를 저장하는 배터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태양광패널의 전기생산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 상기 태양광패널의 수평면에 대한 설치각도를 조정하는 설치각도 조정부; 및 상기 태양광패널의 전기생산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 상기 태양광패널의 방위각을 조정하는 방위각 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볼라드 유지관리서버로부터 최적의 태양광패널 설치각도 및 방위각을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를 통해 전송받아 상기 설치각도 조정부와 방위각 조정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방위각 조정부는, 상기 태양광패널을 지지하며 상기 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전디스크; 상기 회전디스크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디스크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구동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설치각도 조정부는, 상기 태양광패널의 일측에 고정결합된 설치각 회전축; 상기 설치각 회전축의 양단에 결합되어 상기 설치각 회전축에 의해 형성된 설치각도에서 상기 태양광패널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한 쌍의 토션스프링; 상기 설치각 회전축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동모터;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몸체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격 직후 테스트 신호를 볼라드의 각 구성품에 전송하여 출력된 각 구성품의 자가진단신호를 상기 몸체의 위치정보와 함께 상기 데이터 송신부를 통해 상기 볼라드 유지관리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볼라드와 상기 볼라드를 유지관리하는 볼라드 유지관리서버를 포함하는 스마트 볼라드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볼라드 시스템은 보행자 및 차량의 볼라드에 대한 충돌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볼라드 시스템은 계절별, 지역별 태양의 경로를 고려하여 효율적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볼라드 시스템은 도시 내 산재된 볼라드를 효율적으로 유지관리하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볼라드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볼라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부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부의 조립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볼라드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볼라드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볼라드 시스템은 도시 내에 산재해 있는 볼라드(10)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스마트 볼라드 시스템은 복수의 볼라드(10)와 볼라드 유지관리서버(1100)로 구성된다. 각각의 볼라드(10)는 볼라드 유지관리서버(1100)에 데이터를 전송하고, 볼라드 유지관리서버(1100)는 각각의 볼라드(10)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통해 볼라드(10)의 상태를 확인과 동시에 관리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육안검사를 통해 볼라드(10)의 상태를 점검하던 것에 비해 보다 효율적으로 볼라드(10)를 유지관리할 수 있다. 볼라드(10)의 상태 점검을 위한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볼라드(10)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볼라드(10)는 볼라드 몸체(100), 전원공급부(200), 객체감지센서(300), 스피커(500), 엘이디(600), GPS 수신기(700), 데이터 송수신부(800), 긴급호출버튼(900), 충격센서(400) 그리고 제어부(도면 미도시)를 포함한다.
볼라드 몸체(100)는 차량의 진입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통상 수직방향으로 기둥형상으로 형성된다.
볼라드 몸체(100)의 재료는 석재, 나무, 강철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동 편의성, 가공성을 고려하여 화이버 글라스가 채택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200)는 볼라드 몸체(100)에 결합되어 볼라드(10)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제어부는 볼라드(10)의 작동을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객체감지센서(300)는 볼라드 몸체(100)에 결합되어 보행자 또는 차량의 접근을 감지한다.
시각 장애인의 경우 보행 중 볼라드(10)를 인지하지 못해 볼라드(10)에 충돌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객체감지센서(300)가 보행자의 접근을 감지하여 볼라드(10)의 존재 및 길안내 정보를 스피커(500)를 통해 제공한다. 이러한 기능은 시각 장애인만이 아니라 정상인의 경우에도 적용된다. 요즘 스마트 폰의 사용자가 늘어나면서 스마트 폰을 보면서 보행하다 차량사고로 이어져 사회적인 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음성안내기능은 정상인들에게도 주의를 환기시켜 충돌 사고를 예방하는 역할도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차량의 경우 야간에 볼라드(10)의 위치를 파악하기 어려워 접촉사고가 발생되기도 한다. 따라서 객체감지센서(300)에 의해 차량의 접근을 감지하는 경우 스피커(500)를 통한 음성 정보뿐만 아니라 엘이디(600)를 통해 볼라드(10)의 존재와 길안내 정보를 제공한다.
이 때 음성정보와 엘이디(600)의 정보는 서로 연동되어 상호 보완적인 정보를 전달 할 수 있다.
객체감지센서(300)는 PIR 센서, 초음파 센서, 레이더 센서 등 다양한 센서가 채택될 수 있다.
데이터 송수신부(800)는 볼라드 몸체(100)에 장착되어 원격의 볼라드 유지관리서버(11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GPS 수신기(700)는 볼라드 몸체(100)의 위치정보를 수신한다. 볼라드(10)를 유지관리하기 위해서는 볼라드(10)의 위치정보를 정확히 파악해야 한다. 가령 볼라드(10)의 파손이 확인되면 보수 작업자의 현장파견을 위해 정확한 위치정보를 확보해야 하는 것이다.
긴급호출버튼(900)은 볼라드 몸체(100)에 장착되어 긴급신호를 생성한다. 종래의 볼라드(10)는 단순히 차량진입을 방지하는 방호물 역할만 하여 그 활용도가 떨어졌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볼라드(10)는 장애인이나 각종 위급한 상황에 처한 사람이 볼라드 몸체(100)에 장착된 긴급호출버튼(900)을 사용하여 위험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보행자가 긴급호출버튼(900)을 누르게 되면 긴급상황을 알리는 긴급신호가 생성되어 데이터 송수신부(800)를 통해 볼라드(10)의 위치정보와 함께 볼라드 유지관리서버(1100)에 전송된다.
긴급상황을 상황별로 구분하기 위해 긴급호출버튼(900)을 복수 개로 형성할 수도 있고, 긴급호출버튼(900)을 누르면서 긴급상황을 설명하는 음성이 함께 전송되도록 하여 볼라드 유지관리서버(1100)가 음성인식을 통해 특정 관계기관에 지원을 요청하도록 할 수도 있다.
긴급상황을 확인한 볼라드 유지관리서버(1100)는 경찰서, 소방서 등 관계기관이 지원할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충격센서(400)는 볼라드 몸체(100)의 일측에 결합되어 볼라드 몸체(100)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한다.
볼라드(10)는 야간에 볼라드(10) 위치를 인지하지 못한 차량에 의해 파손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따라서 볼라드(10)에 충격이 가해질 때 볼라드(10)의 파손여부를 확인하여 볼라드 유지관리서버(1100)에 전송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는 충격 직후 테스트 신호를 볼라드(10)의 각 구성품에 전송하고, 이 때 출력된 각 구성품의 자가진단신호를 볼라드 몸체(100)의 위치정보와 함께 데이터 송수신부(800)를 통해 볼라드 유지관리서버(1100)에 전송한다.
결과적으로 차량 충돌 후에 볼라드(10) 정상 작동여부를 볼라드 유지관리서버(1100)가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를 통해 빈번한 충돌 사고를 입게 되는 볼라드(10)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신속한 유지보수를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부(200)의 분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부(200)의 조립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볼라드(10)는 태양광을 전원공급원으로 사용한다. 스마트 볼라드(10)의 전원공급부(200)는 태양광패널(210), 배터리(도면 미도시), 설치각도 조정부(220), 방위각 조정부(230)를 포함한다.
전원공급부(200)는 태양광의 입사효율을 위해 볼라드 몸체(100)의 상부에 장착된다.
태양광패널(210)은 태양광을 전기로 변환하고, 배터리는 변환된 전기를 저장하여 태양광을 받을 수 없는 야간이나 흐린날 안정적인 전원을 공급하도록 한다.
패널이 설치된 지역과 계절에 따라 태양의 경로는 변화된다. 따라서 태양광의 효율은 태양광패널(210)의 설치각도와 방위각에 많은 영향을 받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볼라드(10)는 태양광의 효율을 높이고자 설치각도 조정부(220)와 방위각 조정부(230)를 구비한다.
볼라드 유지관리서버(1100)는 기상청으로부터 제공받은 각 지역별, 계절별 태양의 궤적정보를 기초로 하여 지역별, 시간별 최적의 설치각 및 방위각 정보를 저장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는 볼라드 유지관리서버(1100)로부터 최적의 태양광패널(210) 설치각도 및 방위각을 데이터 송수신부(800)를 통해 전송받아 설치각도 조정부(220)와 방위각 조정부(230)를 제어한다.
방위각 조정부(230)와 설치각도 조정부(220)의 세부 구조를 설명한다.
방위각 조정부(230)는 태양광패널(210)의 전기생산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 태양광패널(210)의 방위각을 조정한다.
방위각 조정부(230)는 회전디스크(231), 회전구동모터(232)를 포함한다.
회전디스크(231)는 태양광패널(210)을 지지하며 볼라드 몸체(100)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회전구동모터(232)는 회전디스크(231)의 하부에 결합되어 회전디스크(231)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설치각도 조정부(220)는 태양광패널(210)의 전기생산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 태양광패널(210)의 수평면에 대한 설치각도를 조정한다.
설치각도 조정부(220)는 설치각 회전축(221), 토션스프링(222), 회동모터(223)를 포함한다.
설치각 회전축(221)은 태양광패널(210)의 일측에 고정결합되어, 회전축이 회전함에 따라 태양광패널(210)이 함께 회전하게 된다.
토션스프링(222)은 회전축의 앙단에 결합되어 설치각 회전축(221)에 의해 형성된 설치각도에서 태양광패널(210)을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회동모터(223)는 설치각 회전축(221)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방위각 조정부(230)와 설치각도 조정부(220)에 의해 태양광패널(210)을 통한 전력생산 효율을 최적화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볼라드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스마트 볼라드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볼라드 시스템은 보행자 또는 차량의 접근을 감지하여 길안내 정보를 스피커(500)와 엘이디(600)를 통해 안내한다.
긴급한 상황에 있는 보행자는 볼라드 몸체(100)에 형성된 긴급호출버튼(900)을 눌러 볼라드(10) 위치정보와 긴급신호를 볼라드 유지관리서버(1100)에 전송하여, 긴급상황에 대한 지원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차량 등에 의해 볼라드(10)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 충격센서(400)는 충격을 감지한 후 즉각적으로 자가진단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볼라드 유지관리서버(1100)에 전송함으로써, 볼라드(10)에 대한 효율적인 유지관리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볼라드(10)는 태양광패널(210)에 대한 최적의 설치각도 및 방위각 정보를 볼라드 유지관리서버(1100)로부터 전송받아 태양광패널(210)의 설치각도 및 방위각을 제어하여 전력생산 효율을 최적화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볼라드 10
볼라드 몸체 100
전원공급부 200
태양광패널 210
배터리(도면미도시)
설치각도 조정부 220
설치각 회전축 221
토션스프링 222
회동모터 223
커넥터 224
방위각 조정부 230
회전디스크 231
회전구동모터 232
객체감지센서 300
충격센서 400
스피커 500
엘이디 600
GPS 수신기 700
데이터 송수신부 800
긴급호출버튼 900
볼라드 유지관리서버 1100

Claims (7)

  1. 안전 보행을 유도하는 볼라드에 있어서,
    차량의 진입을 방지하기 위해 수직방향으로 기둥형상으로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에 결합되어 볼라드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몸체에 결합되어 보행자 또는 차량의 접근을 감지하는 객체감지센서;
    상기 객체감지센서에 의해 보행자 또는 차량의 접근이 감지되는 경우 길안내 정보를 음성으로 제공하는 스피커;
    상기 스피커에서 제공되는 길안내 정보와 연동하여 빛으로 길안내 정보를 표시하는 엘이디;
    볼라드 작동을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공급부는,
    태양광을 전기로 변환하는 태양광패널;
    상기 태양광패널에서 생성된 전기를 저장하는 배터리;
    상기 태양광패널의 전기생산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 상기 태양광패널의 수평면에 대한 설치각도를 조정하는 설치각도 조정부; 및
    상기 태양광패널의 전기생산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 상기 태양광패널의 방위각을 조정하는 방위각 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위각 조정부는,
    상기 태양광패널을 지지하며 상기 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전디스크;
    상기 회전디스크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디스크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구동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설치각도 조정부는,
    상기 태양광패널의 일측에 고정결합된 설치각 회전축;
    상기 설치각 회전축의 양단에 결합되어 상기 설치각 회전축에 의해 형성된 설치각도에서 상기 태양광패널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한 쌍의 토션스프링;
    상기 설치각 회전축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동모터;를 포함하는, 스마트 볼라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GPS 수신기;
    상기 몸체에 장착되어 원격의 볼라드 유지관리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부; 및
    상기 몸체 일측에 장착되어 긴급신호를 생성하는 긴급호출버튼;을 더 포함하며,
    상기 긴급신호는 상기 몸체의 위치정보와 함께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볼라드 유지관리서버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볼라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격 직후 테스트 신호를 볼라드의 각 구성품에 전송하여 출력된 각 구성품의 자가진단신호를 상기 몸체의 위치정보와 함께 상기 데이터 송신부를 통해 상기 볼라드 유지관리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볼라드.
  7. 하나 이상의 제1항, 제2항,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볼라드와 상기 볼라드를 유지관리하는 볼라드 유지관리서버를 포함하는, 스마트 볼라드 시스템.
KR1020170098637A 2017-08-03 2017-08-03 스마트 볼라드 및 스마트 볼라드 시스템 KR101894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637A KR101894316B1 (ko) 2017-08-03 2017-08-03 스마트 볼라드 및 스마트 볼라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637A KR101894316B1 (ko) 2017-08-03 2017-08-03 스마트 볼라드 및 스마트 볼라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4316B1 true KR101894316B1 (ko) 2018-09-04

Family

ID=63598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8637A KR101894316B1 (ko) 2017-08-03 2017-08-03 스마트 볼라드 및 스마트 볼라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431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6844B1 (ko) * 2019-01-17 2019-10-01 주식회사 대왕 위험경보 알람 및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울타리
KR102085740B1 (ko) 2019-05-02 2020-03-06 주식회사 케이지테크 태양광 발전식 볼라드
KR102115198B1 (ko) * 2019-09-02 2020-05-26 김홍점 점멸식 볼라드
KR102386622B1 (ko) 2020-12-10 2022-04-18 주식회사 온트리 사물인터넷 접속 살균 포그 볼라드 시스템
KR20230037136A (ko) * 2021-09-09 2023-03-16 주식회사 이투스 과속 방지턱을 이용한 안전 시스템
KR20240016820A (ko) * 2022-07-29 2024-02-06 김상규 원격지용 태양추적식 태양광 볼라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3828A (ko) 2008-08-01 2010-02-10 윤진효 자동 점등 및 제설이 가능한 볼라드 및 그의 운용 방법
KR20160036219A (ko) * 2014-09-25 2016-04-04 장태순 횡단보도용 보행자 음성안내를 포함하는 안전 통합시스템이 구비된 지능형 볼라드
KR20160087937A (ko) * 2015-01-14 2016-07-25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기능성 스마트 볼라드 및 볼라드 제어 시스템
KR101661712B1 (ko) * 2015-12-31 2016-09-30 정에디영 태양에너지 이용장치의 태양 위치추적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3828A (ko) 2008-08-01 2010-02-10 윤진효 자동 점등 및 제설이 가능한 볼라드 및 그의 운용 방법
KR20160036219A (ko) * 2014-09-25 2016-04-04 장태순 횡단보도용 보행자 음성안내를 포함하는 안전 통합시스템이 구비된 지능형 볼라드
KR20160087937A (ko) * 2015-01-14 2016-07-25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기능성 스마트 볼라드 및 볼라드 제어 시스템
KR101661712B1 (ko) * 2015-12-31 2016-09-30 정에디영 태양에너지 이용장치의 태양 위치추적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6844B1 (ko) * 2019-01-17 2019-10-01 주식회사 대왕 위험경보 알람 및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울타리
KR102085740B1 (ko) 2019-05-02 2020-03-06 주식회사 케이지테크 태양광 발전식 볼라드
KR102115198B1 (ko) * 2019-09-02 2020-05-26 김홍점 점멸식 볼라드
KR102386622B1 (ko) 2020-12-10 2022-04-18 주식회사 온트리 사물인터넷 접속 살균 포그 볼라드 시스템
KR20230037136A (ko) * 2021-09-09 2023-03-16 주식회사 이투스 과속 방지턱을 이용한 안전 시스템
KR102513714B1 (ko) * 2021-09-09 2023-03-27 주식회사 이투스 과속 방지턱을 이용한 안전 시스템
KR20240016820A (ko) * 2022-07-29 2024-02-06 김상규 원격지용 태양추적식 태양광 볼라드
KR102636671B1 (ko) * 2022-07-29 2024-02-14 에비뉴 주식회사 원격지용 태양추적식 태양광 볼라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4316B1 (ko) 스마트 볼라드 및 스마트 볼라드 시스템
JP6769383B2 (ja) 自動運転装置、及び通知方法
EP3546301B1 (en) In-vehicle monitoring module and monitoring system
US9518830B1 (en) Vehicular navigation system updating based on object presence
US7336226B2 (en) Object identification system combined with millimeter-wave passive image system and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for the blind
US20190250621A1 (en) Earthquake emergnecy management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JP6229129B2 (ja) 災害時等の支援装置
AU2013241724B2 (en) Animal warning system
US9165454B2 (en) Security system, program product therefor, and surveillance method
CN113888889A (zh) 高速公路上防止连环撞车的预警系统
JP2010097241A (ja) 自律型災害予知センサ
KR102217434B1 (ko) 사물인터넷기반 교통안전시설 운영관리시스템
KR101691751B1 (ko) Iot기능을 포함하는 안전 삼각대를 이용한 스마트 사고 접수 시스템 및 사고 접수 방법
CN110610139A (zh) 障碍物预警方法、监控设备和监控系统
KR20200065936A (ko) 통신이 가능한 카메라모듈이 구비된 실시간 감시시스템
CN104494650A (zh) 一种上道作业监控系统
KR20190080521A (ko) 레이다를 활용한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 감시 장치 및 방법
KR20180061910A (ko) 주정차 무인 관제 시스템
KR101770986B1 (ko) 사고 발생 경고용 무선 전광시스템
JP2021036352A (ja) 死角人又は車存在検出容易化装置
JP2013017044A (ja) 自動開閉制御システム
KR20220116712A (ko) 버스승강장 승객 알림장치
KR101493690B1 (ko) 이동 설치가 용이한 철로용 접근 경고장치
CN203179197U (zh) 太阳能银行警示系统
EP3470948A1 (en) Automated security patrol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