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5501B1 - 교통약자 버스 승하차 지원시스템 - Google Patents

교통약자 버스 승하차 지원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5501B1
KR102285501B1 KR1020190101830A KR20190101830A KR102285501B1 KR 102285501 B1 KR102285501 B1 KR 102285501B1 KR 1020190101830 A KR1020190101830 A KR 1020190101830A KR 20190101830 A KR20190101830 A KR 20190101830A KR 102285501 B1 KR102285501 B1 KR 1022855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information
route
user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1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2385A (ko
Inventor
박성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퓨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퓨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퓨터
Priority to KR1020190101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5501B1/ko
Publication of KR20210022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2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5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55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00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 G01S1/02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using radio waves
    • G01S1/68Marker, boundary, call-sign, or like beacons transmitting signals not carrying directional inform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 G08G1/13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within the vehicle ; Indicators inside the vehicles or at sto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통약자 버스 승하차 지원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출발지 및 도착지를 선택하여 버스를 예약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출발지 및 도착지에 따른 노선을 추출하여 예약정보를 생성하고, 예약정보의 확정시 예약된 노선의 버스 중 출발지에 근접한 버스의 실시간 위치정보 및 도착예정시간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알림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승하차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이동을 모니터링하는 관제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약자 버스 승하차지원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교통약자 버스 승하차 지원시스템{System supporting on and off the bus for transportation vulnerable}
본 발명은 교통약자 버스 승하차 지원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출발지 및 도착지를 선택하여 버스를 예약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출발지 및 도착지에 따른 노선을 추출하여 예약정보를 생성하고, 예약정보의 확정시 예약된 노선의 버스 중 출발지에 근접한 버스의 실시간 위치정보 및 도착예정시간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알림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승하차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이동을 모니터링하는 관제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약자 버스 승하차지원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대중교통 특히 버스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도입된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에는 크게 버스정보시스템(BIS: Bus Information System) 및 교통카드시스템이 구축되어 있으나, 수요자 중심이 아닌 공급자 위주로 대부분 진행되어 이용자가 불편을 겪고 있다.
특히, 기존 버스정보시스템은 이용자 교통 편의를 위해 버스정류장에 설치되었으나, 교통약자(어린이, 노약자, 임산부 또는 장애인)의 특성에 따른 최적 교통수단 정보 및 최적 이동경로 정보제공 등 맞춤형 서비스가 마련되지 않는 실정이다.
지난 2017년 2월 국토교통부에서는 2025년 초고령사회 진입과 교통약자의 지속적 증가에 대비해 '제3차 교통약자 이동편의 증진계획(2017~2021)'에 대한 보고서를 공표한바 있다.
상기 보고서에 따르면, 2016년 10월말 기준 이동편의 시설의 기준 적합 설치율은 평균 725%이며, 교통수단774%, 여객시설 678% 및 보행환경은 722%인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이동편의 시설 전체 기준 적합 설치율725%는 교통약자가 이동하는데 불편함이 있는 상태라고 할 수 있다.
한편, 교통약자의 편의를 제공하는 관련특허로 한국공개특허 제2017-0075302호(이하, 특허문헌1) 등이 있다. 특허문헌1에 대해 살피면, 스마트기기에 구현된 정차버튼이 선택되면, 버스 단말기로 정차 신호를 송신하여 버스 단말기에 의해 정차버튼을 제어하는 구성을 포함한다. 즉, 교통약자가 이미 버스에 탑승해 있는 것으로 상정하고, 단지 버스 하차에 대한 편의를 제공하는데 그치고 있다.
또한, 시각장애가 있는 교통약자의 경우, 버스에 승차하기 위해서는 점자형 보도블럭에 의존해 버스정류소에 진입하고, 버스정류소에 설치된 ITS 장비의 버스진입 음성안내에 따라 버스에 탑승하게 된다.
하지만, 버스정류소에 다수의 버스가 진입하는 경우, 탑승해야할 버스를 구분하기 어려워 버스정류소에서 대기하다가 버스가 출발해버리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버스기사도 일반 승객들의 승하차만 확인하고 출발하는 경우가 빈번해 교통약자가 버스에 승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1. 한국공개특허 제2017-0075302호(20170703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앱을 통해 버스 예약 및 버스 승하차에 대한 정보를 알림함으로써 교통약자가 편리하게 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교통약자 버스 승하차 지원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통약자 버스 승하차지원시스템은 출발지 및 도착지를 선택하여 버스를 예약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출발지 및 도착지에 따른 노선을 추출하여 예약정보를 생성하고, 예약정보의 확정시 예약된 노선의 버스 중 출발지에 근접한 버스의 실시간 위치정보 및 도착예정시간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알림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승하차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이동을 모니터링하는 관제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버스 정류장에 설치되어 기설정 범위로 비콘을 송신하며, 노선 정보 및 진입예정시간을 알림하는 버스정류장 단말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비콘을 수신시 자신의 실시간 위치를 파악하여 상기 비콘에 매칭된 버스정류장의 위치로부터 기설정범위 내에 있으면 예약된 출발지에 도착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관제서버로 도착알림을 전송하여 예약정보를 확정할 수 있다.
또한, 버스마다 설치되어 확정된 예약정보를 수신하는 버스 단말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도착알림을 수신시 해당 예약정보를 확정예약하여 예약된 노선의 버스 중 상기 비콘에 매칭된 버스정류장에 근접한 버스의 버스단말기로 확정된 예약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스단말기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태깅시 기저장된 예약정보와 비교하여 예약된 사용자의 승하차정보를 상기 관제서버로 알림하며, 실시간 위치정보를 관제서버 및 승차중인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제서버는, 수신된 사용자의 승하차정보 및 버스의 실시간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및 버스의 이동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제서버는, 버스정류장에서 승하차를 위해 버스가 정차하는 기준시간(a), 예약확정된 버스의 실시간 위치로부터 예약된 출발지 버스정류장까지의 거리에 따른 이동시간(b) 및 상기 예약확정된 버스의 버스정류장별 예약 사용자 인원에 따른 가중치(w)를 이용하여 도착예정시간(a*w + b)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선택된 출발지 및 도착지가, 하나의 노선에 포함되면 상기 선택된 출발지, 도착지 및 해당 노선을 예약정보로 생성하고, 하나의 노선에 미포함되면 환승지를 연결하여 적어도 2개의 노선을 제공하되 각 노선을 예약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교통약자 버스 승하차 지원시스템은 앱을 통해 버스 예약 및 버스 승하차에 대한 정보를 알림함으로써 교통약자가 편리하게 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예약된 출발지에 교통약자가 도착했을 때에만 해당 버스 단말기로 예약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정확한 예약승차인원파악 및 해당 버스의 정확한 도착예정시간을 산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환승에 따른 노선별 출발지 및 도착지를 예약정보로 설정하여 순차적으로 노선별 승하차를 지원함으로써 환승시에도 어려움없이 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통약자 버스 승하차 지원시스템의 개략적인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사용자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관제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버스정류장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1의 버스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통약자 버스 승하차 지원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통약자 버스 승하차 지원시스템의 개략적인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통약자 버스 승하차 지원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의 교통약자 버스 승하차 지원방법을 기반으로, 교통약자 버스 승하차 지원시스템의 구성 및 기능을 설명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통약자 버스 승하차 지원시스템(이하, 지원시스템이라 함)은 사용자 단말기(100), 관제서버(200), 버스정류장(10)에 설치된 버스정류장 단말기(300) 및 버스에 설치된 버스 단말기(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관제서버(200)는 각 단말기(100,300,400)에 ID를 부여하여 관리하며, 버스정류장 단말기(300)의 경우 ID에 위치정보를 매칭하여 관리할 수 있다. 또한, 각 단말기(100,300,400)는 블루투스, 지그비 등의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서로간에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고, 3G, 4G, 5G, LTE, wifi 등의 통신망을 통해 관제서버(200)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교통약자 버스 승하차 지원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앱이 설치된 사용자(교통약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등이 될 수 있다. 여기서, 교통약자 버스 승하차 지원서비스는 버스 예약, 버스 예약 알림, 승하차 알림 등을 제공하는 서비스가 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사용자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통신부(110), 예약부(120), 위치확인부(130) 및 알림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근거리통신을 이용한 제1통신부 및 관제서버(200)와 통신하기 위한 제2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통신부를 통해 버스정류장 단말기(300)에서 브로드캐스팅되는 비콘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약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출발지 및 도착지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입력된 출발지 및 도착지에 따른 노선을 제공하여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을 수 있다(S610).
예약부(120)는 입력된 출발지 및 도착지가 하나의 노선으로 이동할 수 없는 경우, 환승할 수 있는 노선을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약부(12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예약정보(출발지 및 도착지)를 관제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관제서버(200)는 예약을 수신하여 노선별 예약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S620).
또한, 예약부(120)는 사용자의 현재위치를 기준으로 출발지에 대응되는 버스정류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네비게이션을 제공하여 안내할 수 있다.
위치확인부(130)는 사용자의 실시간 위치를 확인하는 GPS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위치확인부(130)는 특정 버스정류장 단말기(300)로부터 비콘을 수신한 경우 동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위치확인부(130)는 제1통신부를 통해 비콘이 수신되면(S630), GPS를 이용하여 실시간 위치를 확인하고(S650), 비콘에 매칭된 버스정류장 위치와 기설정범위내에 있으면 예약된 출발지에 도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660).
알림부(140)는 버스 예약, 버스 승하차와 관련된 내용을 알림할 수 있으며, 알림은 스피커(미도시)를 통한 음성알림 및 표시부(미도시)를 통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알림부(140)는 위치확인부(130)에서 출발지 도착으로 판단하면, 제2통신부를 통해 관제서버(200)로 도착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S670).
관제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버스 예약을 관리하며, 예약에 따른 사용자의 버스 승하차 현황 및 이용현황을 모니터링 및 관리할 수 있다. 또한, 관제서버(200)는 예약을 기반으로 버스의 운행도 모니터링 및 관리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관제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관제서버(200)는 예약관리부(210), 버스관리부(220) 및 이용현황 관리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약관리부(210)는 사용자단말기(100)에서 선택 입력된 예약정보(출발지, 도착지, 노선 및 사용자ID)를 수신하여 사용자별/노선별 버스 예약을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출발지에서 도착지까지 하나의 노선으로 이동이 가능하면, 예약정보는 출발지 및 도착지를 포함하는 해당 노선으로 예약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출발지에서 도착지까지 하나의 노선으로 이동이 불가하면, 환승을 통해 예약될 수 있다.
예약관리부(21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선택된 출발지 및 도착지가, 하나의 노선에 포함되면 선택된 출발지, 도착지 및 해당 노선을 예약정보로 생성하고, 하나의 노선에 미포함되면 환승지를 연결하여 적어도 2개의 노선을 제공하되 각 노선을 예약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즉, 예약관리부(210)는 환승이 한번 필요한 경우, 출발지(사용자 예약)에서 환승지를 도착지로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노선1과 환승지를 출발지로 하여 도착지(사용자 예약)로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노선2에 대한 각각의 예약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예약관리부(210)는 환승이 두번 필요한 경우, 출발지(사용자 예약)에서 환승지1을 도착지로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노선1, 환승지1을 출발지로 하여 추가 환승지2를 도착지로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노선2, 환승지2를 출발지로 하여 도착지(사용자 예약)로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노선3에 대한 각각의 예약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예약관리부(210)는 사용자단말기(100)의 알림부(140)로부터 출발지 도착알림을 수신하면 예약정보를 예약 확정하고, 해당 노선의 버스 중 사용자단말기(100)가 예약한 출발지의 버스정류장(10)에 진입예정인 버스의 버스단말기(400)로 예약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환승 노선이 있는 경우, 예약관리부(210)는 예약정보에 포함된 노선 순서대로 사용자위치를 판단 예약 확정된 노선의 버스단말기로 확정된 예약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예약관리부(210)는 사용자가 예약한 출발지에 도착시에만 예약확정하여 승차할 버스의 버스단말기(400)로 예약정보를 전송한다(S680).
일 예로, 사용자단말기(100)에 의해 예약된 예약정보가 노선1(출발지-환승지)-노선2(환승지-도착지)로 생성되면, 예약관리부(210)는 사용자가 출발지에 도착한 경우, 노선1의 해당 버스단말기(400)로 노선1에 따른 예약정보를 확정된 예약정보로 전송하고, 환승여부도 알림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환승을 위해 환승지에서 내리면, 노선2의 출발지에 도착한 것으로 판단되어, 노선2의 해당 버스단말기(400)로 노선2에 따른 예약정보를 확정된 예약정보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버스단말기(400)는 예약정보를 수신하여(S690), 출발지별/도착지별 예약 사용자의 승하차를 지원할 수 있다.
버스관리부(220)는 노선별 버스의 운행정보(운행여부, 실시간 위치, 버스기사정보 등) 및 예약정보를 매칭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버스관리부(220)는 버스단말기(400)에서 기설정주기로 전송되는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700).
버스관리부(220)는 버스의 실시간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예약관리부(210)에서 예약확정된 예약정보의 예약출발지에, 해당 버스(확정된 예약정보를 수신한 버스단말기가 설치된 버스)가 도착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710).
이때, 버스관리부(220)는 미도착시 예약 버스의 도착예정시간 및 현재위치를 파악하여 해당 사용자단말기(100)로 알림하고(S720, S730), 해당버스가 예약 출발지에 도착하면 버스도착알림을 해당 사용자단말기(100)로 알림할 수 있다(S740,S750). 알림을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100)는 음성알림 및 텍스트/이미지 표시를 통해 알림내용을 제공할 수 있다(S730,S750).
또한, 버스관리부(220)는 해당 버스정류장 단말기(300)로도 버스의 도착알림을 제공하여(S740,S751), 버스정류장 단말기(300)에서 표시부(330) 및 스피커(340)를 통해 알림할 수 있다.
한편, 버스관리부(220)는 예약된 버스의 실시간 위치 및 출발지 이전 버스정류장에서의 예약 사용자 인원을 기반으로 도착예정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일예로, 버스정류장에서 승하차를 위해 정차하는 기준시간(a), 예약된 버스의 실시간 위치로부터 출발지 버스정류장까지의 거리에 따른 이동시간(b) 및 예약 사용자 인원에 따른 가중치(w)를 이용하여 도착예정시간(a*w + b)을 산출할 수 있다.
이용현황 관리부(230)는 예약 사용자들의 버스 승하차 정보를 이용하여 이용현황을 모니터링하고, 사용자(교통약자)의 버스 이용현황도 파악할 수 있다. 이때, 이용현황 관리부(230)는 버스 승하차 정보를 버스단말기(4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 버스 도착알림을 수신한 사용자단말기(100)가 버스에 승차하여 사용자 앱을 통한 사용자태그를 승차한 버스의 버스단말기(400)에 태깅하면(S760), 버스단말기(400)는 태그인식부(440)를 통해 사용자태그를 인식하고, 인식된 사용자태그의 정보와 예약된 정보를 매칭시켜 사용자의 승차를 확인하여 관제서버(200)로 승차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770).
또한, 이용현황관리부(230)는 승차정보수신시(S780), 실시간 버스위치정보를 통해 도착지에서 사용자가 하차할 수 있도록, 도착지 이전 버스정류장을 지나치면 하차알림을 해당 사용자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S790).
이때, 사용자단말기(100)에 의해 사용자태그 재태깅이 수행되면(S800), 해당 버스단말기(400)는 사용자의 하차를 확인하여(S810), 하차정보를 관제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하차시 도착지는 최종도착지 또는 환승 이전 노선에서의 도착지인 환승지가 될 수 있다.
이용현황관리부(230)는 하차정보를 수신하면(S820), 하차시 도착지가 최종도착지인지 판단하여(S830), 최종 도착지가 아닌 환승지이면, 다음 환승노선에 따른 출발지(환승지) 및 도착지를 재설정하여 환승노선의 해당 버스단말기(400)로 확정된 재설정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즉, 환승시 S680단계부터 환승노선에 따른 사용자의 승하차를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이용현황관리부(230)는 사용자가 하차한 도착지가 최종도착지이면, 회종도착지 도착을 해당 사용자 단말기(100)로 알림할 수 있다(S850,S860).
또한, 이용현황관리부(230)는 사용자의 버스 승하차 및 실시간 위치를 사용자 앱을 통해 제공하고, 사용자의 이동을 모니터링하여 보호자단말기(미도시), 목적장소의 단말기(미도시) 등에 제공할 수도 있다.
도 4는 도 1의 버스정류장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버스 정류장 단말기(300)는 비콘송신부(310), 무선송수신부(320), 표시부(330) 및 스피커(340)를 포함할 수 있고, 태양전지모듈을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비콘송신부(310)는 기설정범위내에서 자신의 ID를 포함하는 비콘을 기설정주기로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단말기(100)에 설치된 앱 및 버스단말기(400)가 기설정범위 내에 근접할 시, 비콘을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단말기(100)는 출발지 도착을 관제서버(200)로 알림할 수 있고, 버스단말기(400)는 특정 버스정류장에 도착 및 버스정류장에서 출발을 관제서버(200)로 알림할 수 있다.
무선송수신부(320)는 관제서버(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송수신부(320)는 관제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버스 진입정보 및 사용자 예약정보 등을 표시부(330) 및 스피커(34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예약정보는 해당 버스정류장을 출발지로 예약한 사용자 인원, 진입 버스의 승차예약 인원 등이 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버스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버스 단말기(400)는 통신부(410), 메모리(420), 위치확인부(430), 태그인식부(440) 및 알림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410)는 사용자 단말기(100) 및 버스정류장 단말기(300)와 근거리 통신을 위한 제1통신부 및 관제서버(200)와 통신하기 위한 제2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통신부를 통해 버스정류장 단말기(300)에서 브로드캐스팅되는 비콘을 수신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기(100)로 실시간 위치를 제공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자신(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제2통신부를 통해 관제서버(200)로부터 사용자 단말기(100)의 출발지 도착에 따라 확정된 해당 버스의 노선에 따른 예약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420)는 자신의 버스운행 노선정보 및 관제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예약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420)에 저장된 노선정보 및 예약정보는 위치/시간 정보들을 기반으로 알림부(450)를 통해 패널에 표시(미도시) 및 스피커(미도시)를 통한 안내방송을 출력할 수 있다.
출력되는 정보는 승하차 버스정류장 안내, 승차 예약된 사용자(교통약자) 인원, 하차 예약된 사용자(교통약자) 인원, 양보안내 방송 등이 제공될 수 있다.
위치확인부(430)는 버스의 실시간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GPS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확인부(430)는 GPS모듈을 이용하여 실시간 위치를 파악하여 통신부(410)를 통해 사용자단말기(100) 및 관제서버(200)로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위치정보는 사용자의 이동경로 모니터링, 버스 운영 모니터링, 버스 도착예정시간 산출시 등에 이용될 수 있다.
태그 인식부(440)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태깅을 인식하여 알림부(450)로 제공할 수 있다. 알림부(450)는 태깅된 사용자 정보와 예약정보를 비교하여 예약된 사용자의 승하차를 판단하여 관제서버(200)로 알림할 수 있다. 이에, 관제서버(200)는 사용자 승하차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이동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도 1 내지 도 6을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 1 내지 도 6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100 : 사용자 단말기 200 : 관제서버
300 : 버스정류장 단말기 400 : 버스단말기
10 : 버스

Claims (6)

  1. 출발지 및 도착지를 선택하여 버스를 예약하는 사용자 단말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출발지 및 도착지에 따른 노선을 추출하여 예약정보를 생성하고, 예약정보의 확정시 예약된 노선의 버스 중 출발지에 근접한 버스의 실시간 위치정보 및 도착예정시간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알림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승하차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이동을 모니터링하는 관제서버;
    버스 정류장에 설치되어 기설정 범위로 비콘을 송신하며, 노선 정보 및 진입예정시간을 알림하는 버스정류장 단말기; 및
    버스마다 설치되어 확정된 예약정보를 수신하는 버스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비콘을 수신시 자신의 실시간 위치를 파악하여 상기 비콘에 매칭된 버스정류장의 위치로부터 기설정범위 내에 있으면 예약된 출발지에 도착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관제서버로 도착알림을 전송하여 예약정보를 확정하고,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도착알림을 수신시 해당 예약정보를 확정예약하여 예약된 노선의 버스 중 상기 비콘에 매칭된 버스정류장에 근접한 버스의 버스단말기로 확정된 예약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버스단말기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태깅시 기저장된 예약정보와 비교하여 예약된 사용자의 승하차정보를 상기 관제서버로 알림하며, 실시간 위치정보를 관제서버 및 승차중인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관제서버는, 수신된 사용자의 승하차정보 및 버스의 실시간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및 버스의 이동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약자 버스 승하차지원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서버는,
    버스정류장에서 승하차를 위해 버스가 정차하는 기준시간(a), 예약확정된 버스의 실시간 위치로부터 예약된 출발지 버스정류장까지의 거리에 따른 이동시간(b) 및 상기 예약확정된 버스의 버스정류장별 예약 사용자 인원에 따른 가중치(w)를 이용하여 도착예정시간(a*w + b)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교통약자 버스 승하차지원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선택된 출발지 및 도착지가,
    하나의 노선에 포함되면 상기 선택된 출발지, 도착지 및 해당 노선을 예약정보로 생성하고, 하나의 노선에 미포함되면 환승지를 연결하여 적어도 2개의 노선을 제공하되 각 노선을 예약정보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약자 버스 승하차지원시스템.
KR1020190101830A 2019-08-20 2019-08-20 교통약자 버스 승하차 지원시스템 KR1022855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1830A KR102285501B1 (ko) 2019-08-20 2019-08-20 교통약자 버스 승하차 지원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1830A KR102285501B1 (ko) 2019-08-20 2019-08-20 교통약자 버스 승하차 지원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2385A KR20210022385A (ko) 2021-03-03
KR102285501B1 true KR102285501B1 (ko) 2021-08-03

Family

ID=75151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1830A KR102285501B1 (ko) 2019-08-20 2019-08-20 교통약자 버스 승하차 지원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55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4080A (ko) 2022-01-24 2023-08-01 주식회사 고그린테크 교통 약자 안내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27550A (ja) * 2010-04-15 2011-11-10 Clarion Co Ltd 停留所装置、車載装置、運行管理装置、及び運行管理システム
KR101659228B1 (ko) * 2015-06-24 2016-09-30 변규찬 스쿨버스와 셔틀버스의 위치제공 및 nfc를 이용한 푸시알람 서비스 관리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4437A (ko) * 2010-10-28 2012-05-08 김재민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버스 예약 방법
JP5773916B2 (ja) 2012-03-14 2015-09-02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102207975B1 (ko) * 2014-06-25 2021-01-25 한상우 노선 버스 예약 시스템 및 예약 좌석변경 알림서비스 제공방법
KR101861090B1 (ko) * 2016-08-31 2018-05-28 박미선 시각장애인 버스승차안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27550A (ja) * 2010-04-15 2011-11-10 Clarion Co Ltd 停留所装置、車載装置、運行管理装置、及び運行管理システム
KR101659228B1 (ko) * 2015-06-24 2016-09-30 변규찬 스쿨버스와 셔틀버스의 위치제공 및 nfc를 이용한 푸시알람 서비스 관리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4080A (ko) 2022-01-24 2023-08-01 주식회사 고그린테크 교통 약자 안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2385A (ko) 2021-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2000B1 (ko) 교통약자 맞춤형 대중교통 서비스 시스템
EP2782859B1 (en) Elevator reservations using destination arrival time
JP2007257463A (ja) 指向性音声案内システム及び指向性音声案内方法
KR20140138510A (ko) 버스 정보 시스템
KR102143596B1 (ko) 사용자 보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그리고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285501B1 (ko) 교통약자 버스 승하차 지원시스템
CN104157162A (zh) 盲人公交语音导引系统
JP2017174203A (ja) 運行管理システム
KR102237981B1 (ko) 교통 약자와 상호작용을 하는 안내 로봇 및 이를 이용한 교통 약자 안내 방법
KR20030096115A (ko) 대중교통을 위한 안내방법 및 시스템
JP2005160064A (ja) 歩行支援システムとこのシステムで使用する携帯端末機及びアダプタ装置
JP2012142776A (ja) 携帯端末及び誤乗車判定システム
KR102001112B1 (ko) 전자 태그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장치 이동에 필요한 통신 정보 제공 시스템
KR101027420B1 (ko) 열차 운행안내 시스템
KR100762316B1 (ko) 버스 승차 정보 시스템 및 방법
JP2000000262A (ja) 視覚障害者用誘導案内システム
KR102157262B1 (ko)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
KR102304156B1 (ko) 관제 서버, 이동 보조 수단, 및 지능형 안내 블록을 이용한 안내 시스템 및 안내 방법
KR20200076853A (ko) 지하철 도착지 정보 어플리케이션
KR20090002126A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교통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US20230251824A1 (en) Voice guidance method
KR20210051813A (ko) 약자 승객 알림 시스템
KR101653640B1 (ko) 블루투스를 활용한 안심택시 서비스
MATSUBARA et al. Guidance system for handicapped people
KR20170142843A (ko) 이동수단을 이용하는 콘텐츠제공시스템 및 콘텐츠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