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3717B1 - 장애인 출입 가이드 발판을 구비한 도어 회동 개폐식 부스 - Google Patents

장애인 출입 가이드 발판을 구비한 도어 회동 개폐식 부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3717B1
KR101573717B1 KR1020140049255A KR20140049255A KR101573717B1 KR 101573717 B1 KR101573717 B1 KR 101573717B1 KR 1020140049255 A KR1020140049255 A KR 1020140049255A KR 20140049255 A KR20140049255 A KR 20140049255A KR 101573717 B1 KR101573717 B1 KR 101573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th
guide
door
piece
doo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9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2993A (ko
Inventor
백보현
Original Assignee
세일정밀 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일정밀 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일정밀 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49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3717B1/ko
Publication of KR20150122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2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3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3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7/00Temporary arrangements for giving access from one level to another for men or vehicles, e.g. steps, ramp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6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애인 출입 가이드 발판을 구비한 도어 회동 개폐식 부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장애인 출입 가이드 발판을 구비한 도어 회동 개폐식 부스의 구성은 내부에 진입 공간부를 구비히고 상기 진입 공간부의 하부에는 바텀 패널부(14)를 구비한 부스(10); 상기 부스(10)의 전면에 구비되며 상기 부스(10)의 상기 진입 공간부와 연통되는 도어 프레임(20); 상기 도어 프레임(20)에 일측이 힌지부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부스(10)의 상기 진입 공간부와 연결된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28); 상기 바텀 패널부(14)의 후단부 방향으로 상향 경사도록 연장된 경사 가이드편(32)이 구비되어 상기 바텀 패널부(14)의 전단부 위치에 배치되는 가이드 발판(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장애인 출입 가이드 발판을 구비한 도어 회동 개폐식 부스{Door rotation type booth with for the disabled helping foothold}
본 발명은 장애인 출입 가이드 발판을 구비한 도어 회동 개폐식 부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이 부스 출입시에 충격력이 많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행인들이 가이드 발판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현된 새로운 장애인 출입 가이드 발판을 구비한 도어 회동 개폐식 부스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회동 개폐식 도어를 지지하는 도어 프레임을 부스에 장착하고, 도어 프레임에 장애인 휠체어 출입을 순조롭게 안내하는 가이드 발판을 구비하여 구조적으로 최대한 심플하게 구현한 새로운 장애인 편의성 향상 도어 회동 개폐식 부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금 지급기는 길거리에 설치되어 필요시 언제든지 현금을 찾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현금 지급기를 그냥 길거리에 설치하는 경우도 있지만 도난 방지 강화, 현금 지급기 보호 등의 목적으로 부스 내에 현금 지급기를 설치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공중 전화기는 최근 휴대 전화의 보급으로 인하여 상대적으로 그 이용률이 떨어지기는 했지만 그래도 공중 전화기를 이용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길거리에 공중 전화 부스는 설치하고 있다. 공중 전화기도 보호를 위하여 부스 내에 설치하게 된다.
한편, 최근에는 공중 전화 부스와 현금 지급기 부스가 함께 설치된 복합형 부스가 거리에 많이 설치되고 있다. 현금 지급기 부스에서 현금을 찾고 필요시 전화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공중 전화 부스는 도어가 없이 그냥 출입할 수 있도록 하고 현금 지급기 부스는 옆으로 열리고 닫히는 슬라이드식 도어를 설치하여 도어를 옆으로 열어서 출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복합형 부스에는 일반인이 출입하는 경우도 있지만 장애인도 출입하는 경우가 많다. 이때, 다리가 불편한 장애인은 야외 활동시 휠체어에 앉아서 이동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상기 부스의 바닥면과 지면(즉, 상기 복합형 부스 내부의 바닥면과 복합형 부스가 고정 설치되는 거리의 지면) 사이에 비교적 높은 턱이 있어서,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이 상기 공중 전화 부스나 현금 지급기 부스에 출입하고자 할 경우 휠체어의 진출입을 쉽게 하는 가이드 발판이 없을 경우 상기 부스와 지면 사이의 높은 턱에 걸리게 되므로, 휠체어 이용 장애인의 부스 내로 진입하기 어렵게 되며 부스에서 나올 때에도 상기 높은 턱으로 인하여 부스 내의 바닥면에서 지면으로 내려올 때에 휠체어와 장애인에게 충격이 전달되므로 아주 불편하다. 한편, 상기 부스의 바닥면과 지면 사이에 경사진 형태의 가이드 발판을 설치한 경우에도 이러한 가이드 발판이 부스에서 너무 많이 튀어나오도록 설치되어 있어서 지나가는 행인이 가이드 발판에 발이 걸리게 되는 경우가 많이 생기게 되고, 발판이 차지하는 만큼 보행자의 통로가 좁아지게 되므로 보행자 통행에 있어서 지장이 많이 생기게 된다. 보행자가 지나가다가 부스에서 많이 튀어나온 가이드 발판에 걸려서 넘어지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0799284호(2008.01.23 등록) 국내등록특허 제10-1018399호(2011.02.22 등록) 국내공개특허 제10-2011-0134615호(2011.12.15 공개) 국내공개특허 제10-2013-0114392호(2013.10.18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이 부스 출입시에 충격력이 많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편안하고 안전한 부스의 출입이 가능하고 행인들이 가이드 발판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여 행인 통행시 불편을 끼치는 경우를 방지하는 새로운 구성의 장애인 출입 가이드 발판을 구비한 도어 회동 개폐식 부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회동 개폐식 도어를 지지하는 도어 프레임을 부스에 장착하고, 도어 프레임에 장애인 휠체어 출입을 순조롭게 안내하는 가이드 발판을 구비함으로써 장애인의 휠체어가 오르고 내릴 때에 힘이 들지 않고 안전성도 확보할 수 있는 구조를 최대한 심플하게 구현한 새로운 구성의 장애인 편의성 향상 도어 회동 개폐식 부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에 진입 공간부를 구비하고 상기 진입 공간부의 하부에는 바텀 패널부를 구비한 부스; 상기 부스의 전면에 구비되며 상기 부스의 상기 진입 공간부와 연통되는 도어 프레임; 상기 도어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부스의 상기 진입 공간부와 연결된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바텀 패널부의 후단부 방향으로 상향 경사도록 연장된 경사 가이드편이 구비되어 상기 바텀 패널부의 전단부 위치에 배치되는 가이드 발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출입 가이드 발판을 구비한 도어 회동 개폐식 부스가 제공된다.
상기 도어 프레임의 로워 프레임 바아에는 상기 가이드 발판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발판은 상기 경사 가이드편의 상단부에 이어진 수평 패널편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 발판의 상기 경사 가이드편은 상기 도어 프레임의 전후 폭 영역 내에 배치된다.
상기 가이드 발판의 상기 경사 가이드편은 상기 바텀 패널부의 후단부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구성되되, 상기 경사 가이드편의 경사 각도는 그 경사 경로에 이어지는 연장선이 상기 바텀 패널부의 상면보다 높은 위치에서 지나가는 각도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텀 패널부의 전면과 상면 사이의 각도는 90°이고, 상기 가이드 발판의 상기 경사 가이드편의 경사 각도는 43°~48° 범위로 구성되어, 상기 경사 가이드편의 경사 각도가 그 경사 경로에 이어지는 연장선이 상기 바텀 패널부의 상면보다 높은 위치에서 지나가도록 구성된다.
상기 바텀 패널부의 전면과 상면 사이의 각도는 90°이고, 상기 가이드 발판의 상기 경사 가이드 발판의 저면에 대한 상기 경사 가이드편의 경사 각도가 43°~48° 범위가 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 발판의 상기 경사 가이드편에 이어지는 상기 수평 패널편와 상기 바텀 패널부의 상면 사이에는 단차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평 패널편의 전후단 사이의 폭은 상기 단차부보다 더 크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 프레임에는 좌우 방향 중앙선을 기준으로 양쪽 위치에 한 쌍의 글라스 프레임이 구비되어, 상기 글라스 프레임에 글라스가 장착되어 상기 한 쌍의 글라스 사이에 출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도어 프레임에 구비된 상기 가이드 발판의 한쪽 측단부에 인접되도록 댐퍼 케이스가 구비되며, 상기 댐퍼 케이스에 내장된 댐퍼의 댐퍼축에 상기 도어의 적어도 하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도어의 상단부는 상기 도어 프레임의 어퍼 프레임 바아에 힌지부를 매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사 가이드편의 전단부에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편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스는 내부의 진입 공간부에 공중 전화기와 현금 지급기가 내장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부스의 전면 위치에는 도어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도어 프레임의 로워 프레임 바아에는 발판 수용홈을 구비하고, 상기 발판 수용홈에 상기 가이드 발판이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발판의 상기 경사 가이드편에 이어진 수평 패널편의 상면은 상기 로워 프레임 바아의 상면과 나란한 수평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도어 프레임에 일측의 힌지부를 매개로 회동 개폐 가능하게 장착된 도어의 하단부가 상기 가이드 발판의 상기 수평 패널편의 상부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도어의 하단부에는 이물질 차단부재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이 부스 내로 들어올 때에 휠체어 바퀴가 가이드 발판의 경사 가이드편을 타고 올라오게 되고 부스 밖으로 나갈 때에도 역시 휠체어 바퀴가 가이드 발판의 경사 가이드편을 타고 내려오므로, 장애인이 부스 내로 진입하기가 용이하고 나올 때에서 용이하고 안전하다.
본 발명은 부스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바텀 패널부의 전단부에는 수평 패널편의 상면이 바텀 패널부의 상면과의 사이에 단차부를 형성하는 가이드 발판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가이드 발판의 경사 가이드편을 휠체어 바퀴가 타고 올라올 때에 상기 수평 패널편에 의해 휠체어 바퀴를 한번 더 받쳐주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장애인이 부스 내로 진입하기가 보다 용이하며, 장애인이 휠체어를 타고 부스 밖으로 나올 때에 휠체어의 바퀴가 상기 가이드 발판의 경사 가이드편을 타고 내려오기 전에 수평 패널편이 휠체어 바퀴를 먼저 한번 더 받쳐주기 때문에 장애인이 부스 밖으로 나올 때에도 보다 용이하다.또한, 가이드 발판이 부스의 앞으로 더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하여 지나가는 행인이 가이드 발판에 발이 걸리는 불편함 등을 해소한 효과가 있다.
또한, 가이드 발판의 경사 가이드편의 경사 각도는 그 경사 경로에 이어지는 연장선이 도어 슬라이드 지지판의 상면보다 높은 위치에서 지나가는 각도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장애인의 휠체어 바퀴가 타고 올라가서 부스 내로 진입할 때에 부스 아래의 바텀 패널편에 휠체어 바퀴가 과도하게 부딪혀서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장애인의 부스 밖으로 나올 때에 휠체어 바퀴가 가이드 발판의 경사 가이드편을 타고 내려올 때에도 경사 가이드편의 경사도가 너무 급하지 않아서 너무 급속하게 휠체어가 내려오는 현상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부스 밖으로 나올 수 있다.
그리고, 주요부인 도어 프레임에는 글라스 프레임에 의해 한 쌍의 좌우로 배치되는 글라스를 설치하고, 두 개의 글라스 사이에 부스의 출입구를 형성하고, 상기 도어 프레임의 로워 프레임 바아에는 가이드 발판을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도어 프레임을 부스의 전면에 형성된 프레임 결합홀에 맞추어 끼워서 고정할 수 있으므로 부스에 도어 프레임의 장착과 가이드 발판의 설치 작업이 보다 순조롭고 편리하면 작업이 신속해지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장애인 출입 가이드 발판을 구비한 도어 회동 개폐식 부스의 주요부인 도어 프레임과 가이드 발판을 분해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DA 방향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가이드 발판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장애인 출입 가이드 발판을 구비한 도어 회동 개폐식 부스의 외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도어 프레임에 장착되는 도어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측단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가이드 발판과 바텀 패널부의 구조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일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내부에 진입 공간부를 구비한 부스(10)에 바닥면(18BS)을 형성하는 바텀 패널부(14)가 구비되고, 부스(10)의 전면에는 도어 프레임(20)이 구비되고, 상기 도어 프레임(20)에는 바텀 패널부(14)의 전단부에 배치되도록 가이드 발판(30)이 구비되어,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이 부스(10) 내부로 손쉽고 편안하게 진입하고 부스(10)에서 나올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발판(30)이 도움을 주도록 구성된 것에 주요 특징이 있는 발명이다.
상기 부스(10)는 내부의 진입 공간부에 공중 전화기와 현금 인출기가 내장되도록 구성된다. 부스(10)는 내부에 진입 공간부를 구비한 대략 육면체 박스 형상의 부스 바디(12)와, 부스 바디(12)의 저면 위치에 결합된 바텀 패널부(14)를 포함한다. 상기 부스(10)의 바닥판을 이루는 바텀 패널부(14)의 전단부(앞쪽 위치)에는 도어 프레임(20)의 로워 프레임 바아(23)가 배치된다. 부스(10)의 전면에는 도어 프레임(20) 결합홀이 구비되어 있다. 도어 프레임(20)이 사각틀 형상이라서 도어 프레임(20) 결합홀이 사각홀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도어 프레임(20)은 좌우 양쪽 사이드 프레임 바아(21)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어퍼 프레임 바아(22)와 로워 프레임 바아(23)가 연결된 사각틀 형상으로 구성된다. 사이드 프레임 바아(21)와 어퍼 프레임 바아(22) 및 로워 프레임 바아(23)는 전후로 일정 폭이 있는 바아 구조이다. 또한, 상기 도어 프레임(20)의 로워 프레임 바아(23)에는 발판 수용홈이 구비되어 있다. 로워 프레임 바아(23)에는 하측으로 연장(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나란한 발판 결합편(24)이 구비되고, 한 쌍의 서로 마주하는 발판 결합편(24) 사이에 발판 수용홈이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도어 프레임(20)은 내부에 중공부가 구비되고 상기 중공부는 안쪽면으로 개방된 프레임 채널(20A)과, 프레임 채널(20A)의 상기 안쪽면 개방된 부분에 결합된 프레임 마감편(20B)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프레임 채널(20A)은 바깥면 벽부(20A1)의 전후단부에 구비되되 바깥면 벽부(20A1)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크로스 연장편(20A2)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크로스 연장편(20A2)에 프레임 마감편(20B)이 용접 등의 방식으로 고정됨으로써 도어 프레임(20)이 내부에 중공부를 구비한 사각틀 형상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로워 프레임 바아(23)에는 한 쌍의 나란한 발판 지지편(24)이 구비된다. 이때, 발판 지지편(24)은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안쪽면이 개방된 한 쌍의 발판 지지 함체부(24a)와, 이러한 발판 지지 함체부(24a)의 안쪽 개방부에 결합된 이너 연장편(24b)을 포함하는데,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이너 연장편(24b)에는 상기 로워 프레임 바아(23)의 상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 수평 절취부(24VL)와, 이러한 수평 절취부(24VL)의 전단부에 기단부가 이어져서 로워 프레임 바아(23)의 전단부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 하향 경사 절취부(24SL)가 구비된다. 이러한 수평 절취부(24VL)와 하향 경사 절취부(24SL)가 각각 후술할 가이드 발판(30)의 수평 패널편(34)과 경사 가이드편(32)이 맞아들어가서 용접 접합되기 위한 가이드 발판용 지지 절취부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도어 프레임(20)에는 정면에서 볼 때에 좌우 방향 양측의 중앙선(즉, 도어 프레임(20)의 정면에서 볼 때에 로워 프레임 바아(23)와 어퍼 프레임 바아(22)의 가운데를 수직 방향으로 잇는 중앙선)을 기준으로 양쪽 위치에 한 쌍의 글라스 프레임(26)이 구비되어, 상기 글라스 프레임(26)에 글라스(26G)가 장착된다. 이러한 한 쌍의 글라스(28G) 사이에 출입구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발판(30)은 부스(10)의 전면에 구비된 도어 프레임(20)의 로워 프레임 바아(23)의 발판 수용홈에 들어가서 설치됨으로써 부스(10)의 출입구 위치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가이드 발판(30)은 경사 가이드편(32)과 수평 패널편(34)을 포함한다. 또한, 경사 가이드편의 전단부에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편(36)이 더 구비된다. 이러한 가이드 발판(30)에서 경사 가이드판(32)의 양단부와 수평 패널편(34)의 양단부가 상기 발판 수용홈을 형성하는 한 쌍의 발판 결합편(24)에 용접 등으로 고정됨으로써 도어 프레임(20)의 로워 프레임 바아(23)에 가이드 발판(30)이 고정된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발판 결합편(24)을 구성하는 각각의 이너 연장편(24b)에는 수평 절취부(24VL)와 하향 경사 절취부(24SL)가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가이드 발판(30)의 수평 패널편(34)과 경사 가이드편(32)의 양단부측 상면이 각각의 수평 절취부(24VL)와 하향 경사 절취부(24SL) 하부로 들어가서 맞닿은 상태에서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발판(30)의 양쪽 단부 중에서 한쪽 단부에 인접한 위치에는 댐퍼 케이스(38)가 구비되어, 댐퍼 케이스(38)에 도어용 댐퍼가 내장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댐퍼는 도어(28)가 완충되면서 닫히도록 하는 공지의 댐퍼를 채용하면 된다. 도어(28)가 열릴 때에는 신속하게 열리고 닫힐 때에는 충격 방지를 위해 서서히 닫히는 작용을 하는 공지의 도어용 댐퍼를 사용하면 된다. 따라서, 상기 댐퍼 케이스(38)에 내장된 댐퍼의 댐퍼축에 회동 개폐식 도어(28)의 적어도 하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도어(28)의 상단부는 도어 프레임(20)의 어퍼 프레임 바아(22)에 힌지부를 매개로 연결됨으로써 도어(28)가 회동 개폐될 때에 댐퍼에 의해 서서히 닫히고 열릴 때에는 빨리 열리게 된다. 상기 회동 개폐식 도어(28)가 도어 프레임(20)의 두 개의 글라스(26G) 사이에 형성된 출입구를 개폐하게 된다. 물론, 상기 가이드 발판(30)에 댐퍼 케이스(38)가 구비되지 않고 수평 패널편(34)에 형성된 힌지공과 도어 프레임(20)에 형성된 힌지공에 도어(28)의 하단부와 상단부에 각각 구비된 힌지축이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도어(28)가 일측의 힌지부를 기준으로 회동 개폐되도록 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때에는 힌지축과 힌지공이 도어(28)를 회동 개폐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부가 된다.
상기 경사 가이드편(32)은 부스(10)를 구성하는 바텀 패널부(14)의 후단부 방향으로 상향 경사져 있다. 가이드 발판(30)이 부스(10)(10A)의 출입구 앞쪽에 각각 설치되는데, 가이드 발판(30)의 경사 가이드편(32)이 부스(10)의 앞쪽 위치에서 출입구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경사 가이드편(32)의 경사 각도(θ)는 가이드 발판(30)의 저면에 대하여 43°~48° 각도 범위가 된다. 즉, 부스(10) 설치 지면에 대해 가이드 발판(30)의 경사 가이드편(32)의 상향 경사 각도(θ)는 43°~48° 범위가 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 발판(30)의 경사 가이드편(32)은 바텀 패널부(14)의 후단부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구성되되, 상기 경사 가이드편(32)의 경사 각도(θ)는 그 경사 경로에 이어지는 연장선(즉, 경사 가이드편(32)의 상단부에서부터 이어지는 연장선)이 바텀 패널부(14)의 상면(14US)보다 높은 위치에서 지나가는 각도로 형성된다. 다시 말해, 부스(10)를 구성하는 바텀 패널부(14)의 전면(14FS)과 상면(14US) 사이의 각도는 90°이고, 상기 가이드 발판(30)의 경사 가이드편(32)의 경사 각도(θ)는 43°~48° 범위로 구성되어, 상기 경사 가이드편(32)의 경사 각도(θ)는 그 경사 경로에 이어지는 연장선이 바텀 패널부(14)의 상면(14US)보다 높은 위치에서 지나가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바텀 패널부(14)의 전면(14FS)과 상면(14US) 사이의 각도는 90°이고, 상기 가이드 발판(30)의 저면은 상기 바텀 패널부(14)의 바닥면(18BS)과 나란한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가이드 발판(30)의 저면에 대한 경사 가이드편(32)의 경사 각도(θ)가 43°~48° 범위가 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발판(30)의 경사 가이드편(32)은 도어 프레임(20)의 전후 폭 영역(22WS) 내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경사 가이드편이 도어 프레임(20)을 구성하는 로워 프레임 바아(23)의 전후 폭 영역 내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즉, 가이드 발판(30)의 경사 가이드편(32) 전단부가 도어 프레임(20)의 전면(14FS)으로 돌출되는 것을 회피한 구성을 취하고 있다.
상기 가이드 발판(30)의 수평 패널편(34)은 경사 가이드편(32)의 상단부에 그 전단부가 연결된 상태에서 도어 프레임(20)의 로워 프레임 바아(23)의 상면보다 약간 낮은 높이로 구성된다. 상기 수평 패널편과 로워 프레임 바아(23)의 상면 사이에 약간의 단차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도어(28)는 글라스(28G)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마감편(28E)이 결합된 구성이고, 마감편(28E)은 길다란 사각 블록 형상인데, 마감편(28E)의 양단부에는 전후 곡면부(28CP)가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도어(28)의 하단 마감편(28E)이 가이드 발판(30)의 수평 패널편 상면 위치에 배치됨과 동시에 도어(28)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하단 마감편(28E)의 전후 곡면부(28CP)의 하측이 상기 부스(10)의 바텀 패널부(14) 상면과 가이드 발판(30)의 수평 패널편(34) 사이에 형성된 상기 단차부(S)와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도어(28)가 열릴 때에는 하단 마감편(28E)에 구비된 전방측 곡면부(28CP)에 의해 하단 마감편(28E)의 한쪽 단부가 도어 프레임(20)의 글라스 프레임(26)에 걸리지 않고 원활하게 열리게 되며, 상기 도어(28)가 닫힐 때에는 상기 하단 마감편(28E)에 구비된 후방측 곡면부(28CP)에 의해 하단 마감편(28E)의 한쪽 단부가 상기 글라스 프레임(26)에 걸리지 않고 원활하게 닫히게 된다.
또한, 가이드 발판(30)의 수평 패널편(34) 상면과 부스(10)의 바텀 패널부(14)의 상면(14US) 사이에도 높이 차이가 있는 단차부(S)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도어(28)가 닫힐 때에는 가이드 발판(30)의 수평 패널편 상면과 부스(10)의 바텀 패널부(14) 상면 사이에 형성된 상기 단차부 상하 영역에 도어(28)의 하단 마감편(28E)이 하부가 배치되어 있어서, 상기 도어(28)의 하단부와 가이드 발판(30)의 수평 패널편 상면 사이의 틈새로 이물질이 들어가려 하여도 상기 단차부에 의해 이물질이 걸리게 되어서 부스(10) 내로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자연스럽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단차부(S)는 수평 패널편(34)의 상면에서부터 바텀 패널부(14)의 상면(14US)까지의 높이인데, 수평 패널편(34)의 전후단 사이의 폭은 상기 단차부(S)(즉, 수평 패널편(34)의 상면(14US)과 바텀 패널부(14)의 상면(14US) 사이의 높이 차이)보다 더 크게 구성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 발판(30)의 저면과 경사 가이드편(32) 사이의 각도를 θ라 하고, 상기 수평 패널편(34)의 전후단 사이의 폭을 A라 하고, 상기 경사 가이드편(32)의 상단부에서부터 이어지도록 연장된 선(즉, 경사 가이드편(32)의 경사 경로에 이어지도록 연장된 선)을 EL이라 하고, 상기 수평 패널편(34)의 상면에서부터 바텀 패널부(14)의 상면(14US) 위로 수직 방향으로 지나서 상기 EL과 만나는 선을 B라 하고, 상기 단차부(S)의 높이를 S라고 하면, 상기 A와 EL 사이의 각도는 가이드 발판(30)의 저면과 경사 가이드편(32) 사이의 각도 θ와 동일하다. 따라서, tanθ = B/A, B = tanθ인데, 본 발명에서 수평 패널편(34)의 전후단 폭(A)이 상기 단차부(S)보다 더 크므로, A > S가 된다. 상기 θ를 45°라고 가정하고, 상기 단차부(S)의 상단(즉, 바텀 패널부(14)의 상면(14US) 부분)에서부터 상기 경사 연장선 EL과 만날 때의 높이를 DL이라 하면, 상기 수평 패널편(34)의 전후단 폭 A = B가 되는 반면, 상기 단차부(S) S의 높이는 B - DL이 된다. 따라서, 상기 θ를 45°로 가정할 때에 수평 패널편(34)의 전후단 사이의 폭(A)이 단차부(S)의 높이 S에 비하여 DL만큼 더 크게 구성된다. 결국, 본 발명에서는 수평 패널편(34)의 전후단 사이의 폭이 수평 패널편(34)의 상면(14US)에서부터 바텀 패널부(14)의 상면(14US)까지의 높이보다 더 크게 구성한 것에 의미가 있다.
상기 경사 가이드편(32)의 전단부에는 수직 방향으로 하향 연장된 연장편(36)이 구비되는데, 가이드 발판(30)에 휠체어 바퀴가 올라오는 하중 등에 의해 가이드 발판(30)의 경사 가이드편이 아래로 눌리는 힘이 작용할 때에 상기 연장편(36)이 지면에 닿아서 경사 가이드편을 아래에서 받쳐주는 기능을 하게 되므로, 가이드 발판(30)이 하중에 견디는 힘을 보다 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스(10)의 출입구를 회동 개폐식으로 열고 닫는 도어(28)의 하단부가 가이드 발판(30)의 수평 패널편(34)의 상부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도어(28)의 하단부에는 이물질 차단부재(예를 들어, 솔)가 구비될 수 있다. 도어(28)의 하단부에 구비된 결합홈에 이물질 차단부재의 상단부가 결합되어 있다. 이때, 이물질 차단부재는 복수개의 솔부재가 판형상으로 배치된 판형 솔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이물질 차단부재의 하단부는 가이드 발판(30)의 수평 패널편(34) 상면에 접촉된다. 도어(28)는 회동 개폐식으로 구성되어 부스(10)의 출입구를 열고 닫게 되는데, 도어(28)가 부스(10)(10A)의 출입구를 닫은 상태에서는 이물질 차단부재의 하단부가 가이드 발판(30)의 수평 패널편(34) 상면에 접촉된다. 따라서, 도어(28)가 공중 전화 부스(10)(10A)의 출입구를 닫은 상태에서 이물질 차단부재는 도어(28)의 하단부와 가이드 발판(30) 사이를 통하여 공중 전화 부스(10)(10A) 내부로 이물질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은 부스(10)(10A)의 출입구를 회동 개폐식 도어(28)에 의해 열고 닫도록 구성하되, 상기 부스(10)의 출입구 앞쪽 아래 부분에 경사 가이드편(32)을 구비한 가이드 발판(30)을 설치한 것에 주요 구성상의 특징이 있는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1.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이 부스(10) 내로 들어올 때에 휠체어 바퀴가 가이드 발판(30)의 경사 가이드편(32)을 타고 올라오게 되므로 장애인이 부스(10) 내로 진입하기가 용이하며, 부스(10) 밖으로 나갈 때에도 역시 휠체어 바퀴가 가이드 발판(30)의 경사 가이드편(32)을 타고 내려오므로 장애인이 부스(10) 밖으로 나오기에도 용이하다.
2. 상기 바텀 패널부(14)의 전단부에는 단차부(S)를 형성하는 가이드 발판(30)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발판(30)은 경사 가이드편(32)의 상단부에 이어지면서 바텀 패널부(14)의 상면과 나란한 면을 형성하는 수평 패널편(34)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가이드 발판(30)의 경사 가이드편(32)을 휠체어 바퀴가 타고 올라올 때에 상기 수평 패널편(34)에 의해 휠체어 바퀴를 한번 더 받쳐주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장애인이 부스(10) 내로 진입하기가 보다 용이하며, 장애인이 휠체어를 타고 부스(10) 밖으로 나올 때에 휠체어의 바퀴가 상기 가이드 발판(30)의 경사 가이드편(32)을 타고 내려오기 전에 수평 패널편(34)가 휠체어 바퀴를 먼저 한번 더 받쳐주기 때문에 장애인이 부스(10) 밖으로 나올 때에도 보다 용이한 효과가 있다.
3. 상기 가이드 발판(30)이 부스(10)의 앞으로 더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하여 지나가는 행인이 가이드 발판(30)에 발이 걸리는 불편함 등을 해소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가이드 발판(30)의 경사 가이드편(32)은 부스(10)의 전방 위치에 설치된 도어 프레임(20)의 전후 폭 영역(22WS) 내에 배치됨으로써 가이드 발판(30)만이 더 앞으로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한 구조이므로, 보행자가 통행하다가 가이드 발판(30)에 발이 걸리거나 넘어지는 등의 문제가 생기지 않는 것이다. 도어 프레임(20) 전체가 부스(10)의 전면에서 앞으로 돌출되어 있어서 지나가는 행인이 도어 프레임(20)을 보고 도어 프레임(20)이 걸리지 않는 영역으로 지나가게 되는데, 상기 가이드 발판(30)이 도어 프레임(20)의 전후 폭 영역 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행인이 지나가다가 가이드 발판(30)에 발이 걸리거나 발이 걸려 넘어지는 등의 문제가 없게 된다.
4. 상기 가이드 발판(30)의 경사 가이드편(32)의 경사 각도(θ)는 그 경사 경로에 이어지는 연장선(경사 가이드편(32)의 상단부에서 이어지는 연장선)이 부스(10)의 바닥부를 구성하는 바텀 패널부(14)의 상면(14US)보다 높은 위치에서 지나가는 각도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장애인의 휠체어 바퀴가 타고 올라가서 부스(10) 내로 진입할 때에 부스(10) 아래의 바텀 패널부(14)에 휠체어 바퀴가 과도하게 부딪혀서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장애인의 부스(10) 밖으로 나올 때에 휠체어 바퀴가 가이드 발판(30)의 경사 가이드편(32)을 타고 내려올 때에도 경사 가이드편(32)의 경사도가 너무 급하지 않아서 너무 급속하게 휠체어가 내려오는 현상을 방지하며, 이는 안전성을 보다 높인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부스(10)를 구성하는 바텀 패널부(14)의 전면(14FS)과 상면(14US) 사이의 각도는 90°이고, 상기 가이드 발판(30)의 경사 가이드편(32)의 경사 각도(θ)는 43°~48° 범위로 구성되어, 상기 경사 가이드편(32)의 경사 각도(θ)는 그 경사 경로에 이어지는 연장선이 상기 바텀 패널부(14)의 상면(14US)보다 높은 위치에서 지나가도록 구성된다.
상기 경사 가이드편(32)의 경사 각도(θ)가 43° 이하가 되면 휠체어가 부스(10) 내로 진입할 때에 휠체어 바퀴가 바텀 패널부(14)의 전면(14FS)에 걸리게 되어서 힘들게 올라가게 되고, 이로 인하여 휠체어를 타고 진입하기가 그만큼 어려울 수 있으므로 경사 가이드편(32)의 경사 각도(θ)가 43° 이상이 되도록 하고, 상기 경사 가이드편(32)의 경사 각도(θ)가 48° 이상이 되면 휠체어가 부스(10) 내로 진입할 때에 휠체어 바퀴가 바텀 패널부(14)의 전면(14FS)에 걸리는 일은 없지만 경사도가 너무 높아서 휠체어 바퀴를 끌고 올라가기가 힘들게 되고 휠체어 바퀴가 부스(10) 내부로 들어오는 순간 너무 높은 위치에서 바텀 패널부(14)의 상면(14US)에 휠체어 바퀴가 낙하하는 식으로 부딪히게 되어서 이러한 순간에 휠체어 탑승 장애인에게 충격이 가해지게 되므로 상기 경사 가이드편(32)의 경사 각도(θ)가 48° 이하가 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경사 가이드편(32)의 경사 각도(θ)가 48° 이상이 되어서 부스(10) 내부 진입시 휠체어 바퀴가 너무 높이 올라갔다가 바텀 패널부(14) 위로 쿵하는 느낌이 들도록 떨어지게 되므로, 휠체어 탑승 장애인에게 충격이 가해지는 불편이 있으며 바텀 패널부(14)도 그만큼 높은 충격이 가해져서 좋지 않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가이드 발판(30)의 경사 가이드편(32)의 경사 각도(θ)가 48° 이하가 되도록 설계한 것이며, 이러한 점이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상기 경사 가이드편(32)의 경사 각도(θ)가 48° 이상이 되면, 부스(10) 밖으로 나올 때에도 휠체어 바퀴가 너무 빨리 경사 가이편을 타고 내려오므로 부스(10) 밖으로 안전하게 나오는데에 지장을 줄 수 있는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경사 가이드편(32)의 경사 각도(θ)가 48° 이하가 되도록 함으로써 장애인이 부스(10) 바깥(정확하게는 부스(10) 바깥)으로 나올 때에도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는 것이다.
정리하면, 본 발명에서는 가이드 발판(30)의 경사 가이드편(32)이 바텀 패널부(14)의 후단부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구성되되, 상기 경사 가이드편(32)의 경사 각도(θ)는 그 경사 경로에 이어지는 연장선이 바텀 패널부(14)의 상면(14US)보다 높은 위치에서 지나갈 수 있는 각도로 설계함으로써 휠체어가 부스(10) 내로 진입할 때에 휠체어 바퀴가 바텀 패널부(14)의 전면(14FS)에 걸리게 되어서 힘들게 올라가게 되는 경우를 방지하고 휠체어 바퀴가 바텀 패널부(14)의 상면(14US)에서부터 너무 높은 위치에서 쿵하고 바텀 패널부(14)로 떨어지는 충격력과 소음을 방지하여 부스(10) 내로의 진입이 쉽고 편안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휠체어를 타고 부스(10) 밖으로 나갈 때에는 너무 급속하게 휠체어 바퀴가 타고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여 역시 보다 안전하고 편안하게 부스(10)에서 나올 수 있도록 하는 데에서 본 발명의 효과가 아주 높다고 하겠다.
5. 상기 가이드 발판(30)의 경사 가이드편(32)에 이어지는 수평 패널편(34)와 상기 바텀 패널부(14)의 상면(14US) 사이에는 단차부(S)(높이 차이)가 형성되며, 상기 수평 패널편(34)의 전후단 사이의 폭은 상기 단차부(S)보다 더 크게 구성되어, 휠체어 바퀴를 수평 패널편(34)가 받쳐주는 면적은 최대로 높여주고 휠체어가 진입할 때 휠체어 바퀴가 걸리는 단차부(S)나 휠체어가 나올 때에 아래로 내려오는 단차부(S)의 높이가 최소화하기 때문에 휠체어가 부스(10) 내부로 진입시의 편안함이나 수월함을 보다 높이게 되고 휠체어가 부스(10) 바깥으로 나올 때에도 역시 안전성과 편안함을 보다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
6. 상기 가이드 발판(30)은 주요부인 경사 가이드편(32)과 수평 패널편(34)의 양단부가 도어 프레임(20)에 접합되어 있어서 가이드 발판(30) 내부의 공간은 비어 있게 되므로, 가이드 발판(30) 제조를 위한 재료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경사 가이드편(32)과 수평 패널편(34)를 도어 프레임(20)을 구성하는 로워 프레임 바아(23)의 양쪽 발판 지지편에 의해 받쳐줌으로써 경사 가이드편(32)과 수평 패널편(34)에 가해지는 하중(주로, 휠체어 통행시의 하중)을 충분히 안정적으로 받쳐주는 효과를 가지면서도 가이드 발판(30) 내부를 쓸데없이 재료로 채워놓은 것이 아니라 비어 있도록 함으로써 재료 절감의 효과도 가지는 것이다.
7. 상기 도어 프레임(20)의 로워 프레임 바아(23)에 구비된 한 쌍의 발판 지지편과 가이드 발판(30)의 저면 사이에 스페이스가 확보되어 있어서, 상기 스페이스에 보강바아를 투입하고, 상기 보강바아의 양단부는 상기 한 쌍의 발판 지지편에 볼트 등의 체결구로 고정하면 필요시에 가이드 발판(30)을 아래에서 받쳐주는 힘을 보강바아에 의해 더 강하게 할 수 있으므로, 가이드 발판(30)의 하부 지지 구조는 보다 손쉽게 구비하면서도 가이드 발판(30)의 하부 하중 지지 구조는 보다 견고하게 가져갈 수 있다. 특히, 상기 발판 지지편에는 볼트공이 형성되어 있어서, 볼트공에 볼트를 삽입하고 상기 보강바아의 양단부에 볼트를 체결하면 보강바아가 견고하게 상기 스페이스에서 고정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가이드 발판(30)의 하부 보강 지지구조는 보다 견고하게 구현하면서도 보강바아는 보다 손쉽게 장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8. 상기 도어 프레임(20)에는 글라스 프레임(26)에 의해 한 쌍의 좌우로 배치되는 글라스(26G)를 설치하고, 두 개의 글라스(26G) 사이에 부스(10)의 출입구를 형성하고, 상기 도어 프레임(20)의 로워 프레임 바아(23)에는 가이드 발판(30)을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도어 프레임(20)을 부스(10)의 전면에 형성된 프레임 결합홀에 맞추어 끼워서 고정함으로써 부스(10)에 도어 프레임(20)의 장착이 보다 손쉽고 신속해진다.
9. 상기 도어 프레임(20)은 내부에 중공부가 구비되고 상기 중공부는 안쪽면으로 개방된 프레임 채널(20A)과, 프레임 채널(20A)의 상기 안쪽면 개방된 부분에 결합된 프레임 마감편(20B)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서, 도어 프레임(20)에 전후로 하중 작용(뒤틀림 응력 등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프레임 채널(20A)의 전후단 한 쌍의 크로스 연장편(20A2)이 이러한 뒤틀림 응력 등에 견디는 작용을 하므로 도어 프레임(20) 자체의 구조적 강도를 보다 높은 효과가 있으며, 상기 프레임 채널(20A)과 프레임 마감편(20B)에 의해서는 도어(28)가 내부에 중공부가 있는 관 구조라서 도어 프레임(20) 자체의 중량이 적게 나가므로 조립이나 운반 등의 취급 작업도 보다 수월한 효과가 있다.
10. 상기 도어 프레임(20)에서 가이드 발판(30)을 결합하기 위하여 로워 프레임 바아(23)에 형성된 한 쌍의 발판 결합편(24)의 각 이너 연장편(24b)에는 수평 절취부(24VL)와 하향 경사 절취부(24SL)가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가이드 발판(30)의 수평 패널편과 경사 가이드편의 양단부측 상면이 각각의 수평 절취부(24VL)와 하향 경사 절취부(24SL) 하부로 딱 들어가서 맞닿은 상태에서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므로, 도어 프레임(20)과 가이드 발판(30) 사이의 결합 구조도 보다 견고해지는 효과가 있으며, 가이드 발판(30)을 도어 프레임(20)에 결합하여 고정할 때에서 상기 수평 절취부(24VL)와 하향 경사 절취부(24SL) 자리에 가이드 발판(30)을 딱 맞춘 상태에서 고정 작업을 할 수 있어서 상기 가이드 발판(30) 고정 작업에 있어서도 보다 수월해지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11. 상기 가이드 발판(30)에서 경사 가이드편의 하단부가 부스(10) 설치 지역의 지면까지 내려와 있어서, 휠체어 바퀴가 지면에서부터 타고 올라갈 때에도 수월하고 휠체어 바퀴가 경사 가이드편을 타고 내려와서 지면에 닿을 때에도 충격이 없으므로, 부스(10)에서 휠체어를 타고 나올 때에도 수월하고 편안한 느낌을 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 부스 12. 부스 바디
14. 바텀 패널부 14US. 상면
14FS. 전면 S. 단차부
20. 도어 프레임 20A. 프레임 채널
20A1. 바깥면 벽부 20A2. 크로스 연장편
20B. 프레임 마감편 21. 사이드 프레임 바아
22. 어퍼 프레임 바아 23. 로워 프레임 바아
24. 발판 지지편 24a. 발판 지지 함체부
24b. 이너 연장편 24VL. 수평 절취부
24SL. 하향 경사 절취부 26. 글라스 프레임
28. 도어 28G. 글라스
28E. 마감편 28CP. 곡면부
30. 가이드 발판 32. 경사 가이드편
34. 수평 패널편 36. 연장편
38. 댐퍼 케이스

Claims (10)

  1. 내부에 진입 공간부를 구비하고 상기 진입 공간부의 하부에는 바텀 패널부(14)를 구비한 부스(10);
    상기 부스(10)의 전면에 구비되며 상기 부스(10)의 상기 진입 공간부와 연통되는 도어 프레임(20);
    상기 도어 프레임(2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부스(10)의 상기 진입 공간부와 연결된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28);
    상기 바텀 패널부(14)의 후단부 방향으로 상향 경사도록 연장된 경사 가이드편(32)이 구비되어 상기 바텀 패널부(14)의 전단부 위치에 배치되는 가이드 발판(3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부스(10)는 내부의 진입 공간부에 공중 전화기와 현금 지급기가 내장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부스(10)의 전면 위치에는 도어 프레임(20)이 구비되고, 상기 도어 프레임(20)의 로워 프레임 바아(23)에는 발판 수용홈을 구비하고, 상기 발판 수용홈에 상기 가이드 발판(30)이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발판(30)의 상기 경사 가이드편(32)에 이어진 수평 패널편(34)의 상면은 상기 로워 프레임 바아(23)의 상면(14US)과 나란한 수평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도어 프레임(20)에 일측의 힌지부를 매개로 회동 개폐 가능하게 장착된 도어(28)의 하단부가 상기 가이드 발판(30)의 상기 수평 패널편(34)의 상부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도어(28)의 하단부에는 이물질 차단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출입 가이드 발판을 구비한 도어 회동 개폐식 부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프레임(20)의 로워 프레임 바아(23)에는 상기 가이드 발판(30)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발판(30)은 상기 경사 가이드편(32)의 상단부에 이어진 수평 패널편(34)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출입 가이드 발판을 구비한 도어 회동 개폐식 부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발판(30)의 상기 경사 가이드편(32)은 상기 도어 프레임(20)의 전후 폭 영역(22WS) 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출입 가이드 발판을 구비한 도어 회동 개폐식 부스.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발판(30)의 상기 경사 가이드편(32)은 상기 바텀 패널부(14)의 후단부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구성되되, 상기 경사 가이드편(32)의 경사 각도(θ)는 그 경사 경로에 이어지는 연장선이 상기 바텀 패널부(14)의 상면(14US)보다 높은 위치에서 지나가는 각도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출입 가이드 발판을 구비한 도어 회동 개폐식 부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 패널부(14)의 전면(14FS)과 상면(14US) 사이의 각도는 90°이고, 상기 가이드 발판(30)의 상기 경사 가이드편(32)의 경사 각도(θ)는 43°~48° 범위로 구성되어, 상기 경사 가이드편(32)의 경사 각도(θ)가 그 경사 경로에 이어지는 연장선이 상기 바텀 패널부(14)의 상면(14US)보다 높은 위치에서 지나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출입 가이드 발판을 구비한 도어 회동 개폐식 부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 패널부(14)의 전면(14FS)과 상면(14US) 사이의 각도는 90°이고, 상기 가이드 발판(30)의 상기 경사 가이드 발판(30)의 저면에 대한 상기 경사 가이드편(32)의 경사 각도(θ)가 43°~48° 범위가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출입 가이드 발판을 구비한 도어 회동 개폐식 부스.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발판(30)의 상기 경사 가이드편(32)에 이어지는 상기 수평 패널편(34)와 상기 바텀 패널부(14)의 상면(14US) 사이에는 단차부(S)가 형성되며, 상기 수평 패널편(34)의 전후단 사이의 폭은 상기 단차부(S)보다 더 크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출입 가이드 발판을 구비한 도어 회동 개폐식 부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프레임(20)에는 좌우 방향 중앙선을 기준으로 양쪽 위치에 한 쌍의 글라스 프레임(26)이 구비되어, 상기 글라스 프레임(26)에 글라스(26G)가 장착되어 상기 한 쌍의 글라스(26G) 사이에 출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도어 프레임(20)에 구비된 상기 가이드 발판(30)의 한쪽 측단부에 인접되도록 댐퍼 케이스(38)가 구비되며, 상기 댐퍼 케이스(38)에 내장된 댐퍼의 댐퍼축에 상기 도어(28)의 적어도 하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도어(28)의 상단부는 상기 도어 프레임(20)의 어퍼 프레임 바아(22)에 힌지부를 매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출입 가이드 발판을 구비한 도어 회동 개폐식 부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가이드편(32)의 전단부에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편(36)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출입 가이드 발판을 구비한 도어 회동 개폐식 부스.
  10. 삭제
KR1020140049255A 2014-04-24 2014-04-24 장애인 출입 가이드 발판을 구비한 도어 회동 개폐식 부스 KR101573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9255A KR101573717B1 (ko) 2014-04-24 2014-04-24 장애인 출입 가이드 발판을 구비한 도어 회동 개폐식 부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9255A KR101573717B1 (ko) 2014-04-24 2014-04-24 장애인 출입 가이드 발판을 구비한 도어 회동 개폐식 부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2993A KR20150122993A (ko) 2015-11-03
KR101573717B1 true KR101573717B1 (ko) 2015-12-02

Family

ID=54599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9255A KR101573717B1 (ko) 2014-04-24 2014-04-24 장애인 출입 가이드 발판을 구비한 도어 회동 개폐식 부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371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8332B1 (ko) * 2013-02-19 2013-07-22 허재철 멀티부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8332B1 (ko) * 2013-02-19 2013-07-22 허재철 멀티부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2993A (ko) 2015-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3901B1 (ko) 접이식 발코니 난간대 겸용 화재·재난 피난 시설
KR101782139B1 (ko) 건축물에서의 화재·재난 피난 시설
CN102493760B (zh) 提拉式爬梯
US8443734B2 (en) Pivoting system for a chair
KR102114740B1 (ko) 레미콘 차량용 안전장치
KR20110003154A (ko) 베란다의 난간대에 전용 탑승구가 구비된 긴급 피난장치
KR101573717B1 (ko) 장애인 출입 가이드 발판을 구비한 도어 회동 개폐식 부스
KR100927317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1262991B1 (ko) 사다리차용 승강기
KR100960150B1 (ko) 비상용 개폐식 안전 난간
KR101573716B1 (ko) 장애인 출입용 가이드 발판을 구비한 부스
US3542417A (en) Rear entry door for automobiles
KR200357968Y1 (ko) 피난용 난간
JP6169400B2 (ja) 避難装置
KR200465261Y1 (ko) 승강장스크린도어의 미닫이 방식 비상도어
JP3198423U (ja) スライド型門扉
CN107381318A (zh) 一种具有导流防护结构的自动扶梯或自动人行道
CN205663392U (zh) 一种可变逃生的防盗窗
KR200358087Y1 (ko) 난간용 사다리
KR101729854B1 (ko) 휠체어가 탑재되는 그네
US5356161A (en) Carriage
KR101445783B1 (ko) 승강기용 도어 레일
KR102600828B1 (ko) 외부 충격에 의한 도어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KR102642670B1 (ko) 교량시설물점검용 출입문
JP7165036B2 (ja) 高所作業車用バスケ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