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6942A -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 - Google Patents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6942A
KR20170066942A KR1020150173197A KR20150173197A KR20170066942A KR 20170066942 A KR20170066942 A KR 20170066942A KR 1020150173197 A KR1020150173197 A KR 1020150173197A KR 20150173197 A KR20150173197 A KR 20150173197A KR 20170066942 A KR20170066942 A KR 201700669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terminal
coordinate data
receive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3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치영
고현주
김주완
최지영
Original Assignee
(주)휴먼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휴먼케어 filed Critical (주)휴먼케어
Priority to KR1020150173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66942A/ko
Publication of KR20170066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69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 정류장과 버스 사이의 무선 통신에 의해 교통 약자가 탑승하고자 하는 버스의 현재 위치 등을 정확하게 알려줘서 교통 약자가 편리하게 원하는 버스에 탑승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따른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방법은 버스 정류장에 설치되어 버스에 설치되는 버스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에 의해 교통 약자의 버스 탑승을 안내하는 정류장 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되, 버스 노선번호가 입력되면 버스 단말기로부터 확인 신호가 수신될 때까지 상기 버스 노선번호를 주기적으로 무선 송신하는 (a) 단계; 버스 단말기로부터 당해 버스의 현재 위치에 대한 좌표 데이터인 버스 좌표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이것과 자기 위치의 좌표 데이터인 정류장 좌표 데이터에 의거하여 버스와의 거리를 산출하는 (b) 단계; 상기 (b) 단계에서 산출된 버스와의 거리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c)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bus ride guiding system for transportation vulnerable}
본 발명은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버스 정류장과 버스 사이의 무선 통신에 의해 교통 약자가 탑승하고자 하는 버스의 현재 위치 등을 정확하게 알려줘서 교통 약자가 편리하게 원하는 버스에 탑승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의료산업의 발달로 인해 고령화가 급격하게 진행되고 또한 여러 질병이나 사고 등에 의해 후천적 장애 발생률도 증가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전체 인구에서 노약자나 장애인(이하 총칭하여 '교통 약자'라 한다.)이 차지하고 있는 비중이 점증하고 있고, 이에 비례하여 노약자와 장애인의 사회활동 참여도 날로 증가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교통 약자가 집 밖으로 나오면 제일 먼저 접하게 되는 시설이 인도, 횡단 보도 및 버스나 전철과 같은 대중교통시설이다. 이 중에서 버스의 경우에는 여유 없는 배차 시간으로 인한 급출발과 급정차가 다반사일 뿐만 아니라 정해진 위치에 정차하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교통 약자가 제시간에 버스에 탑승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버스가 연석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채로 정차하는 경우에는 버스의 탑승을 위해 교통 약자가 도로까지 나가야 하는 위험을 감수해야 했다.
더욱이, 최근에는 척추 장애인 등의 이동권을 보장하기 위해 장애인이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도 휠체어에 탄 채로 안전하고 편리하게 탑승할 수 있도록 차체 바닥이 낮고 출입구에 계단 대신에 경사판이 설치된 저상 버스의 보급이 확대되고 있는바, 저상 버스의 운전자가 교통 약자의 탑승 예정 여부를 미리 알 수 없기 때문에 저상 버스가 거의 일반 버스와 같이 운행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근래 들어 버스 이용의 편의 및 복지 향상에 대한 국민적 요구와 관심이 커짐에 따라 다양한 버스 편의 시스템(BIS: Bus Information System), 예를 들어 "버스 도착 예정 시간, 소요 시간 및 노선 안내 시스템", "정류장 내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 및 "실시간 버스 도착 정보 또는 위치 정보 안내 시스템" 등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시스템들은 대부분 승객의 입장에서 내가 탑승할 버스가 언제쯤 도착할 수 있는지를 버스 정류장에서 알고 싶어하는 욕구를 만족시켜 주기 위한 예측 정보 안내 시스템들로서, 단지 이전 정류장에서 몇 번 버스가 출발하였는지 또는 몇 번 버스가 언제 도착 예정인지 등과 같은 제한된 서비스만을 음성과 LED를 통해 제공할 뿐 정류장에 도착하는 버스의 순서가 뒤바뀌어도 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기 때문에 시력이 현저히 떨어지는 시각장애인이나 노인의 경우 정류장에 도착한 버스의 노선번호를 주변 사람에게 일일이 물어보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2012년 11월 8일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을 특허출원하여 등록번호 제1370507호(이하 '선행기술 1'이라 한다)로 특허받은 바 있다.
전술한 선행기술 1의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은 크게 버스 정류장에 설치된 정류장 단말기 및 버스에 설치되어 정류장 단말기와 무선 통신하는 버스 단말기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선행기술 1에서, 정류장 단말기는 버스의 노선번호와 상하행선 여부 정보를 입력 또는 선택받는 정류장단말기 입력 수단; 상기 노선번호와 상기 상하행선 여부 정보를 포함하는 탑승대기 알림용 무선신호를 상기 버스 단말기에 송신하는 정류장 단말기 무선 통신 수단 및 상기 정류장 단말기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받은 상기 노선번호와 상기 상하행선 여부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탑승대기 알림용 무선신호를 상기 버스 단말기에 송신하도록 상기 정류장 단말기 무선 통신 수단을 제어하는 정류장단말기 제어 수단을 구비한 정류장 단말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버스 단말기는 상기 정류장 단말기로부터 상기 탑승대기 알림용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버스단말기 무선 통신 수단; 시청각적 동작하는 버스단말기 알림 수단 및 상기 버스단말기 무선 통신 수단을 통해 수신된 상기 탑승대기 알림용 무선신호에 포함된 상기 노선번호와 상기 상하행선 여부 정보가 자기 버스의 노선번호와 상하행선 여부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버스단말기 알림 수단을 구동하는 버스단말기 제어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선행기술 1의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에 의해 버스 탑승 과정에서의 교통 약자에 대한 배려가 획기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그러나 노선버스의 도착 예정 시간이 당해 노선버스의 현재의 실제 위치에 근거하지 않고, 단지 전 정류장 출발 시각을 근거로 한 추정 시간이기 때문에 정확하지 않을 뿐 아니라 도착 후에도 도착 사실을 교통 약자에게 통보하지 않기 때문에 교통 약자가 많은 노력을 들여 이를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장치의 구성이 사람의 수작업을 요하는 등 복잡하고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기술 1: 등록특허 제1370507호(발명의 명칭: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버스 정류장과 버스 사이의 무선 통신에 의해 교통 약자가 탑승하고자 하는 버스의 현재 위치 등을 정확하게 알려줘서 교통 약자가 편리하게 원하는 버스에 탑승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선행기술 1과 비교할 때 보다 간단하고 편리한 구성을 갖는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을 제공함을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그룹에 따른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방법은 버스 정류장에 설치되어 버스에 설치되는 버스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에 의해 교통 약자의 버스 탑승을 안내하는 정류장 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되, 버스 노선번호가 입력되면 버스 단말기로부터 확인 신호가 수신될 때까지 상기 버스 노선번호를 주기적으로 무선 송신하는 (a) 단계; 버스 단말기로부터 당해 버스의 현재 위치에 대한 좌표 데이터인 버스 좌표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이것과 자기 위치의 좌표 데이터인 정류장 좌표 데이터에 의거하여 버스와의 거리를 산출하는 (b) 단계; 상기 (b) 단계에서 산출된 버스와의 거리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c)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b) 단계에서 산출된 버스와의 거리가 감소하다가 증가하는 경우에 버스가 당해 정류장을 무정차 통과한 것으로 간주하여 상기 (c) 단계의 수행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b) 단계에서의 상기 버스 좌표 데이터는 상기 확인 신호의 수신 이후 정류장 단말기의 요청에 의해 버스 단말기가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b) 단계에서의 상기 버스 좌표 데이터는 버스 단말기가 상기 확인 신호를 송신한 후에 자발적으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버스 단말기로부터 도착 신호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하는 (d) 단계를 더 구비하고, 상기 (d) 단계에서 도착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c) 단계를 수행하는 반면에 상기 도착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는 이후 상기 (c) 단계의 수행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버스 노선번호의 입력은 장애인 통합복지카드 또는 공용 리모컨을 통해 장애인임이 확인된 경우에 한하여 유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그룹에 따른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방법은 버스에 설치되어 정류장에 설치되는 정류장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에 의해 교통 약자의 버스 탑승을 안내하는 버스 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되, 정류장 단말기로부터 자기 버스의 노선번호가 수신된 경우 이를 확인하는 확인 신호를 정류장 단말기에 송신하는 (h) 단계 및 상기 (h) 단계 이후에 버스의 현재 위치에 대한 좌표 데이터인 버스 좌표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송신하는 (i)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제2 그룹에서, 상기 버스 좌표 데이터는 버스에 기설치된 운전자 단말기로부터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i) 단계는 상기 (h) 단계 이후 정류장 단말기의 요청에 의해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i) 단계는 상기 (h) 단계 이후 자발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버스가 정류장에 도착했다는 도착 신호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하는 (j) 단계를 더 구비하고, 상기 (j) 단계에서 도착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i) 단계를 수행하는 반면에 상기 도착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는 상기 (i) 단계의 수행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착 신호는 탑승구 개방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j) 단계에서 도착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 버스의 도착 사실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k) 단계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그룹에 따른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장치는 탑승하고자 하는 버스의 노선번호를 입력받는 키 입력부; 당해 정류장의 GPS 좌표 데이터인 정류장 좌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송/수신부; 안내 음성 출력 수단 및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상기 버스의 노선번호를 입력받는 경우 상기 버스의 노선번호를 무선 송신하도록 상기 무선 송/수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무선 송/수신부로부터 버스의 현재 위치에 대한 좌표 데이터인 버스 좌표 데이터를 전달받고 이를 상기 정류장 좌표 데이터와 함께 처리하여 버스와의 거리를 산출한 후에 상기 안내 음성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하는 정류장 단말기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제3 그룹에서, 장애 유형 정보가 담긴 장애인 통합복지카드 또는 공용 리모컨과 무선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정류장 단말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통신부로부터 상기 장애 유형 정보가 수신된 경우에 한하여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한 상기 버스의 노선번호의 입력을 유효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그룹에 따른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장치는 버스의 현재 위치에 대한 GPS 정보를 수신하는 GPS 수신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송/수신부; 버스의 탑승구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개폐 감지부 및 상기 무선 송/수신부로부터 버스의 노선번호를 무선 수신한 경우에 확인 신호를 무선 송신하도록 상기 무선 송/수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GPS 수신부가 수신한 GPS 정보를 처리하여 버스의 현재 위치에 대한 GPS 좌표 데이터인 버스 좌표 데이터를 산출하고 상기 버스 좌표 데이터를 무선 송신하도록 상기 무선 송/수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개폐 감지부로부터 개방 감지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 도착 신호를 무선 송신하도록 상기 무선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버스단말기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에 따르면, 버스 정류장과 버스 사이의 무선 통신에 의해 교통 약자가 탑승하고자 하는 버스의 현재 위치 등을 정확하게 알려줘서 교통 약자가 편리하게 원하는 버스에 탑승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이뿐 아니라 원하는 노선번호의 버스가 도착하는 경우에 당해 버스가 이를 음성으로 안내하도록 함으로써 시각 장애인과 같은 교통 약자가 탑승을 원하는 버스의 위치를 눈으로 일일이 확인하지 않더라도 해당 버스를 편리하게 찾을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의 설치 상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에서 정류장 단말기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관 구성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에서 정류장 단말기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 기능을 보인 블록 구성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에서 버스 단말기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관 구성도.
도 5는 도 1에 도시한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에서 버스 단말기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 기능을 보인 블록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방법에서 정류장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방법에서 버스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의 설치 상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은 크게 정류장(10)에 설치되어 교통 약자를 포함한 탑승 대기자에 의해 조작되는 정류장 단말기(100) 및 버스(30)에 설치되어 운전기사에 의해 조작되는 버스 단말기(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정류장 단말기(100)는 정류장(10)의 적소에 설치된 지주(20)의, 예를 들어 1 ~ 1.3m 정도의 높이에 설치되는, 키 패드를 갖는 무선 단말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버스 단말기(200)는 다시 버스의 운전석 부근에 설치되어 운전기사에 의해 조작되는 실내 장치부(ID) 및 버스(30)의 외부, 바람직하게는 탑승구 주위의 외벽에 설치되는 실외 장치부(OD)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버스 단말기(200)의 실내 장치부(ID)와 실외 장치부(OD)는 상호 유선 또는 무선 통신부(이하 이를 '유/무선 통신부'라 한다.)에 의해 데이터를 주고받는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실외 장치부(OD)에는 정류장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하는 무선 송/수신부 및 교통 약자에게 안내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에서 정류장 단말기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관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에서 정류장 단말기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 기능을 보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류장 단말기는 크게 정류장 단말기(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정류장단말기 제어부(110), 버스 단말기와의 사이에서 무선 신호를 송신 및 수신(이하 '송/수신'이라 한다)하는 무선 송/수신부(120), 탑승하고자 하는 버스의 노선번호 및 교통 약자의 장애 유형, 예를 들어 지체 장애, 시각 장애, 청각 장애 또는 노약자인지 여부를 입력받는데 사용되는 키 입력부(130), 입력되는 버스 노선번호를 포함한 각종 안내 또는 홍보 문구 등을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평판 표시부(140), 단말기의 동작상태, 예를 들어 전원 온이나 고장 여부 등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동작상태 표시부(145), 교통 약자에 대한 각종 안내 음성, 예를 들어 선택된 노선번호 버스의 현재 위치 안내, 예를 들어 '252번 버스가 전방 50미터에 진입 중입니다.' 등의 안내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음성 저장부(150)와 음성 저장부(150)에 저장된 내용 중에서 선택된 음성 데이터를 음파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155), 당해 정류장에 대한 각종 데이터, 예를 들어 정류장 고유번호와 당해 정류장에 대한 GPS 좌표 정보 등이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부(180), 외부 기기, 예를 들어 관리자 단말기, 교통 약자가 소지한 장애인 통합복지카드나 공용 리모컨과의 사이에서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데이터를 주고받는 유/무선 통신부(160) 및 기기의 각 부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에서 참조번호 125는 안테나를 나타낸다.
전술한 구성에서, 정류장단말기 제어부(110)는 내부에 동작 프로그램이 탑재되고 메모리가 구비된 원칩 마이컴 등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정류장단말기 제어부(110)에 내부 메모리가 구비된 경우에 데이터 저장부(180)는 이러한 내부 메모리로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무선 송/수신부(120)는 버스 단말기와의 사이에서 미리 정해진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규격(포맷)에 따라 송신 및 수신하는데, 예를 들어 235㎒의 산업용 주파수를 사용하여 송/수신할 수 있을 것이다.
키 입력부(130)는 버스 노선번호 또는 그 가지번호를 입력하는데 사용되는 숫자키(0~9)와 가지키("-")(132), 교통 약자의 장애 유형, 예를 들어 지체 장애, 시각 장애, 청각 장애 및 노약자 등을 선택받는데 사용되는 장애유형 입력키(134) 및 버스번호 등록 송출 또는 등록 취소 등의 기타 기능키(136)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키 입력부(130)의 각 키에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점자 표시를 추가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평판 표시부(140)는 교통 약자가 입력하는 버스 노선번호를 표시하거나 기타 단말기의 동작 상태나 공지 사항 등을 문자 또는 이미지로 표시하는데 사용되는데, 시인성 향상을 위해 도트 매트릭스 형태의 LED 패널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작상태 표시부(145)는 서로 다른 색상의 광을 발생시키는 1개 이상의 LED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기기의 각종 동작 상태, 예를 들어 전원 온, 고장 여부 또는 버스 노선번호 입력 대기 상태 등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음성 저장부(150)는 정류장 단말기의 이용 안내나 교통 약자가 선택한 버스의 현재 위치, 예를 들어 당해 정류장까지의 거리 등의 안내 음성 데이터를 저장, 예를 들어 50m 간격의 위치 안내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고, 음성 출력부(155)는 음성 저장부(150)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 중에서 정류장단말기 제어부(110)가 지정한 안내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환하여 전력 증폭한 후에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이러한 안내 방송은 미리 프로그램된 명령에 따라 선택적 또는 주기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유/무선 통신부(160)는 외부 단말기, 예를 들어 관리자 단말기와 유선 통신(USB나 RS-485 통신 등) 또는 무선 통신(블루투스 통신 등)하여 필요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데 사용된다. 이외에도, 유/무선 통신부(160)에는 교통 약자가 소지하는 장애인 통합복지카드나 공용 리모컨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RFID 수신부 또는 358㎒로 동작하는 블루투스 수신 모듈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전원부(170)는 정류장 단말기(100)의 각 부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한다.
한편, 장애인 통합복지카드나 공용 리모컨의 발신 정보에는 당해 장애인의 장애 유형 정보가 사전에 약속된 포맷의 약속된 위치에 담겨 있는바, 교통 약자가 장애인 통합복지카드나 공용 리모컨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교통 약자가 별도로 장애유형을 수동 입력하지 않아도 될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일반인의 장난 등에 의한 정류장 단말기(100)의 빈번하고도 쓸데없는 동작을 방지하기 위해 장애인 통합복지카드의 접촉이나 공용 리모컨으로부터의 신호 수신시에만 키 입력부(130)가 활성화, 즉 버스번호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프로그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정류장 단말기(100)에는 이외에도 정류장에 기설치된 BIS 단말기와의 연계를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는 달리 정류장단말기 제어부(110)에 TTS(Text to Speech) 변환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전술한 음성 저장부(150)가 없어도 무방할 것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에서 버스 단말기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관 구성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한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에서 버스 단말기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 기능을 보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 단말기는 크게 버스 단말기의 전체적인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버스단말기 제어부(210), 정류장 단말기(100)와의 사이에서 무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무선 송/수신부(296), 음성 안내용 키버튼 및 전원 키버튼 등을 포함하는 키 입력부(220), 탑승한 교통 약자의 장애 유형 정보, 예를 들어 지체 장애, 시각 장애, 청각 장애 또는 노약자 등과 교통 약자가 승차 대기 중인지 또는 하차 대기 중인지의 여부를 운전기사가 알 수 있도록 표시하는 알림용 표시부(250), 교통 약자에 대한 각종 안내 음성, 자기 버스 정보인 노선번호 및 경유지(도착지), 색상 또는 저상 버스 여부 등의 기타 정보에 대한 안내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음성 저장부(230)와 음성 저장부(230)에 저장된 내용 중에서 선택된 음성 데이터를 음파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292), GPS 정보를 수신하는 GPS 수신부(270), 외부 기기, 예를 들어 관리자 단말기 또는 교통 약자가 소지하는 공용 리모컨과의 사이에서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데이터를 주고받는 유/무선 통신부(240), 버스의 탑승구, 예를 들어 전방 탑승구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개폐 감지부(280) 및 기기의 각 부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에서 참조번호 298은 안테나를 나타낸다.
전술한 구성에서, 점선 박스는 버스의 실외, 예를 들어 앞쪽 탑승구의 상단에 설치되는 실외 장치부(OD)를 구성하고, 이외의 부분은 운전자에 의해 조작이 가능한 위치, 예를 들어 운전석 전방에 설치되는 실내 장치부(ID)를 구성할 수 있는데, 실내 장치부(ID)와 실외 장치부(OD) 역시 유/무선 통신에 의해 상호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참조번호 294는 실외 장치부(OD)에 구비된 유/무선 통신부를 나타낸다. 참조번호 290은 실외 장치부(OD)의 각부에 동작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나타내는데, 이와는 달리 실외 장치부(OD)는 실내 장치부(ID)에서 유선에 의해 동작 전력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버스단말기 제어부(210)는 내부에 동작 프로그램이 탑재되고 메모리가 구비된 원칩 마이컴 등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무선 송/수신부(296)는 정류장 단말기(100)와의 사이에서 미리 정해진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규격(포맷)에 따라 송신 및 수신하는데, 예를 들어 235㎒의 산업용 주파수를 사용하여 송/수신할 수 있을 것이다.
키 입력부(220)는 음성안내 키버튼과 전원 키버튼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알림용 표시부(240)는 장애 유형을 나타내는 문자(또는 표준 이미지)와 승차 및 하치 대기 문자 및 이러한 문자를 배면에서 각각 조명하는 조명용 LED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음성 저장부(230)는 교통 약자에 대한 각종 안내 음성, 예를 들어 노선번호 등의 자기 버스 정보 및 기타 정보, 예를 들어 경유지(도착지), 색상 또는 저상버스 여부 정보 등의 안내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예를 들어 버스단말기 제어부(210)의 내부 메모리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버스단말기 제어부(210)에 TTS 변환 프로그램을 구비하여 이에 의해 전부 또는 일부의 음성 안내를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GPS 수신부(270)는 GPS 정보를 수신하여 당해 노선버스의 현재 위치에 대한 좌표 데이터를 출력한다. 개폐 감지부(280)는 전방 탑승구 출입문의 개폐를 감지하는 리미트 스위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유/무선 통신부(240),(294)는 유선 통신(USB나 RS-485 통신 등) 또는 무선 통신(블루투스 통신 등)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인바, 버스 단말기(200)는 이를 통해 버스에 기설치되어 버스 기사에게 동일 노선버스의 다른 차량에 대한 현재 위치 정보나 배차 간격 등을 알려 주기 위한 외부의 운전자 단말기(OBE; On Board Equipment)에 연결되거나 사용자가 휴대하는 공용 단말기나 스마트폰 또는 버스에 기설치된 교통카드 단말기 등에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버스 단말기가 운전자 단말기(OBE)에 연결된 경우, 운전자 단말기에는 GPS 모듈이 탑재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통해서 GPS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고, 이에 따라 버스 단말기에 GPS 수신부(270)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도 될 것이다.
한편, 관리자는 유/무선 통신부(240)를 통해 당해 버스의 노선번호 등을 입력받아 메모리, 예를 들어 버스단말기 제어부(210)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의 동작을 그 방법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방법에서 정류장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류장에서 버스 탑승 대기 중인 교통 약자가 정류장 단말기(100)에 구비된 키 입력부(130)를 통해 탑승하고자 하는 버스 노선번호 및 본인의 장애 유형을 입력(장애 유형 정보는 입력되지 않아도 무방)(단계 S10)하면 정류장 단말기(100)는 그 무선 송/수신부(120)를 통해 이렇게 입력되는 노선번호와 장애 유형 정보를 당해 정류장의 고유번호(이하 이를 총칭하여 '노선번호 등' 정보라 한다)와 함께 주기적 예를 들어 10초 간격으로 송신(단계 S20)한다. 여기에서 무선신호는 일정 반경, 예를 들어 200m 내지 2000m 이내의 임의의 거리까지 전파가 도달하도록 그 송신 전계 강도를 적절히 조정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정류장 단말기(100)에는 관리자에 의해 설정되는 송신 전계강도 설정부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단계 S30에서 정류장 단말기(100)는 버스 단말기(200)로부터 확인 신호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하는데, 이와 관련하여 버스 단말기(200)는 임의의 정류장 단말기(100)로부터 노선번호 등 정보를 수신하면, 이를 수신했다는 응답으로 확인 신호, 예를 들어 해당 노선번호를 무선으로 송신하게 된다. 단계 S30에서의 판단 결과, 확인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 S20으로 복귀하는 반면에 수신된 경우에는 단계 S40으로 진행하여 노선번호 등에 대한 더 이상의 송신을 중지한다.
다음으로, 단계 S50에서는 버스 단말기(200)로부터 당해 버스의 현재 위치에 대한 좌표 데이터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하는데, 이 단계 S50은 버스 단말기(200)가 확인 신호를 송신한 후에 정류장 단말기(100)의 추가적인 요청에 의해 수행되거나 버스 단말기(200)의 자발적인 동작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단계 S50에서의 판단 결과, 버스 좌표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에 정류장 단말기(100)는 단계 S60에서 사전에 저장되어 있는 자기 위치의 좌표 데이터와 단계 S50에서 수신한 좌표 데이터를 공지의 거리 산출식에 대입하여 버스와의 거리를 산출한다.
다음으로, 단계 S70에서는 단계 S60에서 산출된 버스와의 거리에 의거하여 당해 버스가 무정차 통과하였는지를 판단하는데, 단계 S70은 버스가 당해 정류장에 정차하지 않은 채로 무정차 통과한 경우에 이를 확인하여 불필요한 음성 출력을 방지하기 위해 주어진다. 단계 S70에서 무정차 통과 여부에 대한 판단은 단계 S60에서 산출된 정류장과 버스 사이의 거리가 계속 감소하다가 다시 증가하는 경우 이러한 변화를 체크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단계 S70에서의 판단 결과, 해당 버스가 무정차 통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80으로 진행하여 버스와의 거리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 예를 들어 "402번 버스가 300m 전방에 진입 중입니다."라는 등의 안내 음성을 출력하게 된다. 다음으로, 단계 S90에서는 버스 단말기(200)로부터 도착 신호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하는데,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50으로 복귀하는 반면에 수신된 경우에는 해당 노선번호에 대한 탑승 안내가 완료되었기에 단계 S100으로 진행하여 버스와의 거리 정보의 음성 출력을 중단한다.
한편, 단계 S70에서 해당 버스가 무정차 통과한 경우에도 그 즉시 단계 S100으로 직행하여 버스와의 거리 정보의 음성 출력을 중지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방법에서 버스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방법에 따르면, 단계 S110에서 버스 단말기(200)는 정류장 단말기(100)로부터 노선번호 등이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하는데, 수신된 경우에는 단계 S120으로 진행하여 정류장 단말기(100)에 확인 신호, 예를 들어 노선번호를 송신한다. 다음으로, 단계 S130에서 버스 단말기(200)는 운전자에게 다음 정류장에 탑승 대기중인 교통 약자가 존재함을 청각적 또는 시각적으로 알리고, 또한 장애 유형 정보까지 수신한 경우 운전자가 교통 약자의 탑승을 적절하게 보조 또는 준비할 수 있도록 당해 교통 약자의 장애 유형을 운전자에게 청각적 또는 시각적으로 알린다.
다음으로, 단계 S140에서는 GPS 좌표 데이터를 주기적, 예를 들어 5초 ~ 30초 사이의 정해진 시간 간격마다 송신하는데, 이러한 GPS 좌표 데이터는 자체에서 구비한 GPS 수신부(280) 또는 운전자 단말기(OBE)로부터 수신한 GPS 좌표 데이터일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50에서는 당해 버스가 정류장에 도착했다는 도착 신호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하는데, 이러한 도착 신호는 개폐 감지부(280)로부터의 개방 감지 신호가 될 수 있다. 단계 S150에서의 판단 결과, 도착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는 단계 S160으로 진행하여 GPS 좌표 데이터의 송신을 중지하는 반면에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 S140을 반복 수행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도착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 버스 단말기(200)는 정류장에 대기 중인 교통 약자가 당해 버스의 위치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그 음성 출력부(292)를 통해 버스의 도착 사실, 예를 들어 "402번 버스가 도착했습니다."와 같은 안내 음성을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단계 S170에서는 교통 약자가 탑승했는지를 확인하는데, 이는 버스의 운전석 주위에 설치된 교통카드 단말기로부터 정보를 제공받아 수행될 수 있다. 즉 장애인인 교통 약자가 장애인복지카드를 교통카드 단말기에 태그하면, 교통카드 단말기가 이러한 카드 정보에 의거하여 교통 약자가 탑승했음을 버스 단말기에 전달하고, 이후 버스 단말기는 단계 S180에서 근거리 무선통신, 예를 들어 블루투스 통신 등에 의해 교통 약자가 무사히 버스에 탑승한 사실을 송신한다.
한편, 이와 관련하여 교통 약자의 스마트폰에 관련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하 '통지 앱'이라 한다)이 탑재되어 있는 경우 버스 단말기에서 송신되는 장애인 탑승 통지에 의해 통지 앱이 활성화되어 통지 앱에 연결되어 있는 연락처, 예를 들어 문자 메시지나 이-메일 또는 SNS 메시지 등으로 교통 약자가 버스에 안전하게 탑승한 사실을 전달하게 된다.
본 발명의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10: 정류장, 20: 지주,
30: 버스, 100: 정류장 단말기,
110: 정류장 단말기 제어부, 120: 무선 송/수신부,
125: 안테나, 130: 키 입력부,
132: 숫자/가지키, 134: 장애 유형 입력키,
136: 기타 기능키, 140: 평판 표시부,
145: 동작상태 표시부, 150: 음성 저장부,
155: 음성 출력부, 160: 유/무선 통신부,
170: 전원부, 180: 데이터 저장부,
200: 버스 단말기,
210: 버스 단말기 제어부, 220: 키 입력부,
230: 음성 저장부, 240: 유/무선 통신부,
250: 알림용 표시부, 260: 전원 공급부,
270: GPS 수신부, 280: 개폐 감지부,
290: 전원 공급부, 292: 음성 출력부,
294: 유/무선 통신부, 296: 무선 송/수신부,
298: 안테나

Claims (16)

  1. 버스 정류장에 설치되어 버스에 설치되는 버스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에 의해 교통 약자의 버스 탑승을 안내하는 정류장 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되,
    버스 노선번호가 입력되면 버스 단말기로부터 확인 신호가 수신될 때까지 상기 버스 노선번호를 주기적으로 무선 송신하는 (a) 단계;
    버스 단말기로부터 당해 버스의 현재 위치에 대한 좌표 데이터인 버스 좌표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이것과 자기 위치의 좌표 데이터인 정류장 좌표 데이터에 의거하여 버스와의 거리를 산출하는 (b) 단계;
    상기 (b) 단계에서 산출된 버스와의 거리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c)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산출된 버스와의 거리가 감소하다가 증가하는 경우에 버스가 당해 정류장을 무정차 통과한 것으로 간주하여 상기 (c) 단계의 수행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의 상기 버스 좌표 데이터는 상기 확인 신호의 수신 이후 정류장 단말기의 요청에 의해 버스 단말기가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의 상기 버스 좌표 데이터는 버스 단말기가 상기 확인 신호를 송신한 후에 자발적으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방법.
  5. 제 1 항, 제 3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버스 단말기로부터 도착 신호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하는 (d) 단계를 더 구비하고,
    상기 (d) 단계에서 도착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c) 단계를 수행하는 반면에 상기 도착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는 이후 상기 (c) 단계의 수행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 노선번호의 입력은 장애인 통합복지카드 또는 공용 리모컨을 통해 장애인임이 확인된 경우에 한하여 유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방법.
  7. 버스에 설치되어 정류장에 설치되는 정류장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에 의해 교통 약자의 버스 탑승을 안내하는 버스 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되,
    정류장 단말기로부터 자기 버스의 노선번호가 수신된 경우 이를 확인하는 확인 신호를 정류장 단말기에 송신하는 (h) 단계 및
    상기 (h) 단계 이후에 버스의 현재 위치에 대한 좌표 데이터인 버스 좌표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송신하는 (i)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 좌표 데이터는 버스에 기설치된 운전자 단말기로부터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i) 단계는 상기 (h) 단계 이후 정류장 단말기의 요청에 의해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i) 단계는 상기 (h) 단계 이후 자발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방법.
  11. 제 7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버스가 정류장에 도착했다는 도착 신호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하는 (j) 단계를 더 구비하고,
    상기 (j) 단계에서 도착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i) 단계를 수행하는 반면에 상기 도착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는 상기 (i) 단계의 수행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착 신호는 탑승구 개방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j) 단계에서 도착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 버스의 도착 사실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k) 단계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방법.
  14. 탑승하고자 하는 버스의 노선번호를 입력받는 키 입력부;
    당해 정류장의 GPS 좌표 데이터인 정류장 좌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송/수신부;
    안내 음성 출력 수단 및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상기 버스의 노선번호를 입력받는 경우 상기 버스의 노선번호를 무선 송신하도록 상기 무선 송/수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무선 송/수신부로부터 버스의 현재 위치에 대한 좌표 데이터인 버스 좌표 데이터를 전달받고 이를 상기 정류장 좌표 데이터와 함께 처리하여 버스와의 거리를 산출한 후에 상기 안내 음성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하는 정류장 단말기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장애 유형 정보가 담긴 장애인 통합복지카드 또는 공용 리모컨과 무선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정류장 단말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통신부로부터 상기 장애 유형 정보가 수신된 경우에 한하여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한 상기 버스의 노선번호의 입력을 유효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장치.
  16. 버스의 현재 위치에 대한 GPS 정보를 수신하는 GPS 수신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송/수신부;
    버스의 탑승구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개폐 감지부 및
    상기 무선 송/수신부로부터 버스의 노선번호를 무선 수신한 경우에 확인 신호를 무선 송신하도록 상기 무선 송/수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GPS 수신부가 수신한 GPS 정보를 처리하여 버스의 현재 위치에 대한 GPS 좌표 데이터인 버스 좌표 데이터를 산출하고 상기 버스 좌표 데이터를 무선 송신하도록 상기 무선 송/수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개폐 감지부로부터 개방 감지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 도착 신호를 무선 송신하도록 상기 무선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버스단말기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장치.
KR1020150173197A 2015-12-07 2015-12-07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 KR201700669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3197A KR20170066942A (ko) 2015-12-07 2015-12-07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3197A KR20170066942A (ko) 2015-12-07 2015-12-07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6942A true KR20170066942A (ko) 2017-06-15

Family

ID=59217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3197A KR20170066942A (ko) 2015-12-07 2015-12-07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66942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17063A (zh) * 2018-03-26 2018-08-17 宋彦震 智能公交辅助乘车提示系统及其控制方法
KR20190030271A (ko) 2017-09-13 2019-03-22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보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그리고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KR20190051423A (ko) 2017-11-07 2019-05-15 한치영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
CN113870606A (zh) * 2021-10-28 2021-12-31 长沙理工大学 一种同时优化公交绿波带宽和站点布设的交通控制方法
KR102507001B1 (ko) * 2022-07-08 2023-03-07 씨앤디비 주식회사 교통 약자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을 제공하는 버스 정보 교환 시스템 및 교통 약자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 제공 방법
KR20230062014A (ko) 2021-10-29 2023-05-09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시각 장애인용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0271A (ko) 2017-09-13 2019-03-22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보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그리고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KR20190051423A (ko) 2017-11-07 2019-05-15 한치영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
CN108417063A (zh) * 2018-03-26 2018-08-17 宋彦震 智能公交辅助乘车提示系统及其控制方法
CN113870606A (zh) * 2021-10-28 2021-12-31 长沙理工大学 一种同时优化公交绿波带宽和站点布设的交通控制方法
KR20230062014A (ko) 2021-10-29 2023-05-09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시각 장애인용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2507001B1 (ko) * 2022-07-08 2023-03-07 씨앤디비 주식회사 교통 약자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을 제공하는 버스 정보 교환 시스템 및 교통 약자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66942A (ko)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
KR101682281B1 (ko) 주차위치 자동 안내시스템
US7882938B2 (en) Elevator system control providing specialized service features to facilitate a passenger accessing an assigned elevator car
CN104282144B (zh) 交互式公共交通系统
KR200477262Y1 (ko) 정류장 단말기를 이용한 버스 내 탑승자 수 제공 시스템
KR20180053797A (ko) 장애인 탑승 사전 알림 기능을 갖춘 버스 안내 시스템
KR101861090B1 (ko) 시각장애인 버스승차안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16222042A (ja) 情報提供プログラム及び乗降案内システム
KR102143596B1 (ko) 사용자 보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그리고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KR20200068090A (ko) IoT기반 어린이통학차량 통합안전관리 지원시스템
KR102282909B1 (ko) 버스 하차벨 원격 시스템
KR101370507B1 (ko)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
KR102057005B1 (ko) 원격제어리모컨을 이용한 교통약자를 위한 버스안내시스템
KR101873489B1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교차로 통행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91429A (ko) 교통약자의 버스 이용을 지원하는 차량단말장치 및 방법
KR102000554B1 (ko) 통학 차량의 원생 관리 시스템
KR20110026893A (ko) 버스의 노약자 좌석 양보 시스템
JP2015056081A (ja) 乗車支援装置
KR102157262B1 (ko)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
KR20160008931A (ko) 음성안내 시스템
JP3657434B2 (ja) 視覚障害者用誘導案内システム
KR101815885B1 (ko) 시각 장애인용 교통 안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KR101027420B1 (ko) 열차 운행안내 시스템
KR102285501B1 (ko) 교통약자 버스 승하차 지원시스템
US20230251824A1 (en) Voice guidance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568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1124

Effective date: 20190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