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8441B1 - 버스승강장의 대기승객 유무 알림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버스승강장의 대기승객 유무 알림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8441B1
KR102008441B1 KR1020180024315A KR20180024315A KR102008441B1 KR 102008441 B1 KR102008441 B1 KR 102008441B1 KR 1020180024315 A KR1020180024315 A KR 1020180024315A KR 20180024315 A KR20180024315 A KR 20180024315A KR 102008441 B1 KR102008441 B1 KR 1020084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enger
bus
waiting
display unit
bus st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4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선
배도혁
이성제
백창록
박휘
손병민
조계인
강두안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 순천성심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 순천성심학원 filed Critical 학교법인 순천성심학원
Priority to KR1020180024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84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8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84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provided with indicators in which a mark progresses showing the time elapsed, e.g. of green phas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04H1/1211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승강장의 대기승객 유무 알림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버스승강장으로 다가오는 버스의 운전자가 버스승강장에 대기승객의 유무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버스승강장의 대기승객 유무 알림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버스승강장의 대기승객 유무 알림표시장치는 버스승강장에 설치되어 버스승강장 내의 대기승객 유무를 감지하는 적외선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승객감지부와, 버스승강장으로 다가오는 버스 운전자가 시각적으로 식별이 가능하도록 상기 버스승강장 주위에 설치되는 승객표시부와, 승객감지부로부터 승객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승객표시부를 통해 버스운전자에게 대기승객이 있음을 표시하는 제어부와, 버스승강장에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광전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버스승강장의 대기승객 유무 알림표시장치{displaying apparatus informing existence of passenger in bus platform}
본 발명은 버스승강장의 대기승객 유무 알림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버스승강장으로 다가오는 버스의 운전자가 버스승강장에 대기승객의 유무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버스승강장의 대기승객 유무 알림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시 주변의 외곽도로나 시골길의 도로의 경우, 야간에는 인적이 드물고 차량의 통행량 또한 비교적 적은 편이다. 또한, 이러한 도로에 설치된 버스정류장의 경우, 야간에는 승차하거나 하차하는 승객이 적고, 심지어 어떤 버스정류장에서는 승하차하는 승객이 전혀 없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야간에 도시 주변의 외곽도로나 시골길의 도로를 운행중인 버스는 고속으로 주행하는 경우가 많으며, 승하차 승객이 없다고 판단되는 버스정류장에서는 정차하지 않고 버스정류장을 그대로 지나치는 경우가 많다.
그 결과, 야간에 버스정류장에서 버스를 대기중인 승객은 기다리던 버스가 정류장을 정차하지 않고 그대로 통과하여 버스에 탑승하지 못하게 되는 경험을 자주하게 된다. 이러한 경험을 한 승객은 통상 야간에는 길가로 나와서 버스를 기다리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에도 버스운전기사가 대기중인 승객을 미처 보지 못하고 그대로 지나치기 쉬우며, 대기중인 승객을 뒤늦게 발견하여 급정거를 하기도 한다. 또한, 도시 주변의 외곽도로나 시골길의 도로에는 가로등이 없는 곳이 많기 때문에, 심한 경우에는 대기중인 승객이 버스에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매우 높다. 따라서, 야간에 도시 주변의 외곽도로나 시골길의 도로를 운행중인 버스의 운전자가 버스정류장에서 승객이 대기중임을 원거리에서도 쉽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절실하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96110에는 버스정류장에 대기중인 승객의 유무를 표시하는 정류장표지판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정류장 표지판은, 버스정류장에 대기중인 승객이 있음을 표시하기 위하여 점등되는 램프, 버스정류장에서 대기중인 승객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승객감지센서, 램프를 점등시키기 위한 스위치, 버스정류장에 대기중인 승객이 없는 것으로 상기 승객감지센서에서 감지될 경우 상기 램프를 소등시키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정류장 표지판은 야간에 램프를 점등시켜 버스운전자에게 승객의 유무를 알려줄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승객의 조작에 의해 램프를 점등시켜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램프 점등 방식만으로는 주간에는 식별력이 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396110호: 버스정류장에 대기중인 승객의 유무를 표시하는 정류장표지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버스승강장으로 다가오는 버스의 운전자가 버스승강장의 대기승객 유무를 야간뿐만 아니라 주간에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버스승강장의 대기승객 유무 알림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버스승강장의 대기승객 유무 알림표시장치는 버스승강장에 설치되어 버스승강장 내의 대기승객 유무를 감지하는 적외선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승객감지부와; 상기 버스승강장으로 다가오는 버스 운전자가 시각적으로 식별이 가능하도록 상기 버스승강장 주위에 설치되는 승객표시부와; 상기 승객감지부로부터 승객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승객표시부를 통해 버스운전자에게 대기승객이 있음을 표시하는 제어부와; 상기 버스승강장에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광전지;를 구비하고, 상기 승객표시부는 지면에 설치되어 일정 높이로 형성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의 상부에 설치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헤드부의 전면으로 햇빛이 비추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커버를 구비하며, 상기 헤드부는 전면이 개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광원과,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설치되는 광확산시트와, 상기 광확산시트에 부착되는 문양시트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승객감지부는 상기 버스승강장에 설치되는 열화상카메라와, 상기 버스승강장의 내부에 설치되는 벤치에 장착된 로드셀을 더 구비하고, 상기 승객표시부는 주간에 버스 운전자의 식별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식별력향상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식별력향상수단은 상기 지주의 측면에 인입되게 형성된 측면식별실과, 상기 측면식별실에 설치되는 측면발광패널과, 상기 측면식별실에 설치되어 상기 측면발광패널의 주위에서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움직이는 요동부를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면에서 일정한 높이로 승객표시부를 설치하고 햇빛 차단커버를 장착함으로써 주간에 식별력을 높은 버스승강장의 대기승객 유무 알림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주의 측면에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움직이는 요동부를 설치함으로써 주간에 버스 운전자의 식별력을 더욱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적외선감지센서 외에도 로드셀과 열화상카메라를 장착함으로써 버스승강장 내에 대기승객의 유무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버스승강장의 대기승객 유무 알림표시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버스승강장의 대기승객 유무 알림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버스승강장의 대기승객 유무 알림표시장치에 적용된 요부를 발췌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버스승강장의 대기승객 유무 알림표시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버스승강장의 대기승객 유무 알림표시장치는 버스승강장(1)에 설치되는 승객감지부(10)와, 버스승강장(1)으로 다가오는 버스 운전자가 시각적으로 식별이 가능하도록 버스승강장(1) 주위에 설치되는 승객표시부(20)와, 승객감지부(10)로부터 승객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승객표시부(20)를 통해 버스운전자에게 대기승객이 있음을 표시하는 제어부(50)와, 버스승강장(50)에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광전지(60)를 구비한다.
승객감지부(10)는 버스승강장(1)에 설치된다. 가령, 버스승강장(1)의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
승객감지부(10)는 버스승강장(1) 내의 대기승객 유무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승객감지부(10)의 일 예로 적외선감지센서를 들 수 있다. 적외선감지센서는 대기승객의 움직임을 감지함으로써 승객유무를 파악한다.
또한, 승객감지부(10)는 적외선감지센서 외에 로드셀과, 열화상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감지센서의 경우 보도를 지나는 행인에 의해서 오작동될 수 있다. 또한, 적외선감지센서는 대기승객이 움직이지 않을 경우 감지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보완하기 위해 로드셀과 열화상카메라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드셀은 벤치의 시트부(5)에 설치된다. 로드셀은 시트부(5)에 가해지는 무게에 의해 벤치에 앉아있는 대기승객의 유무를 파악할 수 있다.
열화상카메라는 버스승강장(1)의 내측에 설치된다. 열화상 카메라로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infrared thermal camera)를 이용할 수 있다.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는 적외선을 흡수하여 열 화상 이미지로 출력한다. 열화상 카메라는 인체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감지하여 버스승강장(1)의 내측 또는 외측에 대기하고 있는 대기승객들의 유무를 정확히 확인할 수 있다.
승객감지부(10)에서 대기승객을 감지하면 제어부(50)로 승객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제어부(50)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각종 구동회로들로 이루어진다. 승객감지부(10)에서 승객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50)는 감지정보를 획득하여 승객표시부(20)를 통해 버스승강장(1)으로 다가오는 버스 운전자에게 대기승객이 있음을 표시한다.
승객표시부(20)는 대기승객이나 버스 운전자의 눈에 잘 띌 수 있도록 버스승강장(1) 주위에 설치된다. 승객표시부(20)는 버스승강장(1)으로 다가오는 버스 운전자에게 대기승객의 유무를 시각적으로 식별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시된 승객표시부(20)는 지면에 설치되어 일정 높이로 형성되는 지주(21)와, 지주(21)의 상부에 설치되는 헤드부(23)와, 헤드부(23)의 상부에 설치되어 헤드부(23)의 전면으로 햇빛이 비추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커버(26)를 구비한다.
지주(21)는 일정한 높이로 설치되다. 지주(21)의 하부는 지면에 고정된다.
헤드부(23)는 지주(21)의 상부에 설치된다. 헤드부(23)는 전면이 개방된 하우징(25)과, 하우징(25)의 내부에 설치되는 광원과, 하우징(25)의 전면에 설치되는 광확산시트(27)와, 광확산시트(27)에 부착되는 문양시트(29)를 구비한다.
광원으로 방수기능을 갖는 LED모듈을 이용할 수 있다. 광확산시트(27)는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하우징(25)의 전면에 설치된다. 광확산시트(27)는 광원에서 발생된 광을 넓게 확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광확산시트(27)로 폴리카보네이트 소재를 이용할 수 있다. 광확산시트(27)는 반투명한 초록색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광확산시트(27)의 전면에는 문양시트(29)가 부착된다. 문양시트(29)는 흰색이 바람직하다. 문양시트(29)는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문양시트(29)는 얇은 비닐을 재단하여 앉아있는 사람의 형상을 도안화시킨 것이다. 초록색의 광확산시트(27)에 부착된 흰색의 문양시트(29)는 시인성을 높인다.
차단커버(26)는 하우징(25)의 상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차단커버(26)는 헤드부(23)의 전면으로 햇빛이 비추는 것을 차단하여 주간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태양광전지(60)는 버스승강장(1)의 지붕에 설치된다. 이와 달리 승객표시부(20)의 지주(21)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태양광전지(60)는 전기에너지를 생성하여 전원을 공급한다. 태양광전지(60)에서 생성된 전기에너지는 배터리(65)에 저장된 후 제어부(50), 광원 등을 구동하는 전원으로 이용된다.
버스승강장(1)에 대기승객이 있으면 승객감지부(10)가 이를 감지하고 승객감지신호를 제어부(50)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50)는 승객표시부(20)의 광원에 전원을 공급하여 헤드부(23)의 전면으로 빛을 조사한다. 이에 따라 광확산시트(27)가 발광하면서 버스운전자가 이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버스가 도착하여 대기승객들이 모두 승차하여 버스승강장(1)에 대기승객이 없게 되면, 이를 승객감지부(10)가 감지하고, 이러한 감지신호에 의해 제어부(50)는 승객표시부(20)의 광원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오프시킨다.
그리고 주야간을 감지하기 위해 조도센서(15)가 버스승강장(1)이나 승객표시부(20)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버스승강장(1)에서 대기하고 있는 대기승객에게 승객표시부(20)의 작동여부를 음성으로 안내하기 위한 음성출력부(7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음성출력부(70)는 버스승강장(1) 내부에 설치되는 스피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50)는 승객감지부(10)를 통해 대기승객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스피커를 통해 대기승객을 감지하였음을 음성으로 안내한다. 이를 통해 대기승객은 안심하고 버스승강장(1) 내에서 버스를 기다릴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승객표시부는 주간에 버스 운전자의 식별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식별력향상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식별력향상수단은 지주(21)의 측면에 인입되게 형성된 측면식별실(80)과, 측면식별실(80)에 설치되는 측면발광패널(81)과, 측면식별실(80)에 설치되어 측면발광패널(81)의 주위에서 규칙적으로 움직이는 요동부(90)를 구비한다.
측면식별실(80)은 지주(21)의 측면에 형성된다. 측면식별실(80)은 지주(21)의 측면에 일정깊이로 인입되어 형성된다.
측면식별실(80)에는 측면발광패널(81)이 설치된다. 측면발광패널(81)은 사각의 판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측면발광패널(81)은 내부에 다수의 LED모듈이 장착되어 측면식별실(80)의 바깥방향으로 빛을 조사한다. 측면발광패널(81)은 제어부에 의해 온오프가 제어된다.
요동부(90)는 측면식별실(80)에 설치되어 움직인다. 일 예로, 요동부(90)는 측면식별실(80)에 상하로 길게 설치되는 회전축(91)과, 회전축(91)에 결합된 회전날개(95)와, 회전축(91)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를 구비한다.
회전축(91)의 상부는 구동모터와 연결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구동모터는 지주(21)의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축(91)의 상부와 연결된다. 구동모터는 제어부에 의해 작동이 제어된다.
회전축(91)의 하부는 지주(21)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된다.
회전날개(95)는 회전축(91)에 결합된다. 회전날개(95)는 회전축(91)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굽어진 형태의 곡면으로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S자 형태를 갖는다.
상술한 요동부는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날개(95)가 일정한 속도로 회전한다. 이러한 규칙적인 움직임에 의해 운전자는 주간에도 대기승객의 유무를 매우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또한, 회전날개(95)는 측면발광패널(81)에서 발산되는 빛의 방향을 규칙적으로 변화시켜 빛에 의한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날개(95)에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면을 형성시킬 수 있다. 가령, 회전날개(95)의 양면 중 일면에 반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반사면이 형성된 회전날개가 회전하면 시인성이 더욱 향상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버스승강장 10: 승객감지부
20: 승객표시부 50: 제어부
60: 태양전지

Claims (2)

  1. 삭제
  2. 버스승강장에 설치되어 버스승강장 내의 대기승객 유무를 감지하는 적외선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승객감지부와;
    상기 버스승강장으로 다가오는 버스 운전자가 시각적으로 식별이 가능하도록 상기 버스승강장 주위에 설치되는 승객표시부와;
    상기 승객감지부로부터 승객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승객표시부를 통해 버스운전자에게 대기승객이 있음을 표시하는 제어부와;
    상기 버스승강장에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광전지;를 구비하고,
    상기 승객표시부는 지면에 설치되어 일정 높이로 형성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의 상부에 설치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헤드부의 전면으로 햇빛이 비추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커버를 구비하며,
    상기 헤드부는 전면이 개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광원과,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설치되는 광확산시트와, 상기 광확산시트에 부착되는 문양시트를 구비하며,
    상기 승객감지부는 상기 버스승강장에 설치되는 열화상카메라와, 상기 버스승강장의 내부에 설치되는 벤치에 장착된 로드셀을 더 구비하고,
    상기 승객표시부는 주간에 버스 운전자의 식별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식별력향상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식별력향상수단은 상기 지주의 측면에 인입되게 형성된 측면식별실과, 상기 측면식별실에 설치되는 측면발광패널과, 상기 측면식별실에 설치되어 상기 측면발광패널의 주위에서 규칙적으로 움직이는 요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승강장의 대기승객 유무 알림표시장치.
KR1020180024315A 2018-02-28 2018-02-28 버스승강장의 대기승객 유무 알림표시장치 KR1020084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4315A KR102008441B1 (ko) 2018-02-28 2018-02-28 버스승강장의 대기승객 유무 알림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4315A KR102008441B1 (ko) 2018-02-28 2018-02-28 버스승강장의 대기승객 유무 알림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8441B1 true KR102008441B1 (ko) 2019-08-07

Family

ID=67621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4315A KR102008441B1 (ko) 2018-02-28 2018-02-28 버스승강장의 대기승객 유무 알림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8441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6925B1 (ko) 2020-07-30 2021-04-30 주식회사 제이브이지 통합 버스 정보 및 질병 관리 시스템과 방법
KR20210088204A (ko) 2020-01-06 2021-07-14 오남기 버스정류장 승객 대기 정보시스템
KR102366978B1 (ko) * 2021-07-19 2022-02-25 김희원 감염 예방 시스템
KR102369957B1 (ko) * 2021-06-18 2022-03-04 이피코리아(주) 이용자 수와 체류시간을 고려한 스마트 버스 승강장의 자동제어 시스템
KR20220051454A (ko) 2020-10-19 2022-04-26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버스의 탑승 알림 장치
KR102411254B1 (ko) * 2022-02-25 2022-06-23 이피코리아(주) 스마트 버스 승강장
KR20220116712A (ko) 2021-02-15 2022-08-23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버스승강장 승객 알림장치
KR102443723B1 (ko) * 2021-06-18 2022-09-16 이피코리아(주) 이용자 수와 체류시간을 고려한 스마트 버스 승강장의 자동제어 시스템
KR20230030243A (ko) * 2021-08-25 2023-03-06 김인선 정류장 표시 장치
KR102658884B1 (ko) 2023-08-14 2024-04-18 주식회사 에스티엘 버스 정류장의 조명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7505U (ko) * 1998-09-09 2000-04-25 신창식 교통안전표지등
JP2002146732A (ja) * 2000-11-13 2002-05-22 Marukoto:Kk 広拡散自発光デリニエーター
KR200396110Y1 (ko) 2005-06-30 2005-09-15 고성윤 버스정류장에 대기중인 승객의 유무를 표시하는 정류장표지판
KR100885067B1 (ko) * 2006-09-04 2009-02-23 주식회사 미로 버스 승강장용 대기 승객 유무 알림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7505U (ko) * 1998-09-09 2000-04-25 신창식 교통안전표지등
JP2002146732A (ja) * 2000-11-13 2002-05-22 Marukoto:Kk 広拡散自発光デリニエーター
KR200396110Y1 (ko) 2005-06-30 2005-09-15 고성윤 버스정류장에 대기중인 승객의 유무를 표시하는 정류장표지판
KR100885067B1 (ko) * 2006-09-04 2009-02-23 주식회사 미로 버스 승강장용 대기 승객 유무 알림 장치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8204A (ko) 2020-01-06 2021-07-14 오남기 버스정류장 승객 대기 정보시스템
KR102246925B1 (ko) 2020-07-30 2021-04-30 주식회사 제이브이지 통합 버스 정보 및 질병 관리 시스템과 방법
KR20220051454A (ko) 2020-10-19 2022-04-26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버스의 탑승 알림 장치
KR20220116712A (ko) 2021-02-15 2022-08-23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버스승강장 승객 알림장치
KR102369957B1 (ko) * 2021-06-18 2022-03-04 이피코리아(주) 이용자 수와 체류시간을 고려한 스마트 버스 승강장의 자동제어 시스템
KR102443723B1 (ko) * 2021-06-18 2022-09-16 이피코리아(주) 이용자 수와 체류시간을 고려한 스마트 버스 승강장의 자동제어 시스템
KR102443724B1 (ko) * 2021-06-18 2022-09-16 이피코리아(주) 스마트 버스 승강장의 자동제어 시스템
US11682301B2 (en) 2021-06-18 2023-06-20 E.P. Korea Co., Ltd. Automatic control system of smart bus platform considering the number of users and staying time
KR102366978B1 (ko) * 2021-07-19 2022-02-25 김희원 감염 예방 시스템
KR20230030243A (ko) * 2021-08-25 2023-03-06 김인선 정류장 표시 장치
KR102539204B1 (ko) * 2021-08-25 2023-06-01 김인선 정류장 표시 장치
KR102411254B1 (ko) * 2022-02-25 2022-06-23 이피코리아(주) 스마트 버스 승강장
KR102658884B1 (ko) 2023-08-14 2024-04-18 주식회사 에스티엘 버스 정류장의 조명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8441B1 (ko) 버스승강장의 대기승객 유무 알림표시장치
US20070001872A1 (en) Emergency response warning system
JP4081511B2 (ja) 歩行者誘導用路面標示装置
KR101250868B1 (ko) 횡단보도 조명용 볼라드
KR101219104B1 (ko) 횡단보도용 가로등 장치
KR102409589B1 (ko) 교체설치가 용이한 도로안내표지판
KR102058668B1 (ko) 스마트 차선정보 표시 시스템
KR102274056B1 (ko) 스마트 도로경계석 커버
JP2000290940A (ja) 路面標示システム
KR102336634B1 (ko) 스마트 발광 표지판
KR102303061B1 (ko) 장애인 전동보장구용 안전삼각대 장치
KR102358600B1 (ko) 저에너지 풍력발전식 조명난간
KR20160012595A (ko) 도로용 표지판
KR20220032239A (ko) 광고판이 구성된 접이식 벤치
JP5603312B2 (ja) 停電時対応型自発光標識
KR200396110Y1 (ko) 버스정류장에 대기중인 승객의 유무를 표시하는 정류장표지판
CN207210986U (zh) 一种反射镜装置
KR20170089527A (ko) 태양광을 이용한 안내판 겸용 볼라드
JPS60239894A (ja) 案内顕示装置
CN213773041U (zh) 一种道路工程施工用警示装置
KR20210004026A (ko) 쉘터
CN111578199B (zh) 一种集多功能一体化的智慧灯具
KR20150077500A (ko) 경고표시 및 주의표시를 위한 표시판이 구비된 도로반사경
KR20150064398A (ko) 스쿨존의 안전경고 장치
KR101201880B1 (ko) 태양광 반사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