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8332B1 - 멀티부스 - Google Patents

멀티부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8332B1
KR101288332B1 KR1020130017728A KR20130017728A KR101288332B1 KR 101288332 B1 KR101288332 B1 KR 101288332B1 KR 1020130017728 A KR1020130017728 A KR 1020130017728A KR 20130017728 A KR20130017728 A KR 20130017728A KR 101288332 B1 KR101288332 B1 KR 1012883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lined plate
booth
space
casing
bound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7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재철
박상완
Original Assignee
허재철
주식회사 일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재철, 주식회사 일민 filed Critical 허재철
Priority to KR1020130017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83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8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83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02R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10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air supply, or exhaust, through perforated wall, floor or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부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각 출입구가 형성되는 제 1공간부 및 제 2공간부를 구비하는 부스;와 상기 제 1공간부 및 제 2공간부를 차단하는 경계부; 및 상기 출입구 하부에 구성되는 경사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각 공간 간의 소음을 차단함과 동시에 하나의 냉난방기를 통한 냉난방이 각 공간부에 모두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에너지를 절감시키는 멀티부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멀티부스{multi booth}
본 발명은 멀티부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금융자동화기기, 지자체 민원발급기, 키오스크 등의 무인자동화기기와 공중전화기가 한 부스에 내재 되도록 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각 공간이 차단되도록 하여 소음이 전달되지 않는 멀티부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CD, ATM 등의 금융자동화기기(현금자동지급기), 지자체 민원 발급기, 키오스크(공공장소에 설치된 터치스크린 방식의 정보전달 시스템) 및 공중전화기(통화부스)는 무인자동기기로서, 무인으로 운용이 가능하여 사람의 왕래가 많은 곳이나 공공장소에 거의 대부분이 설치되며, 설치시에는 부스에 내재 되거나 또는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되곤 한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상기 각종 무인자동기기들은 무인자동기기별로 각각이 별도의 위치에 배치되므로 이용자들로 하여금 다양한 무인자동기기들을 이용하려면 기기별로 찾아다녀야 하며 심지어 필요한 기기의 위치를 찾기 어려운 불편함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므로, 금융자동화기기(현금자동지급기), 지자체 민원 발급기, 키오스크(공공장소에 설치된 터치스크린 방식의 정보전달 시스템) 및 공중전화기(통화부스) 등 다양한 종류의 무인자동기기가 발달 된 현대시대에서는 각각의 무인자동기기를 통합적으로 구비하는 멀티부스의 필요성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한편 하나의 부스 내에 각종 무인자동기기가 구성되는데 있어서, 특히 공중전화기의 사용자는 통화 소음이 발생하게 되므로 공중전화기가 배치되는 공간과 타 무인자동기기가 배치되는 공간 사이에는 소음차단 칸막이가 구성되어야 하나, 그럴 경우에 하나의 냉난방기로는 상기 칸막이에 의해 모든 공간에 냉난방을 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부스의 하부에는 장애인의 출입을 돕기 위한 경사면이 설치되기도 하는데, 이때 경사면은 별도로 제작하여야 하며 용접 등의 설치작업을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하나의 부스 내에 다양한 무인자동기기를 통합적으로 배치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무인자동기기를 개별적으로 찾아다녀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으며, 또한 부스 내부에 구성되는 경계부에 방음통풍장치를 마련함으로써 각 공간 간의 소음을 차단함과 동시에 하나의 냉난방기를 통한 냉 난방이 각 공간부에 모두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에너지를 절감시키고, 출입구의 장애인용 경사판의 설치작업이 간편한 멀티부스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부스는 각각 출입구가 형성되는 제 1공간부 및 제 2공간부를 구비하는 부스;와 상기 제 1공간부 및 제 2공간부를 차단하는 경계부; 및 상기 출입구 하부에 구성되는 경사판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제 1공간부 또는 제 2공간부 중 어느 한 공간부에 냉난방기가 배치되는 것이 특징이다.
아울러 상기 경계부에는 하나 이상의 방음통풍장치가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한편 상기 방음통풍장치는 외주연이 상기 경계부의 단부에 고정되며 서로 마주보는 호 형상으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한 쌍의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에 내재되며 구동수단과 연동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복수의 회전날개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회전날개는 상기 회전축에 등간격으로 결합되되, 상기 회전날개 간 각도는 상기 케이싱의 중심으로부터 일단과 타단 간 각도보다 작거나 또는 같게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경사판은 전방이 개구된 경사판수용부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며 사용 시 전방으로 슬라이딩시켜 상기 경사판수용부에 형성된 정지돌기가 상기 경사판에 형성된 정지홈에 끼워지면서 고정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티부스는 하나의 부스 내에 다양한 무인자동기기를 통합적으로 배치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무인자동기기를 개별적으로 찾아다녀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으며, 부스 내부의 제 1공간부 및 제 2공간부 사이에 방음통풍장치를 포함하는 경계부을 구성함으로써, 각 공간 간의 소음을 차단함과 동시에 하나의 냉난방기를 통한 냉난방이 각 공간부에 모두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에너지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멀티부스 하부에 구성되는 경사판이 슬라이딩 되어 멀티부스 하부에 내재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멀티부스의 운반이나 보관시 공간의 효율성을 높여주며 또한 멀티부스의 설치시에는 경사판의 설치작업이 간편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멀티부스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멀티부스의 정면도
도 3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경계부의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경계부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경계부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경사판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부스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부스(1)는 은행자동화기기(ATM), 지자체 민원발급기, 및 키오스크 등의 각종 무인자동기기(10)와 공중전화기(20)를 내재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는데 있어서, 상기 무인자동기기(10)와 공중전화기(20) 사이에는 경계부(100)를 구성하여 무인자동기기(10)를 이용하는 이용자와 공중전화기(20)를 사용하는 이용자 간의 소음을 차단함과 동시에 차단된 각 공간에 상호 간에 통풍이 되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냉, 난방기의 구성으로 각 공간의 냉, 난방 효과를 제공하게 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냉난방기(30)라 함은 냉방기와 난방기를 통칭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냉방기는 에어컨 등의 실내 온도를 낮춰 차게하는 장치를 의미하고, 난방기는 온풍기 등의 실내 온도를 높여 따뜻하게 하는 장치를 의미하는 것이며, 또한 본 명세서에서 냉난방기(30)가 배치된다는 것은 냉방기 또는 난방기 중 하나 이상이 배치되거나 냉방기 및 난방기가 일체로 구성된 장치가 배치되는 것 모두가 포함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공중전화기(20)가 배치되는 공간은 휴대폰 통화부스(1)로 대체될 수 있음은 자명한 바이며, 통상적으로 휴대폰 통화부스(1)란 휴대폰 사용자가 업무적 또는 일상의 중요한 휴대전화 통화를 외부의 소음 및 환경에 영향받지 않고 통화할 수 있는 밀폐된 장소이며 아울러 휴대폰 통화부스에는 휴대폰 용 충전케이블 또는 무선공유기 등이 마련 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멀티부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멀티부스의 정면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와 차단되는 공간부를 구비하는 부스(1)가 마련되고 상기 공간부를 제 1공간부(2) 및 제 2공간부(3)로 구분하는 경계부(100)를 구성하여 제 1공간부(2)와 제 2공간부(3)는 상호간에 차단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 1공간부(2)에 은행자동화기기 및 민원발급기가 구비되고 제 2공간부(3)에는 공중전화기(20)가 구비되는 예를 제시한 것이다.
또한 각 공간부(2,3)에는 사용자가 각 공간부(2,3)로 출입가능하도록 하는 출입구가 형성되는데 출입구(40,50)는 자동문, 미닫이문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일례로 제 1공간부의 제 1출입구(40)는 자동문으로 구성하고 제 2공간부의 제 2출입구(50)는 개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출입구(40,50)의 하부에는 지면에서부터 출입구까지는 단일 면인 경사판(200)이 더 구성되는바, 상기 경사판(200)에 기해 장애인의 출입이 가능할 수 있으며 상기 경사판(200)의 구조는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 1공간부(2) 또는 제 2공간부(3)의 어느 한 공간부에 냉난방기(30)가 배치될 수 있는데, 본 실시 예에서는 냉난방기(30)가 제 1공간부(2)에 배치되는 예를 제시하는 바, 본 발명에서는 냉난방기(30)가 제 2공간부(3)에 배치될 수도 있음은 당연한 바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경계부(100)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경계부(10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음통풍장치(101)가 구성되게 되는데, 구체적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음통풍장치(101)는 경계부(100)에 고정되는 한 쌍의 호 형상 케이싱(110)이 중심에 원형의 공간부를 형성하기 위해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케이싱(110)에는 회전날개(120)가 내재되는 것으로서, 회전날개(120)는 복수로 구성되며 중심에는 회전축(125)이 구성된다.
또한 회전축(125)은 구동수단(140)에 연동하도록 결합되는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회전축(125)의 일단에 구동수단(140)이 결합 되거나 또는,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하나의 구동수단(140)에 다수의 회전축(125)이 연동 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당현한 바이다. 이때 구동수단(140)으로는 모터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구동수단(140)은 회전축(125)의 상부에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회전축(125)의 하부에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4a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날개(120)는 회전축(125)을 중심으로 복수 개가 구성됨에 있어서, 회전날개(120) 간 각도와 케이싱(110) 양단인 A와B의 호 중심으로부터의 각도는 상관관계를 갖게 되는데, 바람직하게는 회전날개(120) 간 각도는 상기 케이싱(110)의 호 중심으로부터 케이싱(110) 양단 A와B의 각도보다 작거나 같게 구성하게 된다. 일례로서, 도 3a에서와 같이 회전날개(120)가 4개로 구성될 경우 회전날개(120) 간 각도 θ는 90˚가 되고 상기 케이싱(110)의 호 중심으로부터 케이싱(110) 양단인 A와B 간의 각도는 90˚보다 크거나 같도록 구성되는 것을 보여주며, 또한 도 3b에서와 같이 회전날개(120)가 3개로 구성될 경우 회전날개(120) 간 각도 θ는 120˚가 되고 상기 케이싱(110)의 호 중심으로부터 케이싱(110) 양단인 A와B 각 각도는 120˚보다 크거나 같게 구성하면 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회전날개(120)의 개수가 5개 이상일 경우에도 회전날개(120)간 각도에 대응하도록 케이싱(110)의 양단 A와B의 간격을 조정하여 구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를 통하여 회전날개(120)가 케이싱(110) 내부에서 회전하는데 있어서 케이싱(110)의 내주연과 각 회전날개(120)의 끝 단부가 맞닿게 됨에 의해 제 1공간부(2)와 제 2공간부(3)는 차단되는 구조가 되므로 각 공간부 간에 소음은 항상 차단이 유지될 수 있으며, 회전날개(120)가 회전함에 따라 공기는 타 공간으로 전달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방음통풍장치(101)는 상술한 바와 같은 회전날개(120)간 각도와 케이싱(110)의 호 중심으로부터 케이싱(110) 양단인 A와B의 간격에 의해 가능한 것이므로 상기 회전날개(120)의 각 끝단은 상기 케이싱(110)의 내주연에 최대한 밀착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경계부(100)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복수의 상기 회전날개(120)의 각 끝단에는 고무 등으로 제조된 패킹부(127)를 구성함으로써 케이싱(110)의 내주연과 회전날개(120)의 끝단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며, 소음차단의 효과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호 형상인 상기 케이싱(110)과 같은 원의 궤적에 추가로 배치되는 보조케이싱(112)이 더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보조케이싱(112)은 방음통풍장치(101)가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공간에 배치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옷자락 또는 손가락 등이 끼이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으로 적용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경사판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경사판(200)은 제 1공간부(2)와 제 2공간부(3)에 각각 형성되는 출입구(40,50)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경사판(200)에는 제 1경사면(201)과 제 2경사면(202)이 형성되는데, 제 1경사면(201)은 지면과 부스를 일면으로 연결하는 수단이고 제 2경사면(202)은 제 1경사면(201)과 이웃하는 면으로, 경사판(200)의 전방 끝단부가 지면에 닿은 상태로 경사판(200)를 부스에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제 2경사면(202)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본 명세서 전체에서 전방이라 함은 부스(1)의 내측에서 출입구를 향하는 방향을 전방이라 정의한다.
또한 상기 부스(1) 하부에는 출입구의 범위가 포함되는 하부에 전방이 개구된 경사판수용부(210)가 형성되는데, 상기 경사판수용부(210)의 내부공간에 상기 경사판(200)이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경사판(200)이 설치될 때에는 경사판(200)을 슬라이딩시켜 전방으로 돌출시키고 경사판(200)의 전방 끝단부가 지면에 접하는 시점에 상기 경사판수용부(210)의 내부하면(212)에 형성된 정지돌기(230)가 상기 경사판(200)의 저면에 형성된 정지홈(240)에 맞물린 상태로 고정되며, 반대로 경사판(200)을 경사판수용부(210)에 내재시킬 때에는 경사판(200)이 완전히 내재된 상태에서 상기 정지돌기(230)가 경사판(200)의 전방 끝단을 고정하여 외부로 슬라이딩 되지 않도록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정지돌기(230)는 경사판수용부(210)의 내부하면(212)의 전방 끝 단부에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정지돌기(230)는 경사판수용부(210)의 내부하면(212)에는 스프링 등의 탄성체(232)를 내재하는 돌기수용부(234)에 삽입되되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내측 끝단에 돌기(도면부호 미도시)가 구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경사판(200)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될 때에 경사판(200)의 하중에 눌린 정지돌기(230)가 돌기수용부(234)에 삽입되어 경사판(200)의 원활한 슬라이딩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정지돌기(230)의 돌기경사면(231)과 정지홈(240)의 홈경사면(241)은 서로 대응되는 동일한 방향을 향하여 구배가 형성된 경사면이 구성되므로, 경사판(200)이 경사판수용부(210)의 전방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경사판수용부(210) 내부로 쉽게 밀릴 수 있게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여 경사판(200)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6a에서는 부스(1)를 보관하거나 이동중일 경우에 적용되는 것으로 경사판(200)이 경사판수용부(210)에 완전히 수용된 것을 나타낸 것으로 수용된 상태에서는 경사판(200)의 전방 끝단이 정지돌기(230)에 의해 고정된 것을 보여준다.
또한 경사판(200)에 형성된 제 2경사면(202)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보다 하측으로 구배가 형성되게 된다.
도 6b는 부스(1)가 설치된 상태에서 경사판(200)이 슬라이딩되는 단계를 나타낸 것으로, 도 6a의 상태에서 정지돌기(230)를 하방향으로 누른 후 경사판(200)을 외측(전방)으로 슬라이딩시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도 6c는 경사판(200)을 전방으로 완전히 돌출되어 설치가 완료된 것을 나타낸 것으로, 정지돌기(230)와 정지홈(240)이 배치되는 바람직한 위치는 경사판(200)이 전방으로 슬라이딩 되는 과정에서 경사판(200)의 전방 끝단부가 지면에 닿는 순간에 정지돌기(230)와 정지홈(240)이 맞물리도록 배치됨이 타당하며, 이때 수평보다 하측 구배의 경사각을 갖는 상기 제 2경사면(202)이 경사판수용부(210)의 내부상면(214)에 수평상태로 고정되게 된다.
아울러 경사판(200)을 다시 경사판수용부(210)에 수용시킬 경우에는 경사판(200)을 경사판수용부(210) 방향으로 밀게되면 상기 정지돌기(230) 및 정지홈(240)에 각각 구성된 돌기경사면(231)과 홈경사면(241)의 구조에 기해 경사판수용부(210)의 내측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경사판(200)은 부스(1)의 이동 및 보관시에 상기 경사판수용부(210)에 수용되도록 하여 공간의 효율성을 제공하게 되며 또한 부스(1)의 설치 및 사용 시에는 상기 경사판(200)을 부스(1)의 전방으로 슬라이딩시킴으로서 경사판(200) 설치가 간편히 이뤄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상기 경사판(200)의 전방 끝단에 손잡이를 더 구성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부스(1)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방음통풍장치(101)가 경계부(100)에 구성됨과 아울러 부스(1) 일 측벽(부스 내부와 외부의 경계)에 다수 개가 적용된 것을 나타낸 것으로, 외부와 연통되는 방음통풍장치(101)가 작동함에 따라 부스(1)의 환기가 가능할 수 있으며, 또한 공중전화기(20)용 부스(1)의 추가되는 경우 그에 대응하도록 경계부(100)가 추가로 적용될 수 있는 예를 나타낸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 : 부스 2 : 제 1공간부
3 : 제 2공간부 10 : 무인자동기기
20 : 공중전화기 30 : 냉난방기
100 : 경계부 101 : 방음통풍장치
110 : 케이싱 120 : 회전날개
125 : 회전축 140 : 구동수단
200 : 경사판 230 : 정지돌기
240 : 정지홈

Claims (6)

  1. 각각 출입구가 형성되는 제 1공간부 및 제 2공간부를 구비하는 부스;
    상기 제 1공간부 및 제 2공간부를 차단하며 하나 이상의 방음통풍장치가 구성되는 경계부; 및
    상기 출입구 하부에 구성되는 경사판을 포함하되,
    상기 방음통풍장치는,
    외주연이 상기 경계부의 단부에 고정되며 서로 마주보는 호 형상으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한 쌍의 케이싱;
    상기 케이싱에 내재되며 구동수단과 연동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복수의 회전날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부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날개는 상기 회전축에 등간격으로 결합되되,
    상기 회전날개 간 각도는 호 형상인 상기 케이싱의 중심으로부터 일단과 타단 간 각도보다 작거나 또는 같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부스.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판은 전방이 개구된 경사판수용부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며 사용 시 전방으로 슬라이딩시켜 상기 경사판수용부에 형성된 정지돌기가 상기 경사판에 형성된 정지홈에 끼워지면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부스.


KR1020130017728A 2013-02-19 2013-02-19 멀티부스 KR1012883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7728A KR101288332B1 (ko) 2013-02-19 2013-02-19 멀티부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7728A KR101288332B1 (ko) 2013-02-19 2013-02-19 멀티부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8332B1 true KR101288332B1 (ko) 2013-07-22

Family

ID=48997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7728A KR101288332B1 (ko) 2013-02-19 2013-02-19 멀티부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833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7380B1 (ko) * 2014-09-26 2015-06-09 (주)코리프냉동공조 옥외용 흡연부스
KR101527381B1 (ko) * 2014-09-26 2015-06-16 (주)코리프냉동공조 옥내용 흡연부스
KR101535149B1 (ko) * 2013-09-02 2015-07-07 김형숙 안전지대를 구비한 공중전화 부스
KR101573717B1 (ko) * 2014-04-24 2015-12-02 세일정밀 공업 주식회사 장애인 출입 가이드 발판을 구비한 도어 회동 개폐식 부스
KR101573716B1 (ko) * 2014-04-24 2015-12-02 세일정밀 공업 주식회사 장애인 출입용 가이드 발판을 구비한 부스
KR101992578B1 (ko) * 2018-11-30 2019-06-25 홍석구 버스정류장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7233A (ja) * 1994-01-31 1995-08-15 Masayuki Nakaya 公衆トイレ
KR200446716Y1 (ko) 2007-12-17 2009-11-24 주식회사 이피아 환기장치용 통풍연결구조
KR20100132219A (ko) * 2009-06-09 2010-12-17 유동환 다기능 부쓰
KR101179369B1 (ko) 2012-03-16 2012-09-03 주식회사 우리은행 옥외형 금융자동화기기 부스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7233A (ja) * 1994-01-31 1995-08-15 Masayuki Nakaya 公衆トイレ
KR200446716Y1 (ko) 2007-12-17 2009-11-24 주식회사 이피아 환기장치용 통풍연결구조
KR20100132219A (ko) * 2009-06-09 2010-12-17 유동환 다기능 부쓰
KR101179369B1 (ko) 2012-03-16 2012-09-03 주식회사 우리은행 옥외형 금융자동화기기 부스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5149B1 (ko) * 2013-09-02 2015-07-07 김형숙 안전지대를 구비한 공중전화 부스
KR101573717B1 (ko) * 2014-04-24 2015-12-02 세일정밀 공업 주식회사 장애인 출입 가이드 발판을 구비한 도어 회동 개폐식 부스
KR101573716B1 (ko) * 2014-04-24 2015-12-02 세일정밀 공업 주식회사 장애인 출입용 가이드 발판을 구비한 부스
KR101527380B1 (ko) * 2014-09-26 2015-06-09 (주)코리프냉동공조 옥외용 흡연부스
KR101527381B1 (ko) * 2014-09-26 2015-06-16 (주)코리프냉동공조 옥내용 흡연부스
KR101992578B1 (ko) * 2018-11-30 2019-06-25 홍석구 버스정류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8332B1 (ko) 멀티부스
US11022131B2 (en) Dual operation centrifugal fan apparatus and methods of using same
TWI240607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bined air and liquid cooling of stacked electronics components
US10047972B2 (en) Indoor device for cassette type air conditioner
US10012398B2 (en) Compact air conditioning and fan system
US11085653B2 (en) Air conditioner and an air conditioner housing
CN106091106B (zh) 顶棚埋入型空气调节器
CN102713786A (zh) 多排气口装置中的自动开闭器
KR102661384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US20140092555A1 (en) Heat-dissipating for electronic device
WO2006022129A1 (ja) 床置き型空気調和機
JP2014032982A (ja) 発熱体収納装置
US9526131B2 (en) Microwave oven having hood
KR20240063075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EP2792886A2 (en) Turbofan
US8607822B2 (en) Heating and air conditioning system
CN210345888U (zh) 暖被机
KR20080062889A (ko) 공기 조화기
EP3604944B1 (en) Ventilation device
CN207589345U (zh) 防尘机构及具有防尘机构的电子装置
CN104769365A (zh) 冷却装置以及搭载有该冷却装置的发热体收纳装置
CN107726706B (zh) 控风装置和制冷设备
CN210399437U (zh) 导风板及具有其的空调器
KR102186760B1 (ko) 환기 기능을 가지는 공기조화기
CN106940910B (zh) 一种一体化二次设备舱的辅助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