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0821B1 - 대중교통 운송수단(버스, 지하철, 택시 등)을 이용하는 승객의 안전을 위하여 각 운송수단에 부착된 Wi-Fi TAG형태의 무선장치에서 송출되는 Wi-Fi 신호를 이용한 승객 위치측위기반의 안전망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대중교통 운송수단(버스, 지하철, 택시 등)을 이용하는 승객의 안전을 위하여 각 운송수단에 부착된 Wi-Fi TAG형태의 무선장치에서 송출되는 Wi-Fi 신호를 이용한 승객 위치측위기반의 안전망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0821B1
KR101590821B1 KR1020140006623A KR20140006623A KR101590821B1 KR 101590821 B1 KR101590821 B1 KR 101590821B1 KR 1020140006623 A KR1020140006623 A KR 1020140006623A KR 20140006623 A KR20140006623 A KR 20140006623A KR 101590821 B1 KR101590821 B1 KR 1015908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arriage
user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6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6673A (ko
Inventor
정경문
조진규
Original Assignee
(주)컨버전스스퀘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컨버전스스퀘어 filed Critical (주)컨버전스스퀘어
Priority to KR1020140006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0821B1/ko
Publication of KR20150086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66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0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08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Abstract

대중교통운송수단 승객 안전을 위한 Wi-Fi 무선신호를 이용한 TAG 형태의TAG 측위기반 안전망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측위기반 안전망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1 식별 정보 및 제2 식별 정보 중 하나 이상인 위치 식별 정보가 수신되면 미리 저장된 대중교통 운송수단의 각 열차 혹은 객차에 개별적으로 설치된 AP와 TAG들의 식별 정보 리스트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열차 정보 및 객차 정보 중 하나 이상을 각각 특정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신고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특정된 열차 정보 및 상기 객차 정보 중 하나 이상과, 상기 특정된 열차 정보 혹은 객차 정보에 상응하는 대중교통 운송수단이 직후에 도착될 역 혹은 정류소에 대한 도착지 정보와, 상기 신고 정보를 포함하는 대응 요청 정보를 생성하는 관제 서버; 및 상기 관제 서버에 의해 생성된 상기 대응 요청 정보를 상기 도착지 정보에 상응하도록 미리 지정된 보안요원 단말로 전송하는 신고 발송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대중교통 운송수단(버스, 지하철, 택시 등)을 이용하는 승객의 안전을 위하여 각 운송수단에 부착된 Wi-Fi TAG형태의 무선장치에서 송출되는 Wi-Fi 신호를 이용한 승객 위치측위기반의 안전망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Location-based public safety system using wifi tag for passenger for public transporta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대중교통 운송수단을 이용하는 승객의 안전을 위한 Wi-Fi TAG형태의 무선신호 송출장치를 이용한 측위기반 안전망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버스 전용 차로나 대중교통 연계 환승 제도의 확대 등으로 인해 대중 교통수단의 이용이 보다 편리해지고 있으며, 유가 상승 등의 원인으로 인해 대중 교통수단의 이용객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대중 교통수단의 이용자가 보다 많아지면서 성추행, 소매치기 등 대중 교통수단 내에서의 흉악 범죄 발생 가능성이 증가하고 있고, 또한 취객이나 노숙자의 행패 등 타 승객의 쾌적한 여행을 방해하는 불쾌한 행위의 발생 빈도도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이 흉악 범죄가 발생하였거나 공공장소에서 불쾌한 행위가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타 승객들의 안전을 확보하고 보다 쾌적한 여행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보안 요원이 보다 신속하게 현장에 접근하고 신속한 조치를 취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흉악 범죄 등이 발생되고 있는 위치를 신속히 특정하여야 하며, 보안 요원의 신속한 출동을 위해 범죄 발생 장소로 특정된 위치 정보가 보안 요원 측으로 신속하게 전달되어야 한다.
스마트폰 등 무선통신장치를 구비한 사용자의 위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한 방법으로 한국공개특허 제2007-0047871호(정밀위치확인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은 3축 가속도센서를 이용하여 센싱한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고 측정된 위치 정보를 건물의 도면정보와 매칭시켜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한국공개특허 제2007-0047871호를 포함하여 종래의 위치 파악 기술들은 사용자의 위치가 고정 또는 서행 상태에서 이동되는 경우의 위치 파악 기술이거나, GPS 수신기가 구비된 차량 자체의 위치를 파악하는 기술들로 제한되어 있었다.
즉, 종래의 위치 파악 기술들에 의하면, 복수의 객차들이 연결되어 운행하는 지하철이나 기차 등의 경우에는 사용자의 위치가 고속으로 실시간 이동되기 때문에 지하철 등의 운행 위치로만 대략적으로 사용자의 위치가 파악될 뿐 사용자가 현재 지하철 내의 어떤 객차에 위치하고 있는지는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지하철 등의 특정 객차에서 흉악 범죄 등이 발생된 경우 사용자가 음성으로 객차 번호를 불러주지 않거나 문자 메시지 등으로 객차 번호를 특정해주지 않는 경우에는 흉악 범죄의 발생 장소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없고, 이로 인해 범죄에 즉각 대응 및 검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도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7-0047871호(정밀위치확인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본 발명은 단일 객차형태의 운송수단은 물론 복수의 독립된 객차들이 연결된 형태로 운행되는 대중교통수단 내에서 범법 행위의 신고나 불쾌한 환경 상태에 대한 조정 요청이 있는 경우, 신고나 요청을 실시한 사용자가 탑승한 객차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해당 객차위치를 대상으로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대중교통운송수단을 이용하는 승객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각 객차에 설치된 기존의 WI-Fi AP(Access Point)가 아닌 소형의 Wi-Fi TAG형태의 무선신호 송출장치를 이용한 측위기반 안전망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단일 객차형태의 운송수단은 물론 복수의 독립된 객차들이 연결된 형태로 운행하는 대중교통수단 내에서 범법 행위의 신고가 있는 경우, 신고가 접수된 객차의 다음 행선지에 관련 보안요원을 즉각 출동시킴과 동시에, 객차의 출입문 개폐 조작이 제한되도록 설정함으로써 다음 행선지 도착 시 즉각적으로 범법자의 검거를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Wi-Fi TAG형태의 무선신호 송출장치를 이용한 측위기반 안전망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이용자의 모바일 단말기의 Wi-Fi 수신기로 수신된 객차 내에 기 설치된 Wi-Fi 통신 방식으로 접속되는 AP(Access Point) 또는 TAG 형태의 무선신호 송출장치정보를 이용하여 위치한 객차를 신속하게 특정할 수 있도록 하는 실내 Wi-Fi 측위기반의 안전망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측위기반 안전망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1 식별 정보 및 제2 식별 정보 중 하나 이상인 위치 식별 정보가 수신되면 미리 저장된 각 열차 혹은 해당 열차의 각 객차에 개별적으로 설치된 Access Point와 TAG들의 식별 정보 리스트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열차 정보 또는 객차 정보를 각각 특정하고, 상기 이용자가 소유한 스마트폰 단말기로부터 신고 정보가 접수되면, 상기 특정된 열차 또는 객차가 직후에 도착될 다음 행선지에 위치한 관련 보안요원들에게 상기 열차 정보 또는 상기 객차 정보 및 상기 신고 정보를 포함하는 대응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관제 서버; 및 상기 열차가 정차하는 역마다 배치된 관련 보안요원이 소유한 스마트폰 단말기로 상기 대응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신고 발송 서버(Push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식별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위치한 객차 내에 설치된 Wi-Fi Access Point의 식별 정보이고, 상기 제2 식별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위치한 열차 또는 객차 내에 설치된 TAG형태의 Wi-Fi 무선송출장치의 식별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기반 안전망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Wi-Fi Access Point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Wi-Fi 통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외부 통신망에 접속되도록 하는 인터넷 통신 중계 장치이고, 상기 TAG형태의 장비는 Wi-Fi 무선신호 방식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제2 식별 정보를 단순 전송하는 송출 장치일 수 있다.
상기 TAG형태의 장치는 충전식 전원 장치와, 상기 객차 내의 임의의 위치에 장착되거나 위치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비고정식 장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TAG형태의 장치는 상기 객차의 중앙 위치에 장착되거나, 상기 객차의 중앙 위치를 기준하여 상기 객차에 설치된 Access Point의 설치 위치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임의의 위치에 장착되거나, 혹은 인접한 열차 또는 객차 내의 Access Point에 미러링되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열차 또는 객차에는 출입문 개방을 제한하기 위한 잠금 제어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잠금 제어부는 상기 관제 서버 또는 상기 신고 발송 서버로부터 잠금 유지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관제 서버 또는 상기 신고 발송 서버로부터 잠금 해제 신호가 수신될 때까지 상기 출입문의 폐쇄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통신 연결된 상기 Wi-Fi Access Point와 상기 TAG형태의 Wi-Fi 무선송출 장치의 수신신호 세기(RSSI)를 측정하여, 상대적으로 큰 수신신호 세기를 나타내는 상기 Wi-Fi Access Point와 상기 TAG 중 어느 하나의 식별 정보를 상기 관제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측위기반 안전망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관제 서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1 식별 정보 및 제2 식별 정보 중 하나 이상인 위치 식별 정보가 수신하는 단계; 상기 관제 서버가 미리 저장된 각 열차 또는 객차에 개별적으로 설치된 Wi-Fi Access Point와 TAG 들의 식별 정보 리스트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위치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열차 정보 및 객차 정보를 각각 특정하는 단계; 상기 관제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신고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특정된 열차 또는 객차가 직후에 도착될 역에 배치된 역내 관련 보안요원 스마트폰 단말에게 상기 열차 정보, 상기 객차 정보 및 상기 신고 정보를 포함하는 대응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식별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위치한 객차 내에 설치된 Wi-Fi Access Point의 식별 정보이고, 상기 제2 식별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위치한 객차 내에 설치된 Wi-Fi TAG의 식별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기반 안전망 시스템의 동작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열차 또는 객차의 출입문 개방을 제어하는 잠금 제어부로 잠금 유지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잠금 제어부는 상기 관제 서버로부터 잠금 해제 신호가 수신될 때까지 상기 출입문의 폐쇄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수신된 상기 Wi-Fi Access Point와 상기 Wi-Fi TAG의 무선신호세기(RSSI)를 측정하여, 상대적으로 큰 수신신호 세기를 나타내는 상기 Wi-Fi Access Point와 상기 Wi-Fi TAG 중 어느 하나의 식별 정보를 상기 관제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Wi-Fi Access Point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Wi-Fi 통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외부 통신망에 접속되도록 하는 통신 중계 장치이고, 상기 Wi-Fi TAG는 Wi-Fi 무선 통신 방식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제2 식별 정보를 전송하는 송출 장치일 수 있고, 상기 Wi-Fi TAG는 충전식 전원 장치와, 상기 열차 또는 객차 내의 임의의 위치에 장착되거나 위치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비고정식 장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일 객차형태의 운송수단은 물론 복수의 독립된 객차들이 연결된 형태로 운행되는 대중교통수단 내에서 범법 행위의 신고나 불쾌한 환경 상태에 대한 조정 요청이 있는 경우, 신고나 요청을 실시한 사용자가 탑승한 열차 또는 객차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해당 열차 또는 객차를 대상으로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의 독립된 객차들이 연결된 형태로 운행하는 대중교통수단 내에서 범법 행위의 신고가 있는 경우, 신고가 접수된 위치에 상응하는 객차의 출입문 개폐 조작이 제한되도록 설정함으로써 범법자의 검거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열차 또는 객차 내에 설치되어 사용자 단말에 Wi-Fi 통신 방식으로 접속되는 Wi-Fi Access Point 및 Wi-Fi TAG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이 위치한 객차를 신속하게 특정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위기반 안전망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형 Wi-Fi Access Point와 TAG의 설치 형태를 예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위기반 안전망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대응 요청 과정을 나타낸 화면 표시의 예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요원 단말을 이용한 대응 처리 과정을 나타낸 화면 표시의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위기반 안전망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위기반 안전망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Wi-Fi 통신 방식의 AP 및 TAG의 설치 형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측위기반 안전망 시스템은 AP(Wi-Fi Access Point, 억세스 포인트)(110), TAG(태그)(120), 관제 서버(140) 및 각 역에 개별적으로 구비되는 신고 발송 서버(150)를 포함할 수 있다.
AP(110)와 TAG(120) 각각은 사용자 단말(130)이 현재 위치한 객차가 식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Wi-Fi 통신 방식으로 접속된 사용자 단말(130)에 자신의 식별 정보를 전송한다.
AP(110)와 TAG(120)는 복수의 객차들로 구성되는 지하철 등의 대중 교통수단에서 각 객차 별로 개별 설치될 수 있으며,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해당 객차 내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130)과 통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Wi-Fi 통신 방식을 주된 예로 설명하나,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근거리 통신 방식이 예를 들어 지그비, 블루투스 등으로 다양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AP(110)는 Wi-Fi 통신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130)과 접속되고, 사용자 단말(130)의 요청에 의해 사용자 단말(130)이 통신망을 통해 외부의 서버 장치에 접속되도록 하거나, 외부의 서버 장치로부터 사용자 단말(130)이 임의의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하는 데이터 중계 기능을 수행한다. AP(110)는 사용자 단말(130)과 Wi-Fi 통신 방식으로 접속되는 과정에서 AP(110)의 식별 정보(이하, 제1 식별 정보라 칭함)를 사용자 단말(130)로 제공할 수 있다.
TAG(120)는 Wi-Fi 통신 방식으로 접속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130)들에 해당 TAG(120)의 식별 정보를 송출한다. TAG(120)는 미리 지정된 신호 세기로 자신의 식별 정보(이하, 제2 식별 정보)를 송출하도록 구성되며, 사용자 단말(13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즉, 후술될 시민안전지킴이 어플리케이션)이 TAG(120)로부터 송출되는 제2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부(240, 도 2 참조)에 저장되도록 한다.
TAG(120)는 예를 들어 배터리나 충전지를 내장하는 독립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각 객차(100)에 구비된 전원 공급 라인을 통해 구동 전원을 공급받기 위해 설치 장소가 일반적으로 제한되는 AP(110)에 비해, 자체 전원을 구비하고 있는 TAG(120)는 상대적으로 그 설치 장소가 자유로운 장점이 있다. TAG(120)는 객차(100) 내의 임의의 위치에 고정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으나, 설치 위치의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하도록 착탈식 구조인 비고정형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AP(110)는 그 설치 위치가 제한될 수 있으나, TAG(120)는 객차(100)의 중심부(도 3의 (a) 참조) 또는 중심 위치로부터 AP(110)에서 멀어지는 방향의 임의의 위치(또는 인접한 객차(100) 내의 AP(110)에 미러링되도록 대응되는 위치, 즉 인접한 객차(100)와의 출입구의 연장선를 기준으로 인접한 객차(100) 내의 AP(110)와 선대칭이 되는 위치)에 설치(도 3의 (b)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AP(110)는 데이터 중계 기능의 수행을 위해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되지만, TAG(120)는 단방향 통신 즉 사용자 단말(130) 측으로만 제2 식별 정보를 송출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TAG(120)는 AP(110)에 비해 간단한 구성으로 만들어질 수 있어 저렴한 비용으로 객차(100) 내에 설치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각 통신사들이 개별적으로 설치한 AP(110)가 해당 서비스 가입 회원에 한해 제한적으로 접속이 허용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AP(110)에 정상적으로 접속할 수 없는 사용자 단말(130)인 경우에도 TAG(120)로부터 객차 위치 특정을 위한 제2 식별 정보의 수신이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다.
다만, TAG(120)로부터의 제2 식별 정보의 수신은 후술될 시민안전지킴이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130)에 대해서만 가능하도록 제한될 수도 있을 것이나, 설정에 따라서는 이러한 제한을 적용하지 않을 수도 있을 것이다.
사용자 단말(130)은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타블렛 피씨 등과 같이 AP(110) 또는 무선 통신망(예를 들어 3G, LTE 등)을 이용한 외부 장치들과의 통신 기능을 구비하고, 통신망을 통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설치 및 구동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30)은 객차(100) 내에서 Wi-Fi 통신 방식으로 접속된 AP(110) 또는/및 TAG(120)로부터 수신되는 제1 식별 정보 또는/및 제2 식별 정보를 관제 서버(140)로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130)이 현재 위치한 열차 및 객차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사용자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30)에 설치된 시민안전지킴이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객차(100) 내에서의 범법 행위에 대한 신고나 불쾌한 객차 환경에 대한 조정 등을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30)의 블록 구성이 예시된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30)은 통신부(210), 입력부(220), 촬영부(230), 저장부(240), RSSI 측정부(260), 식별 정보 처리부(270), 송수신 데이터 관리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RSSI 측정부(260), 식별 정보 처리부(270), 송수신 데이터 관리부(280)는 사용자 단말(130)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즉, 시민안전지킴이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통신부(210)는 AP(110) 또는/및 무선 통신망을 통해 외부의 서버 장치(예를 들어 관제 서버(140), 신고 발송 서버(150) 등)와 통신을 수행한다.
입력부(220)는 사용자 단말(130)의 조작 명령 입력, 범법행위 신고 등을 위한 입력 수단이다. 입력부(220)는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30)의 터치감응 스크린상에 표시되는 가상의 자판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입력부(220)를 이용하여 시민안전지킴이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개시를 명령할 수 있고, 구동된 시민안전지킴이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화면상에서 선택 가능한 임의의 항목(예를 들어 성추행 신고, 이동상인 신고 등, 도 5의 (a) 참조)을 선택하고, 선택된 항목에 상응하는 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30)에 설치된 시민안전지킴이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관제 서버(140)로 신고나 객차 환경 조정 요청 등을 위해 전송하는 정보를 신고 정보로 통칭하기로 한다. 구동된 시민안전지킴이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구동 과정은 이후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촬영부(230)는 사용자 단말(130)에 구비된 이미지 센서 등을 이용하여 외부 영상을 정지 이미지 데이터 또는/및 동영상 이미지 데이터로 생성한다.
저장부(240)에는 사용자 단말(130)의 운용 프로그램, 촬영부(230)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 데이터, 시민안전지킴이 어플리케이션 설치 파일, 시민안전지킴이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신고 정보, 민원처리 완료 정보 등 중 하나 이상이 저장될 수 있다.
RSSI 측정부(260)는 Wi-Fi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는 AP(110) 및/또는 TAG(12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수신 신호 세기(RSSI)를 측정한다.
식별 정보 처리부(270)는 Wi-Fi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는 AP(110) 및/또는 TAG(120)로부터 수신한 식별 정보를 관리한다. 식별 정보 처리부(270)는 사용자 단말(130)이 위치한 객차(100)를 특정하기 위해 예를 들어 수신된 모든 식별 정보를 통신부(210)를 통해 관제 서버(140)로 전송할 수도 있고, 수신된 신호들 중 가장 큰 수신신호 세기를 가지는 AP(110) 및 TAG(120)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식별 정보만을 통신부(210)를 통해 관제 서버(140)로 전송할 수 있다.
송수신 데이터 관리부(280)는 사용자 단말(130)에서 시민안전지킴이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어 관제 서버(140)로 전송한 또는 전송할 데이터(예를 들어, 제1 또는/및 제2 식별 정보, 입력부(220)를 이용하여 기록한 텍스트 정보, 증거로서 제공하기 위한 이미지 데이터 등)를 저장부(240)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고, 관제 서버(140)로부터 수신되는 신고 접수 내역 정보, 신고 발송 서버(150)로부터 수신되는 보안요원 출동 정보 및 신고 접수에 대한 처리 결과 정보를 저장부(240)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사용자 단말(130)이 복수의 AP(110) 및 TAG(12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각 신호의 수신신호 세기, 각 신호의 도달시간 등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객차(100) 내에서의 사용자 단말(130)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위치정보 산출부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관제 서버(140)는 사용자 단말(130)로부터 범법 행위나 잡상인 출현 등에 대한 신고 정보가 수신되면, 신고 정보에 포함된 제1 및/또는 제2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30)이 위치한 열차 및 열차 내의 객차(100)를 특정하고, 신고 발송 서버(150)로 대응 요청 정보를 전송한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제1 및/또는 제2 식별 정보는 신고 정보에 포함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관제 서버(140)로 전송될 수도 있다.
즉, 관제 서버(140)는 구비된 저장 수단에 미리 저장된 각 열차의 객차 내에 설치된 AP(110) 및 TAG(120)의 식별 정보 리스트와 각 열차별 실시간 위치 정보를 참조하여 신고 정보에 포함되거나 독립적으로 수신된 제1 및/또는 제2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AP(110) 및/또는 TAG(120)가 어떤 열차 및 어떤 객차(100)에 설치된 것인지를 인식할 수 있고, 또한 해당 열차가 현재 어느 위치에서 주행하고 있는지를 인식할 수 있다. 관제 서버(140)는 사용자 단말(130)의 위치에 대한 열차 및 객차 정보를 사용자 단말(130)로 제공할 수도 있다(도 4 및 도 5의 (b) 참조).
전술한 바와 같이 관제 서버(140)는 사용자 단말(130)로부터 수신된 제1 및/또는 제2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열차 및 객차 정보를 인식한 후, 신고 발송 서버(150)로 열차 정보 및/또는 객차 정보, 해당 열차가 직후에 도착할 역 혹은 정류장 정보 등을 포함하는 대응 요청 정보를 전송하여 신고 발송 서버(150)가 보안 요원 출동 등을 지시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30)로부터 수신된 신고 정보에 신고 항목 정보(예를 들어, 성추행, 이동상인 신고 등) 및 첨부 데이터(예를 들어, 텍스트 정보, 이미지 데이터 등)가 포함되어 있다면 관제 서버(140)는 이들을 대응 요청 정보에 포함하여 신고 발송 서버(150)로 전송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관제 서버(140)는 사용자 단말(130)로부터 수신된 신고 정보가 예를 들어 객차(100) 내부의 온도 조절에 관한 것이라면 해당 객차(100)의 온도를 원격에서 제어하거나, 해당 차량의 운전석에 설치된 통신 장치로 객차 정보와 온도 조절 요청을 전송하여 열차 운전사에 의해 해당 객차의 온도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신고 발송 서버(150)는 관제 서버(140)로부터 대응 요청 정보를 수신하여 열차가 직후에 도착될 다음 행선지에 위치하거나 해당 행선지를 담당 구역으로 하는 보안요원의 단말 장치(즉, 보안 요원 단말, 도시되지 않음)로 전송한다. 신고 발송 서버(150)는 관제 서버(140)와 같이 중앙에 배치되는 푸시 서버(push server)이거나 하나 이상의 역 또는 정류소에 배치되는 메시지 송수신 장치일 수 있다. 물론 신고 발송 서버(150)는 관제 서버(140)와 일체화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즉, 신고 발송 서버(150)는 관제 서버(140)로부터 대응 요청 정보가 수신되거나 대응 요청 정보의 전송이 요청되면, 해당 열차가 직후에 정차할 역이나 정류소를 담당하는 보안 요원들이 각각 휴대한 보안 요원 단말(도시되지 않음)에 수신된 대응 요청 정보를 전송하고, 임의의 보안 요원 단말로부터 출동 의사를 나타내는 출동 정보가 수신되거나 보안 요원 단말이나 사용자 단말(130)로부터 지원 요청이 수신되면 다시 보안 요원 단말들에 이를 재전송하여 보안 요원들간의 긴밀한 협조가 가능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보안 요원 단말로부터 민원처리 완료 정보가 수신되면 신고 발송 서버(150)는 민원처리 완료 정보를 관제 서버(140) 및/또는 사용자 단말(130)로 전송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측위기반 안전망 시스템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30)을 이용하여 범법 행위 등을 신고하면, 신고 정보는 통신망을 통해 관제 서버(140)에 수신되고, 관제 서버(140)는 신고 정보에 포함되거나 독립적으로 수신된 식별 정보(즉, 사용자 단말(130)이 위치한 객차(100)에 설치된 AP(110)의 제1 식별 정보 및/또는 TAG(120)의 제2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30)이 위치한 열차 및 객차(100)를 특정한다. 이어서, 관제 서버(140)는 신고 발송 서버(150)를 이용하여 신고 정보에 상응하는 대응 요청 정보를 보안요원 단말에 전송함으로써, 열차가 후속하는 정류소나 역에 도착되었을 때 보안요원이 해당 열차 또는 해당 객차(100)로 신속하게 출동하여 적절한 대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6b를 참조하여 측위기반 안전망 시스템의 동작 방법 및 사용자 단말(130)에 설치된 시민안전지킴이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위기반 안전망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대응 요청 과정을 나타낸 화면 표시의 예시도이며,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요원 단말을 이용한 대응 처리 과정을 나타낸 화면 표시의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410에서 사용자 단말(130)은 동일한 객차(100) 내에 설치되고 Wi-Fi 통신방식으로 연결된 AP(110) 및/또는 TAG(120)로부터 신호를 수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AP(110)는 Wi-Fi 통신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130)과 연결되어 사용자 단말(130)이 외부 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장치이고, TAG(120)는 객차(100) 내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130)들에 Wi-Fi 통신 방식으로 자신의 식별 정보를 송출하도록 구현된 장치이다.
사용자 단말(130)은 단계 420에서 AP(110) 및/또는 TAG(12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들 중 가장 큰 수신신호 세기(RSSI)를 가지는 신호를 선택하고, 단계 430으로 진행하여 선택된 신호에 상응하는 AP(110) 또는 TAG(120)에 할당된 식별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관제 서버(140)로 전송한다. 물론 사용자 단말(130)이 수신한 복수의 식별 정보를 모두 관제 서버(140)로 전송할 수도 있고, 복수의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이들을 이용하여 객차(100) 내에서의 사용자 단말(130) 위치를 특정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사용자 단말(130)은 AP(110)와 Wi-Fi 통신방식으로 통신 연결되는 과정에서 AP(110)에 미리 할당된 제1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객차(100) 내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130)로 식별 정보를 송출하도록 설치된 TAG(120)로부터 제2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440에서 사용자 단말(130)은 관제 서버(140)로부터 사용자 단말(130)이 위치한 열차 및 객차 정보를 제공받는다. 관제 서버(140)는 사용자 단말(130)로부터 수신된 제1 또는/및 제2 식별 정보와 저장 수단에 미리 저장된 각 열차의 객차 내에 설치된 AP(110) 및 TAG(120)의 식별 정보 리스트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30)이 어떤 열차의 어떤 객차 내에 위치하였는지 인식할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전술한 단계 410 내지 단계 440은 사용자 단말(130)에 설치된 시민안전지킴이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된 이후에 수행되는 단계일 수도 있으나, 시민안전지킴이 어플리케이션이 실제적으로 구동되지 않더라도 사용자 단말(130)의 실행시 백신 어플리케이션 등과 같이 백그라운드에서 자동 실행되는 기능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후, 단계 450에서 사용자 단말(130)은 사용자에 의해 시민안전지킴이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에 의해 표시된 항목들(예를 들어, 성추행, 이동상인 신고, 온도조절, 기타민원 등) 중 어느 하나의 신고 항목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는다(도 5의 (a) 참조).
단계 460에서 사용자 단말(130)은 선택된 신고 항목에 상응하여 사용자가 입력하는 텍스트 정보 및 증거 자료로서의 이미지 데이터(도 5의 (c) 참조)를 포함하는 신고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관제 서버(140)로 전송한다. 이때, 신고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표시 화면 내에는 단계 440에 의해 획득된 열차 및 객차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도 5의 (b) 참조). 물론 전술한 단계 430 및 단계 440이 선행되지 않고, 단계 460에서 사용자 단말(130)이 AP(110) 및/또는 TAG(12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신고 정보를 관제 서버(140)로 전송하는 경우에도 관제 서버(140)는 신고 정보에 포함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30)의 위치 정보를 인식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단계 470에서 사용자 단말(130)은 신고 정보에 상응하는 신고 접수 내역 정보, 보안요원 출동 정보 및 신고 접수에 대한 처리 결과 정보를 관제 서버(140) 및/또는 신고 발송 서버(150)로부터 수신하고 표시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
이하, 도 6a 내지 도 6b를 참조하여 사용자 단말(130)로부터 전송된 신고 정보에 상응하는 대응 요청 정보가 관제 서버(140)와 신고 발송 서버(150)를 통해 보안 요원 단말로 전송된 이후의 처리 과정을 간략히 설명한다. 신고 발송 서버(150)는 보다 신속한 처리가 가능할 수 있도록 관제 서버(140)로부터 수신한 대응 요청 정보를 신고가 접수된 열차 또는/및 객차가 직후에 도착할 역이나 정류소를 담당하는 보안 요원들의 단말들로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안요원 단말에 대응 요청 정보가 수신되어 디스플레이되고(도 6a의 (a) 참조), 임의의 보안요원이 해당 알림 메시지를 클릭하면 보안요원 단말의 표시부에는 출동 의사의 입력이 가능한 화면(도 6a의 (b) 참조)이 디스플레이되고, 해당 화면에 표시된 정보를 이용하여 출동 의사를 입력할 수 있다.
임의의 보안 요원에 의해 출동 의사 입력이 이루어지면, 해당 정보는 신고 발송 서버(150)로 전송되고, 신고 발송 서버(150)는 해당 정보를 대응 요청 정보를 전송했던 보안 요원들의 단말들로 전송한다(도 6a의 (c) 참조).
또한 해당 객차(100)에 출동한 보안 요원 또는 사용자가 보다 많은 보안 요원의 출동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도 6b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된 표시 화면을 이용하여 지원 요청을 입력할 수 있고, 해당 보안 요원 또는 추가로 출동한 보안 요원들과 함께 대응 처리가 완료되면 민원처리 완료 버튼을 클릭하여 신고 발송 서버(150)로 민원처리가 완료되었음을 통지할 수 있다.
민원 처리 완료 통지가 수신되면 신고 발송 서버(150)는 관제 서버(140), 사용자 단말(130) 및 보안요원 단말들에 신고 접수에 대한 처리 결과 정보를 전송한다(도 6d의 (e) 참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위기반 안전망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측위기반 안전망 시스템은 AP(110), TAG(120), 관제 서버(140) 및 신고 발송 서버(150), 잠금 제어부(710), 출입문 개폐부(720a, 720b, 720c, 720d, 720e, 720f - 이하 720이라 통칭함) 및 각 출입문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경고등(730a, 730b, 730c, 730d, 730e, 730f - 이하 730이라 통칭함)을 포함할 수 있다. 앞서 도 1과 비교할 때, 본 실시예에 따른 측위기반 안전망 시스템은 잠금 제어부(710), 출입문 개폐부(720), 경고등(730)만을 더 포함하므로 이들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출입문 개폐부(720)는 객차(100)에서 승강장으로 출입하기 위한 출입문, 하나의 객차(100)에서 인접된 다른 객차로 이동하기 위한 출입문 각각을 개폐 조작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운전석에 설치되는 중앙 제어 장치로부터 조작되는 조작 신호에 의해 출입문 각각의 개폐 조작이 수행될 수 있다.
경고등(730)은 각각의 출입문 부근에 설치되며, 출입문 개폐 고장 등이 발생되거나 후술되는 바와 같이 해당 객차(100)에서 신고 정보가 접수되어 출입문 폐쇄 상태로 유지하여야 하는 경우 점등되도록 함으로써 승객들이 출입문 고장 또는 범법 행위 발생 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잠금 제어부(710)는 해당 객차(100) 내에서 미리 지정된 신고 항목(예를 들어 성추행, 이동상인 신고 등)에 대한 신고 정보가 접수된 경우로서 관제 서버(140) 또는 신고 발송 서버(150)로부터 잠금 유지 신호가 수신되면, 출입문 개폐부(720)가 열차 내의 중앙 제어 장치로부터 출입문 개방 신호를 수신하더라도 출입문 개방 조작을 수행하지 않도록 출입문 개폐부(720)의 동작을 제한한다.
현장에 출동한 보안 요원이 보안요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내에 미리 지정된 버튼을 클릭하면, 보안요원 단말은 통신망을 통해 관제 서버(140) 또는 신고 발송 서버(150)로 출동 완료 정보를 전송하고, 관제 서버(140) 또는 신고 발송 서버(150)는 잠금 제어부(710)로 잠금 해제 신호를 전송한다. 이때, 잠금 제어부(710)는 수신된 잠금 해제 신호에 의해 출입문 개폐부(720)가 출입문의 개방 처리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미리 지정된 신고 항목에 대한 신고 정보가 접수된 객차는 보안 요원이 출동할 때까지 출입문 개방이 제한되도록 함으로써, 범법자나 이동상인이 현장에 머무르도록 제한하며, 따라서 범법자 등의 신병 확보가 용이해지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측위기반 안전망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디지털 처리 장치에 내장되거나 설치된 프로그램 등에 의해 시계열적 순서에 따른 자동화된 절차로 수행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디지털 처리 장치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상기 방법을 구현한다. 상기 정보저장매체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및 캐리어 웨이브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객차 110 : AP
120 : TAG 130 : 사용자 단말
140 : 관제 서버 150 : 신고 발송 서버
210 : 통신부 220 : 입력부
230 : 촬영부 240 : 저장부
260 : RSSI 측정부 270 : 식별정보 처리부
280 : 송수신 데이터 관리부 710 : 잠금 제어부
720 : 개폐 제어부 730 : 경고등

Claims (10)

  1. 측위기반 안전망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1 식별 정보 및 제2 식별 정보 중 하나 이상인 위치 식별 정보가 수신되면 미리 저장된 대중교통 운송수단의 각 열차 혹은 객차에 개별적으로 설치된 AP와 TAG들의 식별 정보 리스트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열차 정보 및 객차 정보 중 하나 이상을 각각 특정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신고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특정된 열차 정보 및 상기 객차 정보 중 하나 이상과, 상기 특정된 열차 정보 혹은 객차 정보에 상응하는 대중교통 운송수단이 직후에 도착될 역 혹은 정류소에 대한 도착지 정보와, 상기 신고 정보를 포함하는 대응 요청 정보를 생성하는 관제 서버; 및
    상기 관제 서버에 의해 생성된 상기 대응 요청 정보를 상기 도착지 정보에 상응하도록 미리 지정된 보안요원 단말로 전송하는 신고 발송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식별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위치한 객차 내에 설치된 AP의 식별 정보이고, 상기 제2 식별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위치한 객차 내에 설치된 TAG의 식별 정보이고,
    상기 AP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Wi-Fi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외부 통신망에 접속되도록 하는 통신 중계 장치이며,
    상기 TAG는 Wi-Fi 통신 방식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접속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제2 식별 정보를 전송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는 수신하지 않는 단방향 송출 장치이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통신 연결된 상기 AP와 상기 TAG의 수신신호 세기(RSSI)를 측정하여, 상대적으로 큰 수신신호 세기를 나타내는 상기 AP와 상기 TAG 중 어느 하나의 식별 정보를 상기 관제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신고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관제 서버 또는 신고 발송 서버는 상기 제1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제2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한 객차에 구비된 잠금 제어부로 잠금 유지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잠금 제어부가 상기 관제 서버 또는 신고 발송 서버로부터 잠금 해제 신호가 수신될 때까지 상기 객차의 출입문을 폐쇄 상태로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기반 안전망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TAG는 충전식 전원 장치와, 상기 객차 내의 임의의 위치에 장착되거나 위치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비고정식 장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기반 안전망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TAG는 상기 객차의 중앙 위치에 장착되거나, 상기 객차의 중앙 위치를 기준하여 상기 객차에 설치된 AP의 설치 위치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임의의 위치에 장착되거나, 혹은 인접한 객차 내의 AP에 미러링되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기반 안전망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측위기반 안전망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관제 서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1 식별 정보 및 제2 식별 정보 중 하나 이상인 위치 식별 정보가 수신하는 단계;
    상기 관제 서버가 미리 저장된 각 열차의 각 객차에 개별적으로 설치된 AP와 TAG들의 식별 정보 리스트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위치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열차 정보 및 객차 정보를 각각 특정하는 단계;
    상기 관제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신고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특정된 열차 정보 및 상기 객차 정보 중 하나 이상과, 상기 특정된 열차 정보 혹은 객차 정보에 상응하는 대중교통 운송수단이 직후에 도착될 역 혹은 정류소에 대한 도착지 정보와, 상기 신고 정보를 포함하는 대응 요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신고 발송 서버가 상기 생성된 대응 요청 정보를 상기 도착지 정보에 상응하도록 미리 지정된 보안요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식별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위치한 객차 내에 설치된 AP의 식별 정보이고, 상기 제2 식별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위치한 객차 내에 설치된 TAG의 식별 정보이고,
    상기 AP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Wi-Fi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외부 통신망에 접속되도록 하는 통신 중계 장치이며,
    상기 TAG는 Wi-Fi 통신 방식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접속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제2 식별 정보를 전송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는 수신하지 않는 단방향 송출 장치이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통신 연결된 상기 AP와 상기 TAG의 수신신호 세기(RSSI)를 측정하여, 상대적으로 큰 수신신호 세기를 나타내는 상기 AP와 상기 TAG 중 어느 하나의 식별 정보를 상기 관제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신고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관제 서버 또는 신고 발송 서버는 상기 제1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제2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한 객차에 구비된 잠금 제어부로 잠금 유지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잠금 제어부가 상기 관제 서버 또는 신고 발송 서버로부터 잠금 해제 신호가 수신될 때까지 상기 객차의 출입문을 폐쇄 상태로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기반 안전망 시스템의 동작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TAG는 충전식 전원 장치와, 상기 객차 내의 임의의 위치에 장착되거나 위치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비고정식 장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위기반 안전망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1020140006623A 2014-01-20 2014-01-20 대중교통 운송수단(버스, 지하철, 택시 등)을 이용하는 승객의 안전을 위하여 각 운송수단에 부착된 Wi-Fi TAG형태의 무선장치에서 송출되는 Wi-Fi 신호를 이용한 승객 위치측위기반의 안전망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15908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6623A KR101590821B1 (ko) 2014-01-20 2014-01-20 대중교통 운송수단(버스, 지하철, 택시 등)을 이용하는 승객의 안전을 위하여 각 운송수단에 부착된 Wi-Fi TAG형태의 무선장치에서 송출되는 Wi-Fi 신호를 이용한 승객 위치측위기반의 안전망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6623A KR101590821B1 (ko) 2014-01-20 2014-01-20 대중교통 운송수단(버스, 지하철, 택시 등)을 이용하는 승객의 안전을 위하여 각 운송수단에 부착된 Wi-Fi TAG형태의 무선장치에서 송출되는 Wi-Fi 신호를 이용한 승객 위치측위기반의 안전망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6673A KR20150086673A (ko) 2015-07-29
KR101590821B1 true KR101590821B1 (ko) 2016-02-03

Family

ID=53876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6623A KR101590821B1 (ko) 2014-01-20 2014-01-20 대중교통 운송수단(버스, 지하철, 택시 등)을 이용하는 승객의 안전을 위하여 각 운송수단에 부착된 Wi-Fi TAG형태의 무선장치에서 송출되는 Wi-Fi 신호를 이용한 승객 위치측위기반의 안전망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08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5034B1 (ko) * 2020-07-09 2021-03-09 송암시스콤 주식회사 실시간으로 자동 통보가 가능한 화재 감시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7371B1 (ko) 2010-11-24 2012-05-23 에스케이네트웍스서비스 주식회사 지하철 성추행발생 신고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229333B1 (ko) 2012-05-25 2013-02-07 주식회사 아이콘트롤스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출입 인증 시스템 및 출입 인증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71913B2 (en) * 2003-06-27 2015-03-0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network hybrid positioning
KR101191264B1 (ko) 2005-11-03 2012-10-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밀위치확인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KR20130084409A (ko) * 2012-01-17 2013-07-25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비지정 좌석제 운송수단의 좌석정보 공유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7371B1 (ko) 2010-11-24 2012-05-23 에스케이네트웍스서비스 주식회사 지하철 성추행발생 신고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229333B1 (ko) 2012-05-25 2013-02-07 주식회사 아이콘트롤스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출입 인증 시스템 및 출입 인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6673A (ko) 2015-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979405B (zh) 一种基于多场景客流控制的引导方法及装置
US20110054731A1 (en) System and method for bi-directional wireless information transfer
US10593139B2 (en) Method of granting access on a route based upon route taken
US20140049409A1 (en) Bus stop and system providing travel information in relation to buses
US20190139337A1 (en) Mobile credential management system for vehicle key box access control
US957196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it-rider-status identification and communication
KR20150062600A (ko) 어린이집 등하원 관리방법
US10994633B2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occupancy of a seat arranged in a transportation vehicle
KR20160107997A (ko) 스마트 택시 서비스 지원 시스템
JP2017174203A (ja) 運行管理システム
CN104157162A (zh) 盲人公交语音导引系统
KR100910313B1 (ko) 영상 정보를 이용한 어린이 운송차량용 어린이 보호 시스템
GB2563016A (en) A method and a system for monitoring occupancy of a seat arranged in a transportation vehicle
KR102282909B1 (ko) 버스 하차벨 원격 시스템
KR101590821B1 (ko) 대중교통 운송수단(버스, 지하철, 택시 등)을 이용하는 승객의 안전을 위하여 각 운송수단에 부착된 Wi-Fi TAG형태의 무선장치에서 송출되는 Wi-Fi 신호를 이용한 승객 위치측위기반의 안전망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1147371B1 (ko) 지하철 성추행발생 신고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85617A (ko) 통학버스를 이용한 원생 승차 및 하차 관리장치
KR101037434B1 (ko) 물품 파인딩 서비스 방법
KR20160112805A (ko) 대중교통 서비스 시스템 및 대중교통 안심 이용 서비스 제공 방법
WO2017038027A1 (ja) 入退場管理システムおよび入退場管理方法
KR20150044062A (ko) 셔틀버스 운행 관리 방법 및 시스템
JP2018195094A (ja) 搭乗通知システム、管理装置、端末装置、および搭乗通知方法
US10347115B1 (en) Method for alerting the guest to collect the belongings in safe before checkout
KR20170003200A (ko) 대중교통 수단의 탑승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6971050B2 (ja) 位置管理方法、位置管理システム、位置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携帯通信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