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5802B1 - IoT 기반의 실시간 통학차량 운행정보 및 어린이 안전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IoT 기반의 실시간 통학차량 운행정보 및 어린이 안전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5802B1
KR102195802B1 KR1020190057956A KR20190057956A KR102195802B1 KR 102195802 B1 KR102195802 B1 KR 102195802B1 KR 1020190057956 A KR1020190057956 A KR 1020190057956A KR 20190057956 A KR20190057956 A KR 20190057956A KR 102195802 B1 KR102195802 B1 KR 102195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hild
information
children
sch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7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2437A (ko
Inventor
백진오
김재봉
Original Assignee
(주) 포에버정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포에버정보 filed Critical (주) 포에버정보
Priority to KR1020190057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5802B1/ko
Publication of KR20200132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24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5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58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G06Q50/40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6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with transmission via telephone networ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Abstract

본 발명은 IoT 기반의 실시간 통학차량 운행정보 및 어린이 안전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비콘 단말을 이용하여 어린이의 등하교시 어린이와 학부모에게 통학차량의 위치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고, 학부모에게 통학차량에 탑승한 자녀들의 탑승현황과 등교여부 및 하교 시 도착예정시간을 포함하는 안전상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IoT 기반의 실시간 통학차량 운행정보 및 어린이 안전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어린이의 신체에 휴대할 수 있는 형태로 구비되고, 어린이가 통학차량을 탑승 또는 하차할 때 통학차량에 설치된 코디네이터 비콘 모듈로 신호를 전송하며, 각 단말기보다 고유식별번호가 부여되어 어떤 어린이가 승하차하였는 지에 대한 정보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어린이용 비콘 단말기; 차량 내부 및 외부에 설치되어 어린이용 비콘 단말기로부터 승하차 정보가 전송되면 해당 어린이용 비콘 단말기의 고유식별정보를 체크한 후, 어린이 이름, 어린이 승하차시간정보를 차량 내에 구비된 차량위치추정모듈에 전송하는 코디네이터 비콘 모듈; 내부에 GPS 수신기를 내장하고 있으며, 통학차량이 운행될 때 내장된 GPS 수신기를 이용하여 통학차량의 위치좌표를 수신하고 미리 프로그램화된 위치추정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통학차량의 현재 위치를 추정한 후 그 결과값을 무선통신망을 통해 서버로 전달하는 차량위치추정모듈; 통학차량의 도착예정시간정보, 운행 중인 모든 통학차량의 현 위치정보, 어린이 탑승상태정보, 승하차 시 어린이 안전여부에 관한 상태정보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주기적으로 수신하고, 어린이가 승하차하는 장소를 포함하는 어린이 정보와 통학차량의 현재 위치정보를 토대로 미리 프로그램화된 소요시간산출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특정 어린이가 목적지까지 도달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산출하여 이를 학부모 단말기와 교사 단말기에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IoT 기반의 실시간 통학차량 운행정보 및 어린이 안전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IoT 기반의 실시간 통학차량 운행정보 및 어린이 안전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IoT-based real-time traffic information and child safety information service system}
본 발명은 IoT 기반의 실시간 통학차량 운행정보 및 어린이 안전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비콘 단말을 이용하여 어린이의 등하교시 어린이와 학부모에게 통학차량의 위치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고, 학부모에게 통학차량에 탑승한 자녀들의 탑승현황과 등교여부 및 하교 시 도착예정시간을 포함하는 안전상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IoT 기반의 실시간 통학차량 운행정보 및 어린이 안전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학차량은 어린이, 학생을 대상으로 운행하는 차량으로, 통학차량은 미리 정해진 노선을 따라 순회하며 대상자를 안전하게 통학시키기 위한 목적과 대상자가 안전하게 목적지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마련된다.
그러나, 어린이 통학용 차량사고의 주요 원인을 살펴보면, 안전운전 의무 불이행으로 인한 사고발생율이 높은 퍼센트를 차지하고 있고, 승하차 시 어린이의 안전을 제대로 확인하지 못해서 발생하는 사례도 빈번히 있다.
기존에 어린이 통학차량에 안전장치를 탑재하기 위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어린이 통학차량 당 안전장치를 탑재하기 위한 소요되는 비용이 과다할 뿐만 아니라, 대부분 전조등, 후방카메라, 도색 같은 시인성만을 강조하는 수단에만 국한되어 있어, 실질적으로 어린이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는 플랫폼의 구축은 미비한 실정이다.
한편, 기존의 대다수의 통학차량의 경우, 지정된 운행시간표에 따라 운행하고 있으나, 교통상황이나 운행환경에 따라 지정된 시간에 차량이 도달하지 않는 상황이 빈번히 발생한다. 이에 따라, 보호자는 해당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에 전화를 하여 차량위치와 도달시간을 물어봐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 보호자와 보육기관 양측에 통학차량의 운행정보 및 어린이의 안전상황을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는 체계화된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된다.
선행기술문헌 : KR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72653호(2014.5.13.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통학차량의 접근알림, 통학차량의 도착알림, 통학차량이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통학차량의 운행정보를 학부모와 운전자에게 전달하고, 어린이의 승하차 여부 및 차량 출발 전까지 차량 주변에 어린이가 위치하고 있는 지를 파악하여 운전자에게 알림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IoT 기반의 실시간 통학차량 운행정보 및 어린이 안전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IoT 기반의 실시간 통학차량 운행정보 및 어린이 안전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어린이의 신체에 휴대할 수 있는 형태로 구비되고, 어린이가 통학차량을 탑승 또는 하차할 때 통학차량에 설치된 코디네이터 비콘 모듈로 신호를 전송하며, 각 단말기보다 고유식별번호가 부여되어 어떤 어린이가 승하차하였는 지에 대한 정보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어린이용 비콘 단말기; 차량 내부 및 외부에 설치되어 어린이용 비콘 단말기로부터 승하차 정보가 전송되면 해당 어린이용 비콘 단말기의 고유식별정보를 체크한 후, 어린이 이름, 어린이 승하차시간정보를 차량 내에 구비된 차량위치추정모듈에 전송하는 코디네이터 비콘 모듈; 내부에 GPS 수신기를 내장하고 있으며, 통학차량이 운행될 때 내장된 GPS 수신기를 이용하여 통학차량의 위치좌표를 수신하고 미리 프로그램화된 위치추정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통학차량의 현재 위치를 추정한 후 그 결과값을 무선통신망을 통해 서버로 전달하는 차량위치추정모듈; 통학차량의 도착예정시간정보, 운행 중인 모든 통학차량의 현 위치정보, 어린이 탑승상태정보, 승하차 시 어린이 안전여부에 관한 상태정보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주기적으로 수신하고, 어린이가 승하차하는 장소를 포함하는 어린이 정보와 통학차량의 현재 위치정보를 토대로 미리 프로그램화된 소요시간산출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특정 어린이가 목적지까지 도달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산출하여 이를 학부모 단말기와 교사 단말기에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코디네이터 비콘 모듈은 탑승한 어린이가 모두 하차한 후 다음 정류소로 출발하기 전 하차한 어린이와 통학차량과의 거리가 소정 거리로 유지되었는 지 하차한 어린이가 소지한 어린이용 비콘 단말기로부터 수신신호강도를 측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필터링을 거쳐 거리를 추정하고, 하차한 모든 어린이가 통학차량으로부터 설정한 거리 이상으로 유지되지 않을 경우 이를 차량위치추정모듈로 알려, 차량위치추정모듈을 통해 알람음을 송출하여 운전자가 통학차량 주변에 어린이가 위치하고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여 어린이가 하차한 이후에도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통학차량의 실시간 위치정보, 어린이 탑승상태정보, 승하차 시 어린이 안전상태정보, 통학차량의 도착예정시간을 포함하는 통학차량의 운행정보 및 자녀의 정보를 제공받는 학부모 단말기를 더 포함하고, 학부모 단말기는 서버로부터 통학차량의 도착예정시간을 전달받아 도착예정시간보다 이른 시간을 등록처리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에 맞춰 통학차량이 오는 방면으로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을 갖다대면, 자녀가 곧 도착할 것이라는 액션을 취한 영상이 출력되는 이벤트가 발생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통학차량의 현 운행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학부모와 아이가 도로에서 통학차량을 기다리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고, 어린이가 통학차량에 탑승한 승차정보와 하차한 하차정보를 학부모 단말에 전달하여 어린이가 안전하게 통학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운전자는 어린이가 하차한 직후 차량의 일정 반경 내로 어린이용 비콘 단말이 감지될 경우, 차량 주변에 어린이가 위치하고 있음을 운전자 단말로 알려 하차 이후 어린이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실시간 통학차량 운행정보 및 어린이 안전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실시간 통학차량 운행정보 및 어린이 안전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실시간 통학차량 운행정보 및 어린이 안전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실시간 통학차량 운행정보 및 어린이 안전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실시간 통학차량 운행정보 및 어린이 안전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어린이 통학차량의 실시간 교통정보 서비스와 어린이 안전관리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실시간 통학차량 운행정보 및 어린이 안전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어린이용 비콘 단말기(10), 코디네이터 비콘 모듈(20), 차량위치추정모듈(30), 서버(40), 학부모 단말기(50), 및 교사 단말기(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어린이용 비콘 단말기(10)는 어린이가 통학차량을 탑승 또는 하차할 때 통학차량에 설치된 코디네이터 비콘 모듈(20)로 신호를 전송한다. 어린이용 비콘 단말기(10)는 어린이의 목, 팔 등 신체에 소지할 수 있는 형태로 구비되어 휴대가 가능하다.
어린이용 비콘 단말기(10)는 각 단말기마다 고유식별번호가 부여되어 어떤 어린이가 승하차하였는 지에 대한 정보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코디네이터 비콘 모듈(20)은 어린이용 비콘 단말기(10)로부터 승하차 정보가 전송되면 해당 어린이용 비콘 단말기(10)의 고유식별정보(예컨대, ID)를 토대로 어린이의 고유식별정보를 체크한 후, 어린이 이름, 어린이 승하차시간 정보를 차량 내에 구비된 차량위치추정모듈(30)에 전송한다. 차량위치추정모듈(30)은 해당 정보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서버(40)로 전달하고, 서버(40)는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를 저장하게 된다.
코디네이터 비콘 모듈(20)은 통학차량의 승하차 도어 인근에 설치되어 어린이가 탑승 또는 하차할 시 어린이용 비콘 단말기(1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어린이의 승하차를 감지한다.
또한, 코디네이터 비콘 모듈(20)은 탑승한 어린이용 비콘 단말기(10)가 일정 시간 내에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하차한 것으로 판단하고 하차한 어린이의 이름, 하차시간을 포함하는 하차정보를 차량위치추정모듈(30)로 전송한다.
또한, 코디네이터 비콘 모듈(20)은 통학차량의 전면, 후면 측면에도 설치되어 하차한 어린이가 소지한 어린이용 비콘 단말기(10)를 감지하여 탑승한 어린이가 모두 하차한 후 다음 정류소로 출발하기 전 하차한 어린이와 통학차량과의 거리가 소정 거리로 유지되었는 지 하차한 어린이가 소지한 어린이용 비콘 단말기(10)로부터 수신신호강도를 측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소정의 필터링을 거쳐 거리를 추정하도록 한다. 예컨대, 거리 추정 시에는 칼만필터, 파티클필터 등 다양한 필터링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하차한 모든 어린이가 통학차량으로부터 설정한 거리 이상으로 유지되지 않을 경우, 코디네이터 비콘 모듈(20)은 이를 차량위치추정모듈(30)로 알리고, 차량위치추정모듈(30)은 알람음을 송출하여 운전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코디네이터 비콘 모듈(20)은 어린이가 통학차량을 하차한 직후 신호 도달 거리 내의 어린이용 비콘 단말기(10)를 감지하여 통학차량 주변에 어린이가 위치하고 있는 지를 감지함으로써 통학차량에 탑승한 어린이의 안전관리 뿐만 아니라, 하차한 어린이의 안전까지도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코디네이터 비콘 모듈(20)은 블루투스 또는 WI-FI 기반의 저전력 통신모듈을 통해 어린이용 비콘 단말기(10)와 주기적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코디네이터 비콘 모듈(20)의 통신방식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차량위치추정모듈(30)은 통학차량 내부에 구비되고, 내부에 GPS 수신기를 내장하고 있으며, 통학차량이 운행될 때 내장된 GPS 수신기를 이용하여 통학차량의 위치좌표를 수신하고 미리 프로그램화된 위치추정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통학차량의 현재 위치를 추정한 후 그 결과값을 무선통신망을 통해 서버(40)로 전달한다.
또한, 차량위치추정모듈(30)은 어린이가 하차한 이후 차량에 탑재된 코디네이터 비콘 모듈(20)과 어린이용 비콘 단말기(10) 간의 거리를 산출하여 하차한 어린이가 차량으로부터 일정 영역 내에 위치하는지를 추정하여 미리 설정된 영역 내로 감지될 경우 경고알람음을 송출하도록 한다.
따라서, 어린이가 소지한 어린이용 비콘 단말기(10)와 통학차량과의 거리를 산출하여 통학차량과 어린이 간에 일정 안전거리가 확보되지 않을 경우 운전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경고알람음을 출력함으로써 어린이가 하차한 이후에도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때, 차량위치추정모듈(30)은 경고알람음을 송출하는 동시에 디스플레이를 통해 차량에 인접한 어린이의 사진, 이름, 반을 포함하는 어린이 정보를 출력시켜 어떤 어린이가 차량 부근에 위치하고 있는 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차량위치추정모듈(30)로부터 1차 알람음이 송출된 이후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어린이용 비콘 단말기(10)의 신호가 재차 감지될 경우 어린이가 계속 통학차량의 주변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2차 알람음을 송출하도록 하는 순차적 알람 방식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2차 알람음의 세기 및 횟수는 1차 알람음보다 상대적으로 강하고 빈번한 횟수로 송출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가 1차 위험 사항을 인지하지 못하거나 1차 위험사항 알람 이후에도 즉각적인 대처가 이루어지지 않아 어린이가 위험사항에 지속적으로 노출될 수 있는 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해당 목적지에 방금 하차한 어린이가 통학차량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상으로 유지되지 않을 경우 사고위험에 노출될 우려가 있으므로, 하차한 어린이가 통학차량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상으로 유지되어 있는 지를 운전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어린이가 통학차량을 하차한 이후에도 어린이의 안전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차량위치추정모듈(30)은 통학차량 내에 구비되거나, 운전자 또는 어린이를 보호하는 교사가 휴대하는 단말기의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서버(40)는 차량위치추정모듈(30)로부터 무선통신을 통해 주기적으로 데이터를 수신한 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버(40)는 통학차량의 도착예정시간정보, 운행 중인 모든 통학차량의 현 위치정보, 어린이 탑승상태정보, 승하차 시 어린이 안전여부에 관한 상태정보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주기적으로 수신한다.
서버(40)는 어린이가 승하차하는 장소를 포함하는 어린이 정보와 통학차량의 현재 위치정보를 토대로 특정 어린이가 목적지까지 도달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산출하여 이를 학부모 단말기(50)와 교사 단말기(6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서버(40)에 미리 프로그램화된 소요시간산출알고리즘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학부모 단말기(50)와 교사 단말기(60)에는 각각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로드(load)되어 있으며, 각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실시간 통학차량의 교통정보 및 어린이의 탑승여부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학부모 단말기(50)와 교사 단말기(60)의 각 전용 애플리케이션에는 서버(40)로부터 전달받은 통학차량의 실시간 위치정보, 어린이 탑승상태정보, 승하차 시 어린이 안전상태정보, 통학차량의 도착예정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학부모 단말기(50)와 교사 단말기(60)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운행정보화면이 생성되어 생성된 운행정보 화면에는 인솔교사 및 차량번호 정보가 표시되며, 전자지도상에 통학차량이 정류하는 각 정류장이 표시되고, 통학차량이 실시간 운행중인 운행위치에 따라 출력된다. 또한, 특정 정류장을 선택하면 자녀의 승하차 정보가 표시된다.
특히, 학부모 단말기(50)를 통해 자신의 아이가 탑승한 통학차량의 현 운행상황을 실시간으로 전달받고, 승하차하는 정류장을 선택하면 해당 정류장에 도달하는 예상도착시간을 안내받을 수 있다.
따라서, 학부모는 자녀가 탑승한 차량의 도착예정 시간 및 통학차량의 실시간 위치정보를 제공받아 자녀의 승하차시간을 예측하여 자녀를 맞이할 준비를 미리 할 수 있고, 자녀가 통학차량에 탑승한 이후에는 통학차량이 어느 위치까지 도달하였는지 자녀의 이동현황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원내에 위치하여 아이들의 등원을 기다리는 교사에게도 상기 정보가 전송되어 통학차량에 탑승하고 있는 아이들이 도달하기까지의 시간을 파악하여 아이들의 도달시간을 고려하여 아이들을 맞이할 준비를 할 수 있다.
또한, 학부모 단말기(50)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증강현실을 적용하여 특정 이벤트가 발생될 수 있다. 학부모 단말기(50)는 입력된 영상을 분석하여 등록된 객체정보(통학차량이 운행되는 방면에 대한 영상정보)와 일치하는 지를 판단하여 이벤트를 발생시키도록 한다.
일례로, 학부모 단말기(50)는 서버(40)로부터 통학차량의 도착예정시간을 전달받아 도착예정시간보다 이른 시간을 등록처리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에 맞춰 통학차량이 오는 방면으로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을 갖다대면, 통학차량의 방면에 관한 정보를 읽어들여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자녀가 곧 도착할 것이라는 액션을 취한 영상정보가 출력되도록 한다. 이러한 이벤트는 통학차량이 운행되는 특정 방향으로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을 갖다대었을 경우에만 발생되며, 실제 세계에 가상의 영상정보가 정합되어 출력된다.
이를 위해, 서버(40)는 통학차량의 운행방향이 찍힌 영역을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하여 두었다가, 미리 저장된 운행방향 영역과 동일 또는 유사한 이미지가 인식되면, 해당 자녀의 영상이 출력되도록 사전에 설정되어 있다.
또한, 서버(40)는 각 학부모 단말기(50)를 등록처리하여 등록된 학부모 단말기(50)에 대응되는 자녀 정보를 매칭시켜 특정 학부모 단말기(50)에 대응되는 자녀 영상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학부모 단말기(50)를 통해 통학차량이 오는 방면을 인식하여 서버(40)에 미리 저장하고, 아이의 도착예상시간을 확인하여 알람시간을 기 등록처리한 후, 미리 등록처리된 시간에 통학차량이 오는 방면으로 단말기를 갖다대면 촬영된 정보와 서버(40)에 저장된 정보 간을 비교하여 설정된 값 이상의 일치율을 가질 경우 이벤트를 발생시키도록 한다.
이때, 서버(40)는 기 등록처리된 시간에 맞춰 단말기를 갖다댔을 경우에 발생되는 이벤트와 기 등록처리된 시간 범위를 벗어난 시간에 단말기를 갖다댔을 경우에 발생되는 이벤트가 상이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예컨대, 학부모 단말기(50)를 통해 자녀의 도착예정시간 보다 5분 혹은 10분 전 알람시간이 등록처리되어 있고, 미리 설정된 시간에 맞춰 통학차량이 오는 방면으로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을 갖다대면, 자녀의 사진과 함께 "엄마 나 곧 도착해요" 라는 영상정보가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만약, 학부모 단말기(50)가 미리 설정된 시간보다 수분 전에(예컨대, 미리 설정된 알람시간보다 10분 전에) 통학차량이 오는 방면으로 단말기를 갖다댈 경우, 자녀가 "엄마 조금만 더 기다려요" 라는 액션을 취한 영상정보가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서버(40)는 통학차량이 오는 방면의 정보를 저장하여 두었다가, 기 저장된 방면정보와 동일 또는 유사하지 않은 정보가 인식될 경우, 해당 방면으로는 통학차량이 도달하지 않음을 안내하는 이벤트를 발생시키도록 한다.
예컨대, 학부모 단말기(50)가 통학차량이 오는 반대 방면으로 단말기를 갖다댈 경우, "엄마 그쪽 방면이 아니에요" 라는 액션을 취한 자녀의 영상정보가 출력되는 이벤트가 발생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학부모 단말기(50)를 통해 통학차량의 도착예정시간을 자녀의 이미지가 반영된 증강현실 기능이 구현된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상기 정보를 시각적으로 증강하여 학부모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어린이용 비콘 단말기(10)를 소지한 어린이가 통학차량에 탑승하면 코디네이터 비콘 모듈(20)에서 이를 수신하여 교사 단말기(60)를 통해 승하차하는 어린이 목록을 보여주도록 한다. 이에 따라 교사는 아이들의 탑승여부를 파악할 수 있고 하차 후 통학차량에 잔류하는 어린이가 없는 지를 일괄적으로 파악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인 안전관리가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어린이용 비콘 단말기 20 : 코디네이터 비콘 모듈
30 : 차량위치추정모듈 40 : 서버
50 : 학부모 단말기 60 : 교사 단말기

Claims (3)

  1. 어린이의 신체에 휴대할 수 있는 형태로 구비되고, 어린이가 통학차량을 탑승 또는 하차할 때 통학차량에 설치된 코디네이터 비콘 모듈로 신호를 전송하며, 각 단말기 마다 고유식별번호가 부여되어 어떤 어린이가 승하차하였는 지에 대한 정보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어린이용 비콘 단말기;
    차량 내부 및 외부에 설치되어 어린이용 비콘 단말기로부터 승하차 정보가 전송되면 해당 어린이용 비콘 단말기의 고유식별정보를 체크한 후, 어린이 이름, 어린이 승하차시간정보를 차량 내에 구비된 차량위치추정모듈에 전송하는 코디네이터 비콘 모듈;
    내부에 GPS 수신기를 내장하고 있으며, 통학차량이 운행될 때 내장된 GPS 수신기를 이용하여 통학차량의 위치좌표를 수신하고 미리 프로그램화된 위치추정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통학차량의 현재 위치를 추정한 후 그 결과값을 무선통신망을 통해 서버로 전달하는 차량위치추정모듈;
    통학차량의 도착예정시간정보, 운행 중인 모든 통학차량의 현 위치정보, 어린이 탑승상태정보, 승하차 시 어린이 안전여부에 관한 상태정보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주기적으로 수신하고, 어린이가 승하차하는 장소를 포함하는 어린이 정보와 통학차량의 현재 위치정보를 토대로 미리 프로그램화된 소요시간산출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특정 어린이가 목적지까지 도달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산출하여 이를 학부모 단말기와 교사 단말기에 제공하는 서버;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통학차량의 실시간 위치정보, 어린이 탑승상태정보, 승하차 시 어린이 안전상태정보, 통학차량의 도착예정시간을 포함하는 통학차량의 운행정보 및 자녀의 정보를 제공받는 학부모 단말기
    를 포함하고,
    코디네이터 비콘 모듈은 탑승한 어린이가 모두 하차한 후 다음 정류소로 출발하기 전 하차한 어린이와 통학차량과의 거리가 소정 거리로 유지되었는지 하차한 어린이가 소지한 어린이용 비콘 단말기로부터 수신신호강도를 측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필터링을 거쳐 거리를 추정하고, 하차한 모든 어린이가 통학차량으로부터설정한 거리 이상으로 유지되지 않을 경우 이를 차량위치추정모듈로 전송하여 차량위치추정모듈을 통해 알람음을 송출하여 운전자가 통학차량 주변에 어린이가 위치하고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여 어린이가 하차한 이후에도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
    을 포함하며,
    학부모 단말기는 서버로부터 통학차량의 도착예정시간을 전달받아 도착예정시간으로부터 수분 이전의 시간을 등록처리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에 맞춰 통학차량이 오는 방면으로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을 갖다대면, 자녀가 곧 도착할 것이라는 액션을 취한영상이 출력되는 이벤트가 발생되는 것
    을 포함하며,
    차량위치추정모듈은 1차 알람음이 송출된 이후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어린이용 비콘 단말기의 신호가 재차 감지될 경우 어린이가 계속 통학차량의 주변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2차 알람음을 송출하도록 하는 순차적 알람 방식이 제공되는 것
    을 포함하고,
    서버는
    통학차량의 운행방향이 찍힌 영역을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하여 두었다가 미리 저장된 운행방향 영역과 동일 또는 유사한 이미지가 인식되면 학부모 단말기에 자녀의 영상이 출력되도록 하고,
    각 학부모 단말기를 등록처리하여 등록된 학부모 단말기에 대응되는 자녀 정보를 매칭시켜 각 학부모 단말기에 대응되는 자녀 영상이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것
    을 포함하는 IoT 기반의 실시간 통학차량 운행정보 및 어린이 안전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190057956A 2019-05-17 2019-05-17 IoT 기반의 실시간 통학차량 운행정보 및 어린이 안전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1958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7956A KR102195802B1 (ko) 2019-05-17 2019-05-17 IoT 기반의 실시간 통학차량 운행정보 및 어린이 안전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7956A KR102195802B1 (ko) 2019-05-17 2019-05-17 IoT 기반의 실시간 통학차량 운행정보 및 어린이 안전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2437A KR20200132437A (ko) 2020-11-25
KR102195802B1 true KR102195802B1 (ko) 2020-12-28

Family

ID=73645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7956A KR102195802B1 (ko) 2019-05-17 2019-05-17 IoT 기반의 실시간 통학차량 운행정보 및 어린이 안전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58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4998A (ko) 2021-07-22 2023-01-31 주식회사 에어위드 어린이 차량 통학을 위한 통합 안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96770B (zh) * 2021-07-26 2023-10-27 东软睿驰汽车技术(大连)有限公司 基于车机设备的一键报平安方法和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4483B1 (ko) * 2015-05-20 2016-04-21 주식회사 참좋은넷 어린이 통학 차량용 안심 케어 서비스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2598A (ko) * 2013-11-29 2015-06-08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어린이집 등하원 관리시스템
KR101684264B1 (ko) * 2014-07-10 2016-12-09 넥시스 주식회사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버스도착 알림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4483B1 (ko) * 2015-05-20 2016-04-21 주식회사 참좋은넷 어린이 통학 차량용 안심 케어 서비스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4998A (ko) 2021-07-22 2023-01-31 주식회사 에어위드 어린이 차량 통학을 위한 통합 안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2437A (ko) 2020-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19998B2 (en) Communication between autonomous vehicle and external observers
US8340902B1 (en) Remote vehicle management system by video radar
US11024167B2 (en) Information collection system and information collection apparatus
JP2023156430A (ja) 早期警告および衝突回避
KR100986279B1 (ko) 차량항법장치와 초고속인터넷통신망을 이용한 지능형 교통관리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US7864071B2 (en) Emergency vehicle traffic signal preemption system
KR101869391B1 (ko) 지능형 주차 관리 시스템
US20170364069A1 (en) Autonomous behavioral override utilizing an emergency corridor
US20170278390A1 (en) A METHOD FOR OPERATING A CENTRAL SERVER AND A METHOD FOR HANDLING A CONTROL CARD (as amended)
US20140210646A1 (en) Advanced parking and intersection management system
EP3690826A1 (en) Advanced parking and intersection management system
EP2629237A1 (en) Remote vehicle management system by video radar
CN107111947A (zh) 用于操作规则图表的方法
US20170301236A1 (en) METHOD FOR HANDLING A CONTROL CARD (as amended)
US20190306779A1 (en) Vehicle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vehicle communication device
KR102195802B1 (ko) IoT 기반의 실시간 통학차량 운행정보 및 어린이 안전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2020082918A (ja) 車両の制御装置及び乗客輸送システム
KR20140062582A (ko) 차량 단말 장치 및 상기 차량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KR20170059724A (ko) 긴급차량 우선신호 제어시스템 및 방법
KR20200068776A (ko) 자율주행 및 커넥티드 자동차용 통신 서비스 제공방법
George et al. Golden aid an emergency ambulance system
WO2021041757A1 (en) Intelligent traffic beacon
CN108399795A (zh) 一种基于智能交通基站的车辆碰撞提醒装置的工作方法
CN112655034A (zh) 使用移动id组信息的危险信息提供设备及方法
JP6913564B2 (ja) 交通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