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8357B1 - 정류장에 대기자가 존재함을 알리는 버스 운행 정보 제공 방법 및 버스 운행 정보 시스템 - Google Patents

정류장에 대기자가 존재함을 알리는 버스 운행 정보 제공 방법 및 버스 운행 정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8357B1
KR102048357B1 KR1020190083859A KR20190083859A KR102048357B1 KR 102048357 B1 KR102048357 B1 KR 102048357B1 KR 1020190083859 A KR1020190083859 A KR 1020190083859A KR 20190083859 A KR20190083859 A KR 20190083859A KR 102048357 B1 KR102048357 B1 KR 1020483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stop
scheduled
terminal
arriv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3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연현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트윅스정보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트윅스정보통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트윅스정보통신
Priority to KR1020190083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83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8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83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 G08G1/13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within the vehicle ; Indicators inside the vehicles or at stop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정류장에 대기자가 존재함을 알리는 버스 운행 정보 제공 방법으로서, 상기 버스 운행 정보 서버가,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정류장 단말로부터 사용자가 탑승하고자 하는 탑승 버스에 대한 탑승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버스 운행 정보 서버가, 운행 중인 탑승 버스 중 상기 정류장에 가장 빨리 도착할 것으로 예측되는 도착 예정 버스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버스 운행 정보 서버가, 탑승을 희망하는 대기자의 존재를 나타내는 대기자 정보를 상기 도착 예정 버스에 설치된 버스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버스 단말이, 수신된 대기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정류장에 대기자가 존재한다는 것을 상기 도착 예정 버스의 기사에게 통지하는 단계; 상기 정류장 단말이, 상기 정류장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에 대기자가 존재한다는 것을 상기 기사가 볼 수 있게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버스 단말이, 상기 도착 예정 버스가 상기 정류장에 접근하면, 상기 도착 예정 버스의 속도를 감속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하여, 본 발명에 의하여, 정류장에 대기자가 존재할 경우 이를 도착 예정 버스의 기사에게 통지함으로써 버스의 무단 무정차 통과를 방지할 수 있어서 이용자의 편의가 증대된다.

Description

정류장에 대기자가 존재함을 알리는 버스 운행 정보 제공 방법 및 버스 운행 정보 시스템{Bus operatio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bus operation information system notifying existence of waiting passenger at bus-stop}
본 발명은 운행 중인 버스가 정류장에 도착하는 예정 시간을 상기 정류장에 설치된 정류장 단말에 통지하는 버스 운행 정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정류장에 대기자가 존재할 경우 이를 도착 예정 버스의 기사에게 통보하여 대기자가 존재하는 정류장을 무정차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는 버스 운행 정보 제공 방법 및 버스 운행 정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와 같은 대중교통수단은 일정한 운행 경로를 따라 적절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는 정류장에 일정한 배차 간격으로 정차함으로써 임의의 정류장에 있는 승객을 태워 다른 정류장까지 운송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승객은 해당 버스가 정차하는 정류장에 가서 기다렸다가 버스가 도착하면 승차하게 된다. 그런데, 특히 출퇴근 시간과 같은 특정 시간대에는 버스가 도착하는 시간이 일정치 않게 되고 승객이 기다리는 시간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버스 정보 시스템(bus information system)'이 제안되어, 버스의 운행 정보를 승객에게 통지할 수 있게 하려는 노력이 있어 왔다.
이러한 버스 정보 시스템은, 버스의 운행 정보를 정류장의 승객이 알 수 있도록 정류장에서 디스플레이하거나, 현재 운행 중인 버스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알려주기 위하여 GPS 신호를 이용한다. 즉, 각 버스에 위성 항법 장치(GPS)를 설치하여, GPS 위성 신호를 통해 현재 운행 상황 정보를 교통 정보 센터로 보내면, 교통 정보 센터에서는 이 정보를 각 정류장에 설치된 디지털 안내판에 표시해준다. 이에 따라, 정류장에서 기다리는 승객은 몇 분 뒤에 자신이 원하는 버스를 탈 수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이 시스템은, 버스를 타고 있는 승객도 언제 목적지에 도착할 수 있는지를 알 수 있게 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10-2000-0049356 (특허권자 : 마옥현, 신정호, "시내버스 도착정보 제공시스템")은, 운행 중인 버스로부터 차량 도착 정보를 수신하여 정류장에 있는 승객에게 표시하는 시스템으로서 버스가 오지 않을 동안에는 광고를 표시하는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10-2001-0018962 (특허권자 :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버스정보 안내 시스템 및 방법")는, 사용자가 무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출발지와 도착지 및 버스의 현재 상태 정보를 요청하면, 버스 정보 관리 서버가 관련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의 무선 단말기로 송신하는 기술을 개시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버스 정보 시스템의 예들을 살펴보면, 승객의 입장에서 현재 운행 중인 버스의 특정 정류장 도착시간을 알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이와 같이 버스 운행 정보를 일방적으로 버스 이용자들에게 알려주는 시스템은, 실제 도로에서는 그 실용가치가 현저히 낮다.
그 이유는, 실제로는 버스 정류장에 승객이 없는 경우에도 무조건 정차를 해야 하기 때문에 운행 시간도 지연되고 후속 버스도 연속적으로 지연되는 경우가 생기기 때문이다.
또한, 종래의 버스 운행 정보 시스템은 단지 도착 예정 시간만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는데, 버스가 정체 구간을 통과하는 중이거나 교차로에 대기하는 경우에는, 도착 예정 시간이 계속 늘어나는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종래의 버스 운행 정보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도착 예정 시간은 불분명하다.
더 나아가, 버스 정류장의 구조물에 의해 승객이 가려질 경우, 일부 버스 기사들은 정류장에 승객이 없는 줄 알고 정차하지 않고 무단 통과하는 일도 발생한다.
따라서, 정류장에 대기자가 존재할 경우 이를 도착 예정 버스의 기사에게 통지함으로써 버스의 무단 무정차 통과를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또한, 단지 도착 예정 시간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버스가 주행 중인지 정차중인지를 표시하고, 더 나아가 도착 예정 버스와 정류장 사이의 잔여 교차로의 개수를 표시함으로써, 도착 예정 버스가 언제 도착할 것인지를 정확하게 통지할 수 있는 기술이 절실히 요구된다.
한편, 정류장에 대기자가 없거나, 도착 예정 버스가 만원이어서 더 이상 승객을 탑승시킬 수 없는 경우 등, 무정차 통과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결정하여, 부득이한 경우 도착 예정 버스가 정류장을 무정차 통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버스 운행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기술이 절실히 요구된다.
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10-2000-0049356 (특허권자 : 마옥현, 신정호, "시내버스 도착정보 제공시스템") 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10-2001-0018962 (특허권자 :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버스정보 안내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정류장에 대기자가 존재할 경우 이를 도착 예정 버스의 기사에게 통지함으로써 버스의 무단 무정차 통과를 방지할 수 있는 버스 운행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버스가 주행 중인지 정차중인지를 표시하고, 더 나아가 도착 예정 버스와 정류장 사이의 잔여 교차로의 개수를 표시함으로써, 도착 예정 버스가 언제 도착할 것인지를 대기자에게 정확하게 통지할 수 있는 버스 운행 정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소정의 무정차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사전에 결정하여, 무정차 조건이 만족될 경우 도착 예정 버스가 정류장을 무정차 통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버스 운행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버스 운행 정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은, 운행 중인 버스가 정류장에 도착하는 예정 시간을 상기 정류장에 설치된 정류장 단말에 통지하는 버스 운행 정보 서버를 포함하는 버스 운행 정보 시스템에서, 상기 정류장에 대기자가 존재함을 알리는 버스 운행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버스 운행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버스 운행 정보 서버가,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정류장 단말로부터 사용자가 탑승하고자 하는 탑승 버스에 대한 탑승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버스 운행 정보 서버가, 운행 중인 탑승 버스 중 상기 정류장에 가장 빨리 도착할 것으로 예측되는 도착 예정 버스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버스 운행 정보 서버가, 탑승을 희망하는 대기자의 존재를 나타내는 대기자 정보를 상기 도착 예정 버스에 설치된 버스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버스 단말이, 수신된 대기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정류장에 대기자가 존재한다는 것을 상기 도착 예정 버스의 기사에게 통지하는 단계; 상기 정류장 단말이, 상기 정류장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에 대기자가 존재한다는 것을 상기 기사가 볼 수 있게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버스 단말이, 상기 도착 예정 버스가 상기 정류장에 접근하면, 상기 도착 예정 버스의 속도를 감속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버스 운행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버스 운행 정보 서버가 상기 도착 예정 버스가 주행 중인지 여부를 상기 정류장 단말로 전송하면, 상기 정류장 단말이 상기 도착 예정 버스가 주행 중인지 여부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더 나아가, 상기 버스 운행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버스 운행 정보 서버가, 외부로부터 수신된 이벤트 정보, 상기 정류장 단말로부터 수신된 정류장 상태 정보, 및 상기 버스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도착 예정 버스의 상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도착 예정 버스가 상기 정류장에 정차하지 않을 무정차 조건이 만족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무정차 조건이 만족될 경우, 상기 버스 단말은 상기 도착 예정 버스의 기사에게 상기 정류장에 정차하지 않을 것을 지시하고, 상기 정류장 단말은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도착 예정 버스가 상기 정류장에 정차하지 않을 것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무정차 조건은, 상기 도착 예정 버스의 혼잡도, 상기 정류장에 대기자가 존재하는지 여부, 교통 관련 법규, 교통 상황, 및 이벤트 발생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착 예정 버스 결정 단계는, 상기 버스 운행 정보 서버가 상기 정류장을 향해 이동 중인 탑승 버스들과 상기 정류장 사이의 교차로의 개수를 결정하는 것, 및 상기 버스 운행 정보 서버가, 결정된 교차로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도착 예정 버스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도착 예정 버스가 상기 정류장의 직전 정류장을 통과하면, 상기 버스 운행 정보 서버가 상기 정류장까지의 잔여 교차로의 개수를 상기 정류장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정류장 단말은 수신된 잔여 교차로의 개수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특히, 상기 도착 예정 버스의 속도를 감속시키는 단계는, 상기 버스 단말이 상기 도착 예정 버스와 상기 정류장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는 것, 및 상기 거리가 소정 설정치 미만이면, 상기 버스 단말이 상기 도착 예정 버스를 감속하라는 명령을 상기 도착 예정 버스의 구동부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버스 운행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도착 예정 버스가 상기 정류장에 접근하면, 상기 정류장과 차도 사이의 경계석에 내장된 도착 예정 버스 표시부를 통해 상기 대기자가 볼 수 있도록 상기 도착 예정 버스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면은, 운행 중인 버스가 정류장에 도착하는 예정 시간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고 상기 정류장에 대기자가 존재함을 버스의 기사에게 알리는 버스 운행 정보 서버를 포함하는 버스 운행 정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버스 운행 정보 시스템은, 사용자에 의하여 소지되고, 사용자가 탑승하고자 하는 탑승 버스에 대한 탑승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버스 운행 정보 서버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정류장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정류장 단말; 및 버스에 설치되고 상기 버스 운행 정보 서버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는 버스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버스 운행 정보 서버는, 수신된 상기 탑승 정보를 기초로, 운행 중인 탑승 버스 중 상기 정류장에 가장 빨리 도착할 것으로 예측되는 도착 예정 버스를 결정하고, 탑승을 희망하는 대기자의 존재를 나타내는 대기자 정보를 상기 도착 예정 버스에 설치된 버스 단말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버스 단말은, 수신된 대기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정류장에 대기자가 존재한다는 것을 상기 도착 예정 버스의 기사에게 통지하고, 상기 도착 예정 버스가 상기 정류장에 접근하면, 상기 도착 예정 버스의 속도를 감속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정류장 단말은, 상기 디스플레이에 대기자가 존재한다는 것을 상기 기사가 볼 수 있게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버스 운행 정보 서버가 상기 도착 예정 버스가 주행 중인지 여부를 상기 정류장 단말로 전송하면, 상기 정류장 단말은 상기 도착 예정 버스가 주행 중인지 여부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더 나아가, 상기 버스 운행 정보 서버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이벤트 정보, 상기 정류장 단말로부터 수신된 정류장 상태 정보, 및 상기 버스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도착 예정 버스의 상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도착 예정 버스가 상기 정류장에 정차하지 않을 무정차 조건이 만족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무정차 조건이 만족될 경우, 상기 버스 단말은 상기 도착 예정 버스의 기사에게 상기 정류장에 정차하지 않을 것을 지시하고, 상기 정류장 단말은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도착 예정 버스가 상기 정류장에 정차하지 않을 것을 표시한다. 상기 무정차 조건은, 상기 도착 예정 버스의 혼잡도, 상기 정류장에 대기자가 존재하는지 여부, 교통 관련 법규, 교통 상황, 및 이벤트 발생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버스 운행 정보 서버는 상기 버스 운행 정보 서버가 상기 정류장을 향해 이동 중인 탑승 버스들과 상기 정류장 사이의 교차로의 개수를 결정하고, 결정된 교차로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도착 예정 버스를 결정한다. 그리고, 상기 도착 예정 버스가 상기 정류장의 직전 정류장을 통과하면, 상기 버스 운행 정보 서버는 상기 정류장까지의 잔여 교차로의 개수를 상기 정류장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정류장 단말은 수신된 잔여 교차로의 개수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특히, 상기 도착 예정 버스의 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하여, 상기 버스 단말은 상기 도착 예정 버스와 상기 정류장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고, 상기 거리가 소정 설정치 미만이면, 상기 도착 예정 버스를 감속하라는 명령을 상기 도착 예정 버스의 구동부로 전송한다. 또한, 본 발명의 버스 운행 정보 시스템은, 상기 정류장과 차도 사이의 경계석에 내장되고, 도착 예정 버스가 상기 정류장에 접근하면, 상기 대기자가 볼 수 있도록 상기 도착 예정 버스를 표시하는 도착 예정 버스 표시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정류장에 대기자가 존재할 경우 이를 도착 예정 버스의 기사에게 통지함으로써 버스의 무단 무정차 통과를 방지할 수 있어서 이용자의 편의가 증대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버스가 주행 중인지 정차중인지를 표시하고, 더 나아가 도착 예정 버스와 정류장 사이의 잔여 교차로의 개수를 정류장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도착 예정 버스의 도착 시간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하여, 소정의 무정차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사전에 결정하여, 무정차 조건이 만족될 경우 도착 예정 버스가 정류장을 무정차 통과할 수 있기 때문에 버스 운행이 원활해져서 교통 흐름을 촉진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면에 의한 버스 운행 정보 제공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의한 버스 운행 정보 제공 방법에 의해 정류장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에 제공되는 정보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 는 도 1 에 의한 버스 운행 정보 제공 방법에 의해 도착 예정 버스에 설치된 버스 단말 및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에 각각 제공되는 정보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 는 도착 예정 버스가 정류장에 접근할 때 도 1 에 의한 버스 운행 정보 제공 방법이 동작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면에 의한 버스 운행 정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 은 정류장에 설치되는 도착 예정 버스 표시부를 예시한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며,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임을 나타낸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면에 의한 버스 운행 정보 제공 방법(S100)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버스 운행 정보 제공 방법(S100)은 버스 운행 정보 서버를 포함하는 버스 운행 정보 시스템에서 동작하며, 기본적으로 운행 중인 버스가 정류장에 도착하는 예정 시간이 정류장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버스 운행 정보 제공 방법(S100)은 정류장에 대기자가 존재할 경우 이를 도착 예정 버스의 기사에게 알리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우선 버스 운행 정보 서버가,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 또는 정류장 단말로부터 사용자가 탑승하고자 하는 탑승 버스에 대한 탑승 정보를 수신한다(S110). 탑승 정보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사용하여 입력할 수도 있고, 정류장 단말을 통해 입력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목적지까지 운행하는 버스에 대한 정보를 가지지 않은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 또는 정류장 단말에 원하는 목적지를 입력할 수도 있다. 그러면, 해당 정류장을 출발하여 입력된 목적지까지 운행하는 버스가 결정될 수도 있다.
탑승 버스를 결정하는 것은 사용자 단말 또는 정류장 단말에 설치된 앱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버스 운행 정보 서버가 결정할 수도 있다. 특히, 해당 정류장을 출발하여 입력된 목적지까지 운행하는 버스가 복수 개 존재할 경우, 버스 운행 정보 서버는 여러 개의 버스 중 하나를 선택할 수도 있다. 선택하기 위한 조건으로는 도착 시간이 가장 빠른 것, 도착 예정 시각이 가장 빠른 것, 또는 혼잡도가 가장 적은 것 등이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탑승 버스"란, 사용자가 직접 선택한 버스 또는 전술된 조건을 통해 여러 노선의 버스들 중 선택된 버스를 가리킨다. 즉, "탑승 버스"란 사용자가 탑승하기로 결정된 노선의 버스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탑승 정보가 수신되면, 버스 운행 정보 서버는 운행 중인 탑승 버스 중 정류장에 가장 빨리 도착할 것으로 예측되는 도착 예정 버스를 결정한다(S120). 이를 위하여, 버스 운행 정보 서버는 정류장을 향해 이동 중인 탑승 버스들과 정류장 사이의 교차로의 개수를 결정하고, 결정된 교차로의 개수에 기초하여 도착 예정 버스를 결정할 수 있다.
종래에는 도착 예정 버스를 결정하기 위하여 GPS 신호와 교통 정체 정도를 기초로 버스들의 도착 예정 시각을 결정하고, 결정된 도착 예정 시각이 가장 빠른 버스를 선택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버스 운행 정보 서버는 이동 중인 탑승 버스들과 정류장 사이의 교차로의 개수를 기준으로 도착 예정 버스를 결정할 수도 있다.
도착 예정 버스가 결정되면, 버스 운행 정보 서버가 외부로부터 수신된 이벤트 정보, 정류장 단말로부터 수신된 정류장 상태 정보, 및 버스 단말로부터 수신된 도착 예정 버스의 상태 정보를 기초로, 도착 예정 버스가 정류장에 정차하지 않을 무정차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30). 무정차 조건은, 도착 예정 버스의 혼잡도, 정류장에 대기자가 존재하는지 여부, 교통 관련 법규, 교통 상황, 및 이벤트 발생 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경우 무정차 조건이 만족된다고 판단될 수 있다.
- 도착 예정 버스가 만원이고 다음 정류장에 하차하는 승객이 없는 경우. 이 경우 더 태울 수 있는 여유가 없기 때문에 정차하지 않고 통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도착 예정 버스 내의 혼잡도가 법규상 일정 수준 이상이고, 다음 정류장에 하차하는 승객이 없는 경우. 예를 들어, 장거리 운행을 하는 버스의 경우 입석이 법규로 금지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도착 예정 버스가 만원이 아니어도 모든 좌석에 승객이 있고 하차하는 승객이 없으면 더 이상 승객을 태울 수 없다.
- 행사 또는 사고가 발생된 경우. 마라톤 대회 등에 의해서 임시적으로 정류장에 정차하지 않는 경우, 도착 예정 버스는 해당 정류장에 무정차 통과해야 한다. 해당 정류장이 공사 중으로 임시 폐쇄되거나, 정류장에 사고가 발생하여 정차할 수 없는 경우도 해당 정류장에 정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 대기자 중 단체 대기자의 수가 태울 수 있는 승객의 수를 초과하는 경우. 단체 승객이 승차를 희망할 경우 모든 승객을 하나의 버스로 수송해야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착 예정 버스가 모든 승객을 한 번에 태울 수 없다면 해당 정류장을 무정차 통과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무정차 조건이 만족될 경우, 버스 단말은 도착 예정 버스의 기사에게 정류장에 정차하지 않을 것을 지시하고, 정류장 단말은 디스플레이에 도착 예정 버스가 정류장에 정차하지 않을 것을 표시한다(S140). 이와 같이 도착 예정 버스가 정류장을 무정차 통과할 것이라는 것이 정류장의 대기자에게 사전에 통지되기 때문에, 무정차 통과로 인한 불만 민원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대기자가 무리하여 도착 예정 버스를 탑승하려고 시도할 필요가 없고, 사전에 다른 탑승 버스를 찾거나 다른 정류장으로 이동하는 등의 대안적인 조치를 강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불필요하게 정류장에 정차함으로써 버스의 운행이 지연되고 교통 흐름을 방해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무정차 조건이 만족되지 않으면, 버스 운행 정보 서버는 탑승을 희망하는 대기자가 있음을 나타내는 대기자 정보를 도착 예정 버스에 설치된 버스 단말에 전송한다(S150). 본 발명에서, 버스 운행 정보 서버와 사용자 단말, 정류장 단말, 및 버스 단말 사이의 통신은 다양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버스 단말이 대기자 정보를 수신하면, 버스 단말은 수신된 대기자 정보를 기초로 해당 정류장에 대기자가 존재한다는 것을 도착 예정 버스의 기사에게 통지한다(S160). 버스 단말은 음향 신호, 음성 신호, 및 시각 신호 등 다양한 방식을 사용하여 도착 예정 버스의 기사에게 대기자 정보를 통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고 버저와 같은 음향 신호나, "다음 정류장에 대기자가 존재합니다"라는 음성 신호를 통해서 도착 예정 버스의 기사가 운전하는데 영향을 주지 않고 안전하게 대기자 정보를 통지할 수 있다. 또는, 도착 예정 버스에 설치된 운전자 단말기에 다음 정류장에 대기자가 존재한다는 것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대기자가 존재한다는 것이 도착 예정 버스의 기사에게 통지되면, 해당 기사가 대기자를 발견하지 못하고 정류장을 무정차 통과하는 것이 사전에 예방되어 사용자의 편의가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버스 운행 정보 제공 방법(S100)에 따르면, 대기자 정보는 버스 단말 뿐만 아니라 정류장 단말에도 통지된다. 그러면, 버스 단말은 정류장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를 제어하여 대기자가 존재한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S170). 이 경우, 대기자 정보는 도착 예정 버스의 기사가 식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의 면에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도착 예정 버스의 기사는 정류장에 도착할 때마다 해당 정류장에 대기자가 있는지 여부를 사전에 알 수 있으므로 대기자를 식별하지 못하고 무정차하는 일이 방지된다.
본 발명에서, 대기자가 존재한다는 것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 또는 정류장 단말을 통해서 탑승 정보를 생성한 경우에 도착 예정 버스의 기사에게 제공된다. 하지만, 모든 사용자가 반드시 사전에 탑승 정보를 생성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특히 고령의 사용자는 기기 조작이 서툴러서 사용자 단말 또는 정류장 단말을 조작하는 것을 어려워하기 때문에 아무런 조작을 하지 않고 종래와 같이 버스를 대기할 수 있다.
따라서, 정류장의 디스플레이에 대기자가 존재한다고 표시될 경우 도착 예정 버스의 기사는 반드시 버스를 정차하여야 하지만, 정류장의 디스플레이에 대기자가 없다고 표시된다고 하여 도착 예정 버스가 반드시 해당 정류장을 무정차 통과해도 좋은 것은 아니다. 무정차 통과를 하려면 전술된 바와 같은 무정차 조건이 만족되어야 한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버스 운행 정보 제공 방법(S100)에서는, 단순히 도착 예정 버스의 도착 예정 시간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도착 예정 버스가 운행 중인지 여부, 그리고 정류장까지의 잔여 교차로의 개수 등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도착 예정 버스가 정류장의 직전 정류장을 통과하면, 버스 운행 정보 서버가 정류장까지의 잔여 교차로의 개수를 정류장 단말로 전송하고, 정류장 단말은 수신된 잔여 교차로의 개수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S180).
통상적으로 도착 예정 버스의 도착 예정 시간이 다가올수록 대기자는 버스가 정류장을 무정차 통과하지 않도록 미리 일어나서 신호를 보낼 준비를 한다. 그런데, 도착 예정 시간은 해당 버스가 정체 구간에 있거나, 특히 교차로에 걸려 정차하고 있는 경우에는 매우 부정확해지며, 이러한 오차는 도착 예정 버스가 정류장에 가까워질수록 커진다. 예를 들어, 정류장의 직접 교차로에 간발의 차로 신호 대기하게 된 차량의 경우, 도착 예정 시간보다 적어도 2분 늦게 정류장에 도착하게 된다. 만일 교차로에 대기하는 차량이 많다면, 도착 예정 시간은 훨씬 더 늦춰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정류장까지의 잔여 교차로의 개수와 함께, 도착 예정 버스가 운행 중인지 여부를 대기자에게 알려주게 된다. 그러면, 대기자는 도착 예정 시간이 아무리 다가왔더라도, 교차로의 수가 남아 있고 도착 예정 버스가 정차중인 경우 도착이 늦어질 것을 예측하고 더 차분하게 편한 자세로 도착 예정 버스를 기다릴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도착 예정 버스가 정류장에 접근하면, 버스 단말이 도착 예정 버스의 속도를 감속시킨다(S190). 이를 통하여, 대기자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도착 예정 버스가 정류장을 무정차 통과하는 것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착 예정 버스의 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하여 버스 단말은 도착 예정 버스와 정류장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고, 계산된 거리가 소정 설정치 미만이면, 도착 예정 버스를 감속하라는 명령을 도착 예정 버스의 구동부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도착 예정 버스가 정류장에 근접하다는 정보는 도착 예정 버스 표시부를 통해서대기자에게도 전달될 수 있다. 도착 예정 버스가 정류장에 근접하다는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도착 예정 버스를 식별하는 정보가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된다. 도착 예정 버스 표시부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6을 이용하여 상세히 후술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버스 운행 정보 제공 방법(S100)에 따르면 정류장에 대기자가 존재할 경우 이를 도착 예정 버스의 기사에게 통지하고, 도착 예정 버스가 정류장에 근접할 경우 자동으로 도착 예정 버스를 감속함으로써 버스의 무단 무정차 통과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소정의 무정차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사전에 결정하여, 무정차 조건이 만족될 경우에만 도착 예정 버스가 정류장을 무정차 통과하게 허용할 수 있다. 무정차 조건이 만족될 경우 대기자에게 사전에 무정차 통과를 알릴 수 있기 때문에 대기자는 다른 방안을 강구할 수 있게 되어 이용자의 편의가 증대된다.
또한, 버스가 주행 중인지 정차중인지를 표시하고, 더 나아가 도착 예정 버스와 정류장 사이의 잔여 교차로의 개수를 정류장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도착 예정 버스의 도착 시간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게 된다.
도 2 는 도 1 에 의한 버스 운행 정보 제공 방법에 의해 정류장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에 제공되는 정보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 의 (a)는 대기자 측에서 바라보는 디스플레이의 면(210)을 나타내고, 도 2 의 (b)는 도착 예정 버스의 기사 측에서 바라보는 디스플레이의 면(280)을 나타낸다.
도 2 의 제 1 면(210)은 도착 예정 버스 섹션(220), 버스 위치 섹션(230), 도착 예정 버스 노선 섹션(240), 및 조작부(250)를 포함한다. 도착 예정 버스 섹션(220)은 잠시 후 도착할 버스들을 표시한다. 버스 위치 섹션(230)에는 해당 정류장을 경유하는 버스들 각각의 위치와 각 버스의 도착 예정 시간이 표시된다. 도착 예정 버스 노선 섹션(240)은 탑승 버스의 노선표 및 탑승 버스가 어디에 위치하는지를 표시한다. 사용자는 조작부(250)를 터치함으로써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조작부(250)는 터치식으로 동작할 수도 있고, 기계식으로 동작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정류장에 예컨대 노선별로 복수 개의 정차 버튼이 설치될 수 있다. 그러면, 승객은 자기가 타고자 하는 버스의 노선에 해당하는 버튼을 누르고, 정류장 단말이 해당 버튼 누름을 감지할 수도 있다.
또한, 도 2 의 제 1 면(210)의 도착 예정 버스 노선 섹션(240)은 대기자 표시 섹션(260)을 포함한다. 대기자 표시 섹션(260)은 해당 탑승 버스에 탑승하려고 대기하는 대기자의 수가 표시된다. 대기자는 대기자 표시 섹션(260)에 대기자 인원수가 표시되면 해당 정보가 도착 예정 버스의 기사에게도 전달되었다는 것을 알게 된다. 따라서 버스가 무정차 통과하지 않을 것으로 기대하고 편하게 도착 예정 버스를 기다릴 수 있다.
도 2 의 제 2 면(280)도 대기자 표시 섹션(290)을 포함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도 2 의 제 2 면(280)은 도착 예정 버스의 기사에게 대기자가 있음을 표시하기 때문에, 대기자 표시 섹션(260)보다 크고 명확한 폰트로 대기자를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착 예정 버스가 정류장에 접근할 때, 도착 예정 버스의 기사는 대기자 표시 섹션(290)에 표시된 대기자 정보를 보게 되기 때문에, 대기자가 정류장 구조물에 가려져 있더라도 대기자가 존재한다는 것을 인식하고 버스를 확실하게 정차시킬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도 2 의 도착 예정 버스 노선 섹션(240)은 대기자 표시 섹션(260) 외에 도착 예정 버스가 정차중인지 주행 중인지 여부와 도착 예정 버스와 정류장 까지의 잔여 교차로 수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대기자에게 유용하며, 대기자가 도착 예정 버스의 도착 시간을 더 정확하게 추론할 수 있게 한다.
도 3a 및 도 3b 는 도 1 에 의한 버스 운행 정보 제공 방법에 의해 도착 예정 버스에 설치된 버스 단말(300) 및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350)에 각각 제공되는 정보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a 의 버스 단말(300)은 GPS 모듈(310), 디스플레이(330), 및 대기자 표시 섹션(340)을 포함한다. GPS 모듈(310)은 GPS 신호를 위성으로부터 수신하여 도착 예정 버스의 위치를 결정한다. 디스플레이(330)는 운행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대기자 표시 섹션(340)은 다음 정차할 정류장에 도착 예정 버스에 탑승하고자 하는 대기자가 존재하는지, 존재한다면 몇 명이 대기 중인지를 표시한다. 버스 단말(300)은 기사에게 음향 또는 음성으로 대기자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려주기 위한 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b 의 사용자 단말(350)은 디스플레이(360) 및 대기자 표시 섹션(360)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360)에는 사용자가 대기하고 있는 도착 예정 버스의 운행에 대한 다양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대기자 표시 섹션(360)은 자신이 대기하고 있다는 것이 도착 예정 버스의 버스 단말(300)로 전달되었음이 표시될 수 있다.
도 4 는 도착 예정 버스가 정류장에 접근할 때 도 1 에 의한 버스 운행 정보 제공 방법이 동작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류장에 대기자가 있는 경우, 해당 정보가 정류장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어 도착 예정 버스의 기사에게 노출된다. 따라서, 도착 예정 버스의 기사는 정류장에 정차하여 대기자를 탑승시킬 수 있게 된다.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면에 의한 버스 운행 정보 시스템(500)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 에 도시된 버스 운행 정보 시스템(500)은 사용자 단말(510), 버스 단말(530), 정류장 단말(570), 및 버스 운행 정보 서버(55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네트워크(590) 통해 서로 연결된다.
버스 운행 정보 서버(550)는 운행 중인 버스가 정류장에 도착하는 예정 시간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고 정류장에 대기자가 존재함을 버스의 기사에게 알리는 역할을 수행한다. 사용자 단말(510)은 사용자에 의하여 소지되고, 사용자가 탑승하고자 하는 탑승 버스에 대한 탑승 정보를 수신하여 버스 운행 정보 서버(550)로 전송한다. 정류장 단말(570)은 정류장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버스 단말(530)은 버스에 설치되고 상기 네트워크(590)를 통해 버스 운행 정보 서버(550)에 연결된다.
버스 운행 정보 서버(550)는, 사용자 단말(510) 또는 정류장 단말(570)로부터 수신된 탑승 정보를 기초로, 운행 중인 탑승 버스 중 정류장에 가장 빨리 도착할 것으로 예측되는 도착 예정 버스를 결정한다. 이 경우, 버스 운행 정보 서버(550)가 버스들의 도착 시간 또는 잔여 교차로의 개수 등을 기초로 도착 예정 버스를 결정할 수 있음은 전술된 바와 같다.
도착 예정 버스를 대기하는 대기자가 존재할 경우, 버스 운행 정보 서버(550)는 탑승을 희망하는 대기자의 존재를 나타내는 대기자 정보를 도착 예정 버스에 설치된 버스 단말(530)로 전송한다. 또한, 버스 단말(530)은, 수신된 대기자 정보를 기초로 정류장에 대기자가 존재한다는 것을 도착 예정 버스의 기사에게 통지하는 것은 물론, 도착 예정 버스가 정류장에 접근하면, 도착 예정 버스의 속도를 감속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버스 운행 정보 서버(550)가 도착 예정 버스가 주행 중인지 여부를 정류장 단말(570)로 전송하면, 정류장 단말(570)은 도착 예정 버스가 주행 중인지 여부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대기자는 도착 예정 버스의 도착 시간을 더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버스 운행 정보 서버(550)는 도착 예정 버스가 정류장에 정차하지 않을 무정차 조건이 만족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무정차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이벤트 정보, 정류장 단말로부터 수신된 정류장 상태 정보, 및 버스 단말로부터 수신된 도착 예정 버스의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판단될 수 있다.
무정차 조건이 만족될 경우, 버스 단말은 도착 예정 버스의 기사에게 정류장에 정차하지 않을 것을 지시하고, 정류장 단말은 디스플레이에 도착 예정 버스가 정류장에 정차하지 않을 것을 표시하여 대기자로 하여금 다른 운송 수단을 찾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무정차 조건은, 도착 예정 버스의 혼잡도, 정류장에 대기자가 존재하는지 여부, 교통 관련 법규, 교통 상황, 및 이벤트 발생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판단된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버스 운행 정보 서버(550)는 탑승 정보를 기초로 운행 중인 탑승 버스 중 정류장에 가장 빨리 도착할 것으로 예측되는 도착 예정 버스를 결정한다. 이를 위하여, 버스 운행 정보 서버(500)는 해당 정류장을 향해 이동 중인 탑승 버스들과 정류장 사이의 교차로의 개수를 결정하고, 결정된 교차로의 개수에 기초하여 도착 예정 버스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버스 운행 정보 서버(550)는 도착 예정 버스가 정류장의 직전 정류장을 통과하면, 해당 정류장까지의 잔여 교차로의 개수를 정류장 단말(57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정류장 단말(570)은 수신된 잔여 교차로의 개수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정류장 단말(570)은 탑승을 희망하는 대기자의 존재를 나타내는 대기자 정보를 도착 예정 버스의 기사가 볼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버스 단말(530)은 도착 예정 버스와 정류장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고, 거리가 소정 설정치 미만이면, 도착 예정 버스를 감속하라는 명령을 도착 예정 버스의 구동부로 전송함으로써, 도착 예정 버스의 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다.
도 6 은 정류장에 설치되는 도착 예정 버스 표시부를 예시한다.
도 6 의 (a)에 예시된 바와 같이, 도착 예정 버스 표시부(600)는 정류장과 차도 사이의 경계석(610)에 내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계석은 대기자의 시선의 아랫 부분에 위치되므로 디스플레이 유닛(650)은 경계석 내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플레이 유닛(650)이 대기자에게 잘 보이게 하기 위하여, 경계석(610)의 상부(620)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계석(610)의 상부(620)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강화 유리로 형성될 수 있고, 방탄 필름 등의 보강재가 그 위에 도포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650)은 버스 단말, 버스 운행 정보 서버, 또는 정류장 단말로과 통신하여 도착 예정 버스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처리부는 도착 예정 버스가 정류장에 근접하다는 신호를 수신하면, 해당 도착 예정 버스를 식별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 유닛(650)에 디스플레이한다.
도 6 의 (b)는 디스플레이 유닛(650)에 표시되는 정보를 예시한다. 이와 같이 도착 예정 버스의 번호가 디스플레이 유닛(650)에 표시되기 때문에, 대기자는 경계석을 확인함으로써 자신이 기다리고 있는 버스를 놓치지 않고 승차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버스 운행 정보 서버(550)는 승차한 버스 내의 사용자 단말(510)에 승차한 버스 경로 상의 각각의 정류장에서 사용자에게 환승 정보를 알려줄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510)의 위치와 버스 또는 버스 단말(530)의 위치 정보를 입력 받아 사용자가 승차한 버스를 특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사용자 단말(510)을 통하여 승차한 버스를 지정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버스 운행 정보 서버(550)가 사용자가 승차한 버스가 다음 정차할 정류장의 정보를 추출하고, 다음 정차할 정류장에서 사용자가 목적지를 가기 위하여 환승할 수 있는 정보를 사용자 단말(510)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 단말(510)을 통하여 사용자가 가고자 하는 목적지의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목적지는 버스 탑승 전 또는 탑승 중에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버스 운행 정보 서버(550)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탑승한 버스 운행 경로 상에 위치한 각각의 정류장의 환승 정보를 사용자 단말(51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현재 위치 기준 설정된 개수(예를 들어 다음 정류장 또는 3 또는 4개의 정류장)의 정류장에서의 목적지를 가기 위한 환승정보를 사용자 단말(51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510)을 통한 환승 정보 요청에 의하여 다음 정류장또는 정류장들에서의 목적지를 가기 위한 환승 정보를 최단 시간 또는 최단 거리 기준으로 설정된 개수의 환승 정보를 사용자 단말(510)에 송신하여 사용자 단말(510)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사용자 단말(510)에 설정된 시간 간격 또는 정류장 도착전 설정된 시간 전에 자동으로 환승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환승 정보는 목적지를 가기 위한 환승할 버스 또는 지하철 등 대중교통 정보를 예상 도착 시간과 함께 보여줄 수 있다. 이때, 현재 버스를 타고 가능 경우의 예상 도착 시간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환승하는 데 소요되는 환승 시간을 포함하여 계산 및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환승하는 버스 또는 지하철의 남은 자리 수를 함께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택권을 넓힐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목적지를 편리하게 최단 거리 또는 최단 시간에 갈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게 된다.
다른 실시에로서, 사용자가 승차한 버스의 다음 또는 다음 몇 개의 정류장 근처의 근접한 화장실 정보를 보여줄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긴급하게 화장실을 가야할 경우에 사용자가 화장실을 이용할 수 있는 정류장에 하차하여 편리하게 화장실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정류장에서의 환승 정보와 다음 버스 정보를 함께 이용하면 화장실을 가기 위하여 정차할 정류장을 편리하게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본 명세서에서 예시된 무정차 조건은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제공된 것일 뿐이고, 외부로부터 수신 이벤트 정보, 정류장 상태 정보, 및 도착 예정 버스의 상태 정보를 기초로 다양한 무정차 조건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분산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분산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해석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블록"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버스의 운행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버스 운행 정보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500 버스 운행 정보 시스템 510 사용자 단말
530 버스 단말 550 버스 운행 정보 서버
570 정류장 단말 509 네트워크

Claims (16)

  1. 운행 중인 버스가 정류장에 도착하는 예정 시간을 상기 정류장에 설치된 정류장 단말에 통지하는 버스 운행 정보 서버를 포함하는 버스 운행 정보 시스템에서, 상기 정류장에 대기자가 존재함을 알리는 버스 운행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버스 운행 정보 서버가,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정류장 단말로부터 사용자가 탑승하고자 하는 탑승 버스에 대한 탑승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버스 운행 정보 서버가, 운행 중인 탑승 버스 중 상기 정류장에 가장 빨리 도착할 것으로 예측되는 도착 예정 버스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버스 운행 정보 서버가, 탑승을 희망하는 대기자의 존재를 나타내는 대기자 정보를 상기 도착 예정 버스에 설치된 버스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버스 단말이, 수신된 대기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정류장에 대기자가 존재한다는 것을 상기 도착 예정 버스의 기사에게 통지하는 단계;
    상기 정류장 단말이, 상기 도착 예정 버스가 상기 정류장에 접근하면, 상기 정류장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에 대기자가 존재한다는 것을 상기 기사가 볼 수 있게 표시하는 단계;
    상기 버스 운행 정보 서버가, 상기 도착 예정 버스가 정류장에 정차하지 않을 무정차 조건이 만족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버스 단말이, 상기 무정차 조건이 만족될 경우 상기 도착 예정 버스의 기사에게 상기 정류장에 정차하지 않을 것을 지시하는 단계;
    상기 정류장 단말이, 상기 무정차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도착 예정 버스가 상기 정류장에 정차하지 않을 것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버스 운행 정보 서버가 상기 도착 예정 버스가 주행 중인지 여부 및 상기 도착 예정 버스와 정류장 사이의 잔여 교차로 개수를 상기 정류장 단말로 전송하면, 상기 정류장 단말이 상기 도착 예정 버스가 주행 중인지 여부 및 상기 도착 예정 버스와 정류장 사이의 잔여 교차로 개수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버스 운행 정보 서버가, 외부로부터 수신된 이벤트 정보, 상기 정류장 단말로부터 수신된 정류장 상태 정보, 및 상기 버스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도착 예정 버스의 상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도착 예정 버스가 상기 정류장에 정차하지 않을 무정차 조건이 만족되는지 판단하며,
    상기 무정차 조건은, 상기 도착 예정 버스의 혼잡도, 상기 정류장에 대기자가 존재하는지 여부, 교통 관련 법규, 교통 상황, 및 이벤트 발생 여부를 포함하는 버스 운행 정보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 단말이, 상기 도착 예정 버스가 상기 정류장에 접근하면, 상기 도착 예정 버스의 속도를 감속시키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버스 운행 정보 제공 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착 예정 버스 결정 단계는,
    상기 버스 운행 정보 서버가 상기 정류장을 향해 이동 중인 탑승 버스들이 주행 중인지 여부와 상기 정류장을 향해 이동 중인 탑승 버스들과 상기 정류장 사이의 교차로의 개수를 결정하는 것, 및
    상기 버스 운행 정보 서버가, 주행 중인지 여부와 결정된 교차로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도착 예정 버스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버스 운행 정보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 운행 정보 서버가 사용자가 승차한 버스가 다음 정차할 정류장의 정보를 추출하고, 다음 정차할 정류장에서 사용자가 목적지를 가기 위하여 환승할 수 있는 정보를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보여 주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버스 운행 정보 제공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착 예정 버스의 속도를 감속시키는 단계는,
    상기 버스 단말이 상기 도착 예정 버스와 상기 정류장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는 것, 및
    상기 거리가 소정 설정치 미만이면, 상기 버스 단말이 상기 도착 예정 버스를 감속하라는 명령을 상기 도착 예정 버스의 구동부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버스 운행 정보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 운행 정보 서버가, 사용자가 승차한 버스가 다음 정차할 정류장 근처의 근접한 화장실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버스 운행 정보 제공 방법.
  9. 운행 중인 버스가 정류장에 도착하는 예정 시간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고 상기 정류장에 대기자가 존재함을 버스의 기사에게 알리는 버스 운행 정보 서버를 포함하는 버스 운행 정보 시스템으로서,
    사용자에 의하여 소지되고, 사용자가 탑승하고자 하는 탑승 버스에 대한 탑승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버스 운행 정보 서버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정류장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정류장 단말; 및
    버스에 설치되고 상기 버스 운행 정보 서버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는 버스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버스 운행 정보 서버는,
    수신된 상기 탑승 정보를 기초로, 운행 중인 탑승 버스 중 상기 정류장에 가장 빨리 도착할 것으로 예측되는 도착 예정 버스를 결정하고,
    탑승을 희망하는 대기자의 존재를 나타내는 대기자 정보를 상기 도착 예정 버스에 설치된 버스 단말에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버스 단말은, 수신된 대기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정류장에 대기자가 존재한다는 것을 상기 도착 예정 버스의 기사에게 통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정류장 단말은, 상기 디스플레이에 대기자가 존재한다는 것을 상기 기사가 볼 수 있게 표시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버스 운행 정보 서버가, 상기 도착 예정 버스가 정류장에 정차하지 않을 무정차 조건이 만족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버스 단말이, 상기 무정차 조건이 만족될 경우 상기 도착 예정 버스의 기사에게 상기 정류장에 정차하지 않을 것을 지시하고,
    상기 정류장 단말이, 상기 무정차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도착 예정 버스가 상기 정류장에 정차하지 않을 것을 표시하고,
    상기 버스 운행 정보 서버가 상기 도착 예정 버스가 주행 중인지 여부 및 상기 도착 예정 버스와 정류장 사이의 잔여 교차로 개수를 상기 정류장 단말로 전송하면, 상기 정류장 단말이 상기 도착 예정 버스가 주행 중인지 여부 및 상기 도착 예정 버스와 정류장 사이의 잔여 교차로 개수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버스 운행 정보 서버가, 외부로부터 수신된 이벤트 정보, 상기 정류장 단말로부터 수신된 정류장 상태 정보, 및 상기 버스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도착 예정 버스의 상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도착 예정 버스가 상기 정류장에 정차하지 않을 무정차 조건이 만족되는지 판단하며,
    상기 무정차 조건은, 상기 도착 예정 버스의 혼잡도, 상기 정류장에 대기자가 존재하는지 여부, 교통 관련 법규, 교통 상황, 및 이벤트 발생 여부를 포함하는 버스 운행 정보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 단말이, 상기 도착 예정 버스가 상기 정류장에 접근하면, 상기 도착 예정 버스의 속도를 감속시키는 버스 운행 정보 시스템.
  11. 삭제
  12. 삭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 운행 정보 서버가, 상기 정류장을 향해 이동 중인 탑승 버스들이 주행 중인지 여부와 상기 정류장을 향해 이동 중인 탑승 버스들과 상기 정류장 사이의 교차로의 개수를 결정하고, 주행 중인지 여부와 결정된 교차로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도착 예정 버스를 결정하는 버스 운행 정보 시스템.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 운행 정보 서버가 사용자가 승차한 버스가 다음 정차할 정류장의 정보를 추출하고, 다음 정차할 정류장에서 사용자가 목적지를 가기 위하여 환승할 수 있는 정보를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보여 주는 버스 운행 정보 시스템.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도착 예정 버스의 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하여, 상기 버스 단말은 상기 도착 예정 버스와 상기 정류장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고, 상기 거리가 소정 설정치 미만이면, 상기 도착 예정 버스를 감속하라는 명령을 상기 도착 예정 버스의 구동부로 전송하는, 버스 운행 정보 시스템.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 운행 정보 서버가, 사용자가 승차한 버스가 다음 정차할 정류장 근처의 근접한 화장실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버스 운행 정보 시스템.
KR1020190083859A 2019-07-11 2019-07-11 정류장에 대기자가 존재함을 알리는 버스 운행 정보 제공 방법 및 버스 운행 정보 시스템 KR1020483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3859A KR102048357B1 (ko) 2019-07-11 2019-07-11 정류장에 대기자가 존재함을 알리는 버스 운행 정보 제공 방법 및 버스 운행 정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3859A KR102048357B1 (ko) 2019-07-11 2019-07-11 정류장에 대기자가 존재함을 알리는 버스 운행 정보 제공 방법 및 버스 운행 정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8357B1 true KR102048357B1 (ko) 2020-01-08

Family

ID=69154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3859A KR102048357B1 (ko) 2019-07-11 2019-07-11 정류장에 대기자가 존재함을 알리는 버스 운행 정보 제공 방법 및 버스 운행 정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8357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5885B1 (ko) * 2019-11-22 2021-02-15 오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정차 및 무정차 버스 관리를 위한 버스 정류장 운영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369957B1 (ko) * 2021-06-18 2022-03-04 이피코리아(주) 이용자 수와 체류시간을 고려한 스마트 버스 승강장의 자동제어 시스템
KR102411254B1 (ko) * 2022-02-25 2022-06-23 이피코리아(주) 스마트 버스 승강장
CN114944079A (zh) * 2021-02-16 2022-08-26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运行管理装置和运行管理方法
KR102443723B1 (ko) * 2021-06-18 2022-09-16 이피코리아(주) 이용자 수와 체류시간을 고려한 스마트 버스 승강장의 자동제어 시스템
KR20230091685A (ko) 2021-12-16 2023-06-23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정류장단말기와 연계된 버스탑승 예약시스템
KR102649549B1 (ko) * 2023-07-04 2024-03-20 주식회사 싸인텔레콤 승객의 승차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 교통정보 제공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3927A (ko) * 2012-07-02 2014-01-10 이흥수 실시간 교통 정보를 고려한 차량의 도착예정 시간 계산 방법과 교통신호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시스템
KR20180003185A (ko) * 2016-06-30 2018-01-09 오선 버스 승객 알림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WO2018037954A1 (ja) * 2016-08-26 2018-03-01 ソニー株式会社 移動体制御装置、移動体制御方法、及び、移動体
KR20190003917A (ko) * 2017-06-30 2019-01-10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버스 운행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3927A (ko) * 2012-07-02 2014-01-10 이흥수 실시간 교통 정보를 고려한 차량의 도착예정 시간 계산 방법과 교통신호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시스템
KR20180003185A (ko) * 2016-06-30 2018-01-09 오선 버스 승객 알림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WO2018037954A1 (ja) * 2016-08-26 2018-03-01 ソニー株式会社 移動体制御装置、移動体制御方法、及び、移動体
KR20190003917A (ko) * 2017-06-30 2019-01-10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버스 운행 제어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10-2000-0049356 (특허권자 : 마옥현, 신정호, "시내버스 도착정보 제공시스템")
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10-2001-0018962 (특허권자 :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버스정보 안내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5885B1 (ko) * 2019-11-22 2021-02-15 오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정차 및 무정차 버스 관리를 위한 버스 정류장 운영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CN114944079A (zh) * 2021-02-16 2022-08-26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运行管理装置和运行管理方法
CN114944079B (zh) * 2021-02-16 2024-03-19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运行管理装置和运行管理方法
KR102369957B1 (ko) * 2021-06-18 2022-03-04 이피코리아(주) 이용자 수와 체류시간을 고려한 스마트 버스 승강장의 자동제어 시스템
KR102443723B1 (ko) * 2021-06-18 2022-09-16 이피코리아(주) 이용자 수와 체류시간을 고려한 스마트 버스 승강장의 자동제어 시스템
KR102443724B1 (ko) * 2021-06-18 2022-09-16 이피코리아(주) 스마트 버스 승강장의 자동제어 시스템
US11682301B2 (en) 2021-06-18 2023-06-20 E.P. Korea Co., Ltd. Automatic control system of smart bus platform considering the number of users and staying time
KR20230091685A (ko) 2021-12-16 2023-06-23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정류장단말기와 연계된 버스탑승 예약시스템
KR102411254B1 (ko) * 2022-02-25 2022-06-23 이피코리아(주) 스마트 버스 승강장
KR102649549B1 (ko) * 2023-07-04 2024-03-20 주식회사 싸인텔레콤 승객의 승차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 교통정보 제공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8357B1 (ko) 정류장에 대기자가 존재함을 알리는 버스 운행 정보 제공 방법 및 버스 운행 정보 시스템
JP6273656B2 (ja) デマンド型運行管理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デマンド型運行管理システム
CA2833542C (en) Situation-aware mobile travel advisory to public transport commuters
EP1077362B1 (en) Route guiding apparatus
KR101855257B1 (ko) 통신 시스템에서 대중 교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273299B1 (ko) 버스 내장형 비스 단말장치
JP2002013941A (ja) ナビゲーションルート計画システム
JP6003824B2 (ja) 信号機制御システム
JP2000163699A (ja) 緊急車両の優先走行支援システム
KR20140138510A (ko) 버스 정보 시스템
JPH10170288A (ja) 乗車情報提供システム
JP2013076643A (ja) 配車タクシー検索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車載端末
JP2005003592A (ja) 情報送信装置、情報送信用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送信方法
JP2002208091A (ja) バスの運行管理システム
JP2010237891A (ja) バス乗車誘導システムおよびバス乗車誘導方法
JP2006254294A (ja) 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情報提供方法
KR100988288B1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교통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WO2022200820A1 (ja) 乗車地設定装置、配車サービスシステム、乗車地設定方法、及び乗車地表
JP2001351197A (ja) 予約車処理対応可能な駐車場システム
KR20170092231A (ko) 시각 장애인용 교통 안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JP2006039995A (ja) 移動体管理システム
KR20150088936A (ko) 양방향 버스 정보 시스템
JP2003058985A (ja) 交通システムの運行支援装置
JP2005346198A (ja) 移動体の運行情報表示システム
KR102642574B1 (ko) 통근버스 관리 서버 및 운전기사용 통근버스 관리 프로그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