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2763B1 - 박스구조물 가장자리 안전망 작업대 - Google Patents

박스구조물 가장자리 안전망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2763B1
KR101332763B1 KR1020110088661A KR20110088661A KR101332763B1 KR 101332763 B1 KR101332763 B1 KR 101332763B1 KR 1020110088661 A KR1020110088661 A KR 1020110088661A KR 20110088661 A KR20110088661 A KR 20110088661A KR 101332763 B1 KR101332763 B1 KR 1013327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structure
workbench
safety net
fixed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8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5252A (ko
Inventor
김진곤
Original Assignee
김진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곤 filed Critical 김진곤
Priority to KR1020110088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2763B1/ko
Publication of KR20130025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52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2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27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6Movable inspection or maintenance platforms, e.g. travelling scaffolding or vehicles specially designed to provide access to the undersides of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공사효율성을 높이면서 안전을 확보하여 신속하게 안전망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한 박스구조물 가장자리 안전망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박스구조물의 상면 가장자리에 걸림 되어 박스구조물의 하단에 설치된 설치구 방향으로 내려지는 고정작업대와, 상기 고정작업대의 하단부와 연결되어 설치구 방향으로 펼쳐지고 고정작업대 방향으로 접혀지는 가동작업대로 구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박스구조물 가장자리 안전망 작업대{WORKING RACK OF SAFETY NET FOR BOX TYPE STRUCTURE}
본 발명은 박스구조물 가장자리 안전망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 특히 교량을 구축할 때 사용되는 강철빔의 가장자리에 안전망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신규한 안전망 작업대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교량과 같은 구조물을 구축할 때에는 피시빔 또는 스틸박스(Steel Box)를 이용하고, 스틸박스를 이용하여 교량을 구축할 경우에는 스틸박스 상부에 슬라브시공을 위한 거푸집 설치와 해체 작업시 작업도구와 작업물 또는 작업자가 실족 등으로 박스의 상부에서 지상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스틸박스의 저면 또는 스틸박스의 저면 가장자리에 안전망을 설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스틸박스의 가장자리(교량의 폭 방향 양측)에 안전망을 용이하게 설치하기 위하여 다양한 수단과 노력을 강구하고 있으며, 본원 출원인 또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박스타입 구조물 가장자리 안전망 설치구란 명칭으로 선행하여 특허(제 856958 호)를 받은 바 있으며, 이를 도 7을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박스타입 구조물 가장자리 안전망 설치구(55)는 상기 안전망 설치구(55)는 박스(50) 상측에서 행하는 작업 중 발생할 수 있는 낙하물을 충분하게 커버 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가지고 박스(5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설치구바(56)를 구비한다.
상기 설치구바(56)의 내측 방향(박스방향)에는 돌출턱(51)과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57)를 일체로 구비하고, 상기 고정구(57)에는 설치구바(56)의 외측 부위가 상향되도록 하기 위한 경사유지구(58)를 함께 구비한다.
상기 고정구(57)는 설치구바(56)의 내측 단부 상방에 수평바(59)와 수직바(60)로 이루어진 ㄱ 형상의 고정구바디(61)를 고정하고, 상기 고정구바디(61)의 수평바(59)에는 상측에 손잡이(62)를 가지고 하측에 조임패드(63)를 가지는 단속볼트(64)를 결합하여 구성한다.
상기 조임패드(63)의 하방에는 박스(50)의 표면 또는 페인팅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무 또는 우레탄재질로 된 손상방지시트(S)를 더 부착하는 것이 좋다.
상기 경사유지구(58)는 고정구(57)가 위치하는 설치구바(56)의 상면에 낙하물에 의한 하중 전도시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고무, 우레탄과 같은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내측의 두께(T)를 두껍게 한 경사패드(70)를 구비하여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박스타입 구조물 가장자리 안전망 설치구를 스틸박스의 가장자리에 설치한 후에는 설치구를 구성하는 설치구바에 안전망을 연결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데, 설치구의 설치작업과 안전망의 연결작업을 크레인을 이용하여 수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스틸박스로 교량을 구축하는 위치의 지상에 크레인을 설치한 후 신장과 수축 작동하는 크레인의 암대에 구비되는 도르레를 통하여 와이어로 연결되는 훅크에 작업대를 걸고, 상기 작업대에 작업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암대의 신장과 수축 및 와이어를 감고 풀어주는 동작을 통하여 작업대를 설치구 위치로 상승 또는 하강하여 안전망을 설치하는 작업을 한다.
다리가 설치되는 위치가 지상으로부터 높이가 높지 않을 경우에는 쉽게 크레인을 이용하여 설치구에 안전망을 설치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나, 다리의 높이가 높을 경우에는 암대가 스틱박스에 근접하지 못하게 되거나, 교각과 교각 사이가 긴 폭이 넓은 강의 경우에는 크레인을 수상(水上)에 설치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렵게 때문에 용이하게 작업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암대의 도르레와 연결된 훅과 작업대를 걸어서 작업할 때에는 작업대가 바람과 같은 외압에 의하여 쉽게 회전하거나 흔들리게 되므로 안전망을 설치구에 설치하는 작업이 쉽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된다.
바람이 심하게 불거나 또는 교각과 스틱박스에 의하여 회오리형태로 급작스럽게 변형될 경우에는 작업대에 탑승한 작업자가 지상이나 강으로 추락하게 되는 것은 물론, 안전망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안전망이 작업대 또는 작업자와 엉키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로 인하여 작업자가 추락하게 되거나 신체의 일부가 작업대와 안전망에 의하여 손상을 입게 되는 안전사고의 우려가 높다.
이와 같이 크레인을 이용하여 지상에서 공중으로 작업대를 높이 올릴 수 있는 한계로 인하여 크레인 외에 지상에서 스틱박스 방향으로 또는 스틸박스의 상부에서 스틸박스의 저면 방향으로 비계를 설치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 경우에는 한 곳에서 작업한 후 다른 곳에 작업하기 위하여 해체와 설치작업을 반복하여야 하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전체적인 공사기간이 길어지게 되는 등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박스구조물의 상면 가장자리에 걸림 되어 박스구조물의 하단에 설치된 설치구 방향으로 내려지는 고정작업대와, 상기 고정작업대의 하단부와 연결되어 설치구 방향으로 펼쳐지고 고정작업대 방향으로 접혀지는 가동작업대로 구성하여, 안전망 작업시에는 가동작업대를 펼치고, 다음 위치로 이동시에는 가동작업대를 접어서 이동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공사효율성을 높이면서 안전을 확보하여 신속하게 안전망을 설치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스틸박스의 상부 가장자리에서 스틸박스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설치구 위치에 작업대를 내리고 올리는 형태로 안전망을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설치구 방향으로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전체적인 설치작업의 용이성을 제공하여 공사기간을 단축하면서 작업작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박스구조물 가장자리 안전망 작업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박스구조물 가장자리 안전망 작업대를 도시한 A - 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박스구조물 가장자리 안전망 작업대를 도시한 B부위 발췌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박스구조물 가장자리 안전망 작업대를 도시한 사용상태도로서 작업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박스구조물 가장자리 안전망 작업대를 도시한 사용상태도로서 이동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박스구조물 가장자리 안전망 작업대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종래 기술이 적용된 박스타입 구조물 가장자리 안전망 설치구를 도시한 구성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박스구조물 가장자리 안전망 작업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박스구조물 가장자리 안전망 작업대를 도시한 A - 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박스구조물 가장자리 안전망 작업대를 도시한 B부위 발췌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박스구조물 가장자리 안전망 작업대를 도시한 사용상태도로서 작업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박스구조물 가장자리 안전망 작업대를 도시한 사용상태도로서 이동상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박스구조물 가장자리 안전망 작업대(100)는, 스틸박스와 같은 박스구조물(101)의 상면 가장자리에 걸림 되어 박스구조물(101)의 하단 가장자리에 설치된 설치구(102) 방향으로 내려지는 고정작업대(103)와, 상기 고정작업대(103)의 하단부와 연결되어 설치구(102) 방향으로 펼쳐지고 고정작업대(103) 방향으로 접혀지는 가동작업대(104)로 구성한다.
상기 고정작업대(103)는, 박스구조물(101)의 하단에 설치된 설치구(102) 까지 내려지는 길이를 가지고 작업자가 쉽게 오르고 내리는 데 불편하지 않을 정도의 폭을 유지한 고정바(105)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바(105)에는 작업자가 박스구조물(101)에서 설치구(102) 방향으로 용이하게 오르고 내릴 수 수 있도록 사다리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가로바(106)를 등 간격으로 고정한 고정프레임(107)을 구비한다.
상기 고정프레임(107)의 상단에는 박스구조물(101)의 상면 가장자리에 걸림될 수 있도록 박스구조물(101) 방향으로 돌출되게 걸림바(108)를 형성하고, 상기 걸림바(108)에는 박스구조물(101)에 구비되는 스터드볼트(109)와 연결하여 작업대(100) 전체를 지탱할 수 있도록 와이이와 연결할 수 있는 견인수단(110)을 구비한다.
상기 걸림바(108)의 저면에는 박스구조물(10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 다음 위치의 설치구(102)로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바퀴 또는 롤러(111)를 설치하여도 된다.
상기 롤러(111)는 구름면이 이동방향을 향하도록 설치하여 작업대(100)의 설치방향으로 구름운동이 일어나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상기 고정프레임(107)의 하단에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시킨 연결대(112)를 고정하여 구성한다.
상기 가동작업대(104)는, 연결대(112)의 외측단부와 힌지 또는 경첩과 같은 회동수단(115)으로 연결하여 연결대(112)의 외측 방향으로 펼쳐지거나 고정프레임(107) 방향으로 접혀질 수 있는 작업대(116)를 구비한다.
상기 작업대(116)의 폭(B)은 연결대(112) 또는 고정프레임(107)의 폭(B1)보다 작거나 크게 형성하여 이동을 위하여 접을 때 고정작업대(103)를 수용하거나 고정작업대(103)에 수용되는 형태가 되어 간섭을 배제하면서 접혀진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 고정프레임(107)과 작업대(116)는 고정와이어(117)로 연결하여 작업대(116)가 펼쳐질 때 연결대(112)와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작업대(116)에는 견인로프(118)를 더 구비하여 박스구조물(101) 상면에서 용이하게 당겨서 접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연결대(112)와 작업대(116)의 바닥에는 작업자의 움직임에 지장 없도록 망체 또는 박판체의 발판(119)을 고정하고, 고정프레임(107)과 연결대(112) 및 작업대(116)의 가장자리에는 작업자의 안전을 고려하여 추락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난간대(120)를 고정하여 구성함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박스구조물 가장자리 안전망 작업대(100)를 이용하여 안전망을 설치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크레인과 같은 권양수단을 이용하여 안전망 작업대(100)를 박스구조물(101)의 상면에 올린 후 고정작업대(103)를 구성하는 걸림바(108)가 박스구조물(101)의 상면 가장자리게 걸림 되도록 한 후 견인수단(110)을 이용하여 박스구조물(101)의 상면에 구비되는 스터드볼트(109)와 연결하여 안전망 작업대(100)가 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안전망 작업대(100)와 박스구조물(101)의 연결이 완료되면, 고정작업대(103)는 박스구조물(101)의 가장자리에서 아래 방향으로 내려진 상태이고, 가동작업대(104)는 견인로프(118)에 의하여 당겨지고 회동수단(115)에 의하여 고정작업대(103) 방향으로 회동 된 상태에 있으며, 견인로프(118)의 결속으로 펼쳐지지 않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설치구(102)에 안전망을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견인로프(118)를 해제한 후 가동작업대(104)를 밀어주면서 견인로프(118)를 서서히 놓아주면 가동작업대(104)는 고정작업대(103)에 외측 방향으로 펼쳐지게 된다.
즉, 고정작업대(103)를 구성하는 고정프레임(107)의 하단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연결대(112)와 회동수단(115)으로 연결된 작업대(116)가 회동하게 되고, 연결대(112)와 작업대(116)가 수평상태가 되면 작업대(116)와 고정프레임(107)을 연결하고 있는 고정와이어(117)에 의하여 더 이상의 펼쳐짐이 방지되므로 작업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된다.
그러면, 작업자가 고정프레임(107)에 고정된 가로바(106)를 이용하여 사다리를 이용하듯이 작업대(116) 방향으로 내려가 작업대(116)의 발판(119)에서 안전망을 설치구(102)에 설치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난간대(120)에 의하여 추락과 같은 안전사고의 위험이 배제되고 발판(119)에 의하여 지상에 있는 것과 같은 작업대(116)에서 안전하고 신속하게 안전망을 설치할 수 있게 되며, 안전망의 설치가 완료되면 작업자는 박스구조물(101)의 상면으로 올라온다.
작업자가 올라오고 나면 견인로프(118)를 이용하여 작업대(116)를 고정프레임(107) 방향으로 당겨 안전망 작업대(100)의 무게중심을 최대한 박스구조물(101)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크레인과 같은 권양수단과 연결한 후 견인수단(110)을 해제하여 다음 위치의 설치구 방향으로 안전망 작업대(100)를 이동시키면 된다.
이 과정에서는, 권양수단을 이용하여 완전하게 안전망 작업대(100)를 들어올려 이동시키는 것보다는 스터드볼트(109)와 견인수단(110)만 해제한 후 권양수단을 이동시키면 걸림바(108)의 저면에 설치되는 롤러(111)가 박스구조물(101)과 연접되어 구름운동을 하게 되므로 쉽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동이 완료된 후에는 견인수단(110)을 이용하여 안전망 작업대(100)의 탈락을 방지한 후 가동작업대(104)를 펼친 후 작업자가 내려가서 작업하는 과정을 반복하면 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박스구조물 가장자리 안전망 작업대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작업자가 가동작업대(104)를 구성하는 작업대(116)의 끝에서 작업을 수행할 때 고정작업대(103)를 구성하는 고정프레임(107) 또는 걸림바(108)의 폭이 좁아 박스구조물(101)과 연접되더라도 안전망 작업대(100)가 좌,우 방향으로 흔들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정작업대(103)에 유동방지구(130)를 더 구비하도록 한다.
상기 유동방지구(130)는 고정프레임(107)을 구성하는 고정바(105) 또는 가로바(106)의 배면에 비계클램프와 같은 통상적인 클램프(131)를 더 설치하고, 상기 클램프(131)에는 고정프레임(107)의 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긴 길이를 가지는 방지바(132)를 고정하여 방지바(132)가 박스구조물(101)과 연접되어 작업대(116)의 끝단에 작업자가 위치하더라도 안전망 작업대(100)가 좌,우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제한하여 안정된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박스구조물의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 박스구조물과 연결된 상태에서 박스구조물의 높이와 크기에 관계없이 안전을 확보하여 신속하고 용이하게 안전망을 설치할 수 있어 공사효율성을 높이면서 안전사고를 배제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가진다.
100; 안전망 작업대
101; 박스구조물
103; 고정작업대
104; 가동작업대
107; 고정프레임
108; 걸림바
111; 롤러
116; 작업대
120; 난간대

Claims (5)

  1. 박스구조물의 상면 가장자리에 걸림 되어 박스구조물의 하단에 설치된 설치구 방향으로 내려지는 고정작업대와;
    상기 고정작업대의 하단부와 연결되어 설치구 방향으로 펼쳐지고 고정작업대 방향으로 접혀지는 가동작업대로 구성하여;
    안전망 작업시에는 가동작업대를 펼치고, 다음 위치로 이동시에는 가동작업대를 접어서 이동의 용이성을 제공하는 박스구조물 가장자리 안전망 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고정작업대는, 박스구조물 하단에 설치된 설치구 까지 내려지고 소정의 폭을 유지하는 고정바와, 상기 고정바에 고정하여 작업자가 오르내릴 수 있는 사다리역할을 하는 가로바로 구성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단에 형성하여 박스구조물의 상면 가장자리에 걸림 될 수 있도록 박스구조물 방향으로 돌출시키는 걸림바와;
    상기 걸림바에 구비하여 박스구조물에 구비되는 스터드볼트와 와이어로 연결하여 작업대 전체를 지탱할 수 있도록 하는 견인수단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하단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시킨 연결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구조물 가장자리 안전망 작업대.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작업대는, 연결대의 외측단부와 회동수단으로 연결하여 연결대의 외측방향으로 펼쳐지거나 고정프레임 방향으로 접혀질 수 있도록 구비하는 작업대와;
    상기 고정프레임과 작업대를 연결하여 작업대가 펼쳐질 때 연결대와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와이어와;
    상기 작업대에 구비하여 박스구조물 상면에서 용이하게 당겨서 접을 수 있게 하는 견인로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구조물 가장자리 안전망 작업대.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와 작업대 바닥에는 작업자의 움직임에 지장 없도록 발판을 고정하고;
    상기 고정프레임과 연결대 및 작업대의 가장자리에는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난간대를 더 고정하고;
    상기 걸림바의 저면에는 박스구조물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의 용이성을 제공하기 위한 롤러를 더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구조물 가장자리 안전망 작업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을 구성하는 고정바 또는 가로바의 배면에 설치하는 클램프와;
    고정프레임의 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긴 길이의 방지바를 클램프에 고정하는 방지바로 구성되는 유동방지구를 더 구비하여;
    작업자가 작업대의 끝단에 위치하더라도 안전망 작업대가 좌,우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제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구조물 가장자리 안전망 작업대.
KR1020110088661A 2011-09-01 2011-09-01 박스구조물 가장자리 안전망 작업대 KR1013327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661A KR101332763B1 (ko) 2011-09-01 2011-09-01 박스구조물 가장자리 안전망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661A KR101332763B1 (ko) 2011-09-01 2011-09-01 박스구조물 가장자리 안전망 작업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5252A KR20130025252A (ko) 2013-03-11
KR101332763B1 true KR101332763B1 (ko) 2013-11-25

Family

ID=48177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8661A KR101332763B1 (ko) 2011-09-01 2011-09-01 박스구조물 가장자리 안전망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276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5451B1 (ko) * 2014-08-22 2015-08-21 이한창 교량 보수용 난간 지지장치
KR20160002686U (ko) * 2015-01-23 2016-08-0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접이식 플랫폼 장치
CN106545150A (zh) * 2016-11-09 2017-03-29 中交路桥华东工程有限公司 一种悬臂式施工平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59610A (zh) * 2017-05-10 2017-08-18 南昌大学 轻型移动装配式桥梁检修辅助平台
IT202000006673A1 (it) * 2020-03-31 2021-10-01 Tuttosicurezza S R L Presidio per l'accesso a passerelle e banchine di viadotti ed infrastrutture stradali in genere.
CN115012317B (zh) * 2022-07-08 2024-05-07 广州城建职业学院 一种架桥机用的爬升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3740U (ja) * 1997-01-29 1998-11-13 一世 志波 足場用架台
JP2004293176A (ja) 2003-03-27 2004-10-21 Geo Frontier Kk 橋梁用の防護足場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防護工法
JP3898559B2 (ja) 2002-04-24 2007-03-28 川田工業株式会社 鉄骨工事用仮設足場
KR20080084542A (ko) * 2007-03-13 2008-09-19 정홍석 방화대피용 사다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3740U (ja) * 1997-01-29 1998-11-13 一世 志波 足場用架台
JP3898559B2 (ja) 2002-04-24 2007-03-28 川田工業株式会社 鉄骨工事用仮設足場
JP2004293176A (ja) 2003-03-27 2004-10-21 Geo Frontier Kk 橋梁用の防護足場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防護工法
KR20080084542A (ko) * 2007-03-13 2008-09-19 정홍석 방화대피용 사다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5451B1 (ko) * 2014-08-22 2015-08-21 이한창 교량 보수용 난간 지지장치
KR20160002686U (ko) * 2015-01-23 2016-08-0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접이식 플랫폼 장치
KR200481702Y1 (ko) * 2015-01-23 2016-11-0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접이식 플랫폼 장치
CN106545150A (zh) * 2016-11-09 2017-03-29 中交路桥华东工程有限公司 一种悬臂式施工平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5252A (ko) 2013-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2763B1 (ko) 박스구조물 가장자리 안전망 작업대
CA2838259C (en) Scaffold system
US4809814A (en) Scaffolding
JP2008527222A (ja) 建築物の建築に使用される装置
CN212802623U (zh) 一种伸缩式卸料平台
KR100777937B1 (ko) 외벽마감공사용 가이드 브라켓
US20150152653A1 (en) Platform
KR20130068880A (ko) 건축용 비계 작업발판
US7000733B2 (en) Work platform
US5394956A (en) Suspended tender box
AU2014224104B2 (en) Construction Site Safety Screen System
JP5495818B2 (ja) 外壁改修方法
CA2482342A1 (en) Work platform
JP3950800B2 (ja) つり足場
JP3977400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体構築方法
KR100808291B1 (ko) 거더타입 교량용 안전장치
JP6431652B2 (ja) 高欄用足場装置
JP5476051B2 (ja) 基台および昇降式移動足場
JP3019857U (ja) 張出足場の吊持金具
US608249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spending worker's scaffolds over the sides of buildings
CN217203889U (zh) 码头橡胶护舷防撞板安装架
CN215671309U (zh) 一种预制临时上人楼梯
JP3209839U (ja) 高所作業用足場装置
AU2004200088B2 (en) Work platform
JPH0211708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