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6054B1 - 갱폼 작업자 추락 방지용 접이식 위험표시장치 - Google Patents

갱폼 작업자 추락 방지용 접이식 위험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6054B1
KR101756054B1 KR1020170010331A KR20170010331A KR101756054B1 KR 101756054 B1 KR101756054 B1 KR 101756054B1 KR 1020170010331 A KR1020170010331 A KR 1020170010331A KR 20170010331 A KR20170010331 A KR 20170010331A KR 101756054 B1 KR101756054 B1 KR 101756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member
tiltable
fixing
hinged
wor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0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기환
최승조
Original Assignee
최승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승조 filed Critical 최승조
Priority to KR1020170010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60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6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6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09F7/20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for adjustably mount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5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portable display standards
    • G09F15/0062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portable display standards collapsib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09F2007/1804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for fastening to a post
    • G09F2007/1817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for fastening to a post using fastening means to grip the pos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09F2007/1847Brackets to grip the sign boar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09F2007/1873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ign
    • G09F2007/1882Emblems, e.g. fixed by pins or screw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갱폼 작업자 추락방지용 접이식 위험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발판용 케이지의 작업 통로의 측면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하단에 일단부가 힌지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고정부재의 상단에서 작업 통로를 가로막도록 수평으로 펼쳐지도록 회동하는 회동부재, 상기 고정부재와 회동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부재가 세워진 상태에서 외력 제거시 수평으로 펼쳐지는 시간을 지연시키는 쇼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갱폼 인양시 작업자 추락방지용 접이식 위험표시장치는 발판용 케이지의 작업 통로의 측면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어 작업자가 고층에서 거푸집의 설치, 해체작업 및 후속 미장작업 등을 수행시에는 인접한 갱폼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회동부재에 외력을 가해 수동 개방이 가능하고 개방된 이후 회동부재가 자동으로 펼쳐져 작업통로를 차단하여 작업자 추락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갱폼 작업자 추락 방지용 접이식 위험표시장치 {A FOLDABLE DANGER MARK APPARATUS FOR PREVENTING WORKER FALLNG FROM AT LIFTING GANG FORM }
본 발명은 갱폼 작업자 추락방지용 접이식 위험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갱폼 작업자가 수평이동하는 작업통로에 설치되어 인접하게 설치되는 갱폼의 인양시 작업통로의 작업자가 무단 이동하여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위험 여부를 안내하는 추락 방지용 접이식 위험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갱폼은 고층 아파트와 같이 평면상에 상, 하부가 동일한 단면 구조물에서 외부 벽체 거푸집과 발판용 케이지를 일체로 하여 제작한 대형 거푸집을 말하는 것으로, 상기 케이지는 갱폼의 외부 벽체 거푸집 부분을 제외한 작업발판 및 안전난간으로 이루어져, 작업자가 고층에서 거푸집의 설치, 해체작업 및 후속 미장작업 등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갱폼의 케이지는 다단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각 층마다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사다리와 같은 이동수단이 설치되어 작업자가 각종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사다리를 통해 상하이동 및 작업발판으로 수평이동을 하면서 거푸집의 설치, 해체작업 및 후속 미장작업 등을 수행하여 왔다.
이와 같은 갱폼의 예는 공개특허 제10-2010-0084411호(참고문헌 1), 등록특허 제10-1262635호(참고문헌 2) 등에 제안된 바 있다. 이와 같은 갱폼은 작업자가 고층에서 거푸집의 설치, 해체작업 및 후속 미장작업 등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작업통로를 마련하기는 하지만, 갱폼은 일측의 인접하게 설치되는 갱폼의 인양시 작업통로의 양측에 작업자의 통행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장치가 전혀 구비되어 있지 않아 작업자를 보호하기 어려워 작업자의 추락에 대한 위험이 매우 높다.
물론 이와 같은 점에 착안하여 갱폼의 설치 및 해체 등을 수행하는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공개특허 제10-2016-0135398호(참고문헌 3)를 제안한 바 있다. 이는 접이식 위험표시기에 관한 것으로, 건축현장 또는 건설현장에 사용되는 위험표시기로서, 측면 중 어느 하나에 하나 이상의 체결장치가 설치되고, 측면 중 어느 하나에 연결장치가 설치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연결장치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면으로 하나 이상의 걸이부가 설치되어 있는 표시부; 그리고 제1접힘암과 제2접힘암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1접힘암과 제2접힘암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접힘부를 포함하여, 상기 접힘부 중 제1접힘암의 일측이 상기 표시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접힘암의 일측이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해당 위험 지역을 사용자가 통과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표시부를 회전시켜 지지부와 평행을 이루도록 접고, 통과 이후에 다시 해당 위험지역을 폐쇄해야 함에 따라 사용자는 물리력을 사용하여 상기 표시부를 회전시켜 접혀진 표시부를 펼쳐야 한다.
그런데 통상 건설 인부들은 자재의 운반이 많음에 따라 손으로 해당 위험 지역의 통과 전에 표시부를 접고 통과후에 표시부를 다시펴야 하므로 이러한 접이식 위험표시기의 사용이 매우 불편하다.
참고문헌 1: 공개특허 제10-2010-0084411호 참고문헌 2: 등록특허 제10-1262635호 참고문헌 3: 공개특허 제10-2016-0135398호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인접 갱폼의 인양시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작업통로의 양측을 폐쇄하고, 인접 갱폼의 작업통로로 출입시에는 개방할 수 있어 거푸집의 설치, 해체작업 및 후속 미장작업 등을 수행하는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는 접이식 위험표시장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작업자의 작업통로 통과 이후에 작업통로를 자동으로 폐쇄하여 작업자의 통행 불편을 줄여줄 수 있는 접이식 위험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작업자가 접이식 위험표시장치를 개방한 이후 작업통로의 통과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폐쇄되는 시간을 지연시키는 접이식 위험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발판용 케이지의 작업 통로의 측면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하단에 일단부가 힌지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고정부재의 상단에서 작업 통로를 가로막도록 수평으로 펼쳐지도록 회동하는 회동부재, 상기 고정부재와 회동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부재가 세워진 상태에서 외력 제거시 수평으로 펼쳐지는 시간을 지연시키는 쇼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 작업자 추락방지용 접이식 위험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발판용 케이지의 지지대에 체결수단으로 고정되는 고정브라켓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의 하단에 일체로 고정되는 힌지브라켓에 일단부가 제1힌지핀에 의해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쇼바는 몸체 후단부가 상기 회동부재에 제2힌지핀에 의해 힌지결합되고, 상기 쇼바의 몸체 전단으로 출몰하는 피스톤로드의 전단부가 상기 고정부재에 제3힌지핀에 의해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는 제1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단면이 'ㄷ'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동부재는 제2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단면이 'ㅁ'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동부재는 제2 공간부와 연통되는 노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공간부에 상기 쇼바의 몸체 후단부가 제2 힌지핀에 의해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노출공은 상기 쇼바의 작동시 간섭을 배제하기 위해 회동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장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노출공에는 상기 쇼바의 몸체가 관통되어 회동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안내되는 가이드공이 형성되는 고무 재질의 마감구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공에는 상기 쇼바의 몸 표면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브러시가 일체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회동부재가 상기 고정부재의 하단을 중심으로 직각 이하로 그 펼쳐짐이 제한되도록 상기 회동부재의 타단부와 상기 고정부재의 상단에 양단이 연결되는 제한용 와이어 또는 체인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발판용 케이지의 작업 통로의 측면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상단에 일단부가 힌지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고정부재의 하단에서 작업 통로를 가로막도록 수평으로 펼쳐지도록 회동하는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부재의 타단부를 내린 상태에서 외력 제거시 수평으로 펼쳐지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토션스프링과, 상기 고정부재와 회동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부재가 수평으로 펼쳐지는 시간을 지연시키는 쇼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 작업자 추락방지용 접이식 위험표시장치도 제공한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발판용 케이지의 지지대에 체결수단으로 고정되는 고정브라켓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의 상단에 용접 등의 방식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는 힌지브라켓에 일단부가 제4힌지핀에 의해 힌지결합되며, 상기 제4힌지핀에는 토션스프링이 끼워지며, 상기 토션스프링의 일단부는 힌지브라켓에 지지되고 토션스프링의 타단부는 상기 회동부재의 일단부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쇼바는 몸체 후단부가 상기 회동부재에 제5힌지핀에 의해 힌지결합되고, 상기 몸체 전단으로 출몰하는 피스톤로드의 전단부가 상기 고정부재에 제6힌지핀에 의해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회동부재가 상기 고정부재의 하단을 중심으로 직각 이하로 그 펼쳐짐이 제한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회동부재의 타단부와 상기 고정부재의 하단에 양단이 연결되는 제한용 와이어 또는 체인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갱폼 인양시 작업자 추락방지용 접이식 위험표시장치는 발판용 케이지의 작업 통로의 측면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어 작업자가 고층에서 거푸집의 설치, 해체작업 및 후속 미장작업 등을 수행시에는 인접한 갱폼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회동부재에 외력을 가해 수동 개방이 가능하고 개방된 이후 회동부재가 자동으로 펼쳐져 작업통로를 차단하여 작업자 추락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작업자가 외력을 가해 회동부재를 작동시켜 통로를 개방한 이후, 회동부재가 서서히 수평으로 복귀됨에 따라 작업자의 이동 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이후 작업자의 후속 작업이 필요없이도 통로를 자동으로 폐쇄하므로 그 작동이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갱폼 작업자 추락방지용 접이식 위험표시장치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갱폼 작업자 추락방지용 접이식 위험표시장치의 펼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갱폼 작업자 추락방지용 접이식 위험표시장치의 접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갱폼 작업자 추락방지용 접이식 위험표시장치의 펼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갱폼 작업자 추락방지용 접이식 위험표시장치의 접힌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갱폼 작업자 추락방지용 접이식 위험표시장치의 펼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갱폼 작업자 추락방지용 접이식 위험표시장치의 펼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갱폼 작업자 추락방지용 접이식 위험표시장치의 펼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갱폼 작업자 추락방지용 접이식 위험표시장치의 펼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갱폼 작업자 추락방지용 접이식 위험표시장치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갱폼 작업자 추락방지용 접이식 위험표시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실시 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갱폼 작업자 추락방지용 접이식 위험표시장치의 설치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의하면 접이식 위험표시장치(100,200)는 작업자가 갱폼(1)의 거푸집(10)을 설치, 해체작업 및 후속 미장작업 등을 수행시 발판용 케이지(20)의 작업통로 일측 또는 양측을 폐쇄하거나 개방할 수 있어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발판용 케이지(20)는 갱폼(1)의 거푸집(10) 부분을 제외한 작업발판 및 난간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위험표시장치(100,200)는 상기 발판용 케이지(20)의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된다.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발판용 케이지(20)는 거푸집(10)에 일체로 고정되는 지지대(21)와, 상기 지지대(21)와 이격되어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수평난간(22) 및 작업발판(23)과, 상기 수평난간(22) 및 작업발판(23)에 교차되게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직난간(24)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작업발판(23)의 후단은 지지대(21)에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작업발판(23)의 전단은 수직난간(24)에 일체로 고정된다.
상기 작업발판(23)은 작업자의 작업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일정폭(예를 들어 300 ~ 1000㎜)을 갖는 것으로 수평난간(22)는 작업발판(23) 위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작업중에 거푸집(10) 외부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며 발판용 케이지(20)의 양측으로 작업자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접이식 위험표시장치(100,200)가 설치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갱폼 작업자 추락방지용 접이식 위험표시장치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갱폼 작업자 추락방지용 접이식 위험표시장치(100)는 발판용 케이지(20)의 작업 통로의 측면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재(110)와, 상기 고정부재(110)의 하단에 일단부가 힌지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고정부재(110)의 상단에서 작업 통로를 가로막도록 수평으로 펼쳐지도록 회동하는 회동부재(120)와, 상기 고정부재(110)와 회동부재(12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부재(120)가 세워진 상태에서 외력 제거시 수평으로 펼쳐지는 시간을 지연시키는 쇼바(130)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각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작업자 추락방지용 접이식 위험표시장치(100)는 전체적으로 금속재질로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 작업자 추락방지용 접이식 위험표시장치(100)는 금속재질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또는 부분적으로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짐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110)는 상기 발판용 케이지(20)의 지지대(21)에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수단(141)으로 고정되는 고정브라켓(140)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회동부재(120)는 상기 고정부재(110)의 하단에 용접 등의 방식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는 힌지브라켓(150)에 일단부가 제1힌지핀(151)에 의해 힌지결합된다. 상기 제1힌지핀(151)은 볼트 및 너트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회동부재(120)는 평상시에는 일단부를 중심으로 타단부가 수평으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서, 작업자가 회동부재(120)를 들어올리면 회동부재(120)가 일단부를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타단부가 고정부재(110)의 상단에 근접하며 고정부재(110)와 나란하게 세워진 상태가 되어 작업자가 자유롭게 통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110)는 제1 공간부(111)가 형성되도록 단면이 'ㄷ'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동부재(120)는 제2 공간부(121)가 형성되도록 단면이 'ㅁ'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 고정부재(110)와 회동부재(120)는 내부에 제1 및 제2 공간부(111,121)가 각각 형성되는 사각바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이외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동부재(120)가 세워진 상태에서 놓아두면 자중에 의해 상기 회동부재(120)가 수평상태로 펼쳐지도록 회동하게 된다. 이때, 작업자가 상기 회동부재(120)를 들어올린 이후, 회동부재(120)가 서서히 회동하며 펼쳐지도록 하여 충분한 통과 시간을 확보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재(110)와 회동부재(120) 사이에는 쇼바(130)가 설치되어 시간을 지연시키며 회동부재(120)가 회동하며 수평으로 펼쳐지도록 유도한다.
이때, 상기 쇼바(130)는 유압 또는 공압 방식을 임의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쇼바(130)의 몸체(131) 후단부가 상기 회동부재(120)에 제2힌지핀(133)에 의해 힌지결합되고, 상기 쇼바(130)의 몸체(131) 전단으로 출몰하는 피스톤로드(132)의 전단부가 상기 고정부재(110)에 제3힌지핀(134)에 의해 힌지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상기 회동부재(110)가 세워진 상태에서 외력을 제거하더라도 상기 회동부재(110)는 쇼바(130)의 피스톤로드(132)는 서서히 신장되면서 회동부재(120)가 서서히 수평하게 회동하게 된다. 즉 상기 쇼바(130)는 회동부재(120)의 펼쳐짐 속도를 지연시키는 효과를 얻기 위해 설치한다.
이때, 상기 회동부재(120)가 쇼바(130)의 간섭없이 상기 고정부재(110)와 나란하게 수직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회동부재(120)의 제2 공간부(121)과 연통되는 노출공(122)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공간부(121)에 상기 쇼바(130)의 몸체(131) 후단부가 제2 힌지핀(133)에 의해 힌지결합되며, 상기 제1 공간부(111)에는 상기 쇼바(130)의 피스톤로드(132) 전단부가 제3 힌지핀(134)에 의해 힌지결합된다.
이때, 상기 노출공(122)은 쇼바(130)의 작동시 간섭을 배제하기 위해 회동부재(120)의 길이방향으로 장공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회동부재(120)를 상기 고정부재(110)와 나란하게 수직으로 들어올리는 경우 상기 회동부재(120)가 상기 고정부재(110)가 서로 나란하게 밀착되더라도 제1 및 제2 공간부(111,121)에 쇼바(130)가 위치하게 되어 간섭이 배제되고 따라서 작업자의 통행에 방해가 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회동부재(120)는 작업자가 통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눈이 내리면 회동부재(120)에 쌓이게 되어 제3 힌지핀(133)의 원활한 작동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이를 해소하기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공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노출공(122)에는 상기 쇼바(130)의 몸체(131)가 관통되어 회동부재(120)의 길이방향으로 안내되는 가이드공(161)이 형성되는 고무 재질의 마감구(160)가 체결된다.
이때, 가이드공(161)에는 브러시(163)이 일체로 부착되어 상기 쇼바(130)의 몸체(131) 표면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기능을 함으로서 상기 제2 공간부(121)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한다.
물론 상기 마감구(160)는 외주면 테두리에 안착홈(162)이 형성되어 상기 회동부재(120)에 형성된 노출공(122)의 내주면이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부재(120)가 상기 고정부재(110)의 하단을 중심으로 직각 이하로 그 펼쳐짐이 제한되도록 하기 위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부재(120)의 타단부와 상기 고정부재(110)의 상단에 양단이 연결되는 제한용 와이어 또는 체인(170)이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회동부재(120)에는 걸림고리(123)가 형성되어 추락위험을 안내하는 안내표지(180)가 고정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작업자가 갱폼(1)의 거푸집(10) 설치, 해체작업 및 후속 미장작업 등을 수행시 인접하는 갱폼의 작업통로로 이동시에는 상기 회동부재(120)를 들어올려 회동부재(120)의 타단부를 고정부재(110)쪽으로 밀착시키고, 외력을 제거한 후 통과한다.
이후 작업자의 별도 조작이 없더라도 회동부재(120)는 일단부를 중심으로 타단부가 하강하면서 펼쳐진다. 이 경우 쇼바(130)의 작동에 의해 서서히 회동부재(120)가 펼쳐지게 되어 인접하는 갱폼의 작업통로로 이동하는 것을 자동으로 차단하게 된다.
한편,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먼저 도 8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갱폼 작업자 추락방지용 접이식 위험표시장치(200)는 발판용 케이지(20)의 작업 통로의 측면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재(210)와, 상기 고정부재(210)의 상단에 일단부가 힌지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고정부재(210)의 하단에서 작업 통로를 가로막도록 수평으로 펼쳐지도록 회동하는 회동부재(220)와, 상기 회동부재(220)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부재(220)의 타단부를 내린 상태에서 외력 제거시 수평으로 펼쳐지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토션스프링(230)과, 상기 고정부재(210)와 회동부재(22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부재(220)가 수평으로 펼쳐지는 시간을 지연시키는 쇼바(240)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각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작업자 추락방지용 접이식 위험표시장치(200)는 전체적으로 금속재질로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 작업자 추락방지용 접이식 위험표시장치(200)는 금속재질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또는 부분적으로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짐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210)는 상기 발판용 케이지(20)의 지지대(21)에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수단(251)으로 고정되는 고정브라켓(250)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회동부재(220)는 상기 고정부재(210)의 상단에 용접 등의 방식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는 힌지브라켓(260)에 일단부가 제4힌지핀(261)에 의해 힌지결합된다. 상기 제4힌지핀(261)은 볼트(261a) 및 너트(261b)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4힌지핀(261)에는 토션스프링(230)이 끼워지며, 상기 토션스프링(230)의 일단부(231)는 힌지브라켓(260)에 지지되고 토션스프링(230)의 타단부(232)는 상기 회동부재(220)의 일단부에 지지되어, 상기 회동부재(220)의 타단부가 하강한 상태에서 외력 제거시 수평으로 펼쳐지도록 복원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회동부재(220)는 토션스프링(230)의 복원력에 의해 평상시에는 일단부를 중심으로 타단부가 수평으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며, 작업자가 외력을 가해 회동부재(220)를 하측으로 내리면 일단부를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타단부가 고정부재(210)에 근접하며 고정부재(210)와 나란하게 되어 작업자가 자유롭게 통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동부재(220)가 하측으로 내려진 상태에서 놓아두면 토션스프링(23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회동부재(220)의 타단부가 수평상태로 펼쳐지도록 회동하게 된다. 이때, 작업자가 외력을 가해 상기 회동부재(220)를 아래로 내린 이후 회동부재(220)가 서서히 회동하며 펼쳐지도록 하여 작업자의 통과 시간을 출분히 확보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재(210)와 회동부재(220) 사이에는 쇼바(240)가 설치되어 시간을 지연시키며 회동부재(220)가 회동하며 수평으로 펼쳐지도록 유도한다.
이때, 상기 쇼바(240)는 유압 또는 공압 방식을 임의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쇼바(240)의 몸체(241) 후단부가 상기 회동부재(220)에 제5힌지핀(243)에 의해 힌지결합되고, 상기 쇼바(230)의 몸체(231) 전단으로 출몰하는 피스톤로드(232)의 전단부가 상기 고정부재(210)에 제6힌지핀(244)에 의해 힌지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상기 회동부재(210)를 아래로 내린 상태에서 외력을 제거하여 토션스프링(230)의 복원력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회동부재(210)는 쇼바(240)의 피스톤로드(242)는 서서히 신장되면서 회동부재(220)가 서서히 수평하게 회동하게 된다. 즉 상기 쇼바(240)는 회동부재(220)의 펼쳐짐 속도를 지연시키는 효과를 얻기 위해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회동부재(220)가 상기 고정부재(210)의 하단을 중심으로 직각 이하로 그 펼쳐짐이 제한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회동부재(220)의 타단부와 상기 고정부재(210)의 하단에 양단이 연결되는 제한용 와이어 또는 체인(240)이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회동부재(220)에는 걸림고리(223)가 형성되어 추락위험을 안내하는 안내표지가 고정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작업자가 갱폼(1)의 거푸집(10) 설치, 해체작업 및 후속 미장작업 등을 수행시 인접하는 갱폼의 작업통로로 이동시에는 상기 회동부재(220)를 아래로 내려 회동부재(220)의 타단부를 고정부재(210)의 하단쪽으로 밀착시키고, 외력을 제거한 후 통과한다.
이후 작업자의 별도 조작이 없더라도 회동부재(220)는 일단부를 중심으로 타단부가 토션스프링(230)의 복원력에 의해 상승 회동하면서 펼쳐진다. 이 경우 쇼바(240)의 작동에 의해 서서히 회동부재(220)가 펼쳐지게 되어 인접하는 갱폼의 작업통로로 이동하는 것을 자동으로 차단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 가능하다는 것을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 갱폼 10: 거푸집
20: 발판용 케이지 100: 위험표시장치
110: 고정부재 120: 회동부재
130: 쇼바 200: 위험표시장치
210: 고정부재 220: 회동부재
230: 토션스프링 240: 쇼바

Claims (11)

  1. 발판용 케이지(20)의 작업 통로의 측면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재(110)와, 상기 고정부재(110)의 하단에 일단부가 힌지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고정부재(110)의 상단에서 작업 통로를 가로막도록 수평으로 펼쳐지도록 회동하는 회동부재(120)와, 상기 고정부재(110)와 회동부재(12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부재(120)가 세워진 상태에서 외력 제거시 수평으로 펼쳐지는 시간을 지연시키는 쇼바(130)로 이루어지며;
    상기 쇼바(130)는 몸체(131) 후단부가 상기 회동부재(120)에 제2힌지핀(133)에 의해 힌지결합되고, 상기 쇼바(130)의 몸체(131) 전단으로 출몰하는 피스톤로드(132)의 전단부가 상기 고정부재(110)에 제3힌지핀(134)에 의해 힌지결합되고;
    상기 고정부재(110)는 제1 공간부(111)가 형성되도록 단면이 'ㄷ'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동부재(120)는 제2 공간부(121)가 형성되도록 단면이 '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동부재(120)는 제2 공간부(121)와 연통되는 노출공(122)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공간부(121)에 상기 쇼바(130)의 몸체(131) 후단부가 제2 힌지핀(133)에 의해 힌지결합되괴
    상기 노출공(122)은 상기 쇼바(130)의 작동시 간섭을 배제하기 위해 회동부재(120)의 길이방향으로 장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노출공(122)에는 상기 쇼바(130)의 몸체(131)가 관통되어 회동부재(120)의 길이방향으로 안내되는 가이드공(161)이 형성되는 고무 재질의 마감구(160)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 작업자 추락방지용 접이식 위험표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110)는 상기 발판용 케이지(20)의 지지대(21)에 체결수단(141)으로 고정되는 고정브라켓(140)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회동부재(120)는 상기 고정부재(110)의 하단에 일체로 고정되는 힌지브라켓(150)에 일단부가 제1힌지핀(151)에 의해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 작업자 추락방지용 접이식 위험표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공(161)에는 상기 쇼바(130)의 몸체(131) 표면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브러시(163)가 일체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 작업자 추락방지용 접이식 위험표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120)가 상기 고정부재(110)의 하단을 중심으로 직각 이하로 그 펼쳐짐이 제한되도록 상기 회동부재(120)의 타단부와 상기 고정부재(110)의 상단에 양단이 연결되는 제한용 와이어 또는 체인(17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 작업자 추락방지용 접이식 위험표시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70010331A 2017-01-23 2017-01-23 갱폼 작업자 추락 방지용 접이식 위험표시장치 KR101756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0331A KR101756054B1 (ko) 2017-01-23 2017-01-23 갱폼 작업자 추락 방지용 접이식 위험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0331A KR101756054B1 (ko) 2017-01-23 2017-01-23 갱폼 작업자 추락 방지용 접이식 위험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6054B1 true KR101756054B1 (ko) 2017-07-11

Family

ID=59354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0331A KR101756054B1 (ko) 2017-01-23 2017-01-23 갱폼 작업자 추락 방지용 접이식 위험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605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1555A (ko) 2017-12-14 2019-06-24 유대식 갱폼 안전도어
KR20190071556A (ko) 2017-12-14 2019-06-24 유대식 갱폼 안전도어
KR101967447B1 (ko) * 2018-09-18 2019-08-13 최정민 현수막 걸이 어셈블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2635B1 (ko) * 2013-02-22 2013-05-08 정기환 보조 완충수단이 구비된 갱폼의 안전도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2635B1 (ko) * 2013-02-22 2013-05-08 정기환 보조 완충수단이 구비된 갱폼의 안전도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1555A (ko) 2017-12-14 2019-06-24 유대식 갱폼 안전도어
KR20190071556A (ko) 2017-12-14 2019-06-24 유대식 갱폼 안전도어
KR101967447B1 (ko) * 2018-09-18 2019-08-13 최정민 현수막 걸이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6054B1 (ko) 갱폼 작업자 추락 방지용 접이식 위험표시장치
US5524727A (en) Construction wall bracket
EP2980332B1 (en) Guard for scaffolding
WO2009127818A1 (en) Safety unit
US20140026486A1 (en) Adjustable safety barrier system
KR100871410B1 (ko) 전주용 접이식 작업대
KR101332763B1 (ko) 박스구조물 가장자리 안전망 작업대
US6340070B1 (en) Adjustable cantilever scaffolding
JP2002089033A (ja) 屋根工事用作業足場及びその設置方法
KR200442222Y1 (ko) 발판 각도 조절용 사다리
KR102362725B1 (ko) 창호 시공용 낙하방지망 조립체
KR20120008001U (ko) 상하로 개폐되는 안전도어가 설치된 비계
KR101995334B1 (ko) 선체블록작업용 가설발판 설치대
KR20190071555A (ko) 갱폼 안전도어
JP6049049B2 (ja) 仮設足場用の開閉式手摺
KR101884465B1 (ko) 비계용 발판
KR20200091314A (ko) 하향식 분절형 사다리 설치 장치 및 하향식 분절형 사다리
JP4733475B2 (ja) 作業用足場装置
KR102491378B1 (ko) 이동식 낙하물 추락 방지 거치대
US5749438A (en) Safety device for emergency exits
KR101666782B1 (ko) 건축물용 회전식 사다리 및 상기 건축물용 회전식 사다리를 포함하는 거푸집용 작업 발판 시스템
KR102642670B1 (ko) 교량시설물점검용 출입문
KR102410270B1 (ko) 접철식 낙하물 차단부재가 구비된 고소작업대
KR102579544B1 (ko) 하수암거 보수작업용 자립식 안전장치
KR200361424Y1 (ko) 교량점검시설 출입용 보조사다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