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1112B1 - 전자 태그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장치 이동에 필요한 통신 정보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자 태그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장치 이동에 필요한 통신 정보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1112B1
KR102001112B1 KR1020190016074A KR20190016074A KR102001112B1 KR 102001112 B1 KR102001112 B1 KR 102001112B1 KR 1020190016074 A KR1020190016074 A KR 1020190016074A KR 20190016074 A KR20190016074 A KR 20190016074A KR 102001112 B1 KR102001112 B1 KR 1020011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call
distanc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6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해종
박상원
김도휘
Original Assignee
(주)신일승강기
김해종
박상원
김도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일승강기, 김해종, 박상원, 김도휘 filed Critical (주)신일승강기
Priority to KR1020190016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11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1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1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8Call register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 B66B2201/4607Call registering systems
    • B66B2201/4653Call registering systems wherein the call is registered using portabl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태그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장치 이동에 필요한 통신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1 근거리 통신 모듈을 갖는 이동 장치와 제2 근거리 통신 모듈을 갖는 엘리베이터 장치들 간에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이동장치에서 엘리베이터 장치를 호출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장치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장치가 자동으로 호출 선택되어,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들 통해 상기 이동장치 및 엘리베이터 장치와의 근거리 통신 페어링을 수행하고,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엘리베이터 장치에 호출 신호를 전송하여, 엘리베이터 호출을 수행하며, 상기 엘리베이터 장치로부터 호출 확인 신호를 수신하여 호출 확인을 표시하는 전자 태그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장치 이동에 필요한 통신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 태그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장치 이동에 필요한 통신 정보 제공 시스템{A communi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for moving an elevator apparatus using an electronic tag}
본 발명은 전자 태그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장치 이동에 필요한 통신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1 근거리 통신 모듈을 갖는 이동 장치와 제2 근거리 통신 모듈을 갖는 엘리베이터 장치들 간에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이동장치에서 엘리베이터 장치를 호출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장치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장치가 자동으로 호출 선택되어,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들 통해 상기 이동장치 및 엘리베이터 장치와의 근거리 통신 페어링을 수행하고,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엘리베이터 장치에 호출 신호를 전송하여, 엘리베이터 호출을 수행하며, 상기 엘리베이터 장치로부터 호출 확인 신호를 수신하여 호출 확인을 표시하는 전자 태그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장치 이동에 필요한 통신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는 무선 주파수(RF, Radio Frequency)를 이용하여 물건이나 사람 등과 같은 대상을 식별(identification)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술을 말한다.
더 상세히, RFID는 안테나와 칩으로 구성된 RFID 태그에 정보를 저장하여 적용 대상에 부착한 후, RFID 리더를 통하여 RFID 태그의 정보를 인식하는 방법으로 활용된다.
이러한, RFID는 인건비 절감과 관리비용 절감 등을 위해, 세부 정보 확인 및 환경 데이터의 관리 수단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RFID 기술을 출입 통제 시스템에 통합함으로써 우리는 끊김없이 작동하는 핸즈프리 출입구를 만들어야 하는 건설 비용이 추가로 드는 문제가 있었다.
종래의 교통 요금 게이트를 통해서는 자동으로 열고 요금 카드의 접촉없이 들어오는 승객의 이동 방향을 감지 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간단하고 비용 효율적이며 들어오는 사용자를 자동으로 감지하고 버튼을 누를 필요없이 작동 할 수있는 추가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접근성 향상을 위해 기존 엘리베이터를 성공적으로 변경할 필요가 생겼다.
또한 본 발명은 대중 교통 및 건물과 같은 여러 분야를 대상으로 핸즈프리 기능을 추가할 목적으로 새로운 엘리베이터를 건설 할 여유가 없을 경우 시간과 비용면에서 엄청난 금액을 절약 할 필요가 생겼다.
한국공개특허 제2017-0075353호 한국공개특허 제2007-0065346호 한국공개특허 제2011-007202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스마트폰 블루투스로 지하철 요금 게이트 및 공공시설 자동문 개폐, 엘리베이터 호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호출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고, 접근 정보를 일정 거리 내에서 읽는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에 접속하여 상기 접근 정보를 모니터링 하는 서버 단말기;를 포함하는 전자 태그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장치 이동에 필요한 통신 정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제1 근거리 통신 모듈을 갖는 이동 장치와 제2 근거리 통신 모듈을 갖는 엘리베이터 장치들 간에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이동장치에서 엘리베이터 장치를 호출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장치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장치가 자동으로 호출 선택되어,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들 통해 상기 이동장치 및 엘리베이터 장치와의 근거리 통신 페어링을 수행하고,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엘리베이터 장치에 호출 신호를 전송하여, 엘리베이터 호출을 수행하며, 상기 엘리베이터 장치로부터 호출 확인 신호를 수신하여 호출 확인을 표시한다.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또는 RFID 중 하나이다.
상기 이동장치에는 이동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버 단말기를 통해 근거리 통신 모듈의 작동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고장 여부를 미리 확인하여 조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버 단말기는 엘리베이터 및 리프트 등 이동수단인 승강설비 수리 및 점검 정보를 포함하는 기계 이력 공유로 우회경로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장치에는 전화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휴대 전화기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엘리베이터 장치는 핸즈프리 출입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버 단말기는 엘리베이터 및 리프트 등 이동수단인 승강설비 수리 및 점검 정보를 포함하는 기계 이력 공유로 우회경로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버 단말기는 역사별 승하차 방법, 엘리베이터 및 리프트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이동에 필요한 기타 유용한 정보를 상기 이동 장치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버 단말기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보조안내자 배치를 위해 상기 보조안내자에게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버 단말기는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장애인 SOS 기능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근거리 통신 모듈의 RFID장치로 장애인이 엘리베이터 탑승했는지 확인 체크 후 엘리베이터 도어 닫힘 명령을 제2 근거리 통신 모듈에 출력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버 단말기는 엘리베이터 일반 탑승객에게 안내방송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장애로 인하여 지하철 요금 게이트나 공공기설 자동문 개폐, 엘리베이터 호출 등에 어려움이 있는 장애인 등에게 편리성과 안전을 확보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대중교통인 지하철 요금 게이트 및 공공시설 자동문 개폐, 엘리베이터 자동호출 등을 장애인의 접근시 자동으로 지하철 요금 게이트, 공공시설 자동문 개방과 엘리베이터 자동 호출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 블루투스로 지하철 요금 게이트 및 공공시설 자동문 개폐, 엘리베이터 호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대중교통 네비게이션 연동 애플리케이션(또타지하철 어플)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및 리프트 등 이동수단인 승강설비 수리 및 점검 등 기계 이력 공유로 우회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역사별 승하차 방법, 엘리베이터 및 리프트 위치정보 등 이동에 필요한 기타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장애인 SOS 기능, RFID(무선주파수 식별)장치로 장애인이 엘리베이터 탑승했는지 확인 체크 후 엘리베이터 도어 닫힘 명령 출력 기능, 엘리베이터 일반 탑승객에게 안내 방송하는 기능을 갖는다.
도 1a 내지 도 1c는 종래 발명에 따라 전자 태그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장치 이동에 필요한 통신 정보 제공 시스템과 관련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태그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장치 이동에 필요한 통신 정보 제공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전자 태그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장치 이동에 필요한 통신 정보 제공 시스템의 작동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교통약자(또는 장애인)의 안전과 편의 증진을 위한 사항으로 App의 사용자는 복지카드(장애인카드) 등록번호를 보유하고 있는 자로 제한하고, 손 사용이 어려운 약자를 위한 음성인식 기능, 임의 사용을 방지하기 위해 거리에 제한이 있는 블루투스 기능을 포함한다.
이때, 복지카드 등록번호는 근거리 통신 모듈들 통해 네트워크로 연결된 엘리베이터 장치(20)에 전달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호출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고, 제1 근거리 통신 모듈과 제2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접근 정보를 일정 거리 내에서 읽는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에 접속하여 상기 접근 정보를 모니터링 하는 서버 단말기;를 포함하고, 제1 근거리 통신 모듈(11)을 갖는 이동 장치(10)와 제2 근거리 통신 모듈(21)을 갖는 엘리베이터 장치들 간에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이동장치에서 엘리베이터 장치를 호출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근거리 무선통신기술(RFID, 블루투스, WiFi, NFC, 비콘)에서 블루투스는 ISM 대역에 포함되는 2.4~2.485GHz의 단파 UHF 전파를 이용하여 전자 장비 간의 짧은 거리의 데이터 통신 방식을 규정하는 통신 방식이다.
RFID는 무선 주파수(RF, Radio Frequency)를 이용하여 물건이나 사람 등과 같은 대상을 식별(IDentification)할 수 있도록 해 주는 기술을 말한다. RFID는 안테나와 칩으로 구성된 RFID 태그에 정보를 저장하여 적용 대상에 부착한 후, RFID 리더를 통하여 정보를 인식하는 방법으로 활용된다.
NFC(Near Field Communication)는 약 10cm 이내의 근거리에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는 비접촉식 무선통신 기술로서, 13.56MHz의 대역과 초당 424킬로 비트의 데이터 통신속도를 가진다. 이 외에도 스마트폰 내부의 무선 기술(예 : 블루투스)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교통약자가 엘리베이터 탑승을 위해 진입 시 일정거리에서 인식된 이동 장치(10)와 엘리베이터 장치(20)가 휴대폰 앱(App)에 따라 상기 근거리 통신 방식 중의 하나로 페어링되어 터치 또는 음성인식으로 엘리베이터 장치(20)의 콜 등록 및 안내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장치(10) 등을 포함한 전동 휠체어 등의 기기 오작동 방지를 위해 홀 측 콜버튼과 App 작동시 App 신호를 엘리베이터 장치(20)가 우선적으로 받아들이도록 설정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대중교통 네비게이션 연동 애플리케이션(또타지하철 어플)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교통약자의 안전과 편의증진을 위한 사항으로 인식장치는 복지카드를 보유하고 있는 자에게만 제공하고 휠체어에 부착, 전동 휠체어(또는 전동스쿠터) 엘리베이터 진입 시 일정거리 내에서 전동휠체어에 부착된 장치와 엘리베이터 장치(20)에 설치된 장치(예 : 근거리 통신 모듈)가 서로 인식함으로서 엘리베이터 콜 등록 인식된 층에 전동휠체어가 도착하도록 설정하여, 홀 측 콜 버튼과 인식장치 동시 작동 시 인식장치가 우선되도록 한다. 또한 엘리베이터 및 리프트 등 이동수단인 승강설비 수리 및 점검 등 기계 이력 공유로 우회경로를 안내할 수도 있고, 장애인이 엘리베이터 탑승했는지 확인 체크 후 엘리베이터 도어 닫힘 명령 출력 기능, 엘리베이터 일반 탑승객에게 안내 방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장치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장치가 자동으로 호출 선택되어,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 21)들 통해 상기 이동장치 및 엘리베이터 장치와의 근거리 통신 페어링을 수행하고,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 21)을 통해 상기 엘리베이터 장치에 호출 신호를 전송하여, 엘리베이터 호출을 수행하며, 상기 엘리베이터 장치로부터 호출 확인 신호를 수신하여 호출 확인을 표시한다.
상기 서버 단말기(30)는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 21)을 통해 장애인 SOS 기능을 더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버 단말기(30)에 SOS를 발생시켜 현장 관리자에게 도움을 청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서버 단말기(30)는 엘리베이터 일반 탑승객에게 안내방송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상기 서버 단말기(30)는 역사별 승하차 방법, 엘리베이터 및 리프트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이동에 필요한 기타 유용한 정보를 상기 이동 장치(10)에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근거리 통신 모듈(11)의 RFID장치로 장애인이 엘리베이터 탑승했는지 확인 체크 후 엘리베이터 도어 닫힘 명령을 제2 근거리 통신 모듈에 출력하는 기능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호출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고, 접근 정보를 일정 거리 내에서 읽는 근거리 통신 모듈(R), 상기 데이터 관리용 컴퓨터 및 데이터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접근 정보를 모니터링 하는 서버 단말기(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서버 단말기(30)는 상기 이동 장치(10)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장치가 자동으로 호출 선택되어,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 21)들 통해 상기 이동장치(10) 및 엘리베이터 장치(20)와의 근거리 통신 페어링을 수행하고,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엘리베이터 장치(20)에 호출 신호를 전송하여, 엘리베이터 장치(20)의 호출을 수행하며, 상기 엘리베이터 장치(20)로부터 호출 확인 신호를 수신하여 호출 확인을 표시하는 정보를 모두 저장하여 현재 작동 상태를 저장할 수 있고, 나중에 필요한 내용을 추출하여 통계화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이동 장치 또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설치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여, 상기 카메라의 시야 영상에서 이동 장치(10)가 1 지점에서 2 지점으로 이동했을 때, 아핀 공간의 아핀 변환 방정식을 이용하여, 이동 장치(10)의 위치를 추적하여 엘리베이터 장치의 열림 시기를 조절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태그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장치 이동에 필요한 통신 정보 제공 시스템은 장애로 인하여 지하철 요금 게이트나 공공기설 자동문 개폐, 엘리베이터 호출 등에 어려움이 있는 장애인 등에게 편리성과 안전을 확보할 수 있고, 대중교통인 지하철 요금 게이트 및 공공시설 자동문 개폐, 엘리베이터 자동호출 등을 장애인의 접근시 자동으로 지하철 요금 게이트, 공공시설 자동문 개방과 엘리베이터 자동 호출 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역사별 승하차 방법, 엘리베이터 및 리프트 위치정보 등 이동에 필요한 기타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장애인 SOS 기능, RFID(무선주파수 식별)장치로 장애인이 엘리베이터를 탑승했는지 확인 체크 후 엘리베이터 도어 닫힘 명령 출력 기능, 엘리베이터 일반 탑승객에게 안내 방송하는 기능을 제공하여 장애인의 자유 이동권을 보장할 수 있어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매우 높은 발명인 것이다.
10 : 이동 장치
20 : 엘리베이터 장치
30 : 서버 단말기

Claims (5)

  1. 호출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고, 제1 근거리 통신 모듈과 제2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접근 정보를 일정 거리 내에서 읽는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에 접속하여 상기 접근 정보를 모니터링 하는 서버 단말기;
    이동 장치 또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설치되는 카메라;를 포함하고,
    제1 근거리 통신 모듈을 갖는 이동 장치와 제2 근거리 통신 모듈을 갖는 엘리베이터 장치들 간에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이동장치에서 엘리베이터 장치를 호출하는 방법으로,
    상기 이동장치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장치가 자동으로 호출 선택되어,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들 통해 상기 이동장치 및 엘리베이터 장치와의 근거리 통신 페어링을 수행하고,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엘리베이터 장치에 호출 신호를 전송하여, 엘리베이터 호출을 수행하며, 상기 엘리베이터 장치로부터 호출 확인 신호를 수신하여 호출 확인을 표시하고,
    상기 카메라의 시야 영상에서 이동 장치가 1 지점에서 2 지점으로 이동했을 때, 아핀 공간의 아핀 변환 방정식을 이용하여, 이동 장치의 위치를 추적하여 엘리베이터 장치의 열림 시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태그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장치 이동에 필요한 통신 정보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또는 RFID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태그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장치 이동에 필요한 통신 정보 제공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장치에는 이동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태그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장치 이동에 필요한 통신 정보 제공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단말기를 통해 근거리 통신 모듈의 작동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고장 여부를 미리 확인하여 조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태그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장치 이동에 필요한 통신 정보 제공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단말기는 엘리베이터 및 리프트 등 이동수단인 승강설비 수리 및 점검 정보를 포함하는 기계 이력 공유로 우회경로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태그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장치 이동에 필요한 통신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0190016074A 2019-02-12 2019-02-12 전자 태그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장치 이동에 필요한 통신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001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074A KR102001112B1 (ko) 2019-02-12 2019-02-12 전자 태그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장치 이동에 필요한 통신 정보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074A KR102001112B1 (ko) 2019-02-12 2019-02-12 전자 태그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장치 이동에 필요한 통신 정보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1112B1 true KR102001112B1 (ko) 2019-07-17

Family

ID=67512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6074A KR102001112B1 (ko) 2019-02-12 2019-02-12 전자 태그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장치 이동에 필요한 통신 정보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11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6928B1 (ko) 2020-08-10 2021-05-27 (주)구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정보통신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안전관리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5346A (ko) 2005-05-09 2007-06-22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신체 장애자 겸용 엘리베이터 장치 및 그 운전 방법
KR100818511B1 (ko) * 2006-10-11 2008-03-31 삼성전기주식회사 휴대 장치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호출 방법
KR20110072027A (ko) 2009-12-22 2011-06-29 엄태준 알에프아이디 스마트키를 이용한 주거단지 통합 관제 시스템
KR20120115041A (ko) * 2011-04-08 2012-10-17 김봉택 엘리베이터 원격 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75353A (ko) 2015-12-23 2017-07-03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비콘을 이용한 대중교통 승하차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5346A (ko) 2005-05-09 2007-06-22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신체 장애자 겸용 엘리베이터 장치 및 그 운전 방법
KR100818511B1 (ko) * 2006-10-11 2008-03-31 삼성전기주식회사 휴대 장치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호출 방법
KR20110072027A (ko) 2009-12-22 2011-06-29 엄태준 알에프아이디 스마트키를 이용한 주거단지 통합 관제 시스템
KR20120115041A (ko) * 2011-04-08 2012-10-17 김봉택 엘리베이터 원격 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75353A (ko) 2015-12-23 2017-07-03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비콘을 이용한 대중교통 승하차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6928B1 (ko) 2020-08-10 2021-05-27 (주)구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정보통신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안전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534217T3 (es) Guía de usuario con dispositivos electrónicos móviles
KR101172000B1 (ko) 교통약자 맞춤형 대중교통 서비스 시스템
AU2013307612A1 (en) Guiding users in an area
JP2002298177A (ja) ゲートシステム
JP2009110294A (ja) 病室訪問者管理システム
KR102001112B1 (ko) 전자 태그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장치 이동에 필요한 통신 정보 제공 시스템
KR20180095958A (ko) 도어 프리 기능을 갖는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
KR102440546B1 (ko) 블루투스를 활용한 버스 승차요금 결제방법
KR20200139031A (ko) 다중 사물인터넷 장치를 이용한 지하철 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102282909B1 (ko) 버스 하차벨 원격 시스템
KR101791639B1 (ko) 비콘과 휴대 단말을 이용한 비상호출 시스템
JP5471884B2 (ja) 駅業務支援システム
WO2019168026A1 (ja) 支援システム及び支援方法
KR20050076197A (ko) 엘리베이터용 목적층 예약장치 및 그 방법
KR20160112805A (ko) 대중교통 서비스 시스템 및 대중교통 안심 이용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285501B1 (ko) 교통약자 버스 승하차 지원시스템
KR101718064B1 (ko) 대중교통 수단의 탑승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26051A (ko) Nfc를 이용한 위치정보 활용 시스템 및 nfc를 이용한 위치정보 활용 방법
KR20180095957A (ko)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
JP2018195094A (ja) 搭乗通知システム、管理装置、端末装置、および搭乗通知方法
KR102118868B1 (ko) 출퇴근 기록 장치
KR20100134297A (ko) 물품 파인딩 서비스 방법
JP2008222086A (ja) 駅名通知システム,ユーザ携帯端末,駅名通知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590821B1 (ko) 대중교통 운송수단(버스, 지하철, 택시 등)을 이용하는 승객의 안전을 위하여 각 운송수단에 부착된 Wi-Fi TAG형태의 무선장치에서 송출되는 Wi-Fi 신호를 이용한 승객 위치측위기반의 안전망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EP4002305A1 (en) Door-opening sensor-button with rf interf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