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5198B1 - 점멸식 볼라드 - Google Patents

점멸식 볼라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5198B1
KR102115198B1 KR1020190107972A KR20190107972A KR102115198B1 KR 102115198 B1 KR102115198 B1 KR 102115198B1 KR 1020190107972 A KR1020190107972 A KR 1020190107972A KR 20190107972 A KR20190107972 A KR 20190107972A KR 102115198 B1 KR102115198 B1 KR 102115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lard
light
light source
flashing
sour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7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점
Original Assignee
김홍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점 filed Critical 김홍점
Priority to KR1020190107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51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5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51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 E01F9/617Illuminated or wired-up posts, bollards, pillars or like upstanding bodies or structures for traffic guidance, warning or contro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03Individual devices arranged in spaced relationship, e.g. buffer boll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F21S9/03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the solar unit being separate from the lighting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6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sensing the level of ambient illumination, e.g. dawn or dusk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볼라드의 내부에 광원으로서 엘이디(LED)를 설치하고, 솔라셀과 조도센서를 구비함으로써, 볼라드의 주변 조도를 감지하여 야간이 되면 자동으로 엘이디를 구동하여 점멸하게 하고, 솔라셀을 통해 전기를 생산하여 충전하도록 한 점멸식 볼라드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지면 또는 바닥에 고정 설치되는 기둥 형상의 볼라드 몸체부; 상기 볼라드 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빛을 발광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전원부에서 광원부로 전원을 전달하도록 제어하되,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여 전달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점멸식 볼라드{bollard}
본 발명은 점멸식 볼라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광원으로서 엘이디(LED)를 설치하고 솔라셀과 조도센서를 구비함으로써, 주변 조도를 감지하여 야간이 되면 자동으로 엘이디를 구동하여 점멸하게 하고, 솔라셀을 통해 전기를 생산하여 충전하도록 한 점멸식 볼라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볼라드(bollard)는 차량의 진입을 막기 위해 설치하는 구조물로서, 철재나 석재 또는 강화플라스틱 등의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대략 원형이나 사각형의 기둥 형태로 설치된다.
종래의 볼라드는 차량진입을 방지하는 단순한 방호물 정도의 역할을 하는 것이 전부였고 별다른 용도로 활용되지 못하였다.
이와 같은 볼라드는 주로 차량이 인도로 진입하는 것을 통제하기 위한 것에서 시작되었으나, 최근에는 자전거 등과 사람이 접촉하여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한 용도로도 활용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공원이나 바닷가, 절벽 등에 난간으로 볼라드를 설치하는 등 그 활용도가 커지고 있다.
특히, 볼라드는 야간에 식별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충돌 등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으나,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볼라드에 야광테이프를 부착하는 등 볼라드의 설치 유무에 대해 차량이나 사람들이 야간에도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방지책을 강구하고 있다.
국내 특허 등록번호 10-1759569호, 볼라드. 국내 실용신안 등록번호 20-0453629호, 도로용 볼라드 조립구조.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볼라드의 내부에 광원으로서 엘이디(LED)를 설치하고, 솔라셀과 조도센서를 구비함으로써, 볼라드의 주변 조도를 감지하여 야간이 되면 자동으로 엘이디를 구동하여 점멸하게 하고, 솔라셀을 통해 전기를 생산하여 충전하도록 한 점멸식 볼라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면 또는 바닥에 고정 설치되는 기둥 형상의 볼라드 몸체부; 상기 볼라드 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빛을 발광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전원부에서 광원부로 전원을 전달하도록 제어하되,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여 전달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볼라드 몸체부의 주변 밝기에 따라 광원부의 조도를 자동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볼라드 몸체부에 설치되어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감지센서; 및 상기 조도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측정값이 각각 입력되고, 입력된 측정값에 따라 광원부로부터 발광되는 빛의 조도를 조절하거나 광원부로부터 발광되는 빛이 점멸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원부는: 상기 볼라드 몸체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태양광 및 주변광을 기전력으로 변화시키는 솔라셀; 및 상기 솔라셀으로부터 발생되는 기전력을 충전하여 상기 광원부에 공급하는 충전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볼라드 몸체부는: 중공(中空) 구조를 갖는 원형 기둥 혹은 다각형 기둥을 형성하도록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 개수로 분할되는 분할체; 상기 분할체의 사이에 결합되며, 상기 광원부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판; 및 상기 확산판과 분할체를 상호 결합하는 결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확산판의 양단과 이에 대응하는 분할체의 양단에 각각 길이 방향으로 상호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끼움 결합되는 끼움돌부와 끼움홈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확산판에는: 상기 광원부로부터 발광되는 빛이 굴절되어 직진성을 갖도록 미세한 삼각뿔 형상의 프리즘 혹은 미세한 육각뿔 형상의 프리즘 중 어느 하나가 사방으로 인접하여 연속되게 형성되어, 상기 광원부로부터 발광되는 빛이 미세한 삼각뿔의 형상의 프리즘 혹은 미세한 육각뿔 형상의 프리즘을 통과하면서 굴절되어 직진성을 갖도록 하는 프리즘 집광필름이 적층 설치되고, 상기 프리즘 집광필름에는: 상기 광원부로부터 빛이 발광되는 경우에는 그 빛이 투과되고, 상기 광원부로부터 빛이 발광되지 않을 경우에는 주위의 작은 불빛이 반사되는 투광식 재귀반사필름이 적층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확산판은: 상기 볼라드 몸체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3등분되는 방향 혹은 상호 대응하는 양측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볼라드 몸체부의 외주면에는 소정 간격을 이루도록 주위의 작은 불빛을 반사시킬 수 있는 재귀반사필름이 부착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볼라드 몸체부의 외부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난간 설치용 결합홈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볼라드 몸체부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GPS 수신기; 상기 볼라드 몸체부에 장착되어 원격의 볼라드 유지관리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부; 및 상기 볼라드 몸체부의 일측에 장착되어 긴급신호를 생성하는 긴급호출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긴급호출버튼의 조작시 긴급신호를 상기 볼라드 몸체부의 위치정보와 함께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볼라드 유지관리서버에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점멸식 볼라드에 의하면, 내부에 광원으로서 엘이디(LED)를 설치하고 솔라셀과 조도센서를 구비함으로써, 주변 조도를 감지하여 야간이 되면 자동으로 엘이디를 구동하여 점멸하게 하고 솔라셀을 통해 전기를 생산하여 충전하도록 함으로서 야간에 안전성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점멸식 볼라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표시의 점멸식 볼라드의 평단면도이고,
도 3 내지 도 4는 도 1표시의 점멸식 볼라드에 난간이 설치되어 빛이 발광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점멸식 볼라드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표시의 점멸식 볼라드에서 빛이 발광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7은 도 5표시의 점멸식 볼라드의 평단면도이고,
도 8은 도 5표시의 점멸식 볼라드가 횡단보도에 설치된 예를 보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점멸식 볼라드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표시의 점멸식 볼라드에서 빛이 발광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점멸식 볼라드에 구비되는 확산판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 내지 도 14는 도 11표시의 확산판에 적층 설치되는 프리즘 집광필름의 구조를 보인 도면이고,
도 15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점멸식 볼라드의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점멸식 볼라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표시의 점멸식 볼라드의 평단면도이고, 도 3 내지 도 4는 도 1표시의 점멸식 볼라드에 난간이 설치되어 빛이 발광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점멸식 볼라드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표시의 점멸식 볼라드에서 빛이 발광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7은 도 5표시의 점멸식 볼라드의 평단면도이고, 도 8은 도 5표시의 점멸식 볼라드가 횡단보도에 설치된 예를 보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점멸식 볼라드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표시의 점멸식 볼라드에서 빛이 발광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점멸식 볼라드에 구비되는 확산판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 내지 도 14는 도 11표시의 확산판에 적층 설치되는 프리즘 집광필름의 구조를 보인 도면이고, 도 15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점멸식 볼라드의 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볼라드 몸체부(100)와 광원부(200), 전원부(300) 및 제어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볼라드 몸체부(100)는 지면 또는 바닥에 고정 설치되는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볼라드 몸체부(100)는 분할체(110)와 확산판(120) 및 결합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할체(110)는 중공(中空) 구조를 갖는 원형 기둥 혹은 다각형 기둥을 형성하도록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 개수로 분할 구성되고, 상기 확산판(120)은 분할체(110)의 사이에 결합되어 광원부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확산시키며, 상기 결합부(130)는 확산판(120)과 분할체(110)를 상호 결합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상기 결합부(130)는 확산판(120)의 양단과 이에 대응하는 분할체(110)의 양단에 각각 길이 방향으로 상호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끼움 결합되는 끼움돌부(132)와 끼움홈부(134)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확산판(120)에는 광원부로부터 발광되는 빛이 굴절되어 직진성을 갖도록 미세한 삼각뿔 형상의 프리즘(142) 혹은 미세한 육각뿔 형상의 프리즘(144) 중 어느 하나가 사방으로 인접하여 연속되게 형성되어, 광원부로부터 발광되는 빛이 미세한 삼각뿔 형상의 프리즘(142) 혹은 미세한 육각뿔 형상의 프리즘(144)을 통과하면서 굴절되어 직진성을 갖도록 하는 프리즘 집광필름(140)이 적층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프리즘 집광필름(140)이 적층 설치됨에 의해 발광되는 빛이 직진성을 갖게 되어 더욱 확실한 시인성을 갖게 함과 아울러 빛의 직진성으로 인해 멀리서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상기 프리즘 집광필름(140)에는 광원부로부터 빛이 발광되는 경우에는 그 빛이 투과되고, 광원부로부터 빛이 발광되지 않을 경우에는 주위의 작은 불빛이 반사되는 투광식 재귀반사필름(150)이 적층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투광식 재귀반사필름(150)이 적층 설치됨에 의해 외부의 작은 불빛이 반사되어 시인성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산판(120)은 볼라드 몸체부(100)의 원주 방향을 따라 3등분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빛이 3방향으로 발광되도록 하거나, 혹은 상호 대응하는 양측 방향으로 확산판(120)이 설치되어 발광되는 빛이 양측 방향으로 발광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발광되는 빛은 상부를 통해서도 발광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빛이 3방향으로 발광되는 경우 어느 방향에서나 사람들에게 가로등 불빛과 관계없이 공원, 바닷가, 절벽 또는 횡단보도와 인도상에 설치하여 보행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빛이 2방향으로 발광되는 경우 도로 중앙이나 가로등이 없는 바닷가와 절벽 등에 난간으로 설치되었을 때 좌,우측 및 상단으로 나오는 불빛에 의해 차량운전자, 무단횡단자, 어두운 도로상의 보행자 및 자전거를 탄 사람을 보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볼라드 몸체부(100)의 외주면에는 소정 간격을 이루도록 주위의 작은 불빛을 반사시킬 수 있는 재귀반사필름(160)이 부착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재귀반사필름(160)의 부착으로 인해 차량의 불빛이 반사되어 안전성을 강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볼라드 몸체부(100)의 외부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난간 설치용 결합홈부(11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난간 설치용 결합홈부(112)에 난간(12)을 결합하여 상기 볼라드 몸체부(100)를 소정 간격으로 연속하여 설치할 수 있음으로서, 난간 설치를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볼라드 몸체부(100)를 소정 간격을 이루게 설치하거나 혹은 소정 간격을 이루게 설치한 볼라드 몸체부(100)의 사이에 난간(12)을 설치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원부(200)는 볼라드 몸체부(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빛을 발광하는 구성으로, 엘이디(LED)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원부(300)는 광원부(20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전원부(300)는 볼라드 몸체부(100)의 상부에 솔라셀(302)이 설치되며, 상기 솔라셀(302)에서 태양광 및 주변광을 기전력으로 변화시키고, 상기 솔라셀으로부터 발생되는 기전력을 충전지(304)에 충전하도록 하여 상기 광원부(20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어부(400)는 전원부(300)에서 광원부(200)로 전원을 전달하도록 제어하는 구성으로써,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여 전달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어부(400)는 상기 볼라드 몸체부(100)의 주변 밝기에 따라 광원부(200)의 조도를 자동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볼라드 몸체부(100)에 설치되어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감지센서(402)와, 상기 조도감지센서(402)로부터 감지된 측정값이 각각 입력되고, 입력된 측정값에 따라 광원부(200)로부터 발광되는 빛의 조도를 조절하거나 광원부(200)로부터 발광되는 빛이 점멸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404)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400)는 볼라드 몸체부(100)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GPS 수신기(410)와, 상기 볼라드 몸체부(100)에 장착되어 원격의 볼라드 유지관리서버(44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부(420)와, 상기 볼라드 몸체부(100)의 일측에 장착되어 긴급신호를 생성하는 긴급호출버튼(430)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고, 상기 긴급호출버튼(430)의 조작시 긴급신호를 상기 볼라드 몸체부(100)의 위치정보와 함께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420)를 통해 상기 볼라드 유지관리서버(440)에 전송하는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긴급호출버튼(430)는 위급 환자 등이 있는 경우 유용하게 이용 가능하다. 즉, 상기 볼라드 몸체부(100)의 주위에 위급 환자의 발생시 상기 긴급호출버튼(430)을 조작함으로서 위치를 알릴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볼라드 몸체부(100)에 구비되는 조도감지센서(402)에 의해 주위의 조도를 감지하여 야간이 되면 자동으로 광원부(200)를 구동하여 엘이디가 점멸되게 할 수 있고, 솔라셀(302)을 통해 전기를 생산하여 충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라드 몸체부(100)의 외부에 부착되는 재귀반사필름(160)에 의해 시인성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달성되는 것이며,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100 - 볼라드 몸체부 110 - 분할체
120 - 확산판 130 - 결합부
200 - 광원부 300 - 전원부
302 - 솔라셀 304 - 충전지
400 - 제어부 402 - 조도감지센서
404 - 제어기

Claims (7)

  1. 지면 또는 바닥에 고정 설치되는 기둥 형상의 볼라드 몸체부;
    상기 볼라드 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빛을 발광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전원부에서 광원부로 전원을 전달하도록 제어하되,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여 전달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볼라드 몸체부의 주변 밝기에 따라 광원부의 조도를 자동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볼라드 몸체부에 설치되어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감지센서; 및
    상기 조도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측정값이 각각 입력되고, 입력된 측정값에 따라 광원부로부터 발광되는 빛의 조도를 조절하거나 광원부로부터 발광되는 빛이 점멸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원부는:
    상기 볼라드 몸체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태양광 및 주변광을 기전력으로 변화시키는 솔라셀; 및
    상기 솔라셀으로부터 발생되는 기전력을 충전하여 상기 광원부에 공급하는 충전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볼라드 몸체부는:
    중공(中空) 구조를 갖는 원형 기둥 혹은 다각형 기둥을 형성하도록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 개수로 분할되는 분할체;
    상기 분할체의 사이에 결합되며, 상기 광원부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판; 및
    상기 확산판과 분할체를 상호 결합하는 결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확산판의 양단과 이에 대응하는 분할체의 양단에 각각 길이 방향으로 상호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끼움 결합되는 끼움돌부와 끼움홈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멸식 볼라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판에는:
    상기 광원부로부터 발광되는 빛이 굴절되어 직진성을 갖도록 미세한 삼각뿔 형상의 프리즘 혹은 미세한 육각뿔 형상의 프리즘 중 어느 하나가 사방으로 인접하여 연속되게 형성되어, 상기 광원부로부터 발광되는 빛이 미세한 삼각뿔의 형상의 프리즘 혹은 미세한 육각뿔 형상의 프리즘을 통과하면서 굴절되어 직진성을 갖도록 하는 프리즘 집광필름이 적층 설치되고,
    상기 프리즘 집광필름에는:
    상기 광원부로부터 빛이 발광되는 경우에는 그 빛이 투과되고, 상기 광원부로부터 빛이 발광되지 않을 경우에는 주위의 작은 불빛이 반사되는 투광식 재귀반사필름이 적층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멸식 볼라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판은:
    상기 볼라드 몸체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3등분되는 방향 혹은 상호 대응하는 양측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멸식 볼라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라드 몸체부의 외주면에는 소정 간격을 이루도록 주위의 작은 불빛을 반사시킬 수 있는 재귀반사필름이 부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멸식 볼라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라드 몸체부의 외부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난간 설치용 결합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멸식 볼라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볼라드 몸체부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GPS 수신기;
    상기 볼라드 몸체부에 장착되어 원격의 볼라드 유지관리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부; 및
    상기 볼라드 몸체부의 일측에 장착되어 긴급신호를 생성하는 긴급호출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긴급호출버튼의 조작시 긴급신호를 상기 볼라드 몸체부의 위치정보와 함께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볼라드 유지관리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멸식 볼라드.
KR1020190107972A 2019-09-02 2019-09-02 점멸식 볼라드 KR1021151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972A KR102115198B1 (ko) 2019-09-02 2019-09-02 점멸식 볼라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972A KR102115198B1 (ko) 2019-09-02 2019-09-02 점멸식 볼라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5198B1 true KR102115198B1 (ko) 2020-05-26

Family

ID=70915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7972A KR102115198B1 (ko) 2019-09-02 2019-09-02 점멸식 볼라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519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6914A (ja) * 1999-07-13 2001-01-30 Sekisui Jushi Co Ltd 自発光性視線誘導標
KR101023822B1 (ko) * 2010-10-22 2011-03-22 주식회사 태운산업 태양전지를 이용한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볼라드
KR200453629Y1 (ko) 2010-08-31 2011-05-23 (주)로드텍 도로용 볼라드 조립구조
KR101759569B1 (ko) 2015-07-08 2017-07-19 정도산업 주식회사 볼라드
KR101894316B1 (ko) * 2017-08-03 2018-09-04 주식회사 대류 스마트 볼라드 및 스마트 볼라드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6914A (ja) * 1999-07-13 2001-01-30 Sekisui Jushi Co Ltd 自発光性視線誘導標
KR200453629Y1 (ko) 2010-08-31 2011-05-23 (주)로드텍 도로용 볼라드 조립구조
KR101023822B1 (ko) * 2010-10-22 2011-03-22 주식회사 태운산업 태양전지를 이용한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볼라드
KR101759569B1 (ko) 2015-07-08 2017-07-19 정도산업 주식회사 볼라드
KR101894316B1 (ko) * 2017-08-03 2018-09-04 주식회사 대류 스마트 볼라드 및 스마트 볼라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20729B2 (ja) 道路鋲
US20100102991A1 (en) Pedestrian crossing with presence detector and warning
US20100148989A1 (en) Safety or Alert Device
KR20200073477A (ko) 횡단보도 안전 조명 시스템
KR101119578B1 (ko) 볼라드용 인식장치
JP4383360B2 (ja) 縁石ブロック装置
KR20230074464A (ko) 복합기능이 구비되는 볼라드
KR200448567Y1 (ko) 매립형 보조신호등
KR102115198B1 (ko) 점멸식 볼라드
KR200208098Y1 (ko) 도로표시구
KR20080096216A (ko) 솔라 시선유도봉
KR102360401B1 (ko) 배터리 잔량에 의한 밝기제어와 보행자 및 신호대기자 조사가 가능한 태양광 횡단보도 조명시스템
KR102200051B1 (ko) 솔라셀이 구비된 부착형 표시등
CN101684640B (zh) 多功能安全反射镜装置
KR200455815Y1 (ko) 솔라 안개등
KR101499708B1 (ko) 도로 표지병
WO2013117887A1 (en) A stud and safety system
KR20110086331A (ko) 태양광을 이용한 유도용 표시등
JPH1181256A (ja) 太陽光発電による交通安全装置
CN212612072U (zh) 一种道路智慧斑马线
JP7275531B2 (ja) 交通安全システム
KR200389207Y1 (ko) 태양전지를 이용한 중앙선 표시구
KR200465502Y1 (ko) 압전 에너지를 이용한 도로안개 유도등 시스템
KR101655319B1 (ko) 구조적인 안전성이 우수한 고효율 차선 규제봉
KR200324414Y1 (ko) 쏠라 볼라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