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1503B1 - 버스정류장의 안전 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버스정류장의 안전 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1503B1
KR102451503B1 KR1020220047524A KR20220047524A KR102451503B1 KR 102451503 B1 KR102451503 B1 KR 102451503B1 KR 1020220047524 A KR1020220047524 A KR 1020220047524A KR 20220047524 A KR20220047524 A KR 20220047524A KR 102451503 B1 KR102451503 B1 KR 1024515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us stop
stop
control devic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7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홍
김철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안전지대
김재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안전지대, 김재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안전지대
Priority to KR1020220047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15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1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15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0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cluding pedestrian guidance indicat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3/93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 G01S13/931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of land veh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08G1/0108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based on the source of data
    • G08G1/012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based on the source of data from other sources than vehicle or roadside beacons, e.g. mobile network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08G1/0137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8G1/0141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traffic information dissemin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08G1/0175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by photographing vehicles, e.g. when violating traffic ru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5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liquid cryst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인 버스정류장의 안전 제어시스템은 버스정류장을 이용하는 일반 이용자, 스몸비족, 노약자, 휠체어 이용자, 청각 및 시각 장애인 등 누구나 버스정류장을 이용하는데 있어 안전하게 버스를 탑승하도록 하고, 버스 운전자가 버스정류장에 진입 시 안전하게 진입 가능하게 유도할 수 있으며, 특히 주간 또는 야간에도 버스정류장내에 설치된 LED표출부에 의해 버스의 안전한 진입이 가능하게 함으로 인해 버스 이용자의 안전한 이동 뿐만 아니라 버스정류장 내의 이용자를 미리 파악할 수 있어 버스 운전자로 하여금 안전한 버스정류장의 진입이 가능하게 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버스정류장의 안전 제어시스템{Safety controlling system of bus stop}
본 발명은 버스정류장의 안전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버스정류장에 설치된 검지기를 통해 모든 이용자(보행자)를 검지하게 하고, 검지된 정보에 의해 버스정류장 바닥에 설치된 LED에 의해 표출하도록 함으로써, 이용자와 버스운전자 또는 다른 차량에게 버스정류장에서의 이용에 있어 안전성을 향상시키도록 하고, 버스정류장으로의 버스 진입에 대한 정보를 버스정류장에서 일반 이용자, 스몸비족 또는 장애인 등에게 용이하게 확인 가능하도록 하여 전체적으로 버스정류장 내에서의 안전한 버스 탑승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버스정류장의 안전 제어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 정류장(bus stop)은 버스에 타고 내리는 승객을 위해 버스가 정차하는 곳으로, 버스 정거장, 버스 승강장, 버스 정류소라고도 한다.
이에, 버스 정류장의 형태로는 버스 정류장임을 알리는 표지판이 있거나 지붕이 추가된 형태가 있으며, 표지판에는 주로 해당 정류장을 통과하는 노선명이나 노선도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주요 정류장에는 버스도착정보 전광판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도 있고, 정류장을 통과하는 노선이 매우 드물게 운행되면 정류장 팻말 또는 정류장 근처의 잘 보이는 곳에 운행 시각표가 걸려 있는 경우도 있으며, 간혹 버스 정류장 표시가 없는 정류장이 있기도 하다.
여기에 더하여, 대기 시간이 매우 길거나, 대기 승객이 많은 정류장에는 지붕이 달린 바람막이나 냉/난방 시설을 갖춘 대기실을 갖춘 형태로 발전하기도 한다.
또한, 기존의 버스 정류장에는 조명이나 전광판이 설치되어 있는데, 전봇대에 설치된 전기 선로를 끌어와서 전원으로 사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전원 공급 방식은 선로 매설 공사와 케이블 설치 등의 비용이 많이 발생하고, 전원 공급 시설의 유지 보수를 위한 인력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으며, 한적한 시골길이나 외진 곳에 설치된 버스 정류장은 전기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조명이 설치되지 않은 곳이 많으며, 야간에 버스를 기다리는 승객이나 버스에서 내리는 승객에게 많은 불편함을 주고 있다.
또한, 기존의 버스 정류장은 감시카메라와 비상벨 등이 설치되어 있지 않아 야간이나 인적이 드문 지방도로변의 경우 무섭고 불안하여 이용에 많은 불편함이 있고, 승객의 안전에도 위험이 있다.
이에, 기존의 버스정류장은 야간에 시야 확보가 어려워 버스 승객의 승하차 구역 이탈이 발생하고 정거장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고, 버스정류장의 승객 유무의 구분이 쉽지 않아 버스정류장의 진입 버스가 무정차 통과하거나 정차 지점을 이탈하기도 한다.
이러한 불편함으로 버스 승객들이 대중 교통 이용을 회피하게 되고 이로 인한 민원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야간에 대한 버스 정류장의 인도와 차도의 식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도시생활에 있어 이동수단 중 가장 중요한 서민의 발이 된 버스는 도시생활에 없어서는 안될 소중한 교통수단으로, 최근 들어 버스정보시스템(BIS:Bus Information System), 간선급행버스(BRT:Bus Rapid Transit), 버스중앙차로제 시행 등 가로변에 있던 버스정류장이 도로 한 가운데로 옮겨지고 있는 상황에서 부득이 하게 버스와 사람사이에 크고 작은 안전사고가 자주 발생하고 있고, 이에 따라 발생되는 부작용들은 점유공간이 적은 중앙버스차로에 설치된 버스정류장에서 자주 발생되고 가로변 버스정류장에서도 버스를 이용하기 위해 대기하고 있는 승객이 과밀하게 점유하고 있어 안전사고에 24시간 노출되어 있는 실정이다.
또한, 최근 들어 버스는 운행질서를 개선하기 위해 보도근처 50cm 정도 붙여서 정차하여 승객을 탑승/하차시키고 있고, 승객은 먼저 버스를 탑승하기 위해 질서를 무시하고 도로에 내려가 버스에 탑승하려는 상황에서 사고발생 빈도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으며, 심각하게도 이륜자동차 등 버스정차시 승객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는 다양한 환경변수 등이 산재해 있기에, 버스정류장에서 버스대기승객의 안전과 버스운전자의 운행질서 개선, 버스 탑승질서 개선 등 버스정류장에서 발생되는 시신의 안전에 도시안전시설과 IT시스템이 결합된 새로운 방법제시가 필요한 실정이다.
특히, 기존의 버스정류장은 스마트폰을 보는 이용자(이하 '스몸비족'이라 한다), 휠체어를 이용하는 노약자나 장애인 등에게 안전한 버스정류장 내에서 대기하는데 한계가 있고, 특히 버스를 탑승하기 위해 도로 측으로 미리 나와 있을 경우 확인되지 않은 버스의 진입으로 오히려 버스정류장에서의 안전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내포되어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기존에 실시되고 있는 버스정류장의 시스템은 버스정류장을 이용하는 일반 이용자 또는 장애인 등이나 버스정류장에 진입하는 버스 등에게 효율적인 안전성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와 위험성이 동시에 내포되어 있고, 또한 버스정류장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없기에 현재 활발히 설계되고 있는 스마트시티(Smart City)와 연동하는데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매우 중요한 정보을 이용하지 못하기에 전체적으로 빅데이터(Bigdata)로 활용하는데 한계가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06-0026927호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21-00416484호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6-0049815호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6-0018107호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2-0107602호
본 발명은 버스정류장을 이용하는 일반 이용자, 스몸비족, 노약자, 휠체어 이용자, 청각 및 시각 장애인 등 누구나 버스정류장을 이용하는데 있어 안전하게 버스를 탑승하도록 하고, 버스 운전자가 버스정류장에 진입 시 안전하게 진입 가능하게 유도할 수 있으며, 특히 주간 또는 야간에도 버스정류장내에 설치된 LED표출부에 의해 버스의 안전한 진입이 가능하게 함으로 인해 버스 이용자의 안전한 이동 뿐만 아니라 버스정류장 내의 이용자를 미리 파악할 수 있어 버스 운전자로 하여금 안전한 버스정류장의 진입이 가능하게 하는 버스정류장의 안전 제어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변 차선이 있는 버스정류장을 버스가 아닌 일반 차량이 용이하게 식별이 가능하고, 우기 또는 눈이 많이 올 경우 버스 운전자의 가시 식별이 매우 안좋아 버스정류장을 그냥 지나가 버리거나 위험 사고 발생을 중일 수 있게 식별이 가능하기에 전체적으로 안전한 운전을 유도할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이용자에게도 버스정류장에서 안전하게 대기할 수 있어 차대차 사고 또는 차대사람 사고를 최대한 줄일 수 있는 버스정류장의 안전 제어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버스정류장내에 설치된 LCD모니터를 통해 이용자가 안전하게 있는지 구별할 수 있기에 버스정류장내에서 안전하게 대기할 수 있는 동시에 버스 진입과 관련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고, 상기 관련된 정보를 토대로 각 버스정류장에서 이용하는 버스 이용자에 대한 정보와 버스정류장에 정차하는 버스 정보를 활용할 수 있기에 현재 활발이 추진되고 있는 U-city 및 스마트시티(Smart City)에 적용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버스정류장에 대한 판단과 빅데이터(Big data) 활용 가치를 높여 주게 되고, 버스정류장의 바닥에 설치된 LED에 의해 주간 및 야간 상관없이 버스정류장의 미관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미래 지향적인 버스정류장 문화를 증진시키는 버스정류장의 안전 제어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버스를 운전하는 운전자와 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에게 안전을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버스정류장의 안전 제어시스템으로서, 상기 버스정류장에 설치되는 일정한 형태 및 크기를 갖는 본체의 상단 부위에 구비되어 버스정류장에 이용자가 위치하고 있는지를 감지하도록 하는 2개 이상의 레이더감지기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버스정류장으로부터 일정한 거리에서 진입하는 버스를 감지하도록 하는 영상감지기와, 상기 레이더감지기를 통해 버스정류장 내에 이용자가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를 각각 감지하여 버스정류장에 진입하는 버스의 운전자가 용이하게 구분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버스정류장의 일측 바닥면에 설치되어 표출하는 LED표출부와, 상기 영상감지기를 통해 버스정류장으로 진입하는 버스가 있을 경우 이용자가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버스정류장의 일측 측면에 설치되어 디스플레이되는 LCD모니터부와, 상기 레이더감지기, 영상감지기, LED표출부 및 LCD모니터부에 대한 각각의 구동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본체의 적정한 위치에 구비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에, 상기 제어장치의 제어신호에 의해 레이더감지기와 영상감지기를 통해 감지된 신호 데이터의 정보를 저장하도록 하는 저장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에는 해커의 외부요인으로 악의적인 프로그램 변질을 하였을 때, 변질된 프로그램의 실행을 거부하고 공장출하 상태의 프로그램으로 자동복구하도록 하는 안전구동부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어장치에는 통신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통신부는 PLC통신, LTE, RS-485, 와이파이 또는 블루투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통신망을 이용할 수가 있으며, 상기 제어장치와 관제센터 간에 상기 통신망을 이용하여 연동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의 일측 부분에 각각 구비되어 청각 또는 시각장애인이 버스정류장을 이용할 시 해당 버스가 버스정류장에 진입할 경우에 소리 및 바람으로 알려줄 수 있도록 스피커 및 송풍팬이 제어장치의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버스를 운전하는 운전자와 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에게 안전을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버스정류장의 안전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버스정류장에 설치되는 일정한 형태 및 크기를 갖는 본체의 적정한 위치에 구비되어 있는 제어장치를 구동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장치의 구동에 따른 제어신호에 의해 버스정류장에 이용자가 위치하고 있는지를 감지하는 2개 이상의 레이더감지기를 구동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장치의 구동에 따른 제어신호에 의해 버스정류장으로부터 일정한 거리에서 진입하는 버스를 감지하도록 영상감지기를 구동하는 단계와, 상기 레이더감지기를 통해 버스정류장 내에 이용자가 있는지 또는 없는지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레이더감지기를 통해 버스정류장 내에 이용자가 있을 경우 LED표출부에 의해 다른 색상으로 변환시켜 표출시키는 단계와, 상기 레이더감지기를 통해 버스정류장 내에 이용자가 없을 경우 LED표출부에 의해 설정된 기본 색상으로 표출시키는 단계와, 상기 영상감지기를 통해 버스정류장으로 진입하는 버스가 있을 경우 LCD모니터부에 의해 이용자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에, 상기 제어장치를 구동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장치의 제어신호에 의해 저장장치에 레이더감지기와 영상감지기를 통해 감지된 데이터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를 구동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장치의 제어신호에 의해 레이더감지기와 영상감지기를 통해 감지된 데이터의 정보를 통신망을 이용하여 관제센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버스정류장을 이용하는 일반 이용자, 스몸비족, 노약자, 휠체어 이용자, 청각 및 시각 장애인 등 누구나 버스정류장을 이용하는데 있어 안전하게 버스를 탑승하게 하는 효과와, 버스 운전자가 버스정류장에 진입 시 안전하게 진입 가능하게 유도되는 효과와, 주간 또는 야간에도 버스정류장내에 설치된 LED표출부에 의해 버스의 안전한 진입이 가능하게 함으로 인해 버스 이용자의 안전한 이동 뿐만 아니라 버스정류장 내의 이용자를 미리 파악할 수 있어 버스 운전자로 하여금 안전한 버스정류장의 진입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가변 차선이 있는 버스정류장을 버스가 아닌 일반 차량이 용이하게 식별이 가능하고, 우기 또는 눈이 많이 올 경우 버스 운전자의 가시 식별이 매우 안좋아 버스정류장을 그냥 지나가 버리거나 위험 사고 발생을 중일 수 있게 식별이 가능한 효과로 인해 전체적으로 안전한 운전을 유도할 수 있는 동시에 이용자에게도 버스정류장에서 안전하게 대기할 수 있어 차대차 사고 또는 차대사람 사고가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버스정류장내에 설치된 LCD모니터를 통해 이용자가 안전하게 있는지 구별할 수 있기에 버스정류장내에서 안전하게 대기할 수 있고, 동시에 버스 진입과 관련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음으로 인해 관련된 정보를 토대로 각 버스정류장에서 이용하는 버스 이용자에 대한 정보와 버스정류장에 정차하는 버스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효과와, 현재 활발이 추진되고 있는 U-city 및 스마트시티(Smart City)에 적용할 수 있어 버스정류장에 대한 판단과 빅데이터(Big data) 활용 가치를 높여 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버스정류장의 바닥에 설치된 LED에 의해 주간 및 야간 상관없이 버스정류장의 미관이 향상되는 효과와, 미래 지향적인 버스정류장 문화가 증진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버스정류장의 안전 제어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버스정류장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실시되는 버스정류장의 안전 제어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보여주는 블럭 구성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실시되는 버스정류장의 안전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실시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하고,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고, 또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은 버스를 운전하는 운전자와 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에게 안전을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버스정류장의 안전 제어시스템 및 방법으로서, 이는 버스정류장의 이용자가 안전하게 버스를 기다릴 수 있는 동시에 버스 운전자가 버스정류장에 안전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가변 차로에서 차대차의 사고 또는 버스와 이용자 간의 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시키고, 버스가 아닌 다른 차량이 버스정류장 내에 진입시 안전하게 운전을 유도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버스정류장 내의 안전장치에 대해서 현재로서는 특별이 규격화된 것은 없지만 향후 버스정류장 내의 바닥에 LED와 같은 표출장치가 구비될 경우 버스의 안전한 운행과 버스 이용자에게 안전한 이용이 가능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버스정류장에는 일정한 형태 및 크기를 갖는 본체(1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본체(10)의 상단 부위에는 버스정류장 내의 이용자가 위치하고 있는지를 감지하기 위해 2개 이상의 레이더감지기(2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10)의 일측 상단에는 버스정류장으로부터 일정한 거리(예를 들어 50m~120m)에서 진입하는 버스를 감지하기 위한 영상감지기(30)가 구비되고, 상기 버스정류장의 일측 바닥면에는 이용자도 확인할 수 있는 동시에 특히 버스정류장에 진입하는 버스의 운전자가 버스정류장 내의 이용자가 위치하고 있는 아니면 없는지 용이하게 구분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LED표출부(40)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10)의 일측 측면에는 영상감지기(30)를 통해 버스정류장으로 진입하는 버스가 있을 경우 이용자가 실시간으로 확인이 가능한 LCD모니터부(5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본체(10)의 적정한 위치에는 레이더감지기(20), 영상감지기(30), LED표출부(40) 및 LCD모니터부(50)에 대해서 제어신호를 통해 구동 제어할 수 있는 제어장치(60)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버스를 운전하는 운전자와 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에게 안전을 제공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먼저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제어장치(60)가 구동되게 되고(S100), 상기 제어장치(60)의 구동에 따른 제어신호에 의해 레이더감지기(20)가 구동되어 버스정류장에 이용자가 위치하고 있는지를 감지하게 된다(S110).
여기서, 상기 레이더감지기(20)는 2개 이상 구비되게 되는데, 이는 버스정류장 내측 뿐만 아니라 외측 부분에도 이용자가 위치하고 있을 수 있기에, 최대한 넓은 범위를 감지하기 위해서 구비되게 되고, 특히 5개 정도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레이더감지기(20)를 통해 버스정류장 내에 이용자가 있는지 또는 없는지를 감지하여 판단(S120)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레이더감지기(20)를 통해 버스정류장 내에 이용자가 있을 경우 LED표출부(40)에 의해 다른 색상(예를 들어 파랑색)으로 변환시켜 표출하게 되고(S130), 또한 상기 레이더감지기(20)를 통해 버스정류장 내에 이용자가 없을 경우 LED표출부(40)에 의해 설정된 기본 색상(예를 들어 하얀색)으로 표출시키게 되는 것이다(S140).
여기서, 상기 LED표출부(40)를 통해 표출되는 색은 하얀색(White) 또는 파랑색(Blue)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이해를 돕기 위한 설명으로 색상은 한정하지 않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한편, 상기 제어장치(60)의 구동에 따른 제어신호에 의해 영상검지기(30)가 구동 제어되는데, 이는 버스정류장으로부터 일정한 거리(예를 들어 50m~120m)에서 진입하는 버스를 감지하게 되고(S150), 상기 영상감지기(30)를 통해 버스정류장으로 진입하는 버스가 있을 경우 LCD모니터부(50)에 의해 이용자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되는 것이다(S160).
여기서, 상기 영상검지기(30)를 통해 감지하는 거리를 50m~120m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이해를 돕기 위한 설명으로 거리는 한정하지 않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60)의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하는 저장장치(70)는 레이더감지기(20)와 영상감지기(30)를 통해 감지된 신호 데이터의 정보(S170)를 저장하게 되고(S180), 동시에 레이더감지기(20)와 영상감지기(30)를 통해 감지된 데이터의 정보(S170)를 통신망을 이용하여 관제센터(80)에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S180).
여기서, 상기 제어장치(60)에는 통신부(미도시)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통신부는 PLC통신, LTE, RS-485, 와이파이 또는 블루투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통신망을 이용할 수가 있으며, 상기 제어장치(60)와 관제센터(80) 간에 상기 통신망을 이용하여 연동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일측 부분에는 스피커(미도시) 및 송풍팬(미도시)이 함께 구비되어 있는데, 이는 스몸비족 또는 청각 및 시각장애인과 같이 이동이 자유롭지 못한 이용자에게 버스정류장의 이용에 있어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 탑승하고자 하는 해당 버스가 버스정류장에 진입할 경우에 용이하게 LCD모니터부(50)를 확인할 수 없기에 미리 입력된 정보를 확인되면 제어장치(60)의 제어신호에 의해 스피커를 통해 해당 버스 진입을 음성으로 알려줌과 함께 송풍팬의 바람을 통해 알려주게 되는 것이다.
즉, 버스정류장을 이용하고자 하는 스몸비족 또는 장애인이 본체(10)에 설치 및 구비된 입력장치(미도시)를 통해 해당 버스의 정보(버스 번호 또는 목적지 등)를 버튼식으로 입력하면, 해당 버스가 버스정류장에 진입할 경우 스피커를 통해 알려주게 되고, 특히 청각장애인 경우 음성을 들을 수 없기에 송풍팬을 통해 바람을 불어서 인식시켜 알려줄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어장치(60)에는 안전구동부(미도시)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는 해커의 외부요인으로 악의적인 프로그램 변질을 하였을 때, 변질된 프로그램의 실행을 거부하고 공장출하 상태의 프로그램으로 자동복구하도록 실행하는 것으로, 특히 제어장치(60)를 통해 구동하는 제어신호의 변질을 방지하고, 안전적으로 구동을 유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60)에 대한 제어신호 구동은 임베디드 리눅스와 같은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에서 구현하는 동시에 실시간 운영체제(Realtime Operating System, RT-OS)에서 구현할 수가 있고, 어플리케이션과 미들웨어로 이원화 하여 JAVA 등으로 작성한 공통적인 어플리케이션이 하드웨어의 종류 또는 제조사에 상관없이 호환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버스정류장에 설치되는 레이더검지기(20)에 의해 이용자의 움직임까지도 검지하게 되는 것이고, 이에 대한 검지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2개 이상 설치하게 되고, 바람직하게는 5대까지 설치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는, 상기 레이더검지기(20)를 통한 검지 반경은 50˚~ 120˚로 영역 설정되어 있기에, 전체적으로 검지율 100%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레이더검지기(20)는 5개까지 설치되기에, 하나의 제어장치(60)를 통해 제어가 가능하게 되고, 상기 제어장치(60)는 32Bit 듀얼 MCU로 이루어져 있어 5개의 검지기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임베디드 워크(Embeded Work)가 가능한 MCU 장착으로 인해 동시 처리 속도가 매우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여러대의 레이더 검지센서 반응에 의해서 다양한 후속 장치에 전달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LED표출부(40)는 기본적으로 한가지 색상을 표출하게 되고, 이용자 검지 시 다른색으로 변환되어 표출되기에 버스운전자의 안전한 진입을 유도할 수가 있고, 특히 버스정류장의 바닥에 설치되기 때문에 별도의 함체에 넣어서 설치되게 되고, 상기 함체는 강도가 강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기본적인 구두와 심한 충격에도 버틸 수가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장치(60)는 듀얼 MCU에 의해서 검지된 정보를 LED표출부(40)에 즉시 전달이 가능하기에, 2가지 색상을 가지고 있는 LED표출부(40)는 이용자(보행자)가 검지 되지 않을 경우 검지 되기 전인 LED 화이트 색상이 표출되고, 이용자(보행자)가 검지되면 LED는 다른 색으로 변환될 수 있어 이용자(보행자)는 안전하게 버스정류장에서 대기할 수가 있는 동시에 버스운전자는 LED의 색상 변환이 있을 경우 버스정류장으로 안전하게 진입 유도할 수가 있으며, 이에 따른 LED 효과는 야간에 버스정류장을 쉽게 구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버스운전자에게는 버스정류장의 진입을 하는데 있어 가변차선 구간 같은 경우 일반적인 보도블럭 위치와 구별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안전한 진입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LCD모니터부(50)는 38인치(inch) 이상 모든 LCD 모니터가 가능하기에 기존에 설치된 버스정류장의 모니터와 연동이 가능할 수 있고, 기존의 모니터 연결 시 화면 제어하고 있는 응용프로그램과의 호완이 가능하기에 버스 진입 시 반영된 정보로 디스플레이될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레이더검지기(20) 및 영상검지기(30)에서 검지된 다양한 정보는 제어장치(60)의 제어에 의해 저장장치(70)에 저장되는 동시에 관제센터(80)의 서버(Server)에 전송하여 저장할 수 있고, 저장된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가치가 있기에, 이를 토대로 1개의 버스정류장에서의 보행자 인원 수와 사고와 관련 정보에 대해 분석이 가능하고, 특히 1주~1년 동안 저장된 정보를 토대로 버스정류장의 안전 문화를 구축하는데 매우 활용 가치가 높은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버스정류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차대사람 또는 차대차의 사고를 최소화하여 안전하게 버스정류장을 이용하기 위한 것으로, 이는 버스정류장에 많은 이용자(보행자)가 있을 수 있기에 버스 또는 다른 차량 등이 잘못 인지 또는 구별이 안되었을 경우 매우 높은 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을 위한 시설은 매우 중요하게 된다.
특히, 어두운 야간인 경우, 즉 오후10시~새벽1시에 심야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에게는 매우 안전한 버스정류장의 이용이 가능할 수 있고, 각 버스정류장에서 이용하는 버스 이용자에 대한 정보와 버스정류장에 정차하는 버스 정보를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재 활발이 추진되고 있는 U-city 및 스마트시티(Smart City)에 적용할 수 있고, 이를 토대로 버스정류장에 대한 판단과 빅데이터(Big data) 활용 가치를 높여 줄 수 있으며, 버스정류장의 바닥에 설치된 LED에 의해 주간 및 야간 상관없이 버스정류장의 미관이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래 지향적인 버스정류장 문화를 가져 올 수가 있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품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버스정류장 본체 20 : 레이더감지기
30 : 영상감지기 40 : LED표출부
50 : LCD표출부 60 : 제어장치
70 : 저장장치 80 : 관제센터

Claims (7)

  1. 버스를 운전하는 운전자와 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에게 안전을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버스정류장의 안전 제어시스템으로서,
    상기 버스정류장에 설치되는 일정한 형태 및 크기를 갖는 본체의 상단 부위에 구비되어 버스정류장에 이용자가 위치하고 있는지를 감지하도록 하는 2개 이상의 레이더감지기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버스정류장으로부터 일정한 거리에서 진입하는 버스를 감지하도록 하는 영상감지기와, 상기 레이더감지기를 통해 버스정류장 내에 이용자가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를 각각 감지하여 버스정류장에 진입하는 버스의 운전자가 용이하게 구분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버스정류장의 일측 바닥면에 설치되어 표출하는 LED표출부와, 상기 영상감지기를 통해 버스정류장으로 진입하는 버스가 있을 경우 이용자가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버스정류장의 일측 측면에 설치되어 디스플레이되는 LCD모니터부와, 상기 레이더감지기, 영상감지기, LED표출부 및 LCD모니터부에 대한 각각의 구동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본체의 적정한 위치에 구비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장치의 제어신호에 의해 레이더감지기와 영상감지기를 통해 감지된 신호 데이터의 정보를 저장하도록 하는 저장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일측 부분에 각각 구비되어 청각 또는 시각 장애인이 버스정류장을 이용할 시 해당 버스가 버스정류장에 진입할 경우에 소리 및 바람으로 알려줄 수 있도록 스피커 및 송풍팬이 제어장치의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장치에는 해커의 외부요인으로 악의적인 프로그램 변질을 하였을 때, 변질된 프로그램의 실행을 거부하고 공장출하 상태의 프로그램으로 자동복구하도록 하는 안전구동부가 구비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장치에는 통신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통신부는 PLC통신, LTE, RS-485, 와이파이 또는 블루투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통신망을 이용할 수가 있으며, 상기 제어장치와 관제센터 간에 상기 통신망을 이용하여 연동할 수가 있는 버스정류장의 안전 제어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20047524A 2022-04-18 2022-04-18 버스정류장의 안전 제어시스템 KR1024515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7524A KR102451503B1 (ko) 2022-04-18 2022-04-18 버스정류장의 안전 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7524A KR102451503B1 (ko) 2022-04-18 2022-04-18 버스정류장의 안전 제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1503B1 true KR102451503B1 (ko) 2022-10-07

Family

ID=83596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7524A KR102451503B1 (ko) 2022-04-18 2022-04-18 버스정류장의 안전 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1503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6927A (ko) 2006-02-17 2006-03-24 주식회사 쎌렉 버스정류장 안전 정차 및 승하차 유도 점등경계석
KR20120107602A (ko) 2011-03-22 2012-10-04 주식회사 네비웨이 버스 정류장 승객 안전 유도 시스템
KR20160018107A (ko) 2014-08-08 2016-02-17 주식회사 케이비원 버스 정류장 안전 유도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49815A (ko) 2014-10-28 2016-05-10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탑승객 안내선를 구비하는 버스정류장, 및 이를 포함하는 승객 안전 유도 시스템
KR102168710B1 (ko) * 2020-06-02 2020-10-22 주식회사 카이넥스엠 태양광 led 버스승차알림장치를 이용한 태양광 led 버스승차알림 시스템
KR102196041B1 (ko) * 2020-05-19 2020-12-29 선광훈 버스 정보를 안내하는 영상 촬영 장치, 교통 정보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41648A (ko) 2019-10-07 2021-04-16 문승호 미세먼지 정화 및 안전 지킴이 기능을 구비한 친환경 클린 버스 정류장 시스템
KR102242851B1 (ko) * 2020-08-06 2021-04-21 주식회사 드웰링 재난 안전 스마트 쉘터의 운용방법
KR102335781B1 (ko) * 2021-09-17 2021-12-06 (주)에이원트래픽알앤디 보행자 안전 통합 표출 제어방법 및 시스템
KR102369957B1 (ko) * 2021-06-18 2022-03-04 이피코리아(주) 이용자 수와 체류시간을 고려한 스마트 버스 승강장의 자동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6927A (ko) 2006-02-17 2006-03-24 주식회사 쎌렉 버스정류장 안전 정차 및 승하차 유도 점등경계석
KR20120107602A (ko) 2011-03-22 2012-10-04 주식회사 네비웨이 버스 정류장 승객 안전 유도 시스템
KR20160018107A (ko) 2014-08-08 2016-02-17 주식회사 케이비원 버스 정류장 안전 유도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49815A (ko) 2014-10-28 2016-05-10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탑승객 안내선를 구비하는 버스정류장, 및 이를 포함하는 승객 안전 유도 시스템
KR20210041648A (ko) 2019-10-07 2021-04-16 문승호 미세먼지 정화 및 안전 지킴이 기능을 구비한 친환경 클린 버스 정류장 시스템
KR102196041B1 (ko) * 2020-05-19 2020-12-29 선광훈 버스 정보를 안내하는 영상 촬영 장치, 교통 정보 시스템 및 방법
KR102168710B1 (ko) * 2020-06-02 2020-10-22 주식회사 카이넥스엠 태양광 led 버스승차알림장치를 이용한 태양광 led 버스승차알림 시스템
KR102242851B1 (ko) * 2020-08-06 2021-04-21 주식회사 드웰링 재난 안전 스마트 쉘터의 운용방법
KR102369957B1 (ko) * 2021-06-18 2022-03-04 이피코리아(주) 이용자 수와 체류시간을 고려한 스마트 버스 승강장의 자동제어 시스템
KR102335781B1 (ko) * 2021-09-17 2021-12-06 (주)에이원트래픽알앤디 보행자 안전 통합 표출 제어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24700B2 (ja) 移動体制御装置、移動体制御方法、及び、移動体
US7864071B2 (en) Emergency vehicle traffic signal preemption system
US20130232003A1 (en) Advertisement system using motion detect illumination
KR20180057801A (ko) IoT 융합형 집합건물 주차장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844964B1 (ko) 불법 주차 단속 방법
KR20110011893A (ko) 지정주차공간의 주차관리 및 이동 유도장치
KR20160093205A (ko) 장애인을 위한 저상버스 탑승 알림장치
KR102361656B1 (ko) 딥러닝을 이용한 대기 승객 안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대기 승객 안내 방법
KR20160031567A (ko) 통학차량에 설치되는 사물인터넷 기반 안전관리 시스템
KR102168710B1 (ko) 태양광 led 버스승차알림장치를 이용한 태양광 led 버스승차알림 시스템
KR20240008966A (ko) 주차공간 이용효율 극대화를 위한 주차공유시스템
KR102451503B1 (ko) 버스정류장의 안전 제어시스템
KR102125285B1 (ko) 도로교통표지 정보 인식장치 및 그 방법
KR102282909B1 (ko) 버스 하차벨 원격 시스템
KR102195802B1 (ko) IoT 기반의 실시간 통학차량 운행정보 및 어린이 안전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170001540A (ko) 보행자 자동 탐지 방법 및 보행 자동 인식 신호기
KR20170014998A (ko) 교통 안전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KR101687741B1 (ko) 교통신호 기반의 능동형 광고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WO2020256334A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비상 상황 대처용 경보 및 표시장치
CN107610490A (zh) 路面紧急避让系统及抢险车辆
KR20220068783A (ko) 휴게소의 역주행 방지시스템
KR20120020604A (ko) 택시 비상사태 알림 시스템
KR102313112B1 (ko) 택시 승강장의 택시 호출 시스템
KR102239931B1 (ko) 택시 승강장의 콜택시 서비스 시스템
KR102538744B1 (ko) 영상 자체 저장 기능을 갖는 스마트 폴을 이용한 교통안전 보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