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6712A - 버스승강장 승객 알림장치 - Google Patents

버스승강장 승객 알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6712A
KR20220116712A KR1020210019904A KR20210019904A KR20220116712A KR 20220116712 A KR20220116712 A KR 20220116712A KR 1020210019904 A KR1020210019904 A KR 1020210019904A KR 20210019904 A KR20210019904 A KR 20210019904A KR 20220116712 A KR20220116712 A KR 202201167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platform
passenger
waitin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9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아
신예지
진소망
김천규
Original Assignee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19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16712A/ko
Publication of KR20220116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67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 G08G1/13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within the vehicle ; Indicators inside the vehicles or at stop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승강장 승객 알림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버스승강장에 감지센서를 설치하여 승객유무에 따라서 버스승강장 일측의 알림등을 발광시켜 원거리에서 버스가 확인하여 정차가 가능하게 하고, 무선송수신부를 통해서 접근하는 버스로 신호를 전송하여 버스운전자에게 금번 버스승강장의 대기승객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제공하여 빠짐없이 버스승강장의 대기승객을 탑승시켜 운행이 가능하게 하는 버스승강장 승객 알림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버스승강장 승객 알림장치{Apparatus of Informing Existence of Passenger in Bus Platform}
본 발명은 버스승강장 승객 알림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버스승강장에 감지센서를 설치하여 승객유무에 따라서 버스승강장 일측의 알림등을 발광시켜 원거리에서 버스가 확인하여 정차가 가능하게 하고, 무선송수신부를 통해서 접근하는 버스로 신호를 전송하여 버스운전자에게 금번 버스승강장의 대기승객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제공하여 빠짐없이 버스승강장의 대기승객을 탑승시켜 운행이 가능하게 하는 버스승강장 승객 알림장치에 관한 것이다.
버스는 대중교통수단의 대표적인 것으로서 설정된 노선을 따라 운행되며, 버스의 노선상의 경유지에는 버스를 기다리는 승객의 편의를 위해 비를 피할 수 있게 내부 수용공간을 갖는 구조물 형태로 형성된 승강장이 마련되어 있다.
그런데, 주행하는 버스의 운전자는 버스 승강장 내에 버스를 기다리는 대기 승객이 있는지를 원거리에서 육안으로 식별하기가 어렵고 특히 야간의 경우 식별이 더 어려워 무정차 통과가 발생되고, 인적이 드문 위치의 경우에서 습관에 의해 무정차 통과가 빈번히 발생된다. 또한, 배차시간이 상대적으로 긴 농어촌이나 변두리 지역의 경우 각 버스 승강장의 승하차승객이 없는 경우가 많아 버스 내에 다음 정차지에 해당하는 버스 승강장에 하차하는 사람이 없고, 육안상으로 해당 버스 승강장 외부를 보면서 버스를 기다리는 승객이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버스 승강장을 경유하지 않고 무정차 통과하는 경우가 많다. 버스가 무정차 통과할 경우 젊은 사람의 경우 즉시 반응하여 백미러를 통해 운전자의 확인이 이루어질 수 있으나,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의 경우 버스 통과시 즉시 반응하여 대기승객을 알리는 동작을 취하기가 어렵다. 이와같이 무정차 통과에 따라 버스를 놓친 대기승객의 경우 다시 장시간 버스를 기다려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막차를 놓친 경우에는 다른 수단은 강구해야되는 큰 불편함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85067호(2009.02.16.등록; 이하 '선행문헌1'이라 함)는 버스 승강장용 대기 승객 유무 알림 장치를 제시하였다. 상기 선행문헌1은 버스승강장 내에 인체감지부와, 버스를 선택하는 조작부와 버스운전자에게 대기승객이 있음을 알리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설치되어, 대기승객이 감지되고 조작부에 의한 입력이 이루어지면 표시부를 통해서 발광이 이루어지게 해 정보제공이 이루어지게 하는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선행문헌1은 대기승객을 버스운전자에게 알리는데 큰 효과가 있지만 대기승객이 직접 조작을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노약자 또는 작동상태를 모르는 대기승객의 경우에는 알림혜택을 보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08441호(2019.08.01.등록; 이하 '선행문헌2'이라 함)은 버스승강장의 대기승객 유무 알림표시장치를 제시하였다. 상기 선행문헌2는 버스승강장내에 승객감지부를 설치하여 승객감지시 외부의 승객표시부를 발광시켜 버스운전자가 쉽게 식별할 수 있는 구조로 제공하였다. 상기 선행문헌2는 대기승객의 조작없이도 버스운전자에게 정보를 제공하여 식별이 이루어지게 하는 효과를 제공하지만, 승객표시부가 파손될 경우 버스운전자가 이를 인지하지 못하고 대기승객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무정차 통과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대기승객의 조작없이도 대기승객의 유무를 판단하면서 버스운전자로의 정보전달이 보다 정확하게 전달되어 무정차통과를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85067호(2009.02.16.등록) : 버스 승강장용 대기 승객 유무 알림 장치 한국등록특허 제10-2008441호(2019.08.01.등록) : 버스승강장의 대기승객 유무 알림표시장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버스승강장 승객 알림장치는,
승객이 별도로 입력하지 않아도 대기승객을 감지하여 자동을 알림등을 발광시키고, 대기승객의 존재여부를 다가오는 버스의 운전자에게 전달하여 인지시킴으로서 무정차 통과를 방지할 수 있는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버스승강장 승객 알림장치는,
버스승강장에 설치되어 버스운전자에게 대기승객 유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버스승강장 승객 알림장치에 있어서, 버스승강장에 설치되어 버스승강장 내의 대기승객 유무를 감지한는 감지센서와; 상기 버스승강장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신호가 감지되면 즉시 발광하고, 감지신호를 전달받지 못하면 일정시간 후 소등되어 버스운전자에게 신호를 전달하는 알림등과;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알림등에 제공하게 하거나, 감지신호가 없을 경우 일정시간 후 알림등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제어장치와; 상기 제어장치와 연결되어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승강장으로 접근하는 버스에게 무선송출시키는 승강장무선송수신장치와; 상기 버스승강장으로 접근하는 버스에 설치되어 승강장무선송수신장치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버스운전자에게 대기승객이 있음을 알리는 버스내정보제공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승강장무선송수신장치의 전파범위 내로 버스가 진입하면 버스승강장 내의 대기승객정보를 버스의 버스내정보제공장치로 전달하고, 버스내정보제공장치는, 수신받은 대기승객정보의 대기승객유무를 서로 다른 표시등 발광 또는 스피커 음성출력에 의해 버스운전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스내정보제공장치는, 대기승객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버스승강장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는 관리서버로 전송하여 해당 버스승강장을 점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버스의 GPS신호를 전송받아 승강장으로 접근하는 버스에만 대기승객정보를 버스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버스가 근접할 경우 알림등을 수회 점멸시켜 버스운전자가 쉽게 인지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의 버스승강장 승객 알림장치는,
감지센서를 통해서 대기승객 유무를 판단하고, 판단된 대기승객정보는 버스승강장에 설치된 알림등은 물론 무선통신에 의해 근접하는 버스에도 정보를 제공하여 버스운전자가 대기승객에 대한 정보를 쉽게 파악해 정차 또는 무정차 통과가 이루어지게 한 것이다.
또한, 버스는 버스승강장으로부터 대기승객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버스승강장의 승객알림장치가 비정상으로 판단하여 관리서버를 통해 점검이 이루어지게 하는 등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유용한 장치의 제공이 가능하게 되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버스승강장 승객 알림장치를 도시한 전체 개략도 및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와 연계된 버스승강장 승객 알림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버스승강장 승객 알림장치를 도시한 전체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버스승강장 승객 알림장치(10)는, 버스승강장(80)에 설치되어 버스승강장 내의 대기승객 유무를 감지한는 감지센서(20)와; 상기 버스승강장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신호가 감지되면 즉시 발광하고, 감지신호를 전달받지 못하면 일정시간 후 소등되어 버스운전자에게 신호를 전달하는 알림등(30)과;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알림등에 제공하게 하거나, 감지신호가 없을 경우 일정시간 후 알림등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제어장치(40)와; 상기 제어장치와 연결되어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승강장으로 접근하는 버스에게 무선송출시키는 승강장무선송수신장치(50)와; 상기 버스승강장으로 접근하는 버스에 설치되어 승강장무선송수신장치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버스운전자에게 대기승객이 있음을 알리는 버스내정보제공장치(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감지센서(20)은 버스승강장의 내부에 설치되는 하나 또는 다수개의 센서이며, 대표적으로는 동작감지센서를 다수 설치하여 버스승강장 내의 움직임을 감지하도록 하거나, 무게센서로 구성하여 버스승강장 내의 의자에 설치되어 의자에 앉으면 이를 감지하여 대기승객의 유부가 감지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를 복합적으로 활용하여 동작감지센서의 감지가 지속적으로 감지되면서 무게센서의 감지가 이루어지면 대기승객이 존재한 것으로 판단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영상카메라를 센서로 사용하여 버스승강장 내부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 중에 사람 형체를 프로그램을 통해 판별하여 사람이 존재한 것으로 판별되면 대기승객이 있는 것으로 신호를 보낼 수 있다.
상기 알림등(30)은 외부에 설치되어 버스운전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는 구조로 설치된다. 예컨대 버스승강장 일측에 기둥을 설치하고 기둥의 상부에 알림등을 설치하여 원거리에서도 버스운전자가 확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알림등(30)을 도시된 바와같이 버스승강장 지붕측면에 형성하여 대기승객의 존재유무를 지붕측면의 발광을 통해 알리게 할 수 있는 등 다양한 위치에 설치하여 알림기능을 제공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40)는, 감지센서(20)과 알림등(30)의 전원공급을 단속하게 한다. 제어장치에는 전원공급부가 연결되며, 전원공급부는 상시전원을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하거나, 2차전지를 이용하여 충전된 전원을 공급하게 할 수 있다. 상기 2차전지로 전원공급부를 구성할 경우 전원공급부의 충전은 상시전원에 의한 충전 또는 태양광에 의한 충전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상기 태양광을 이용할 경우 태양전지를 버스승강장의 일측에 설치하여 전원공급부를 충전시키게 한다.
상기 승강장무선송수신장치(50)는, 감지센서로부터 측정된 버스승강장 내부의 대기승객 존재여부에 대한 정보를 외부로 무선송출하여 접근하는 버스가 무선송출범위 내로 접근시 정보를 제공받게 할 수 있다. 제공되는 대기승객정보는 대기승객이 있을 경우와 없을 경우 모두 무선송출하여 버스로의 정보제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버스내정보제공장치(60)는, 버스운전자의 계기판 일측에 알림수단이 형성되어 버스운전자가 육안 또는 음성으로 확인이 이루어지게 하며, 계기판 이외에 다양한 위치에 알림수단을 설치하여 알림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상기 알림수단은 대표적으로 점멸 표시등(61) 및/또는 스피커(62)로 구성하여 시각적 청각적 정보전달이 이루어지게 한다.
또한 상기 버스내정보제공장치(60)는, 버스(90)내에 별도로 설치된 보조제어장치일 수 있으며, 보조제어장치에는 무선송수신부와, GPS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GPS신호에 따라 버스승강장과의 거리에 따라 송수신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상기 버스승강장의 제어장치(40)과 버스의 버스내정보제공장치(60)의 통신방식으로는, 먼저 제어장치는 승강장무선송수신장치의 전파범위내에서 지속적으로 대기승객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전파범위 내로 버스가 진입하면 버스의 버스내정보제공장치가 상기 대기승객정보를 수신하여 표시등이나 스피커를 통해서 운전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방식으로는 버스는 GPS신호를 분석하여 고정된 버스승강자에 일정거리 접근하면 버스의 버스내정보제공장치로부터 버스승강장의 제어장치로 대기승객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요청을 받은 버스승강장의 제어장치는 지속적으로 감지된 최신 대기승객정보를 버스로 전송하여 대기승객정보를 제공하게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버스승강장의 제어장치(40)은 버스(90)로부터 대기승객정보를 요청받으면 그 시점에서 감지센서(20)을 통해 확인하고 그 결과값을 대기승객정보로서 버스에 전송되게 하여 버스승강장 내의 감지센서가 필요시에만 작동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40)은 버스(90)의 GPS신호를 전송받아 승강장으로 접근하는 버스에만 대기승객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버스승강장으로 접근하거나 이탈하는 것을 판단하는 기준으로 상기 GPS신호 이외에 다양한 공지된 기술을 적용하여 판단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버스(90)에는 수신받은 대기승객정보의 대기승객유무를 서로 다른 표시등(61)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대기승객이 있을 경우 파란색등을 발광하고, 대기승객이 없는 경우 빨간색등을 발광하는 방법으로 정상적으로 버스정류장으로부터 정보를 전송받아 발광이 이루어졌음을 확인하게 할 수 있다.
아울러 버스승강장의 제어장치(40)은 대기승객이 있는 상태에서 버스가 근접할 경우 알림등(30)을 수회 점멸시켜 버스운전자에게 대기승객이 있음을 인지시켜 버스를 버스승강장에 정차하게 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한 바와같이 상기 버스내정보제공장치(60)는, 대기승객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버스승강장의 정보를 수집하여 관리서버(70)로 전송해 해당 버스승강장이 신속하게 점검을 받을 수 있도록 조치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70)로의 정보전송은 버스 이동중 관리서버와 무선통신이 연결되면 전송이 이루어지게 하거나, 버스차고지에 도달하면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전송되게 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정보전달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10 : 승객알림장치
20 : 감지센서
30 : 알림등
40 : 제어장치
50 : 승강장무선송수신장치
60 : 버스내정보제공장치
61 : 표시등 62 : 스피커
70 : 관리서버
80 : 버스승강장
90 : 버스

Claims (5)

  1. 버스승강장에 설치되어 버스운전자에게 대기승객 유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버스승강장 승객 알림장치에 있어서,
    버스승강장(80)에 설치되어 버스승강장 내의 대기승객 유무를 감지한는 감지센서(20)와;
    상기 버스승강장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신호가 감지되면 즉시 발광하고, 감지신호를 전달받지 못하면 일정시간 후 소등되어 버스운전자에게 신호를 전달하는 알림등(30)과;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알림등에 제공하게 하거나, 감지신호가 없을 경우 일정시간 후 알림등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제어장치(40)와;
    상기 제어장치와 연결되어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승강장으로 접근하는 버스에게 무선송출시키는 승강장무선송수신장치(50)와;
    상기 버스승강장으로 접근하는 버스(90)에 설치되어 승강장무선송수신장치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버스운전자에게 대기승객이 있음을 알리는 버스내정보제공장치(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승강장 승객 알림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40)은 승강장무선송수신장치(50)의 전파범위 내로 버스(90)이 진입하면 버스승강장 내의 대기승객정보를 버스의 버스내정보제공장치(60)로 전달하고,
    버스내정보제공장치(60)는, 수신받은 대기승객정보의 대기승객유무를 서로 다른 표시등(61) 발광 또는 스피커(62) 음성출력에 의해 버스운전자에게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승강장 승객 알림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내정보제공장치(60)는, 대기승객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버스승강장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는 관리서버(70)로 전송하여 해당 버스승강장을 점검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승강장 승객 알림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40)는,
    버스의 GPS신호를 전송받아 승강장으로 접근하는 버스에만 대기승객정보를 버스에 제공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승강장 승객 알림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40)는, 버스가 근접할 경우 알림등(30)을 수회 점멸시켜 버스운전자가 쉽게 인지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승강장 승객 알림장치.
KR1020210019904A 2021-02-15 2021-02-15 버스승강장 승객 알림장치 KR202201167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9904A KR20220116712A (ko) 2021-02-15 2021-02-15 버스승강장 승객 알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9904A KR20220116712A (ko) 2021-02-15 2021-02-15 버스승강장 승객 알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6712A true KR20220116712A (ko) 2022-08-23

Family

ID=83092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9904A KR20220116712A (ko) 2021-02-15 2021-02-15 버스승강장 승객 알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1671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7990B1 (ko) * 2023-04-28 2023-09-13 주식회사 에이치투테크 버스 정류장 승차 대기 표시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5067B1 (ko) 2006-09-04 2009-02-23 주식회사 미로 버스 승강장용 대기 승객 유무 알림 장치
KR102008441B1 (ko) 2018-02-28 2019-08-07 학교법인 순천성심학원 버스승강장의 대기승객 유무 알림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5067B1 (ko) 2006-09-04 2009-02-23 주식회사 미로 버스 승강장용 대기 승객 유무 알림 장치
KR102008441B1 (ko) 2018-02-28 2019-08-07 학교법인 순천성심학원 버스승강장의 대기승객 유무 알림표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7990B1 (ko) * 2023-04-28 2023-09-13 주식회사 에이치투테크 버스 정류장 승차 대기 표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50708B2 (en) Moving object control apparatus, moving object control method, and moving object
KR101869391B1 (ko) 지능형 주차 관리 시스템
KR20170111837A (ko) 비콘을 이용한 통학차량 탑승관리 시스템
KR20170066942A (ko)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
KR20220116712A (ko) 버스승강장 승객 알림장치
KR102185373B1 (ko) 자동차용 안전 및 비상 신호 표시 시스템
JP2017174203A (ja) 運行管理システム
JP7110935B2 (ja) 停止位置制御装置、停止位置制御方法、及び停止位置制御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0910313B1 (ko) 영상 정보를 이용한 어린이 운송차량용 어린이 보호 시스템
KR102217424B1 (ko) 자율주행 대용량 간선 급행버스의 승객 안전성 확보를 위한 정류장 지원시스템
JP2020091574A (ja) 車両及び通知方法
US20180190126A1 (en) Method, registration device and vehicle control node for guidance of a transport vehicle
KR102282909B1 (ko) 버스 하차벨 원격 시스템
KR101243679B1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버스 안내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2155668B1 (ko) 대중 교통수단 내의 분실물 발생 정보를 제공하는 분실물 알림장치
KR101994171B1 (ko) 버스 도착 알림 시스템
US20200401964A1 (en) Support system and support method
US20220315061A1 (en) Vehicle control device, vehicle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101826639B1 (ko) 차량 운행 종료 후 미하차 인원 알림 장치 및 그 방법
KR101027420B1 (ko) 열차 운행안내 시스템
KR20160008931A (ko) 음성안내 시스템
KR101718064B1 (ko) 대중교통 수단의 탑승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18195094A (ja) 搭乗通知システム、管理装置、端末装置、および搭乗通知方法
US20230251824A1 (en) Voice guidance method
KR101653640B1 (ko) 블루투스를 활용한 안심택시 서비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