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4306B1 - 선체용 현문 개폐 장치 - Google Patents

선체용 현문 개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4306B1
KR102534306B1 KR1020220186723A KR20220186723A KR102534306B1 KR 102534306 B1 KR102534306 B1 KR 102534306B1 KR 1020220186723 A KR1020220186723 A KR 1020220186723A KR 20220186723 A KR20220186723 A KR 20220186723A KR 102534306 B1 KR102534306 B1 KR 102534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ramp
lamp
extension
hu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6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익
이준호
Original Assignee
김용익
재단법인 중소조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익, 재단법인 중소조선연구원 filed Critical 김용익
Priority to KR1020220186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43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4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43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ramps, gangways or outboard ladders ; Pilot lifts
    • B63B27/143R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4Stanchions; Guard-rails ; Bulwarks or the like
    • B63B2017/045Bulwarks, or the lik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체(船體)의 갑판(1) 외측에 형성된 난간(bulwalk, 2)의 개구된 부분을 개폐하도록 각각 결합되되, 좌우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힌지 결합된 제1 현문바디(100a) 및 제2 현문바디(100b)로 구성되고, 상기 제1 현문바디(100a)는 상방으로 연장되어 개구된 램프결합부(110)가 형성되어 '
Figure 112022140984183-pat00005
'자형의 단면을 갖는 현문바디(100a, 100b)와; 상기 제1 현문바디(100a)의 램프결합부(110)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힌지 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램프결합부(110)를 개폐하고, 전방에는 미끄럼방지용 바(210)가 결합된 램프(ramp, 200)와; 상기 램프(200)의 상하 방향 길이를 연장하도록 상기 램프(200)의 상방으로 인입출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방에는 미끄럼방지용 바(310)가 결합되며, 후방에는 경사면(320)이 형성된 익스텐션(extension, 300)과; 상기 제1 현문바디(100a) 및 램프(200)에 결합되고, 상기 램프(200)의 상하 방향의 회전을 단속하여 상기 램프결합부(110)의 개방 또는 폐쇄 상태를 고정하는 램프회전단속수단(400)과; 상기 램프(200) 및 익스텐션(300)에 결합되고, 모터(51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익스텐션(300)을 인입출 작동시키는 액추에이터(actuator, 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용 현문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선체용 현문 개폐 장치{gangway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hull}
본 발명은 선체용 현문 개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체용 난간(bulwalk)을 개폐하는 현문 기능을 수행하되, 한 쌍이 좌우 방향으로 개폐되는 기능과 더불어 한 쌍의 현문 중에서 어느 하나는 상하 방향으로 개폐가 가능하게 구성된 램프(ramp)를 통하여 도교(渡橋) 기능을 함께 수행함에 따라 선원의 통행 및 하역작업이 보다 안전하고 용이하도록 한 선체용 현문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船舶)은 물에 떠서 사람, 가축, 물자를 싣고, 물 위로 이동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용도에 따라 군함, 상선, 어선 및 그 밖의 배(특수선)로 분류되고, 재료에 따라 목선, 철선, FRP(Fiber Reinforced Plastics:섬유강화플라스틱)선, 알루미늄선 등이 있다.
선박의 일반적인 구조를 살펴보면, 선박 전체를 선체(船體, Hull), 선체의 앞쪽 부분을 선수(船首, Bow), 선체의 뒤쪽 부분을 선미(船尾, Stern)라 하고, 길이방향의 선체 중심선을 기준으로, 선박의 오른쪽은 우현(Starboard), 왼쪽은 좌현(Port)이다.
이러한 선박들은 도 1의 (가) 및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원 및 의장품이 위치하는 나무나 철판으로 깔아 놓은 넓고 평평한 바닥의 갑판(deck, 1) 상으로 파도가 올라오는 것과 선원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갑판의 외측에 난간(bulwalk, 2)이 결합된다. 선원의 통행 및 하역작업이 용이하도록 상기 난간의 일부를 개구하고 개구된 부분을 개폐하는 현문(gangway, 10)이 결합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현문(gangway, 10)은 좌우 방향으로 개폐되는 문이 한 쌍으로 구성되어 평소에는 폐쇄시켜 난간(2)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고 선원의 승하선을 위한 통행 및 하역작업 시에는 개방시키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현문은 좌우 방향으로만 개폐되는 기능에 한정됨으로 인하여 암벽 또는 부두, 다른 선박 간에 선원의 통행을 위해 개방시킨 상태 또는 폐쇄된 상태에서 뛰어내리거나 뛰어오르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추락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상기 현문에 별도의 램프(ramp)나 도교(渡橋), 사다리를 설치하고 암벽 또는 부두, 다른 선박과 연결하여 선원의 통행 및 하역작업이 보다 안전하도록 유도하였으나 도교 또는 사다리를 현문으로 이동시켜 연결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기 때문에 선원의 통행의 경우 여전히 도교 또는 사다리의 설치없이 위험하게 승하선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예컨대, 등록특허공보 제10-2416632호(2022.06.29)에는 선박용 회전식 현문 사다리가 제안된 바 있으나, 회전 기능만 부가되었을 뿐 현문을 개방하고 별도로 사다리를 조작해야하는 불편함은 여전하고, 부피를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크루즈선 및 컨테이너선과 같은 대형 선박에만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선체용 난간(bulwalk)을 개폐하는 현문 기능을 수행하되, 한 쌍이 좌우 방향으로 개폐되는 기능과 더불어 한 쌍의 현문 중에서 어느 하나는 상하 방향으로 개폐가 가능하게 구성된 램프(ramp)를 통하여 도교(渡橋) 기능을 함께 수행함에 따라 선원의 통행 및 하역작업이 보다 안전하고 용이하도록 한 선체용 현문 개폐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선체(船體)의 갑판(1) 외측에 형성된 난간(bulwalk, 2)의 개구된 부분을 개폐하도록 각각 결합되되, 좌우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힌지 결합된 제1 현문바디(100a) 및 제2 현문바디(100b)로 구성되고, 상기 제1 현문바디(100a)는 상방으로 연장되어 개구된 램프결합부(110)가 형성되어 '
Figure 112022140984183-pat00001
'자형의 단면을 갖는 현문바디(100a, 100b)와; 상기 제1 현문바디(100a)의 램프결합부(110)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힌지 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램프결합부(110)를 개폐하고, 전방에는 미끄럼방지용 바(210)가 결합된 램프(ramp, 200)와; 상기 램프(200)의 상하 방향 길이를 연장하도록 상기 램프(200)의 상방으로 인입출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방에는 미끄럼방지용 바(310)가 결합되며, 후방에는 경사면(320)이 형성된 익스텐션(extension, 300)과; 상기 제1 현문바디(100a) 및 램프(200)에 결합되고, 상기 램프(200)의 상하 방향의 회전을 단속하여 상기 램프결합부(110)의 개방 또는 폐쇄 상태를 고정하는 램프회전단속수단(400)과; 상기 램프(200) 및 익스텐션(300)에 결합되고, 모터(51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익스텐션(300)을 인입출 작동시키는 액추에이터(actuator, 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용 현문 개폐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현문바디(100a) 및 제2 현문바디(100b) 각각은, 폐쇄된 상태를 고정하는 고정핀이 삽입되는 좌우고정부재(120)가 결합되고, 폐쇄시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경사면(13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현문바디(100a)는, 상기 난간(bulwalk, 2)의 개구된 부분과 힌지 결합되도록 측방에 결합된 제1 힌지부(140)와, 상기 램프(ramp, 200)와 힌지 결합되도록 상기 램프결합부(110)의 하방에 결합된 제2 힌지부(150)와, 상기 램프(200)의 폐쇄된 상태를 고정하는 고정핀이 삽입되는 상하고정부재(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램프(ramp, 200) 및 익스텐션(extension, 300) 각각은, 상기 익스텐션(300)의 인입출 작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램프(ramp, 200)에는 가이드레일(guide rail, 220)이 결합되고, 상기 익스텐션(extension, 300)에는 상기 가이드레일(220)을 따라 슬라이딩 작동하는 슬라이딩바(sliding bar, 33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램프(ramp, 200)는, 상기 익스텐션(300)이 내부로 인입된 경우 인입출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힌지 결합되는 램프커버(230)와, 상기 램프결합부(110)가 폐쇄된 경우 상기 램프결합부(110) 내측으로 파도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양측에 돌출되어 형성된 유입방지판(2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익스텐션(extension, 300)은, 인출되어 상기 램프(200)와 함께 도교(渡橋)로 사용할 경우 통행 및 하역작업이 용이하도록 끝단에 힌지 결합되는 확장발판(3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램프회전단속수단(400)은, 상기 제1 현문바디(100a)에 결합되고, 수동 또는 자동으로 회전하는 윈치롤러(winch roller, 410)와, 상기 제1 현문바디(100a)에 결합된 가이드롤러(guide roller, 420)와, 일측은 상기 원치롤러(410)에 감겨지고 타측은 상기 가이드롤러(420)를 경유하여 상기 램프(200)에 결합된 윈치와이어(winch wire, 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램프회전단속수단(400)은, 자동 방식인 경우에는 상기 윈치롤러(winch roller, 410)에는 전동 또는 유압 모터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액추에이터(actuator, 500)는, 상기 상기 램프(200)에 결합된 모터(510)의 출력축과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볼스크류(ball screw, 520)와, 상기 익스텐션(extension, 300)에 결합되되, 볼스크류(52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익스텐션(300)이 직선운동하도록 상기 볼스크류(520)에 결합된 볼부시(ball bush, 5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램프회전단속수단(400) 및 액추에이터(actuator, 500)의 작동을 조작하도록 상기 갑판 또는 조타실에 설치된 조작수단(6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체용 현문 개폐 장치는,
첫째, 선체용 난간(bulwalk)을 개폐하는 현문 기능을 수행하되, 한 쌍이 좌우 방향으로 개폐되는 기능과 더불어 한 쌍의 현문 중에서 어느 하나는 상하 방향으로 개폐가 가능하게 구성된 램프(ramp)를 통하여 도교(渡橋) 기능을 함께 수행함에 따라 선원의 통행 및 하역작업이 보다 안전하고 용이한 효과가 있다.
둘째, 익스텐션(extension)을 통하여 상기 램프(ramp)의 길이를 연장 가능함에 따라 선원의 통행 및 하역작업의 가능 거리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램프회전단속수단 및 액추에이터(actuator)를 통하여 램프(ramp)의 개폐 작동, 익스텐션의 인입출 작동을 자동으로 수행함에 따라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의 (가) 및 (나)는 종래 기술에 따른 선체용 현문 개폐장치의 폐쇄상태, 개방상태를 각각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체용 현문 개폐 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한 현문바디, 램프 및 익스텐션의 결합된 모습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의 (가) 및 (나)는 도 2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선체의 난간에 설치하고, 현문바디의 폐쇄상태 및 개방상태를 각각 도시한 도면
도 4의 (가) 및 (나)는 도 2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선체의 난간에 설치하고, 램프의 개방상태 및 익스텐션의 인출상태를 각각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2의 실시예 중 제1 현문바디를 분해하여 확대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2의 실시예 중 램프를 분해하여 확대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2의 실시예 중 익스텐션을 분해하여 확대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2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램프회전단속수단 및 액추에이터의 작동에 따라 램프 및 익스텐션이 암벽 또는 부두에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2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액추에이터가 보이도록 램프 및 익스텐션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선체용 현문 개폐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조작수단 및 이와 연계된 구성의 관계를 나타낸 블럭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하며 비록 종래기술과 동일한 부호가 표시되더라도 종래기술은 그 자체로 해석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체용 선미 파도막이 장치의 일 실시예는 도 2 내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문바디(100a, 100b), 램프(ramp, 200), 익스텐션(extension, 300), 램프회전단속수단(400) 및 액추에이터(actuator, 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조작수단(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현문바디(gangway body, 100a, 100b)는 도 2 내지 5 및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船體)의 갑판(1) 외측에 형성된 난간(bulwalk, 2)의 개구된 부분을 개폐하도록 각각 결합되되, 좌우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힌지 결합된 제1 현문바디(100a) 및 제2 현문바디(100b)로 구성되고, 상기 제1 현문바디(100a)는 상방으로 연장되어 개구된 램프결합부(110)가 형성되어 '
Figure 112022140984183-pat00002
'자형의 단면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제1 현문바디(100a) 및 제2 현문바디(100b)는 좌우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개폐되되, 상기 제1 현문바디(100a)에는 후술할 램프(ramp, 200)가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램프결합부(110)를 개폐하도록 결합된다. 즉, 현문바디(100a, 100b)를 좌우 방향으로만 개방이 필요한 경우에는 도 3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현문바디(100a) 및 제2 현문바디(100b) 모두를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켜 개방시킨다. 선원의 통행 또는 하역작업과 같이 상기 램프(200)의 개방이 필요한 경우에는 도 4의 (가) 및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램프(ramp, 200)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켜 개방시키도록 하고, 이때 상기 제2 현문바디(100b)는 필요에 따라 좌우 방향으로 개방되거나 폐쇄시킬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제1 현문바디(100a)는 상방으로 연장되어 개구된 램프결합부(110)가 형성되어 '
Figure 112022140984183-pat00003
'자형의 단면을 갖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현문바디(100a) 및 제2 현문바디(100b) 각각은 폐쇄된 상태를 고정하는 고정핀이 삽입되는 좌우고정부재(120)가 결합되고, 폐쇄시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경사면(130)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130)을 형성시킨 이유는 상기 제1 현문바디(100a) 및 제2 현문바디(100b)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 현문바디(100a)를 개방시켜야만 상기 제2 현문바디(100b)가 개방되도록 하기 위함으로서 좌우고정부재(120)에 고정핀을 삽입하지 않더라도 상기 제1 현문바디(100a)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제2 현문바디(100b)가 불필요하게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고정핀은 상기 제1 현문바디(100a) 또는 제2 현문바디(100b)에 고정핀보관통을 두어 분실을 방지할 수 있고, 개방된 상태를 고정하도록 상기 난간에 고정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현문바디(100a)는 상기 난간(bulwalk, 2)의 개구된 부분과 힌지 결합되도록 측방에 결합된 제1 힌지부(140)와, 상기 램프(ramp, 200)와 힌지 결합되도록 상기 램프결합부(110)의 하방에 결합된 제2 힌지부(150)와, 상기 램프(200)의 폐쇄된 상태를 고정하는 고정핀이 삽입되는 상하고정부재(1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힌지부(140)는 제2 현문바디(100b)에도 결합되어 각각 좌우 방향으로 회전되되, 개방시 난간의 내측 갑판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힌지부(150)는 상기 램프(200)가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되, 개방시 난간의 외측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램프(ramp, 200)는 도 2 내지 4, 6 및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현문바디(100a)의 램프결합부(110)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힌지 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램프결합부(110)를 개폐하고, 전방에는 미끄럼방지용 바(210)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램프(ramp, 200)는 선원의 통행 및 하역작업을 위하여 암벽 또는 부두, 다른 선박과 연결하여 도교(渡橋) 기능을 수행하는 수단으로서, 후술할 익스텐션(extension, 300)과 함께 그 기능을 수행한다.
익스텐션(extension, 300)은 도 2, 4, 7 및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램프(200)의 상하 방향 길이를 연장하도록 상기 램프(200)의 상방으로 인입출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방에는 미끄럼방지용 바(310)가 결합되며, 후방에는 경사면(320)이 형성된다.
상기 익스텐션(extension, 300)의 후방에 경사면(320)을 형성시킨 이유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램프(ramp, 200)와 함께 선원의 통행 및 하역작업을 위하여 암벽 또는 부두, 다른 선박과 연결할 경우 대부분 하향 경사지게 연결되기 때문에 이것을 고려하여 암벽 또는 부두, 다른 선박과 맞닿는 부분 즉, 후방에 경사면(320)을 두어 연결부분의 높이 단차를 줄여 보다 안정적으로 연결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램프(200) 및 익스텐션(extension, 300)의 전방에 돌출되어 결합된 미끄럼방지용 바(210, 310)는 하향 경사지게 연결되더라도 통행 및 하역작업시 선원 및 하역물이 램프(200) 및 익스텐션(extension, 300)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시킨 것이다.
또한, 상기 램프(ramp, 200) 및 익스텐션(extension, 300) 각각은 상기 익스텐션(300)의 인입출 작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램프(ramp, 200)에는 가이드레일(guide rail, 220)이 결합되고, 상기 익스텐션(extension, 300)에는 상기 가이드레일(220)을 따라 슬라이딩 작동하는 슬라이딩바(sliding bar, 330)가 결합된다. 상기 가이드레일(guide rail, 220) 및 슬라이딩바(sliding bar, 330) 각각은 좌우 양측에 1개씩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램프(ramp, 200)는 상기 익스텐션(300)이 내부로 인입된 경우 인입출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힌지 결합되는 램프커버(230)와, 상기 램프결합부(110)가 폐쇄된 경우 상기 램프결합부(110) 내측으로 파도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양측에 돌출되어 형성된 유입방지판(240)을 더 포함한다. 램프커버(230)를 구성시킨 이유는 인입출 개구부를 통해 빗물, 바닷물,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유입방지판(240)에는 후술할 램프회전단속수단(400)의 윈치와이어(winch wire, 430)의 타측이 결합되는 와이어결합판(241)이 결합된다.
또한, 상기 램프(200)는 폐쇄된 경우 상기 제1 현문바디(100a)에 구성된 상하고정부재(160)와 연통되는 램프고정부재(250)를 더 포함하고, 연통된 상태에서 고정핀을 삽입하여 그 상태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익스텐션(extension, 300)은 인출되어 상기 램프(200)와 함께 도교(渡橋)로 사용할 경우 통행 및 하역작업이 용이하도록 끝단에 힌지 결합되는 확장발판(340)을 더 포함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 작동에 따라 암벽 또는 부두, 다른 선박과 맞닿는 부분의 높이 단차를 줄여 보다 안정적으로 연결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램프회전단속수단(400)은 도 5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현문바디(100a) 및 램프(200)에 결합되고, 상기 램프(200)의 상하 방향의 회전을 단속하여 상기 램프결합부(110)의 개방 또는 폐쇄 상태를 고정하는 수단이다.
이를 위해, 상기 램프회전단속수단(400)은 상기 제1 현문바디(100a)에 결합되고, 수동 또는 자동으로 회전하는 윈치롤러(winch roller, 410)와, 상기 제1 현문바디(100a)에 결합된 가이드롤러(guide roller, 420)와, 일측은 상기 원치롤러(410)에 감겨지고 타측은 상기 가이드롤러(420)를 경유하여 상기 램프(200)에 결합된 윈치와이어(winch wire, 430)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롤러(420)는 램프(200)의 개폐 작동시 상기 윈치롤러(410)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힘의 방향을 바꾸면서 힘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 구성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램프회전수단(400)은 윈치(winch) 방식을 통하여 상기 램프(200)의 상하 방향의 회전을 단속하는 수단으로서, 폐쇄된 상태에서 윈치와이어(430)를 풀어주면 상기 램프(200)의 무게 및 중력에 의해 상기 램프(200)가 하방으로 회전하여 개방되고, 개방된 상태에서 윈치와이어(430)를 감아주면 당기는 힘에 의해 상방으로 회전하여 폐쇄된다.
여기서, 상기 램프회전단속수단(400)은 자동 방식인 경우에는 상기 윈치롤러(winch roller, 410)에는 전동 또는 유압 모터가 결합된다. 수동 방식인 경우에는 상기 윈치롤러에 레버 또는 핸들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이때 윈치롤러(410)의 현 상태를 고정시키도록 고정핀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actuator, 500)는 상기 램프(200) 및 익스텐션(300)에 결합되고, 모터(51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익스텐션(300)을 인입출 작동시키는 수단이다.
이를 위해, 상기 액추에이터(actuator, 500)는 상기 상기 램프(200)에 결합된 모터(510)의 출력축과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볼스크류(ball screw, 520)와, 상기 익스텐션(extension, 300)에 결합되되, 볼스크류(52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익스텐션(300)이 직선운동하도록 상기 볼스크류(520)에 결합된 볼부시(ball bush, 5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모터(510)는 전동 또는 유압 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볼스크류(ball screw, 520) 및 볼부시(ball bush, 530)는 상기 모터(510)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해 구성된 것으로서, 이를 통해 상기 볼부시(ball bush, 530)에 결합된 상기 익스텐션(extension, 300)이 직선운동하면서 상기 램프(200)의 상방으로 인입출 작동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선체용 현문 개폐 장치의 다른 실시예로서 현문바디(100a, 100b), 램프(ramp, 200), 익스텐션(extension, 300), 램프회전단속수단(400) 및 액추에이터(actuator, 500)를 포함하면서 조작수단(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조작수단(60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램프회전단속수단(400) 및 액추에이터(actuator, 500)의 작동을 조작하도록 상기 갑판 또는 조타실에 설치된다. 즉, 상기 램프회전단속수단(400)이 자동 방식인 경우 전동 또는 유압 모터의 정역회전을 조작하고, 상기 액추에이터(actuator, 500)는 모터(510)의 정역회전을 조작하기 위해 구성되며, 갑판 또는 조타실, 난간을 포함하여 선원이 조작하기 용이한 위치에 설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선체용 현문 개폐 장치는, 첫째, 선체용 난간(bulwalk)을 개폐하는 현문 기능을 수행하되, 한 쌍이 좌우 방향으로 개폐되는 기능과 더불어 한 쌍의 현문 중에서 어느 하나는 상하 방향으로 개폐가 가능하게 구성된 램프(ramp)를 통하여 도교(渡橋) 기능을 함께 수행함에 따라 선원의 통행 및 하역작업이 보다 안전하고 용이한 효과가 있다.
둘째, 익스텐션(extension)을 통하여 상기 램프(ramp)의 길이를 연장 가능함에 따라 선원의 통행 및 하역작업의 가능 거리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램프회전단속수단 및 액추에이터(actuator)를 통하여 램프(ramp)의 개폐 작동, 익스텐션의 인입출 작동을 자동으로 수행함에 따라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갑판 2 : 난간
100 : 현문바디 100a : 제1 현문바디
100b : 제2 현문바디 110 : 램프결합부
120 : 좌우고정부재 130 : 경사면
140 : 제1 힌지부 150 : 제2 힌지부
160 : 상하고정부재
200 : 램프 210 : 미끄럼방지용 바
220 : 가이드레일 230 : 램프커버
240 : 유입방지판
300 : 익스텐션 310 : 미끄럼방지용 바
320 : 경사면 330 : 슬라이딩바
340 : 확장발판
400 : 램프회전단속수단 410 : 윈치롤러
420 : 가이드롤러 430 : 윈치와이어
500 : 액추에이터 510 : 모터
520 : 볼스크류 530 : 볼부시
600 : 조작수단

Claims (10)

  1. 선체(船體)의 갑판(1) 외측에 형성된 난간(bulwalk, 2)의 개구된 부분을 개폐하도록 각각 결합되되, 좌우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힌지 결합된 제1 현문바디(100a) 및 제2 현문바디(100b)로 구성되고, 상기 제1 현문바디(100a)는 상방으로 연장되어 개구된 램프결합부(110)가 형성되어 '
    Figure 112023032926214-pat00004
    '자형의 단면을 갖는 현문바디(100a, 100b)와;
    상기 제1 현문바디(100a)의 램프결합부(110)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힌지 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램프결합부(110)를 개폐하고, 전방에는 미끄럼방지용 바(210)가 결합된 램프(ramp, 200)와;
    상기 램프(200)의 상하 방향 길이를 연장하도록 상기 램프(200)의 상방으로 인입출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방에는 미끄럼방지용 바(310)가 결합되며, 후방에는 경사면(320)이 형성된 익스텐션(extension, 300)과;
    상기 제1 현문바디(100a) 및 램프(200)에 결합되고, 상기 램프(200)의 상하 방향의 회전을 단속하여 상기 램프결합부(110)의 개방 또는 폐쇄 상태를 고정하는 램프회전단속수단(400)과;
    상기 램프(200) 및 익스텐션(300)에 결합되고, 모터(51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익스텐션(300)을 인입출 작동시키는 액추에이터(actuator, 50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현문바디(100a)는,
    상기 난간(bulwalk, 2)의 개구된 부분과 힌지 결합되도록 측방에 결합된 제1 힌지부(140)와,
    상기 램프(ramp, 200)와 힌지 결합되도록 상기 램프결합부(110)의 하방에 결합된 제2 힌지부(150)와,
    상기 램프(200)의 폐쇄된 상태를 고정하는 고정핀이 삽입되는 상하고정부재(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용 현문 개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현문바디(100a) 및 제2 현문바디(100b) 각각은,
    폐쇄된 상태를 고정하는 고정핀이 삽입되는 좌우고정부재(120)가 결합되고,
    폐쇄시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경사면(13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용 현문 개폐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ramp, 200) 및 익스텐션(extension, 300) 각각은,
    상기 익스텐션(300)의 인입출 작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램프(ramp, 200)에는 가이드레일(guide rail, 220)이 결합되고, 상기 익스텐션(extension, 300)에는 상기 가이드레일(220)을 따라 슬라이딩 작동하는 슬라이딩바(sliding bar, 33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용 현문 개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ramp, 200)는,
    상기 익스텐션(300)이 내부로 인입된 경우 인입출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힌지 결합되는 램프커버(230)와,
    상기 램프결합부(110)가 폐쇄된 경우 상기 램프결합부(110) 내측으로 파도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양측에 돌출되어 형성된 유입방지판(2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용 현문 개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익스텐션(extension, 300)은,
    인출되어 상기 램프(200)와 함께 도교(渡橋)로 사용할 경우 통행 및 하역작업이 용이하도록 끝단에 힌지 결합되는 확장발판(3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용 현문 개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회전단속수단(400)은,
    상기 제1 현문바디(100a)에 결합되고, 수동 또는 자동으로 회전하는 윈치롤러(winch roller, 410)와,
    상기 제1 현문바디(100a)에 결합된 가이드롤러(guide roller, 420)와,
    일측은 상기 원치롤러(410)에 감겨지고 타측은 상기 가이드롤러(420)를 경유하여 상기 램프(200)에 결합된 윈치와이어(winch wire, 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용 현문 개폐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회전단속수단(400)은,
    자동 방식인 경우에는 상기 윈치롤러(winch roller, 410)에는 전동 또는 유압 모터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용 현문 개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actuator, 500)는,
    상기 상기 램프(200)에 결합된 모터(510)의 출력축과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볼스크류(ball screw, 520)와,
    상기 익스텐션(extension, 300)에 결합되되, 볼스크류(52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익스텐션(300)이 직선운동하도록 상기 볼스크류(520)에 결합된 볼부시(ball bush, 5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용 현문 개폐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회전단속수단(400) 및 액추에이터(actuator, 500)의 작동을 조작하도록 상기 갑판 또는 조타실에 설치된 조작수단(6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용 현문 개폐 장치.
KR1020220186723A 2022-12-28 2022-12-28 선체용 현문 개폐 장치 KR1025343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6723A KR102534306B1 (ko) 2022-12-28 2022-12-28 선체용 현문 개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6723A KR102534306B1 (ko) 2022-12-28 2022-12-28 선체용 현문 개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4306B1 true KR102534306B1 (ko) 2023-05-17

Family

ID=86547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6723A KR102534306B1 (ko) 2022-12-28 2022-12-28 선체용 현문 개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430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2670B1 (ko) * 2023-11-29 2024-03-04 주식회사 기산 교량시설물점검용 출입문
KR102664325B1 (ko) * 2024-01-23 2024-05-08 주식회사 기산 교량시설물 점검출입문용 높이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점검출입문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0762A (ko) * 2008-03-21 2009-09-24 오재욱 회전형 유압식 수문 권양기
KR20110096937A (ko) * 2010-02-24 2011-08-31 삼건중공업주식회사 램프작동장치
KR101515209B1 (ko) * 2014-05-09 2015-04-24 주식회사 지엔씨 윈치를 이용한 접이식 슬라이딩 도교
KR20170067913A (ko) * 2015-12-08 2017-06-19 주식회사 반도호이스트 슬라이딩 도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0762A (ko) * 2008-03-21 2009-09-24 오재욱 회전형 유압식 수문 권양기
KR20110096937A (ko) * 2010-02-24 2011-08-31 삼건중공업주식회사 램프작동장치
KR101515209B1 (ko) * 2014-05-09 2015-04-24 주식회사 지엔씨 윈치를 이용한 접이식 슬라이딩 도교
KR20170067913A (ko) * 2015-12-08 2017-06-19 주식회사 반도호이스트 슬라이딩 도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2670B1 (ko) * 2023-11-29 2024-03-04 주식회사 기산 교량시설물점검용 출입문
KR102664325B1 (ko) * 2024-01-23 2024-05-08 주식회사 기산 교량시설물 점검출입문용 높이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점검출입문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4306B1 (ko) 선체용 현문 개폐 장치
CA2811442C (en) Ship and gangway for the same
US20180057111A1 (en) Bulwark terrace with integrated door
US9944354B1 (en) Extendable multihull boat
WO2016116771A1 (en) Multifunctional aft door
CN107771147B (zh) 具有可移动的船尾舱门和可浸没的船尾平台的船
US11001343B2 (en) Rotating and sliding boarding door assembly systems for a vessel and a vessel having the same
GB2292911A (en) Improvements relating to boarding ramps.
KR102076677B1 (ko) 초대형 컨테이너선용 승하선장치
US3405814A (en) Weather tent for cargo hatches
FI111528B (fi) Säilytysrakenne yhtä tai useampaa alusta varten merirakenteessa
EP3771631B1 (en) A retractable telescopic gangway for a floating navigation unit
US3952790A (en) Arrangement for hatch covers
WO2017187369A1 (en) Structure of stern of a watercraft with swimming platform
US3065721A (en) Combined amphibious boat dock, house and carrier
JP2014136469A (ja) 乗下船兼用船内エレベータ装置
KR20180101653A (ko) 차량의 적재공간이 설치된 바지선
US20020038623A1 (en) Garage and swimming area for yachts, trawlers and the like
EP1062150B1 (en) Rotating mechanism for cargo ship hatch cover
GB2037355A (en) Ship's Accommodation Ladder
US3465807A (en) Retractable rig for operating hatch covers
US1797600A (en) Boat
CN116443183A (zh) 一种艇用下沉式平台
US4234034A (en) Container and cover arrangement
GB2040831A (en) A transporter ship having a hold for vehicles and a method of loading and unloading such a transporter shi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