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9957B1 - 이용자 수와 체류시간을 고려한 스마트 버스 승강장의 자동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용자 수와 체류시간을 고려한 스마트 버스 승강장의 자동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9957B1
KR102369957B1 KR1020210079290A KR20210079290A KR102369957B1 KR 102369957 B1 KR102369957 B1 KR 102369957B1 KR 1020210079290 A KR1020210079290 A KR 1020210079290A KR 20210079290 A KR20210079290 A KR 20210079290A KR 102369957 B1 KR102369957 B1 KR 102369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helter
information
users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9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해용
Original Assignee
이피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피코리아(주) filed Critical 이피코리아(주)
Priority to KR1020210079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9957B1/ko
Priority to KR1020220025123A priority patent/KR102443723B1/ko
Priority to KR1020220025136A priority patent/KR1024437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9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9957B1/ko
Priority to US17/890,204 priority patent/US11682301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04H1/1211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022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for sensing the radiation of moving bodies
    • G01J5/0025Living bod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70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 G08G1/13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within the vehicle ; Indicators inside the vehicles or at sto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2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roads, paths or the lik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48Infrared im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196Human being; Pers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242Counting objects in image

Abstract

스마트 버스 승강장의 자동제어 시스템은 쉼터에 구비된 복수의 전자 기기와, 제어부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쉼터 내부의 이용자의 인원 수 및 체류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바탕으로 복수의 전자 기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기를 조절한다.

Description

이용자 수와 체류시간을 고려한 스마트 버스 승강장의 자동제어 시스템{Automatic control system of smart bus platform considering the number of users and staying time}
실시예는 스마트 버스 승강장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실시예는 이용자 수와 체류시간을 고려한 스마트 버스 승강장의 자동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버스는 현대 사회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대중 교통 수단으로서, 이용자들을 도시 간이나 도시 내의 지역 간으로 신속히 이동시켜 주고 있다.
이용자들은 자신이 탑승하고자 하는 버스가 버스 승강장에 도착하기 전에 미리 버스 승강장에 도착하여 해당 버스가 도착할 때까지 기다린다. 이러한 기다림이 적게는 몇 초에서 많게는 수 십 분에 이르고 있다.
하여, 통상 버스 승강장에 벤치가 구비되어 이용자들이 버스를 기다리는 동안 앉아 쉴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벤치는 외부에 노출되어 비가 오거나 햇볕이 뜨거운 경우, 벤치에 앉아있기 힘들다.
이에 따라, 버스 승강장에 천장이 있거나 측벽이 있는 간이 쉼터가 구비되고 해당 쉼터에 벤치가 구비되어, 비나 햇볕으로부터 간이 쉼터 내의 이용자를 보호해 줄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간이 쉼터는 전방이 개방되어 있어, 여전이 겨울철의 혹한으로부터의 추위나 해 질 녘에 비스듬하게 내리쬐는 강한 햇볕이나 사선으로 내리는 강한 빗줄기로부터 간이 쉼터 내의 이용자를 보호해 줄 수 없다.
최근에 간이 쉼터에 히터나 냉방기가 구비되어 이용자의 편의를 증진시켜 주고 있다. 하지만, 간이 쉼터의 전방이 개방되어 히터에 의한 보온 효과와 냉방기에 의한 냉방 효과를 기대한 만큼 얻기 힘들 뿐만 아니라 히터나 냉방기의 전력 낭비가 심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 출입문을 갖고 내부가 밀폐된 쉼터가 구비된 버스 승강장에 개발되고 있다. 밀폐된 쉼터에 의해 이용자들은 외부의 추위나 더위와 같은 환경 조건에 관계없이 쾌적하게 버스를 기다릴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밀폐된 쉼터의 쾌적한 실내 환경으로 인해, 노숙자와 같은 비정상 이용자가 해당 쉼터를 운영하지 않는 심야 시간대에 해당 쉼터에서 노숙하여, 해당 쉼터를 더럽히거나 악취가 나게 하는 문제점이 예상되고 있다.
아울러, 이러한 비정상 이용자는 버스 운행 시간대에 해당 쉼터에 버스 탑승 이용자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해당 쉼터에 강제적으로 들어가 쉬거나 음주 가무, 고성 방가 등으로 소란을 피워 해당 쉼터를 버스 탑승 이용자가 이용하지 않게 되어, 쉼터의 사용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해당 비정상 이용자가 쉼터에 있는 동안 시민의 신고로 통제 요원이 출동하더라도, 통제 요원이 해당 쉼터 근처에 상주하지 않는 이상 해당 통제 요원이 해당 쉼터에 도착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걸려 비정상 이용자가 이미 해당 쉼터로부터 도주하여 검거하지 못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통제 요원을 쉼터에 상주시켜야 하는데, 이러한 경우 인건비가 증가되어 쉼터의 운영에 어려움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예상된다.
아울러, 쉼터 내에 있는 이용자들의 인원 수나 이용자들의 체류 시간에 따라 밀폐된 쉼터의 환경 조건이 변하게 된다. 예컨대, 각종 전자 기기가 작동되는데, 이들 각종 전자 기기는 고정된 설정값에 맞춰 동작되고 있을 뿐이다. 이에 반해, 쉼터 내에 있는 이용자 수가 증가하거나 감소함에 따라, 쉼터 내의 온도, 공기 질, 공기 오염도 등이 달라진다. 예컨대, 쉼터 내의 이용자 수가 많아지면, 이용자 각각에서 방출되는 열로 인해 쉼터 내의 온도가 증가된다.
또한, 쉼터 내의 이용자 수가 많아지면, 이용자 각각에 묻어 있는 미세 먼지나 이용자 각각에서 발생되는 냄새 등으로 인해 쉼터 내의 공기 질이나 공기 오염이 악화된다.
하지만, 종래에는 밀폐형 쉼터가 제대로 제공되지 못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밀폐된 쉼터 내의 이용자들의 인원 수나 이용자들의 체류 시간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기 설정된 값에 맞춰 동작되는 경우, 쉼터 내의 쾌적함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예상되고 있다.
또한 종래에 버스 무정차를 방지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기는 하였으나, 제대로 문제해결을 하지 못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버스 운전기사가 승강장에 있는 버스 승객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일방향 방식 수준에 머물고 있으며, 해당 버스를 탑승하고자 하는 승객정보가 해당 버스 운전기사에 알릴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실시예는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시예의 다른 목적은 비정상 이용자를 용이하게 쉼터 내부로 들어가지 못하게 하거나 쉼터 밖으로 퇴출시킬 수 있는 스마트 버스 승강장의 자동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실시예의 또 다른 목적은 이용자의 인원 수나 체류 시간을 고려하여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스마트 버스 승강장의 자동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실시예의 또 다른 목적은 버스 운전 기사가 버스 승강장에 진입하기 전에 해당 버스 승강장에서의 탑승 정보를 미리 확인할 수 있는 스마트 버스 승강장의 자동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의 기술적 과제는 본 항목에 기재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의 설명을 통해 파악될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스마트 버스 승강장의 자동제어 시스템은, 상기 쉼터에 구비된 복수의 전자 기기;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쉼터 내부의 이용자의 인원 수 및 체류 시간을 바탕으로 상기 복수의 전자 기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기를 조절한다.
이를 통해 실시예는 이용자 수와 체류시간을 고려한 스마트 버스 승강장의 자동 제어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버스 승강장의 자동제어 시스템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정상 이용자에 한해 쉼터 내부로 들어가고 비정상 이용자는 쉼터에 들어가지 못하도록 하여, 쉼터의 쾌적환 환경 유지와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고 쉼터 내에 휴식을 취하는 이용자를 비정상 이용자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이용자가 정상인지 또는 비정상인지를 여러 단계에 걸쳐 판단하도록 하여 비정상 이용자의 판별 정확도를 향상시켜 잘못 오판단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문제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외부에서 제2 공간으로 들어가기 전에 제1 공간을 경유하도록 하고 제1 공간에서 이용자에 묻어 있는 미세 먼지 등이 제거되어 이용자가 최대한 깨끗한 상태로 제2 공간으로 들어갈 수 있으므로, 휴식 공간인 제2 공간의 오염 관리가 용이하며 제2 공간에서 휴식을 취하는 이용자들도 쾌적한 상태에서 휴식을 즐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이용자의 인원 수나 체류 시간을 바탕으로 복수의 전자 기기를 조절함으로써, 실내 환경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어, 이용자의 쉼터 사용 가능성을 높여 쉼터의 대중화를 앞당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쉼터 내의 실내 환경을 항상 쾌적하고 최적화할 수 있다.
한편, 전자 기기가 자주 조절되어, 수시로 쉼터의 실내 환경이 변하는 경우, 쉼터 내에 이용자들에게 오히려 불쾌감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너무 빈번하게 복수의 전자 기기가 조절되지 않도록 하여, 소비 전력을 줄이고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해당 스마트 버스 승강장에서 도착 예정 버스에 탑승할 탑승 예정 인원 정보가 해당 버스로 송신됨으로써, 해당 버스의 운전 기사는 해당 스마트 버스 승강장에 승객을 태우기 위해 정차해야 하는지와 해당 스마트 버스 승강장에서 몇 명이 탑승할지를 사전에 파악할 수 있어 운전 기사의 운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스마트 버스 승강장에 진입하는 버스의 운전 기사가 잘 볼 수 있도록 쉼터의 외측에 설치된 제2 디스플레이부 상에 해당 스마트 버스 승강장에서 해당 버스에 탑승할 탑승 예정 인원 수 정보를 디스플레이됨으로써, 해당 운전 기사는 자신의 버스에 탑승할 탑승객이 있는지 여부와 몇 명이 탑승할지 여부를 쉽게 파악하여 운전 기사의 운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실시예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은 특정 실시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버스 승강장을 도시한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버스 승강장의 쉼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버스 승강장의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버스 승강장에서 쉼터의 제1 관리 방법을 설명한다.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버스 승강장에서 쉼터의 제2 관리 방법을 설명한다.
도 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버스 승강장에서 쉼터의 제3 관리 방법을 설명한다.
도 7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버스 승강장에서 쉼터의 제4 관리 방법을 설명한다.
도 8은 정상 이용자와 비정상 이용자를 판단하기 위한 설정값을 도시한다.
도 9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버스 승강장에서 쉼터의 제5 관리 방법을 설명한다.
도 10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버스 승강장에서 쉼터의 제6 관리 방법을 설명한다.
도 1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버스 승강장에서 쉼터의 제7 관리 방법을 설명한다.
도 12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버스 승강장에서 쉼터의 제1 관리 방법을 설명한다.
도 13은 도 12의 S1230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4는 룩업 테이블의 제1 예시도이다.
도 15는 룩업 테이블의 제2 예시도이다.
도 1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버스 승강장에서 쉼터의 제2 관리 방법을 설명한다.
도 17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버스 승강장에서 쉼터의 제3 관리 방법을 설명한다.
도 18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버스 승강장에서 쉼터의 제4 관리 방법을 설명한다.
도 19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버스 승강장에서 쉼터의 제5 관리 방법을 설명한다.
도 20은 쉼터에서 각 버스로 탑승자 정보를 송신하는 모습을 도시한다.
도 21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버스 승강장에서 쉼터의 제6 관리 방법을 설명한다.
도 22는 제2 디스플레이부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모습을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층, 영역 또는 기판과 같은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on)'에 존재하는 것으로 언급될 때, 이것은 직접적으로 다른 요소 상에 존재하거나 또는 그 사이에 다른 중간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는 것을 포함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버스 승강장을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버스 승강장은 쉼터(10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란 쉼터(100)의 기능이 종전에 비해 현저히 향상됨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실시예의 쉼터(100)는 각 종 전자 기기가 구비되어, 해당 각 종 전자 기기의 동작으로 쾌적한 실내 환경이 조성될 수 있다. 예컨대, 실시예의 쉼터(100)는 외부의 통신이 가능하여 쉼터(100)나 예컨대 중앙 관제 센터와 실시간 또는 양방향 통신이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다. 중앙 관제 센터는 각 스마트 버스 승강장마다 설치된 쉼터(100)를 종합적 또는 체계적으로 관리할 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중앙 관제 센터에 인공 지능 엔진이 설치되고 각 쉼터(100)에 다양한 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각 쉼터(100)의 다양한 센서로부터 획득된 각종 감지 신호가 중앙 관제 센터로 송신되고, 중앙 관제 센터의 인공 지능 엔진은 이러한 각종 감지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각 쉼터(100)의 상황을 정밀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인공 지능 엔진의 수행 결과로서, 각 쉼터(100)의 화재 가능성, 전기 누전 가능성, 각 종 전자 기기의 고장 가능성, 조명의 교체 시기 등이 정밀하게 모니터링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의 제어부(도 3의 120)의 기능이 모두 중앙 관제 센터의 인공 지능 엔진으로 대체될 수도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쉼터(100)는 일부에 유리창(160a, 160b)이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유리창은 전방 유리창(160a)과 측부 유리창(160b)을 포함할 수 있다. 전방 유리창(160a)과 측부 유리창(160b)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유리창(160a, 160b)은 물리적 지지 강도가 우수한 물질로 형성되어, 물리적 충격에 의해 깨지지 않을 수 있다. 유리창(160a, 160b)은 투명도가 우수한 물질로 형성되어, 내부에서 외부 또는 외부에서 내부가 잘 보일 수 있다. 유리창(160a, 160b)으로 인해 쉼터(100) 내에 있는 이용자가 자신이 탑승할 버스의 도착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쉼터(100)의 전방 유리창(160a)과 측부 유리창(160b)이 만나는 영역은 라운드 형상을 가질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쉼터(100) 내에는 다양한 편의 시설이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쉼터(100) 내에는 다양한 형태의 벤치나 의자가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쉼터(100) 내에는 다양한 형태의 책상이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쉼터(100) 내에는 다양한 곳에 스마트폰, 노트북과 같은 각종 무선 기기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기가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쉼터(100) 내에는 다양한 책이 구비되는 선반이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쉼터(100) 내에는 커피를 구입할 수 있는 커피 머신이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쉼터(100) 내에는 고령자나 장애우를 위한 맞춤 의자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쉼터(100)는 제1 디스플레이부(161)와 제2 디스플레이부(162)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부(161)와 제2 디스플레이부(16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부는 플렉서블 특성이나 스트레쳐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부(161)은 예컨대, 측부 유리창(160b)의 내측면 상에 설치될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예컨대, 제1 디스플레이부(161)는 쉼터(100) 내의 이용자에게 홍보할 수 있는 광고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디스플레이부(161)는 쉼터(100) 내의 이용자에게 긴급시 대피할 수 있는 가이드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디스플레이부(161)는 쉼터(100) 내의 이용자의 편의를 위해 현재 해당 스마트 버스 승강장으로 진입 예정인 버스에 대한 버스 목록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버스의 타입(마을 버스, 일반 버스, 광역 버스, 고속 버스 등), 버스의 차량 번호 정보, 해당 버스의 잔여 좌석 수, 도착 예정 시간 정보, 도착 소요 시간 정보 등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컨대, 가장 먼저 도착 예정인 버스 관련 정보가 제1 디스플레이부(161)의 맨 위에 위치되고, 도착 순서가 늦을수록 해당 버스 관련 정보가 제1 디스플레이부(161)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지만, 이와 반대로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예컨대, 해당 버스가 해당 스마트 버스 승강장에 도착하면, 해당 버스 관련 정보가 제1 디스플레이부(161) 상에서 제거되거나 사라질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부(162)는 예컨대, 전방 유리창(160a)의 일 영역의 외측면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디스플레이부(162)는 쉼터(100) 내의 이용자가 전방을 보는데 방해되지 않도록 전방 유리창(160a)의 우측 상측에 설치될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예컨대, 제2 디스플레이부(162)는 쉼터(100) 밖의 이용자가 쉼터(100) 주변을 지나가는 이용자에게 홍보할 수 있는 광고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디스플레이부(162)는 해당 스마트 버스 승강장을 포함된 지방자치단계나 중앙 정부에서 쉼터(100) 밖의 이용자가 쉼터(100) 주변을 지나가는 이용자에게 전달하고 싶은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컨대, 지방자치단체나 중앙 정부에서 현재 시행하고 있는 정책이나 향후 추진할 예정인 정책에 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특히, 제2 디스플레이부(162)는 나중에 설명하겠지만, 버스 목록 정보와 더불어 해당 버스에 탑승할 탑승 예정 인원 수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디스플레이부(162)를 통해 탑승 예정 인원 수 정보가 디스플레이됨으로써, 해당 버스 승강장에 도착한 버스의 운전 기사는 해당 스마트 버스 승강장에서 자신의 버스에 탑승할 이용자가 있는지 해당 이용자가 있다면 탑승할 인원이 몇 명인지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예컨대, 특정 버스의 탑승 예정 인원 수가 0명인 경우, 특정 버스가 해당 스마트 버스 승강장에 진인하면, 해당 버스의 운전 기사는 제2 디스플레이부(162)를 통해 자신의 버스를 탑승할 인원이 없음을 확인하고 정차하지 않고 곧바로 출발할 수 있어 동시에 여러 대의 버스가 스마트 버스 승강장에 도착하여 발생될 수 있는 혼란을 해소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실시예의 쉼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버스 승강장의 쉼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버스 승강장의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버스 승강장의 쉼터(100)는 제1 공간(100A) 및 제2 공간(10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공간(100A)과 제2 공간(100B)은 쉼터(100)를 구분한 물리적 공간으로서, 제1 공간(100A)과 제2 공간(100B) 각각은 밀폐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공간(100A)은 외부의 이용자가 제2 공간(100B)으로 가기 위한 경유 공간이고, 제2 공간(100B)은 이용자를 위한 휴식 공간일 수 있다. 제1 공간(100A)은 단지 경유 공간이므로 휴식을 위한 제2 공간(100B)보다 비교적은 적은 면적을 가질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쉼터(100)가 큰 사이즈를 갖는 경우, 제1 공간(100A)은 구불구불한 통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버스 승강장의 쉼터(100)는 제1 출입문(141), 제2 출입문(142) 및 제3 출입문(143)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출입문(141)은 제1 공간(100A)의 외측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출입문(141)을 통해 쉼터(100) 밖의 이용자는 제1 공간(100A)으로 진입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출입문(142)은 제1 공간(100A)과 제2 공간(100B)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공간(100A)과 제2 공간(100B) 사이는 제2 출입문(142)을 제외하고 벽이 설치되어, 제1 공간(100A)과 제2 공간(100B)이 물리적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출입문(141)과 제2 출입문(142)이 닫힌 경우, 제1 공간(100A)은 밀폐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출입문(142)을 통해 제1 공간(100A)의 이용자는 제2 공간(100B)으로 진입할 수 있다.
예컨대, 제3 출입문(143)은 제2 공간(100B)의 외측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출입문(142)을 통해 제2 공간(100B)의 이용자는 쉼터(100) 밖으로 나갈 수 있다.
예컨대, 제1 출입문(141)과 제3 출입문(143)은 쉼터(100)의 후방에 설치될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예컨대, 제1 출입문(141)은 쉼터(100)의 좌측에 설치되고, 제3 출입문(143)은 쉼터(100)의 우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제1 출입문(141), 제2 출입문(142) 및 제3 출입문(143) 각각은 슬라이딩식 문이거나 미닫이 문일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제1 출입문(141), 제2 출입문(142) 및 제3 출입문(143) 각각은 이용자의 식별 여부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되는 자동문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출입문(141), 제2 출입문(142) 및 제3 출입문(143) 주변에 이용자를 감지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용자 감지 센서(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쉼터(100)에서 쉬고자 하는 이용자는 제1 출입문(141), 제1 공간(100A) 및 제2 출입문(142)을 경유하여 제2 공간(100B)에 진입하여, 제2 공간(100B)에서 자신이 탑승하고자 하는 버스가 도착할 때까지 휴식을 취할 수 있다. 예컨대, 자신이 탑승하고자 버스가 해당 스마트 버스 승강장에 도착 예정이거나 도착한 경우, 해당 이용자는 제3 출입문(143)을 통해 쉼터(100) 밖으로 나갈 수 있다.
한편, 쉼터(1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카메라(111 내지 113), 냄새 센서(115), 복수의 전자 기기(151 내지 154), 복수의 디스플레이부(161, 162), 복수의 출력부(181 내지 184) 및 에어 샤워기(19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기기들은 제어부(120)에 연결되어, 제어부(120)의 제어 하에 제어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20)는 복수의 카메라(111 내지 113)나 냄새 센서(115)로부터 획득된 각종 입력 데이터를 바탕으로 복수의 전자 기기(151 내지 154), 복수의 디스플레이부(161, 162), 복수의 출력부(181 내지 184) 및 에어 샤워기(190)가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카메라는 제1 출입문(141) 근처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카메라(111), 제2 공간(100B)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카메라(112) 및 제2 출입문(142) 근처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카메라(113)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카메라(111)는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해 포커스되어, 서로 다른 방향 상의 피사체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카메라(111) 중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제1 이용자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제1 이용자 정보는 제1 카메라(111)에 의해 획득되거나 해당 영상이 제어부(120)로 제공되어 제어부(120)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예컨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카메라(112)는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해 포커스되어 서로 다른 방향 상의 피사체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카메라(112) 중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제2 이용자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제2 이용자 정보는 제2 카메라(112)에 의해 획득되거나 해당 영상이 제어부(120)으로 제공되어 제어부(120)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예컨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카메라(113)는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해 포커스되어 서로 다른 방향 상의 피사체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카메라(113) 중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제3 이용자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제3 이용자 정보는 제3 카메라(113)에 의해 획득되거나 해당 영상이 제어부(120)으로 제공되어 제어부(120)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카메라(111)는 제1 출입문(141)으로 다가오는 이용자에 관한 제1 이용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이용자 정보는 이용자의 외형 정보로서, 예컨대, 이용자의 머릿결 상태, 옷 상태, 얼굴의 상태, 팔이나 다리의 상태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예컨대, 이용자의 머릿결이 헝클어져 있어가 삐쭉삐쭉 솟은 상태인 경우, 해당 이용자의 위생 상태가 불결할 수 있다. 예컨대, 이용자의 옷에 먼지나 흙이 묻어 있거나 옷이 꾸져겨 있는 경우, 해당 이용자의 위생 상태가 불결할 수 있다.
예컨대, 이용자의 얼굴에 심하게 베인 상처가 있거나 팔이나 다리에 흉측한 문신이 있는 경우, 해당 이용자는 주변 사람들에게 공포감을 줄 수 있다. 나중에 설명하겠지만, 제1 카메라(111)에 의해 획득된 제1 이용자 정보는 해당 이용자가 비정상 이용자인지를 판단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비정상 이용자라 함은 해당 쉼터(100)에 들어와서는 안되는 이용자로서, 예컨대, 악취가 심한 사람, 노숙자, 남에게 겁을 줄 수 있는 문신을 한 사람, 술에 취한 사람, 마약한 사람 등일 수 있다. 이들 비정상 이용자가 해당 쉼터(100)로 들어온 경우, 다른 이용자가 해당 쉼터(100)를 사용하지 않게 되어 해당 쉼터(100)의 설치 의미가 퇴색해질 수 있다.
예컨대, 제2 카메라(112)는 제2 공간(100B)으로 들어온 이용자에 관한 제2 이용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나중에 설명하겠지만, 제2 카메라(112)에 의해 획득된 제2 이용자 정보는 해당 이용자가 비정상 이용자인지를 판단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제2 이용자 정보는 이용자의 행동 양상 정보일 수 있다. 제2 공간(100B), 즉 휴식 공간에 들어온 이용자는 다양한 형태로 휴식을 취할 수 있다.
통상 정상적인 이용자는 의자에 얌전히 앉아 스마트폰을 보거나 주변을 응시한다. 이에 반해, 비정상 이용자, 예컨대 노숙자는 제2 공간(100B)의 아무 곳에 기대거나 앉거나 눕는다. 예컨대, 음주자는 술병을 들고 술을 마시거나 소리를 지르거나 이유 없이 주변 사람에게 시비를 건다. 따라서, 제2 카메라(112)에 의해 획득된 제2 이용자 정보를 토대로 해당 이용자가 비정상 이용자인지를 판단될 수 있다.
제2 카메라(112)는 이용자의 행동 양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어떤 카메라도 무방하며, 예컨대 열화상 카메라, 적외선 카메라, 동영상 카메라, CCT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카메라(112)가 열화상 카메라인 경우, 열화상 카메라에 의해 이용자가 식별 가능하므로, 제2 카메라(112)를 이용하여 제2 공간(100B) 내에 있는 이용자의 인원 수가 획득될 수 있다. 이러한 이용자의 인원 수는 나중에 설명하겠지만, 복수의 전자 기기(151 내지 154)를 조절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제3 카메라(113)는 제3 출입문(143)으로 다가오는 제3 이용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3 카메라(113)는 제3 출입문(143)으로 다가오는 이용자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센서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제3 카메라(113)에 의해 획득된 이용자의 거리는 해당 이용자가 제3 출입문(143)으로 들어갈 수 없음을 해당 이용자에게 알려주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냄새 센서(115)는 제1 공간(100A)으로 들어온 이용자에 관한 냄새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냄새 센서(115)에 의해 획득된 냄새 정보는 해당 이용자가 비정상 이용자인지를 판단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냄새 정보로는 이용자로부터 유발된 땀 냄새, 겨드랑이 냄새, 발 냄새, 이용자에 묻어 있는 악취 냄새 등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비정상 이용자가 쉼터(100)에 들어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실시예는 비정상 이용자인지 여부를 명확히 판단하고 또한 해당 비정상 이용자를 쉼터(100) 밖으로 퇴출하도록 다양한 실시예를 개시하였다. 즉, 실시예에서는 3차에 걸쳐 이용자가 비정상 이용자인지를 판단하여, 해당 이용자가 비정상 이용자인 경우 해당 이용자가 쉼터(100) 밖으로 나가게 한다.
예컨대, 1차적으로, 제1 카메라(111)에 의해 획득된 제1 이용자 정보를 토대로 이용자가 비정상 이용자인지를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해당 이용자를 퇴출할 수 있다. 예컨대, 2차적으로, 냄새 센서(115)에 의해 획득된 냄새 정보를 토대로 이용자가 비정상 이용자인지를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해당 이용자를 퇴출할 수 있다. 예컨대, 3차적으로, 제2 카메라(112)에 의해 획득된 제2 이용자 정보를 토대로 이용자가 비정상 이용자인지를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해당 이용자를 퇴출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출력부(181 내지 184)는 재1 출입문 근처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출력부(181), 제1 공간(100A)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출력부(182), 제2 공간(100B)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출력부(183) 및 제2 출입문(142) 근처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 출력부(184)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출력부(181), 제2 출력부(182) 및 제3 출력부(183) 각각은 스피커일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예컨대, 제1 출력부(181)는 제1 출입문(141)으로 다가오는 이용자에게 경고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출입문(141)으로 다가오는 이용자가 비정상 이용자인 경우, 제1 출력부(181)를 통해 경고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출력부(182)는 제1 공간(100A)에 있는 이용자에게 경고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공간(100A)에 있는 이용자가 비정상 이용자인 경우, 제2 출력부(182)를 통해 경고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예컨대, 제3 출력부(183)는 제2 공간(100B)에 있는 이용자에게 경고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공간(100B)에 있는 이용자가 비정상 이용자인 경우, 제3 출력부(183)를 통해 경고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예컨대, 제4 출력부(184)는 제2 출입문(142)을 다가오는 이용자에게 경고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내지 제3 출력부(183) 각각을 통해 출력되는 경고 정보는 이용자가가 쉼터(100) 밖으로 나가라는 경고인데 반해, 제4 출력부(184)를 통해 출력되는 경고 정보는 제4 출력부(184)는 오로지 밖으로 나가기만 하는 문으로서 제4 출입문을 통해 들어올 수 없음에 관한 경고일 수 있다. 예컨대, 경고 정보는 음성으로 출력될 수 있지만, 문자나 다른 전달 방법으로 출력될 수도 있다.
한편, 제1 내지 제4 출력부(184) 각각을 통해 버스 도착 관련 정보가 출력될 수도 있다.
한편, 복수의 전자 기기(151 내지 154)는 제2 공간(100B)에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전자 기기(151 내지 154)는 제2 공간(100B), 즉 휴식 공간의 쾌적성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각종 전자 기기일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전자 기기는 제1 전자 기기(151), 제2 전자 기기(152), 제3 전자 기기(153) 및 제4 전자 기기(15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자 기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UV 살균기(151)로서, 예컨대 제2 공간(100B)의 천장에 설치될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제2 전자 기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 청정기(152)로서, 예컨대 제2 공간(100B)의 천장에 설치될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제3 전자 기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냉난방기(153)로서, 예컨대 제2 공간(100B)의 일측 벽에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냉난방기(153)는 쉼터(100)의 후방에 해당하는 제2 공간(100B)의 일측 벽에 설치될 수 있다. 제4 전자 기기는 복수의 조명(154)으로서, 제2 공간(100B)의 천장에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LED 조명, 형광등, 램프 등 다양한 조명이 제2 공간(100B)의 천장이나 제2 공간(100B)의 벽에 설치될 수 있다. 도면에는 설명의 편의상, 복수의 전자 기기로서 UV 살균기(151), 공기 청정기(152), 냉난방기(153) 및 조명(154)이 도시되고 있지만, 실시예는 이보다 더 많은 전자 기기(151 내지 154)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컨대, 이들 UV 살균기(151), 공기 청정기(152), 냉난방기(153) 및 조명(154)은 제어부(120)의 제어 하에 레벨 별로 또는 가변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레벨은 UV 살균기(151), 공기 청정기(152), 냉난방기(153) 및 조명(154) 각각에 설정된 세기 레벨로서 복수의 세기 레벨이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20)의 제어 하에 이들 UV 살균기(151), 공기 청정기(152), 냉난방기(153) 및 조명(154) 각각은 현재 동작되는 레벨에서 더 높거나 더 낮은 레벨로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20)의 제어 하에 이들 UV 살균기(151), 공기 청정기(152), 냉난방기(153) 및 조명(154) 각각은 가변적으로 동작될 수 있다. 즉, UV 살균기(151), 공기 청정기(152), 냉난방기(153) 및 조명(154) 각각에 별도의 레벨이 설정되지 않아 제어부(120)에서 제공된 제어값에 따라 UV 살균기(151), 공기 청정기(152), 냉난방기(153) 및 조명(154) 각각의 세기가 증가되거나 작아지도록 동작될 수 있다. 나중에 설명하겠지만, 이들 UV 살균기(151), 공기 청정기(152), 냉난방기(153) 및 조명(154) 각각은 쉼터(100) 내부의 이용자의 인원 수 및 체류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바탕으로 레벨 별로 또는 가변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디스플레이부(161, 162)는 쉼터(100) 내부, 예컨대 좌측의 유리창 내측면 상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디스플레이부(161) 및 쉼터(100) 외부, 예컨대 전방 유리창(160a)의 일 영역의 외측면 상에 설치된 제2 디스플레이부(1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부(161) 및 제2 디스플레이 정보를 다양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디스플레이부(161)는 스마트 버스 승강장으로 진입 예정인 버스 목록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스마트 버스 승강장으로 진입 예정인 버스 목록이 디스플레이됨으로써, 쉼터(100) 내의 이용자는 자신이 탑승하고자 하는 버스와 관련된 정보를 용이하게 취득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디스플레이부(162)는 버스 목록 정보와 더불어 해당 버스에 탑승할 탑승 예정 인원 수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디스플레이부(162)를 통해 탑승 예정 인원 수 정보가 디스플레이됨으로써, 해당 버스 승강장에 도착한 버스의 운전 기사는 해당 스마트 버스 승강장에서 자신의 버스에 탑승할 이용자가 있는지 해당 이용자가 있다면 탑승할 인원이 몇 명인지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한편, 에어 샤워기(190)는 제1 공간(100A)에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에어 샤워기(190)는 제1 공간(100A)의 천장 및/또는 벽에 설치될 수 있다.
쉼터(100) 밖의 이용자가 휴식을 취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제1 공간(100A)을 경유하여 제2 공간(100B)으로 가야 한다. 제2 공간(100B)은 이용자를 위한 휴식 공간이므로, 제2 공간(100B)에 들어온 이용자는 깨끗한 상태로 제2 공간(100B)으로 들어와야, 제2 공간(100B)의 환경이 오염되지 않고 쾌적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에어 샤워기(190)는 제1 공간(100A)에 들어온 이용자를 향해 에어를 분사하여 줌으로써, 해당 이용자의 얼굴이나 옷에 뭍은 먼지 등을 제거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1 공간(100A)의 바닥에는 상기 이용자로부터 제거된 먼지를 배출시킬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기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공간(100A)에서 미세 먼지 등이 제거되어 깨끗한 상태로 제2 공간(100B)으로 들어갈 수 있으므로, 제2 공간(100B)의 오염을 최대한 줄여, 제2 공간(100B)의 오염 관리가 용이하며 제2 공간(100B)에 들어온 이용자들도 쾌적한 상태에서 휴식을 즐길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버스 승강장의 쉼터(100)는 제어부(120), 저장부(130) 및 통신부(135)를 포함한다. 제어부(120), 저장부(130) 및 통신부(135)는 도 2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쉼터(100)의 내측이나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쉼터(100)의 전반적인 관리 및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실시예로서, 제어부(120)는 제1 카메라(111)에 의해 획득된 제1 이용자 정보, 냄새 센서(115)에 의해 획득된 냄새 정보 및 제2 카메라(112)에 의해 획득된 제2 이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바탕으로 이용자가 비정상 이용자인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이용자가 비정상 이용자인 경우 제1 내지 제3 출력부(183)를 통해 이용자에게 경고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제1 실시예는 도 4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예컨대, 제2 실시예로서, 제어부(120)는 쉼터(100) 내부의 이용자이 인원 수 및 체류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바탕으로 복수의 전자 기기(151 내지 15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기를 조절할 수 있다. 제2 실시예는 도 12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저장부(130)는 이용자의 인원 수 및 이용자의 체류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가중치를 포함하는 룩업 테이블(도 14의 131, 도 15의 132)정값을 획득하는데 사용되는 값으로써, 이 보정값을 이용하여 복수의 전자 기기(151 내지 15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기가 조절될 수 있다. 나중에 제2 실시예의 설명시 도 14 및 도 15로 도시된 룩업 테이블(131, 132)로 한다.
한편, 통신부(135)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와 통신하도록 한다. 예컨대, 통신부(135)를 통해 쉼터(100)는 중앙 관제 센터에 연결되어, 중앙 관제 센터로부터 제어 명령을 받거나 쉼터(100)에서 획득된 각종 감지 신호를 중앙 관제 센터로 송신할 수 있다. 아울러, 통신부(135)는 근거리 무선 통신이나 무선 와이파이 등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로서, 제어부(120)는 제1 카메라(111)에 의해 획득된 제1 이용자 정보, 냄새 센서(115)에 의해 획득된 냄새 정보 및 제2 카메라(112)에 의해 획득된 제2 이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바탕으로 이용자가 비정상 이용자인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이용자가 비정상 이용자인 경우 제1 내지 제3 출력부(183)를 통해 이용자에게 경고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제1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실시예]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버스 승강장에서 쉼터(100)의 제1 관리 방법을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용자가 제1 출입문(141)으로 다가오는 경우, 제1 출입문(141) 근처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카메라(111)는 해당 이용자에 관한 제1 이용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410).
이용자가 제1 출입문(141)을 통해 쉼터(100)의 제1 공간(100A)으로 들어온 경우, 제1 공간(100A)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냄새 센서(115)는 제1 공간(100A)에 들어온 이용자에 관한 냄새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420).
이용자가 제2 출입문(142)을 통해 쉼터(100)의 제2 공간(100B)으로 들어온 경우, 제2 공간(100B)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카메라(112)는 제2 공간(100B)으로 들어온 이용자에 관한 제2 이용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430).
제1 이용자 정보, 냄새 정보 및/또는 제2 이용자 정보는 제어부(120)로 제공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제1 이용자 정보, 냄새 정보 및 제2 이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바탕으로 이용자가 비정상 이용자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S440).
제1 이용자 정보는 토대로 제1 출입문(141) 근처로 다가온 이용자의 외형 정보로서 이 외형 정보를 근거로 이용자가 비정상 이용자인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예컨대, 해당 이용자의 머릿결이 헝클어져 있어가 삐쭉삐쭉 솟은 상태인 경우, 이용자의 옷에 먼지나 흙이 묻어 있거나 옷이 꾸겨져 있는 경우 또는 이용자의 얼굴에 심하게 베인 상처가 있거나 팔이나 다리에 흉측한 문신이 있는 경우, 해당 이용자는 쉼터(100)의 제2 공간(100B)으로 들어가서는 안되는 비정상 이용자로 판단될 수 있다.
냄새 정보는 예컨대, 냄새 정보로는 이용자로부터 유발된 땀 냄새, 겨드랑이 냄새, 발 냄새, 이용자에 묻어 있는 악취 냄새 등이 있다. 예컨대, 제1 공간(100A)으로 들어온 이용자로부터 심한 땀 냄새나 악취 냄새가 나는 경우, 해당 이용자는 쉼터(100)의 제2 공간(100B)으로 들어가서는 안되는 비정상 이용자로 판단될 수 있다.
제2 이용자 정보는 이용자의 행동 양상 정보일 수 있다. 예컨대, 이용자가 아무 곳에서나 앉거나 눕는 경우 또는 이용자가 술병을 들거나 술을 마시거나 소리를 지르는 경우, 이용자는 비정상 이용자로 판단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판단 결과 이용자가 비정상 이용자인 경우, 제1 내지 제3 출력부(183)를 통해 이용자에게 경고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S450). 제1 내지 제3 출력부(183) 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부를 통해 경고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출력부(183) 각각은 스피커일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이용자가 제2 공간(100B)에 있는 경우, 경고 정보는 문자로서 제2 공간(100B)의 실내에 설치된 제1 디스플레이부(161)를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버스 승강장에서 쉼터의 제2 관리 방법을 설명한다.
도 2,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용자가 제1 출입문(141)으로 다가오는 경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카메라(111)는 제1 이용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510). S510은 도 4에 도시된 S410과 동일할 수 있다. 제1 이용자 정보는 제어부(120)로 제공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제1 이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이용자가 비정상 이용자일 확률을 획득할 수 있다(S520). 해당 확률은 미리 설계된 알고리즘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예컨대, 이용자로부터 추출되는 불결한 영역의 개수나 불결한 영역의 사이즈를 토대로 해당 확률이 산출될 수 있다. 예컨대, 불결한 영역의 개수가 많거나 불결한 영역의 사이즈가 클수록 해당 이용자가 비정상 이용자일 확률은 커질 수 있다.
제어부(120)는 상기 획득된 확률이 제1 설정값보다 큰지를 판단할 수 있다(S530).
제어부(120)는 상기 획득된 확률이 제1 설정값보다 큰 경우, 제1 출입문(141)의 개방을 차단하여(S540), 쉼터(100) 밖의 이용자가 쉼터(100) 내의 제1 공간(100A)으로 들어가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상기 획득된 확률이 제1 설정값보다 큰 경우, 제1 출입문(141) 근처에 설치된 제1 출력부(181)를 통해 안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S550). 안내 정보는 제2 출력부(182)나 제3 출력부(183)를 통해 출력될 수도 있다.
S540과 S550은 서로 순서가 뒤바뀔 수도 있다. 즉 S550이 먼저 수행된 후, S540이 수행될 수 있다. 또는 S540과 S550은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획득된 확률이 제1 설정값 이하인 경우, 해당 이용자는 정상 이용자로 판단되고, 제어부(120)는 제1 출입문(141)을 개방하여 해당 이용자가 제1 공간(100A)으로 들어갈 수 있다.
따라서, 이용자는 쉼터(100) 밖에서 비정상 이용자인지가 판단되어, 정상 이용자에 한해 쉼터(100) 내부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하여, 쉼터(100)의 효율적인 관리와 쉼터(100) 내 이용자들의 편의성이나 쾌적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도 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버스 승강장에서 쉼터의 제3 관리 방법을 설명한다.
도 2, 도 3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용자가 제1 출입문(141)으로 다가오는 경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카메라(111)는 제1 이용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610). S610은 S410 또는 S510과 동일할 수 있다. 제1 이용자 정보는 제어부(120)로 제공될 수 있다.
이용자가 쉼터(100)의 제1 공간(100A)으로 들어온 경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냄새 센서(115)는 이용자에 관한 냄새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620). 이용자에 관한 냄새 정보가 제어부(120)로 제공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제1 이용자 정보 및 냄새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이용자가 비정상 이용자일 확률을 획득할 수 있다(S630).
제1 이용자 정보와 냄새 정보는 동일한 이용자로부터 획득된 정보일 수 있다. 해당 확률은 미리 설계된 알고리즘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이용자 정보와 냄새 정보를 수치화하거나 가중치를 부여하여, 해당 수치나 가중치를 더하거나 곱하여 해당 확률이 획득될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예컨대, 제1 이용자 정보에 의해서는 이용자가 비정상 이용자가 아니어서, 해당 이용자가 제1 출입문(141)을 통해 제1 공간(100A)으로 들어올 수 있다 하더라도, 제1 이용자 정보와 냄새 정보를 바탕으로 획득된 비정상 이용자일 확률에 의해 해당 이용자가 비정상 이용자로 판단될 수도 있다. 예컨대, 제1 이용자 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이용장의 외형에 흠결이 없어, 해당 이용자가 제1 출입문(141)을 통해 쉼터(100)의 제1 공간(100A)으로 들어올 수 있다. 하지만, 제1 공간(100A)에서 획득된 해당 이용자에 관한 냄새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이용자로부터 심한 악취가 나는 경우, 해당 이용자가 비정상 이용자로 판단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상기 획득된 확률이 제2 설정값보다 큰지를 판단할 수 있다(S640).
제어부(120)는 상기 획득된 확률이 제2 설정값보다 큰 경우, 제2 출입문(142)의 개방을 차단하여(S650), 제1 공간(100A)의 이용자가 제2 공간(100B)으로 들어가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상기 획득된 확률이 제2 설정값보다 큰 경우, 제1 공간(100A)에 설치된 제2 출력부(182)를 통해 안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S660). 안내 정보는 제1 출력부(181)나 제3 출력부(183)를 통해 출력될 수도 있다.
S650과 S660은 서로 순서가 뒤바뀔 수도 있다. 즉 S660이 먼저 수행된 후, S650이 수행될 수 있다. 또는 S650과 S660은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획득된 확률이 제2 설정값 이하인 경우, 해당 이용자는 정상 이용자로 판단되고, 제어부(120)는 제2 출입문(142)을 개방하여 해당 이용자가 제2 공간(100B)으로 들어갈 수 있다.
따라서, 이용자는 쉼터(100)의 제1 공간(100A)에서 비정상 이용자인지가 판단되어, 정상 이용자에 한해 쉼터(100)의 제2 공간(100B)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하여, 쉼터(100)의 효율적인 관리와 쉼터(100) 내 이용자들의 편의성이나 쾌적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도 7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버스 승강장에서 쉼터의 제4 관리 방법을 설명한다.
도 2, 도 3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용자가 제1 출입문(141)으로 다가오는 경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카메라(111)는 제1 이용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710). S710은 S410, S510 또는 S610과 동일할 수 있다. 제1 이용자 정보는 제어부(120)로 제공될 수 있다.
이용자가 제1 출입문(141)을 통해 쉼터(100)의 제1 공간(100A)으로 들어온 경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냄새 센서(115)는 이용자에 관한 냄새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720). S720은 S420 또는 S620과 동일할 수 있다. 이용자에 관한 냄새 정보가 제어부(120)로 제공될 수 있다.
이용자가 제2 출입문(142)을 통해 쉼터(100)의 제2 공간(100B)으로 들어온 경우, 제2 공간(100B)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카메라(112)는 제2 공간(100B)으로 들어온 이용자에 관한 제2 이용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730). S730은 S430과 동일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제1 이용자 정보, 냄새 정보 및 제2 이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이용자가 비정상 이용자일 확률을 획득할 수 있다(S740). 제1 이용자 정보, 냄새 정보 및 제2 이용자 정보는 동일한 이용자로부터 획득된 정보일 수 있다. 해당 확률은 미리 설계된 알고리즘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이용자 정보, 냄새 정보 및 제2 이용자 정보를 수치화하거나 가중치를 부여하여, 해당 수치나 가중치를 더하거나 곱하여 해당 확률이 획득될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제어부(120)는 상기 획득된 확률이 제3설정값보다 큰지를 판단할 수 있다(S750).
제어부(120)는 상기 획득된 확률이 제3 설정값보다 큰 경우, 제2 공간(100B)에 설치된 제3 출력부(183)를 통해 안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S760). 안내 정보는 제1 출력부(181)나 제2 출력부(182)를 통해 출력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획득된 확률이 제3 설정값 이하인 경우, 해당 이용자는 정상 이용자로 판단되고, 제어부(120)는 이용자의 퇴출과 관련한 어떠한 동작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이용자는 쉼터(100)의 제2 공간(100B)에서 비정상 이용자인지가 판단되어, 정상 이용자에 한해 쉼터(100)의 제2 공간(100B)에 머무를 수 있도록 하여, 쉼터(100)의 효율적인 관리와 쉼터(100) 내 이용자들의 편의성이나 쾌적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도 8은 정상 이용자와 비정상 이용자를 판단하기 위한 설정값을 도시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설정값(a)은 제2 설정값(b) 이상이고, 제2 설정값(b)은 제3 설정값(c) 이상일 수 있다.
제1 설정값(a)은 도 5의 S530에 도시된 제1 설정값이고, 제2 설정값(b)은 도 6의 S640에 도시된 제2 설정값이며, 제3 설정값(c)은 도 7에 도시된 S750에 설정된 제3 설정값일 수 있다.
도 5에서는 제1 이용자 정보만을 이용하여 이용자가 비정상 이용자인지를 판단하는 것이어서, 비정상 이용자의 판별 기준을 높이기 위해 제1 설정값(a)을 제2 설정값(b)이나 제3 설정값(c)보다 높게 설정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제1 이용자 정보뿐만 아니라 냄새 정보를 이용하여 비정상 이용자인지를 판단하므로, 도 5에서보다는 비정상 이용자 여부에 대한 정확도가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설정값(b)은 제1 설정값(a)보다 작게 설정하더라도 비정상 이용자 여부에 대한 정확도가 도 5에서보다 클 수 있다.
도 7에서는 제1 이용자 정보 및 냄새 정보뿐만 아니라 제2 이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비정상 이용자인지를 판단하므로, 도 5 및 도 6에서보다 비정상 이용자 여부에 대한 정확도가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설정값(c)는 제1 설정값(a) 또는 제2 설정값(b)보다 작게 설정하더라도 비정상 이용자 여부에 대한 정확도가 도 5 및 도 6에서보다 클 수 있다.
만일 제1 설정값(a), 제2 설정값(b) 및 제3 설정값(c) 모두 동일한 경우, 도 5보다는 도 6, 도 6보다는 도 7에서 비정상 이용자 여부에 대한 정확도가 더 커질 수 있다. 이용자가 제1 출입문(141)을 통해 쉼터(100)의 제1 공간(100A)으로 들어오더라도, 제1 공간(100A)에서 비정상 이용자로 판단될 수 있다. 또한 이용자가 쉼터(100)의 제2 공간(100B)으로 들어오더라도 제2 공간(100B)에서 비정상 이용자로 판단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르면, 쉼터(100) 밖, 쉼터(100)의 제1 공간(100A) 그리도 쉼터(100)의 제2 공간(100B)에서 순차적으로 비정상 이용자인지 여부가 판단되어, 비정상 이용자로 판단되는 즉시 해당 이용자가 쉼터(100) 밖으로 퇴출시킬 수 있어, 쉼터(100) 내의 이용자를 비정상 이용자로부터 보호할 수 있어 쉼터(100)의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도 9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버스 승강장에서 쉼터의 제5 관리 방법을 설명한다.
도 2, 도 3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용자가 제1 공간(100A)으로 진입한 경우(S910), 제어부(120)는 에어 샤워기(190)를 제어하여 이용자를 향해 에어가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에어 분사에 의해 이용자에 묻어 있는 미세 먼지 등이 제거될 수 있다. 이용자가 제1 공간(100A)으로 진입하는 것은 제1 출입문(141)의 개폐 센서(미도시)를 통해 감지될 수 있다. 쉼터(100) 밖의 이용자가 쉼터(100)의 제1 공간(100A)으로 들어가기 위해 제1 출입문(141)이 개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쉼터(100) 밖의 이용자에게 관하 제1 이용자 정보가 제1 카메라(111)에 의해 획득되고, 상기 획득된 제1 이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이용자가 정상 이용자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120)는 제1 출입문(141)을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1 출입문(141)이 개방되어 해당 이용자가 쉼터(100)의 제1 공간(100A)으로 들어갈 수 있다. 이때, 제1 출입문(141)이 개방이 개폐 센서에 의해 감지되고, 이 감지된 결과로서, 제어부(120)는 에어 샤워기(190)에서 에어가 분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출입문(141)을 통해 쉼터(100)의 제1 공간(100A)으로 들어온 이용자에 묻어 있는 이물질이나 미세 먼지 등이 에어 샤워기(190)에서 분사된 에어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카메라(111)에 의해 획득된 제1 이용자 정보를 통해 정상 이용자로 판단되어 제1 출입문(141)이 개방되어 쉼터(100)의 제1 공간(100A)으로 들어올 수 있다. 하지만, 제1 공간(100A)로 들어온 이용자에 묻어 있는 이물질에서 악취가 나는 경우, 제1 공간(100A)에 설치된 냄새 센서(115)에 의해 획득된 냄새 정보를 통해 해당 이용자가 비정상 이용자로 판단되어, 제2 공간(100B)으로 들어갈 수 없을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공간(100A)에서 에어 샤워기(190)에 의해 해당 이용자의 악취나는 이물질이 제거된 경우, 해당 이용자에 대해 비정상 이용자가 아닌 정상 이용자로 판단될 확률을 높여, 해당 이용자가 제2 공간(100B)으로 들어갈 수 있다. 따라서, 비정상 이용자에 대한 판별 정확도가 더욱 더 향상될 수 있다. 즉, 냄새 센서(115)는 해당 이용자가 제1 출입문(141)으로 들어와 제2 출입문(142)으로 다가설때까지 해당 이용자로부터 지속적으로 그리고 실시간으로 냄새 정보를 획득하여, 이와 같이 실시간으로 획득된 냄새 정보를 바탕으로 냄새의 강도가 파악되고, 이와 같이 파악된 냄새의 강도를 바탕으로 비정상 이용자인지가 판단될 수 있어, 비정상 이용자에 대한 판별 정확도가 더욱 더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상기 제1 공간(100A)에 공기 흡입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냄새 센서(115)는 상기 에어 샤워기(190)에 의해 이용자에 분사된 후 상기 공기 흡입부에 의해 포집된 이용자의 냄새가 포함된 공기를 분석하여 해당 이용자가 비정상 이용자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즉,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에어 샤워기(190)에 의해 이용자의 이물질이나 악취 등을 제거할 수 있는 기능뿐만 아니라 에어 샤워기(190)에 의해 이용자 신체 곳곳의 냄새를 공기 흡입부에 더욱 신속하게 포집되도록 함으로써 냄새 센서(115)에 의해 비정상 이용자 여부를 더욱 신속,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는 특별한 기술적 효과가 있다.
한편, 에어 샤워기(190)는 에어 대신에 향수와 같은 방향제가 분사되거나 에어와 방향제가 동시에 분사될 수도 있다.
도 10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버스 승강장에서 쉼터의 제6 관리 방법을 설명한다.
도 2, 도 3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용자가 쉼터(100) 밖, 쉼터(100)의 제1 공간(100A) 또는 쉼터(100)의 제2 공간(100B)에서 비정상 이용자로 판단되는 경우, 제1 출력부(181), 제2 출력부(182) 및 제3 출력부(18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력부를 통해 해당 이용자에게 경고 정보의 출력이 출력될 수 있다(S1010).
제어부(120)는 이용자가 쉼터(100) 밖으로 나갔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020). 이용자가 쉼터(100) 밖에 있는 경우라면 이용자가 제1 출입문(141) 근처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카메라(111)에 의해 영상이 촬상되지 않는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이용자가 쉼터(100) 밖으로 나갔는지 여부는 해당 이용자가 제1 공간(100A)에 있는 경우, 제2 출입문(142)의 개방이 차단되었으므로 제1 출입문(141)이 다시 개방되는지 여부로 판단될 수 있다. 이용자가 쉼터(100) 밖으로 나갔는지 여부는 해당 이용자가 제2 공간(100B)에 있는 경우, 제2 공간(100B)에서 이용자가 나갈 수 있는 제3 출입문(143)이 개방되었는지 여부로 판단될 수 있다. 제1 출입문(141) 또는 제3 출입문(143)의 개방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개폐 센서가 제1 출입문(141) 또는 제3 출입문(143)에 설치될 수 있다. 개폐 센서는 제2 출입문(142)에 설치될 수 있다.
이용자가 쉼터(100) 밖으로 나간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120)는 경고 정보의 출력을 중지할 수 있다(S1030).
이용자가 쉼터(100) 밖으로 나가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120)는 강제적 조치를 수행할 수 있다(S1040). 강제적 조치로서 불쾌한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악취액, 취루액이나 물을 분사하거나 연기를 분사할 수 있다.
악취액이나 취루액 등의 분사로 해당 이용자가 쉼터(100) 밖으로 나간 경우, 해당 공간, 예컨대 제1 공간(100A) 또는 제2 공간(100B)을 환기시켜 해당 불쾌한 냄새를 제거할 수 있다.
쉼터(100)의 제2 공간(100B)에 이미 휴식을 취하고 있는 이용자들이 있는 경우, 불쾌한 환경 조성보다는 다른 강제적 조치, 예컨대 중앙 관제 센터에 신고하거나 통제 요원에게 연락하는 조치 등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서는 비정상 이용자가 쉼터(100) 밖으로 신속히 나가도록 하여, 보다 빠르게 쾌적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도 1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버스 승강장에서 쉼터의 제7 관리 방법을 설명한다.
도 2, 도 3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용자가 제3 출입문(143)으로 다가오는 경우, 제3 출입문(143) 근처에 설치된 제3 카메라(113)는 제3 이용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3 이용자 정보는 제어부(120)로 제공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제3 이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이용자가 제3 출입문(143)으로 다가오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1110). 상술한 바와 같이, 제3 카메라(113)는 제3 출입문(143)으로 다가오는 이용자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센서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3 이용자 정보는 거리 정보이고, 제어부(120)는 거리 정보를 바탕으로 이용자가 제3 출입문(143)으로 다가오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용자가 제3 출입문(143)으로 다가오는 경우, 제어부(120)는 제3 출입문(143)의 개방을 차단할 수 있다(S1120). 제3 출입문(143)의 개방을 차단하는 동작이 수행되기 위해 제3 카메라(113)로부터 획득된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값과 비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획득된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값보다 작은 경우, 제어부(120)는 제3 출입문(143)의 개방을 차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제3 출입문(143) 근처에 설치된 제4 출력부(184)를 통해 경고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S1130). 경고 정보는 제3 출입문(143)으로 쉼터(100) 내부로 들어갈 수 없음을 경고하는 한편 제1 출입문(141)을 통해 쉼터(100) 내부로 들어갈 것을 안내하는 정보일 수 있다.
S1120과 S1130은 서로 순서가 뒤바뀔 수도 있다. 즉 1130이 먼저 수행된 후, S1120이 수행될 수 있다. 또는 S1120과 S1130은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한편, 제2 실시예로서, 제어부(120)는 쉼터(100) 내부의 이용자이 인원 수 및 체류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바탕으로 복수의 전자 기기(151 내지 15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기를 조절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서는 정상 이용자가 쉼터(100)의 제1 공간(100A)을 통해 제2 공간(100B)으로 들어갔을 때, 제2 공간(100B) 상의 이용자들이 제2 공간(100B)에서 휴식을 취하면서 자신이 탑승할 버스를 기다리고 있을 때에 제2 공간(100B)의 실내 환경을 최적으로 조성하는 기술이 제시된다.
이하 도 12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제2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2 실시예]
도 12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버스 승강장에서 쉼터의 제1 관리 방법을 설명한다. 도 13은 도 12의 S1230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도 3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20)는 쉼터(100)의 제2 공간(100B)에서의 이용자의 인원 수를 획득할 수 있다(S1210).
제2 공간(100B)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카메라(112)가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카메라(112)는 열화상 카메라일 수 있다. 열화상 카메라에 의해 이용자와 배경이 구별되고 이용자 간이 구별될 수 있다. 따라서,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제2 공간(100B) 내에 있는 이용자의 인원 수가 획득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이용자의 체류 시간을 획득할 수 있다(S1220).
일 예로, 이용자의 체류 시간은 이용자가 쉼터(100)의 제1 공간(100A)에서 제2 공간(100B)으로 들어가기 위해 제2 출입문(142)이 개방되는 시간부터 이용자가 자신의 버스를 탑승하기 위해 제3 출입문(143)을 통해 나갈 때 까지의 시간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이용자의 체류 시간은 이용자가 쉼터(100)의 제1 공간(100A)에서 제2 공간(100B)으로 들어가기 위해 제2 출입문(142)이 개방되는 시간부터 제1 디스플레이부(161) 상에 디스플레이된 버스 목록 중에서 자신이 탑승할 버스가 선택될 때 상기 선택된 버스의 도착 예정 시간 사이의 차이일 수 있다. 예컨대, 해당 이용자가 제2 공간(100B)으로 들어가기 위해 제2 출입문(142)이 개방된 시간이 오후 3시 10분이고, 제2 공간(100B)으로 들어간 이용자가 제1 디스플레이부(161) 상에 디스플레이된 버스 목록 중에서 선택한 버스의 도착 예정 시간이 오후 3시 15분인 경우, 해당 이용자의 제2 공간(100B)의 체류 시간은 5분일 수 있다.
이외에 다양한 방식으로 이용자의 체류 시간이 획득될 수 있다.
S1220에서 이용자의 체류 시간은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이용자들의 평균 체류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나중에 도 1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120)는 쉼터(100) 내부의 이용자의 인원수 및 체류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바탕으로 복수의 전자 기기(151 내지 15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기를 조절할 수 있다(S1230). 복수의 전자 기기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UV 살균기(151) 하나 이상의 공기 청정기(152) 하나 이상의 냉난방기(153) 및 복수의 조명(15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20)는 쉼터(100) 내부의 이용자의 인원 수 및 체류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바탕으로 보정값을 획득할 수 있다(S1310).
제어부(120)는 상기 획득된 보정값을 바탕으로 복수의 전자 기기(151 내지 15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기를 조절할 수 있다(S1320).
보정값은 하나의 보정값으로 힉득되어, 해당 보정값을 바탕으로 복수의 전자 기기(151 내지 15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기가 조절되거나 복수의 전가 기기 별로 획득되어 각 보정값을 바탕으로 대응하는 전자 기기가 조절될 수 있다.
보정값은 전자 기기를 제어하기 위해 현재 제어값에서 이 제어값을 보정하기 위한 값일 수 있다. 예컨대, UV 살균기(151)에서 현재 제어값이 1레벨에 대응하는 제어값으로 동작되는 경우, 보상값은 1레벨을 3레벨로 증가된 제어값일 수 있다. 따라서, 해당 보상값에 따라 3레벨로 UV 살균기(151)가 동작될 수 있다.
한편, 쉼터(100)의 제2 공간(100B)에 있는 이용자의 인원 수와 체류 시간은 시간에 따라 수시로 변경될 수 있다. 이용자의 인원 수나 체류 시간이 변경됨에 따라 쉼터(100)의 제2 공간(100B)의 실내 환경도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이용자의 인원 수가 많아지거나 체류 시간이 늘어나는 경우, 쉼터(100)의 제2 공간(100B)의 실내 환경은 악화될 수 있다. 예컨대, 쉼터(100)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거 이용자들이 더위를 느낄 수 있다. 예컨대, 쉼터(100) 내부의 공기 질이나 공기 오염이 악화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에는 복수의 전자 기기가 고정된 설정값에 맞추어 동작되므로, 이용자의 인원 수나 체류 시간이 변경되어 실내 환경이 악화되더라도 이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없었다.
이에 반해, 실시예에서는 이용자의 인원 수나 체류 시간을 바탕으로 복수의 전자 기기(151 내지 154)를 조절함으로써, 실내 환경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어, 이용자의 쉼터(100) 사용 가능성을 높여 쉼터(100)의 대중화를 앞당길 수 있다.
이하에서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보정값을 획득하기 위한 가중치를 포함하는 룩업 테이블을 설명한다.
도 14는 룩업 테이블의 제1 예시도이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룩업 테이블(131)은 이용자의 인원 수에 대한 가중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이용자의 인원 수에 따라 서로 상이한 가중치(a1 내지 a30)가 부여될 수 있다. 이러한 가중치(a1 내지 a30)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룩업 테이블(131)에 포함된 가중치(a1 내지 a30)를 바탕으로 보정값이 획득될 수 있다.
도 15는 룩업 테이블의 제2 예시도이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룩업 테이블(132)는 이용자의 평균 체류 시간에 대한 가중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이용자의 평균 체류 시간에 따라 서로 상이한 가중치(b1 내지 b30)가 부여될 수 있다. 이러한 가중치(b1 내지 b30)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용자의 평균 체류 시간의 획득에 대해서는 나중에 도 1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룩업 테이블(132)에 포함된 가중치(b1 내지 b30)를 바탕으로 보정값이 획득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 않았지만, 복수의 전자 기기의 조절을 위해 이용자의 인원 수와 이용자의 체류 시간 모두가 고려되는 경우, 도 14에 도시된 가중치(a1 내지 a30)와 도 15에 도시된 가중치(b1 내지 b30)의 조합에 의한 또 다른 가중치가 획득되어 이 또 다른 가중치를 바탕으로 또 다른 룩업 테이블이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또 다른 룩업 테이블에 포함된 또 다른 가중치를 바탕으로 보정값이 획득될 수 있다.
도 1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버스 승강장에서 쉼터의 제2 관리 방법을 설명한다.
도 2, 도 3 및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20)는 룩업 테이블로부터 가중치를 획득할 수 있다(S1610). 룩업 테이블은 도 14에 도시된 룩업 테이블(131), 도 15에 도시된 룩업 테이블(132) 또는 도 14에 도시된 룩업 테이블(131)에 포함된 가중치(a1 내지 a30)와 도 15에 도시된 룩업 테이블(132)에 포함된 가중치(b1 내지 b30)의 조합에 의한 또 다른 가중치를 포함하는 룩업 테이블일 수 있다.
예컨대, 이용자의 인원 수가 30명인 경우, 제어부(120)는 도 14에 도시된 룩업 테이블(131)로부터 가중치로부터 a30을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상기 획득된 가중치와 이전 가중치 사이의 차이에 따른 보정값을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획득된 가중치가 a30이고 이전 가중치가 a25인 경우, (a30-a25)이 보정값으로 획득될 수 있다.
이 보정값을 이용하여 복수의 전자 기기(151 내지 15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기가 조절될 수 있다(도 13의 S1320).
한편, 보정값이 획득될 때마다 복수의 전자 기기(151 내지 154)가 조절되는 경우, 복수의 전자 기기(151 내지 154)를 동작시키기 위한 소비 전력이 증가될 수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이 복수의 전자 기기(151 내지 154)가 빈번하게 조절되는 경우, 복수의 전자 기기(151 내지 154)가 동작됨으로 인한 동작 소음이 발생되고 또한 쉼터(100) 내부의 온도가 수시로 변경되어, 쉼터(100) 내의 이용자들에게 오히려 불쾌감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 기술이 제시될 필요가 있다.
도 17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버스 승강장에서 쉼터의 제3 관리 방법을 설명한다.
도 2, 도 3 및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20)는 보정값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S1710), 보정값을 바탕으로 복수의 전자 기기(151 내지 154) 중 하나 이상의 기기를 조절할 수 있다(S1720).
도 16 및 도 17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정값이 획득되는 경우, 해당 보정값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인지가 판단될 수 있다. 기 설정된 값이 3인 경우, 도 16에서 획득된 보정값이 3 이상인 경우에 한해, 해당 보정값을 바탕으로 복수의 전자 기기(151 내지 154) 중 하나 이상의 기기가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서는 너무 빈번하게 복수의 전자 기기가 조절되지 않도록 하여, 소비 전력을 줄이고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8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버스 승강장에서 쉼터의 제4 관리 방법을 설명한다.
도 2, 도 3 및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20)는 제1 디스플레이부(161)를 통해 스마트 버스 승강장으로 진입 예정인 버스 목록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1810). 구체적으로, 즉, 버스의 타입(마을 버스, 일반 버스, 광역 버스, 고속 버스 등), 버스의 차량 번호 정보, 해당 버스의 잔여 좌석 수, 도착 예정 시간 정보, 도착 소요 시간 정보 등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개별 이용자의 체류 시간을 획득할 수 있다(S1820).
쉼터(100) 내부, 즉 쉼터(100)의 제2 공간(100B)으로 들어온 이용자는 제1 디스플레이부(161)를 통해 자신이 탑승하고자 하는 버스를 확인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부(161) 상에 자신이 탑승하고자 하는 버스가 있는 경우, 해당 버스의 선택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해당 버스의 선택 시점과 해당 버스의 도착 예정 시간을 바탕으로 해당 이용자의 체류 시간을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쉼터(100) 내부에 있는 이용자 각각의 체류 시간이 획득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전체 이용자의 평균 체류 시간을 획득할 수 있다(S1830).
예컨대, 제어부(120)는 개별 이용자 각각의 체류 시간을 평균하여 전체 이용자의 평균 체류 시간을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획득된 평균 체류 시간은 도 12의 S1220에서의 체류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서는 개별 이용자의 체류 시간 대신에 전체 이용자의 평균 체류 시간을 획득하고, 이 획득된 평균 체류 시간을 바탕으로 복수의 전자 기기(151 내지 154)를 조절함으로써, 복수의 전자 기기(151 내지 154)를 좀 더 정밀하고 정확하게 제어하여 보다 더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도 19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버스 승강장에서 쉼터의 제5 관리 방법을 설명한다.
도 2, 도 3 및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20)는 제1 디스플레이부(161)를 통해 스마트 버스 승강장으로 진입 예정인 버스 목록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1910).
제어부(120)는 제1 디스플레이부(161) 상에 디스플레이된 버스 목록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용자 각각이 선택한 버스로 탑승자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탑승자 정보는 해당 스마트 승강장에서 상기 정보가 송신된 버스에 탑승할 탑승 예정 인원 수 정보일 수 있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쉼터(100)의 제1 디스플레이부(161) 상에 디스플레이된 버스 목록 중에서 제1 버스(210)가 선택되는 경우, 제1 버스(210)로 탑승 예정 인원 수 정보를 포함하는 탑승자 정보가 송신될 수 있다.
쉼터(100)의 제1 디스플레이부(161) 상에 디스플레이된 버스 목록 중에서 제2 버스(220)가 선택되는 경우, 제2 버스(220)로 탑승 예정 인원 수 정보를 포함하는 탑승자 정보가 송신될 수 있다.
쉼터(100)의 제1 디스플레이부(161) 상에 디스플레이된 버스 목록 중에서 제3 버스(230)가 선택되는 경우, 제3 버스(230)로 탑승 예정 인원 수 정보를 포함하는 탑승자 정보가 송신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버스(210)로 1명의 탑승자 정보가 송신된 후 또 다른 이용자에 의해 제1 버스(210)가 선택되는 경우, 2명의 탑승자 정보가 제1 버스(210)로 송신될 수 있다. 또는 1 버스(210)로 1명의 탑승자 정보가 송신된 후 또 다른 이용자에 의해 제1 버스(210)가 선택되는 경우, 1명의 카운트 정보가 탑승자 정보로서 제1 버스(210)로 송신되고, 제1 버스(210)의 디스플레이부 상에 해당 쉼터(100)에서 이전에 수신된 1명과 새로 수신된 1명이 카운트 누적되어 2명의 탑승자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해당 스마트 버스 승강장에서 도착 예정 버스에 탑승할 탑승 예정 인원 정보가 해당 버스로 송신됨으로써, 해당 버스의 운전 기사는 해당 스마트 버스 승강장에 승객을 태우기 위해 정차해야 하는지와 해당 스마트 버스 승강장에서 몇 명이 탑승할지를 사전에 파악할 수 있어 운전 기사의 운전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21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버스 승강장에서 쉼터의 제6 관리 방법을 설명한다.
도 2, 도 3 및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20)는 스마트 버스 승강장으로 진입 예정인 버스 목록을 제1 디스플레이부(161)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2110).
제1 디스플레이부(161) 상에 디스플레이된 버스 목록 중에서 버스가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120)는 해당 버스에 대한 차량 번호 정보 및 탑승 예정 인원 수 정보를 제2 디스플레이부(162)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2120).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디스플레이부(162) 상에 쉼터(100) 내의 이용자들이 선택한 버스 각각의 차량 번호 정보 및 탑승 예정 인원 수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서로 상이한 이용자가 동일 버스를 선택할 때마다 탑승 예정 인원 수가 증가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부(162)는 쉼터(100)의 전방 외측에 설치되어, 스마트 버스 승강장에 진입하는 버스의 운전 기사에 잘 보일 수 있다.
버스 목록 정보와 더불어 해당 버스에 탑승할 탑승 예정 인원 수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버스 목록 정보에 탑승 예정 인원 수 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는 스마트 버스 승강장에 진입하는 버스의 운전 기사가 잘 볼 수 있는 제2 디스플레이부(162) 상에 해당 스마트 버스 승강장에서 해당 버스에 탑승할 탑승 예정 인원 수 정보를 디스플레이됨으로써, 해당 운전 기사는 자신의 버스에 탑승할 탑승객이 있는지 여부와 몇 명이 탑승할지 여부를 쉽게 파악하여 운전 기사의 운전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어부(120)는 이용자의 인원 수 및 이용자의 체류 시간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되는 경우, 복수의 전자 기기(151 내지 15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쉼터(100) 내의 이용자가 외부로 나가 이용자가 없는 경우, 기 설정된 온도가 되도록 복수의 전자 기기(151 내지 15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실시예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실시예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쉼터
100A: 제1 공간
100B: 제2 공간
111 내지 113: 카메라
115: 냄새 센서
120: 제어부
130: 저장부
135: 통신부
131, 132: 룩업 테이블
141 내지 143: 출입문
151: UV 살균기
152: 공기 청정기
153: 냉난방기
154: 조명
160a, 160b: 유리창
161, 162: 디스플레이부
181 내지 184: 출력부
190: 에어 샤워기
210, 220, 230: 버스

Claims (10)

  1. 쉼터를 구비한 스마트 버스 승강장의 자동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쉼터에 구비된 복수의 전자 기기, 제어부; 및
    상기 쉼터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버스 승강장으로 진입 예정인 버스 목록을
    디스플레이 하는 제1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는,
    상기 진입 예정인 버스 목록 중에서 탑승 예정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스에 대한 각각의 탑승자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입 예정인 버스 목록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스 각각의
    도착 예정 시간을 바탕으로 개별 이용자의 체류 시간을 획득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쉼터 내부의 이용자의 인원 수 및 상기 체류 시간을 바탕으로 상기 복
    수의 전자 기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기를 조절하는,
    스마트 버스 승강장의 자동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는,
    UV 살균기, 공기 청정기, 냉난방기 및 조명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스마트 버스 승강장의 자동제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쉼터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이용자의 인원 수 및 상기 이용자의 체류 시간에 대한 가중치를 포함하는 룩업 테이블 포함하는
    스마트 버스 승강장의 자동제어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용자의 인원 수 및 상기 이용자의 체류 시간을 바탕으로 상기 룩업 테이블로부터 상기 가중치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가중치와 이전 가중치 사이의 차이에 따른 보정값을 바탕으로 상기 복수의 전자 기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기를 조절하는
    스마트 버스 승강장의 자동제어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값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보정값을 바탕으로 상기 복수의 전자 기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기를 조절하는
    스마트 버스 승강장의 자동제어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개별 이용자 각각의 체류 시간을 바탕으로 전체 이용자의 평균 체류 시간을 획득하는
    스마트 버스 승강장의 자동제어 시스템.
  7. 쉼터를 구비한 스마트 버스 승강장의 자동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쉼터에 구비된 복수의 전자 기기와 제어부; 및
    상기 쉼터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버스 승강장으로 진입 예정인 버스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제1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는,
    상기 진입 예정인 버스 목록 중에서 탑승 예정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스에 대한 각각의 탑승자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쉼터 내부의 이용자의 인원 수 및 상기 탑승 예정자에 의해 선택된 상
    기 탑승자 정보에 기초하여 산정된 체류 시간을 바탕으로 상기 복수의 전자 기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기를 조절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버스 목록 중에서 상기 탑승 예정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스 각각으로 상기 탑승자 정보를 송신하는,
    스마트 버스 승강장의 자동제어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쉼터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버스 목록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스 각각의 차량 번호 정보 및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스 각각의 탑승 예정 인원 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제2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버스 승강장의 자동제어 시스템.
  9.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쉼터 내부의 이용자의 인원 수 및 상기 체류 시간을 바탕으로 상기 복수의 전자 기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기를 레벨 별로 또는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스마트 버스 승강장의 자동제어 시스템.
  10.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쉼터는,
    상기 이용자를 감지하는 열화상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열화상 카메라에 의해 감지된 이용자를 바탕으로 이용자의 인원 수를 획득하는
    스마트 버스 승강장의 자동제어 시스템.
KR1020210079290A 2021-06-18 2021-06-18 이용자 수와 체류시간을 고려한 스마트 버스 승강장의 자동제어 시스템 KR1023699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9290A KR102369957B1 (ko) 2021-06-18 2021-06-18 이용자 수와 체류시간을 고려한 스마트 버스 승강장의 자동제어 시스템
KR1020220025123A KR102443723B1 (ko) 2021-06-18 2022-02-25 이용자 수와 체류시간을 고려한 스마트 버스 승강장의 자동제어 시스템
KR1020220025136A KR102443724B1 (ko) 2021-06-18 2022-02-25 스마트 버스 승강장의 자동제어 시스템
US17/890,204 US11682301B2 (en) 2021-06-18 2022-08-17 Automatic control system of smart bus platform considering the number of users and staying ti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9290A KR102369957B1 (ko) 2021-06-18 2021-06-18 이용자 수와 체류시간을 고려한 스마트 버스 승강장의 자동제어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5123A Division KR102443723B1 (ko) 2021-06-18 2022-02-25 이용자 수와 체류시간을 고려한 스마트 버스 승강장의 자동제어 시스템
KR1020220025136A Division KR102443724B1 (ko) 2021-06-18 2022-02-25 스마트 버스 승강장의 자동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9957B1 true KR102369957B1 (ko) 2022-03-04

Family

ID=8081374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9290A KR102369957B1 (ko) 2021-06-18 2021-06-18 이용자 수와 체류시간을 고려한 스마트 버스 승강장의 자동제어 시스템
KR1020220025136A KR102443724B1 (ko) 2021-06-18 2022-02-25 스마트 버스 승강장의 자동제어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5136A KR102443724B1 (ko) 2021-06-18 2022-02-25 스마트 버스 승강장의 자동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682301B2 (ko)
KR (2) KR1023699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1503B1 (ko) * 2022-04-18 2022-10-07 주식회사 안전지대 버스정류장의 안전 제어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2102A (ko) * 2010-06-30 2012-01-05 엔에이치엔(주) 대기 시간을 고려하여 이동 소요 시간을 계산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00289A (ko) * 2014-02-25 2015-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 장치의 작동 방법 및 장치
KR20160082562A (ko) * 2014-12-30 2016-07-08 김민규 Iot스마트 플랫폼을 이용한 버스 냉난방 제어방법
KR102008441B1 (ko) * 2018-02-28 2019-08-07 학교법인 순천성심학원 버스승강장의 대기승객 유무 알림표시장치
KR102048357B1 (ko) * 2019-07-11 2020-01-08 주식회사 트윅스정보통신 정류장에 대기자가 존재함을 알리는 버스 운행 정보 제공 방법 및 버스 운행 정보 시스템
KR102219364B1 (ko) * 2019-09-19 2021-02-25 주식회사 싸인텔레콤 영상감지장치 기반의 버스정류장 조명제어 시스템
KR20210041648A (ko) * 2019-10-07 2021-04-16 문승호 미세먼지 정화 및 안전 지킴이 기능을 구비한 친환경 클린 버스 정류장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72175B1 (en) * 2010-10-18 2012-09-25 Darlene Williams-Prades Secure modular shelter apparatus
KR20160023735A (ko) * 2016-02-03 2016-03-03 이원길 탑승대기자의 유무 및 사람 수 체크 정류장
US11797946B2 (en) * 2020-11-10 2023-10-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ransportation boarding time notification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2102A (ko) * 2010-06-30 2012-01-05 엔에이치엔(주) 대기 시간을 고려하여 이동 소요 시간을 계산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00289A (ko) * 2014-02-25 2015-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 장치의 작동 방법 및 장치
KR20160082562A (ko) * 2014-12-30 2016-07-08 김민규 Iot스마트 플랫폼을 이용한 버스 냉난방 제어방법
KR102008441B1 (ko) * 2018-02-28 2019-08-07 학교법인 순천성심학원 버스승강장의 대기승객 유무 알림표시장치
KR102048357B1 (ko) * 2019-07-11 2020-01-08 주식회사 트윅스정보통신 정류장에 대기자가 존재함을 알리는 버스 운행 정보 제공 방법 및 버스 운행 정보 시스템
KR102219364B1 (ko) * 2019-09-19 2021-02-25 주식회사 싸인텔레콤 영상감지장치 기반의 버스정류장 조명제어 시스템
KR20210041648A (ko) * 2019-10-07 2021-04-16 문승호 미세먼지 정화 및 안전 지킴이 기능을 구비한 친환경 클린 버스 정류장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1503B1 (ko) * 2022-04-18 2022-10-07 주식회사 안전지대 버스정류장의 안전 제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406185A1 (en) 2022-12-22
US11682301B2 (en) 2023-06-20
KR102443724B1 (ko) 2022-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61778B2 (en) Controlling intensity of a light through qualified motion sensing
EP2462783B1 (en) Light guiding system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443723B1 (ko) 이용자 수와 체류시간을 고려한 스마트 버스 승강장의 자동제어 시스템
KR102443724B1 (ko) 스마트 버스 승강장의 자동제어 시스템
JP6223951B2 (ja) 個室管理システム
US20150360912A1 (en) Elevator, light curtain for monitoring the opening of a moving door of a floor level and/or the opening of a moving door of an elevator car, and method for giving a door-open command or a door-close command in an elevator
US8272175B1 (en) Secure modular shelter apparatus
KR101992578B1 (ko) 버스정류장
US20150248754A1 (en)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at Least One Interior Space of a Building, and Assistance System for at Least One Interior Space of a Building
JP2015023459A (ja) 投影システム
KR20210132516A (ko) Iot 살균 스마트 화장실 시스템
JP2011163037A (ja) 建物の騒音低減化システム
KR102411254B1 (ko) 스마트 버스 승강장
KR102387383B1 (ko) 스마트 버스 승강장
CN108170056A (zh) 一种互动交流驾驶机器人及其控制方法
JP2017212003A5 (ko)
JP2017212003A (ja) 個室管理システム
WO2022091461A1 (ja) ミラーシステムおよび航空機用化粧室ユニット
JP2000223282A (ja) 照明制御装置
CN210422035U (zh) 一种爱心防护舱
JP6743842B2 (ja) エレベータ
TWM605080U (zh) 智慧防疫門
KR102567156B1 (ko) Ai 원격감시 관리 스마트 버스 정류장 및 ai 스마트 버스 정류장 운영 제어 시스템
CA2364080A1 (en) Infrared sensor operated fixtures, or infrared sensor system
JP7219485B2 (ja) 居室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