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9549B1 - 승객의 승차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 교통정보 제공시스템 - Google Patents

승객의 승차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 교통정보 제공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9549B1
KR102649549B1 KR1020230086152A KR20230086152A KR102649549B1 KR 102649549 B1 KR102649549 B1 KR 102649549B1 KR 1020230086152 A KR1020230086152 A KR 1020230086152A KR 20230086152 A KR20230086152 A KR 20230086152A KR 102649549 B1 KR102649549 B1 KR 102649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assenger
bus
unit
passeng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6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기
김용유
김희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싸인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싸인텔레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싸인텔레콤
Priority to KR1020230086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95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9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95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 G08G1/13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within the vehicle ; Indicators inside the vehicles or at stop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presence or movement of objects or living beings
    • H05B47/12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presence or movement of objects or living beings by using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승객의 승차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 교통정보 제공시스템은 버스정류장에 배치되어 승객을 촬영하는 승객촬영부, 버스정류장 및 버스정류장 인근에 배치되며, 버스운전자에게 승객정보를 제공하는 승객정보안내부, 승객을 판별하기 위한 복수의 객체정보를 저장하며, 저장된 복수의 객체정보에 기초하여 승객촬영부에서 촬영된 촬영영상에서 승객유무를 판단하며, 승객촬영부에서 촬영된 촬영영상에서 승객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승객 존재 여부를 포함하는 승객정보를 표시하도록 승객정보안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승객의 승차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 교통정보 제공시스템{Smart Traffic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본 발명은 승객의 승차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 교통정보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버스를 이용하는 승객이 버스 탑승의 안정성과 편의성을 제공하는 승객의 승차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 교통정보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대중교통정보 제공시스템은 대중교통 이용자들에게 실시간으로 대중교통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대중교통 수단의 도착 시간, 노선 정보, 운행 상태 등을 표시하여 이용자들이 대중교통을 더욱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대중교통정보 제공시스템은 대개 GPS, 실시간 데이터, 센서 등을 활용하여 대중교통 수단의 위치와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이를 디지털 사이니지에 표시한다. 이를 통해 이용자들은 대중교통 수단의 도착 시간과 운행 정보를 빠르게 확인하여 대기 시간을 최소화하고, 효율적인 이동 경로를 선택할 수 있다.
대중교통 수단(버스, 지하철 등)의 다음 도착 예정 시간을 실시간으로 표시하여 이용자들이 도착 시간을 예측하고 대기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대중교통 수단의 노선 정보(노선 번호, 정류장 목록, 경로 등)을 제공하여 이용자들이 쉽게 목적지까지의 노선을 확인할 수 있다.
대중교통 수단의 운행 상태(지연, 정상 운행, 운행 중단 등)를 표시하여 이용자들이 운행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대중교통 수단 간의 환승 정보와 경로를 제공하여 이용자들이 효율적으로 환승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공휴일, 이벤트, 날씨 등 특별한 상황에 따른 대중교통 운행 정보를 제공하여 이용자들이 운행 변동 사항을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버스정류장의 경우 버스 기사가 버스를 운행하면서 정류장 내 승객이 존재하는 지 여부를 알기 어려우며, 승객이 탑승 의사가 있는지 판단하기 어려우므로 승객이 탑승 의사를 적극적으로 표현하지 않는 경우 버스 운전자는 정차하지 않고 정류장을 지나가기도 한다. 이에 승객은 버스를 놓치게 되며 불편함을 호소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버스를 이용하는 적극적으로 탑승의사를 표현하지 않아도 버스가 무정차하지 않고 정차하게 할 수 있는 승객의 승차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 교통정보 제공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승객의 승차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 교통정보 제공시스템은 버스정류장에 배치되어 승객을 촬영하는 승객촬영부; 상기 버스정류장 및 상기 버스정류장 인근에 배치되며, 버스운전자에게 승객정보를 제공하는 승객정보안내부; 및 승객을 판별하기 위한 복수의 객체정보를 저장하며, 저장된 상기 복수의 객체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승객촬영부에서 촬영된 촬영영상에서 승객유무를 판단하며, 상기 승객촬영부에서 촬영된 촬영영상에서 승객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승객 존재 여부를 포함하는 상기 승객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승객정보안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승객이 버스정류장에 있는 것을 카메라로 파악하며, 승객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면 승객정보안내부에 승객이 버스정류장에 대기하고 있다는 것을 알리도록 하므로 버스를 기다리는 승객은 버스를 놓치지 않고 안정적으로 탑승할 수 있어 승객의 안정성과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외부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버스정류장에 지지되며, 승객이 탑승하려는 버스노선번호를 입력하는 번호입력부를 갖는 승객탑승정보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객탑승정보입력부에 상기 버스노선번호가 입력되면, 버스 및 버스관제소 중 적어도 하나로 해당 버스정류장정보 및 해당 승객탑승정보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면 승객이 탑승하려는 번호의 버스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여 버스 운전자가 알게 하므로 해당 번호의 버스 운전자가 이를 인지하고 해당 정류장에 정차하며 승객도 정확한 탑승이 이루어질 수 있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승객탑승정보입력부는, 상기 버스정류장에 지지되는 입력본체; 상기 입력본체에 지지되며, 적어도 하나의 상기 버스노선정보를 표시하는 입력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버스노선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선택버튼을 포함하면 승객이 탑승하려는 버스의 번호를 입력하기 쉬울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버스정류장에 지지되며, 상기 버스정류장을 밝히는 조명부; 및 승객에게 버스의 도착 예정 정보를 알려줄 버스정보안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객촬영부에서 촬영된 촬영영상에서 승객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조명부, 상기 승객촬영부, 상기 승객정보안내부 및 상기 버스정보안내부를 전력을 최저로 소모하도록 하는 최저전력모드가 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승객촬영부에서 촬영된 촬영영상에서 승객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버스정류장을 밝히도록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며, 상기 승객정보안내부 및 상기 버스정보안내부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최저전력모드에서 활성화되도록 하는 활성모드가 되도록 제어하면 버스정류장의 전원모드를 승객이 없는 경우 최저전력모드로 하여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으며, 승객이 있는 경우 전원을 활성화하여 버스정류장이 환하게 밝히도록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승객이 버스정류장에 있는 것을 카메라로 파악하며, 승객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면 승객정보안내부에 승객이 버스정류장에 대기하고 있다는 것을 알리도록 하므로 버스를 기다리는 승객은 버스를 놓치지 않고 안정적으로 탑승할 수 있어 승객의 안정성과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승객이 탑승하려는 번호의 버스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여 버스 운전자가 알게 하므로 해당 번호의 버스 운전자가 이를 인지하고 해당 정류장에 정차하며 승객도 정확한 탑승이 이루어질 수 있고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승객이 탑승하려는 버스의 번호를 입력하기 쉬울 수 있고, 버스정류장의 전원모드를 승객이 없는 경우 최저전력모드로 하여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으며, 승객이 있는 경우 전원을 활성화하여 버스정류장이 환하게 밝히도록 할 수 있으므로 승객의 안정감과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객의 승차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 교통정보 제공시스템의 예시도이다.
도 2는 승객탑승정보입력부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버스정보안내부의 예시도이다.
도 4는 승객의 승차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 교통정보 제공시스템의 동작도이다.
도 5는 승객의 승차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 교통정보 제공시스템의 제어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승객의 승차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 교통정보 제공시스템(1)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객의 승차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 교통정보 제공시스템(1)의 예시도이고, 도 2는 승객탑승정보입력부(40)의 예시도이며, 도 3은 버스정보안내부(70)의 예시도이며, 도 4는 승객의 승차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 교통정보 제공시스템(1)의 동작도이고, 도 5는 승객의 승차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 교통정보 제공시스템(1)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승객의 승차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 교통정보 제공시스템(1)의 구성을 설명한다.
스마트 교통정보 제공시스템(1)은 승객촬영부(10), 승객정보안내부(20), 통신부(30), 승객탑승정보입력부(40), 조명부(60), 버스정보안내부(70) 및 제어부(80)를 포함한다.
승객촬영부(10)는 버스정류장(2)에 배치되어 승객을 촬영한다.
승객정보안내부(20)는 버스정류장(2) 및 버스정류장(2) 인근에 배치되며, 버스운전자에게 승객정보를 제공한다. 승객정보안내부(20)는 승객정보안내본체(21) 및 승객정보안내디스플레이부(22)를 포함한다.
승객정보안내본체(21)는 승객정보안내디스플레이부(22)를 외부에서 보호하며 외형틀을 형성한다.
승객정보안내디스플레이부(22)는 승객정보안내본체(21)에 지지되며, 버스정류장에 승객이 있는 지 없는지에 대한 승객정보를 표시한다.
여기서, 승객정보는 탑승예정 버스번호와 승객대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30)는 외부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승객탑승정보입력부(40)는 버스정류장(2)에 지지되며, 승객이 탑승하려는 버스노선번호를 입력하는 번호입력부를 가질 수 있다. 승객탑승정보입력부(40)는 입력본체(41), 입력디스플레이부(42) 및 선택버튼(43)을 포함한다.
입력본체(41)는 입력디스플레이부(42)를 둘러싸며 외형틀을 형성하며, 버스정류장(2)에 지지될 수 있다.
입력디스플레이부(42)는 입력본체(41)에 지지되며, 적어도 하나의 버스노선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선택버튼(43)은 입력디스플레이부(42)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버스노선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즉, 버스노선정보의 우측 내지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조명부(60)는 버스정류장(2)에 지지되며, 버스정류장(2)을 밝힐 수 있다. 조명부(60)는 버스정류장(2) 및 버스정류장(2)의 주변으로 배치되어 버스정류장(2) 및 버스정류장(2)의 주변으로 광을 출력하여 버스 운전자의 시야를 밝혀줄 수도 있다.
버스정보안내부(70)는 승객에게 버스(3)의 도착 예정 정보를 알려줄 수 있다.
제어부(80)는 승객을 판별하기 위한 복수의 객체정보를 저장하며, 저장된 복수의 객체정보에 기초하여 승객촬영부(10)에서 촬영된 촬영영상에서 승객유무를 판단하며, 승객촬영부(10)에서 촬영된 촬영영상에서 승객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승객 존재 여부를 포함하는 승객정보를 표시하도록 승객정보안내부(20)를 제어한다.
제어부(80)는 승객탑승정보입력부(40)에 버스노선번호가 입력되면, 버스 및 버스관제소 중 적어도 하나로 해당 버스정류장정보 및 해당 승객탑승정보를 전송하도록 통신부(3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80)는 승객촬영부(10)에서 촬영된 촬영영상에서 승객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조명부(60), 승객촬영부(10), 승객정보안내부(20) 및 버스정보안내부(70)를 전력을 최저로 소모하도록 하는 최저전력모드가 되도록 제어하며, 승객촬영부(10)에서 촬영된 촬영영상에서 승객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버스정류장(2)을 밝히도록 조명부(60)를 제어하며, 승객정보안내부(20) 및 버스정보안내부(70) 중 적어도 하나를 최저전력모드에서 활성화되도록 하는 활성모드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스마트 교통정보 제공시스템(1)의 동작도이다.
도 4 (a) 카메라인 승객촬영부(10)가 촬영을 하여 제어부(80)로 전송하면 제어부(80)는 저장된 복수의 객체정보에 기초하여 촬영영상에서 승객유무를 판단하며, 버스정류장(2)에 승객이 있는지를 파악한다. 승객이 버스정류장(2)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80)는 승객 존재 여부를 포함하는 승객정보를 승객정보안내부(20)에 표시한다.
도 4 (b) 이 후 승객이 승객탑승정보입력부(40)에 버스노선번호를 입력한다. 승객은 N9238-1의 버스에 탑승하기 위하여 선택버튼(43, A)을 누른다. 이 선택버튼(43, A)을 누른 것에 대응하여 버스)로 해당 버스정류장정보 및 해당 승객탑승정보를 전송하며, 버스는 현재의 버스위치정보 및 해당 버스정류장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승객탑승정보를 표시한다.
도 5 (c) 버스가 해당 버스정류장에 접근하게 되면 이번 정류장에 정차하세요라는 문구와 함께 음성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버스 운전자는 해당 버스정류장에 정확하게 정차한 후 승객을 태울 수 있다.
상기의 실시 예 이외의 변형 가능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승객촬영부(10)는 정류장 내부의 사람을 확인하여, 정류장 내부의 조명을 제어하고 도착 예정 버스가 있을 경우 승객 안내 전광판에 '승객 대기 중'과 같은 문구를 표시하여 버스 기사에게 해당 정류장에 승객이 있다는 것을 알릴 수 있다.
승객탑승정보입력부(40)는 사용자들이 번호를 입력하는 불편함을 줄이기 위해, 버스정보안내부(70)와 통신하여 도착 예정인 버스의 번호를 단말기 내부의 LED모듈에 표시한다. 사용자는 해당 버스 번호 옆의 버튼을 누르면 버튼 내부의 LED가 켜지며, 승객 안내 전광판에 '栢*번 버스 승객 대기 중'과 같은 문구가 표시되어 버스 기사에게 탑승 의사를 전달한다. 만약 승객정보안내부(20)에 표시 중인 버스가 정류장을 지나가거나, 선택한 버스 번호 버튼을 다시 누르면 탑승 의사 알림(승객정보안내부(20) 표출)이 취소될 수 있다. 만약 표시할 버스 번호가 많아서 화면이 꽉 차게 되면 일정 시간마다 화면이 전환된다.
승객정보안내부(20)은 2개 이상의 탑승 의사 버스가 발생하면 윗줄에 노선번호를 나열하고 아랫줄에 ‘버스 승객 대기 중’ 등의 표시로 자동 전환될 수 있다. 버스정류장 내 승객이 없고 탑승 의사가 있는 버스가 없으면 절전모드(화면 OFF)가 동작하여 운전자 빛 공해 예방, 에너지 절약이 가능하다.
버스정보센터에서 버스 내 설치되는 버스단말기가 제어가 가능한 경우 탑승 의사가 발생한 버스에 대해 탑승알림을 진행하여 버스기사에게 추가적인 알림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의 스마트 교통정보 제공시스템(1)으로 인하여, 승객이 버스정류장에 있는 것을 카메라로 파악하며, 승객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면 승객정보안내부에 승객이 버스정류장에 대기하고 있다는 것을 알리도록 하므로 버스를 기다리는 승객은 버스를 놓치지 않고 안정적으로 탑승할 수 있어 승객의 안정성과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승객이 탑승하려는 번호의 버스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여 버스 운전자가 알게 하므로 해당 번호의 버스 운전자가 이를 인지하고 해당 정류장에 정차하며 승객도 정확한 탑승이 이루어질 수 있고, 버스 운전자가 해당 버스정류장정보 및 해당 승객탑승정보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정확하게 정차할 수 있다.
또한, 승객이 탑승하려는 버스의 번호를 입력하기 쉬울 수 있고, 버스정류장의 전원모드를 승객이 없는 경우 최저전력모드로 하여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으며, 승객이 있는 경우 전원을 활성화하여 버스정류장이 환하게 밝히도록 할 수 있으므로 승객의 안정감과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1: 승객의 승차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 교통정보 제공시스템
2: 버스정류장 3: 버스
10: 승객촬영부
20: 승객정보안내부 21: 승객정보안내본체
22: 승객정보안내디스플레이부
30: 통신부
40: 승객탑승정보입력부 41: 입력본체
42: 입력디스플레이부 43: 선택버튼
50: 버스단말기
60: 조명부
70: 버스정보안내부
80: 제어부

Claims (4)

  1. 승객의 승차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 교통정보 제공시스템에 있어서,
    버스정류장에 배치되어 승객을 촬영하는 승객촬영부;
    상기 버스정류장 및 상기 버스정류장 인근에 배치되며, 버스운전자에게 승객정보를 제공하는 승객정보안내부;
    상기 버스정류장에 지지되며, 상기 버스정류장을 밝히는 조명부;
    승객에게 버스의 도착 예정 정보를 알려줄 버스정보안내부; 및
    승객을 판별하기 위한 복수의 객체정보를 저장하며, 저장된 상기 복수의 객체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승객촬영부에서 촬영된 촬영영상에서 승객유무를 판단하며, 상기 승객촬영부에서 촬영된 촬영영상에서 승객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승객 존재 여부를 포함하는 상기 승객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승객정보안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객촬영부에서 촬영된 정류장 내부의 사람을 확인하여, 상기 버스정류장 내부의 조명을 제어하고 도착 예정 버스가 있을 경우 상기 승객정보안내부에 '승객 대기 중'의 문구를 포함하여 표시하여 버스 기사에게 해당 정류장에 승객이 있다는 것을 알리며, 2개 이상의 탑승 의사 버스가 발생하면 상기 승객정보안내부의 윗줄에 노선번호를 나열하고 아랫줄에 ‘버스 승객 대기 중’을 포함하는 표시로 자동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의 승차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 교통정보 제공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외부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버스정류장에 지지되며, 승객이 탑승하려는 버스노선번호를 입력하는 번호입력부를 갖는 승객탑승정보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객탑승정보입력부에 상기 버스노선번호가 입력되면, 버스 및 버스관제소 중 적어도 하나로 해당 버스정류장정보 및 해당 승객탑승정보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의 승차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 교통정보 제공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객탑승정보입력부는,
    상기 버스정류장에 지지되는 입력본체;
    상기 입력본체에 지지되며, 적어도 하나의 상기 버스노선번호를 표시하는 입력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버스노선번호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선택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의 승차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 교통정보 제공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객촬영부에서 촬영된 촬영영상에서 승객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조명부, 상기 승객촬영부, 상기 승객정보안내부 및 상기 버스정보안내부를 전력을 최저로 소모하도록 하는 최저전력모드가 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승객촬영부에서 촬영된 촬영영상에서 승객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버스정류장을 밝히도록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며, 상기 승객정보안내부 및 상기 버스정보안내부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최저전력모드에서 활성화되도록 하는 활성모드가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의 승차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 교통정보 제공시스템.
KR1020230086152A 2023-07-04 2023-07-04 승객의 승차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 교통정보 제공시스템 KR1026495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6152A KR102649549B1 (ko) 2023-07-04 2023-07-04 승객의 승차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 교통정보 제공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6152A KR102649549B1 (ko) 2023-07-04 2023-07-04 승객의 승차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 교통정보 제공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9549B1 true KR102649549B1 (ko) 2024-03-20

Family

ID=90483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6152A KR102649549B1 (ko) 2023-07-04 2023-07-04 승객의 승차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 교통정보 제공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954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9493Y1 (ko) * 2001-02-13 2001-07-19 김성식 버스승강장용 승객자동감지장치
KR102048357B1 (ko) * 2019-07-11 2020-01-08 주식회사 트윅스정보통신 정류장에 대기자가 존재함을 알리는 버스 운행 정보 제공 방법 및 버스 운행 정보 시스템
KR102361656B1 (ko) * 2021-06-25 2022-02-14 주식회사 트윅스정보통신 딥러닝을 이용한 대기 승객 안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대기 승객 안내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9493Y1 (ko) * 2001-02-13 2001-07-19 김성식 버스승강장용 승객자동감지장치
KR102048357B1 (ko) * 2019-07-11 2020-01-08 주식회사 트윅스정보통신 정류장에 대기자가 존재함을 알리는 버스 운행 정보 제공 방법 및 버스 운행 정보 시스템
KR102361656B1 (ko) * 2021-06-25 2022-02-14 주식회사 트윅스정보통신 딥러닝을 이용한 대기 승객 안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대기 승객 안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2684B1 (ko) 엘리베이터의 그룹관리 시스템
JPWO2003000579A1 (ja)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KR200453006Y1 (ko) 일체형 주차관리기
US20010035314A1 (en) Hall call input mode switch system
KR20050039787A (ko) 터치스크린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KR101162749B1 (ko) 교통신호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836564B1 (ko) 엘리베이터용 비상조광장치
KR102168710B1 (ko) 태양광 led 버스승차알림장치를 이용한 태양광 led 버스승차알림 시스템
JP2005194031A (ja) エレベーターの呼び自動登録システム
KR20180053797A (ko) 장애인 탑승 사전 알림 기능을 갖춘 버스 안내 시스템
ITRM940739A1 (it) Dispositivo per il controllo a distanza di una apparecchiatura remota
JP2000067377A (ja) 情報送受信装置
KR102649549B1 (ko) 승객의 승차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 교통정보 제공시스템
KR100944797B1 (ko) 버스정보시스템의 통합 버스탑재 단말장치
KR20190057215A (ko) 버스 정류장의 버스 승객 알림 시스템
KR102282909B1 (ko) 버스 하차벨 원격 시스템
JP2004224556A (ja) エレベーターの群管理制御装置及び方法
CN103810953A (zh) 公交站牌及其公交站显示装置
KR20200132532A (ko) 관광지 방문객 관제시스템 및 그 관제방법
JP2019121289A (ja) 停留所管理システム
KR20170129523A (ko) 횡단보도용 조명 스마트 제어 시스템
JP5228802B2 (ja) 強調表示手段を有する電話装置
KR102313112B1 (ko) 택시 승강장의 택시 호출 시스템
KR102239931B1 (ko) 택시 승강장의 콜택시 서비스 시스템
KR102658884B1 (ko) 버스 정류장의 조명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