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7505U - 교통안전표지등 - Google Patents

교통안전표지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7505U
KR20000007505U KR2019990003493U KR19990003493U KR20000007505U KR 20000007505 U KR20000007505 U KR 20000007505U KR 2019990003493 U KR2019990003493 U KR 2019990003493U KR 19990003493 U KR19990003493 U KR 19990003493U KR 20000007505 U KR20000007505 U KR 2000000750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
traffic safety
case
traffic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34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창식
Original Assignee
신창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창식 filed Critical 신창식
Publication of KR200000075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7505U/ko

Links

Landscapes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통안전을 위하여 도로 상에서 그 도로에 관련된 각종 주의사항이나 제한사항 또는 지시사항 등을 표지로써 자동차 운전자나 보행자 등에게 알려주는 교통안전표지등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발광체를 구비하여 표지에 대한 야간 식별력을 높인 교통안전표지등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교통안전표지등은,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면서 철주(81)에 고정되며, 그 표면에는 교통관련 문자 및/또는 도형으로 이루어진 표지가 도안된 반투명재의 케이스(62)와; 상기 케이스(62)에 내장되는 발광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와 같은 구성으로, 야간 주행시 교통관련 안내표지에 대한 시인성을 개선할 수 있고 또 가시거리도 대폭 늘어나 주행하는 도로에 관련하여 주의가 요망되는 사항들을 운전자에게 쉽게 인지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운전자로 하여금 보다 안전한 운행을 도모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교통안전표지등{TRAFFIC CONTROL SIGN}
본 고안은 교통안전을 위하여 도로 상에서 그 도로에 관련된 각종 주의사항이나 제한사항 또는 지시사항 등을 문자나 도형으로 이루어진 표지(標識)로써 자동차 운전자나 보행자 등에게 알려주는 교통안전표지등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발광체를 구비하여 표지에 대한 야간 식별력을 높인 교통안전표지등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운행에 관련된 각종의 주의사항이나 제한사항 또는 지시사항을 그림이나 도형 또는 문자 등으로 함축하여 나타낸 표지로써 운행 중인 자동차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각종의 교통안전표지판은 그 표지내용의 분류에 따라 삼각형이나 원형 또는 사각형의 평판으로 구분하여 제작되며 이동식 철주나 별도의 전용 철주 또는 신호등 철주 등을 이용하여 자동차 운전자가 쉽게 볼 수 있는 위치인 도로의 상부 또는 옆에 설치된다.
이러한 교통안전표지판의 표지는 자동차 운행이 주간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야간에 자동차를 운행하는 운전자도 쉽게 식별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종래의 교통안전표지판은 그 표지가 야간에도 보일 수 있게 하기 위하여 통상 조사되는 빛을 반사할 수 있는 반사물질을 함유한 페인트로 도안되어 야간에는 표지내용이 자동차의 전조등 빛에 반사되어 운전자가 표지를 인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교통안전표지판은 빛이 조사되어야만 운전자가 표지내용을 식별할 수 있으므로, 표지판이 전조등 빛이 도달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는 경우, 운전자가 미처 대처할 시간적 여유가 없는 거의 근접한 위치에서만 내용식별이 가능하여 사고를 유발할 위험성을 가지고 있었다.
예를 들면, 고갯마루길이나 급커브길 직후에 설치되는 횡단보도 주의표지판의 경우, 운전자는 자신이 운행하는 자동차가 고갯마루 또는 급거브길을 완전히 벗어나 자동차의 정면으로 횡단보도 표지판이 위치하게 되서야만 전조등 빛이 표지판에 조사되어 그 표지를 식별할 수 있다. 따라서, 보행자가 횡단보도를 건너고 있는 상황에서 이 도로를 운행하는 경우라면, 자동차의 운전자는 고갯마루나 급커브길을 벗어나 전조등 빛이 표지판 정면에 조사되어야만 그 표지판의 표지를 볼 수 있기 때문에 이 표지를 식별하자마자 바로 보행자가 나타나는 돌발상황에 처해져 사고를 유발할 우려가 아주 컸었다.
또한, 종래 교통안전표지판은 가시(可視)거리가 아주 짧은데도 불구하고 전조등을 켜지 않고 자동차를 운행하게 되는 예컨대 흐린 날이나 안개낀 날 또는 해질 녁의 경우에 시인성(視認性)이 아주 나쁘고 또 운전자가 아주 가까운 거리에서만 그 표지를 식별할 수 있으므로, 운전자로 하여금 사전에 그 도로에 관련한 주의나 제한사항 등을 인식하게 함으로써 사고를 예방하는 제구실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 교통안전표지판은, 도로사정상 자동차 주행방향과 일치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는 경우 야간에 자동차를 운행하는 운전자가 그 표지를 쉽게 인식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주행방향과 일치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경우라도 시계가 좋지 않은 날에는 시인성이 불량하고 그 식별거리도 아주 짧기 때문에, 교통사고를 예방하는 본래의 제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교통안전표지판이 가지고 있었던 문제점을 해소한 것으로, 발광체를 구비하여 시인성이 좋고 먼거리에서도 볼 수 있으며 또 야간에 전조등 빛의 반사에 의하지 않고도 쉽게 식별할 수 있는 교통안전표지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교통안전표지등들이 설치된 신호등 철주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교통안전표지등들이 설치된 이동식 철주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교통안전표지등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교통안전표지등의 내부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교통안전표지등의 고정구조의 첫째 예를 보인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교통안전표지등의 고정구조의 두번째 예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교통안전표지등의 고정구조의 세번째 예를 보인 측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 대 판 에 의한 교통안전표지등의 고정구조의 네 번째 예를 보인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2, 3, 4, 5, 6 : 교통안전표지등60 : 표지
61 : 커버62 : 케이스
63 : 지지대64 : 방전관
65 : 안정기67 : 차광막
81 : 가로대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가지는 본 고안의 교통안전표지등은,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면서 철주(81)에 고정되며, 표면에 교통관련 문자 및/또는 도형으로 이루어진 표지가 도안된 반투명재의 케이스(62)와; 상기 케이스(62)에 내장되는 발광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고안에 따른 교통안전표지등은, 상기 발광수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방전관(64)과 이 방전관용 안정기(65) - 특히 점멸회로를 구비한 안정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61) 표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차광막을 설치하면 케이스 표면에 입사되는 햇빛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주간(晝間)에 표지에 대한 시인성을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이형지에 도안되어 상기 케이스 표면에 부착되는 표지를 사용하면 케이스를 표지 분류별로 공용화할 수 있고 또 표지를 교체사용할 수 있으므로 교통안전표지등 제작과 보전에 투입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들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교통안전표지등은 특히 야간에 발광수단인 형광등이 발광하여 야간에 자동차의 전조등 빛이 조사되지 않더라고 그 표지를 선명하게 나타내므로, 운전자로 하여금 자동차의 주행방향과 일치하지 않은 먼거리에서도 표지를 쉽게 확인하여 충분한 여유시간을 두고 미리 대처할 수 있게 하여 자동차의 안전한 운행을 도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으로 제시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이상의 각 구성들의 기능과 작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교통안전표지등(1)(2)(3)(4)(5)(6)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등(7)이 설치된 기존의 신호등 철주(8)의 가로대(9)나 필요에 따라 설치장소를 옮길 수 있는 이동식 철주(9)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지면에 그 지주가 매립되는 고정식 철주(도시되지 않음) 등에도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교통안전표지등은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표지의 내용이 주의사항인가 제한사항인가 또는 금지사항인가 등의 분류에 따라 삼각형, 원형, 또는 기타 다른 형태의 케이스를 가지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교통안전표지등(6)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에 횡단보도가 있음을 알리는 주의표지(注意標識)(60)가 그려진 오각형 케이스를 갖는 표지등으로서, 이 교통안전표지등(6)의 구성은, 도 4에 도시된바와 같이, 여닫이식 커버(61)를 구비하여 내부에 외부로부터 차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62)와, 상기 케이스의 내벽에 고정된 지지대(63)와, 상기 지지대(63)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방전관(64)과, 그리고, 방전관용 안정기(65) 등으로 대별하여 볼 수 있다. 이들 각 구성들의 특징과 작용은 다음과 같다.
상기 케이스(62)는 빛을 반투과할 수 있는 반투명재질의 납작한 상자형 합성수지체로, 그 일면에는 경첩(66)에 의해 고정되어 여닫이식으로 회동되면서 케이스(62) 내부를 개폐하는 커버(61)가 설치되어 교통안전표지등(6)의 외형을 이루게 되고, 그 전,후의 표면에는 운전자에게 각종 제한이나 금지 또는 주의 사항의 내용을 함축한 도형이나 문자로 이루어진 표지가 도안된다. 그리고, 표지의 위쪽과 옆쪽 가장자리에는 직사되는 햇빛을 차단하는 처마 형태의 차광막(67)이 억지끼움식 고정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부착된다. 이 커버(61)는 본 실시예에서 여닫이식으로 설치되고 있으나 이는 케이스(62) 내부를 개폐할 수 있는 다른 여러 가지 형식의 커버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63)는 케이스(62) 내부에서 케이스에 고정지지되며 발광체인 방전관(64)과 이 방전관에 부속되는 안정기(65)를 케이스(62)에 대하여 지지,고정한다.
상기 방전관(64)은 통상 사용되는 형광등으로서, 이는 백열전구와 같은 다른 발광수단으로 변경되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안정기(65)는 방전관(64)에 부속되어 방전관에 대하여 적당한 저항을 주는 것으로서, 통상 사용되는 일반적인 안정기 대신 공지된 ‘점멸회로를 구비한 안정기’를 사용하면 방전관(13)이 일정한 시간주기로 점멸되어 운전자에 대한 표지의 시인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교통안전표지등(10)이 이상과 같은 구성들로 이루어짐에 따라 주간(晝間)에는 케이스(11)에 도안된 표지를 종래의 교통안전표지판처럼 표지를 볼 수 있으며, 야간에는 내장된 방전관(13)이 발광하여 케이스(11) 표면에 도안된 표지가 선명하게 드러남으로써 그 표지를 운전자가 자동차 전조등의 빛 없이도 쉽게 식별할 수 있다. 따라서, 특히 교통안전표지등(10)이 급커브길이나 고개마루길을 지난 직후의 직선주행로 상에 설치되는 경우, 운전자가 급커브길 또는 고개마루길을 벗어나기 전, 즉, 아직 직선주행로에 이르지 않아 전조등 빛이 아직 교통안전표지등(10)에 도달되지 않은 상태에서 선명하게 나타난 표지를 미리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되며, 이에 운전자가 표지에 나타난 주의사항이나 제한사항을 좀더 일찍 인식하여 대처할 수 있으므로 야간의 자동차 운행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교통안전표지등은,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주에 따라 그 고정구조를 여러 가지 형태로 달리하여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도 5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교통안전표지등(6)은 도 2의 이동식 철주(9)와 같이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는 철주에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케이스(62)의 후면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철주(9)를 감싸면서 볼트체결에 의해 케이스 후면에 부착된 고정판과 결합함으로써 교통안전표지등을 철주에 고정하는 클램프(10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6 내지 도 8의 교통안전표지등(6)들은 도 1의 신호등 철주(8)의가로대(81)와 같이 지면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가로대에 설치되는 것으로, 볼트(68)체결에 의해 교통신호등을 가로대에 고정하는 클램프들(200)(300) (400)이 각각 케이스(62)의 상부와 후면 또는 그 내부를 가로질러 설치되어 있다. 이들 각 클램프의 구성 및 작용은 도면으로부터 쉽게 파악될 수 있으므로,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교통안전표지등은 철주에 형식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의 고정구조를 채택하여 철주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교통안전표지등은 그 표지내용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의 케이스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상술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대략 삼각형 케이스를 갖는 주의표지등(구체적으로는 횡단보도 주의표지등)을 한정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외에도, 속도제한표지(도 1의 부호 3)나 통행금지(도 2의 부호 5)와 같은 제한이나 금지사항을 알리는 금지표지등에는 원형의 케이스를, 급커브길 주의표지나 건널목 주의표지와 같이 주의표지등인 경우에는 삼각형 케이스를, 그리고, 차선지정(도 2의 부호 4)이나 U 자 턴 표시와 같이 도로에 대한 안내나 지시상항을 알려주는 지시표지등 등인 경우에는 사각형의 케이스를 사용하는 등, 본 고안에 따른 교통안전표지등은 그 표지내용의 분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케이스가 제작되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교통안전신호등에 표지를 도안함에 있어서 표지를 케이스 표면에 직접 도안하지 않고 스티커 형식으로 부착할 수 있는 이형지에 도안하여 케이스에 부착하면, 표지내용 분류별로 교통안전신호등의 케이스를 공용화할수 있으며, 또 필요에 따라 표지를 수시로 교체,사용할 수 있으므로 교통안전신호등 케이스 제작에 따른 원가를 절감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교통안전표지등에 의하면, 야간 주행시 교통관련 표지에 대한 시인성을 개선할 수 있고, 그 가시거리도 대폭 확대할 수 있다. 따라서 주행에 관련하여 주의가 요망되는 사항들을 운전자에게 쉽게 인식시킬 수 있게 되어 운전자로 하여금 보다 안전한 운행을 도모하게 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교통안전표지등은 전조등 빛의 반사에 의하지 않고도 운전자에게 쉽게 식별될 수 있으므로, 급커브나 고개마루 직후에 설치되는 교통안전표지의 야간 시인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하여, 사고가 빈발하게 일어나는 이들 지점에서의 교통사고 발생률을 크게 낮출 수 있다.

Claims (5)

  1.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면서 철주(81)에 고정되며, 표면에 교통관련 문자 및/또는 도형으로 이루어진 표지가 도안된 반투명재의 케이스(62)와;
    상기 케이스(62)에 내장되는 발광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안전표지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방전관(64)과 이 방전관용 안정기(6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안전표지등.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기(65)는 점멸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안전표지등.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62) 표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는 차광막(67)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안전표지등.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62) 표면에 도안되는 표지는 이형지에 도안되어 상기 케이스 표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안전표지등.
KR2019990003493U 1998-09-09 1999-03-05 교통안전표지등 KR20000007505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7364 1998-09-09
KR2019980017364U KR19980068785U (ko) 1998-09-09 1998-09-09 교통안전표지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7505U true KR20000007505U (ko) 2000-04-25

Family

ID=5475791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7364U KR19980068785U (ko) 1998-09-09 1998-09-09 교통안전표지등
KR2019990003493U KR20000007505U (ko) 1998-09-09 1999-03-05 교통안전표지등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7364U KR19980068785U (ko) 1998-09-09 1998-09-09 교통안전표지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9980068785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8441B1 (ko) * 2018-02-28 2019-08-07 학교법인 순천성심학원 버스승강장의 대기승객 유무 알림표시장치
KR102577218B1 (ko) * 2022-08-26 2023-09-11 주식회사 케이지 교통표지판
KR102580020B1 (ko) * 2022-08-26 2023-09-19 주식회사 케이지 차양수단을 구비한 교통표지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8441B1 (ko) * 2018-02-28 2019-08-07 학교법인 순천성심학원 버스승강장의 대기승객 유무 알림표시장치
KR102577218B1 (ko) * 2022-08-26 2023-09-11 주식회사 케이지 교통표지판
KR102580020B1 (ko) * 2022-08-26 2023-09-19 주식회사 케이지 차양수단을 구비한 교통표지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8785U (ko) 199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55164A (en) Safety light marker system for motor vehicles
US4087124A (en) Illuminated drag reducing system
US3810092A (en) Warning and distress signal device for a disabled vehicle
KR20000007505U (ko) 교통안전표지등
JP2000290940A (ja) 路面標示システム
US20110032718A1 (en) Intersection-breaching emergency response vehicle warning light assembly
CN110626256A (zh) 一种自适应式汽车智能组合车灯
GB2303906A (en) Road Lights
KR200225245Y1 (ko) 조명광고판이 형성된 제어함
US1970080A (en) Automobile signal
JP2900317B2 (ja) 道路標識
CN217506710U (zh) 道路出入口安全行车诱导预警系统
US2089905A (en) Reflectively illuminated license tag for auto vehicles
KR200222559Y1 (ko) 태양전지를 이용한 엘이디 교통표지판
KR0112963Y1 (ko) 도로용 주의 표시판
CN2275744Y (zh) 具有主动指示效果的交通号志器
JPH0222784Y2 (ko)
KR200212321Y1 (ko) 도로건널목의 보행자 및 차량겸용 신호등 구조
KR200453431Y1 (ko) 도로 표지병
JPH0612016Y2 (ja) 踏切標識
KR200239166Y1 (ko) 조명등이 부설된 횡단보도 표지
CN2364078Y (zh) 一种公路指示牌
KR200175846Y1 (ko) 교통 신호등
KR200189318Y1 (ko) 가드 케이블용 반사구
RU7760U1 (ru) Средство предупреждения об аварийной ситуаци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