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5783B1 - 승강기용 도어 레일 - Google Patents

승강기용 도어 레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5783B1
KR101445783B1 KR1020130011558A KR20130011558A KR101445783B1 KR 101445783 B1 KR101445783 B1 KR 101445783B1 KR 1020130011558 A KR1020130011558 A KR 1020130011558A KR 20130011558 A KR20130011558 A KR 20130011558A KR 101445783 B1 KR101445783 B1 KR 101445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door
door rail
elevator door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1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8969A (ko
Inventor
진중섭
Original Assignee
(주)금강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금강테크 filed Critical (주)금강테크
Priority to KR1020130011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5783B1/ko
Priority to CN201310682638.3A priority patent/CN103964283A/zh
Publication of KR20140098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89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5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57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4Riding means, e.g. Shoes, Rollers, between car and guiding means, e.g. rails, ro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4Riding means, e.g. Shoes, Rollers, between car and guiding means, e.g. rails, ropes
    • B66B7/048Riding means, e.g. Shoes, Rollers, between car and guiding means, e.g. rails, ropes including passive attenuation system for shocks, vibrations

Landscapes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기용 도어 레일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승강기용 도어 레일은, 승강기 도어의 개폐시 상기 승강기 도어가 도어 레일의 인도에 따라 횡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승강기 도어 상부에 U자 모양의 롤러홈을 포함하여 형성되어 횡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행거롤러가 안착되도록 상부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도어 레일에 있어서,
상기 도어 레일의 하단에 상기 상부 돌출부와 대응하여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하단 돌출부;
상기 하단 돌출부와 결합되는 가이드롤러;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용 도어 레일에 의하면, 승강기 도어가 개폐될 때 흔들림이 발생하거나 외력에 의해 상기 승강기 도어가 전, 후로 움직이며 이탈되는 것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안전사고의 우려를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승강기를 이용하는 승객에게 안전성을 증진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승강기용 도어 레일{Door rail for Elevator}
본 발명은 승강기용 도어 레일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승강기가 출입구에 도착하였을 때, 승강기 도어가 좌우로 이동하여 안전하게 개폐되도록 출입구 상부에 횡방향으로 설치된 도어 레일의 하단에 상기 도어 레일의 상단과 수직방향으로 하단 돌기부를 형성하고, 상기 하단 돌기부와 일치되고 결합이 용이한 가이드롤러를 도어 행거 일면에 추가하여 설치함으로써, 상기 승강기 도어가 개폐될 때 흔들림이 발생하거나 외력에 의해 상기 승강기 도어가 전, 후로 움직이며 이탈되는 것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안전사고의 우려를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승강기를 이용하는 승객에게 안전성을 증진 시킬 수 있는 승강기용 도어 레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강기는, 전기 동력을 이용하여 사람이나 화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상, 하로 이동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나르는 승강기계로서, 고도가 높은 고층건물이나 노인, 임산부, 장애인 등을 위한 복지시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필수적으로 설치되는 장치이다.
한편, 건물에 설치된 상기 승강기의 승, 하차를 위해서 건물의 각 층에는 출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출입구에는 출입이 가능하도록 횡방향으로 개폐되는 승강기 도어가 설치된다.
상기 승강기 도어는 상기 승강기 도어 상부에 수직 상태로 도어행거가 설치되고, 상기 도어행거의 일면에는 수평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행거롤러와 억제롤러가 구성되며, 상기 행거롤러와 억제롤러가 승강로 일면에 고정되어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도어 레일과 결합됨으로써, 상기 도어 레일을 통해 수평방향으로 원활하게 좌, 우 이동하면서 개폐가 가능하게 된다.
하기 특허문헌 1의 “엘리베이터 도어용 행거 케이스 결합구조”(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68013호)에서 승강기 도어는, 상기 승강기 도어 상부의 행거에 회전가능하고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행거롤러와 승강로 벽에 장착된 상태의 행거 케이스의 돌출부에 견고하게 장착된 레일이 상호 결합되어, 상기 행거롤러가 상기 도어 레일을 따라 회전하게 됨으로써, 상기 승강기 도어가 수평으로 이동하게 되어 계폐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도어 레일의 하부와 적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상기 행거 하부에 억제롤러를 장착함에 따라 상기 도어 레일로부터 급작스럽게 뛰어오르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 종래 기술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의 “엘리베이터 도어용 행거 케이스 결합구조”에서 상기 억제롤러는 상기 도어 레일에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상기 행거롤러와 같이, 구조적으로 결합되는 구성이 아닌 상기 도어 레일의 하단 면이 맞닿는 평형상태로만 이루어진 구조로써, 상기 도어 레일과 상기 억제롤러의 일체성이 낮아지게 되어, 상기 승강기 도어가 개폐될 때 흔들림에 의한 진동이나 소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발생하거나 외력에 의해 상기 승강기 도어가 전, 후로 움직이게 되어 상기 도어 레일에서 이탈할 수 있음으로써, 상기 승강기 사용에 불편함을 줄뿐만 아니라 상기 승강기 도어가 전도될 수 있는 안전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68013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승강기가 출입구에 도착하였을 때, 승강기 도어가 좌우로 이동하여 안전하게 개폐되도록 출입구 상부에 횡방향으로 설치된 도어 레일의 하단에 상기 도어 레일의 상단과 수직방향으로 하단 돌기부를 형성하고, 상기 하단 돌기부와 일치되고 결합이 용이한 가이드롤러를 도어 행거 일면에 추가하여 설치함으로써, 상기 승강기 도어가 개폐될 때 흔들림이 발생하거나 외력에 의해 상기 승강기 도어가 전, 후로 움직이며 이탈되는 것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안전사고의 우려를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승강기를 이용하는 승객에게 안전성을 증진 시킬 수 있는 승강기용 도어 레일을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용 도어 레일은, 승강기 도어의 개폐시 상기 승강기 도어가 도어 레일의 인도에 따라 횡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승강기 도어 상부에 U자 모양의 롤러홈(301)을 포함하여 형성되어 횡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행거롤러(300)가 안착되도록 상부 돌출부(120)가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도어 레일에 있어서,
상기 도어 레일의 하단에 상기 상부 돌출부(120)와 대응하여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하단 돌출부(110);
상기 하단 돌출부(110)와 결합되는 가이드롤러(2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단 돌출부(110)의 일 측면에 경사면부(111); 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롤러(200)는 상기 경사면부(111)와 평행을 이루는 경사면접속부(201); 를 더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승강기가 출입구에 도착하였을 때, 승강기 도어가 개폐될 때 흔들림이 발생하거나 외력에 의해 상기 승강기 도어가 전, 후로 움직이며 이탈되는 것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안전사고의 우려를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승강기를 이용하는 승객에게 안전성을 증진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용 도어 레일의 하단돌출부가 형성된 구성을 보인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용 도어 레일의 하단돌출부와 가이드롤러가 결합된 구성을 보인 결합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용 도어 레일의 행거롤러와 가이드롤러가 안착된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용 도어 레일의 사용되는 상태를 보인 실시예도
본 고안은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하단 돌출부(110)와 가이드롤러(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하단 돌출부(11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하단 돌출부(110)는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승강기용 도어 레일(100)에 형성된 상단 돌출부(120)와 대응하여 수직방향으로 하단에 형성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하단 돌출부(110)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돌출부(120)에는 U자 모양의 롤러홈(301)을 포함하여 형성된 행거롤러(300)가 안착되고, 상기 하단 돌출부(110)에는 후술할 가이드롤러(200)가 더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하단 돌출부(110)의 형상은 굴곡에 인해 돌출되는 형태를 곡선이나 직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되, 상기 하단 돌출부(110)의 일 측면에는 일정한 각도를 가지며 형성되는 경사면부(111)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경사면부(111)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승강기 도어(500)가 개폐시 흔들림이 발생하거나 외력에 의해 상기 승강기 도어(500)가 전, 후로 움직이며 이탈되는 것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인해 상기 가이드롤러(200)가 움직임을 가질 때, 상기 경사면부(111)에 후술할 경사면접속부(201)가 접촉하여 걸리는 구조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승강기 도어(500)가 상기 승강기용 도어 레일(100)에서 이탈되지 않고 안전하게 개폐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가이드롤러(20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가이드롤러(20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승강기 도어(500) 상부에 설치된 도어 행거(400)의 하부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승강기 도어(500)의 개폐시 상기 승강기 도어(500)의 자중을 받으며 이동하는 상기 행거롤러(300)가 상기 승강기용 도어 레일(100)에서 이탈되거나 튀어오르는 것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조력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가이드롤러(20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경사면부(111)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 경사면접속부(201)가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사면접속부(201)는 상기 경사면부(111)와 같은 각도로 형성된 사면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승강기 도어(500)가 횡방향으로 이동 중 전면방향으로 이탈되었을 때, 상기 경사면접속부(201)는 상기 경사면부(111)와 접촉하게 되고, 이로 인해 접촉하는 면에는 외력이 발생하게 되며, 이때 발생하는 상기 외력에 대응하기 위하여 내부에서 발생하는 저항력이 동시에 발생하게 되는데, 사면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직면으로 형성될 때 발생되는 수평방향의 응력을 포함하여 수직방향의 응력을 더 발생됨으로써, 외력에 대한 저항력을 더 증대시켜 상기 하부 돌출부(110)와 가이드롤러(220)의 내부에 피로한도를 줄일 수 있게 되어, 상기 하부 돌출부(110)와 가이드롤러(220)가 손상되거나 변형되는 것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더 방지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승강기용 도어 레일
110: 하단 돌출부 111: 경사면부
120: 상단 돌출부
200: 가이드롤러 201: 경사면접속부
300: 행거롤러 301: 롤러홈
400: 도어행거
500: 승강기 도어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승강기 도어의 개폐시 상기 승강기 도어가 도어 레일의 안내에 따라 횡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승강기 도어 상부에 U자 모양의 롤러홈(301)을 포함하여 형성되어 횡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행거롤러(300)가 안착되도록 상부 돌출부(120)가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도어 레일에 있어서,
    상기 도어 레일의 하단에 상기 상부 돌출부(120)와 대응하여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하단 돌출부(110);
    상기 하단 돌출부(110)와 결합되는 가이드롤러(2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하단 돌출부(110)의 일 측면에 경사면부(111); 가 더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롤러(200)는 상기 경사면부(111)와 평행을 이루는 경사면접속부(201); 를 더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용 도어 레일(100).
KR1020130011558A 2013-02-01 2013-02-01 승강기용 도어 레일 KR101445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1558A KR101445783B1 (ko) 2013-02-01 2013-02-01 승강기용 도어 레일
CN201310682638.3A CN103964283A (zh) 2013-02-01 2013-12-12 用于电梯的门轨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1558A KR101445783B1 (ko) 2013-02-01 2013-02-01 승강기용 도어 레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8969A KR20140098969A (ko) 2014-08-11
KR101445783B1 true KR101445783B1 (ko) 2014-10-06

Family

ID=51234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1558A KR101445783B1 (ko) 2013-02-01 2013-02-01 승강기용 도어 레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45783B1 (ko)
CN (1) CN10396428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2455B1 (ko) 2020-07-09 2021-03-26 정일산업 주식회사 엘리베이터 도어용 레일플레이트의 제조를 위한 절곡기용 금형세트 및 이를 이용한 레일플레이트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6320Y1 (ko) * 2001-01-20 2002-02-28 우봉일 실홈이 아래로 향한 승강기의 실(Sill)
KR20040004791A (ko) * 2002-07-05 2004-01-16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승강장 도어 이탈 방지를 위한 보조롤러를 갖는 승강장도어 조립체
KR20080076660A (ko) * 2007-03-08 2008-08-20 우봉일 승강기 도어의 이탈방지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9328A (ja) * 1997-04-23 1998-11-10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ドア
JP2006137518A (ja) * 2004-11-11 2006-06-01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用ドア装置
JP5660616B2 (ja) * 2011-03-11 2015-01-28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CN202152247U (zh) * 2011-06-23 2012-02-29 吴江市德菱电梯配套有限公司 电梯层门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6320Y1 (ko) * 2001-01-20 2002-02-28 우봉일 실홈이 아래로 향한 승강기의 실(Sill)
KR20040004791A (ko) * 2002-07-05 2004-01-16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승강장 도어 이탈 방지를 위한 보조롤러를 갖는 승강장도어 조립체
KR20080076660A (ko) * 2007-03-08 2008-08-20 우봉일 승강기 도어의 이탈방지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2455B1 (ko) 2020-07-09 2021-03-26 정일산업 주식회사 엘리베이터 도어용 레일플레이트의 제조를 위한 절곡기용 금형세트 및 이를 이용한 레일플레이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8969A (ko) 2014-08-11
CN103964283A (zh) 2014-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63804B (zh) 电梯轿厢
KR101030286B1 (ko) 베란다의 난간대에 전용 탑승구가 구비된 긴급 피난장치
JP6013559B1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BR102016011387B1 (pt) Sistema de elevador de resgate
KR101676346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아파트 베란다 난간구조
JP2017001854A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KR101445783B1 (ko) 승강기용 도어 레일
TW200305535A (en) Elevator device
JP6325918B2 (ja) 防火シャッタ用安全装置
JP4454765B2 (ja) エレベータ
KR100888666B1 (ko)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방화도어의 설치구조
JP2014024629A (ja) エレベータ装置
EP3467248B1 (en) A glass panel system
KR101348181B1 (ko) 대피 보조 난간을 일체로 구비한 공동주택용 난간
JP4456904B2 (ja) 免震建物用エレベーター装置
JP2004099184A (ja) 免震建築用エレベーターの乗場装置
KR100831953B1 (ko)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방화도어의 설치구조
KR101141299B1 (ko) 화재 대피용 구난 사다리
KR101285591B1 (ko) 승강 도어
CN210914846U (zh) 一种电梯轿厢插销孔安全自锁装置
JP2011144039A (ja) エレベーターの安全装置
CN218371148U (zh) 畜牧用护栏及畜牧用电梯
KR100898000B1 (ko)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측 출입문 이탈 방지장치
JP7215529B1 (ja) エレベータ
KR20110087588A (ko) 절첩식 구난 사다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