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9854B1 - 휠체어가 탑재되는 그네 - Google Patents

휠체어가 탑재되는 그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9854B1
KR101729854B1 KR1020150129678A KR20150129678A KR101729854B1 KR 101729854 B1 KR101729854 B1 KR 101729854B1 KR 1020150129678 A KR1020150129678 A KR 1020150129678A KR 20150129678 A KR20150129678 A KR 20150129678A KR 101729854 B1 KR101729854 B1 KR 1017298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main body
wheelchair
safety protrusion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9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1995A (ko
Inventor
김종규
Original Assignee
(주)보아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보아스코리아 filed Critical (주)보아스코리아
Priority to KR1020150129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9854B1/ko
Publication of KR20170031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19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9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98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9/00Sw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4Devices for lifting or tilting the whole wheelchai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9/00Swings
    • A63G9/02Swings with two suspensory ax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휠체어가 탑재되는 그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에 진자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되, 내부에 휠체어를 탑재할 수 있는 탑재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로 이루어진 휠체어가 탑재되는 그네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 휠체어가 탑재되는 그네는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하기가 매우 쉬우며, 또한 조작 및 사용이 간단하여 혼자서도 이용하기 쉽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휠체어가 탑재되는 그네{Swing mounted on wheelchair}
본 발명은 한 쌍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에 진자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되, 내부에 휠체어를 탑재할 수 있는 탑재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로 이루어진 휠체어가 탑재되는 그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그네는 나무가지나 수평바에 한 쌍의 로프의 상단부를 결합하고 하단부는 각각 판재의 양단에 결속되어 상기 판재에 사용자가 앉게 되면 판재에 앉아 있는 사용자를 전후방향으로 진자운동을 하도록 함으로써 유희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기구이다.
이러한 그네의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공보 0966497호에 등받이부 및 시트부를 갖는 의자와; 상기 시트부의 하부에 구비된 한 쌍의 곡선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곡선 프레임은, 수용홈과, 상기 수용홈의 외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회동부재와 함께 회전하는 바퀴를 포함하고, 상기 바퀴는 상기 회동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수용홈의 내부에서 상기 수용홈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고, 상기 회동부재가 회전하여 상기 곡선 프레임과 접하는 경우 상기 바퀴는 지면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는 운송수단 기능을 갖는 흔들의자가 등록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그레는 대부분 신체에 장애가 없는 사람들이 대부분 즐길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휠체어에 의존하고 있는 장애우들은 이용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휠체어를 탑재할 수 있는 그네의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공보 제1528795호에 상호 좌우로 이격 배치된 두 로프고정바; 상기 두 로프고정바의 상단부자를 연결하는 수평프레임; 상기 수평프레임의 중앙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휠체어를 위한 탑재공간을 제공하게 되는 휠체어탑재유닛; 및 상기 휠체어탑재유닛의 회전 동작을 억제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휠체어탑재유닛은 지면에 근접하게 배치된 바닥플레이트; 상기 수평프레임과 상기 바닥플레이트를 연결하되, 하단부가 상기 바닥플레이트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상단부가 상기 수평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두 중계프레임; 상기 바닥플레이트의 후단부 상측에 설치된 펜스; 그리고 양단부에 각각 상기 두 중계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축이 형성되어, 하방 회전시 상기 탑재공간의 전방을 가로막게 되고, 상방 회전시 상기 탑재공간의 전방을 개방하게 되는 안전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수평프레임에는 상기 각 중계프레임의 상단부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브래킷, 그리고 상기 브래킷에 고정되되 상기 중계프레임의 상단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된 힌지축이 구비되며, 상기 각 중계프레임은 바디, 그리고 상기 힌지축이 삽입되는 체결공을 갖고 상기 바디의 상단부에 형성된 허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허브의 체결공과 연결되도록 상기 바디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부; 상기 수용공간부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된 승강로드; 상기 수용공간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안전바의 양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회전축의 중심에서 이격 배치되는 결합부; 그리고 상기 승강로드의 하단부와 상기 결합부를 연결하되, 상기 안전바의 하방 회전시 상기 승강로드를 하강시키게 되고, 상기 안전바의 상방 회전시 상기 승강로드를 상승시키게 되는 중계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안전바의 상방 회전에 의해 상승 동작한 상기 승강로드는 상기 힌지축의 하면을 가압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의 탑재가 가능한 장애인용 그네가 등록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장애우들을 위한 그네는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하기가 어려우며, 또한 사용하기가 매우 어려워 신체가 불편한 장애우 혼자 이용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조작 및 사용이 간단하여 혼자서도 쉽게 이용할 수 있는 휠체어 탑재되는 그네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 휠체어가 탑재되는 그네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에 진자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되, 내부에 휠체어를 탑재할 수 있는 탑재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 휠체어 탑재가 가능한 그네는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하기가 매우 쉬우며, 또한 조작 및 사용이 간단하여 혼자서도 이용하기 쉽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휠체어가 탑재되는 그네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휠체어가 탑재되는 그네의 측면개요도.
도 3은 본 발명 휠체어가 탑재되는 그네의 평면 개요도.
도 4는 본 발명 휠체어가 탑재되는 그네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측면개요도.
도 5는 본 발명 휠체어가 탑재되는 그네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일부분 확대상세도.
도 6은 본 발명 휠체어가 탑재되는 그네에 회동방지장치가 추가된 개요도.
도 7과 도 8은 안전바의 회동에 따른 회동방지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A부분 확대 개요도.
도 9와 도 10은 안전바의 회동에 따른 회동방지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B부분 확대 개요도.
본 발명 휠체어가 탑재되는 그네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120)과,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12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수평프레임(130)과, 상기 수평프레임(130)에 진자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되, 내부에 휠체어를 탑재할 수 있는 탑재공간(111)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110)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상기 본체(110)는 전면 또는 후면방향으로는 개구되고, 내부 바닥면은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되, 외부 저면은 하부로 볼록한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110)의 하부측 지면에는 상면에 상기 본체(110)의 외부 저면형상에 대응하는 오목홈(142)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개구방향을 향하도록 경사면(141)이 형성되어 있는 받침프레임(140)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받침프레임(140)의 경사면을 따라 쉽게 본체(110)의 탑재공간으로 휠체어가 이동하여 안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수평프레임(130)의 중앙에는 하부방향으로 사용자가 그립할 수 있는 그립로프(150)가 설치되어 있어, 사용자가 그립로프(150)를 잡고 본체(110)를 진자운동시킴으로써 그네를 즐길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상기 본체(110)의 내부 바닥면의 전면에는 삼각형 형상의 안전돌기(112)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안전돌기(112)의 외부측 경사면은 완만하게 형성되어 있고, 내부측 경사면은 급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하, 본 발명 휠체어가 탑재되는 그네를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휠체어가 탑재되는 그네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 휠체어가 탑재되는 그네의 측면개요도, 도 3은 본 발명 휠체어가 탑재되는 그네의 평면 개요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그네(100)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120)과,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12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수평프레임(130)과, 상기 수평프레임(130)에 진자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것으로, 내부에 휠체어를 탑재할 수 있는 탑재공간(111)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110)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본체(110)는 전면 또는 후면방향으로는 개구되고, 내부 바닥면은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되, 외부 저면은 하부로 볼록한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상기 본체(110)의 하부측 지면에는 상면에 상기 본체(110)의 외부 저면형상에 대응하는 오목홈(142)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110)의 개구방향을 향하도록 경사면(141)이 형성되어 있는 받침프레임(140)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받침프레임(140)의 경사면을 따라 쉽게 본체(110)의 탑재공간(111)으로 휠체어가 이동하여 안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수평프레임(130)의 중앙에는 하부방향으로 사용자가 그립할 수 있는 그립로프(150)가 설치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그립로프(150)를 잡고서 본체(110)을 진자운동시킴으로써 그네(100)를 즐길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상기 수평프레임(130)의 중앙에는 전면방향으로 돌출되는 로프고정바(160)를 형성하고, 상기 로프고정바(160)에 그립로프(150)의 상단을 결합하였다.
그리고 상기 본체(110)의 내부 바닥면의 전면에는 삼각형 형상의 안전돌기(112)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안전돌기(112)의 외부측 경사면은 완만하게 형성되어 있고, 내부측 경사면은 급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즉, 휠체어가 본체(110)의 탑재공간(111)으로 진입하는 측에 위치한 경사면은 완만하게 형성하여 휠체어가 쉽게 넘어갈 수 있도록 하였으며, 휠체어가 외부로 진출하려는 측에 위치한 경사면은 급하게 형성하여 본체(110)의 진자운동시 쉽게 휠체어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본체(110)의 후방에도 개구가 되도록 하고, 받침프레임(140)의 후방에도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휠체어를 타고 후진하지 않고 전진하여 탑승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휠체어에 타고 있던 사용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110)의 양측면을 가로지르도록 안전바(170)가 설치되게 된다.
상기 안전바(170)는 양단이 본체(110)의 양측면에 회전축(171)에 의해 힌지결합되도록 설치됨으로써 휠체어를 타고 진입을 할 때에는 상부에 안전바(170)가 위치하도록 하며, 진입후에는 안전바(170)를 하부로 회동시켜 탑승자의 전면에 위치하도록 한다.
상기 안전바(170)의 양단은 본체(110)에 직접 결합하지 않고, 본체(110)를 진자운동하게 하도록 체결된 회동바(180)의 양측면에 전후방향으로 보강프레임(181)을 설치하고, 상기 보강프레임(180)에 안전바(170)의 양단이 힌지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더욱 견고한 결합이 되도록 하였다.
도 4는 본 발명 휠체어가 탑재되는 그네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측면개요도, 도 5는 본 발명 휠체어가 탑재되는 그네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일부분 확대상세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본체(110)의 후면도 개구하여 후면의 개구부를 통해 탑재공간(111)으로 휠체어(W)가 탑재되고, 사용후에는 본체(110)의 전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탑재공간(111)으로부터 외부로 나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에 사용자가 휠체어(W)를 후진하여 탑승하는 번거로움이 없이 오직 전진하는 방향으로 탑승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매우 쉽게 탑승할 수 있도록 하였다.
물론, 본체의 후방측에도 받침프레임(140)의 경사면(141)을 형성하여 쉽게 본체의 탑재공간으로 휠체어가 탑승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휠체어(W) 탑승 후, 진자운동시 휠체어(W)가 흔들리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안전돌기(112)를 휠체어의 탑재공간(111)의 바닥면에 뒤바퀴(W1)의 후면부와 앞바퀴(W2)의 전면에 각각 제1안전돌기(112a)와 제2안전돌기(112b)가 돌출형성되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제1안전돌기(112a)와 제2안전돌기(112b)는 삼각형 형상으로서 탑재공간(111)의 중심을 향하는 빗면이 다른 빗면보다 급경사면 내지는 직각이 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제1안전돌기(112a)와 제2안전돌기(112b) 사이에 휠체어(W)가 위치하면 휠체어(W)의 앞바퀴(W2)와 뒤바퀴(W1)가 쉽게 제1안전돌기(112a)와 제2안전돌기(112b)를 넘지못하도록 하였다.
특히, 앞바퀴(W2)의 후면부에 제2안전돌기(112b)를 형성하되, 상기 제3안전돌기(112c)는 앞바퀴(W)와 접촉하는 전면부측 빗면이 다른 빗면보다 급경사면 내지는 직각이 되도록 형성하였다.
즉, 일반적으로 휠체어(W)의 몸체를 받치는 뒤바퀴는 직경이 매우 크고, 상대적으로 앞바퀴는 주로 안내역할을 하기 때문에 뒤바퀴에 비해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것이 장착되기에 앞바퀴의 앞뒤에 제2안전돌기와 제3안전돌기를 장착함으로써 작은 직경의 앞바퀴가 제2안전돌기와 제3안전돌기를 쉽게 넘어가지 못하도록 하였다.
한편, 제1 내지 제3안전돌기가 위치한 본체(110)의 바닥면에 요홈(113)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안전돌기의 완경사면의 하부 모서리와 요홈(113)의 모서리가 서로 힌지결합되도록 하고, 요홈(113)에는 스프링(116)을 삽입장착하였다.
따라서, 휠체어(W)를 동작시켜 본체(110)의 후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탑재공간(111)으로 탑승하게 되면, 제1안전돌기(112a)와 제3안전돌기(112c)는 진행방향의 경사면이 완경사면이기 때문에 쉽게 제1안전돌기(112a)와 제3안전돌기(112c)를 넘을 수 있게 되며, 제2안전돌기(112b)에 위해 휠체어(W)의 앞바퀴(W2)는 더 이상 전진하지 못하게 된다.
즉, 제2안전돌기는 휠체어를 멈추게 하는 스토퍼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그네(100) 이용후에는 쉽게 제2안전돌기를 넘을 수 있도록 제2안전돌기의 전방에는 하부 끝단부가 바닥면에 힌지결합되어 있는 레버(114)가 장착되고, 상기 레어(114)와 제2안전돌기를 완경사면에 각각 링크축(115)의 양끝단부가 힌지결합되도록 체결하였다.
따라서, 레버(114)의 상부를 잡고 후방으로 당기면 링크축(115)이 제2안전돌기의 완경사면을 눌러 요홈에 삽입되기 때문에 휠체어의 앞바퀴가 쉽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6은 본 발명 휠체어가 탑재되는 그네에 회동방지장치가 추가된 개요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체어를 타고 본체(110)에 탑승 시, 본체의 흔들림에 의해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회동방지장치(200)를 추가 구성하였다.
기본적으로 본체(110)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체의 바닥면을 관통하고 관통홀을 형성하고 본체의 관통홀에 수직선상에 위치하도록 받침프레임의 상면에 홈을 형성하여 막대와 같은 고정레버(160)로서 본체의 관통홀과 받침프레임의 홈에 삽입시킴으로써 본체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고정레버(160)의 분실 시, 대비하기 위하여 추가로 안전바(170)의 회동에 따라 작동하는 회동방지장치(200)를 장착하였다.
안전바(170)가 상부를 향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본체가 회동하지 않도록 하고, 탑승 후에 사용자가 안전바를 하부로 회동시키면 본체가 회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회동방지장치(200)는 일단에 결합공(221)이 형성되며, 낚시대처럼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재의 폴대(220)와, 폴대(220)의 타단 장착되는 핀(230)과, 안전바(170)의 회전축(171)과 동심원상에 있도록 결합되는 회전판(210)으로 구성되되, 상기 회전판(210)의 일면에는 중심으로부터 일정간격을 이격되어 상기 폴대(220)의 결합공(221)에 삽입되는 결합돌기(21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으로서, 상기 폴대(220)의 결합공(221)에 삽입되는 회전판(210)의 결합돌기(211)는 결합공(221)에 삽입된 채, 공회전 가능한 결합구조이다.
본체(110)의 양측면에는 상부를 향하도록 회동바(180)가 장착되는 것으로, 안전상 본체(110)를 지지하기 위하여 본체의 양측면에 결합되는 회동바(180)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상단부는 서로 결합되고 하단부는 벌어지도록 하여 하단이 본체(110)에 결합되도록 하였다.
회동바(180)의 보강 및 안전바(170)를 장착하기 위해 한 쌍의 회동바(180) 간에는 수평상태의 보강프레임(181)의 양단이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회동바(180)와 보강프레임(181)은 전체하중을 줄이기 위하여 내부가 중공되어 있으며, 회동바(180)의 상면은 내부중공된 원통고리(182)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수평프레임(130)의 하면에는 한 쌍의 브래킷(131)이 돌출형성되고, 한 쌍의 브래킷(131) 간에는 중공축 형상의 힌지봉(132)의 양단이 결합되며, 힌지봉(132)의 외주연을 상기 원통고리(182)가 감싸도록 체결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힌지봉(132)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동바(180)와 함께 본체(110)는 진자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회동바(180)와 본체(110)의 회동을 제어하는 회동방지장치(200)는 회동바(180)와 보강프레임(181)의 중공부분에 장착하도록 한다.
즉, 안전바(170)의 회전축(171)과 동심원상에 위치하는 회전판(210)을 보강프레임(181)의 내부에 장착하고, 역시 폴대(220)를 보강프레임(181)과 회동바(180)의 내부에 길이를 따라 장착하며, 폴대(220)의 결합공(221)은 회전판(210)의 결합돌기(211)에 결합하고, 핀(230)은 힌지봉(132)의 측면에 형성된 삽입홈(133)에 삽입도록 장착한다.
이때, 상기 핀(230)은 삽입홈(133)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동바(180)가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강도를 지니도록 금속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과 도 8은 안전바의 회동에 따른 회동방지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A부분 확대 개요도, 도 9와 도 10은 안전바의 회동에 따른 회동방지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B부분 확대 개요도이다.
도 7과 도 8은 안전바(170)의 회동위치에 따라 회전판(210)에 형성된 결합돌기(211)의 위치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9와 도 10은 안전바(170)의 회동위치에 따라 힌지봉(132)과 핀(230)과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안전바(170)가 상부를 향하고 있는 상태에는 회전판(210)의 결합돌기(211)가 전방에 위치하게 되고, 폴대(220)도 전체적으로 전방으로 움직이게 됨으로써 핀(230)은 힌지봉(132)의 측면에 형성된 삽입홈(133)에 삽입하게 되어, 회동바(180)의 움직임을 제약하게 되며, 휠체어 탑승 후, 안전바(170)가 하부를 향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결합돌기(211)가 후방에 위치하게 되며, 폴대(220)의 전체적인 위치도 후방으로 향함으로써 핀(230)은 힌지봉(132)의 삽입홈(133)으로부터 이탈되어 회동바(180)는 진자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삽입홈(133)의 전방에는 핀(230)이 삽입홈(133)을 향하여 직선운동할 수 있도록 회동바(180)의 내부에 중공체 형상의 가이드링(240)을 장착하였다.
상기 가이드링(240)은 복수개를 구비하여 회동바(180)와 보강프레임(181) 내에 일정간격 유지하도록 장착할 수도 있다.
또한, 가이드링(240)을 회동바와 보강프레임(181)의 외부 측면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장착하고, 가이드링(240)의 중공홀로 폴대(220)가 관통하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 휠체어가 탑재되는 그네는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하기가 매우 쉬우며, 또한 조작 및 사용이 간단하여 혼자서도 이용하기 쉽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100. 그네
110. 본체 120. 수직프레임 130. 수평프레임
140. 받침프레임 150. 그립로프 160. 로프고정바
170. 안전바 180. 회동바 190. 고정레버
111. 탑재공간 112. 안전돌기 112a. 제1안전돌기
112b. 제2안전돌기 112c. 제3안전돌기 113. 요홈
114. 레버 115. 링크축 116. 스프링
131. 브래킷 132. 힌지봉 133. 삽입홈
141. 경사면 142. 오목홈
171. 회전축
181. 보강프레임 182. 원통고리
200. 회동방지장치
210. 원판 220. 폴대 230. 핀
240. 가이드링
211. 결합돌기
221. 결합홈
H. 힌지
W. 휠체어 W1. 뒤바퀴 W2. 앞바퀴

Claims (4)

  1. 한 쌍의 수직프레임(120)과,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12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수평프레임(130)과, 상기 수평프레임(130)에 진자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되, 내부에 휠체어를 탑재할 수 있는 탑재공간(111)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110)로 이루어진 휠체어가 탑재되는 그네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는 전면 또는 후면방향으로는 개구되고, 내부 바닥면은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되, 외부 저면은 하부로 볼록한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110)의 하부측 지면에는 상면에 상기 본체(110)의 외부 저면형상에 대응하는 오목홈(142)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개구방향을 향하도록 경사면(141)이 형성되어 있는 받침프레임(140)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수평프레임(130)의 중앙에는 하부방향으로 사용자가 그립할 수 있는 그립로프(150)가 설치되어 있어, 사용자가 그립로프(150)를 잡고 본체(110)를 진자운동시키는 것이고,
    상기 본체(110)의 내부 바닥면의 전면에는 삼각형 형상의 안전돌기(112)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안전돌기(112)의 외부측 경사면보다 내부측 경사면이 급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휠체어(W) 탑승 후, 진자운동시 휠체어(W)가 흔들리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안전돌기(112)를 휠체어(W)의 탑재공간(111)의 바닥면에 뒤바퀴(W1)의 후면부와 앞바퀴(W2)의 전면에 각각 제1안전돌기(112a)와 제2안전돌기(112b)가 돌출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제1안전돌기(112a)와 제2안전돌기(112b)는 삼각형 형상으로서 탑재공간(111)의 중심을 향하는 빗면이 다른 빗면보다 급경사면 내지는 직각이 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제1안전돌기(112a)와 제2안전돌기(112b) 사이에 휠체어(W)가 위치하면 휠체어(W)의 앞바퀴(W2)와 뒤바퀴(W1)가 쉽게 제1안전돌기(112a)와 제2안전돌기(112b)를 넘지못하도록 하고,
    상기 휠체어(W) 앞바퀴(W2)의 후면부에 제2안전돌기(112b)를 형성하되, 제3안전돌기(112c)는 앞바퀴(W2)와 접촉하는 전면부측 빗면이 다른 빗면보다 급경사면 내지는 직각이 되도록 형성하여,
    상대적으로 뒤바퀴(W1)에 비해 직경이 작은 앞바퀴(W2)것이 장착되기에 앞바퀴(W2)의 앞뒤에 제2안전돌기(112b)와 제3안전돌기(112c)를 장착함으로써 작은 직경의 앞바퀴(W2)가 제2안전돌기(112b)와 제3안전돌기(112c)를 쉽게 넘어가지 못하도록 하며,
    상기 제1 내지 제3안전돌기(112a, 112b, 112c)가 위치한 본체(110)의 바닥면에 요홈(113)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안전돌기(112a, 112b, 112c)의 완경사면의 하부 모서리와 요홈(113)의 모서리가 서로 힌지결합되도록 하고, 요홈(113)에는 스프링(116)을 삽입장착함으로써,
    휠체어(W)를 동작시켜 본체(110)의 후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탑재공간(111)으로 탑승하게 되면, 제1안전돌기(112a)와 제3안전돌기(112c)는 진행방향의 경사면이 완경사면이기 때문에 쉽게 제1안전돌기(112a)와 제3안전돌기(112c)를 넘을 수 있게 되며, 스토퍼역할을 하는 제2안전돌기(112b)에 위해 휠체어(W)의 앞바퀴(W2)는 더 이상 전진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그네(100)를 이용 후에는 제2안전돌기(112b)를 넘을 수 있도록 제2안전돌기(112b)의 전방에는 하부 끝단부가 바닥면에 힌지결합되어 있는 레버(114)가 장착되고, 상기 레버(114)와 제2안전돌기(112b)의 완경사면에 각각 링크축(115)의 양끝단부가 힌지결합되도록 체결하여,
    상기 레버(114)의 상부를 잡고 후방으로 당기면 링크축(115)이 제2안전돌기(112b)의 완경사면을 눌러 요홈(113)에 삽입되기 때문에 휠체어(W)의 앞바퀴(W2)가 쉽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본체(110)의 바닥면을 관통하고 관통홀을 형성하고 본체(110)의 관통홀에 수직선상에 위치하도록 받침프레임(140)의 상면에 홈을 형성하여 막대와 같은 고정레버(160)로서 본체(110)의 관통홀과 받침프레임(140)의 홈에 삽입시킴으로써 본체(110)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특징인 휠체어가 탑재되는 그네.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50129678A 2015-09-14 2015-09-14 휠체어가 탑재되는 그네 KR1017298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9678A KR101729854B1 (ko) 2015-09-14 2015-09-14 휠체어가 탑재되는 그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9678A KR101729854B1 (ko) 2015-09-14 2015-09-14 휠체어가 탑재되는 그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1995A KR20170031995A (ko) 2017-03-22
KR101729854B1 true KR101729854B1 (ko) 2017-04-25

Family

ID=58497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9678A KR101729854B1 (ko) 2015-09-14 2015-09-14 휠체어가 탑재되는 그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98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38411B2 (en) * 2020-09-03 2024-03-26 Landscape Structures Inc. Accessible swi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4763A (ja) 2001-11-12 2003-05-20 I D:Kk 遊戯具
CN203227290U (zh) 2013-05-20 2013-10-09 新疆康采恩工业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残疾人用荡椅
KR101528795B1 (ko) 2014-01-07 2015-06-15 오히 휠체어의 탑재가 가능한 장애인용 그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4763A (ja) 2001-11-12 2003-05-20 I D:Kk 遊戯具
CN203227290U (zh) 2013-05-20 2013-10-09 新疆康采恩工业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残疾人用荡椅
KR101528795B1 (ko) 2014-01-07 2015-06-15 오히 휠체어의 탑재가 가능한 장애인용 그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1995A (ko) 2017-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43425B2 (en) Swiveling infant car seat
EP2572767B1 (en) A rollercoaster amusement device
US7938435B2 (en) Juvenile stroller with removable child carrier
CA2039653A1 (en) Vehicle seats with built-in safety belt
US4382595A (en) Swing seat adapter
US11541786B2 (en) Infant carrier
FR2625955A1 (fr) Siege rabattable de vehicule, notamment pour vehicules utilitaires
KR950007778B1 (ko) 안전시트 겸용 유모차
KR101729854B1 (ko) 휠체어가 탑재되는 그네
CN207550008U (zh) 具有儿童座椅功能的汽车后排座椅
US20060105669A1 (en) Toy vehicle for children
EP0592273A2 (fr) Siège pour véhicule comprenant un dossier partiellement mobile
CN107499198A (zh) 一种汽车安全座椅
JP4504548B2 (ja) 自転車用補助座席装置
JPH077220Y2 (ja) 車両のシート装置
KR101125634B1 (ko) 줄을 당기며 타는 쌍그네
JP7343899B2 (ja) 搬送車及び入浴装置
CN212325932U (zh) 一种安全吊椅
JP6104665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S6030110Y2 (ja) 座席装置
JP4996374B2 (ja) 車椅子のフットレストの固定具
EP1035064B1 (en) A stair lift comprising a chair fitted with an adjustable seat
JP3698476B2 (ja) 車椅子用フットレスト
KR200247666Y1 (ko) 차량용 시이트트랙 록킹장치
JPH013947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