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1423A -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 - Google Patents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1423A
KR20190051423A KR1020170147064A KR20170147064A KR20190051423A KR 20190051423 A KR20190051423 A KR 20190051423A KR 1020170147064 A KR1020170147064 A KR 1020170147064A KR 20170147064 A KR20170147064 A KR 20170147064A KR 20190051423 A KR20190051423 A KR 201900514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terminal
boarding
platform
la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7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7262B1 (ko
Inventor
한치영
Original Assignee
한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치영 filed Critical 한치영
Priority to KR1020170147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7262B1/ko
Publication of KR20190051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14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7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7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 G08G1/13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within the vehicle ; Indicators inside the vehicles or at sto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52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통 약자가 상시 휴대하고 다니는 스마트 단말에 설치된 앱을 통해 탑승하고자 하는 버스의 노선번호를 선택하고 버스의 접근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용률과 편리성을 극대화시킨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은 탑승 도우미 앱이 설치되며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는 사용자 단말, 버스에 설치되는 버스 단말 및 승강장에 설치되며 무선 통신에 의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탑승 도우미 서비스를 요청받아 버스 단말에 전달하고 버스 단말로부터 접근 정보를 전달받아 사용자 단말에 전달하는 승강장 단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bus ride guiding system for transportation vulnerable}
본 발명은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통 약자가 휴대하고 다니는 스마트 단말기를 통해 버스 탑승 도우미 서비스를 요청하여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의료산업의 발달로 인해 고령화가 급격하게 진행되고 또한 여러 질병이나 사고 등에 의해 후천적 장애 발생률도 증가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전체 인구에서 노약자나 장애인(이하 총칭하여 '교통 약자'라 한다.)이 차지하고 있는 비중이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이에 비례하여 장애인과 노약자의 사회활동 참여도 날로 증가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교통 약자가 집 밖으로 나오면 제일 먼저 접하게 되는 시설이 인도, 횡단 보도 및 버스나 전철과 같은 대중교통시설이다. 이 중에서 버스의 경우에는 여유 없는 배차 시간으로 인한 급출발과 급정차가 다반사일 뿐 아니라 정해진 위치에 정차하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교통 약자가 제시간에 버스에 탑승하기 어려울뿐 아니라 버스가 연석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채로 정차하는 경우에는 탑승을 위해 도로까지 나가야 하는 위험을 감수해야 했다.
더욱이, 최근에는 척추 장애인 등의 이동권을 보장하기 위해 장애인이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도 휠체어에 탄 채로 안전하고 편리하게 탑승할 수 있도록 차체 바닥이 낮고 출입구에 계단 대신에 경사판이 설치된 저상 버스의 보급이 확대되고 있으나, 저상 버스의 운전자가 교통 약자의 탑승 예정 여부를 미리 알 수 없기 때문에 거의 일반 버스와 같이 운행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근래 들어 버스 이용에 따른 편의와 복지 향상에 대한 국민적 요구와 관심이 커짐에 따라 다양한 버스 정보 시스템(BIS: Bus Information System), 예를 들어 "버스 도착 예정 시간, 소요 시간 및 노선 안내 시스템", "정류장 내 불법주정차 단속 시스템" 및 "실시간 버스 도착 정보 또는 위치 정보 안내 시스템" 등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시스템들은 대부분 승객의 입장에서 내가 탑승할 버스가 언제쯤 도착할 수 있는지를 버스 정류장에서 알고 싶어하는 욕구를 만족시켜 주기 위한 예측 정보 안내 시스템들로서, 단지 이전 정류장에서 몇 번 버스가 출발하였는지 또는 몇 번 버스가 언제 도착 예정인지 등과 같은 제한된 서비스만을 음성과 LED를 통해 제공할 뿐 정류장에 도착하는 버스의 순서가 뒤바뀌어도 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기 때문에 시력이 현저히 떨어지는 시각장애인이나 노인은 정류장에 도착한 버스의 노선번호를 주변 사람에게 일일이 물어 보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2012년 11월 8일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을 특허출원하여 등록번호 제1370507호(이하 '선행기술 1'이라 한다)로 특허받은 바 있다.
전술한 선행기술 1의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은 크게 버스 정류장에 설치된 정류장 단말 및 버스에 설치되어 정류장 단말과 무선 통신하는 버스 단말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선행기술 1에서, 정류장 단말은 버스의 노선번호와 상/하행선 여부 정보를 입력 또는 선택받는 정류장 단말 입력 수단; 노선번호와 상/하행선 여부 정보를 포함하는 탑승대기 알림용 무선신호를 버스 단말에 송신하는 정류장 단말 무선 통신 수단 및 정류장 단말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받은 노선번호와 상/하행선 여부 정보를 포함하는 탑승대기 알림용 무선신호를 버스 단말에 송신하도록 정류장 단말 무선 통신 수단을 제어하는 정류장 단말 제어 수단을 구비한 정류장 단말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버스 단말은 정류장 단말로부터 탑승대기 알림용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버스 단말 무선 통신 수단; 시청각적 동작하는 버스 단말 알림 수단 및 버스 단말 무선 통신 수단을 통해 수신된 탑승대기 알림용 무선신호에 포함된 노선번호와 상/하행선 여부 정보가 자기 버스의 노선번호와 상/하행선 여부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에 버스 단말 알림 수단을 구동하는 버스 단말 제어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선행기술 1의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에 의해 버스 탑승 과정에서의 교통 약자에 대한 배려가 획기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그러나 노선버스의 도착 예정 시간이 당해 노선버스의 현재의 실제 위치에 근거하지 않고, 단지 직전 정류장 출발 시각을 근거로 한 추정 시간이기 때문에 정확하지 않을 뿐 아니라 도착 후에도 도착 사실을 교통 약자에게 통보하지 않기 때문에 교통 약자가 많은 노력을 들여 이를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를 감안하여, 본 출원인은 버스 정류장과 버스 사이의 무선 통신에 의해 교통 약자가 탑승하고자 하는 버스의 현재 위치 등을 GPS 좌표 데이터를 근거로 정확하게 알려줘서 교통 약자가 편리하게 원하는 버스에 탑승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을 후술하는 선행기술 2와 같이 특허출원한 바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 2에 따르면, 버스의 현재 위치 등을 GPS 좌표 데이터에 의거하여 파악하기 때문에 탑승 대기 중인 교통 약자에게 버스의 현재 위치를 비교적 정확하게 알려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노선번호와 장애유형을 입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정류장 단말에 노출된 채로 설치될 뿐 아니라 여러 사람이 사용하기 때문에 오물이나 세균 등에 의해 오염되었을 가능성이 상존하고, 이에 따라 실제 교통 약자의 이용률이 낮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여러 사용자의 고의 또는 부주의한 사용으로 인해 물리적인 파손이나 고장의 위험성이 상존할 뿐 아니라 탑승 대기 중인 버스의 거리 정보와 도착 사실 등이 정류장 단말의 스피커를 통해 빈번하게 음성으로 출력되기 때문에 교통 약자가 아닌 사람에게는 소음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기술 1: 10-1370507호 등록특허공보(발명의 명칭 :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 선행기술 2: 10-2017-0066942호 공개특허공보(발명의 명칭 :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교통 약자가 상시 휴대하고 다니는 스마트 단말에 설치된 앱을 통해 탑승하고자 하는 버스의 노선번호를 선택하고 버스의 접근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용률과 편리성을 극대화시킨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의 제1 특징에 따르면, 버스 승강장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며 탑승 도우미 앱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 또는 버스에 설치되는 버스 단말과의 무선 통신에 의해 교통 약자의 버스 탑승을 안내하는 승강장 단말에 의해 수행되되, 탑승 도우미 앱을 통한 사용자 단말로부터 버스 노선번호를 포함하는 탑승 도우미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버스 단말로부터 확인 신호가 수신될 때까지 자신의 승강장 식별코드와 상기 탑승 도우미 요청 신호를 주기적으로 무선 전송하는 (a) 단계 및 버스 단말로부터 승강장에의 접근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접근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b)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방법에 제공된다.
전술한 제1 특징에서, 버스 단말로부터 자신의 승강장 식별코드를 요청받는 경우 자신의 승강장 식별코드를 전송하여 응답한다.
상기 탑승 도우미 요청 신호에는 장애 유형 정보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접근 정보는 적어도 버스의 직전 승강장 도착 정보나 출발 정보 또는 현재 위치 정보이다.
탑승 도우미 앱을 통한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요청을 수신한 경우 버스 승강장이나 버스 탑승 대기선으로의 유도 음성을 출력한다.
본 발명의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의 제2 특징에 따르면, 버스에 설치되어 버스 승강장에 설치된 승강장 단말 또는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며 탑승 도우미 앱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과의 무선 통신에 의해 교통 약자의 버스 탑승을 안내하는 버스 단말에 의해 수행되되, 승강장 단말로부터 승강장 식별코드와 함께 버스 노선번호를 포함하는 탑승 도우미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승강장 단말에 확인 신호를 전송하는 (h) 단계 및 버스 승강장에의 도착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승강장에의 접근 정보를 승강장 단말로 전송하는 (i)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방법이 제공된다.
전술한 제2 특징에서, 상기 탑승 도우미 요청 신호에는 장애 유형 정보가 더 포함되되, 상기 (h) 단계에서 상기 탑승 도우미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장애 유형을 운전기사에게 알리는 (j) 단계를 더 구비한다.
상기 (i) 단계에서 도착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승강장 단말로 승강장 식별코드를 요청하고 응답받아 당해 버스의 운행 상황을 파악한다.
상기 (i) 단계에서의 상기 접근 정보의 전송 및 상기 (j) 단계에서의 상기 운전기사에게의 알림은 상기 탑승 도우미 요청 신호가 생성된 승강장의 직전 승강장에의 도착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수행된다.
본 발명의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의 제3 특징에 따르면, 버스 승강장의 적소에 설치되되, 탑승 도우미 앱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탑승 도우미 서비스 요청 신호를 무선 수신하고 버스의 승강장에의 접근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무선 전송하는 제2 승강장 단말 통신부 및 버스에 설치된 버스 단말로 자기의 승강장 식별코드를 포함한 탑승 도우미 요청 신호를 무선 전송하고 버스 단말로부터 상기 버스의 승강장에의 접근 정보를 무선 수신하는 제1 승강장 단말 통신부를 구비한 승강장 단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장치가 제공된다.
전술한 제3 특징에서, 상기 제1 승강장 단말 통신부는 버스 단말로부터 승강장 식별코드를 요청받고 응답한다.
상기 제1 승강장 단말 통신부의 송신 모듈은 235㎒ 및 358㎒ 대역의 산업용 주파수 중 하나를 사용하고, 수신 모듈은 나머지 하나를 사용한다.
상기 제2 승강장 단말 통신부는 블루투스 통신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의 제4 특징에 따르면, 버스의 적소에 설치되고, 승강장에 설치된 승강장 단말로부터 탑승 도우미 서비스 요청 신호를 무선 수신하고 버스의 승강장에의 접근 정보를 승강장 단말로 무선 전송하는 버스 단말 통신부 및 노선번호와 유도용 안내 음성용 음원을 저장, 재생 및 출력하는 음성 출력 수단을 구비한 버스 단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장치가 제공된다.
전술한 제4 특징에서, 상기 버스 단말 통신부의 송신 모듈은 235㎒ 및 358㎒ 대역의 산업용 주파수 중 하나를 사용하고, 수신 모듈은 나머지 하나를 사용한다.
상기 버스 단말 통신부는 승강장 단말에 승강장 식별코드를 요청하여 응답받는다.
상기 탑승 도우미 서비스 요청 신호에 포함된 장애 유형 정보를 표시하는 승차대기 표시기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에 따르면, 교통 약자가 상시 휴대하고 다니는 스마트 단말에 설치된 앱을 통해 탑승하고자 하는 버스의 노선번호를 선택하고 버스의 접근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용률과 편리성을 극대화시킬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
도 2는 도 1에서 승강장 단말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도 1에서 버스 단말의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 차트.
도 5는 본 발명의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에서 도착 예정 정보 전송 타이밍을 설명하기 위한 도.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은 크게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는 사용자 단말(100), 버스에 설치되는 버스 단말(300) 및 정류장(이하에서는 '승강장'이라 한다.)에 설치되며 무선 통신에 의해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탑승 도우미 서비스(이하 간단히 '서비스'라고도 한다)를 요청(단계 S1)받아 버스 단말(300)에 전달(단계 S2)하고 버스 단말(300)로부터 도착이나 출발 또는 위치 정보(이하 총칭하여 '접근 정보'라 한다)를 전달(단계 S3)받아 사용자 단말(100)에 전달(단계 S4)하는 승강장 단말(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는 스마트 단말기, 예를 들어 범용 운영체제가 설치되어 있어서 각종 응용 프로그램을 탑재할 수 있고, 이외에도 근거리 무선통신, 예를 들어 WiFi 통신이나 블루투스 통신 또는 이동통신 기능이 구비되어 있는 스마트폰이나 스마트 패드 또는 태블릿 PC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100)에는 교통 약자의 버스 탑승을 돕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이하 '탑승 도우미 앱'이라 한다.)이 탑재되어 있어야 한다.
이 경우에 교통 약자는 사용자 단말(100)을 조작하여 탑승 도우미 앱을 실행시킨 상태에서 탑승하고자 하는 버스의 노선번호와 장애 유형을 선택하여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는데, 장애 유형에 관한 정보를 사전에 미리 입력 또는 선택하여 저장해 두면 향후 서비스 요청시 노선번호와 함께 자동으로 전송될 수 있다.
노선번호 역시 다양한 방법에 의해 직접 입력하거나 사전에 복수의 노선번호 리스트 중에서 임의로 선택(이하 이를 총칭하여 '선택'이라 한다.)될 수 있을 것인바, 한번 선택된 노선번호는 자동으로 저장되어 다음의 서비스 요청시 다시 입력하지 않아도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탑승 도우미 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시각 장애, 청각 장애, 지체 장애 또는 노약자 등의 장애 유형을 배려하여 정해질 수 있을 것이다.
탑승 도우미 앱은 또한, 시각 장애인용 공용 리모콘을 대신하여 승강장 단말(200)에서 유도 안내 음성이 송출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시각 장애인이 버스 승강장이나 버스 탑승 대기선까지 접근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기능 및 버스에서 하차시 버스의 운전석 부근에 설치된 승차대기 표시기(미도시)를 통해 운전기사에게 하차 서비스를 요청하는 기능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서 승강장 단말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에서 승강장 단말(200)은 바람직하게는 버스 승강장의 상단에 설치될 수 있는데, 크게 버스 단말(300)과의 사이에서 양방향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1 승강장 단말 통신부(240), 사용자 단말(100)과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2 승강장 단말 통신부(250), 버스 탑승 대기선까지의 유도 안내 음성 등을 송출하는 음성 출력부(220), 승강장 단말(200)의 각 부를 총괄하여 제어하는 승강장 단말 제어부(210) 및 단말의 각 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승강장 단말 전원부(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제1 승강장 단말 통신부(240)는 산업용 주파수, 예를 들어 235㎒나 358㎒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수 있는데, 충돌 회피 등을 위해 그 송신 모듈(242)은 235㎒를 사용하고 수신 모듈(244)은 358㎒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승강장 단말 통신부(250)는 블루투스 통신 또는 WiFi 통신과 같은 근거리 통신 방식, 이 중에서도 블루투스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승강장 단말(200)은 선행기술 2와 마찬가지로 버스의 노선번호와 장애 유형을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자체적으로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승강장 단말(200)은 또한 해당 승강장에 도착한 버스에게 승강장 식별코드를 전송함으로써 버스가 현재 도착한 승강장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 및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유도 안내를 요청받으면 교통 약자가 알 수 있도록 승강장의 탑승 대기선까지 유도용 안내 음성을 송출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서 버스 단말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스 단말(300)은 버스의 적소, 예를 들어 운전석 부근에 설치되며, 크게 승강장 단말(200)과의 사이에서 양방향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버스 단말 통신부(310), 노선번호와 유도용 안내 음성 등의 음원을 저장 및 재생하여 증폭하는 음원저장/앰프부(340), 버스 단말(300)의 각 부를 총괄하여 제어하는 버스 단말 제어부(320), 단말의 각 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버스 단말 전원부(330) 및 앰프에서 증폭된 음성 신호를 음파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스피커(3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버스 단말 통신부(310)는 산업용 주파수, 예를 들어 235㎒나 358㎒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수 있는데, 승강장 단말(200)과는 반대로 그 수신 모듈(312)은 235㎒를 사용하고 송신 모듈(314)은 358㎒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피커(350)는 버스 도착시 노선번호와 유도용 안내방송 등을 송출하는데, 비나 눈 등의 날씨에 대비하기 위해 방수용으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 설치의 용이성을 감안하여 버스 외부 탑승구 측 백미러 지지대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신용 안테나는 버스 외부 지붕 등에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자석 고정식으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피커(350)와 통신용 안테나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모두 버스 내부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외에도 버스 단말에는 교통 약자의 사용자 단말과 직접 통신하여 승차 과정에서 노선번호와 유도용 안내 방송이 송출되도록 하거나 하차 과정에서 하차 안내 방송이 송출되도록 하기 위해 제2 버스 단말 통신부(미도시), 바람직하게는 블루투스 통신 또는 WiFi 통신과 같은 근거리 통신 모듈 및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기 위한 GPS 수신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버스 단말(300)에는 또한 당해 버스의 노선번호와 함께 자신이 경유할 승강장의 식별코드가 순서대로 저장되어 있는데, 버스 단말(300)은 자신이 경유하는 승강장 식별코드에 의해 상행이나 하행 등의 운행 상황을 인지할 수가 있다.
한편, 버스의 운전석 부근에는 또한 운전기사의 운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탑승 대기자의 장애 유형을, 예를 들어 지체, 시각, 청각 및 노약자 등으로 구분하여 표시하거나 탑승한 교통 약자가 하차 서비스를 요청할 경우 운전기사에게 하차 서비스 요청 사실을 표시(시각 또는 청각에 의한 표시)하는 승차대기 표시기(40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승차대기 표시기(400)는 버스 단말(300)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아 동작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바(선행기술 2 참조), 버스 단말(300)과는 딴 몸 또는 한 몸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버스 단말(300)은 승강장 단말(200)과 통신하여 해당 버스가 도착한 버스 승강장의 위치 정보(식별코드)를 확인함으로써 버스의 운행 상황을 인지하고, 승강장 단말(200)을 통한 교통 약자로부터의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여 해당 승강장에 도착하기 전에 운전기사에게 교통 약자의 장애 유형을 알려줌으로써 적절한 탑승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거나 교통 약자의 하차 요청을 운전기사에게 알려서 하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버스 단말(300)은 또한 교통 약자가 탑승 대기중인 버스 승강장에 도착하여 탑승구 문이 개방되면 노선번호 등의 안내 방송을 송출함으로써 시각 장애인이 현재 도착한 버스의 노선번호를 확인하고 탑승구에 도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여기에 더하여 GPS 수신부를 구비한 경우에는 승강장 단말(200)을 경유하여 사용자 단말(100)에 버스의 현재 위치 정보를 실시간 및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승강장 단말(200)과 버스 단말(300) 사이의 통신 반경(전력)은 승강장 사이의 간격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정, 예를 들어 1㎞ 내외로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 차트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에 따르면, 서비스를 요청하고자 하는 교통 약자는 승강장에 도착한 후에 자신이 휴대한 사용자 단말(100)의 탑승 도우미 앱을 통해 탑승을 원하는 버스의 노선번호를 선택(단계 S10)하는데, 이 과정에서 장애 유형에 적합한 도우미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 장애 유형 정보를 함께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장애 유형 정보는 한 번 저장해 두면 자동으로 선택되어 전송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선번호 역시 다양한 방법에 의해 직접 입력 또는 선택할 수 있을 것이고, 사용 시점이나 사용 빈도 순서로 우선적으로 선택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100)은 이렇게 선택된 노선번호와 장애유형 정보를 승강장 단말(200)로 무선 전송(단계 S20)하는데, 이를 위해 승강장 단말(200)과의 사이에서 연결 확립 과정, 예를 들어 블루투스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승강장 단말(200)과의 사이에서 페어링 과정이 먼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승강장 단말(200)은 노선번호와 장애유형 정보를 저장(단계 S30)한 상태에서 자신의 승강장 식별코드와 노선번호 및 장애유형 정보를 주기적, 예를 들어 10초 간격 등으로 버스 단말(300)로 전송(단계 S40)하고, 이를 수신한 버스 단말(300)은 자신의 노선번호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 단계 S40에서의 판단 결과, 자신의 노선번호가 아닌 경우 버스 단말(300)은 이를 무시(단계 S70)하는 반면에 일치하는 경우에는 승강장 식별코드와 장애유형 정보를 저장(단계 S60)한 상태에서 정상적인 수신을 확인하는 응답, 예를 들어 노선번호와 승강장 식별코드를 승강장 단말(200)에 전송(단계 S80)한다.
다음으로, 이를 수신한 승강장 단말(200)은 단계 S40에서의 신호 전송을 중지(단계 S90)한 상태에서 향후 버스 단말(300)로부터의 접근 정보의 수신 또는 승강장 식별코드의 요청을 대기한다.
다음으로, 버스 단말(300)은 승강장에의 도착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단계 S100)하는데, 이러한 도착 이벤트는 버스 탑승구 문의 개방 감지나 운전기사의 수동 조작, 예를 들어 버스 탑승구 개방 조작, 바람직하게는 탑승구 문의 개방 감지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단계 S100에서의 판단 결과, 도착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100을 반복 수행하는 반면에 발생한 경우에는 현재 버스의 운행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승강장 단말(200)에 승강장 식별코드를 요청(단계 S110)하고, 이에 응하여 승강장 단말(200)은 버스 단말(300)에 승강장 식별코드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응답(단계 S120)한다.
한편, 버스 단말(300)은 교통 약자가 탑승 대기 중인 승강장의 직전 승강장에 도착한 후에 비로소 이를 교통 약자 및 운전기사, 특히 운전기사에게 알리는 것이 경각심 고양 차원에서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버스 단말(300)은 버스가 직전 승강장에 도착하였는지를 판단(단계 S130)하는데, 이러한 판단은 당해 버스가 경유하는 승강장 식별코드가 순서대로 버스 단말(300)에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할 수 있다. 물론 버스 단말(300)에 GPS 수신부가 구비된 경우에는 GPS 좌표 데이터에 의거하여 직전 승강장 도착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에서 도착 예정 정보 전송 타이밍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스 단말(300)은 운행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매 승강장에 도착할 때마다 승강장 단말(200)에 식별코드를 요청하여 전달받는다. 이와는 별개로 버스 단말(300)이 승강장 단말(200)의 통신 반경에 다다른 경우에는 승강장 단말(200)과의 사이에서 서비스 요청 및 확인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버스가 현재 도착한 승강장이 요청 승강장의 직전 승강장이 아닌 경우에는 교통 약자 및 운전기사에게 별다른 통보를 하지 않다가 버스가 직전 승강장에 도착해서야 비로소 승강장 단말(200)에 도착 예정 정보를 전송함과 함께 운전기사에게는 탑승 대기 정보 및 장애유형 정보를 알려서 운전기사가 적절한 도움 행위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도 4로 돌아가서, 단계 S130에서의 판단 결과, 직전 승강장에 도착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100으로 복귀하는 반면에 도착한 경우에는 운전자에게 다음 승강장에 탑승 대기 중인 교통 약자가 있음을 알리거나(단계 S140) 이에 더하여 해당 교통 약자의 장애 유형 정보를 알림과 함께 승강장 단말(200)에 현재 버스가 직전 승강장에 도착한 사실 또는 직전 승강장을 출발(이하 통칭하여 '착발'이라 한다)한 사실을 전송(단계 S150)한다. 이 과정에서 승강장 단말(200)이 해당 버스의 노선번호를 확인할 수 있도록 노선번호 정보도 함께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이를 수신한 승강장 단말(200)은 제2 승강장 단말 통신부(25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에 이 사실을 무선으로 전송(단계 S160)하고, 이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100)은 탑승 도우미 앱을 통해 탑승을 원하는 버스의 직전 승강장 착발 사실을 사용자에게 알리게 된다(단계 S170).
이후 버스 단말(300)은 도착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를 재차 판단(단계 S180)하는데, 도착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는 스피커(350)를 통해 유도 안내 음성을 출력함으로써 교통 약자가 버스 탑승 대기선까지 접근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등의 장애유형에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단계 S190)한다.
이상,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도 4의 단계 S20 내지 S40에서 상/하행 정보가 더 전달될 수도 있을 것이다.

Claims (17)

  1. 버스 승강장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며 탑승 도우미 앱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 또는 버스에 설치되는 버스 단말과의 무선 통신에 의해 교통 약자의 버스 탑승을 안내하는 승강장 단말에 의해 수행되되,
    탑승 도우미 앱을 통한 사용자 단말로부터 버스 노선번호를 포함하는 탑승 도우미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버스 단말로부터 확인 신호가 수신될 때까지 자신의 승강장 식별코드와 상기 탑승 도우미 요청 신호를 주기적으로 무선 전송하는 (a) 단계 및
    버스 단말로부터 승강장에의 접근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접근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b)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버스 단말로부터 자신의 승강장 식별코드를 요청받는 경우 자신의 승강장 식별코드를 전송하여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탑승 도우미 요청 신호에는 장애 유형 정보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근 정보는 적어도 버스의 직전 승강장 도착 정보나 출발 정보 또는 현재 위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방법.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탑승 도우미 앱을 통한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요청을 수신한 경우 버스 승강장이나 버스 탑승 대기선으로의 유도 음성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방법.
  6. 버스에 설치되어 버스 승강장에 설치된 승강장 단말 또는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며 탑승 도우미 앱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과의 무선 통신에 의해 교통 약자의 버스 탑승을 안내하는 버스 단말에 의해 수행되되,
    승강장 단말로부터 승강장 식별코드와 함께 버스 노선번호를 포함하는 탑승 도우미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승강장 단말에 확인 신호를 전송하는 (h) 단계 및
    버스 승강장에의 도착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승강장에의 접근 정보를 승강장 단말로 전송하는 (i)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탑승 도우미 요청 신호에는 장애 유형 정보가 더 포함되되,
    상기 (h) 단계에서 상기 탑승 도우미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장애 유형을 운전기사에게 알리는 (j) 단계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i) 단계에서 도착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승강장 단말로 승강장 식별코드를 요청하고 응답받아 당해 버스의 운행 상황을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방법.
  9. 청구항 6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i) 단계에서의 상기 접근 정보의 전송 및 상기 (j) 단계에서의 상기 운전기사에게의 알림은 상기 탑승 도우미 요청 신호가 생성된 승강장의 직전 승강장에의 도착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방법.
  10. 버스 승강장의 적소에 설치되되,
    탑승 도우미 앱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탑승 도우미 서비스 요청 신호를 무선 수신하고 버스의 승강장에의 접근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무선 전송하는 제2 승강장 단말 통신부 및
    버스에 설치된 버스 단말로 자기의 승강장 식별코드를 포함한 탑승 도우미 요청 신호를 무선 전송하고 버스 단말로부터 상기 버스의 승강장에의 접근 정보를 무선 수신하는 제1 승강장 단말 통신부를 구비한 승강장 단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승강장 단말 통신부는 버스 단말로부터 승강장 식별코드를 요청받고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승강장 단말 통신부의 송신 모듈은 235㎒ 및 358㎒ 대역의 산업용 주파수 중 하나를 사용하고, 수신 모듈은 나머지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장치.
  13. 청구항 10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승강장 단말 통신부는 블루투스 통신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장치.
  14. 버스의 적소에 설치되고, 승강장에 설치된 승강장 단말로부터 탑승 도우미 서비스 요청 신호를 무선 수신하고 버스의 승강장에의 접근 정보를 승강장 단말로 무선 전송하는 버스 단말 통신부 및
    노선번호와 유도용 안내 음성용 음원을 저장, 재생 및 출력하는 음성 출력 수단을 구비한 버스 단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버스 단말 통신부의 송신 모듈은 235㎒ 및 358㎒ 대역의 산업용 주파수 중 하나를 사용하고, 수신 모듈은 나머지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버스 단말 통신부는 승강장 단말에 승강장 식별코드를 요청하여 응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장치.
  17. 청구항 14 내지 1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 도우미 서비스 요청 신호에 포함된 장애 유형 정보를 표시하는 승차대기 표시기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장치.
KR1020170147064A 2017-11-07 2017-11-07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 KR102157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064A KR102157262B1 (ko) 2017-11-07 2017-11-07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064A KR102157262B1 (ko) 2017-11-07 2017-11-07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1423A true KR20190051423A (ko) 2019-05-15
KR102157262B1 KR102157262B1 (ko) 2020-09-17

Family

ID=66579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7064A KR102157262B1 (ko) 2017-11-07 2017-11-07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72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7005B1 (ko) * 2019-06-03 2020-01-22 (주)키삭 원격제어리모컨을 이용한 교통약자를 위한 버스안내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3545A (ko) * 2010-11-12 2012-05-29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대기승객 알림 서비스 방법
KR20130128031A (ko) * 2012-05-16 2013-11-26 한국과학기술원 버스 정류소의 공용 스피커를 이용한 목적지 안내 방법 및 목적지 안내 시스템
KR101370507B1 (ko) 2012-11-08 2014-03-06 (주)휴먼케어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
KR20160093205A (ko) * 2015-01-28 2016-08-08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장애인을 위한 저상버스 탑승 알림장치
KR20170066942A (ko) 2015-12-07 2017-06-15 (주)휴먼케어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3545A (ko) * 2010-11-12 2012-05-29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대기승객 알림 서비스 방법
KR20130128031A (ko) * 2012-05-16 2013-11-26 한국과학기술원 버스 정류소의 공용 스피커를 이용한 목적지 안내 방법 및 목적지 안내 시스템
KR101370507B1 (ko) 2012-11-08 2014-03-06 (주)휴먼케어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
KR20160093205A (ko) * 2015-01-28 2016-08-08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장애인을 위한 저상버스 탑승 알림장치
KR20170066942A (ko) 2015-12-07 2017-06-15 (주)휴먼케어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7005B1 (ko) * 2019-06-03 2020-01-22 (주)키삭 원격제어리모컨을 이용한 교통약자를 위한 버스안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7262B1 (ko) 2020-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5257B1 (ko) 통신 시스템에서 대중 교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935001B1 (ko) 버스정류소 교통약자 승차 예약 시스템
KR20170066942A (ko)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
KR101172000B1 (ko) 교통약자 맞춤형 대중교통 서비스 시스템
KR101273299B1 (ko) 버스 내장형 비스 단말장치
JP2016161479A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ナビゲーション方法
KR20140138510A (ko) 버스 정보 시스템
CN104282144B (zh) 交互式公共交通系统
JP6398874B2 (ja) 情報提供プログラム及び乗降案内システム
KR101592861B1 (ko) 교통적 약자를 위한 버스 승하차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JP4468761B2 (ja) 身障者支援システム
KR20190030271A (ko) 사용자 보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그리고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KR20190051423A (ko)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
KR101414344B1 (ko) 긴급차량접근 알림 및 피양 안내 시스템
KR101370507B1 (ko)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
KR20180091429A (ko) 교통약자의 버스 이용을 지원하는 차량단말장치 및 방법
KR101694241B1 (ko) 대중교통수단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고주파 신호수신을 통한 위치정보제공방법
KR20210076789A (ko) 버스 하차벨 원격 시스템
KR102285501B1 (ko) 교통약자 버스 승하차 지원시스템
KR101815885B1 (ko) 시각 장애인용 교통 안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JP2010086098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US20230251824A1 (en) Voice guidance method
KR20160059495A (ko)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버스 정류장 내 시각 장애인 경로 안내 방법 및 장치
KR20100033259A (ko) 도착시간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의 동작방법
KR102304156B1 (ko) 관제 서버, 이동 보조 수단, 및 지능형 안내 블록을 이용한 안내 시스템 및 안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410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1004

Effective date: 20200117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31000026;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00729

Effective date: 20200731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