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2670B1 - 교량시설물점검용 출입문 - Google Patents

교량시설물점검용 출입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2670B1
KR102642670B1 KR1020230169655A KR20230169655A KR102642670B1 KR 102642670 B1 KR102642670 B1 KR 102642670B1 KR 1020230169655 A KR1020230169655 A KR 1020230169655A KR 20230169655 A KR20230169655 A KR 20230169655A KR 102642670 B1 KR102642670 B1 KR 102642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rotating plate
access passage
plat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69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기산
이명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기산, 이명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기산
Priority to KR1020230169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26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2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2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6Movable inspection or maintenance platforms, e.g. travelling scaffolding or vehicles specially designed to provide access to the undersides of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54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교량점검난간의 출입을 위해 방호벽의 상단을 일정 깊이로 절단함으로써 교량바닥판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형성된 출입통로를 개폐하기 위한 교량시설물점검용 출입문에 대한 것으로서,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출입통로를 개폐하는 회전판의 상단이 출입통로의 바닥면의 전측 모서리 상단에 부착됨으로써, 회전판이 상방으로 회전 시 출입통로의 전면을 폐쇄하고, 출입통로의 전면을 폐쇄한 상태에서 하방으로 회전 시 출입통로를 개방함으로써 일반 보행자에게 교량시설물점검용 출입문이 교량시설물로 진입하기 위한 출입문임을 은폐하기 용이하여 일반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교량시설물점검용 출입문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교량시설물점검용 출입문 {Device of entrance and exit for bridge inspection}
교량시설물점검용 출입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교량의 방호벽에 설치된 출입통로를 개폐할 수 있는 교량시설물점검용 출입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에는 교량의 하부면이나 교좌장치의 점검을 위하여 교각의 주위에 교량점검대를 설치하고 있다. 교량점검대는 교각의 상단 둘레에 고정식으로 설치되어 있어서, 교량점검대에 작업자가 출입하기 위해서는 적정의 출입통로가 요구된다. 이 요구에 따라, 교량점검대의 출입통로가 교량의 방호벽에서 교량하단에 위치된 교량점검대의 일측까지 설치된다.
그러나 교량의 도로에는 도로교통법에 의해 차량의 원활한 통행과 안전을 위하여 방호벽의 내측으로 일체의 시설물을 설치할 수 없도록 규정되어 있는 바, 지금까지의 교량점검대 출입통로는 방호벽의 외측단에서 수직사다리를 통해 교량점검대에 이르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이러한 교량점검대의 출입통로에 의하면, 필요시에 점검자가 방호벽의 상단에 올라선 후, 사다리를 타고 교량점검대에 출입하여야 하나, 여러 가지 작업도구나 보수자재를 휴대한 점검자들이 1m 이상의 높이를 갖는 방호벽을 넘기 위해 별도의 발판이나 간이사다리 또는 승하강(UP-DOWN)용 수직사다리를 설치하여야 하므로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또한, 작업자가 방호벽에 올라 선 후 사다리에 접근해야 하므로 추락할 우려가 크다.
이와 같이 높은 방호벽을 올라서지 않고 교량점검대를 출입할 수 있는 종래의 출입장치의 예로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177062호 “교량점검시설의 방호벽 출입장치”가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하면, 사다리가 설치된 위치와 근접한 방호벽의 일부분을 일정 폭으로 상단면에서부터 하방으로 일정길이 만큼 전후방으로 관통시켜 절개하여 출입통로를 형성하고, 이 출입통로에 슬라이딩봉을 설치하여 슬라이딩봉에 도어를 결합시킴으로써 출입통로를 슬라이딩 가능한 도어를 이용하여 개폐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하면, 도어의 회전과 슬라이딩을 통해 출입통로를 개폐시키기 위한 부품이 많아 설치작업에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도어가 방호벽에 밀착된 상태에서 도어를 수평방향으로 밀어 개폐해야 하므로 도어가 방호벽과의 마찰에 의해 쉽게 손상되는 한편 도어의 개폐에 많은 힘이 요구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도어의 개방 후 사다리로의 접근을 위해 작업도구를 지닌 작업자가 방호벽의 절개된 턱을 한번에 오르면서 중심을 잃는 등 다소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어 문제가 된다.
또한, 종래기술에 의한 도어는 외부에서 봤을 때 슬라이딩 형식으로 도어를 개폐할 수 있음이 명확하게 식별되어 작업자가 아닌 일반인이 호기심으로 도어의 개폐를 시도할 수 있어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다.
방호벽을 따라 밀착 설치되고, 작업자가 교량시설물점검용 출입문을 잡아당기며 하방으로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개방되고, 교량시설물점검용 출입문을 끌어올려 상방으로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폐쇄됨으로써 작업자가 아닌 일반인이 출입문인지 여부를 인식하고, 출입문을 개폐하는 것을 어렵게 만들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교량시설물점검용 출입문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에 더해, 출입통로 개방 시 작업자가 방호벽을 넘어가는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교량바닥판과 평행한 발받침 용 판을 구비한 교량시설물점검용 출입문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교량시설물점검용 출입문은 교량점검난간의 출입을 위해 방호벽의 상단을 일정 깊이로 절단함으로써 교량바닥판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형성된 출입통로를 개폐하기 위한 교량시설물점검용 출입문으로서,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출입통로를 개폐하는 회전판; 및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후단이 상기 회전판의 전면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회전판과 함께 회전하는 이동보조부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판은 상기 회전판의 상단이 상기 출입통로의 바닥면의 전측 모서리 상단에 부착됨으로써 상방으로 회전 시 상기 출입통로의 전면을 폐쇄하고, 상기 출입통로의 전면을 폐쇄한 상태에서 하방으로 회전 시 상기 출입통로를 개방한다.
상기 이동보조부는 상기 이동보조부의 후단이 상기 회전판의 너비를 따라 상기 회전판의 전면 하단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회전판이 상기 출입통로의 전면을 폐쇄 시 상기 출입통로의 상방을 폐쇄하고, 상기 회전판이 상기 출입통로를 개방 시 상기 교량바닥판과 상기 출입통로 사이에 상기 교량바닥판과 평행하게 배치됨에 따라 작업자에 의해 발받침으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회전판은 상기 출입통로의 전면의 너비보다 큰 너비를 가지고, 자중에 의해 상기 회전판의 후면과 상기 방호벽의 전면이 접촉된 상태로 상기 출입통로를 개방하고 있는 상기 교량시설물점검용 출입문은 상기 작업자의 인력에 의해 상기 회전판의 양 측단과 상기 출입통로의 양 측단에 위치한 방호벽이 접촉될 때 까지 상방 회전됨으로써 상기 출입통로를 폐쇄할 수 있다.
상기 이동보조부는 각각이 사각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베어링바; 각각이 사각 평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베어링바의 양 끝단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두 개의 엔드바; 및 각각이 봉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복수 개의 베어링바를 수직 관통하는 복수 개의 크로스바를 포함함으로써 격자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작업자는 상기 회전판의 양 측단과 상기 출입통로의 양 측단에 위치한 방호벽이 접촉되어 상기 회전판이 상기 출입통로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격자구조로 이루어진 이동보조부를 손잡이로써 잡은 상태로 몸쪽으로 당겨 상기 회전판의 후면과 상기 방호벽의 전면이 접촉되도록 하방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출입통로를 개방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베어링바 중 적어도 하나는 상단이 톱니모양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작업자의 신발과 상기 이동보조부 사이의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각각이 다각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면이 상기 회전판의 일 측단 및 상기 이동보조부의 일 측단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판과 상기 이동보조부 사이를 연결함으로써 상기 회전판과 상기 이동보조부 사이의 결합력을 증가시키고, 상기 이동보조부에 인가되는 하중을 상기 회전판으로 분산시키는 두 개의 측면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측면커버는 삼각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삼각판의 제1 단은 상기 이동보조부의 일 측단에, 상기 삼각판의 제2 단은 상기 회전판의 일 측단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삼각판의 제3 단이 상기 작업자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판의 전면과 상기 이동보조부의 상면이 이루는 각도를 A, 상기 교량바닥판과 상기 방호벽이 이루는 각도를 B라고 할 때, A와 B는 다음의 수학식을 만족함에 따라 상기 교량시설물점검용 출입문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판의 후면 전체가 상기 방호벽의 전면에 밀착되어 상기 방호벽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이동보조부가 상기 교량바닥판에 대해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수학식: A=180-B
상기 이동보조부는 상기 출입통로의 전면의 너비보다 작은 너비를 가짐으로써 상기 출입통로의 폐쇄 시 상기 출입통로로 삽입되어 상기 출입통로의 상방을 폐쇄할 수 있다.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판의 상단이 방호벽의 상단을 일정 깊이로 절단하여 형성된 출입통로의 바닥면의 전측 모서리 상단에 부착됨으로써 회전판이 상방으로 회전 시 출입통로의 전면을 폐쇄하고, 출입통로의 전면을 폐쇄한 상태에서 하방으로 회전 시 출입통로를 개방함으로써 일반 보행자에게 교량시설물점검용 출입문이 교량시설물로 진입하기 위한 출입문임을 은폐하기 용이하다.
이에 더해,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이동보조부의 후단이 회전판의 전면에 고정됨으로써 교량시설물점검용 출입문의 개방 시 작업자가 이동보조부를 발판으로 이용할 수 있어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효과가 도출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시설물점검용 출입문이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교량시설물점검용 출입문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교량시설물점검용 출입문의 다른 사용상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교량시설물점검용 출입문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발받침판의 일 실시예이다.
도 6은 도 3을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교량시설물점검용 출입문에 관한 것으로서, 간략하게 “출입문”으로 호칭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시설물점검용 출입문(10)이 교량시설물(1)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교량시설물(1)은 그 상면이 도로를 형성하는 교량바닥판(2), 교량바닥판(2)의 상면 양측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방호벽(3) 및 지면에 직립하여 설치되며 상면이 교량바닥판(2)을 지지하는 교각(4)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교량시설물점검용 출입문(10)은 교량시설물(1)의 점검을 위해 교각(4)의 상부 측면 둘레를 따라 설치된 교량점검난간(5)으로의 출입을 위한 출입통로(11)를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서, 평상시에는 폐쇄되어 일반 사람이 교량점검난간(5)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고, 교량시설물(1)의 점검시에는 개방되어 작업자가 교량점검난간(5)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 ‘작업자’란 교량시설물(1)을 점검하기 위해 교량시설물점검용 출입문(10)을 개폐하는 사람으로서 교량시설물점검용 출입문(10)을 개폐할 필요성이 있는 사람을 지칭하고, ‘일반 보행자’교량시설물(1)을 이용하는 단순 보행자로서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교량점검난간(5)으로의 접근이 금지되며, 교량시설물점검용 출입문(10)을 개폐하면 안되는 사람을 지칭한다.
도 1에 도시된 교량시설물(1)은 교량점검난간(5)으로 이동하기 위한 사다리(6)가 설치된 위치와 근접한 방호벽(3)의 일부분이 일정 폭으로 상단면에서부터 하방으로 일정 깊이만큼 관통하여 절개됨으로써 형성된 출입통로(11)가 구비됨으로써 작업자가 출입통로(11)를 통해 사다리(6)를 이용하여 교량점검난간(5)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출입통로(11)는 방호벽(3)이 노출되어 형성된 좌측면, 우측면 및 바닥면을 포함한다.
한편, 교량시설물(1)에는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사다리(6)를 감싸는 원호 형상의 망으로 이루어지는 케이지(7)가 설치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교량시설물점검용 출입문(10)은 방호벽(3)에 형성된 출입통로(11)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시설물점검용 출입문(10)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교량시설물점검용 출입문(10)이 닫혀있는 상태를, 도 3은 교량시설물점검용 출입문(10)이 열려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교량시설물점검용 출입문(10)은 출입통로(11)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 즉 닫혀있는 상태에서 방호벽(3)의 일부로 보이도록 교량바닥판(2)에 위치한 일반 보행자에게 보이는 면이 방호벽(3)의 전면과 상면에 매우 인접하고 평행하게 배치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교량시설물점검용 출입문(10)은 닫혀있는 상태에서 교량바닥판(2) 상에 위치한 일반 보행자가 바라보는 출입문(10)의 전면에 교량시설물점검용 출입문(10)의 개폐를 위한 별도에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출입문(10)의 전면이 요철이 없는 평판 형상으로 되어 있어 일반 보행자로 하여금 교량시설물점검용 출입문(10)이 교량점검난간(5)으로 통하는 출입문인지 여부, 그리고 출입문(10)을 개방하는 방법을 인식하게 어렵게 함으로써 교량시설물점검용 출입문(10)을 은폐함에 따라 일반 보행자가 교량점검난간(5)으로 이동하려고 시도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교량시설물점검용 출입문(10)은 열려있는 상태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바닥판(2)과 출입통로(11) 사이 높이에 발받침 역할을 할 수 있는 이동보조부(120)가 교량바닥판(2)과 평행하게 배치됨으로써 작업자가 이동보조부(120)를 이용하여 보다 안전하고 수월하게 출입통로(11)를 지나 교량점검난간(5)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시설물점검용 출입문(10)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교량시설물점검용 출입문(10)은 회전판(110), 이동보조부(120), 두 개의 측면커버(130), 적어도 하나의 회전부재(140) 및 고정판(150)으로 구성된다.
회전판(110)은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회전부재(140)를 이용하여 상단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출입통로(11)를 개폐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판(110)은 회전판(110)의 상단이 출입구(11)의 바닥면의 전측 모서리 상단에 부착됨으로써 상방으로 회전 시 출입통로(11)의 전면을 폐쇄하고, 출입통로(11)의 전면을 폐쇄한 상태에서 하방으로 회전 시 출입통로(11)의 전면으로부터 멀어지면서 출입통로(11)를 개방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판(110)이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며 출입통로(11)를 개폐함에 따라, 교량바닥판(2) 상에 위치한 사용자는 출입문(10)이 열려있는 상태에서는 회전판(110)의 전면을, 출입문(10)이 닫혀있는 상태에서는 회전판(110)의 후면을 바라보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판(110)은 방호벽(3)에 형성된 출입통로(11)의 전면과 같거나, 전면보다 큰 면적을 가짐으로써, 출입문(10)이 닫힌 상태에서 출입통로(11)의 전면을 완전히 가릴 수 있다. 이때, 회전판(110)은 출입문(10)이 닫힌 상태에서 상측에 배치된 회전판(110)의 하단부가 방호벽(3)의 상단과 정렬되도록 위치됨으로써, 방호벽(3)의 상단으로 출입문(10)이 돌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회전판(110)은 출입통로(11)의 전면의 너비보다 큰 너비를 가질 수 있다. 회전판(110)이 출입통로(11)의 전면의 너비보다 큰 너비를 가짐으로써, 회전판(110)의 상방으로의 회전은 회전판(110)의 양 측단이 출입통로(11) 양측의 방호벽(3)과 접촉될 때 까지만 이루어진다.
다시 말하면, 회전판(110)의 너비가 출입통로(11)의 전면의 너비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회전판(110)이 출입통로(11)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이 방지되고, 이는 사용자가 출입문(10)의 회전 각도를 고려하지 않고 출입문(10)을 상방 회전이 가능할 때 까지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출입문(10)이 항상 일정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교량시설물(1) 점검 완료 후 출입문 폐쇄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회전판(110)이 방호벽(3)의 바깥으로 넘어가 출입통로(11)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교량시설물점검용 출입문(10)은 출입통로(11)를 개방 시 자중에 의해 회전판(110)의 후면과 방호벽(3)의 전면이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작업자의 인력에 의해 회전판(110)의 양 측단과 출입통로(11)의 양 측단에 위치한 방호벽(3)이 접촉할 때까지 상방 회전됨으로써 출입통로(11)를 폐쇄할 수 있다.
이동보조부(120)는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후단이 회전판(110)의 전면 하단에 회전판(110)의 너비를 따라 결합됨으로써 회전판(110)과 함께 회전한다. 출입문(10)이 닫혀있는 상태에서, 이동보조부(120)는 출입통로(11)의 상방에 배치됨으로써 출입통로(11)의 상방을 폐쇄한다.
한편, 출입문(10)이 열려있는 상태에서, 이동보조부(120)는 회전판(110)의 전면 하단으로부터 돌출되어 교량바닥판(2)과 출입통로(11) 사이에 평행하게 배치됨으로써 작업자가 출입통로(11)로 진입하기 위해 사용하는 발판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보조부(120)는 출입문(10)이 닫혀있는 상태에서는 출입통로(11)의 상방을 막아 외부에서 출입통로(11)의 상방을 통해 교량점검난간(5)에 출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출입문(10)이 열려있는 상태에서는 방호벽(3)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작업자가 보다 안전하게 방호벽(3)을 올라 출입통로(11)를 지날 수 있도록 발 받침대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동보조부(120)는 각각이 사각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베어링바(121), 각각이 사각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복수 개의 베어링바(121)의 양 끝단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두 개의 엔드바(122), 및 각각이 복수 개의 베어링바(121)와 격자 구조를 이루도록 복수 개의 베어링바(121)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복수 개의 크로스바(123)를 포함함으로써 격자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보조부(120)가 격자 구조로 이루어지는 경우, 그레이팅의 격자 구조 사이에 형성된 구멍에 손을 넣어 이동보조부(120)를 잡는 것이 가능함에 따라 작업자는 이동보조부(120)를 출입문(10)의 손잡이로써 이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작업자는 회전판(110)의 양 측단과 출입통로(11)의 양 측단에 위치한 방호벽(3)이 접촉되어 회전판(110)이 출입통로(11)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에서 이동보조부(120)의 격자 구조를 형성하는 베어링바(121) 또는 크로스바(123)를 잡은 상태로 출입문을 몸쪽으로 당겨 회전판(110)의 후면과 방호벽(3)의 전면이 접촉되도록 하방 회전 시킴으로써 출입통로(11)를 개방할 수 있다. 출입문(10)을 닫을 때에도 이동보조부(120)의 격자 구조 사이에 형성된 구멍에 손을 넣어 이동보조부(120)를 잡아 들어 올림으로써 출입문(10)을 닫을 수 있다.
이처럼, 이동보조부(120)가 격자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출입문(10)이 닫혀있는 상태에서 일반 보행자가 바라보는 회전판(110)의 후면에 별도의 손잡이를 설치하지 않아도 회전판(110)의 상측에 배치된 이동보조부(120)를 손잡이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는, 일반 보행자가 출입문(10)을 문으로서 인식하는 것을 어렵게 함으로써 일반 보행자가 출입문(10)의 개방을 시도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보조부(120)의 너비는 회전판(110)의 너비 및 출입통로(11)의 전면의 너비보다 작다. 이는, 출입통로(11)의 폐쇄를 위해 출입문(10)을 상방회전 시킬 때, 이동보조부(120)의 양측이 출입통로(11) 양 측의 방호벽(3)에 걸려 출입문(10)이 더 이상 회전하지 않는 상황, 즉 닫히지 않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이동보조부(120)가 복수 개의 베어링바(121), 두 개의 엔드바(122) 및 복수 개의 크로스바(123)를 포함하는 격자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이동보조부(120)는 회전판(110)에 비해 상대적으로 무거운 무게를 가지게 되고, 이는 방호벽(3)이 교량시설물(1)의 바깥 방향으로 다소 경사지게 이루어진 경우 출입문(10)의 폐쇄된 상태에서 출입문(10)에는 이동보조부(120)의 무게에 의해 방호벽(3)의 바깥방향을 향하는 힘이 가해지므로 별도의 잠금장치를 이용하지 않아도 출입문(10)이 폐쇄 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교량시설물점검용 출입문(10)은 일반 보행자가 출입문(10)을 개폐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잠금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잠금장치는 자물쇠, 걸쇠 등 다양한 방식의 잠금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보조부(12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보조부(120)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 개의 베어링바(121) 중 적어도 하나의 상단이 톱니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보조부(120)의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바(121)의 상단이 톱니모양으로 형성됨으로써 작업자의 신발과 이동보조부(120) 사이의 마찰력이 증가함에 따라 작업자가 이동보조부(120)를 발판으로 이용 시 미끄러지지 않고 보다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다.
각 측면커버(130)는 다각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면이 상기 회전판(110)의 일 측단 및 상기 이동보조부(120)의 일 측단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판(110)과 상기 이동보조부(120) 사이를 연결함으로써 상기 회전판(110)과 상기 이동보조부(120) 사이의 결합력을 증가시키고, 상기 이동보조부(120)에 인가되는 하중을 상기 회전판(110)으로 분산시킴으로써 발판으로서의 이동보조부(120)의 안전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각 측면커버(130)는 삼각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삼각판의 제1 단은 회전판(110)의 전면에 수직하게 결합되고, 제2 단은 이동보조부(120)의 일측단에 수직하게 결합됨에 따라 삼각판의 제3 단이 작업자를 향해 노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측면커버(130)가 삼각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각 측면커버(130)가 작업자를 향해 모서리와 같은 돌출부를 형성하지 않기 때문에 작업자의 안전 도모에 유리하다.
각 회전부재(140)는 회전판(110)의 상단에 결합하여 회전판(110)을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부재(140)는 힌지일 수 있다. 힌지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힌지의 하단이 회전판(110)의 상단에 결합되고, 힌지의 상단이 출입통로(11)의 바닥으로 노출된 방호벽(3), 즉 출입통로(11)의 바닥면 전측 모서리 상단에 부착됨으로써 회전판(110)이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며 출입통로(11)를 개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시설물점검용 출입문(10)에서 보다 안정적인 회전판(110)의 회전을 위해 회전부재(140)는 두 개 이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시설물점검용 출입문(10)은 힌지 방식으로 회전판(110)을 회전시키며 출입통로(11)를 개폐함에 따라 출입문(10)의 개폐 시 방호벽(3) 또는 다른 구성과의 마찰력 발생이 최소화되므로 개폐가 용이하다.
고정판(150)은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바닥면이 출입통로(11)의 바닥으로 노출된 방호벽(3)에 접하도록 설치된다. 각 회전부재(140)는 고정판(150)을 관통하는 나사를 이용하여 출입통로(11)의 바닥으로 노출된 방호벽(3), 즉 출입통로(11)의 바닥면에 결합됨으로써 방호벽(3)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시설물점검용 출입문(10)의 동작을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방호벽(3)은 교량바닥판(2)에 대해 비스듬한 경사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때 교량시설물점검용 출입문(10)은 열려있는 상태에서 자중에 의해 방호벽(3)의 전면과 교량시설물점검용 출입문(10)의 회전판(110)의 후면이 서로 접촉된다. 이와 같이, 교량시설물점검용 출입문(10)이 열려있는 상태에서 회전판(110)의 후면이 방호벽(3)의 전면에 접촉함에 따라 회전판(110)은 방호벽(3)에 의해 지지되고, 이에 따라 작업자가 이동보조부(120)를 발판으로 이용 시 이동보조부(120)의 흔들림이 방지되고 보다 안정적으로 이동보조부(120)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시설물점검용 출입문(10)이 열려있는 상태에서 이동보조부(120)의 상면은 교량바닥판(2)에 대해 수평하게 배치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이동보조부(120)의 상면과 회전판(110)의 전면이 이루는 각도를 A, 방호벽(3)의 전면이 교량바닥판(2)과 이루는 각도를 B 라고 하면, 각도 A 및 각도 B는 아래와 같은 수학식 1을 만족한다
[수학식 1]
A=180-B
위의 수학식 1을 만족하도록 이동보조부(120)와 회전판(110)이 결합되는 경우 교량시설물점검용 출입문(10)이 닫혀있는 상태에서 회전판(110)의 후면이 방호벽(3)의 전면과 평행하게 위치될 수 있어 교량시설물점검용 출입문(10)의 은폐에 더욱 유리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교량시설물점검용 출입문(10)은 방호벽(3)의 상단을 일정 깊이로 절단하여 형성된 출입통로(11)를 개폐하는 교량시설물점검용 출입문에 있어서,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판(110)의 상단이 출입통로(11)의 하방에 위치됨으로써 회전판(110)의 상하방향 회전에 의해 출입통로(11)가 개폐되어 일반 보행자에게 교량시설물점검용 출입문(10)이 교량시설물(1)로 진입하기 위한 출입문임을 은폐하기 용이하고,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이동보조부(120)의 후단이 회전판(110)의 전면에 고정됨으로써 교량시설물점검용 출입문(10)의 개방 시 작업자가 이동보조부(120)를 발판으로 이용할 수 있어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교량시설물
2: 교량바닥판
3: 방호벽
10: 교량시설물점검용 출입문
11: 출입통로
110: 회전판
120: 이동보조부

Claims (9)

  1. 교량점검난간의 출입을 위해 방호벽의 상단을 일정 깊이로 절단함으로써 교량바닥판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형성된 출입통로를 개폐하기 위한 교량시설물점검용 출입문에 있어서,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출입통로(11)를 개폐하는 회전판(110); 및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후단이 상기 회전판(110)의 전면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회전판(110)과 함께 회전하는 이동보조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판(110)은 상기 회전판(110)의 상단이 상기 출입통로(11)의 바닥면의 전측 모서리 상단에 부착됨으로써 상방으로 회전 시 상기 출입통로(11)의 전면을 폐쇄하고, 상기 출입통로(11)의 전면을 폐쇄한 상태에서 하방으로 회전 시 상기 출입통로(11)를 개방하고,
    상기 이동보조부(120)는 상기 이동보조부(120)의 후단이 상기 회전판(110)의 너비를 따라 상기 회전판(110)의 전면 하단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회전판(110)이 상기 출입통로(11)의 전면을 폐쇄 시 상기 출입통로(11)의 상방을 폐쇄하고, 상기 회전판(110)이 상기 출입통로(11)를 개방 시 상기 교량바닥판(2)과 상기 출입통로(11) 사이에 상기 교량바닥판(2)과 평행하게 배치됨에 따라 작업자에 의해 발받침으로 이용될 수 있고,
    상기 회전판(110)은 상기 출입통로(11)의 전면의 너비보다 큰 너비를 가지고,
    자중에 의해 상기 회전판(110)의 후면과 상기 방호벽(3)의 전면이 접촉된 상태로 상기 출입통로(11)를 개방하고 있는 상기 교량시설물점검용 출입문은 상기 작업자의 인력에 의해 상기 회전판(110)의 양 측단과 상기 출입통로(11)의 양 측단에 위치한 방호벽(3)이 접촉될 때 까지 상방 회전됨으로써 상기 출입통로(11)를 폐쇄하고,
    상기 이동보조부(120)는
    각각이 사각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베어링바(121);
    각각이 사각 평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베어링바(121)의 양 끝단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두 개의 엔드바(122); 및
    각각이 봉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복수 개의 베어링바(121)를 수직 관통하는 복수 개의 크로스바(123)를 포함함으로써 격자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작업자는 상기 회전판(110)의 양 측단과 상기 출입통로(11)의 양 측단에 위치한 방호벽(3)이 접촉되어 상기 회전판(110)이 상기 출입통로(11)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격자구조로 이루어진 이동보조부(120)를 손잡이로써 잡은 상태로 몸쪽으로 당겨 상기 회전판(110)의 후면과 상기 방호벽(3)의 전면이 접촉되도록 하방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출입통로(11)를 개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시설물점검용 출입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베어링바(121) 중 적어도 하나는 상단이 톱니모양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작업자의 신발과 상기 이동보조부(120) 사이의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시설물점검용 출입문.
  6. 제 5 항에 있어서,
    각각이 다각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면이 상기 회전판(110)의 일 측단 및 상기 이동보조부(120)의 일 측단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판(110)과 상기 이동보조부(120) 사이를 연결함으로써 상기 회전판(110)과 상기 이동보조부(120) 사이의 결합력을 증가시키고, 상기 이동보조부(120)에 인가되는 하중을 상기 회전판(110)으로 분산시키는 두 개의 측면커버(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시설물점검용 출입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측면커버(130)는 삼각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삼각판의 제1 단은 상기 이동보조부(120)의 일 측단에, 상기 삼각판의 제2 단은 상기 회전판(110)의 일 측단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삼각판의 제3 단이 상기 작업자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시설물점검용 출입문.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110)의 전면과 상기 이동보조부(120)의 상면이 이루는 각도를 A, 상기 교량바닥판(2)과 상기 방호벽(3)이 이루는 각도를 B라고 할 때, A와 B는 다음의 수학식을 만족함에 따라 상기 교량시설물점검용 출입문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판(110)의 후면 전체가 상기 방호벽(3)의 전면에 밀착되어 상기 방호벽(3)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이동보조부(120)가 상기 교량바닥판(2)에 대해 수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시설물점검용 출입문.
    수학식: A=180-B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보조부(120)는 상기 출입통로(11)의 전면의 너비보다 작은 너비를 가짐으로써 상기 출입통로(11)의 폐쇄 시 상기 출입통로(11)로 삽입되어 상기 출입통로(11)의 상방을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시설물점검용 출입문.
KR1020230169655A 2023-11-29 2023-11-29 교량시설물점검용 출입문 KR102642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69655A KR102642670B1 (ko) 2023-11-29 2023-11-29 교량시설물점검용 출입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69655A KR102642670B1 (ko) 2023-11-29 2023-11-29 교량시설물점검용 출입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2670B1 true KR102642670B1 (ko) 2024-03-04

Family

ID=90297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69655A KR102642670B1 (ko) 2023-11-29 2023-11-29 교량시설물점검용 출입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267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83479A (ja) * 1990-11-20 1992-06-30 Natl House Ind Co Ltd 避難装置
KR200177062Y1 (ko) * 1999-11-17 2000-04-15 용마기술개발주식회사 교량점검시설의 방호벽 출입장치
KR200254645Y1 (ko) * 2001-08-08 2001-12-01 주식회사 용마엔지니어링 교량점검시설 출입용 보조사다리
KR200286103Y1 (ko) * 2002-05-27 2002-08-21 한국도로공사 교량점검대의 출입장치
KR101182207B1 (ko) * 2012-03-20 2012-09-14 김원주 안전구조의 교량점검용 출입사다리
KR20170082760A (ko) * 2016-01-07 2017-07-17 전하철 식별 기능 부가형 조선소용 발판 고정구 세트
KR102534306B1 (ko) * 2022-12-28 2023-05-17 김용익 선체용 현문 개폐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83479A (ja) * 1990-11-20 1992-06-30 Natl House Ind Co Ltd 避難装置
KR200177062Y1 (ko) * 1999-11-17 2000-04-15 용마기술개발주식회사 교량점검시설의 방호벽 출입장치
KR200254645Y1 (ko) * 2001-08-08 2001-12-01 주식회사 용마엔지니어링 교량점검시설 출입용 보조사다리
KR200286103Y1 (ko) * 2002-05-27 2002-08-21 한국도로공사 교량점검대의 출입장치
KR101182207B1 (ko) * 2012-03-20 2012-09-14 김원주 안전구조의 교량점검용 출입사다리
KR20170082760A (ko) * 2016-01-07 2017-07-17 전하철 식별 기능 부가형 조선소용 발판 고정구 세트
KR102534306B1 (ko) * 2022-12-28 2023-05-17 김용익 선체용 현문 개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17144B2 (en) Hatchway safety grab post safety barrier and grate
US11142913B2 (en) Balustrade apparatus
US8756869B1 (en) In-ground storm shelter with sliding door
KR101863901B1 (ko) 접이식 발코니 난간대 겸용 화재·재난 피난 시설
EP2122068B1 (en) An improved fall safety barrier
KR101099764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US7428800B1 (en) In-ground shelter
KR101182207B1 (ko) 안전구조의 교량점검용 출입사다리
KR100937336B1 (ko) 화재 도피 수단이 구비된 안전 난간대
US20140026486A1 (en) Adjustable safety barrier system
US8646225B2 (en) In-ground shelter
KR102642670B1 (ko) 교량시설물점검용 출입문
KR101843842B1 (ko) 발코니 난간대 겸용 화재·재난 피난 시설
KR101756054B1 (ko) 갱폼 작업자 추락 방지용 접이식 위험표시장치
US9453311B2 (en) Access gate and associated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KR102664325B1 (ko) 교량시설물 점검출입문용 높이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점검출입문시스템
JP6402042B2 (ja) プラットホーム昇降用設備の設置方法
KR101912178B1 (ko) 접이식 2단구조를 갖는 안전난간
JP2000144643A (ja) 高架道路の非常脱出設備
FR2552525A1 (fr) Dispositif de protection provisoire, de longueur variable et a montage rapide
KR102240645B1 (ko) 개폐형 작업발판
KR100923208B1 (ko) 베란다 난간을 이용한 구난 사다리
JP3139974B2 (ja) 工事用エレベータ装置
KR102602687B1 (ko) 하향식 피난구
US5749438A (en) Safety device for emergency exi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