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3927A - 실시간 교통 정보를 고려한 차량의 도착예정 시간 계산 방법과 교통신호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실시간 교통 정보를 고려한 차량의 도착예정 시간 계산 방법과 교통신호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3927A
KR20140003927A KR1020120071677A KR20120071677A KR20140003927A KR 20140003927 A KR20140003927 A KR 20140003927A KR 1020120071677 A KR1020120071677 A KR 1020120071677A KR 20120071677 A KR20120071677 A KR 20120071677A KR 20140003927 A KR20140003927 A KR 201400039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time
intersection
signal
traffic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1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흥수
Original Assignee
이흥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흥수 filed Critical 이흥수
Priority to KR1020120071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3927A/ko
Priority to PCT/KR2013/005834 priority patent/WO2014007499A1/ko
Publication of KR20140003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9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53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 G01C21/3492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employing speed data or traffic data, e.g. real-time or historica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9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having a display in the form of a map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08G1/0108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based on the source of data
    • G08G1/0112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based on the source of data from the vehicle, e.g. floating car data [FC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08G1/0108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based on the source of data
    • G08G1/0116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based on the source of data from roadside infrastructure, e.g. beac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08G1/0125Traffic data processing
    • G08G1/0133Traffic data processing for classifying traffic situ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08G1/0137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8G1/0141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traffic information dissemin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실시간 교통 정보를 고려한 차량의 도착예정 시간 계산 방법과 교통신호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시스템이 개시된다. 실시간 교통 정보를 고려하여 대상 차량의 목적지에의 도착예정 시간을 계산하는 장치는, 상기 대상 차량에 상응하는 실시간 교통 정보를 수집하는 교통 정보 수집부; 상기 대상 차량의 현 위치에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를 분석하여 상기 주행 경로 상에 있는 교차로 및 링크를 구분하는 주행 경로 분석부; 상기 주행 경로 분석부에서의 구분된 교차로 및 링크에 상응하는 실시간 교통 정보를 이용하여 링크 통행시간을 계산하는 링크 통행시간 계산부; 및 상기 주행 경로 상에 있는 링크에 대한 링크 통행시간을 합산하여 도착예정 시간을 산출하는 합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실시간 교통 정보를 고려한 차량의 도착예정 시간 계산 방법과 교통신호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시스템{Vehicle arrival prediction time calculating method and traffic signal controlling method based on real-time traffic information and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실시간 교통 정보를 고려한 차량의 도착예정 시간 계산 방법과 교통신호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버스 정보 시스템(BIS, Bus Information System)이 활성화되면서 버스의 운행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버스 이용 고객들에게 해당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효율적인 버스 운행 및 이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이 때 버스 이용 고객들에게 제공되는 정보들로는 노선 별로 정류장에서의 대기시간, 버스의 도착예정 시간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운전자가 임의의 목적지로 이동하고자 할 때 운전자에게 제공되는 실시간 교통 정보 중 도착예정 시간은 목적지까지의 최적의 경로 선택 결정에 중요한 정보가 된다.
만약 도착예정 시간에 오차가 있는 경우에는 수많은 버스 이용 고객들 혹은 운전자에게 상당한 불편을 초래하게 되는 바, 도착예정 시간은 실시간 교통 정보를 고려하여 정확히 계산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한 방법 중 하나로, 한국공개특허 제2008-0070289호에는 네비게이션에서의 주행소요시간 계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네비게이션에서 현재 주행상황에 따라 누적된 동적 평균속도를 계산함으로써 동적 평균속도와 정적 평균속도와의 경험적인 비율로 목적지까지의 잔여시간을 계산하여 운전자에게 보다 정확한 도착시간을 안내해 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에 의하면 주행경로 중에 있는 교차로에서의 신호 대기 시간이나 대기행렬 길이 등과 같은 가변적 요소가 반영되지 못해 정확한 도착예정 시간을 산출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도착예정 시간을 정확히 계산하기 위해서는 차량이 이동하는 주행경로 중에 발생 가능한 다양한 가변적 요소, 예를 들어 교차로에서의 신호 대기 시간, 대기행렬 길이 등과 같은 실시간 교통 정보에 의한 영향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
또한, 도로구간이 교차로에 의해 전방 링크와 후방 링크로 구분될 때, 교차로에서 원활한 교통 흐름이 이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후방 링크의 차량이 교차로를 지나 전방 링크에 도착할 시점에 전방 링크에 대기행렬이 존재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한 교통신호 제어가 요구된다.
한국공개특허 제2010-0138337호에는 중요도가 높은 중요 교차로에 유출구를 가지며 상대적으로 낮은 중요도를 가지는 교차로에 유입구를 가지는 링크의 녹색 신호등의 현시시간을 제어하는 녹색 신호등의 제어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유출구에서의 대기행렬 길이와 유입구에서의 대기행렬 길이에 따라 해당 링크의 현시시간을 증감시키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링크에서의 교통 흐름 개선에 그칠 뿐이며 복수의 연속된 링크로 이루어진 도로구간에 대해서는 고려되지 않은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복수의 연속된 링크로 이루어진 도로구간에 대해 각 링크에서의 대기행렬 길이에 따라 원활한 교통 흐름이 이어지도록 교차로 별 교통신호를 제어하는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2008-0070289호 한국공개특허 제2010-0138337호
본 발명은 실시간 교통 정보, 예를 들어, 각 링크에서의 신호 대기 시간, 대기행렬 길이 등을 반영하여 운전자 및/또는 교통 서비스 이용 고객에게 임의의 차량의 소정 목적지에 대한 정확한 도착예정 시간을 알려줄 수 있는 차량의 도착예정 시간 계산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연속된 링크로 이루어진 도로구간에 대해 각 링크에서의 대기행렬 길이에 따라 교차로 별 신호 대기 시간을 조정하여 원활한 교통 흐름이 이어지도록 하는 교통신호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실시간 교통 정보를 고려하여 대상 차량의 목적지에의 도착예정 시간을 계산하는 장치로서, 상기 대상 차량에 상응하는 실시간 교통 정보를 수집하는 교통 정보 수집부; 상기 대상 차량의 현 위치에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를 분석하여 상기 주행 경로 상에 있는 교차로 및 링크를 구분하는 주행 경로 분석부; 상기 주행 경로 분석부에서의 구분된 교차로 및 링크에 상응하는 실시간 교통 정보를 이용하여 링크 통행시간을 계산하는 링크 통행시간 계산부; 및 상기 주행 경로 상에 있는 링크에 대한 링크 통행시간을 합산하여 도착예정 시간을 산출하는 합산부를 포함하는 실시간 교통 정보를 고려한 도착예정 시간 계산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실시간 교통 정보는 상기 대상 차량의 주행 경로, 링크 별 평균 대기행렬 길이, 교차로 별 교차로 통과 시간 테이블, 교차로 별 신호등 제어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크 통행시간 계산부는 상기 링크 별 평균 대기행렬 길이, 상기 교차로 별 교차로 통과 시간 테이블, 교차로 별 신호등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링크에서의 순행 시간, 교차로 통과 소요 시간 및 신호 대기 시간, 상기 링크의 링크 길이, 상기 링크에서의 구간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링크 통행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상기 링크 통행시간 계산부는 상기 주행 경로 중 대상 차량의 현 위치에 해당하는 최상류 링크에서의 링크 통행시간을 계산하는 최상류 링크 계산 모듈과, 상기 주행 경로 중 목적지가 있는 최하류 링크에서의 링크 통행시간을 계산하는 최하류 링크 계산 모듈과, 상기 주행 경로 중 최상류 링크 및 최하류 링크를 제외한 나머지 중류 링크에서의 링크 통행시간을 계산하는 중류 링크 계산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최상류 링크 계산 모듈은, 상기 대상 차량의 현 위치로부터 대기행렬 구간 종점까지의 거리 및 상기 대상 차량의 구간 속도를 이용하여 순행 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최상류 링크에서의 교차로 통과 시간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최상류 링크의 대기행렬 길이에 상응하는 교차로 통과 소요 시간을 예측하며, 상기 대상 차량이 대기행렬 구간 종점에 도착한 이후 하류부 교차로의 신호가 진행 신호가 될 때까지의 신호 대기 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순행 시간, 상기 교차로 통과 소요 시간 및 상기 신호 대기 시간을 합산함으로써 상기 최상류 링크에서의 링크 통행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중류 링크 계산 모듈은, 상기 중류 링크의 유입구로부터 대기행렬 구간 종점까지의 거리 및 상기 대상 차량의 구간 속도를 이용하여 순행 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중류 링크에서의 교차로 통과 시간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중류 링크의 대기행렬 길이에 상응하는 교차로 통과 소요 시간을 예측하며, 상기 대상 차량이 대기행렬 구간 종점에 도착한 이후 하류부 교차로의 신호가 진행 신호가 될 때까지의 신호 대기 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순행 시간, 상기 교차로 통과 소요 시간 및 상기 신호 대기 시간을 합산함으로써 상기 중류 링크에서의 링크 통행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상기 대상 차량이 대기행렬 구간 종점에 도착했을 때 상기 하류부 교차로의 신호가 정지 신호이면 상기 대기행렬 길이는 평균 대기행렬 길이이며, 진행 신호이면 상기 대기행렬 길이는 평균 대기행렬 길이에서 잔여 진행 시간 동안의 유출율을 반영한 수정 대기행렬 길이일 수 있다.
상기 중류 링크 계산 모듈은 상기 주행 경로 내에 중류 링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생략되거나 비활성화되며, 상기 주행 경로 내에 중류 링크가 a(2 이상의 자연수)개의 그룹으로 그룹화가 가능한 경우 a개가 존재하여 병렬적으로 상기 중류 링크에서의 링크 통행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최하류 링크 계산 모듈은, 상기 최하류 링크의 유입구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거리 및 상기 대상 차량의 구간 속도를 이용하여 계산한 순행 시간을 상기 최하류 링크에서의 링크 통행시간으로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최하류 링크 계산 모듈은 상기 최하류 링크의 유입구로부터 대기행렬 구간 종점까지의 거리 및 상기 대상 차량의 구간 속도를 이용하여 순행 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최하류 링크에서의 교차로 통과 시간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대상 차량이 대기행렬 구간 종점에서 목적지까지의 거리에 상응하는 대기행렬 진행 시간을 예측하며, 상기 대상 차량이 대기행렬 구간 종점에 도착한 이후 하류부 교차로의 신호가 진행 신호가 될 때까지의 신호 대기 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순행 시간, 상기 대기행렬 진행 시간 및 상기 신호 대기 시간을 합산함으로써 상기 최하류 링크에서의 링크 통행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프루브 카에서 전송되는 실측 교통 정보를 통해 상기 교차로 통과 시간 테이블 및 상기 평균 대기행렬 길이 중 적어도 하나의 보정을 수행하는 교통 정보 보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도착예정 시간 계산 장치에서 실시간 교통 정보를 고려하여 대상 차량의 목적지에의 도착예정 시간을 계산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도착예정 시간 계산 방법은, 상기 대상 차량에 상응하는 실시간 교통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대상 차량의 현 위치에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를 분석하여 상기 주행 경로 상에 있는 교차로 및 링크를 구분하는 단계; 상기 구분된 교차로 및 링크에 상응하는 실시간 교통 정보를 이용하여 링크 통행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주행 경로 상에 있는 링크에 대한 링크 통행시간을 합산하여 도착예정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간 교통 정보는 상기 대상 차량의 주행 경로, 링크 별 평균 대기행렬 길이, 교차로 별 교차로 통과 시간 테이블, 교차로 별 신호등 제어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크 통행시간을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링크 별 평균 대기행렬 길이, 상기 교차로 별 교차로 통과 시간 테이블, 교차로 별 신호등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링크에서의 순행 시간, 교차로 통과 소요 시간 및 신호 대기 시간, 상기 링크의 링크 길이, 상기 링크에서의 구간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링크 통행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상기 링크 통행시간을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주행 경로 중 대상 차량의 현 위치에 해당하는 최상류 링크에서의 링크 통행시간을 계산하는 최상류 링크 계산 단계와, 상기 주행 경로 중 목적지가 있는 최하류 링크에서의 링크 통행시간을 계산하는 최하류 링크 계산 단계와, 상기 주행 경로 중 최상류 링크 및 최하류 링크를 제외한 나머지 중류 링크에서의 링크 통행시간을 계산하는 중류 링크 계산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최상류 링크 계산 단계는, 상기 대상 차량의 현 위치로부터 대기행렬 구간 종점까지의 거리 및 상기 대상 차량의 구간 속도를 이용하여 순행 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최상류 링크에서의 교차로 통과 시간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최상류 링크의 대기행렬 길이에 상응하는 교차로 통과 소요 시간을 예측하며, 상기 대상 차량이 대기행렬 구간 종점에 도착한 이후 하류부 교차로의 신호가 진행 신호가 될 때까지의 신호 대기 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순행 시간, 상기 교차로 통과 소요 시간 및 상기 신호 대기 시간을 합산함으로써 상기 최상류 링크에서의 링크 통행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중류 링크 계산 단계는, 상기 중류 링크의 유입구로부터 대기행렬 구간 종점까지의 거리 및 상기 대상 차량의 구간 속도를 이용하여 순행 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중류 링크에서의 교차로 통과 시간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중류 링크의 대기행렬 길이에 상응하는 교차로 통과 소요 시간을 예측하며, 상기 대상 차량이 대기행렬 구간 종점에 도착한 이후 하류부 교차로의 신호가 진행 신호가 될 때까지의 신호 대기 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순행 시간, 상기 교차로 통과 소요 시간 및 상기 신호 대기 시간을 합산함으로써 상기 중류 링크에서의 링크 통행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상기 대상 차량이 대기행렬 구간 종점에 도착했을 때 상기 하류부 교차로의 신호가 정지 신호이면 상기 대기행렬 길이는 평균 대기행렬 길이이며, 진행 신호이면 상기 대기행렬 길이는 평균 대기행렬 길이에서 잔여 진행 시간 동안의 유출율을 반영한 수정 대기행렬 길이일 수 있다.
상기 중류 링크 계산 단계는 상기 주행 경로 내에 중류 링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생략되며, 상기 주행 경로 내에 중류 링크가 a(2 이상의 자연수)개의 그룹으로 그룹화가 가능한 경우 중류 링크 계산 모듈이 a개가 존재하여 병렬적으로 상기 중류 링크 계산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최하류 링크 계산 단계는, 상기 최하류 링크의 유입구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거리 및 상기 대상 차량의 구간 속도를 이용하여 계산한 순행 시간을 상기 최하류 링크에서의 링크 통행시간으로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최하류 링크 계산 단계는 상기 최하류 링크의 유입구로부터 대기행렬 구간 종점까지의 거리 및 상기 대상 차량의 구간 속도를 이용하여 순행 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최하류 링크에서의 교차로 통과 시간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대상 차량이 대기행렬 구간 종점에서 목적지까지의 거리에 상응하는 대기행렬 진행 시간을 예측하며, 상기 대상 차량이 대기행렬 구간 종점에 도착한 이후 하류부 교차로의 신호가 진행 신호가 될 때까지의 신호 대기 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순행 시간, 상기 대기행렬 진행 시간 및 상기 신호 대기 시간을 합산함으로써 상기 최하류 링크에서의 링크 통행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상기 링크 통행시간 계산 단계는 상기 주행 경로 상에서의 링크 순서에 따라 최상류 링크, 중류 링크, 최하류 링크 순으로 링크 통행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실시간 교통 정보를 고려하여 교통신호를 제어하는 장치로서, 대상 차량에 상응하는 실시간 교통 정보를 수집하는 교통 정보 수집부; 상기 대상 차량의 현 위치에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를 분석하여 상기 주행 경로 상에 있는 교차로 및 링크를 구분하는 주행 경로 분석부; 상기 주행 경로 분석부에서의 구분된 각 교차로에 대해서 대응하는 링크에서의 대기행렬 길이를 고려한 주현시 개시 시점의 오프셋을 산출하는 오프셋 산출부; 및 상기 각 교차로에 대해 산출된 오프셋을 적용하여 상기 교차로에서의 교통신호가 변환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출력하는 제어 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는 실시간 교통 정보를 고려한 교통신호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실시간 교통 정보는 상기 대상 차량의 주행 경로, 링크 별 평균 대기행렬 길이, 교차로 별 교차로 통과 시간 테이블, 교차로 별 신호등 제어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프셋 산출부는 하기의 수학식에 따라 상기 오프셋을 산출할 수 있다.
Toffset = Td - L/V
여기서, Toffset은 임의의 링크에서 하류부 교차로에 대한 상류부 교차로의 주현시 개시 시점의 오프셋이며, L은 상기 링크의 링크 길이, V는 상기 링크에서의 구간 속도, Td는 상기 링크의 평균 대기행렬 길이로부터 추정 가능한 교차로 통과 소요 시간이다.
상기 오프셋 산출부는 상기 주행 경로에 속하는 연속된 링크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오프셋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신호 생성부는 방송망을 통해 상기 오프셋이 적용된 제어 신호를 방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실시간 교통 정보를 고려하여 교통신호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신호 제어 방법은, 대상 차량에 상응하는 실시간 교통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대상 차량의 현 위치에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를 분석하여 상기 주행 경로 상에 있는 교차로 및 링크를 구분하는 단계; 상기 구분된 각 교차로에 대해서 대응하는 링크에서의 대기행렬 길이를 고려한 주현시 개시 시점의 오프셋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각 교차로에 대해 산출된 오프셋을 적용하여 상기 교차로에서의 교통신호가 변환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간 교통 정보는 상기 대상 차량의 주행 경로, 링크 별 평균 대기행렬 길이, 교차로 별 교차로 통과 시간 테이블, 교차로 별 신호등 제어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프셋 산출 단계는 하기의 수학식에 따라 상기 오프셋을 산출할 수 있다.
Toffset = Td - L/V
여기서, Toffset은 임의의 링크에서 하류부 교차로에 대한 상류부 교차로의 주현시 개시 시점의 오프셋이며, L은 상기 링크의 링크 길이, V는 상기 링크에서의 구간 속도, Td는 상기 링크의 평균 대기행렬 길이로부터 추정 가능한 교차로 통과 소요 시간이다.
상기 오프셋 산출 단계는 상기 주행 경로에 속하는 연속된 링크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오프셋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신호 생성 단계는 방송망을 통해 상기 오프셋이 적용된 제어 신호를 방송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실시간 교통 정보, 예를 들어, 각 링크에서의 신호 대기 시간, 대기행렬 길이 등을 반영하여 운전자 및/또는 교통 서비스 이용 고객에게 임의의 차량의 소정 목적지에 대한 정확한 도착예정 시간을 알려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의 연속된 링크로 이루어진 도로구간에 대해 각 링크에서의 대기행렬 길이에 따라 교차로 별 신호 대기 시간을 조정하여 원활한 교통 흐름이 이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착예정 시간을 계산하기 위한 주행 경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착예정 시간 계산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차로 통과 시간 테이블의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 통행시간 계산부의 개략적인 구성 블록도,
도 6은 최상류 링크 통행시간 계산 원리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중류 링크 통행시간 계산 원리를 나타낸 도면,
도 8a 및 도 8b는 최하류 링크 통행시간 계산 원리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착예정 시간 계산 방법의 순서도,
도 10은 링크 통행시간의 계산 방법의 순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신호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 블록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신호 제어 방법의 순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교통류는 교통 흐름을 통제하는 외부의 영향이 있고 없음에 따라 연속류와 단속류로 구분된다.
연속류 도로는 교통통제시설에 의해 규칙적으로 교통류의 흐름을 통제받지 않는 흐름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속류 도로에서는 교통 흐름을 통제하는 외부 영향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주행 경로의 길이(즉,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거리)를 차량의 속도로 나눈 값이 도착예정 시간이 될 것이다.
이에 비해 단속류 도로는 교통류가 연속적으로 흐르지 못하고 신호등 또는 교통통제시설에 의해 교통류가 단절되는 교통시설로서, 예를 들어 신호교차로, 도시 및 교외의 간선도로 등이 단속류 도로에 해당한다.
일반적으로 도심지에는 다수의 교차로가 있으며 각 교차로에서는 교통 흐름을 통제하기 위한 교통 신호등이 존재하고 있는 바, 본 명세서에서는 주행 경로가 단속류 도로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주행 경로가 단속류 도로인 경우에는 신호등이 존재하고, 교통 흐름이 연속적으로 이어지지 못하고 자주 끊어지게 되는 바, 신호등에 의한 신호 대기 시간, 대기행렬과 같은 실시간 교통 정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착예정 시간을 계산하기 위한 주행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의 현 위치(P1)에서 목적지(P2)까지의 주행 경로에 대해서 도착예정 시간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주행 경로의 분석을 필요로 한다.
주행 경로는 하나 이상의 교차로(i1, i2, i3)와 복수의 링크(L1, L2, L3, L4)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링크는 교차로(i1, i2, i3) 사이의 도로 구간(L2, L3)을 의미한다. 또한, 현 위치에서 첫번째 교차로까지의 도로 구간(L1)과 마지막 교차로에서 목적지까지의 도로 구간(L4)도 본 발명에서 의미하는 링크에 포함될 수 있다.
목적지(P2)까지의 통행 시간(도착예정 시간)은 현 위치(P1)에서 목적지(P2)까지의 주행경로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링크(L1, L2, L3, L4)에서의 통행 시간의 합으로 이루어진다.
본 명세서에서는 임의의 링크에서 차량의 진행 방향에 따라 차량이 유입되는 쪽의 교차로를 상류부 교차로, 차량이 유출되는 쪽의 교차로를 하류부 교차로라고 한다.
이 경우 링크에서의 통행 시간, 즉 링크 통행 시간은 해당 링크의 하류부 교차로에서의 신호 대기 시간, 대기행렬의 진행 시간(차량이 대기행렬에 속한 이후 하류부 교차로를 통과할 때까지 소요되는 시간), 그 외 순행 시간(cruise time)의 합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링크 통행 시간을 예측하고 이로부터 목적지까지의 통행 시간(도착예정 시간)을 계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이하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 시스템(1)은 각 링크의 교통 자료를 수집하고 교통 정보로 가공한 후 이를 제공하여 전술한 각 링크에서의 링크 통행 시간이 실시간으로 계산될 수 있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1)은 하나 이상의 교통 자료 수집장치(10), 교통관제센터 단말(20), 하나 이상의 교통 정보 활용장치(30, 35)를 포함한다.
교통 자료 수집장치(10)는 임의의 링크에 대한 교통 자료의 수집을 담당한다. 예를 들어 프루브 카와 같은 교통 자료 수집용 차량 혹은 노선버스와 같은 정기적인 노선을 따라 운행하는 차량 등에 설치되어 GPS 유닛, 타이머 등을 이용하여 교통 자료를 획득하거나, 교차로 등에 설치되어 이미지 센서, 접촉 센서, 무게 감지 센서 등을 이용하여 해당 교차로를 통과하는 차량에 대한 교통 자료를 획득할 수 있다.
교통 자료 수집장치(10)에서 수집되는 교통 자료에는 자료 수집을 수행하는 차량(예를 들어, 프루브 카, 노선버스 등)의 위치, 구간 속도, 통행량, 대기행렬 정보 등과 같은 다양한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교통 자료 수집장치(10)에서 수집된 각종 교통 자료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교통관제센터 단말(20)로 전송된다. 교통관제센터 단말(20)은 교통 자료 수집장치(10)로부터 전송받은 교통 자료를 미리 지정된 데이터 처리 방식(예를 들어, 디코딩, 인코딩 등)에 따라 데이터 처리함으로써 소정 포맷의 교통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저장부(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또한, 교통관제센터 단말(20)은 미리 정해진 시간마다 혹은 변경사항이 있거나 요청이 있는 시점에 저장부에 저장된 교통 정보를 필요로 하는 교통 정보 활용장치(30, 35)로 전송한다.
교통관제센터 단말(20)은 양방향 장치일 수도 있고, 방송 송출 장치와 같이 단방향 장치일 수도 있다.
양방향 장치인 경우에는 역시 양방향 통신기기를 구비한 제1 교통 정보 활용장치(30)로부터의 질의(query)에 의한 응답할 수 있을 것이다. 단방향 장치인 경우에는 서비스 업자가 통상의 정보를 제1 교통 정보 활용장치(30) 혹은 제2 교통 정보 활용장치(35)로 방송(broadcast)할 수 있다.
교통 정보 활용장치(30, 35)로는, 예를 들어 교차로의 차량 또는/및 보행자 통행에 관한 신호등 표시를 제어하는 신호제어기, 선행차량 또는/및 후행차량과의 운행간격 조정을 필요로 하는 노선버스 단말, 도착 예정 버스 및 도착 예정 시간을 알려주는 정류장 단말, 현재 교통 상황 및 목적지까지의 최적(혹은 최단) 경로를 안내해주는 내비게이션 단말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지정한 버스 노선에 대한 노선버스 정보 등을 알려주는 프로그램이 설치된 스마트폰, 태블릿PC 등과 같은 휴대 단말도 교통 정보 활용장치(30, 35)로 이용될 수 있다.
교통 정보 활용장치는 제1 교통 정보 활용장치(30)와 같이 양방향 통신기기를 구비하여 교통관제센터 단말(20)과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거나 제2 교통 정보 활용장치(35)와 같이 단방향 통신기기(여기서는, 방송 수신부)를 구비하여 교통관제센터 단말(20)로부터 송출되는 방송 신호의 수신(즉, 단방향 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교통 정보 활용장치(30)와 같이 양방향 통신기기를 구비한 경우에는 교통 정보 수집장치(10)와 동일한 장치에 장착되어 있을 수 있다. 즉, 교통 정보 수집장치(10)가 장착된 차량(예를 들어, 프루브 카 혹은 노선버스)에 교통 정보 활용장치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교통 서비스 제공 차량(예를 들면, 노선버스)의 도착예정 시간은 교통관제센터 단말(20)에서 해당 차량의 현 위치 및 주행 경로에 기초하여 계산하고, 그 결과를 교통 정보 활용장치(30, 35)에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교통관제센터 단말(20)에서 제공되는 기초적인 교통 정보(교차로의 신호등 제어 신호, 평균 대기행렬 길이 등)를 이용하여 교통 정보 활용장치(30, 35)에서 특정 차량(예를 들면, 노선버스 혹은 교통 정보 활용장치(30, 35)가 장착된 차량)이 소정의 목적지에 도착할 예정 시간을 계산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착예정 시간 계산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차로 통과 시간 테이블의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 통행시간 계산부의 개략적인 구성 블록도이고, 도 6은 최상류 링크 통행시간 계산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중류 링크 통행시간 계산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a 및 도 8b는 최하류 링크 통행시간 계산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착예정 시간 계산 장치는 교차로에서의 신호 대기 시간, 대기행렬 길이 등과 같은 실시간 교통 정보에 기초하여 대상 차량의 목적지에의 도착예정 시간을 계산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착예정 시간 계산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교통 정보 시스템(1)에서 특정 차량(예를 들면, 노선버스 등)의 도착예정 시간을 계산할 필요가 있는 교통관제센터 단말(20) 및 교통 정보 활용장치(30, 35)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착예정 시간 계산 장치(100)는 교통 정보 수집부(110), 주행 경로 분석부(120), 링크 통행시간 계산부(130), 합산부(140)를 포함한다.
교통 정보 수집부(110)는 도착예정 시간을 계산하고자 하는 임의의 차량(이하 '대상 차량'이라 함)이 소정의 목적지에 도착할 것으로 예상되는 도착예정 시간을 계산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실시간 교통 정보를 수집한다. 여기서, 대상 차량은 예를 들어 교통 서비스 제공 차량인 노선버스 혹은 내비게이션 단말을 통해 경로 안내를 받는 임의의 차량일 수 있다.
교통 정보 수집부(110)를 통해 수집되는 교통 정보는 대상 차량의 주행 경로, 링크 별 평균 대기행렬 길이, 교차로 별 교차로 통과 시간 테이블, 교차로 별 신호등 제어 신호(교차로 별 신호 현시 시점 및 주기 포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각 링크의 길이, 각 링크에서의 구간 속도(해당 링크에서 대기행렬 구간 이외의 구간에서의 평균 속도)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대상 차량의 주행 경로에는 대상 차량의 현 위치 및 목적지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현 위치 및 목적지로부터 현 위치를 출발점으로 하고 목적지를 도착점으로 하는 하나 이상의 주행 경로가 결정될 수 있다.
대상 차량의 현 위치는 대상 차량에 설치된 GPS 유닛으로부터 획득된 위치 정보로부터 확인 가능하며, 목적지는 사용자가 입력한 목표지점이거나 미리 지정된 지점(예를 들어, 노선버스의 각 정류장)일 수 있다.
링크 별 평균 대기행렬 길이는 각 링크에 대한 대기행렬 길이의 단위시간당 대표값이다. 예를 들면, 5분 동안의 대기행렬 길이의 평균값이 평균 대기행렬 길이일 수 있다.
이러한 대기행렬 길이는 예를 들어 해당 링크의 하류부 교차로에서 신호 대기하던 차량이 진행신호(녹색, 좌회전 등)에 의해 줄어든 길이와 신규로 도착하는 차량에 의해 늘어난 길이 중 단위 신호(현시) 주기 내에서 가장 긴 값을 가질 수 있다.
비포화시에는 하류부 교차로에서 적색신호의 종점 시에 대기행렬 길이가 산출되고, 과포화시에는 하류부 교차로에서 녹색신호의 종점 시에 대기행렬 길이가 산출될 수 있다.
이러한 대기행렬 길이는 해당 링크에서의 유출율 및 유입률로부터 계산될 수 있다.
유출율은 하류부 교차로에서 신호 대기하던 대기행렬 내의 차량이 진행신호에 의해 진행 시간 동안 하류부 교차로를 통과함으로써 줄어든 길이를 진행 시간으로 나눈 값이며, 유입률(도착률)은 하류부 교차로에서 진행신호로 바뀌기까지 도착하는 차량에 의해 늘어난 길이를 소정의 시간(예를 들어, 신호 변환 주기)로 나눈 값이다. 여기서, 차량이 신호 대기를 위해 정지하고 있거나 차량이 소정 속도(예를 들면, 5km/h) 이하로 서행하는 경우에는 대기행렬에 속하는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교차로 별 교차로 통과 시간 테이블은 각 교차로마다 생성되는 대기행렬의 유출율에 대한 시간 테이블로서, 대기행렬 내에서의 위치와 교차로 통과까지 소요되는 시간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는 시간 테이블이다.
경우에 따라 그 상관 관계는 간단한 수식(예를 들어, y=ax+b, 여기서, x는 대기행렬 내에서의 위치, a는 비례상수, b는 오프셋, y는 교차로 통과까지 소요되는 시간)으로 표현될 수도 있다.
대기행렬 내에서의 위치와 통과 소요 시간 사이의 상관 관계에 대한 시간 테이블 혹은 수식(이하에서는 '교차로 통과 시간 테이블'로 통칭함)은 각 교차로마다 통계적으로 결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동일 교차로라 하더라도 예를 들어 시간대, 요일, 날씨, 기상, 기후, 도로 상태, 도로 기울기 등과 같은 환경 인자에 따라 상이한 데이터(혹은 수식의 파라미터)가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교차로 통과 시간 테이블은 교차로의 구조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교차로의 구조가 동일한 경우에는 동일한 데이터(혹은 파라미터)이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교차로 통과 시간 테이블은 동일한 교차로를 유출구로 가지는 링크라고 하더라도 그 진행 방향에 따라 상이할 수도 있다. 만약 동일 도로 구간의 경우 동일한 시간 테이블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 때에는 교차로마다 혹은 교차로의 각 방향마다 시간 테이블이 존재할 필요는 없으며, 동일한 교차로 통과 시간 테이블을 참조할 수 있도록 하면 충분하다.
도 4를 참조하면, 특정 교차로에서의 교차로 통과 시간 테이블이 예시되어 있다.
도 4의 (a)에는 신림동 사거리에서 진행 신호(녹색 신호)로 변경된 후 대기행렬 내에서의 차량 순서에 따른 통과 소요 시간(차량이 교차로를 완전히 통과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간의 상관관계가 예시되어 있으며, 도 4의 (b)에는 구로전화국 사거리에서 진행 신호(녹색 신호)로 변경된 후 대기행렬 내에서의 차량 순서에 따른 통과 소요 시간 간의 상관관계가 예시되어 있다. 이를 보면, 대기행렬 내에서의 차량 순서와 그 통과 소요 시간이 교차로마다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대기행렬 내에서의 차량 순서와 차량의 평균 길이를 곱하여 대기행렬 길이에 따른 통과 소요 시간이 추정될 수 있을 것이다. 교차로 통과 시간 테이블 내에 없는 대기행렬 길이에 대해서는 보간법(interpolation)을 이용하여 통과 소요 시간 추정이 가능하다.
교차로 통과 시간 테이블은 그 항목 순서를 식별자로 이용하는 데이터 구조를 가지고 있을 수 있으며, 교통 정보 수집부(110)는 송신측(교통 자료 수집장치(10) 혹은 교통관제센터 단말(20))과 동일하게 가지고 있는 시간 데이블 내의 항목 순서를 식별자로 이용하여 기존의 식별자가 차지하는 데이터량을 절감하여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 데이터량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본 출원인이 출원한 한국특허출원 제2012-0040752호(순서표의 항목 순서를 식별자로 이용하는 방법 및 장치)를 참조하면 이해될 것이다.
교차로 별 신호등 제어 신호는 각 교차로마다 설치된 신호등의 신호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로서, 교차로에서 차량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이다.
교차로 신호등의 신호 상태는 현시(phase)라고도 하며, 교차로에서의 진행 방향에 따라 각기 다를 수 있다. 이러한 현시는 몇 가지 형태로 되어 있는 신호의 주기를 말하며, 예를 들어 [정지 -> 직진 -> 정지], [정지 -> 직진 -> 좌회전 -> 정지], [정지 -> 좌회전 -> 정지 -> 직진 -> 정지] 등과 같이 다양한 현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현시는 교차로에서 차량의 흐름을 위한 신호로서, 하나의 교차로에 있는 각 신호등들(차량 신호등 및 보행 신호등 포함)의 신호 상태를 의미할 수도 있다.
이러한 현시는 링 구조를 가지고 있어 일정 주기를 가지고 반복되며, 이를 신호 변환 주기라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신호 변환 주기의 제일 처음에 나타나는 현시를 주현시라고 하며, 모든 신호등에서의 주현시는 차량 진행 방향으로의 진행, 즉 녹색 점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교차로 별 신호등 제어 신호에는 이러한 신호 변환 주기 및 주현시의 개시 시점이 포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교통 정보 수집부(110)는 교통 자료 수집장치(10)로부터 직접 교통 자료를 수신하고 이를 전술한 것과 같이 필요로 하는 교통 정보로 가공하거나, 교통관제센터 단말(20)로부터 가공된 교통 정보를 수신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교통 정보의 수집을 수행할 수 있다.
주행 경로 분석부(120)는 교통 정보 수집부(110)에서 수집된 교통 정보로부터 대상 차량의 주행 경로를 추출하고, 추출된 주행 경로를 분석하여 하나 이상의 교차로 및 복수의 링크로 구분한다. 주행 경로의 분석에 대해서는 앞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
링크 통행시간 계산부(130)는 주행 경로 분석부(120)에 의해 분석된 복수의 링크 각각에 대해서 차량 통행에 예상되는 링크 통행시간을 계산한다. 링크 통행시간의 계산에는 교통 정보 수집부(110)에서 수집된 링크 길이, 평균 대기행렬 길이, 교차로 통과 소요 시간, 교차로 신호 변환 주기 등과 같은 교통 정보가 이용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링크 통행시간 계산부(130)는 최상류 링크 계산 모듈(132), 중류 링크 계산 모듈(134), 최하류 링크 계산 모듈(136)을 포함한다.
최상류 링크 계산 모듈(132)은 주행 경로 중 최상류에 위치하는 최상류 링크에서의 링크 통행시간을 계산한다. 최상류 링크는 도 1에서의 L1에 해당하는 링크로서, 대상 차량이 현재 위치하고 있는 링크에 해당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최상류 링크에서 대상 차량의 현 위치(P1)로부터 하류부 교차로(i1)까지의 거리(L1)가 계산되며, 최상류 링크에서의 대기행렬 길이(L12)에 기초하여 대기행렬 구간 종점까지의 거리(L11=L1-L12)가 계산된다. 여기서, 대기행렬 구간은 하류부 교차로(i1)에 근접하여 차량이 유출되는 지점을 대기행렬 구간 시점(SP), 신규 차량이 대기행렬로 유입되는 지점을 대기행렬 구간 종점(EP)이라 한다.
대상 차량의 현재 속도 혹은 최상류 링크에서의 구간 속도(V1)를 이용하여 대기행렬 구간 종점(EP)까지 걸리는 순행 시간(T11=L11/V1)이 계산된다.
그리고 최상류 링크에서의 교차로 통과 시간 테이블을 이용하여 현재의 대기행렬 길이(L12)에 상응하는 교차로 통과 소요 시간(T12)을 예측한다.
여기서, 대기행렬 길이(L12)는 우선 평균 대기행렬 길이인 것으로 가정한다. 대상 차량이 대기행렬 구간 종점에 도착했을 때 하류부 교차로(i1)의 신호가 정지 신호(적색 신호)인 경우에는 그대로 대기행렬 길이(L12)가 평균 대기행렬 길이인 것으로 계산한다.
하지만, 대상 차량이 대기행렬 구간 종점에 도착했을 때 하류부 교차로(i1)의 신호가 진행 신호(녹색 신호)인 경우에는 잔여 진행 시간(녹색 신호의 잔여 시간) 동안의 유출율을 반영하여 수정된 대기행렬 길이를 계산한다.
예를 들어, 대기행렬 구간 종점에 도착했을 때 녹색 신호의 잔여 시간이 10초인 경우, 잔여 진행 시간인 10초 동안 대기행렬 중 교차로를 통과한(혹은 통과할 것으로 예상되는) 길이만큼을 뺀 수정 대기행렬 길이가 교차로 통과 소요 시간(T12)의 추정에 이용될 것이다.
다음으로 대상 차량이 대기행렬 구간 종점에 도착한 이후 하류부 교차로(i1)의 신호가 진행 신호가 될 때까지의 대기 시간(T13)을 계산한다. 이는 하류부 교차로(i1)에 대한 교차로 신호등 제어 신호에 포함된 주현시 개시 시점 및 신호 변환 주기로부터 계산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대상 차량이 t1 시점에 대기행렬 구간 종점에 도착하였으며, t2 시점에 하류부 교차로(i1)의 신호가 진행 신호로 변경되는 경우, 두 시점의 시간차(t2-t1)가 신호 대기 시간(T13)이 될 것이다.
만약 대기행렬 구간 종점에 도착한 시점에 하류부 교차로(i1)의 신호가 진행 신호인 경우에는 다음번 진행 신호가 될 때까지의 시간 간격이 신호 대기 시간(T13)이 된다.
하지만, 만약 교차로 통과 소요 시간의 추정 과정에서 계산된 수정 대기행렬 길이가 0(zero)보다 작은 경우에는 대상 차량이 잔여 진행 시간 동안 교차로를 통과한 것으로(혹은 통과할 것으로) 보고, 신호 대기 시간을 0(zero)으로 가정하며 대기행렬 길이(L12)를 평균 대기행렬 길이인 것으로 하여 교차로 통과 시간 테이블로부터 교차로 통과 소요 시간을 추정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정을 통해 계산된 순행 시간(T11), 교차로 통과 소요 시간(T12) 및 신호 대기 시간(T13)의 합이 최상류 링크에서의 링크 통행시간이 된다.
중류 링크 계산 모듈(134)은 주행 경로 중 최상류 링크 및 최하류 링크가 아닌 나머지 링크들, 즉 중류 링크에서의 링크 통행시간을 계산한다. 중류 링크는 도 1에서의 L2, L3에 해당하는 링크이다.
여기서, 교통 서비스 상황에 따라서 주행 경로 내에 중류 링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중류 링크 계산 모듈(134)이 생략되거나 비활성화될 수 있다. 또한, 주행 경로가 매우 긴 경우에는 중류 링크 계산 모듈이 a(2 이상의 자연수) 개 존재하여 중류 링크들을 a개의 그룹으로 그룹화하고 각 그룹에 대해서 각각의 중류 링크 계산 모듈이 병렬적으로 링크 통행시간을 계산함으로써 주행 경로 전체에 대한 링크 통행시간의 계산 시간을 단축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중류 링크에 있어서 상류부 교차로(in-1)에 근접한 유입구에서부터 대기행렬 구간 종점까지의 거리(Ln1)는 해당 중류 링크의 길이(Ln) 및 해당 중류 링크에서의 대기행렬 길이(Ln2)를 이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Ln1=Ln-Ln2).
중류 링크에서의 구간 속도(Vn)를 이용하여 대상 차량이 대기행렬 구간 종점까지 진행하는데 소요되는 순행 시간(Tn1=Ln1/Vn)을 계산한다.
그리고 중류 링크에서의 교차로 통과 시간 테이블로부터 현재의 대기행렬 길이(Ln2)에 상응하는 교차로 통과 소요 시간(Tn2)을 추정한다.
이 때 최상류 링크에서와 마찬가지로 대기행렬 길이(Ln2)는 우선 평균 대기행렬 길이인 것으로 가정하지만, 대상 차량의 대기행렬 구간 종점에 도착했을 때 하류부 교차로(in)의 신호 상태에 따라 그 값이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최상류 링크 계산 모듈(132)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대상 차량이 대기행렬 구간 종점에 도착한 이후 하류부 교차로(in)의 신호가 진행 신호가 될 때까지의 대기 시간(Tn3)을 계산한다. 이는 하류부 교차로(in)에 대한 교차로 신호등 제어 신호에 포함된 주현시 개시 시점 및 신호 변환 주기로부터 계산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대해서도 최상류 링크 계산 모듈(132)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과정을 통해 계산된 순행 시간(Tn1), 교차로 통과 소요 시간(Tn2) 및 신호 대기 시간(Tn3)의 합이 해당 중류 링크에서의 링크 통행시간이 된다.
다만, 중류 링크 계산 모듈(134)에서의 링크 통행시간 계산 과정에서 대상 차량이 해당 중류 링크에 진입하는 시각을 알고 있어야 하는 바, 이는 대상 차량의 현 위치에서의 시각 및 직전 링크(들)에서 계산된 링크 통행시간으로부터 계산될 수 있을 것이다.
최하류 링크 계산 모듈(136)은 주행 경로 중 최하류에 위치하는 최하류 링크에서의 링크 통행시간을 계산한다. 최하류 링크는 도 1에서의 L4에 해당하는 링크로서, 목적지가 있는 링크에 해당한다.
도 8a를 참조하면, 최하류 링크에서는 상류부 교차로(iN-1)로부터의 유입구에서부터 목적지(P2)까지의 거리(LN)가 계산되며, 최하류 링크에서의 구간 속도(VN)를 이용하여 목적지(P2)까지 걸리는 순행 시간(TN=LN/VN)이 계산된다.
만약 목적지(P2)가 대기행렬 구간에 속하는 경우에는 도 8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대기행렬 구간에 의한 영향이 반영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최하류 링크에서는 상류부 교차로(iN-1)로부터의 유입구에서부터 대기행렬 구간의 종점까지의 거리(LN1)가 계산되며, 최하류 링크에서의 구간 속도(VN)를 이용하여 대기행렬 구간 종점까지 걸리는 순행 시간(TN1=LN1/VN)이 계산된다.
그리고 대기행렬 구간 종점에서 목적지(P2)까지의 거리(LN2)에 기초하여 최하류 링크에서의 교차로 통과 시간 테이블 중 LN2에 상응하는 교차로 통과 소요 시간을 대기행렬 진행 시간(TN2)으로 추정한다.
다음으로 대상 차량이 대기행렬 구간 종점에 도착한 이후 하류부 교차로(iN)의 신호가 진행 신호가 될 때까지의 대기 시간(TN3)을 계산한다. 이는 하류부 교차로(iN)에 대한 교차로 신호등 제어 신호에 포함된 주현시 개시 시점 및 신호 변환 주기로부터 계산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대해서도 최상류 링크 계산 모듈(132)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순행 시간(TN1), 대기행렬 진행 시간(TN2) 및 신호 대기 시간(TN3)의 합이 최하류 링크에서의 링크 통행시간이 된다.
이상에서는 링크 통행시간 계산부(130)에서 수행되는 각 링크에서의 링크 통행시간 계산 과정에서 대기행렬 구간이 비포화 상태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였다.
하지만, 임의의 링크에서 대기행렬 구간이 과포화 상태인 경우에는 1회의 신호 변환 주기 경과로는 대기행렬이 완전 해소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대기행렬 구간이 과포화 상태인 경우에는 신호 변환 주기마다 대기행렬이 점차 진행하여 다음번 진행 신호에서 대상 차량이 교차로 통과가 가능할 때까지 반복된 신호 변환 주기를 링크 통행시간에 추가적으로 합산해 줄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3회 동안 정지 신호 및 진행 신호가 교번하여 변경된 이후 4회차에 이르러서야 대상 차량이 해당 링크의 하류부 교차로를 통과할 수 있게 된 경우에 신호 변환 주기(정지 신호 및 진행 신호가 1회씩 변경되는 기간)의 3배에 해당하는 시간이 링크 통행시간에 추가되어야 할 것이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합산부(140)는 링크 통행시간 계산부(130)에서 계산된 주행 경로 상의 각 링크들의 링크 통행시간을 합산하여 주행 경로 전체에 대한 통행시간을 계산하고, 이로부터 도착예정 시간을 산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착예정 시간 계산 장치는 교통 정보 보정부(150)를 더 포함하고 있어, 프루브 카에서 전송되는 피드백 정보를 통해 교차로 통과 시간 테이블(혹은 수식) 보정, 평균 대기행렬 길이 보정 등을 수행할 수도 있다.
프루브 카는 방송망을 통해 차량 내에 장착된 단말을 통해 수신한 교통 정보(평균 대기행렬 길이, 대기행렬 구간 이외의 구간에서의 순행 속도, 대기행렬 길이 내에서의 교차로 통과 소요 시간 등)가 실제 측정한 교통 정보와 소정의 설정치 이상으로 차이가 나는 경우에 실제 측정한 교통 정보를 교통관제센터 단말(20)로 전송하고, 교통관제센터 단말(20)은 프루브 카로부터 수신된 실측 교통 정보를 분석하고 이를 그대로 혹은 가공하여 전송(예를 들어, 방송망을 통한 방송)함으로써 도착예정 시간 계산 장치(100)가 실측 교통 정보를 반영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기상의 변화, 도로 상태의 변화 등과 같은 환경 인자의 변화에 따라 미리 저장된 교차로 통과 시간 테이블의 데이터(혹은 수식의 파라미터)를 변경할 수 있다.
또는 교통 정보의 보정은 교통관제센터 단말(20)에서 수행된 이후 관련된 교통 정보의 갱신 요청과 함께 보정된 교통 정보가 교통관제센터 단말(20)로부터 도착예정 시간 계산 장치로 전송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착예정 시간 계산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10은 링크 통행시간의 계산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9의 각 단계들은 도 3에 도시된 도착예정 시간 계산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에서 수행될 수 있다.
단계 S210에서 교통 정보 수집부(110)는 도착예정 시간 계산에 필요한 교통 정보를 수집한다. 교통 정보의 수집은 교통 자료 수집장치(10)에서 수집한 교통 자료를 수신하여 가공하거나, 교통관제센터 단말(20)에서 가공된 교통 정보를 수신하는 등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단계 S210에서 수집되는 교통 정보로는 대상 차량의 주행 경로, 각 링크에서의 평균 대기행렬 길이, 교차로 별 교차로 통과 시간 테이블, 교차로 별 신호등 제어 신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 외에도 각 링크의 길이, 각 링크에서의 구간 속도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단계 S220에서 주행 경로 분석부(120)는 대상 차량의 주행 경로를 분석하여 주행 경로에 속하는 링크 및 교차로를 구분한다.
단계 S230에서 링크 통행시간 계산부(130)는 주행 경로에서 구분된 각 링크에 대하여 차량 통행에 예상되는 링크 통행시간을 계산한다.
주행 경로에서의 링크 위치에 따라 대상 차량의 현 위치인 최상류 링크, 최상류 링크와 최하류 링크를 잇는 중류 링크, 목적지가 있는 최하류 링크로 구분하여 개별적으로 계산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링크 계산 단계(S250)는 최상류 링크 계산 단계(S232), 중류 링크 계산 단계(S234), 최하류 링크 계산 단계(S236)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며, 순행 시간 계산 단계(S252), 교차로 통과 소요 시간/대기행렬 진행 시간 추정 단계(S254), 신호 대기 시간 계산 단계(S256), 합산 단계(S258)를 포함한다.
순행 시간 계산 단계(S252)에서는, 링크에서의 구간 속도를 이용하여 순행 시간을 계산한다.
최상류 링크에서는 대상 차량의 현 위치로부터 하류부 교차로까지의 거리 및 최상류 링크에서의 대기행렬 길이를 이용하여 계산된 대기행렬 구간 종점까지의 거리에 대한 순행 시간을, 중류 링크에서는 링크 길이 및 대기행렬 길이를 이용하여 계산된 대기행렬 구간 종점까지의 거리에 대한 순행 시간을, 최하류 링크에서는 상류부 교차로로부터의 유입구에서 목적지까지 혹은 대기행렬 구간 종점까지의 거리에 대한 순행 시간을 계산한다.
교차로 통과 소요 시간/대기행렬 진행 시간 추정 단계(S254)에서, 해당 링크에서의 교차로 통과 시간 테이블을 이용하여 최상류 링크 및 중류 링크에서는 대기행렬 길이에 상응하는 교차로 통과 소요 시간을 추정하고 최하류 링크(목적지가 대기행렬 구간에 속하는 경우)에서는 대기행렬 구간 종점으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거리에 상응하는 대기행렬 진행 시간을 추정한다.
이 경우 대상 차량이 대기행렬 구간 종점에 도착했을 때 하류부 교차로의 신호가 정지 신호인 경우에는 평균 대기행렬 길이가, 하류부 교차로의 신호가 진행 신호인 경우에는 평균 대기행렬 길이에서 잔여 진행 시간 동안의 유출율을 반영한 수정 대기행렬 길이가 현재의 대기행렬 길이가 된다.
신호 대기 시간 계산 단계(S256)에서, 대상 차량이 대기행렬 구간 종점에 도착한 이후 하류부 교차로의 신호가 진행 신호가 될 때까지의 대기 시간을 신호 대기 시간으로 계산한다.
합산 단계(S258)에서 순행 시간, 교차로 통과 소요 시간/대기행렬 진행 시간, 신호 대기 시간을 합산하여 해당 링크에서의 링크 통행시간을 계산한다.
상술한 도착예정 시간 계산 방법은 디지털 처리 장치에 내장되거나 설치된 프로그램 등에 의해 시계열적 순서에 따른 자동화된 절차로 수행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디지털 처리 장치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상기 방법을 구현한다. 상기 정보저장매체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및 캐리어 웨이브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링크 별로 평균 대기행렬 길이를 추정함에 있어서 기존의 루프 검지기를 이용할 수도 있지만, 루프 검지기의 경우 모든 도로 구간에 설치해야 하고 설계된 목표에 따라서만 운영할 수 있을 뿐이며 유지 보수에 막대한 비용이 소모되고 고장이 잦으며 이를 수리하기 위해서는 주행하는 차량을 정지시키고 보수 공사를 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루브 검지기의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망 연결이 요구되기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프루브 카를 운영함으로써 모든 도로 구간에 대한 교통 정보를 원활히 수집하고 정확하게 점검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프루브 카의 입장에서 유출율이 늦어진다면 혹은 전방 링크의 대기행렬 이외 구간에서의 속도가 늦어진다면 전방 링크에 차량이 많다는 의미가 되므로, 루프 검지기의 앞막힘 검지 기능을 대신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여기서, 프루브 카에서는 교통 정보를 수집할 때 시각 동기가 필수적이다. 프루브 카에 장착된 GPS 유닛을 이용하여 동기 시각을 일치시킬 수 있으며, 교통관제센터 단말에서는 수집 주기 등을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다수의 프루브 카는 GPS 시간에 맞춰 각 차량이 동일한 시각에 데이터를 수집하고 임의의 시각에 교통관제센터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임의의 시각은 교통관제센터에서 정의한 위치의 차이, 도착 시간의 차이, 신호등의 동작 여부 등에 따라 임의로 설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교차로에서의 신호 대기 시간 및 각 링크에서의 대기행렬과 같은 실시간 교통 정보를 고려한 도착예정 시간의 계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에 대하여 역으로 고려하면, 임의의 차량이 소정의 주행 경로를 진행함에 있어서 각 교차로에서의 신호를 제어하여 각 링크에서의 대기행렬 길이 및 신호 대기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한 교통신호 제어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이하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신호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 블록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신호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신호 제어 장치(300)는 실시간 교통 정보(대기행렬 길이)를 반영하여 연속된 교차로의 신호에 대한 오프셋을 산출하고, 해당 오프셋이 적용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함으로써 해당 주행 경로를 진행하는 차량에 미치는 대기행렬이나 교차로에서의 신호 대기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고, 원활한 교통 흐름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교통신호 제어 장치(300)는 교통 정보 수집부(310), 주행 경로 분석부(320), 오프셋 산출부(330), 제어 신호 생성부(340)를 포함한다. 교통신호 제어 장치(300)는 교통관제센터 단말(20)에 포함되어 각 교차로에서의 교통 신호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교통 정보 수집부(310)는 대상 차량에 관한 실시간 교통 정보를 수집한다(S410). 여기서, 대상 차량은 예를 들어 교통 서비스 제공 차량인 노선버스 혹은 내비게이션 단말을 통해 경로 안내를 받는 임의의 차량일 수 있다.
교통 정보 수집부(310)를 통해 수집되는 교통 정보는 대상 차량의 주행 경로, 링크 별 평균 대기행렬 길이, 교차로 별 교차로 통과 시간 테이블, 교차로 별 신호등 제어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각 링크의 길이, 각 링크에서의 구간 속도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주행 경로 분석부(320)는 교통 정보 수집부(310)에서 수집된 교통 정보로부터 대상 차량의 주행 경로를 추출하고, 추출된 주행 경로를 분석하여 하나 이상의 교차로 및 복수의 링크로 구분한다(S420). 주행 경로의 분석에 대해서는 앞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
오프셋 산출부(330)는 주행 경로 분석부(320)에 의해 분석된 각 교차로에 대해서 각 링크에서의 대기행렬 길이를 고려한 주현시 개시 시점의 오프셋을 산출한다(S430).
도 8 및 수학식 1을 참조하면, 임의의 링크(제n 링크)에서 하류부 교차로에 대한 상류부 교차로의 주현시 개시 시점의 오프셋(지연 시간) Toffset은 링크 길이(Ln), 해당 링크에서의 구간 속도(순행 속도)(Vn), 평균 대기행렬 길이(Ln2)로부터 산출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Td는 평균 대기행렬 길이(Ln2)로부터 추정 가능한 교차로 통과 소요 시간, 즉 해당 링크에서 대기행렬에 속하는 차량이 모두 빠져나가는 시간을 의미한다. Td는 대기행렬에 속하는 모든 차량이 진행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시간일 필요가 있다.
Td는 교차로 통과 시간 테이블에서 평균 대기행렬 길이에 상응하는 교차로 통과 소요 시간을 추정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상류부 교차로에서 진행 신호의 개시 시점이 하류부 교차로에서의 진행 신호의 개시 시점보다 Toffset 만큼 지연된다면 상류부 교차로를 통과하여 제n 링크에 진입한 대상 차량이 하류부 교차로로의 유출구에 도달하기 이전에 제n 링크의 대기행렬에 속하는 차량이 모두 하류부 교차로를 통해 유출되어 대기행렬 길이가 0(zero)이 될 것이다.
즉, 제n 링크에서 대상 차량이 대기행렬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고서 일정한 구간 속도로 제n 링크를 통과할 수 있게 되어 대기행렬에 의한 지체가 없어질 것이다.
연속된 링크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전술한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모든 교차로에서의 오프셋을 산출할 수 있다(S440).
제어 신호 생성부(340)는 각 교차로에 대해 산출된 오프셋을 적용하여 교통 신호가 변환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각 교차로의 신호등 제어기로 전송한다(S450).
여기서, 제어 신호의 전송은 일대일 통신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이 경우에 통신망 구축 및 유지를 위한 막대한 비용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이 출원한 한국특허출원 제2011-0070765호(교통 신호 제어 장치 및 방법)에 따른 방송망을 통한 방송 신호의 송출을 통해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화된 복수의 교통 신호 제어기(본 발명에서는 대상 차량의 주행 경로에 속하는 연속된 교차로의 신호 제어기)에 대하여 오프셋 정보를 전달하여 차량의 주행 속도에 맞는 교차로에서의 교통 신호 연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연속된 교차로의 교통 신호가 전술한 수학식 1에 의해 계산된 상대적으로 오프셋만큼 지연되거나 앞당겨짐으로써 대상 차량이 제1 링크(최상류 링크)로부터 제N 링크(최하류 링크)에 이르기까지 대기행렬에 의한 지체를 경험하지 않고서 거의 연속류 도로와 유사한 수준으로 주행 경로를 진행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제어 신호 생성부(340)에서 임의의 교차로에 대하여 차량의 주행 방향으로 오프셋을 주는 경우, 해당 교차로에서 차량의 주행 방향(예를 들어, 동서 방향)과는 다른 진행 방향(예를 들어, 남북 방향)으로의 주행 시간을 오프셋만큼 허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주행 경로에 속하는 다수의 링크가 같이 연동되기 때문이며, 동서 방향의 모든 링크와 남북 방향의 모든 링크의 대기행렬의 길이 비를 이용하여 교차로의 정지 신호(적색 신호)와 진행 신호(녹색 신호)의 시간 비율 및 각각의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상술한 교통신호 제어 방법은 디지털 처리 장치에 내장되거나 설치된 프로그램 등에 의해 시계열적 순서에 따른 자동화된 절차로 수행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디지털 처리 장치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에 저장되고,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상기 방법을 구현한다. 상기 정보저장매체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및 캐리어 웨이브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교통 정보 시스템 10: 교통 자료 수집장치
20: 교통관제센터 단말 30, 35: 교통 정보 활용장치
100: 도착예정 시간 계산 장치 110: 교통 정보 수집부
120: 주행 경로 분석부 130: 링크 통행시간 계산부
140; 합산부 150: 교통 정보 보정부
300: 교통신호 제어 장치 310: 교통 정보 수집부
320: 주행 경로 분석부 330: 오프셋 산출부
340: 제어 신호 생성부

Claims (34)

  1. 실시간 교통 정보를 고려하여 대상 차량의 목적지에의 도착예정 시간을 계산하는 장치로서,
    상기 대상 차량에 상응하는 실시간 교통 정보를 수집하는 교통 정보 수집부;
    상기 대상 차량의 현 위치에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를 분석하여 상기 주행 경로 상에 있는 교차로 및 링크를 구분하는 주행 경로 분석부;
    상기 주행 경로 분석부에서의 구분된 교차로 및 링크에 상응하는 실시간 교통 정보를 이용하여 링크 통행시간을 계산하는 링크 통행시간 계산부; 및
    상기 주행 경로 상에 있는 링크에 대한 링크 통행시간을 합산하여 도착예정 시간을 산출하는 합산부를 포함하는 실시간 교통 정보를 고려한 도착예정 시간 계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교통 정보는 상기 대상 차량의 주행 경로, 링크 별 평균 대기행렬 길이, 교차로 별 교차로 통과 시간 테이블, 교차로 별 신호등 제어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교통 정보를 고려한 도착예정 시간 계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통행시간 계산부는 상기 링크 별 평균 대기행렬 길이, 상기 교차로 별 교차로 통과 시간 테이블, 교차로 별 신호등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링크에서의 순행 시간, 교차로 통과 소요 시간 및 신호 대기 시간, 상기 링크의 링크 길이, 상기 링크에서의 구간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링크 통행시간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교통 정보를 고려한 도착예정 시간 계산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통행시간 계산부는
    상기 주행 경로 중 대상 차량의 현 위치에 해당하는 최상류 링크에서의 링크 통행시간을 계산하는 최상류 링크 계산 모듈과,
    상기 주행 경로 중 목적지가 있는 최하류 링크에서의 링크 통행시간을 계산하는 최하류 링크 계산 모듈과,
    상기 주행 경로 중 최상류 링크 및 최하류 링크를 제외한 나머지 중류 링크에서의 링크 통행시간을 계산하는 중류 링크 계산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교통 정보를 고려한 도착예정 시간 계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최상류 링크 계산 모듈은,
    상기 대상 차량의 현 위치로부터 대기행렬 구간 종점까지의 거리 및 상기 대상 차량의 구간 속도를 이용하여 순행 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최상류 링크에서의 교차로 통과 시간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최상류 링크의 대기행렬 길이에 상응하는 교차로 통과 소요 시간을 예측하며,
    상기 대상 차량이 대기행렬 구간 종점에 도착한 이후 하류부 교차로의 신호가 진행 신호가 될 때까지의 신호 대기 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순행 시간, 상기 교차로 통과 소요 시간 및 상기 신호 대기 시간을 합산함으로써 상기 최상류 링크에서의 링크 통행시간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교통 정보를 고려한 도착예정 시간 계산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류 링크 계산 모듈은,
    상기 중류 링크의 유입구로부터 대기행렬 구간 종점까지의 거리 및 상기 대상 차량의 구간 속도를 이용하여 순행 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중류 링크에서의 교차로 통과 시간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중류 링크의 대기행렬 길이에 상응하는 교차로 통과 소요 시간을 예측하며,
    상기 대상 차량이 대기행렬 구간 종점에 도착한 이후 하류부 교차로의 신호가 진행 신호가 될 때까지의 신호 대기 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순행 시간, 상기 교차로 통과 소요 시간 및 상기 신호 대기 시간을 합산함으로써 상기 중류 링크에서의 링크 통행시간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교통 정보를 고려한 도착예정 시간 계산 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차량이 대기행렬 구간 종점에 도착했을 때 상기 하류부 교차로의 신호가 정지 신호이면 상기 대기행렬 길이는 평균 대기행렬 길이이며, 진행 신호이면 상기 대기행렬 길이는 평균 대기행렬 길이에서 잔여 진행 시간 동안의 유출율을 반영한 수정 대기행렬 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교통 정보를 고려한 도착예정 시간 계산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류 링크 계산 모듈은 상기 주행 경로 내에 중류 링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생략되거나 비활성화되며, 상기 주행 경로 내에 중류 링크가 a(2 이상의 자연수)개의 그룹으로 그룹화가 가능한 경우 a개가 존재하여 병렬적으로 상기 중류 링크에서의 링크 통행시간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교통 정보를 고려한 도착예정 시간 계산 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최하류 링크 계산 모듈은,
    상기 최하류 링크의 유입구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거리 및 상기 대상 차량의 구간 속도를 이용하여 계산한 순행 시간을 상기 최하류 링크에서의 링크 통행시간으로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교통 정보를 고려한 도착예정 시간 계산 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최하류 링크 계산 모듈은
    상기 최하류 링크의 유입구로부터 대기행렬 구간 종점까지의 거리 및 상기 대상 차량의 구간 속도를 이용하여 순행 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최하류 링크에서의 교차로 통과 시간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대상 차량이 대기행렬 구간 종점에서 목적지까지의 거리에 상응하는 대기행렬 진행 시간을 예측하며,
    상기 대상 차량이 대기행렬 구간 종점에 도착한 이후 하류부 교차로의 신호가 진행 신호가 될 때까지의 신호 대기 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순행 시간, 상기 대기행렬 진행 시간 및 상기 신호 대기 시간을 합산함으로써 상기 최하류 링크에서의 링크 통행시간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교통 정보를 고려한 도착예정 시간 계산 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프루브 카에서 전송되는 실측 교통 정보를 통해 상기 교차로 통과 시간 테이블 및 상기 평균 대기행렬 길이 중 적어도 하나의 보정을 수행하는 교통 정보 보정부를 더 포함하는 실시간 교통 정보를 고려한 도착예정 시간 계산 장치.
  12. 도착예정 시간 계산 장치에서 실시간 교통 정보를 고려하여 대상 차량의 목적지에의 도착예정 시간을 계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대상 차량에 상응하는 실시간 교통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대상 차량의 현 위치에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를 분석하여 상기 주행 경로 상에 있는 교차로 및 링크를 구분하는 단계;
    상기 구분된 교차로 및 링크에 상응하는 실시간 교통 정보를 이용하여 링크 통행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주행 경로 상에 있는 링크에 대한 링크 통행시간을 합산하여 도착예정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시간 교통 정보를 고려한 도착예정 시간 계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교통 정보는 상기 대상 차량의 주행 경로, 링크 별 평균 대기행렬 길이, 교차로 별 교차로 통과 시간 테이블, 교차로 별 신호등 제어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교통 정보를 고려한 도착예정 시간 계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통행시간을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링크 별 평균 대기행렬 길이, 상기 교차로 별 교차로 통과 시간 테이블, 교차로 별 신호등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링크에서의 순행 시간, 교차로 통과 소요 시간 및 신호 대기 시간, 상기 링크의 링크 길이, 상기 링크에서의 구간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링크 통행시간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교통 정보를 고려한 도착예정 시간 계산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통행시간을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주행 경로 중 대상 차량의 현 위치에 해당하는 최상류 링크에서의 링크 통행시간을 계산하는 최상류 링크 계산 단계와,
    상기 주행 경로 중 목적지가 있는 최하류 링크에서의 링크 통행시간을 계산하는 최하류 링크 계산 단계와,
    상기 주행 경로 중 최상류 링크 및 최하류 링크를 제외한 나머지 중류 링크에서의 링크 통행시간을 계산하는 중류 링크 계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교통 정보를 고려한 도착예정 시간 계산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최상류 링크 계산 단계는,
    상기 대상 차량의 현 위치로부터 대기행렬 구간 종점까지의 거리 및 상기 대상 차량의 구간 속도를 이용하여 순행 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최상류 링크에서의 교차로 통과 시간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최상류 링크의 대기행렬 길이에 상응하는 교차로 통과 소요 시간을 예측하며,
    상기 대상 차량이 대기행렬 구간 종점에 도착한 이후 하류부 교차로의 신호가 진행 신호가 될 때까지의 신호 대기 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순행 시간, 상기 교차로 통과 소요 시간 및 상기 신호 대기 시간을 합산함으로써 상기 최상류 링크에서의 링크 통행시간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교통 정보를 고려한 도착예정 시간 계산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중류 링크 계산 단계는,
    상기 중류 링크의 유입구로부터 대기행렬 구간 종점까지의 거리 및 상기 대상 차량의 구간 속도를 이용하여 순행 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중류 링크에서의 교차로 통과 시간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중류 링크의 대기행렬 길이에 상응하는 교차로 통과 소요 시간을 예측하며,
    상기 대상 차량이 대기행렬 구간 종점에 도착한 이후 하류부 교차로의 신호가 진행 신호가 될 때까지의 신호 대기 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순행 시간, 상기 교차로 통과 소요 시간 및 상기 신호 대기 시간을 합산함으로써 상기 중류 링크에서의 링크 통행시간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교통 정보를 고려한 도착예정 시간 계산 방법.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차량이 대기행렬 구간 종점에 도착했을 때 상기 하류부 교차로의 신호가 정지 신호이면 상기 대기행렬 길이는 평균 대기행렬 길이이며, 진행 신호이면 상기 대기행렬 길이는 평균 대기행렬 길이에서 잔여 진행 시간 동안의 유출율을 반영한 수정 대기행렬 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교통 정보를 고려한 도착예정 시간 계산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중류 링크 계산 단계는 상기 주행 경로 내에 중류 링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생략되며, 상기 주행 경로 내에 중류 링크가 a(2 이상의 자연수)개의 그룹으로 그룹화가 가능한 경우 중류 링크 계산 모듈이 a개가 존재하여 병렬적으로 상기 중류 링크 계산 단계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교통 정보를 고려한 도착예정 시간 계산 방법.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최하류 링크 계산 단계는,
    상기 최하류 링크의 유입구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거리 및 상기 대상 차량의 구간 속도를 이용하여 계산한 순행 시간을 상기 최하류 링크에서의 링크 통행시간으로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교통 정보를 고려한 도착예정 시간 계산 방법.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최하류 링크 계산 단계는
    상기 최하류 링크의 유입구로부터 대기행렬 구간 종점까지의 거리 및 상기 대상 차량의 구간 속도를 이용하여 순행 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최하류 링크에서의 교차로 통과 시간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대상 차량이 대기행렬 구간 종점에서 목적지까지의 거리에 상응하는 대기행렬 진행 시간을 예측하며,
    상기 대상 차량이 대기행렬 구간 종점에 도착한 이후 하류부 교차로의 신호가 진행 신호가 될 때까지의 신호 대기 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순행 시간, 상기 대기행렬 진행 시간 및 상기 신호 대기 시간을 합산함으로써 상기 최하류 링크에서의 링크 통행시간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교통 정보를 고려한 도착예정 시간 계산 방법.
  22.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통행시간 계산 단계는 상기 주행 경로 상에서의 링크 순서에 따라 최상류 링크, 중류 링크, 최하류 링크 순으로 링크 통행시간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교통 정보를 고려한 도착예정 시간 계산 방법.
  23. 제12항 내지 제17항, 제19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도착예정 시간 계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24. 실시간 교통 정보를 고려하여 교통신호를 제어하는 장치로서,
    대상 차량에 상응하는 실시간 교통 정보를 수집하는 교통 정보 수집부;
    상기 대상 차량의 현 위치에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를 분석하여 상기 주행 경로 상에 있는 교차로 및 링크를 구분하는 주행 경로 분석부;
    상기 주행 경로 분석부에서의 구분된 각 교차로에 대해서 대응하는 링크에서의 대기행렬 길이를 고려한 주현시 개시 시점의 오프셋을 산출하는 오프셋 산출부; 및
    상기 각 교차로에 대해 산출된 오프셋을 적용하여 상기 교차로에서의 교통신호가 변환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출력하는 제어 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는 실시간 교통 정보를 고려한 교통신호 제어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교통 정보는 상기 대상 차량의 주행 경로, 링크 별 평균 대기행렬 길이, 교차로 별 교차로 통과 시간 테이블, 교차로 별 신호등 제어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교통 정보를 고려한 교통신호 제어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 산출부는 하기의 수학식에 따라 상기 오프셋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교통 정보를 고려한 교통신호 제어 장치
    Toffset = Td - L/V
    여기서, Toffset은 임의의 링크에서 하류부 교차로에 대한 상류부 교차로의 주현시 개시 시점의 오프셋이며, L은 상기 링크의 링크 길이, V는 상기 링크에서의 구간 속도, Td는 상기 링크의 평균 대기행렬 길이로부터 추정 가능한 교차로 통과 소요 시간임.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 산출부는 상기 주행 경로에 속하는 연속된 링크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오프셋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교통 정보를 고려한 교통신호 제어 장치.
  28.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 생성부는 방송망을 통해 상기 오프셋이 적용된 제어 신호를 방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교통 정보를 고려한 교통신호 제어 장치.
  29. 실시간 교통 정보를 고려하여 교통신호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대상 차량에 상응하는 실시간 교통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대상 차량의 현 위치에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를 분석하여 상기 주행 경로 상에 있는 교차로 및 링크를 구분하는 단계;
    상기 구분된 각 교차로에 대해서 대응하는 링크에서의 대기행렬 길이를 고려한 주현시 개시 시점의 오프셋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각 교차로에 대해 산출된 오프셋을 적용하여 상기 교차로에서의 교통신호가 변환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시간 교통 정보를 고려한 교통신호 제어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교통 정보는 상기 대상 차량의 주행 경로, 링크 별 평균 대기행렬 길이, 교차로 별 교차로 통과 시간 테이블, 교차로 별 신호등 제어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교통 정보를 고려한 교통신호 제어 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 산출 단계는 하기의 수학식에 따라 상기 오프셋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교통 정보를 고려한 교통신호 제어 방법
    Toffset = Td - L/V
    여기서, Toffset은 임의의 링크에서 하류부 교차로에 대한 상류부 교차로의 주현시 개시 시점의 오프셋이며, L은 상기 링크의 링크 길이, V는 상기 링크에서의 구간 속도, Td는 상기 링크의 평균 대기행렬 길이로부터 추정 가능한 교차로 통과 소요 시간임.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 산출 단계는 상기 주행 경로에 속하는 연속된 링크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오프셋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교통 정보를 고려한 교통신호 제어 방법.
  33.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 생성 단계는 방송망을 통해 상기 오프셋이 적용된 제어 신호를 방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교통 정보를 고려한 교통신호 제어 방법.
  34. 제29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교통신호 제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20120071677A 2012-07-02 2012-07-02 실시간 교통 정보를 고려한 차량의 도착예정 시간 계산 방법과 교통신호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시스템 KR2014000392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1677A KR20140003927A (ko) 2012-07-02 2012-07-02 실시간 교통 정보를 고려한 차량의 도착예정 시간 계산 방법과 교통신호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시스템
PCT/KR2013/005834 WO2014007499A1 (ko) 2012-07-02 2013-07-02 실시간 교통 정보를 고려한 차량의 도착예정 시간 계산 방법과 교통신호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1677A KR20140003927A (ko) 2012-07-02 2012-07-02 실시간 교통 정보를 고려한 차량의 도착예정 시간 계산 방법과 교통신호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927A true KR20140003927A (ko) 2014-01-10

Family

ID=49882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1677A KR20140003927A (ko) 2012-07-02 2012-07-02 실시간 교통 정보를 고려한 차량의 도착예정 시간 계산 방법과 교통신호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40003927A (ko)
WO (1) WO2014007499A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9691A (ko) * 2014-10-28 2016-05-10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교통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70064147A (ko) * 2015-11-30 2017-06-09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경로 탐색 방법
CN107025305A (zh) * 2017-04-20 2017-08-08 南京航空航天大学 基于图核的社会网络链接预测方法
KR20190024153A (ko) * 2017-08-31 2019-03-08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교통정보 보정 장치 및 방법
KR102048357B1 (ko) * 2019-07-11 2020-01-08 주식회사 트윅스정보통신 정류장에 대기자가 존재함을 알리는 버스 운행 정보 제공 방법 및 버스 운행 정보 시스템
KR20210046471A (ko) * 2019-10-18 2021-04-28 주식회사 케이티 도로 정보 제공 방법,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20064343A (ko) * 2020-11-11 2022-05-1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버스 운행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KR20220064342A (ko) * 2020-11-11 2022-05-1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버스 운행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220067275A (ko) * 2020-11-17 2022-05-24 한국자동차연구원 경로 구간별 최적 속도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20230152112A1 (en) * 2021-11-15 2023-05-18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for providing estimated time of arrival on navigation route and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53616B (zh) * 2018-01-18 2022-06-03 奥迪股份公司 车辆驾驶辅助系统和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4358B1 (ko) * 1999-11-24 2004-01-07 강신란 프루브 카를 이용한 대기 행렬 길이를 포함한 교통 정보수집 방법
JP3613118B2 (ja) * 2000-02-18 2005-01-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交通流シミュレータ及びナビゲーション端末
KR100502423B1 (ko) * 2000-11-10 2005-07-20 에스케이 주식회사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의 구간통행시간추정방법
KR100695346B1 (ko) * 2005-01-07 2007-03-1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위성 디엠비의 실시간 교통정보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방법
KR100864451B1 (ko) * 2007-04-19 2008-10-22 학교법인 영광학원 차량-도로간 통신기반의 차량검지시스템과 이차량검지시스템을 이용한 교차로에서의 교통신호 제어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9691A (ko) * 2014-10-28 2016-05-10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교통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70064147A (ko) * 2015-11-30 2017-06-09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경로 탐색 방법
CN107025305A (zh) * 2017-04-20 2017-08-08 南京航空航天大学 基于图核的社会网络链接预测方法
CN107025305B (zh) * 2017-04-20 2020-05-05 南京航空航天大学 基于图核的社会网络链接预测方法
KR20190024153A (ko) * 2017-08-31 2019-03-08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교통정보 보정 장치 및 방법
KR102048357B1 (ko) * 2019-07-11 2020-01-08 주식회사 트윅스정보통신 정류장에 대기자가 존재함을 알리는 버스 운행 정보 제공 방법 및 버스 운행 정보 시스템
KR20210046471A (ko) * 2019-10-18 2021-04-28 주식회사 케이티 도로 정보 제공 방법,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20064343A (ko) * 2020-11-11 2022-05-1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버스 운행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KR20220064342A (ko) * 2020-11-11 2022-05-1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버스 운행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220067275A (ko) * 2020-11-17 2022-05-24 한국자동차연구원 경로 구간별 최적 속도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20230152112A1 (en) * 2021-11-15 2023-05-18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for providing estimated time of arrival on navigation route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07499A1 (ko) 2014-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03927A (ko) 실시간 교통 정보를 고려한 차량의 도착예정 시간 계산 방법과 교통신호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시스템
CN101556740B (zh) 基于运行时刻表的公交优先信号配时方法
Zhao et al. A platoon based cooperative eco-driving model for mixed automated and human-driven vehicles at a signalised intersection
Bie et al. Dynamic headway control for high‐frequency bus line based on speed guidance and intersection signal adjustment
Feng et al. A real-time adaptive signal control in a connected vehicle environment
EP2806411B1 (en) Driving model generation device, driving model generation method, driving evaluation device, driving evaluation method, and driving support system
CN102280036B (zh) 干线协调控制下快速公交信号优先配时方法
JP5482827B2 (ja) 交通指標算出装置、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140058652A1 (en) Traffic information processing
CN109564728A (zh) 无线通信系统、信息获取终端、计算机程序、用于确定是否采用提供的信息的方法
CN104464314A (zh) 一种公交车专用道交叉口的公交优先通行方法
US2015014907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for vehicle
Chen et al. Development and simulation application of a dynamic speed dynamic signal strategy for arterial traffic management
Lee et al. Group-based hierarchical adaptive traffic-signal control Part II: Implementation
JP5395655B2 (ja) 道路運転情報提供システム
CN102855755A (zh) 一种基于运行车速预测的城市干道车队离散模型的建模方法
CN113724509B (zh) 一种时空协同的公交优先控制方法和装置
Khalighi et al. Emission-based signal timing optimization for isolated intersections
Bie et al. Integrating bus priority and presignal method at signalized intersection: Algorithm development and evaluation
Li et al. A platoon-based adaptive signal control method with connected vehicle technology
Yang et al. Performance of the priority control strategies for bus rapid transit: comparative study from scenario microsimulation using VISSIM
Zhao-Meng et al. Optimization method of intersection signal coordinated control based on vehicle actuated model
Li et al. Predictive strategy for transit signal priority at fixed-time signalized intersections: Case study in Nanjing, China
JP5459837B2 (ja) 緊急車両支援装置、緊急車両支援システム及び緊急車両支援方法
KR101591451B1 (ko) 차량도착안내방법, 차량도착안내장치, 및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