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7381B1 - 옥내용 흡연부스 - Google Patents

옥내용 흡연부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7381B1
KR101527381B1 KR1020140129144A KR20140129144A KR101527381B1 KR 101527381 B1 KR101527381 B1 KR 101527381B1 KR 1020140129144 A KR1020140129144 A KR 1020140129144A KR 20140129144 A KR20140129144 A KR 20140129144A KR 101527381 B1 KR101527381 B1 KR 1015273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air
swash plate
smoking
smok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9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해진
Original Assignee
(주)코리프냉동공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리프냉동공조 filed Critical (주)코리프냉동공조
Priority to KR1020140129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73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7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73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2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using electrostatic forces to remove particles, e.g. electret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by adsorption or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10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air supply, or exhaust, through perforated wall, floor or cei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8/00Sources of waste gases
    • B01D2258/06Polluted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0Further details for adsorption processes and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5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B01D2259/4508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cleaning air in bui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80Employing electric, magnetic, electromagnet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01D2259/818Employing electrical discharges or the generation of a plasma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2001/1294Booths for smoking

Abstract

본 발명은 내측에 흡연공간부가 밀폐된 구조로 형성되고 측면에 하나 이상의 출입구 및 흡기구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흡연공간부의 공기를 정화하는 제연부; 상기 제연부로부터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내용 흡연부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옥내용 흡연부스{Smoking booth}
본 발명은 흡연부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담배연기가 포함되는 흡연부스 내부의 공기를 완벽히 정화하여 흡연부스의 건물 내의 환풍시설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되는 옥내용 흡연부스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비흡연자의 간접흡연을 방지하기 위한 국가 정책의 일환으로 공공장소인 길거리, 식당, 당구장, PC방 등이 금연구역으로 지정되고 이를 위반하는 경우 과태료를 부가하는 등 금연구역의 확대 시행이 법을 토대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실질적인 관리 및 규제의 어려움이 있으며, 아울러 흡연자의 실천의식이 부족하여 전술하였던 공공장소에서의 흡연이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이에, 흡연자들에 합법적인 흡연공간을 제공하여 흡연권리도 보장해주면서 비흡연자에 피해가 가지않는 흡연부스 시설에 대한 개발이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밀폐된 흡연부스의 경우 그 내부의 연기 배출이 원활치 않아 흡연자 역시도 흡연부스내의 흡연 행위에 거부감을 갖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2-0114912호에서 '흡연부스'를 제안한 바 있으나, 이는 단순히 내부의 담배연기를 부스 외부로 배출시키는 정도에 불과하여 부스 외부로 배출되는 연기에 의해 간접흡연을 차단하는데 어려움이 있게된다.
한편, 쾌적한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별도의 공조시스템이 도입되는 경우도 있으나 이는 팬(fan), 흡기, 필터, 배기 등을 탑재 흡연공간에 마련하고 천장과 바닥공조 등으로 인한 설치비용 및 관리 등 인력소모와 공사비용이 많이 들뿐 아니라 설치하기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2-0114912호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밀폐된 흡연부스 내부의 담배연기를 여과 및 환기 방식으로 완전히 제거하여 흡연자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해주는 옥내용 흡연부스를 제공하고 또한, 흡연부스가 하나의 모듈 개념으로 구성되어 설치장소에 별도의 설비공사가 없이도 적용가능하여 설치가 용이하고 비용이 절감되는 옥내용 흡연부스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옥내용 흡연부스는 내측에 흡연공간부가 밀폐된 구조로 형성되고 측면에 하나 이상의 출입구 및 흡기구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흡연공간부의 공기를 정화하는 제연부; 상기 제연부와 연결되어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때, 상기 제연부는 일단은 상기 흡연공간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배기부에 연결되어 상기 흡연공간부의 공기를 배기부까지 안내하는 통로구조로 구성되는 덕트; 상기 덕트 내에서 복수의 필터가 상호 이격 배치되어 공기의 유동시 상기 필터를 단계적으로 거치도록 구성되는 필터부; 상기 덕트 내에서 공기의 흐름을 상기 흡연공간부에서 배기부로 유도하는 송풍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 상기 필터부는 상기 흡연공간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에 있어 먼지를 여과하도록 구성되는 프리필터; 상기 프리필터를 거쳐 유입되는 공기 중 연기를 제거하도록 구성되는 전기집진필터; 상기 전기집진필터를 거쳐 유입되는 공기중 미세먼지를 여과하도록 구성되는 미디움필터; 상기 미디움필터를 통과한 공기 중 악취를 흡착토록 하는 카본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프리필터는, 프리필터프레임과, 상기 프리필터프레임에서 일방향으로 평행하게 복수로 장착이 되는 원통형의 원통여재와, 상기 원통여재 간에 형성되는 프리필터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전기집진필터는, 유입되는 공기를 이온화 하는 복수의 코로나방전극; 상기 코로나방전극 사이에 각각 게재되는 복수의 집전판; 상기 집전판 사이에 형성되는 전기집진필터유로; 각각의 전기집진필터유로 끝단부에 게재되며 절곡된 형상의 보조집전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미디움필터는, 외각프레임과 상기 외각프레임 내부에서 일방향으로 평행하게 복수로 장착이 되는 구획프레임으로 구성된 미디움필터프레임; 상기 외각프레임과 상기 구획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미디움필터유로; 각각의 미디움필터유로에 장착이 되며 공기가 유동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팩형상의 팩여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제연부는, 센서가 구성되어 본체에서 사람이 나가는 것을 감지하여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 후 제연부의 가동이 멈추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출입구의 외측 하부에는 상기 출입구와 지면을 연결하는 경사판이 더 구성되되, 상기 경사판은 전방이 개구된 경사판수용부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며 사용시 전방으로 슬라이딩시켜 상기 경사판수용부에 형성된 정지돌기가 상기 경사판에 형성된 정지홈에 끼움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옥내용 흡연부스는 본체 내부의 공기를 외부와 연통되는 배기부로 전달시킴에 있어 정화기능을 수행하는 제연부를 거치도록 구성함으로써, 흡연부스 내의 흡연자들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흡연부스가 하나의 모듈 개념으로 구성되어 설치장소에 별도의 설비공사가 없이도 적용가능하여 설치가 용이하고 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연부를 구성함에 있어 각각의 필터의 유로방향이 일치하도록 하여 터뷸런스 발생에 의해 미세먼지 등의 분산을 방지하여 정화기능을 배가시킨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옥내용 흡연부스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배기부 및 제연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성으로서 프리필터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성으로서 전기집진필터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성으로서 미디움필터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3,4,5에 도시된 각각의 필터가 장착된 상태에서 공기의 유동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옥내용 흡연부스에 경사판이 적용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옥내용 흡연부스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 배기부(20) 및 제연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흡연부스가 하나의 모듈 개념으로서 설치장소에 별도의 설비공사 없이 흡연부스만 배치시킴으로써 자체적으로 제연 및 정화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됨에 특징이 있다.
상기 본체(10)는 원형 또는 사각형상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그 내부에는 밀폐된 공간인 흡연공간부(12)가 마련된다. 또한 본체(10)의 일 측 외벽에 출입구(16)를 마련하여 흡연자가 출입구(16)를 통해 흡연공간부(12)로 출입할 수 있게 되는 데 이때, 상기 출입구(16)로는 사용자가 직접 열고 닫는 수동문이 적용될 수 있으나 담배연기가 출입구(16)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동으로 닫히는 구조로 구성시킴이 타당하다.
또한 상기 본체(10)에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센서(18)가 구성되어 상기 제연부(30)와 연동토록 하는데 일 예로 상기 흡연공간부(12)에 사람이 있는 경우 자동적으로 제연부(30)가 작동하도록 하면서 상기 흡연공간부(12)에서 사람이 나가는 경우 상기 센서(18)가 이를 감지하고 기 설정된 시간을 경과하면 상기 제연부(30)의 작동을 멈추도록 하여 에너지면에서 경제적인 운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본체(10)의 일측에는 흡기구(14)를 마련하여 본체(10) 내부와 배기부(20) 상에서 공기가 유동하여 배기부(20)를 통해 건물 내 환풍시설로 전달하는 배기관(25)으로 배출되는 양에 상응하는 만큼 공기가 유입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흡기구(14)를 통해 흡연공간부(12)로 공기가 유입되어야 하는바, 대류현상에 역행하지 않고 공기의 흐름이 흡연공간부(12)로 유입되도록 함과 아울러, 공기가 본체(10)의 상측에 배치되는 배기부(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구조이므로 하에서 상측으로 유동하는 공기흐름에 유리한 구조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구(14)의 위치는 본체(10)의 하부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흡기구(14)의 구조는 외부의 공기가 흡연공간부(12)로 유입되도록 다양한 구성이 적용가능한 바, 그 일례로 도시된 바와 같이 빗물 또는 이물질 등이 본체(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복수의 바(15)가 하향의 경사각을 갖으며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그릴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별도의 제어부를 통해 흡기량을 자동 제어하도록 구성시킬 수 있음은 자명한 바이다.
상기 배기부(20)는 상기 제연부(30)의 상부에 배치되어 제연부(30)를 통해 정화된 공기가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건물의 환풍시설로 유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배기부(20)는 상기 제연부(30)와 연통하는 배기구(24)를 마련하여 상기 본체(10)의 흡연공간부(12) 상의 공기가 제연 및 정화되는 과정에서 순환하면서 상기 배기구(24)를 통해 건물 내 환풍시설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상기 제연부(30)는 상기 흡연공간부(12) 상에 담배연기가 포함된 공기를 정화하여 배기부(20)로 전달시키는 수단으로, 덕트(32), 필터부(34) 및 송풍기(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덕트(32)는 공기가 흐르는 통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단은 상기 흡연공간부(12)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배기부(20)에 연결되어 상기 흡연공간부(12)의 공기를 배기부(20)까지 안내하는 통 구조로 구성된다.
상기 필터부(34)는 덕트(32) 내에 배치되는 것으로 복수의 필터가 상호 이격배치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흡연공간부(12)의 공기가 배기부(20)로 유동시 상기 복수의 필터를 단계적으로 거치면서 미세먼지 등을 걸러내는 제연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상기 필터부(34)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송풍기(36)는 전술한 바에 따른 공기의 흐름이 상기 흡연공간부(12)에서 배기부(20)로 유동하도록 하나 이상이 구성되는 것으로, 본 실시 예에서는 일례로써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덕트(32) 내에 배치되는 것으로 표현하였으나, 덕트(32) 내의 공기를 유입하여 배기부(20)를 향해 배출시키도록 하여 공기의 흐름이 흡연공간부(12)에서 배기부(20)로 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라면 그 위치는 어디라도 무방하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필터부(34)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필터부(34)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덕트(32) 내에 구성되는 것으로 프리필터(341), 전기집진필터(342), 미디움필터(342) 및 카본필터(344)를 포함하여 구성됨에 특징이 있다.
먼저 상기 프리필터(341)는 상기 흡연공간부(12)를 향하는 상기 덕트(32)의 선단에 구성되어 상기 흡연공간부(12)로부터 상기 제연부(30)로 유입되는 공기에 대한 여과작용을 1차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상기 프리필터(341)는 필터부(34)로 유입되는 담배연기를 포함하는 공기 중에 먼지 등 이물질을 1차적으로 걸러내도록 구성하는 것으로 공기중의 먼지를 걸러내면서 공기저항을 최소화 하여 후단의 전기집진필터(342) 등의 정화효율 저하를 방지하도록 하여야 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프리필터(341)의 일 예를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 예의 프리필터(341)는 프리필터프레임(3411)과, 상기 프리필터프레임(3411)에서 일방향으로 평행하게 복수로 장착이 되는 원통형의 원통여재(3412)와, 상기 원통여재(3412) 간에 형성되는 프리필터유로(34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리필터프레임(3411)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4각형상으로 각각의 테두리에 수용홈(도면번호 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도록 하여 복수의 원통여재(3412)가 장착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원통여재(3412)는 원통관 형태로 구성되며 다양한 재질의 미세모가 외주연에 형성되도록 하여 공기 중의 미세먼지가 흡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원통여재(3412)의 형상에 기해 여재가 공기와 접촉하는 면적을 크게함으로써 미세먼지 흡착효율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프리필터프레임(3411)에는 복수의 원통여재(3412)가 일방향으로 배열되도록 함으로써 각각의 프리필터유로(3413)도 일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되도록 하는데, 이렇게 동일한 방향으로 프리필터유로(3413)를 형성토록 함으로써 유입되는 공기간의 충돌에 의한 터뷸런스를 최소화 하여 공기저항을 줄이면서 공기가 통과되도록 하고 터뷸런스에 의해 미세먼지가 비산되어 후공정에서 정화처리가 어려움 점을 제어토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프리필터프레임(3411)에는 복수의 원통여재(3412)가 각각 회전이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것이 더욱 타당한데 이는 관통하는 공기에 저항을 최소화 하여 터뷸런스 발생없이 1차적 여과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렇게 프리필터(341)를 통과하여 1차적으로 미세먼지가 제거된 공기는 후단의 전기집진필터(342)를 관통하도록 하는 바, 물리적 여과에 의해서는 중성기체로 이루어진 담배연기를 확실히 제거할 수 없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공기를 전기집진필터(342)를 통과토록 함으로써 담배연기를 제거토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기집진필터(342)의 일 예를 제시한다.
본 실시 예의 상기 전기집진필터(342)는, 유입되는 공기를 이온화 하는 복수의 코로나방전극(3421); 상기 코로나방전극(3421) 사이에 각각 게재되는 복수의 집전판(3422); 상기 집전판(3422) 사이에 형성되는 전기집진필터유로(3423); 각각의 전기집진필터유로(3423) 끝단부에 게재되며 절곡된 형상의 보조집전판(34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로나방전극(3421)은 유입된 공기에 있어 중성기체에 전자를 붙여 이온을 형성토록 하고 이러한 이온에 먼지가 붙어 전기적으로 음전하를 가진 대전체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대전체는 (+)전압이 인가된 각각의 집전판(3422)에 침적되어 유입된 공기로부터 담배연기는 물론 미세먼지까지 제거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렇게 상기 집전판(3422) 사이에 형성되는 전기집진필터유로(3423)로 공기가 유동하면서 집전판(3422)의 중앙부까지는 대전체가 용이하게 침적되나, 유동과정에서 집전판(3422)의 끝단부에서는 대전체의 대전이 약해지는 등에 의해 집전판(3422)으로 침적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각각의 전기집진필터유로(3423) 끝단부에 게재되며 절곡된 형상의 보조집전판(3424)을 게재시킴으로써 집전판(3422)의 끝단부에서 대전체의 침적효율이 저하되는 문제를 보조집전판(3424)의 게재를 통해 해결코자 하는 것이며 보조집전판(3424)을 절곡하는 이유는 보조집전판(3424)과 공기의 접촉면적을 크게하여 대전체의 침적효율을 높이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의 집전판(3422)은 곡면으로 구성되도록 하여 유입되는 공기와 집전판(3422)의 접촉면적을 크게 하여 대전체의 침적효율을 높이도록 하는데, 이 경우 유입되는 바람(W1)과 유출되는 바람(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음)의 방향이 다르게 되어 후 공정으로서 미디움필터(343)로 유입되는 바람이 예각을 형성하게 되어 그만큼 공기저항을 발생시키며 터뷸런스를 발생시킬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보조집전판을 구성함에 있어 전단절곡부(3424-1)와 후단절곡부(3424-2)가 구성되도록 하여 대전체의 침적효율을 높이되, 후단절곡부(3424-2)는 직립된 형상으로 구성되어 곡면을 형성하는 전기집진필터유로(3423)를 통과하는 공기가 상기 후단절곡부(3424-2)의 유도에 의해 후단의 미디움필터(343)에 직립된 방향으로 공기의 유동방향이 조절되도록 하여 공기저항 및 터뷸런스를 제어하도록 한다. 즉 상기와 같은 보조집전판(3424)에 의해 유입되는 공기(W1)와 유출되는 공기(W2)가 동일한 방향이 되도록 하여 후단의 미디움필터(343)에서의 공기저항 및 터뷸런스를 제어토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미세먼지 및 담배연기가 제거된 공기는 미디움필터(343)를 더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미세먼지의 완전한 제거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미디움필터(343)의 일 예를 제시하고 있다.
본 실시 예의 미디움필터(343)는 외각프레임(3431-1)과 상기 외각프레임(3431-1) 내부에서 일방향으로 평행하게 복수로 형성되는 구획프레임(3431-2)으로 구성된 미디움필터프레임(3431); 상기 외각프레임(3431-1)과 상기 구획프레임(3431-2)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미디움필터유로(3432); 각각의 미디움필터유로(3432)에 장착이 되며 공기가 유동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팩형상의 팩여재(34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디움필터프레임(3431)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미디움필터유로(3432)는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크기로 평행하게 구성되어 동일한 공기의 량이 동일한 방향으로 유입되도록 하여 터뷸런스를 제어토록 한다.
상기 팩여재(3433)는 각각의 미디움필터유로(3432)에 공기가 유동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장착되는데 각각의 미디움필터유로(3432)로 유입된 공기는 각각의 팩여재(3433) 내주연과 접하면서 팩여재(3433)로부터 미세먼지가 여과된 공기가 각각 유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미디움필터(343)를 구성함에 의해 각각의 여재를 팩형으로 구성하여 집진면적을 최대한으로 이용하여 미세먼지 여과효율을 높이고 균등한 공기량을 각각 통과시키도록 하여 균일한 여과 및 배출되는 공기의 터뷸런스를 제어토록 하는 것이다. 또한 팩형의 팩여재(3433)를 각각의 미디움필터유로(3432)에 장착함으로써 사용중 폐색이 발생한 팩여재(3433)만을 교체할 수 있으므로 호환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이렇게 본 발명에서는 도 3, 4 및 5에 도시된 프리필터(341), 전기집진필터(342) 및 미디움필터(343)를 차례로 장착하면서 미세먼지 및 담배연기의 제거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의 프리필터유로(3413), 전기집진필터유로(3423), 및 미디움필터유로(3432)를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토록 함으로써 유입되는 공기(W1)와 각각을 통과하는 공기(W2, W3, W4)가 모두 동일한 방향이 유지되도록 하여 공기저항을 최소화 하여 각각의 필터의 정화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공기터뷸런스에 의해 정화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며 에너지효율도 배가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미디움필터(343)를 통해 미세먼지가 완전히 제거된 공기를 후단의 카본필터(344)를 통과시키도록 함으로써 카본필터(344)에 의해 악취를 흡착하도록 하여 필터부(34)를 통과하는 공기는 미세먼지, 담배연기 및 악취가 제거된 상태의 청정한 공기가 유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흡연공간부(12)로부터 상기 제연부(30)를 통과하여 배기부(20)로 배출되는 공기는 필터부(34)에 의해 완벽히 정화된 공기만이 배기부(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옥내용 흡연부스에 경사판이 적용되는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경사판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경사판(200)은 하나의 모듈 개념으로서 설치장소에 별도의 설비공사 없이 흡연부스만 배치시키는 것으로 흡연부스의 운반 및 보관 시 변형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체의 하부프레임에 하부판(18)이 구성될 수 있는 바, 그에 따른 지면과의 단차가 발생되어 장애인 또는 일반인이 단차에 의해 출입시 어려움을 줄 수 있게 된다.
이에 상기 경사판(200)은 출입구(16)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경사판(200)에는 제 1경사면(201)과 제 2경사면(202)이 형성되는데, 제 1경사면(201)은 지면과 흡연부스를 연결하는 수단이고 제 2경사면(202)은 제 1경사면(201)과 이웃하는 면으로, 경사판(200)의 전방 끝단부가 지면에 닿은 상태로 경사판(200)를 부스에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인 것으로 제 2경사면(202)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본 명세서 전체에서 전방이라 함은 흡연부스의 내측에서 출입구를 향하는 방향을 전방이라 정의한다.
또한 상기 흡연부스 하부에는 출입구의 범위가 포함되는 하부에 전방이 개구된 경사판수용부(210)가 형성되는데, 상기 경사판수용부(210)의 내부공간에 상기 경사판(200)이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경사판(200)이 설치될 때에는 경사판(200)을 슬라이딩시켜 전방으로 돌출시키고 경사판(200)의 전방 끝단부가 지면에 접하는 시점에 상기 경사판수용부(210)의 내부하면(212)에 형성된 정지돌기(230)가 상기 경사판(200)의 저면에 형성된 정지홈(240)에 맞물린 상태로 고정되며, 반대로 경사판(200)을 경사판수용부(210)에 내재시킬 때에는 경사판(200)이 완전히 내재된 상태에서 상기 정지돌기(230)가 경사판(200)의 전방 끝단을 고정하여 외부로 슬라이딩 되지 않도록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정지돌기(230)는 경사판수용부(210)의 내부하면(212)의 전방 끝 단부에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정지돌기(230)는 경사판수용부(210)의 내부하면(212)에는 스프링 등의 탄성체(232)를 내재하는 돌기수용부(234)에 삽입되되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내측 끝단에 돌기(도면부호 미도시)가 구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경사판(200)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될 때에 경사판(200)의 하중에 눌린 정지돌기(230)가 돌기수용부(234)에 삽입되어 경사판(200)의 원활한 슬라이딩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정지돌기(230)의 돌기경사면(231)과 정지홈(240)의 홈경사면(241)은 서로 대응되는 동일한 방향을 향하여 구배가 형성된 경사면이 구성되므로, 경사판(200)이 경사판수용부(210)의 전방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경사판수용부(210) 내부로 쉽게 밀릴 수 있게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여 경사판(200)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7a에서는 흡연부스를 보관하거나 이동중일 경우에 적용되는 것으로 경사판(200)이 경사판수용부(210)에 완전히 수용된 것을 나타낸 것으로 수용된 상태에서는 경사판(200)의 전방 끝단이 정지돌기(230)에 의해 고정된 것을 보여준다.
또한 경사판(200)에 형성된 제 2경사면(202)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보다 하측으로 구배가 형성되게 된다.
도 7b는 흡연부스가 설치된 상태에서 경사판(200)이 슬라이딩 되는 단계를 나타낸 것으로, 도 7a의 상태에서 정지돌기(230)를 하방향으로 누른 후 경사판(200)을 외측(전방)으로 슬라이딩시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도 7c는 경사판(200)을 전방으로 완전히 돌출되어 설치가 완료된 것을 나타낸 것으로, 정지돌기(230)와 정지홈(240)이 배치되는 바람직한 위치는 경사판(200)이 전방으로 슬라이딩 되는 과정에서 경사판(200)의 전방 끝단부가 지면에 닿는 순간에 정지돌기(230)와 정지홈(240)이 맞물리도록 배치됨이 타당하며, 이때 수평보다 하측 구배의 경사각을 갖는 상기 제 2경사면(202)이 경사판수용부(210)의 내부상면(214)에 수평상태로 고정되게 된다.
아울러 경사판(200)을 다시 경사판수용부(210)에 수용시킬 경우에는 경사판(200)을 경사판수용부(210) 방향으로 밀게되면 상기 정지돌기(230) 및 정지홈(240)에 각각 구성된 돌기경사면(231)과 홈경사면(241)의 구조에 기해 경사판수용부(210)의 내측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경사판(200)은 흡연부스의 이동 및 보관시에 상기 경사판수용부(210)에 수용되도록 하여 공간의 효율성을 제공하게 되며 또한 흡연부스의 설치 및 사용 시에는 상기 경사판(200)을 흡연부스의 전방으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경사판(200) 설치가 간편히 이뤄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상기 경사판(200)의 전방 끝단에 손잡이를 추가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본체 12 : 흡연공간부
14 : 흡기구 20 : 배기부
30 : 제연부

Claims (10)

  1. 내측에 흡연공간부가 밀폐된 구조로 형성되고 측면에 하나 이상의 출입구 및 흡기구가 형성되는 본체;
    일단은 상기 흡연공간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배기부에 연결되어 상기 흡연공간부의 공기를 배기부까지 안내하는 통로구조로 구성되는 덕트와, 상기 덕트 내에서 복수의 필터가 상호 이격 배치되어 공기의 유동시 상기 필터를 단계적으로 거치도록 구성되어 정화 작용을 실시하는 필터부 및 상기 덕트 내에서 공기의 흐름을 상기 흡연공간부에서 배기부로 유도하는 송풍기 제연부; 및
    상기 제연부로부터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부는, 상기 흡연공간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에 있어 먼지를 여과하도록 구성되는 프리필터; 상기 프리필터를 거쳐 유입되는 공기 중 연기를 제거하도록 구성되는 전기집진필터; 상기 전기집진필터를 거쳐 유입되는 공기중 미세먼지를 여과하도록 구성되는 미디움필터; 및 상기 미디움필터를 통과한 공기 중 악취를 흡착토록 하는 카본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프리필터는, 프리필터프레임과, 상기 프리필터프레임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일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복수로 장착이 되는 원통형의 원통여재 및 상기 원통여재 간에 형성되는 프리필터유로를 포함하여, 상기 프리필터유로가 일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전기집진필터는, 유입되는 공기를 이온화하는 복수의 코로나방전극과, 상기 코로나방전극 사이에 각각 게재되는 복수의 집전판과, 상기 집전판 사이에 형성되는 전기집진필터유로 및 각각의 전기집진필터유로 끝단부에 게재되며 공기와의 접촉면적이 확장되도록 절곡된 형상으로 구성되는 보조집전판을 포함하되, 각각의 집전판은 곡면으로 구성되어 유입되는 공기와 상기 집전판의 접촉면적을 확장하도록 하며, 각각의 전기집진필터유로는 동일한 방향으로 곡선유로로 형성되고, 상기 보조집전판은 절곡되어 전단절곡부와 후단절곡부로 구성되도록 하되 후단절곡부는 직립된 형상으로 구성되어 전기집진필터유로를 통과하는 공기가 상기 후단절곡부의 유도에 의해 후단의 미디움필터에 직립된 방향으로 공기의 유동방향이 조절되도록 하며,
    상기 미디움필터는, 외각프레임과 상기 외각프레임 내부에서 일방향으로 평행하게 복수로 장착이 되는 구획프레임으로 구성된 미디움필터프레임과, 상기 외각프레임과 상기 구획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며 동일한 방향과 동일한 크기로 평행하게 구성되어 동일한 공기의 량이 동일방향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복수의 미디움필터유로 및 각각의 미디움필터유로에 장착이 되며 공기가 유동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팩형상의 팩여재를 포함하고,
    상기 프리필터유로, 전기집진필터유로, 미디움필터유로를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하여 유입되는 공기와 각각을 통과하는 공기가 모두 동일한 방향이 유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내용 흡연부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센서가 구성되어 상기 제연부와 연동토록 하는데 상기 흡연공간부에 사람이 있는 경우 자동적으로 제연부가 작동하도록 하면서 상기 흡연공간부에서 사람이 나가는 경우 상기 센서가 이를 감지하고 기 설정된 시간을 경과하면 상기 제연부의 작동을 멈추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내용 흡연부스.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의 외측 하부에는 상기 출입구와 지면을 연결하는 경사판이 더 구성되되,
    상기 경사판은 전방이 개구된 경사판수용부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며 사용시 전방으로 슬라이딩시켜 상기 경사판수용부에 형성된 정지돌기가 상기 경사판에 형성된 정지홈에 끼움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내용 흡연부스.
KR1020140129144A 2014-09-26 2014-09-26 옥내용 흡연부스 KR1015273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9144A KR101527381B1 (ko) 2014-09-26 2014-09-26 옥내용 흡연부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9144A KR101527381B1 (ko) 2014-09-26 2014-09-26 옥내용 흡연부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7381B1 true KR101527381B1 (ko) 2015-06-16

Family

ID=53518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9144A KR101527381B1 (ko) 2014-09-26 2014-09-26 옥내용 흡연부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73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509Y1 (ko) 2018-08-13 2019-02-14 이기복 이동식 미니 흡연부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0547A (ja) * 1999-07-12 2001-01-23 Aiken Kogyo Kk 空気清浄機付き喫煙ルーム
KR101288332B1 (ko) * 2013-02-19 2013-07-22 허재철 멀티부스
KR101347650B1 (ko) * 2013-07-26 2014-01-17 주식회사 효신디자인 공기정화 및 에너지 절약형 흡연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0547A (ja) * 1999-07-12 2001-01-23 Aiken Kogyo Kk 空気清浄機付き喫煙ルーム
KR101288332B1 (ko) * 2013-02-19 2013-07-22 허재철 멀티부스
KR101347650B1 (ko) * 2013-07-26 2014-01-17 주식회사 효신디자인 공기정화 및 에너지 절약형 흡연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509Y1 (ko) 2018-08-13 2019-02-14 이기복 이동식 미니 흡연부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7380B1 (ko) 옥외용 흡연부스
KR100253427B1 (ko) 공기청정기
KR101457444B1 (ko) 플라즈마 공기 청정장치
CN111684210B (zh) 用于通风进气口的空气处理装置
CN107435964B (zh) 一种防止油烟逃逸的风幕系统
KR101339988B1 (ko) 간접흡연 방지를 위한 흡연자용 청정 부스시스템
KR20170084863A (ko) 공기정화형 시스템 흡연부스
JP2001248865A (ja) 換気機能付空気清浄装置
KR101366604B1 (ko) 담배 연기 악취 분해 및 먼지 제거장치
KR102214470B1 (ko) 분무노즐을 이용해 집진판의 세척이 가능한 공기정화장치
KR101527381B1 (ko) 옥내용 흡연부스
JP2000175772A (ja) 竜巻式排気清浄装置を備えた椅子
JP2006250396A (ja) 空気清浄機能付喫煙室
JP4468714B2 (ja) 分煙システム
KR101972219B1 (ko) 환기용 공기청정장치
KR101342101B1 (ko) 전기 집진기
KR20170090256A (ko) 흡기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환기장치
KR20190117057A (ko) 다중 이용 시설의 미세 먼지 저감 장치
JPH11156237A (ja) 空気清浄機
JP5464178B2 (ja) 空気調和機
KR20180076960A (ko) 수분 제거기를 구비하는 전기 집진장치
CN107435960B (zh) 厨房空气净化系统
KR101905582B1 (ko) 배출 공기 정화 장치
JP2000116530A (ja) フィルター浄化式ノンダクトロースター
JP2000042326A (ja) 空気清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