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6103Y1 - 교량점검대의 출입장치 - Google Patents

교량점검대의 출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6103Y1
KR200286103Y1 KR2020020016113U KR20020016113U KR200286103Y1 KR 200286103 Y1 KR200286103 Y1 KR 200286103Y1 KR 2020020016113 U KR2020020016113 U KR 2020020016113U KR 20020016113 U KR20020016113 U KR 20020016113U KR 200286103 Y1 KR200286103 Y1 KR 2002861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member
bridge
closing
c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61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경선
안종갑
유창석
Original Assignee
한국도로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도로공사 filed Critical 한국도로공사
Priority to KR20200200161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61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61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6103Y1/ko

Links

Landscapes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량점검대의 출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량의 난간방호벽에 설치된 개구부를 2도어 방식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한 교량점검대의 출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교량점검대의 출입장치{enter and leave apparatus of bridge inspection rest}
본 고안은 교량점검대의 출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량의 난간방호벽에 설치된 개구부를 2도어 방식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한 교량점검대의 출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교량에는 교량의 하부면이나 교좌장치의 점검을 위하여 교각의 주위에 교량점검대를 설치하고 있다. 이 교량점검대는 교각의 상단 둘레에 고정식으로 설치되어 있어서, 교량점검대에 교량점검자나 작업자(이하 '점검자'라 합니다)가 출입하기 위해서는 적정의 출입통로가 요구된다. 이 요구에 따라, 교량점검대의 출입통로는 교량의 특성상, 교량의 난간방호벽에서 교량하단에 위치된 교량점검대의 일측까지 설치되어야 한다.
그러나 교량의 도로에는 도로교통법에 의해 차량의 원활한 통행과 안전을 위하여 난간방호벽의 내측으로 일체의 시설물을 설치할 수 없도록 규정되어 있는 바, 지금까지의 교량점검대 출입통로는 난간방호벽의 외측단에서 수직사다리를 통해 교량점검대에 이르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전술한 교량점검대의 출입통로에 의하면, 필요시에 점검자가 난간방호벽의 상단에 올라선 후, 사다리를 타고 교량점검대에 출입할 수는 있으나, 여러 가지 작업도구나 보수자재를 휴대한 점검자들이 1m 이상의 높이를 갖는 난간방호벽을 넘기 위해서는 별도의 발판이나 간이사다리 또는 승하강(UP-DOWN)용 수직사다리를 사용하여야 하고 난간방호벽에 올라 선 경우 추락할 우려가 크다.
또한, 점검자 이외의 자(이하 '비점검자'라 합니다)가 허가 없이 출입할 수 있어 안전사고의 위험이 크다.
이와 같이 높은 난간방호벽을 올라서지 않고 교량점검대를 출입할 수 있는 종래의 출입장치로서 예컨대, 등록실용신안공보(등록번호 제177062호)에 개시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이 교량점검대의 출입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다리(15)가 설치된 위치와 근접된 방호벽(11)의 일부분을 일정 폭으로 상단면(11a)에서부터 하방으로 일정길이 만큼 전후방으로 관통시켜 절개하여 출입구(12)를 형성하고, 이 출입구(20)에는 출입구의 상방부와 전면부내로 삽입되는 크기를 갖고, 방호벽의 상단면(11a)과 전방면(11b)에 동일면으로 덮여지게 상판(20a)과 전면판(20b)으로 절곡되어 출입구(12) 양측벽에 설치된 문틀(16)(16a)에 지지되는 도어(20)를 설치하되, 도어(20)는 전면판(20b)에는 일측에 손잡이(20c)를 구비하고, 상판(20a)의 우측면에는 슬라이드 브래킷(21)을 고정나사(22)로 고정하며, 이 슬라이드 브래킷(21)의 후단에는 도어(20)가 출입구(12)에 닫힌 상태에서 방호벽 후방면(11c)의 외측으로 다소 돌출되는 2개의 슬리브(21a)를 일체로 형성하여, 2개의 슬리브(21a)를 방호벽 후방면(11c)의 상단에서 2개의 앵커볼트(26)들에 의하여 고정 설치된 고정브래킷(24)(24a)들에 의하여 가로로 고정 설치되는 원형 단면의 슬라이딩봉(23)에 슬라이딩 자유롭게 끼워 조립하는 구성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교량점검대의 출입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 도어(20)의 회전과 슬라이딩을 통해 출입구(12)를 개폐시키기 위한 부품이 많아 설치작업에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될 수 있다.
(2) 점검자가 교량점검대로 내려갈 경우 임시로 출입구(12)를 폐쇄시키기 곤란한 구조를 갖는 도어로 인해 비점검자의 출입이 자유롭게 되어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3) 도어의 외력작용점과 도어의 지지작용점이 서로 편심되어 있어, 도어를 작용시키는데 큰 힘이 소요될 수 있다.
(4) 도어(20)가 출입구(12)를 폐쇄한 경우가 출입구가 설치되지 않은 방호벽과 같은 구조를 취하여, 점검자가 도어(20)를 타고 넘어갈 수 있는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출입구의 개폐가 용이하고 비점검자의 출입을 확실히 봉쇄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교량점검대의 출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교량점검대 방호벽 출입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교량점검대 방호벽 출입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점검대의 출입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교량점검대의 출입장치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제2개폐부재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7은 도 4의 제1개폐부재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출입장치 10 : 교량
11 : 난간방호벽 11a : 잠금고리
110 : 개구부 120 : 교량점검대
130 : 수직사다리 150 : 케이지
170 : 제1개폐부재 171a : 잠금고리
171 : 출납공 175 : 제1경첩
190 : 제2개폐부재 191 : 손잡이
195 : 제2경첩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교량의 교각을 점검하는 교량점검대의 출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교량의 난간방호벽에 설치된 U자형의 개구부; 상기 개구부와 상기 교량점검대 사이에 수직하게 설치된 사다리; 상기 사다리를 감싸는 케이지; 상기 개구부를 개폐시키는 제1개폐부재; 상기 제1개폐부재를 상기 난간방호벽에 지지시키는 제1경첩; 상기 케이지의 상부를 개폐시키는 제2개폐부재; 상기 제2개폐부재를 상기 제1개폐부재에 지지시키는 제2경첩을 포함한 구성을 채택하고 있다.
이 구성을 통하여, 출입구의 개폐가 용이하고 비점검자의 출입을 확실히 봉쇄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제2개폐부재에는 손잡이가 설치되며 상기 제1개폐부재에는 상기 손잡이가 출납되는 출납공이 천공 설치되어 있어, 제1개폐부재와 제2개폐부재가 서로 포개진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지의 상부에는 자물쇠가 설치되고, 상기 제2개폐부재에는 상기 케이지의 상부를 폐쇄시킬 때 상기 자물쇠에 채워지는 고리가 설치되는 것이 비점검자의 출입을 확실히 봉쇄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상기 제1개폐부재와 상기 난간방호벽에는 열쇠를 채울 잠금고리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데, 종래와 동일한 것은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점검대의 출입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교량점검대의 출입장치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제2개폐부재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4의 제1개폐부재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교량점검대의 출입장치는 크게 교량(10)의 난간방호벽(11)에 설치된 개구부(110), 개구부(110)와 교량점검대(120)를 연결하는 수직사다리(130), 수직사다리(130)에 설치된 케이지(150), 개구부(110)를 개폐시키는 제1개폐부재(170) 및 제2개폐부재(190)로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개구부(110)는 난간방호벽(11)의 일부분을 소정 크기로 도려낸 U자형 출입구이다.
수직사다리(130)는 개구부(110)를 한정하는 난간방호벽(11)의 후면과 교량상판(11)에 고정된다. 수직사다리(130)의 상단은 개구부(110) 근처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수직사다리(130)의 하단은 교량점검대(120)에 위치한다.
케이지(150)는 수직사다리(130)를 감싸는 원호 형상의 망으로 이루어지며, 수직사다리(130)와 케이지(150) 사이의 내부에는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어 점검자의 통행이 자유롭게 된다. 케이지(150)의 상단은 적어도 난간방호벽(11)의 상단과 실질적으로 거의 같은 높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케이지(150)의 하단은 점검자가 수직사다리(130)에서 벗어나기 용이하도록 수직사다리(130)의 하단보다 상방에 위치된다.
제1개폐부재(170)는 개구부(110)를 개폐시키는 출입문으로서, 개구부(110)를 한정하는 난간방호벽(11)의 전면 일측에 힌지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개폐부재(170)는 제1경첩(175)에 의해 난간방호벽(11)에 대해 선회되게 된다. 따라서, 개구부(110)의 개폐가 대단히 편리하고 그 설치구조가 매우 간편하다. 또한, 이 선회 구조를 갖는 제1개폐부재(170)에 의해, 점검자가 사다리를 타고 내려가지 전에 임시로 개구부(110)를 폐쇄시키기가 매우 용이할 수 있다.
그리고, 제1개폐부재(170)와 난간방호벽(11) 각각에는 자물쇠를 채우기 위한 잠금고리(170a)(11a)가 설치되는 것이 출입구의 봉쇄를 확실히 할 수 있다. 또한, 잠금고리(170a)는 제1개폐부재(170)의 보조손잡이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제1개폐부재(170)를 타고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2개폐부재(190)가 더 설치된다. 즉, 제2개폐부재(190)는 제2경첩(195)에 의해 제1개폐부재(170)의 상측면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구성을 통하여, 제2개폐부재(190)는 개구부(130)의 상부와 케이지(150)의 상부 공간 대부분을 개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개폐부재(190)에는 손잡이(191)가 설치되는 것이 개방하는데 편리하다. 이때, 제2개폐부재(190)가 개방되면 제1개폐부재(170)에 포개어지는데, 손잡이(191)에 의해 서로 벌어진 상태로 놓여지게 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개폐부재(170)에는 손잡이(191)가 출납할 출납공(171)이 천공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출납공(171)을 통해 돌출된 손잡이(191)는 점검자가 내려갈 때 개구부(110)를 임시 폐쇄시킬 때 개폐부재(170)(190)의 보조손잡이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1개폐부재(170)와 제2개폐부재(170)의 설치를 통해 비점검자의 출입을 완전히 봉쇄할 수 있고, 경첩(175,195)을 통해 간단히 설치될 뿐 아니라 개폐하는데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간단히 개폐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출입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개폐부재(170)는 개구부(110)를, 제2개폐부재(190)는 케이지(150)의 상부를 폐쇄한 상태로 놓여져 있다. 점검자가 교량점검대(120)로 출입하기 위하여, 제2개폐부재(190)의 손잡이(191)를 잡고 점검자 쪽으로 당기면 케이지(150)의 상부가 개방된다(도 5참조). 이때, 손잡이(191)는 제1개폐부재(170)의 출납공(171)에 수용된다(도 6참조).
제2개폐부재(190)가 포개어진 제1개폐부재(170)의 상측부 또는 잠금고리(170a)를 잡고 당기면 개구부(110)가 개방된다(도 7참조). 이 개방된 개구부(110)를 통해 수직사다리(130)를 타고 내려가면 된다. 이때, 내려가지 전에 포개어진 개폐부재(170)(190)를 당겨 개구부(110)를 임시 폐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검자가 일을 마치고 올라오는 경우에는 그 반대로 조작하면 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점검대용 출입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컨대, 전술한 잠금고리 대신에, 케이지(150)의 상부에는 자물쇠(미도시)가 고정 설치되고, 제2개폐부재(190)에는 케이지(150)의 상부를 폐쇄시킬 때 자물쇠의 구멍에 들어가는 고리(미도시)가 설치되어, 제2개폐부재(190)가 케이지(150)의 상부를 폐쇄시킬 때, 자동적으로 고리가 자물쇠에 채워지도록 구현될 수 있다. 자물쇠의 해제 수단으로는 자물쇠 자체의 버튼 또는 열쇠가 이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교량점검대의 출입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교량의 교각을 점검하는 교량점검대의 출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교량에 설치된 난간방호벽에 설치된 U자형의 개구부; 상기 개구부와 상기 교량점검대 사이에 수직하게 설치된 사다리; 상기 사다리를 감싸는 케이지; 상기 개구부를 개폐시키는 제1개폐부재; 상기 제1개폐부재를 상기 난간방호벽에 지지시키는 제1경첩; 상기 케이지의 상부를 개폐시키는 제2개폐부재; 상기 제2개폐부재를 상기 제1개폐부재에 지지시키는 제2경첩의 구성을 채택 결합함으로써, ①개구부와 케이지의 상부로의 출입이 완전 봉쇄되어 비점검자의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으며 ②경첩에 의해 개폐부재가 간단히 설치될 뿐 아니라 그 개폐 조작이 매우 편리하고 ③점검자가 사다리를 타고 내려갈 때 개구부의 일시적 폐쇄가 가능할 뿐 아니라 점검을 끝내고 나올 때에도 개구부의 개방이 편리하다.
(2)상기 제2개폐부재에는 손잡이가 설치되며, 상기 제1개폐부재에는 상기 손잡이가 출납되는 출납공이 천공 설치되어 있어서, ①제2개폐부재가 제1개폐부재에 겹칠 때 손잡이에 의해 돌출되지 않아 안전하고 미관이 양호하며 ②출납공에 수용 돌출된 손잡이는 점검자가 사다리를 타고 내려갈 때 개구부의 폐쇄를 위한 보조손잡이의 역할을 할 수 있다.
(3)상기 케이지의 상부에는 자물쇠가 설치되고, 상기 제2개폐부재에는 상기 케이지의 상부를 폐쇄시킬 때 상기 자물쇠에 채워지는 고리가 설치됨으로써, ①비점검자가 교량점검대로의 출입을 원천 봉쇄할 수 있으며, ②제1개폐부재도 동시에잠글 수 있어 편리하다.
(4)상기 제1개폐부재와 상기 난간방호벽에는 열쇠를 채울 잠금고리가 설치됨으로써, ①제1개폐부재의 폐쇄를 보다 확실히 할 수 있고, ②제1개폐부재의 개폐시 보조손잡이의 역할을 할 수 있다.

Claims (4)

  1. 교량의 교각을 점검하는 교량점검대의 출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교량의 난간방호벽에 설치된 U자형의 개구부;
    상기 개구부와 상기 교량점검대 사이에 수직하게 설치된 사다리;
    상기 사다리를 감싸는 케이지;
    상기 개구부를 개폐시키는 제1개폐부재;
    상기 제1개폐부재를 상기 난간방호벽에 지지시키는 제1경첩;
    상기 케이지의 상부를 개폐시키는 제2개폐부재;
    상기 제2개폐부재를 상기 제1개폐부재에 지지시키는 제2경첩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교량점검대의 출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개폐부재에는 손잡이가 설치되며,
    상기 제1개폐부재에는 상기 손잡이가 출납되는 출납공이 천공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점검대의 출입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의 상부에는 자물쇠가 설치되고,
    상기 제2개폐부재에는 상기 케이지의 상부를 폐쇄시킬 때 상기 자물쇠에 채워지는 고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점검대의 출입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폐부재와 상기 난간방호벽에는 잠금고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점검대의 출입장치.
KR2020020016113U 2002-05-27 2002-05-27 교량점검대의 출입장치 KR2002861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6113U KR200286103Y1 (ko) 2002-05-27 2002-05-27 교량점검대의 출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6113U KR200286103Y1 (ko) 2002-05-27 2002-05-27 교량점검대의 출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6103Y1 true KR200286103Y1 (ko) 2002-08-21

Family

ID=73084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6113U KR200286103Y1 (ko) 2002-05-27 2002-05-27 교량점검대의 출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610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2670B1 (ko) * 2023-11-29 2024-03-04 주식회사 기산 교량시설물점검용 출입문
KR102664325B1 (ko) * 2024-01-23 2024-05-08 주식회사 기산 교량시설물 점검출입문용 높이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점검출입문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2670B1 (ko) * 2023-11-29 2024-03-04 주식회사 기산 교량시설물점검용 출입문
KR102664325B1 (ko) * 2024-01-23 2024-05-08 주식회사 기산 교량시설물 점검출입문용 높이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점검출입문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17144B2 (en) Hatchway safety grab post safety barrier and grate
FI97799C (fi) Hissien ovenasennuksessa käytettävä suojalaitteisto asennettavan suojakaiteen muodossa
FI108124B (fi) Hissin turvalaite
KR200286103Y1 (ko) 교량점검대의 출입장치
JPH11229416A (ja) マンホール用墜落防止装置
KR20090002927U (ko) 고소작업용 사다리의 출입통제장치
KR102432152B1 (ko) 가변 슬라이딩 맨홀 안전 가드
KR200188211Y1 (ko) 교량 점검용 방호벽을 이용한 이동식 출입장치
US6006861A (en) Railroad crossing gate ladder assembly
KR200420398Y1 (ko) 교량 점검용 사다리
KR200177062Y1 (ko) 교량점검시설의 방호벽 출입장치
KR20230024622A (ko) 지하 시설물 출입구 내외에서의 추락 사고 방지를 위한 안전 장치
KR20230015721A (ko) 고소작업용 사다리 출입제한장치
JP2000144643A (ja) 高架道路の非常脱出設備
ES2884777T3 (es) Plataforma suplementaria para una plataforma de trabajo
JP4516672B2 (ja) マンホールの梯子兼用転落防止装置
KR200358573Y1 (ko) 맨홀 내부 손잡이용 안전사다리
KR200254710Y1 (ko) 교량 점검용 사다리
KR102642670B1 (ko) 교량시설물점검용 출입문
KR200360006Y1 (ko) 교량점검용 사다리
KR200167414Y1 (ko) 교량의 안전점검통로 출입 사다리
KR200188212Y1 (ko) 교량 점검용 슬라이드 방식의 출입장치
KR200361424Y1 (ko) 교량점검시설 출입용 보조사다리
JP7438841B2 (ja) プラットホーム柵
CN117604879A (zh) 一种桥梁紧急救援疏散通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