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2578B1 - 버스정류장 - Google Patents

버스정류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2578B1
KR101992578B1 KR1020180152625A KR20180152625A KR101992578B1 KR 101992578 B1 KR101992578 B1 KR 101992578B1 KR 1020180152625 A KR1020180152625 A KR 1020180152625A KR 20180152625 A KR20180152625 A KR 20180152625A KR 101992578 B1 KR101992578 B1 KR 1019925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door
bus stop
waiting
wheel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2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석구
홍진형
Original Assignee
홍석구
홍진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석구, 홍진형 filed Critical 홍석구
Priority to KR1020180152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25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2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25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04H1/1211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36Structures movable as a whole, e.g. mobile home structures
    • E04B1/34352Base structures or support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02Ramp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3/00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1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motorways, e.g. integrated with sound barri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2Electrical components comprising DC/AC inverter means associated with the PV module itself, e.g. AC modu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H05B37/0281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02Ramps
    • E04F2011/005Ramps collapsible, e.g. folding, telescop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50Energy storage in industry with an added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dible And Visible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정류장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장에서 직접 제작되며, 설치장소로 운송하여 현장에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버스정류장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버스정류장은 천장, 바닥 및 측벽을 구비하여 내부에 대기실(110)이 형성되는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상부 및 측면에 형성되며, 현재 위치 표시 및 다양한 이미지를 색상으로 표현하게 되는 디스플레이패널(200); 및 상기 본체(100)의 전방 및 후방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출입문(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버스정류장{Bus stop}
본 발명은 버스정류장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장에서 직접 제작되며, 설치장소로 운송하여 현장에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버스정류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정류장은 버스가 정차하도록 지정된 장소로서, 버스를 기다리는 승객에게 편의를 위해 햇빛이나 비 또는 눈을 피할 수 있도록 구조물 형태로 이루어진다.
최근에는 태양광 발전장치를 이용하여 발전하고, 발전된 전기를 이용하여 버스정류장을 밝게 하거나 LED 조명을 이용하여 조명과 광고를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기술의 일예가 하기 문헌 1 내지 문헌 2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지면에 고정되는 양측 지지대를 구비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양측 지지대에 결합되는 벤치부; 상기 몸체의 양측 지지대 상단에 고정되는 태양전지 지지부; 및 상기 태양전지 지지부의 상부에 장착되며 표면에 반사방지층이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태양전지 셀과, 상기 복수의 태양전지 셀로부터 얻어지는 전기를 저장하는 축전기와, 상기 복수의 태양전지 셀 사이에 배치되는 열선을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 상기 태양전지 지지부의 하부 또는 상기 몸체의 양측 지지대에 장착되며, 상기 축전기에 저장된 전기를 이용하여 구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LED 조명등; 및 상기 LED 조명등의 점멸을 제어하는 조명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버스정류장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고정정류장 전체를 덮을 수도 있고 당기거나 밀어서 버스정류장을 확장시킬 수 있는 확장부; 상기 고정정류장 골격의 일부분이면서 전체적으로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서있는 크고 굵은 줄기부의 나무 형상을 하고 있고, 상기 나무형상 속으로 동절기를 대비한 제설제를 보관할 수 있으며, 상기 나무형상의 한 쪽 측면은 차량의 진입을 비추어 줄 수 있는 대형 반사경이 설치되는 제설제 보관 및 반사경부; 상기 고정정류장을 향하여 차량이 진입할 경우 차량의 진입을 감지하여 표시하여 주는 차량도착 감지 및 표시부;를 포함하는 확장 가능하고 수납기능을 가지며 차량도착 감지기능을 가진 버스 정류장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들은 다수의 작업자가 버스정류장 관련 자재를 차량에 적재하고 이를 시공 현장으로 운송한 다음, 각종 구성품의 설치를 위해 자재 가공이 시공 현장에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시공시간이 오래 걸리고, 자재의 운반, 가공에 따른 소음 및 분진의 발생으로 보행자는 물론 작업자 보건에도 악영향을 미친다.
또한, 종래의 기술들은 필요한 장소에 현장시공을 통해 시공해야 하는 건축시설물의 개념으로서, 한번 시공을 하게 되면 다른 장소로의 이동이 불가하기 때문에 시공된 장소에서만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47805호(2012.05.14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18926호(2006.08.25 등록)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별도의 현장시공 작업이 필요하지 않아 시공비용 및 시공기간을 줄일 수 있는 버스정류장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적정 실내온도 유지 및 실내공기 질이 우수한 대기실이 마련되어 실내에서 편안하게 버스 탑승을 대기할 수 있는 버스정류장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교통약자인 임산부와 장애인 등의 버스정류장 이용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버스정류장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버스정류장은 천장, 바닥 및 측벽을 구비하여 내부에 대기실(110)이 형성되는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상부 및 측면에 형성되며, 현재 위치 표시 및 다양한 이미지를 색상으로 표현하게 되는 디스플레이패널(200); 및 상기 본체(100)의 전방 및 후방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출입문(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100)는 저면 각 모서리부에 높이조절대(121)가 형성되는 바닥패널(120); 상기 바닥패널(120)의 상부 각 모서리부에 설치된 기둥프레임(130)에 결합되어 벽면을 이루는 벽체(140); 및 상기 벽체(140)의 상부에 설치되어 벽체를 커버하는 지붕패널(1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닥패널(120)의 하부에는 장애인의 출입문 이용 시 자동으로 인출되어 휠체어 진입을 보조하는 경사로 자동이송장치(500)가 설치되며, 상기 경사로 자동이송장치(500)는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 설치되어 휠체어 진입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감지부(510); 상기 센서감지부(5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동모터(520); 상기 구동모터(520)의 구동에 의해 작동되는 구동기어(530); 상기 구동기어(530)에 치합된 피동기어(540)와 연동 회전되며, 양측에 스크류(551)가 각각 형성되는 회전축(550); 상기 스크류(551)에 이송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케이스(590) 내부에 설치된 레일(580)을 따라 직선 왕복운동을 하는 이송체(560); 및 상기 이송체(560)의 일측에 설치되어 연동 이송되며, 일측에 바퀴(571)가 구비되는 경사로(5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전후방 상측에는 설정된 시간에 맞추어 점멸 작동되는 조명장치(160)가 설치되며, 상기 조명장치(160)는 상기 출입문(300)의 가로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출입문 입구를 커버하며, 하부에 매립홈(161a)이 형성되는 조명본체(161); 상기 조명본체(161)의 하부 일측에 매립되어 빛을 발산하는 LED모듈(162); 상기 LED모듈을 제어프로그램에 따라 일정 시간동안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63); 및 상기 제어부(163)에 일정 주기로 시간 정보를 공급하는 타이머(16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출입문(300)의 일측에 설치되며, 휠체어 이미지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이미지센서(610); 상기 디스플레이패널(200)의 외측에 설치되며, 해당 버스정류장에 장애인이 탑승 대기상태임을 표시하는 장애인 대기표시등(620); 및 상기 이미지센서(610)에 의해 전송된 영상정보를 수신하고 분석하여 장애인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장애인 대기표시등(620)의 점멸을 제어하는 제어기(6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붕패널(150)의 상부에 설치되며, 다수의 셀로 구성된 솔라셀(710); 상기 솔라셀(710)에서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축전지(720); 및 상기 축전지(720)에 저장된 전기를 직류에서 교류로 전환하여 공급하는 인버터(7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내측에 설치되는 배전반 커버(800) 전면에 광고용 디스플레이(81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버스정류장은 화물차량에 적재하여 도로 운행을 통해 원하는 장소로 운송하여 별도의 시공없이 바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시 다른 장소로 이동 재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자재를 적재하거나 하역하는 작업을 생략함으로써 시간과 인력을 감축하여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적정 실내온도 유지 및 실내공기 질이 우수한 대기실이 마련되어 실내에서 편안하게 버스 탑승을 대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교통약자인 임산부와 장애인 등의 버스정류장 이용 편의시설 개선효과에 따른 이용률을 크게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버스정류장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정류장의 일부를 절개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버스정류장을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제어장치의 제어흐름을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정류장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경사로 자동이송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 대기표시장치 및 태양광 발전장치의 제어흐름을 나타낸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정류장의 배전반 커버를 나타낸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버스정류장에 대한 발명으로서, 천장, 바닥 및 측벽을 구비하여 내부에 대기실(110)이 형성되는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상부 및 측면에 형성되며, 현재 위치 표시 및 다양한 이미지를 색상으로 표현하게 되는 디스플레이패널(200); 및 상기 본체(100)의 전방 및 후방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출입문(3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공장에서 직접 제작된 버스정류장을 설치장소로 운송하여 현장에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어 시공비용 및 시공기간을 줄일 수 있고, 필요시 다른 장소로 이동 재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천장 및 바닥은 물론 사방이 막혀있는 본체(100)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100)의 전후방에 출입문(300)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기성품화된 구조물로 구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패널(200)은 도로변에 설치되는 단순 시설물에서 탈피하여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설치된 것으로, 버스정류장의 위치 표시는 물론 다양한 이미지를 색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특히 상기 디스플레이패널(200)은 곡선미를 강조하기 위하여 모서리부가 라운딩 처리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버스정류장은 버스정류장 관련 자재를 시공 현장으로 운송한 다음, 각종 구성품의 설치를 위해 자재 가공이 시공 현장에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시공시간이 오래 걸리고, 자재의 운반, 가공에 따른 소음 및 분진이 발생된다. 또한, 한번 시공을 하게 되면 다른 장소로의 이동이 불가하기 때문에 시공된 장소에서만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화물차량에 적재하여 도로 운행을 통해 원하는 장소로 운송하여 별도의 시공없이 바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시 다른 장소로 이동 재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기존에 버스정류장을 시공하기 위해 버스정류장 관련 자재를 차량에 적재하고, 이를 시공 현장으로 운송한 다음 자재를 하역하는 작업을 생략함으로써 시간과 인력을 감축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앞에서 제시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본체(100), 디스플레이패널(200) 및 출입문(300)을 포함한다.
상기 대기실(110)에는 버스 탑승 대기자가 앉을 수 있도록 복수개의 의자(111)가 설치된다.
버스 탑승 대기자는 버스가 도착할 때까지 일정 시간동안 대기실(110)에서 기다려야 한다. 버스 노선에 따라 대기시간이 길거나 혹은 짧을 수 있기 때문에 장시간동안 서서 기다릴 경우 쉽게 지치게 된다. 이에 상기 대기실(110)의 내부에는 버스 탑승 대기자가 편히 앉아서 버스를 기다릴 수 있도록 의자가 설치된다. 상기 의자는 대기실을 이용하는 사람의 출입이 용이하도록 대기실 중앙은 물론 출입문 주변에는 설치를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의자의 상부에는 의자의 좌석 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한 온열패드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대기실(110)에는 대기실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12); 상기 온도센서(112)에 의해 출력된 온도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냉난방기(113);가 설치된다.
버스 탑승 대기자들이 대기실 내에서 쾌적한 환경에서 버스를 기다릴 수 있도록 대기실 실내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온도센서(112)는 버스정류장 대기실 온도를 감지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 정보를 기반으로 대기실의 냉난방기(113) 구동을 결정하게 된다. 상기 냉난방기(113)는 대기실 천장에 설치되는 시스템방식으로 구성된다. 상기 냉난방기 작동에 필요한 전력은 후술하게 될 태양광 발전장치를 통해 공급받을 수 있지만, 작동에 필요한 전력이 부족할 경우를 대비하여 버스정류장 주변에 설치된 전력공급시설을 통해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대기실(110)에는 내부에 헤파필터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대기실 내부공기의 압력을 외부보다 낮게 만들어 주며, 대기실 내부에 유입된 미세입자의 먼지를 제거하여 실내오염을 방지 및 실내공기 중에 존재하는 각종 세균을 제거하는 음압장치(114)가 설치된다.
상기 음압장치(114)는 밀폐된 대기실 내부를 외부보다 음압을 낮게 유지하게 하여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고, 내부 오염공기를 외부로 방출되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고성능 필터인 헤파필터가 내부에 장착되어 대기실의 공기 중에 존재하는 먼지를 제거한 후 청정공기를 외부로 방출시킨다. 상기 음압장치(114)는 대기실의 출입문과 멀리 떨어진 지점에 설치하여 대기실 내부에 공기가 정체하는 사각지대를 최소화시킨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기실(110)의 일측에는 비상상황 발생 시 호출을 위한 비상호출버튼(115)이 설치되고, 상기 비상호출버튼(115)에 의한 신호가 발생되면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보음발생기(116)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대기실(110)의 일측에는 상기 비상호출버튼(115)에서 수신된 비상감지신호를 관할 경찰서 또는 보안업체(117)에 송출하기 위한 비상제어기(118)가 설치된다.
본 발명은 기존 버스정류장과 달리 개방형이 아닌 밀폐형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야간에 범죄 상황이 발생될 가능성도 있다. 이에 대비하여, 상기 대기실(110)의 내부에는 비상호출버튼(115) 및 경보음발생기(116)가 설치되며, 상기 비상호출버튼과 경보음발생기 작동을 제어하는 비상제어기(118)가 설치된다. 따라서, 범죄 사건발생 예상 시 사용자가 비상호출버튼을 누르면 치안을 담당하는 지역 관할 경찰서 또는 보안업체에 비상으로 호출되도록 하여 현장으로 신속하게 출동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경보음을 발생시켜 범죄 상황이 발생되지 않도록 경고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기실(110)의 일측에는 임산부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임산부 휴게실(400)이 구획 형성된다.
최근 버스나 지하철 등의 교통수단에는 임산부의 편의성 향상을 위해 전용 좌석이 마련되어 있다. 하지만, 기존 버스정류장에는 임산부가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시설이 전혀 마련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 발명은 임산부와 같은 교통약자의 버스정류장 이용 편의를 향상시키기 위해 대기실 내부에 임산부 휴게실(400)이 형성된다. 상기 임산부 휴게실(400)은 칸막이 등을 이용하여 소정의 공간을 갖도록 구획 형성되며, 내부에는 임산부가 앉아서 편하게 쉴 수 있는 쿠션의자가 설치된다.
상기 임산부 휴게실(400)에는 영유아의 몸에 착용된 기저귀를 교체할 수 있도록 간이보조기구(410)가 설치된다.
상기 간이보조기구(410)는 상기 임산부 휴게실(400)의 벽면에 고정되며, 일측에 커버(411)가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간이대(412); 상기 간이대(412)의 내부에 설치되며, 유아를 안정적으로 눕힐 수 있는 쿠션시트(413); 상기 쿠션시트 일측에 설치되며,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는 벨트(414); 및 상기 간이대(412)의 일측에 설치되며, 내부에 일회용 패드(416)가 수납되는 패드 수납케이스(415);를 포함한다.
보통 공공장소에서 산모가 영유아의 기저귀를 교체하고자 할 때에는 화장실 또는 임산부 전용휴게실 등을 이용하게 된다. 특히, 버스정류장에서 영유아의 기저귀 교체가 필요한 상황에서 영유아의 울음으로 인해 주위 시선을 의식하게 되어 갑작스럽게 기저귀를 갈아주어야 할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임산부 휴게실(400)의 한쪽 편에 영유아의 기저귀를 교체할 수 있는 간이보조기구(410)가 설치되며, 상기 간이보조기구(410)는 커버(411), 간이대(412), 쿠션시트(413), 벨트(414) 및 수납케이스(415)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411)는 비사용시 먼지 등의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커버하는 것으로, 상기 간이대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커버는 섬유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간이대(412)는 쿠션시트를 지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임산부 휴게실의 벽면에 체결부재 등을 통해 고정되며, 철재로 이루어진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상기 쿠션시트(413)는 쿠션감 있는 소재가 적용되며, 영유아 목욕시 사용되는 등받이와 같은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벨트(414)는 쿠션시트에 영유아를 눕힌 상태에서 영유아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착용되는 것으로, 클립벨트방식이거나 혹은 벨크로타입의 부착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납케이스(415)는 기저귀 교체 시 쿠션시트 외부에 씌워 사용하는 일회용 패드(416)를 수납하기 위한 것으로, 전방이 개폐 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쿠션시트는 장기간동안 여러 명의 영유아가 사용하기 때문에 위생관리가 쉽지 않으므로, 수납케이스에 수납된 일회용 패드를 사용하여 필요시마다 교체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상기 간이보조기구(410)는 버스정류장에서 기저귀를 편리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며, 영유아 수유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본체(100)는 저면 각 모서리부에 높이조절대(121)가 형성되는 바닥패널(120); 상기 바닥패널(120)의 상부 각 모서리부에 설치된 기둥프레임(130)에 결합되어 벽면을 이루는 벽체(140); 및 상기 벽체(140)의 상부에 설치되어 벽체를 커버하는 지붕패널(150);을 포함한다.
기존 버스정류장의 대부분은 사방이 개방된 상태로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햇빛이나 비를 피하는 정도로 사용되고 있으나, 전방이 개방되어 있어 비바람이 몰아칠 경우 전방이 그대로 노출되어 빗물로 유입으로 옷이 젖는 등의 피해가 발생할 수 있고, 겨울철에는 추운 날씨에 그대로 노출될 수 밖에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버스정류장은 천장 및 바닥은 물론 사방이 막혀있는 구조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버스정류장은 사용 전에는 운반이 편리하고, 사용시에는 본체의 높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정적으로 지면에 접촉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바닥패널(120)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부에 다수의 미끄럼방지돌기(122)가 형성된다.
알루미늄 재질의 바닥패널은 내구성이 우수하고 청소를 용이하게 한다. 또한 우수한 열전도율에 의해 열을 균일하게 전달한다. 상기 미끄럼방지돌기는 비나 눈으로 인해 대기실 바닥면이 미끄러워질 경우 사람들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미끄러짐으로 인한 사고를 방지하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패널(120)의 하부에는 장애인의 출입문 이용 시 자동으로 인출되어 휠체어 진입을 보조하는 경사로 자동이송장치(500)가 설치된다.
상기 경사로 자동이송장치(500)는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 설치되어 휠체어 진입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감지부(510); 상기 센서감지부(5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동모터(520); 상기 구동모터(520)의 구동에 의해 작동되는 구동기어(530); 상기 구동기어(530)에 치합된 피동기어(540)와 연동 회전되며, 양측에 스크류(551)가 각각 형성되는 회전축(550); 상기 스크류(551)에 이송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케이스(590) 내부에 설치된 레일(580)을 따라 직선 왕복운동을 하는 이송체(560); 및 상기 이송체(560)의 일측에 설치되어 연동 이송되며, 일측에 바퀴(571)가 구비되는 경사로(57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바닥패널(120)의 전후방 일측에는 개폐커버(600)가 힌지 결합되며, 상기 개폐커버(600)는 경사로(570)의 이송에 따라 개폐된다. 상기 개폐커버(600)는 케이스(590)의 입구를 개폐시킬 뿐만 아니라 경사로(570)가 외부로 인출되는 경우, 바닥패널(120)과 경사로(570) 간에 발생된 틈새를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버스정류장은 하부에 높이조절대(121)가 형성된 바닥패널(120)이 설치되기 때문에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를 갖는다. 따라서 이동하는데 불편함이 없는 일반인들은 별다른 어려움없이 출입문을 이용할 수 있지만,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의 경우에는 대기실 출입이 어려울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출입문 측에 휠체어 진입을 보조하기 위한 경사로 자동이송장치(500)가 설치된다. 상기 경사로 자동이송장치(500)는 장애인의 대기실 출입시 자동으로 인출되고, 평상시에는 버스정류장 주변으로 이동하는 보행자의 안전을 위해 원위치로 복귀한다.
상기 센서감지부(510)는 휠체어 이미지 영상정보를 획득 가능한 이미지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기어(530) 및 피동기어(540)는 헬리컬기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상기 경사로 자동이송장치(500)는 구동모터(520)의 구동에 의해 구동기어(530)가 구동되고, 이에 치합된 피동기어(540)가 회전축(550)과 연동 회전하면 상기 회전축(550)의 양측에 형성된 스크류(551)가 회전되며, 이와 결합된 이송체(560)가 레일(580)을 따라 각각 외측으로 멀어지면서 이송체에 설치된 경사로(570)도 연동 이송되어 외측으로 자동 인출되는 것이다.
상기 본체(100)의 외부에는 초미세 기공을 가진 세락믹볼 입자 속에 진공상태에서 공기를 주입한 후 아크릴계 유기 화합물과 혼합하여 제조된 단열페인트가 도포된다.
단열 효과 및 방수 효과를 내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상기 단열페인트는 러시아에서 제조된 제품인 코런드(korund)를 사용한다. 상기 코런드는 열을 균일하게 분배하고, 결로가 일어날 수 있는 차가운 부분이 생기지 않게 하므로 결로를 방지하는데 탁월하다.
또한, 물이나 공기가 통하지 않도록 도막을 형성하여 일정 두께 이상으로 시공할 경우 물이 고인 공간에서도 방수효과를 유지할 수 있고, 뛰어난 신축성으로 크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전후방 출입문 상측에는 설정된 시간에 맞추어 점멸 작동되는 조명장치(160)가 설치된다.
상기 조명장치(160)는 상기 출입문(300)의 가로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출입문 입구를 커버하며, 하부에 매립홈(161a)이 형성되는 조명본체(161); 상기 조명본체(161)의 하부 일측에 매립되어 빛을 발산하는 LED모듈(162); 상기 LED모듈을 제어프로그램에 따라 일정 시간동안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63); 및 상기 제어부(163)에 일정 주기로 시간 정보를 공급하는 타이머(164);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0)의 전후방 상측에는 출입문 이용 시 안전하게 출입할 수 있도록 빛을 조사하는 조명장치(160)가 설치된다. 특히, 상기 조명본체(161)의 하부에 매립홈(161a)이 형성되어 LED모듈(162)의 일부만 노출되게 함으로써 빗물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매립홈의 내측 둘레에는 기밀용 패킹이 구비되어 기밀을 유지한다.
상기 조명본체(161)는 출입문의 가로 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되며, 이는 빗물이 출입문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타이머는 현재 시간을 측정하고, LED모듈의 잔여 구동시간을 측정하는 역할을 하며, 사전에 상기 LED모듈의 작동 및 정지 시간을 미리 설정하여 버스정류장의 이용 빈도에 따라 조명장치 구동을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본체(100)의 전방 및 후방에는 상기 출입문(300)에 근접 배치되어 공기의 흐름에 따라 유막을 형성하는 에어커튼(170)이 설치된다.
버스정류장의 대기실은 냉난방이 가능하고, 음압장치에 의해 실내공기를 청정상태로 유지한다. 따라서 출입문의 개방이 잦을 경우 외부로부터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어 열손실은 물론 실내공기가 오염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출입문(300)의 개방과 함께 작동되는 에어커튼(170)에 의해 대기실에서 순환되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하며, 외부에서 먼지 등의 오염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벽체(100)에는 광고물이 수용되는 광고판(18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광고판(180)은 필요에 따라 광고물을 교체할 수 있는 착탈식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LED 화면으로 구성된 디스플레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광고판(180)에 게시된 광고로 인한 광고수익금은 전기료로 사용된다.
상기 현재 위치 표시 및 다양한 이미지를 색상으로 표현하게 되는 디스플레이패널(200)를 통해 다음 정류장의 명칭, 현재 정류장의 명칭 및 이전 정류장 명칭을 일괄 표시하거나 순차적으로 표출할 수 있고, 현재 정류장 인근에 위치한 관광지 안내 또는 주변 상가의 광고 등도 표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패널(200)의 일측에는 현재 날짜, 시간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창(210)이 형성된다.
이는 인도를 이용하고 있는 보행자 및 차로를 이용하는 운전자들에게 날짜와 시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출입문(300)의 일측에 설치되며, 휠체어 이미지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이미지센서(610); 상기 디스플레이패널(200)의 외측에 설치되며, 해당 버스정류장에 장애인이 탑승 대기상태임을 표시하는 장애인 대기표시등(620); 및 상기 이미지센서(610)에 의해 전송된 영상정보를 수신하고 분석하여 장애인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장애인 대기표시등(620)의 점멸을 제어하는 제어기(630);를 포함한다.
상기 장애인 대기표시등(620)은 장애인 표시 이미지를 형상화한 조명등으로 형성되며, 조명등 색상은 주간 및 야간에 식별이 잘되는 색상으로 이루어진다.
버스정류장에 진입 중인 버스차량의 운전기사는 버스정류장 부근에 설치된 버스 안내표지판에 탑승 대기자의 모습이 보이지 않으면 버스정류장을 그냥 지나치거나 또는 잠시 정지하였다가 곧바로 출발을 한다. 이런 경우 교통약자인 장애인은 버스정류장에서 탑승 대기하고 있다가 진입 버스에 탑승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이 일반인에 비해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버스를 탑승하지 못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출입문(300)에 접근하는 장애인이 탑승한 휠체어를 이미지센서(610)에서 감지하고, 감지된 영상신호를 제어기(630)에 송출하면 제어기에서 이를 수신 분석하여 장애인 여부를 정확하게 선별한다. 상기 제어기는 장애인으로 확정 판정이 되면 상기 디스플레이패널(200)의 외측에 설치된 장애인 대기표시등(620)을 점등시킨다. 따라서 버스정류장에 진입 중인 버스차량의 운전기사는 원거리에서도 장애인이 탑승 대기중임을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해당 버스정류장에 버스를 정차시킨다.
한편, 상기 대기실(11)의 내부 일측에는 별도의 수동버튼(미도시)이 구비되어 장애인이 직접 수동버튼을 조작하여 장애인 대기표시등(620)을 점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지붕패널(150)의 상부에 설치되며, 다수의 셀로 구성된 솔라셀(710); 상기 솔라셀(710)에서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축전지(720); 및 상기 축전지(720)에 저장된 전기를 직류에서 교류로 전환하여 공급하는 인버터(730);를 포함한다.
즉, 상기 솔라셀을 이용하여 집광한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고, 축전지에 저장하였다가 밤에 축전지에 저장된 전력으로 조명장치를 작동시킨다.
상기 벽체(140)의 사면에는 대기실(110) 내부에서 외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창(141)이 형성된다.
상기 투명창(141)에는 대기실 내부로 햇빛이 들어오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자외선 차단필름이 부착된다.
상기 투명창(141)의 형성으로 출입문을 열지 않고도 외부를 관찰할 수 있으며, 이는 범죄 예방의 목적도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상기 투명창은 벽체의 사면으로 대형의 투명 유리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동일한 목적과 효과를 발휘하는 재질로 치환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출입문(300)은 투명한 유리 및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자동 또는 반자동에 의한 미닫이방식으로 슬라이딩 작동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본체(100)의 내측에 설치되는 배전반 커버(800) 전면에 광고용 디스플레이(810)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광고용 디스플레이(810)를 통해 버스 탑승 대기자들이 이용하는 대기실 공간을 세련되게 꾸밀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탑승 대기 중에 각종 정보를 얻을 수 있고, 각종 정보에 대한 광고효과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100 : 본체 110 : 대기실
111 : 의자 112 : 온도센서
113 : 냉난방기 114 : 음압장치
115 : 비상호출버튼 116 : 경보음발생기
117 : 관할 경찰서/보안업체 118 : 비상제어기
120 : 바닥패널 121 : 높이조절대
122 : 미끄럼방지돌기 130 : 기둥프레임
140 : 벽체 141 : 투명창
150 : 지붕패널 160 : 조명장치
161 : 조명본체 161a : 매입홈
162 : LED모듈 163 : 제어부
164 : 타이머 170 : 에어커튼
180 : 광고판 200 : 디스플레이패널
210 : 디스플레이창 300 : 출입문
400 : 임산부 휴게실 410 : 간이보조기구
411 : 커버 412 : 간이대
413 : 쿠션시트 414 : 벨트
415 : 수납케이스 416 : 일회용 패드
500 : 경사로 자동이송장치 510 : 센서감지부
520 : 구동모터 530 : 구동기어
540 : 피동기어 550 : 회전축
551 : 스크류 560 : 이송체
570 : 경사로 571 : 바퀴
580 : 레일 590 : 케이스
600 : 개폐커버 610 : 이미지센서
620 : 장애인 대기표시등 630 : 제어기
710 : 솔라셀 720 : 축전지
730 : 인버터 800 : 배전반 커버
810 : 광고용 디스플레이

Claims (7)

  1. 천장, 바닥 및 측벽을 구비하여 내부에 대기실(110)이 형성되는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상부 및 측면에 형성되며, 현재 위치 표시 및 다양한 이미지를 색상으로 표현하게 되는 디스플레이패널(200); 및
    상기 본체(100)의 전방 및 후방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출입문(300);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100)는 저면 각 모서리부에 높이조절대(121)가 형성되는 바닥패널(120);
    상기 바닥패널(120)의 상부 각 모서리부에 설치된 기둥프레임(130)에 결합되어 벽면을 이루는 벽체(140); 및
    상기 벽체(140)의 상부에 설치되어 벽체를 커버하는 지붕패널(150);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패널(120)의 하부에는 장애인의 출입문 이용 시 자동으로 인출되어 휠체어 진입을 보조하는 경사로 자동이송장치(500)가 설치되며,
    상기 경사로 자동이송장치(500)는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 설치되어 휠체어 진입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감지부(510);
    상기 센서감지부(5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동모터(520);
    상기 구동모터(520)의 구동에 의해 작동되는 구동기어(530);
    상기 구동기어(530)에 치합된 피동기어(540)와 연동 회전되며, 양측에 스크류(551)가 각각 형성되는 회전축(550);
    상기 스크류(551)에 이송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케이스(590) 내부에 설치된 레일(580)을 따라 직선 왕복운동을 하는 이송체(560); 및
    상기 이송체(560)의 일측에 설치되어 연동 이송되며, 일측에 바퀴(571)가 구비되는 경사로(570);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패널(120)의 전후방 일측에는 개폐커버(600)가 힌지 결합되고,
    상기 센서감지부(510)는 휠체어 이미지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이미지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정류장.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전후방 상측에는 설정된 시간에 맞추어 점멸 작동되는 조명장치(160)가 설치되며,
    상기 조명장치(160)는 상기 출입문(300)의 가로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출입문 입구를 커버하며, 하부에 매립홈(161a)이 형성되는 조명본체(161);
    상기 조명본체(161)의 하부 일측에 매립되어 빛을 발산하는 LED모듈(162);
    상기 LED모듈을 제어프로그램에 따라 일정 시간동안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63); 및
    상기 제어부(163)에 일정 주기로 시간 정보를 공급하는 타이머(16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정류장.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300)의 일측에 설치되며, 휠체어 이미지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이미지센서(610);
    상기 디스플레이패널(200)의 외측에 설치되며, 해당 버스정류장에 장애인이 탑승 대기상태임을 표시하는 장애인 대기표시등(620); 및
    상기 이미지센서(610)에 의해 전송된 영상정보를 수신하고 분석하여 장애인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장애인 대기표시등(620)의 점멸을 제어하는 제어기(6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정류장.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붕패널(150)의 상부에 설치되며, 다수의 셀로 구성된 솔라셀(710);
    상기 솔라셀(710)에서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축전지(720); 및
    상기 축전지(720)에 저장된 전기를 직류에서 교류로 전환하여 공급하는 인버터(7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정류장.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내측에 설치되는 배전반 커버(800) 전면에 광고용 디스플레이(81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정류장.
KR1020180152625A 2018-11-30 2018-11-30 버스정류장 KR1019925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2625A KR101992578B1 (ko) 2018-11-30 2018-11-30 버스정류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2625A KR101992578B1 (ko) 2018-11-30 2018-11-30 버스정류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2578B1 true KR101992578B1 (ko) 2019-06-25

Family

ID=67065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2625A KR101992578B1 (ko) 2018-11-30 2018-11-30 버스정류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2578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80443A (zh) * 2020-07-30 2020-11-24 江苏彩虹智能公共设施有限公司 一种腿脚不便人士用智能候车亭
CN112160620A (zh) * 2020-07-30 2021-01-01 江苏彩虹智能公共设施有限公司 一种适宜孕妇使用的安全公交站台
CN113062631A (zh) * 2021-02-23 2021-07-02 南京晓庄学院 生态环保型可移动第三卫生间
KR200494227Y1 (ko) 2020-12-28 2021-08-31 주식회사 리더스산업 바닥기초 안정성이 개선된 버스 정류장
CN113404339A (zh) * 2021-07-12 2021-09-17 重庆城市综合交通枢纽(集团)有限公司 一种无人公交高铁枢纽Mass型站台控制算法及装置
KR20220117044A (ko) * 2021-02-16 2022-08-23 주식회사 티움코리아 스마트 독립 오피스 시스템
CN117605331A (zh) * 2023-11-17 2024-02-27 苏州天禄光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导光板用的洁净棚
CN117605331B (zh) * 2023-11-17 2024-06-07 苏州天禄光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导光板用的洁净棚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5968Y1 (ko) * 2004-11-09 2005-03-11 (주)한국Brt 승강장 높이조절장치
KR100618926B1 (ko) 2005-10-28 2006-09-05 주식회사 길평 확장 가능하고 수납기능을 가지며 차량도착 감지기능을가진 버스 정류장
KR100905248B1 (ko) * 2009-04-02 2009-06-29 (주) 부성 리싸이클링 시각장애인용 대중교통 정보 감지 시스템
KR20110087666A (ko) * 2010-01-27 2011-08-03 정광선 지능형 버스 스테이션
KR101147805B1 (ko) 2010-04-08 2012-05-18 (주)퓨쳐 라이팅 태양광 버스 정류장
KR101288332B1 (ko) * 2013-02-19 2013-07-22 허재철 멀티부스
JP2014205575A (ja) * 2013-04-16 2014-10-30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車椅子専用エレベータ
KR101875330B1 (ko) * 2017-06-19 2018-07-05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경사로 변환 계단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5968Y1 (ko) * 2004-11-09 2005-03-11 (주)한국Brt 승강장 높이조절장치
KR100618926B1 (ko) 2005-10-28 2006-09-05 주식회사 길평 확장 가능하고 수납기능을 가지며 차량도착 감지기능을가진 버스 정류장
KR100905248B1 (ko) * 2009-04-02 2009-06-29 (주) 부성 리싸이클링 시각장애인용 대중교통 정보 감지 시스템
KR20110087666A (ko) * 2010-01-27 2011-08-03 정광선 지능형 버스 스테이션
KR101147805B1 (ko) 2010-04-08 2012-05-18 (주)퓨쳐 라이팅 태양광 버스 정류장
KR101288332B1 (ko) * 2013-02-19 2013-07-22 허재철 멀티부스
JP2014205575A (ja) * 2013-04-16 2014-10-30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車椅子専用エレベータ
KR101875330B1 (ko) * 2017-06-19 2018-07-05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경사로 변환 계단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80443A (zh) * 2020-07-30 2020-11-24 江苏彩虹智能公共设施有限公司 一种腿脚不便人士用智能候车亭
CN112160620A (zh) * 2020-07-30 2021-01-01 江苏彩虹智能公共设施有限公司 一种适宜孕妇使用的安全公交站台
KR200494227Y1 (ko) 2020-12-28 2021-08-31 주식회사 리더스산업 바닥기초 안정성이 개선된 버스 정류장
KR20220117044A (ko) * 2021-02-16 2022-08-23 주식회사 티움코리아 스마트 독립 오피스 시스템
KR102550116B1 (ko) * 2021-02-16 2023-07-03 주식회사 티움코리아 스마트 독립 오피스 시스템
CN113062631A (zh) * 2021-02-23 2021-07-02 南京晓庄学院 生态环保型可移动第三卫生间
CN113404339A (zh) * 2021-07-12 2021-09-17 重庆城市综合交通枢纽(集团)有限公司 一种无人公交高铁枢纽Mass型站台控制算法及装置
CN117605331A (zh) * 2023-11-17 2024-02-27 苏州天禄光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导光板用的洁净棚
CN117605331B (zh) * 2023-11-17 2024-06-07 苏州天禄光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导光板用的洁净棚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2578B1 (ko) 버스정류장
WO2017104937A1 (ko) 다기능 횡단 보도용 쉘터
US20100186162A1 (en) Public Restroom
WO2020085683A1 (ko) 안전 쉼터
KR20190056557A (ko) 편의성을 증대시킨 버스승강장
KR101057988B1 (ko) 다기능 버스정류장 쉘터
CN109339489B (zh) 一种提供清凉并且能辅助乘坐轮椅的残疾人登上公交车的方法及实现该方法的车亭
CN107100387A (zh) 一种公园用应急避雨亭
US11682301B2 (en) Automatic control system of smart bus platform considering the number of users and staying time
KR102443723B1 (ko) 이용자 수와 체류시간을 고려한 스마트 버스 승강장의 자동제어 시스템
JP2013151274A (ja) 身体障害者の野外活動支援装置
KR20150021429A (ko) 대기인원 정보를 표시하는 버스정류장 의자
CN205243083U (zh) 公交调度亭
CN210563558U (zh) 一种多功能公交站候车亭
KR100968209B1 (ko) 도로 차량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
CN114319947A (zh) 基于风光互补技术自供电的温控式全封闭公交候车亭
CN215055766U (zh) 一种无障碍公交站台
US20190174927A1 (en) Heated sitting surface
CN209534708U (zh) 一种新能源双层客车全景天窗观光结构
KR102387383B1 (ko) 스마트 버스 승강장
KR102411254B1 (ko) 스마트 버스 승강장
RU112237U1 (ru) Павильон ожидания, посадки и высадки общественного транспорта
RU157518U1 (ru) Конструкция кабины вагоновожатого
CN206752896U (zh) 一种铝制无障碍扶手
CN213683378U (zh) 一种共享式私人休息空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