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2027A - 알에프아이디 스마트키를 이용한 주거단지 통합 관제 시스템 - Google Patents

알에프아이디 스마트키를 이용한 주거단지 통합 관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2027A
KR20110072027A KR1020090128788A KR20090128788A KR20110072027A KR 20110072027 A KR20110072027 A KR 20110072027A KR 1020090128788 A KR1020090128788 A KR 1020090128788A KR 20090128788 A KR20090128788 A KR 20090128788A KR 20110072027 A KR20110072027 A KR 201100720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key
rfid smart
rfid
control server
par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8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태준
최원만
Original Assignee
엄태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태준 filed Critical 엄태준
Priority to KR1020090128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72027A/ko
Publication of KR20110072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20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06K17/0022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19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application selection, e.g. an acceleration sensor or a set of radio butt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01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interface suitable for human interaction
    • G06K19/07715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interface suitable for human interaction the interface being used to indicate that the record carrier is active, e.g. a blinking light to indicate that the record carrier is busy communicating with a secondary device or busy comput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with central registr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9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the pass containing active electronic elements, e.g. smartcard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2Generating a prealarm to the central st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 G07C2009/0079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by Hertzian waves

Abstract

본 발명은 RFID 스마트키를 이용하여 주거단지의 출입, 주차, 보안 및 편의시설이용 등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RFID 스마트키를 이용한 주거단지 통합 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RFID 스마트키를 이용하여 주거단지의 출입, 주차, 보안 및 편의시설이용 등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암호화된 고유의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RFID 스마트키;
상기 RFID 스마트키와 무선으로 송수신하며, 상기 RFID 스마트키의 고유 식별정보를 요청하여 수신된 정보를 전송하는 RFID 리더기;
상기 RFID 리더기와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연동되며 RFID 리더기로부터 전송된 고유의 식별정보를 구분하고 분석하여 다양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연동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에서 다양한 정보를 독출하는 관제서버;
상기 관제서버와 연동되며 공동주거단지의 공동출입문에 구비되어, 관제서버로부터 출입정보를 수신하여 공동출입문의 잠금장치를 제어하는 공동출입문 제어유닛;
상기 관제서버와 연동되며 공동주거단지의 각 세대에 구비되어, 관제서버로부터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각 세대의 개별출입문의 잠금장치를 제어하는 개별출입문 제어유닛; 및
상기 관제서버와 연동되며 공동주거단지의 외곽 게이트에 구비되어, 관제서버로부터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외곽 게이트를 개폐하는 게이트 제어유닛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스마트키를 이용한 주거단지 통합 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RFID, 주거단지, 스마트키

Description

알에프아이디 스마트키를 이용한 주거단지 통합 관제 시스템{Unified control system for apartment complex using a rfid smartkey}
본 발명은 RFID 스마트키를 이용하여 주거단지의 출입, 주차, 보안 및 편의시설이용 등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RFID 스마트키를 이용한 주거단지 통합 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RFID 스마트키를 이용하여 주거단지의 출입, 주차, 보안 및 편의시설이용 등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암호화된 고유의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RFID 스마트키;
상기 RFID 스마트키와 무선으로 송수신하며, 상기 RFID 스마트키의 고유 식별정보를 요청하여 수신된 정보를 전송하는 RFID 리더기;
상기 RFID 리더기와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연동되며 RFID 리더기로부터 전송된 고유의 식별정보를 구분하고 분석하여 다양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연동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에서 다양한 정보를 독출하는 관제서버;
상기 관제서버와 연동되며 공동주거단지의 공동출입문에 구비되어, 관제서버로부터 출입정보를 수신하여 공동출입문의 잠금장치를 제어하는 공동출입문 제어유 닛;
상기 관제서버와 연동되며 공동주거단지의 각 세대에 구비되어, 관제서버로부터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각 세대의 개별출입문의 잠금장치를 제어하는 개별출입문 제어유닛; 및
상기 관제서버와 연동되며 공동주거단지의 외곽 게이트에 구비되어, 관제서버로부터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외곽 게이트를 개폐하는 게이트제어유닛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스마트키를 이용한 주거단지 통합 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과학이 발전하고 현대화되면서 사람들이 도시로 모여들어 생활을 하면서 그 주거시설은 밀집화되고 단지화되었다. 이렇게 주거시설이 단지화되면서 단지화된 주거단지에 거주하는 주민을 위한 보안 및 편의시설등은 더욱 발전되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즉, 주거단지내의 양로원, 유치원, 헬스센터, 주차시설 등을 주민들이 보다 편리하게 사용하도록 하고 있는데, 유비쿼터스(Ubiquitous) 네트워크 기술이 많은 이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유비쿼터스란 라틴어에서 유래된 말로 "언제, 어디서나","동시에 존재한다."라는 뜻으로 시간과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존재한다는 말로써,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기술은 시간과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유/무선 네크워크에 쉽고 편리하게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말한다.
상기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기술은 다양한 유/무선 통신기술을 이용하여 다양 한 방식으로 구현이 가능하며, 그 기술을 이용하면 시간과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유/무선 네크워크에 쉽고 편리하게 접속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주거단지 시설에 적용을 할 수 있다.
상기 유비쿼터스 네크워크 기술과 접목되어 사용되고 있는 차세대 기술로서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을 들 수 있다.
RFID 기술이란 전파를 이용해 먼 거리에서 정보를 인식하는 기술을 말한다. 여기에는 RFID 태그(Tag)와, RFID 리더기가 필요하다.
태그는 안테나와 집적회로로 이루어지는데, 집적회로 안에 정보를 기록하고 안테나를 통해 리더기에게 정보를 송신한다. 이 정보는 태그가 부착된 대상을 식별하는 데 이용된다. 쉽게 말해, 바코드와 비슷한 기능을 하는 것이다.
RFID가 바코드 시스템과 다른 점은 빛을 이용해 판독하는 대신 전파를 이용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바코드 판독기처럼 짧은 거리에서만 작동하지 않고 먼 거리에서도 태그를 읽을 수 있으며, 심지어 사이에 있는 물체를 통과해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RFID는 사용하는 동력으로 분류할 수 있다. 오직 리더기의 동력만으로 칩의 정보를 읽고 통신하는 RFID를 수동형(Passive) RFID라 한다.
반수동형(Semi-passive) RFID란 태그에 건전지가 내장되어 있어 칩의 정보를 읽는데는 그 동력을 사용하고, 통신에는 리더기의 동력을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마지막으로, 능동형(Active) RFID는 칩의 정보를 읽고 그 정보를 통신하는 데 모두 태그의 동력을 사용한다.
RFID를 동력 대신 통신에 사용하는 전파의 주파수로 구분하기도 한다.
낮은 주파수를 이용하는 RFID를 LFID(Low-Frequency IDentification)이라 하는데, 120~140 킬로헤르츠(khz)의 전파를 쓴다.
HFID(High-Frequency IDentification)는 13.56 메가헤르츠(Mhz)를 사용하며, 그보다 한층 높은 주파수를 이용하는 장비인 UHFID(UltraHigh-Frequency IDentification)는 800-900메가헤르츠 대역의 전파를 이용한다.
상기 RFID 시스템은 현재 상거래 분야에 많이 접목되어 상품의 세부정보를 상기 태그에 저장하고 그 상품의 유통, 판매, 재고조사 등의 관리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고 있다.
상기의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기술은 그 응용 범위가 다양하므로 각종 기술 및 서비스와 결합하여 보다 편리한 생활을 구현할 수 있다.
현재 주거단지 내의 출입, 보안, 편의시설 등을 활용하는데 있어서 부분적으로 RFID기술을 이용하고 있으나, 주거단지 메인 출입문을 이용하는 차량들을 관리하는 차단바를 개폐하는 정도에만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주거단지 내에서 노약자, 유아 및 여성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범죄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수단이 미비되어 미연에 범죄 등을 막는 효율적인 방안을 모색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공동출입문 및 현관문을 열기 위하여 번거롭게 인증절차를 거치거나 별도의 키를 소지하여야 하며, 주거단지 내의 다양한 편의시설을 사용하기 위하여 번거롭게 개인 인증절차를 거쳐야 하므로, 쉽고 편리하게 하나의 인증키를 이용하여 사용하는 통합적인 방안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상술한 RFID 기술을 이용한 주거단지 내의 통합 관리 방안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RFID 스마트키를 이용하여 주거단지의 출입, 주차, 보안 및 편의시설이용 등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RFID 스마트키를 이용한 주거단지 통합 관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RFID 스마트키를 이용하여 주거단지의 출입, 주차, 보안 및 편의시설이용 등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암호화된 고유의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RFID 스마트키;
상기 RFID 스마트키와 무선으로 송수신하며, 상기 RFID 스마트키의 고유 식별정보를 요청하여 수신된 정보를 전송하는 RFID 리더기;
상기 RFID 리더기와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연동되며 RFID 리더기로부터 전송된 고유의 식별정보를 구분하고 분석하여 다양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연동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에서 다양한 정보를 독출하는 관제서버;
상기 관제서버와 연동되며 공동주거단지의 공동출입문에 구비되어, 관제서버로부터 출입정보를 수신하여 공동출입문의 잠금장치를 제어하는 공동출입문 제어유닛;
상기 관제서버와 연동되며 공동주거단지의 각 세대에 구비되어, 관제서버로부터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각 세대의 개별출입문의 잠금장치를 제어하는 개별출입문 제어유닛; 및
상기 관제서버와 연동되며 공동주거단지의 외곽 게이트에 구비되어, 관제서버로부터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외곽 게이트를 개폐하는 게이트제어유닛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스마트키를 이용한 주거단지 통합 관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RFID 스마트키를 이용한 주거단지 통합 관제 시스템에 의하면, RFID 스마트키와 유/무선 네크워크 통신을 이용하여 주거단지 내의 출입자의 위치 및 이동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고, 위치 및 이동상황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여 주거단지의 보안 및 범죄예방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RFID 스마트키를 이용하여 주민들이 편리하게 출입문을 열 수 있으며, 주거단지 내의 다양한 편의 시설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가장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그렇지만, 일반적으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본 발명에 대한 다양하고도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RFID 스마트키를 이용한 주거단지 통합 관제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한 RFID 스마트키를 이용한 주거단지 통합 관제 시스템은, RFID 스마트키(1), 관제서버(2), 리더기(3), 공동출입문 제어유닛(4), 개별출입문 제어유닛(5), 게이트 제어유닛(6), 유선 및/또는 무선 단말기(7), 외부 네크워크(8), 영상입력수단(9), 엘리베이터 제어유닛(10), 주차장 제어유닛(20), 편의시설제어유닛(30),경보수단(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RFID 스마트키는 암호화된 고유의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무선신호를 송 수신한다.
상기 RFID 스마트키(1)는 주거단지의 각 세대원에게 지급되어 지며, 각 세대원(이하,"사용자 내지 소유자"도 동일한 의미.)들의 고유한 식별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상기 RFID 스마트키(1)는 리더기(3)와 상호교신하여 고유한 식별정보를 상기 리더기(3)에게 전송하고 상기 리더기(3)는 상기 고유한 식별정보를 관제서버(2)에 전송하며, 관제서버(2)는 상기의 수신된 식별정보를 판독한다.
상기 RFID 스마트키(1)의 고유한 식별정보를 리더기(3)가 수신하는 거리는 다양하게 설정이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m 사이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RFID 스마트키(1)는 능동형(Active) RFID 스마트키(1)이다.
능동형 RFID 스마트키는 내부에 전원공급부(13)가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RFID 스마트키(1)의 고유한 식별정보를 전송하는데 내부의 전원공급부(13)의 동력을 사용한다. 능동형 RFID 스마트키(1)는 내부에 전원공급부(13)가 구비되어 있어서, 능동형 RFID 스마트키(1)는 상기 리더기(3)와 직접 닿지 않아도 상기 RFID 스마트키(1)의 고유한 식별정보를 상기 리더기(3)에 무선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RFID 스마트키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바람직하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RFID 스마트키(1)는 상기 RFID 스마트키(1)의 RFID 기능을 ON/OFF 하거나 주거단지 내에서 긴급상황 발생시 그 상 황 발생 여부를 알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RFID 스마트키(1)의 일측에 소정의 버튼부(11)가 추가로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RFID 스마트키(1) 소지자는 필요에 의하여 상기 RFID 스마트키(1) 기능을 정지시키거나 다시 그 기능을 정상화시킬 필요가 있을 경우, 또는 상기 RFID 스마트키(1)에 의하여 출입문이 자동으로 개/폐 되었을 경우 다시 출입문을 개폐해야될 필요가 있을 경우에 상기 버튼부(11)의 소정의 버튼을 작동시켜 원하는 기능을 구현한다.
또한, 상기 RFID 스마트키(1) 소지자가 긴급상황이 발생하여 긴급호출신호를 전송할 필요가 발생하면, 상기 버튼부(11)의 소정의 버튼을 눌러 긴급호출신호를 송출하면, 상기 RFID 스마트키(1)와 가장 근접한 리더기(3)는 상기 긴급호출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리더기(3)는 자신의 위치정보와 함께 RFID 스마트키(1) 소지자가 전송한 긴급호출신호와 고유한 식별정보를 관제서버(2)로 전송한다.
상기 관제서버(2)는 상기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버서(2)내의 데이터 베이스 자료와 비교분석하여 상기 RFID 스마트키(1)소지자의 신원정보와 위치정보를 확인한 후에, 관리자나 관련된 세대원 또는 외부기관에 상기 신원정보 및 위치정보를 전달하여 상황에 맞도록 효율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RFID 스마트키(1)는 RFID 스마트키(1)의 무선신호 송수신 상태 및 작동상태를 점등 상태의 변화로 표현하는 다수의 LED(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RFID 스마트키(1)에 구비된 다수의 LED(12)는 주거단지 내의 요소 요소 에 설치된 상기 리더기(3)와 상기 RFID 스마트키(1)가 무선으로 통신을 하는 경우에 통신 상태를 점등 상태의 변화로 표현한다. 예를 들면, 상기 RFID 스마트키(1)와 리더기(3)와의 통신상태가 좋지 못할 경우에는 상기 LED(12)가 미리 설정된 색을 점등 시킨다거나 하여 상기 RFID 스마트키(1) 소지자가 상기 리더기(3)와의 통신상태가 좋은 장소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RFID 스마트키(1) 내부의 전원공급부(13)의 전원공급상태가 원할하지 못할 경우에도 점등 상태의 변화를 주어 상기 RFID 스마트키(1) 소지자가 전원공급부가 배터리일 경우 그 배터리를 새것으로 교체하거나 전원공급부가 충전식일 경우 재충전할 수 있도록 알려준다.
상기 리더기(3)는 상기 RFID 스마트키(1)와 무선으로 송수신하며, 상기 RFID 스마트키(1)로 고유 식별정보를 요청하며, 상기 RFID 스마트키(1)로 부터 수신된 고유한 식별정보를 유선 및/또는 무선 네크워크를 통하여 상기 관제서버(2)로 전송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리더기(3)는 주거단지의 요소 요소에 다수가 구비된다.
상기 리더기(3)는 관제서버(2)와 연동이 필요한 하기의 다양한 제어유닛의 일측에 구비된다. 즉, 외곽 게이트, 주거단지의 공동출입문, 각세대별 개별출입문제어유닛 등의 제어유닛 일측에 각각 구비된다. 또한, 추가로 구비되는 다양한 제어유닛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동출입문의 출입 제어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RFID 스마트키(1)의 소지자가 공동출입문에 근접하면, 상기 리더기(3)는 상기 RFID 스마트키(1)로 고유한 식별정보를 요청(S10식고, 식별정보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는 재전송을 요청한다(S20-S10).
식별정보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 관제서버(2)에 상기 식별정보 재전송 요청을 데이터로 구축(S21)한다. 상기 구축된 데이터는 외부로부터의 불법적인 침입, 기기의 손상 여부 등을 판단하는 자료로 사용된다.
식별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관제서버(1)로 수신된 식별정보를 전송(S30)하여 상기 관제서버(2)는 상기 전송받은 고유한 식별정보를 관제서버(2)에 등록된 데이터와 비교 분석(S40)한다.
상기 분석 결과 세대원으로 확인되면 공동출입문 제어유닛(4)으로 그 확인 정보를 전송(S55)하고 공동출입문 제어유닛(4)은 출입문을 개방한다(S60).
바람직하게 등록된 식별정보가 아닐 경우 다시 고유한 식별정보를 보낼 것을 요청하는 알림 메세지를 공동출입문 제어유닛(4)에서 외부로 영상 및/또는 음성 수단을 이용하여 송출시킨다(S90).
공동 출입문이 개방된 경우에 관제서버(2)는 공동 출입문을 통한 출입정보를 데이터로 구축하여 저장한다(S70).
바람직하게 상기 리더기(3)는 각각의 제어유닛과 각각 일체화되어 구비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RFID 스마트키(1) 소지자가 상기 공동출입문 제어유닛(4)에 일체로 구비된 상기 리더기(301)로 근접할 경우에, 상기 RFID 스마 트키(1)로 부터 전송받은 고유한 식별정보를 상기 관제서버(2)를 통하지 않고 상기 공동출입문 제어유닛(4)으로 바로 전송(S10-S31)하여, 상기 공동출입문 제어유닛(4)이 상기 식별정보의 등록/비등록 정보를 신속하게 판단(S41)하여 신속하게 출입문을 개방(S60)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리더기(3)는 주거단지의 요소 요소에 다수가 구비될 수 있는데, 주거단지의 요소 요소에 다수 구비된 상기 리더기(3)는 상기 RFID 스마트키(1)가 상기 리더기(3)로 근접하면 상기 RFID 스마트키(1)로 고유한 식별정보를 요청하며, 상기 RFID 스마트키(1)로 부터 전송받은 식별 정보와 함께 상기 리더기(3) 고유의 위치정보를 함께 상기 관제서버(2)로 전송하여 상기 RFID 스마트키(1) 소지자의 신원정보 및 위치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한다.
관리자 및/또는 세대원은 상기 관제서버(2)와 연결된 유서 및/또는 무선 단말기(7)를 통하여 상기에 구축된 위치정보를 제공받아 긴급상황이나 응급상황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상기 관제서버(2)는 상기 리더기(2)와 유선 또는 무선네트워크로 연결되여 있으며, 상기 리더기(2)로부터 전송된 RFID 스마트키(1)의 고유한 식별정보를 구분하고 분석하여 다양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연동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에서 다양한 정보를 독출한다.
상기 관제서버(2)는 상기 리더기(3)와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RFID 스마트키(1)로부터 상기 리더기(3)로 전송된 고유한 식별 정보를 전송받는다. 상기 관제서버(2)는 상기 고유한 식별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관 제서버(2)와 연동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의 정보와 비교 분석하여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여 공동출입문 제어유닛(4), 개별출입문 제어유닛(5), 게이트 제어유닛(6)과 같은 제어유닛에 각각 그 정보를 전송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관제서버(2)는 긴급상황발생시 외부 유/무선 네크워크(8)와 연동되어 있는 주요기관(경찰서, 소방서,병원, 행정기관 등)에 그 발생정보를 외부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8)를 통하여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관제서버(2)는, 주거단지 내의 소정의 위치이동 범위를 미리 지정한 상기 RFID 스마트키(1) 소지자가 그 지정된 위치이동 범위를 이탈할 경우에 자동으로 위치이탈 정보를 허가된 관리자, 부모 또는 보호자의 유선 및/또는무선 단말기로 제공하여 미아의 발생, 유괴 등의 범죄나 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관제서버(2)는, 상기 리더기(3)와 일체화된 상기 공동출입문 제어유닛(4), 개별출입문 제어유닛(5), 게이트 제어유닛(6)등의 제어 유닛에게 관제서버(2)에 구축된 다양한 데이터베이스 중에서 상기 각각의 제어유닛에 필요한 정보를 각각의 제어유닛에 미리 제공한다.
예를 들면, 상기 공동출입문 제어유닛(4)은 관제서버(2)로 부터 제공받은 정보를 미리 저장하며, 상기 RFID 스마트키(1) 소지자가 공동출입문 등에 접근할 경우, 상기 공동출입문 제어유닛(4)은 상기 관제서버(1)를 통하지 않고서도 미리 저장해둔 정보와 상기 리더기(301)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출입문 등의 개폐를 신속하게 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유선 및/또는 무선 단말기(7)는 상기 관제서버(2)와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관제서버(2)에 구축되어 있는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는다.
상기 공동출입문 제어유닛(4)은 상기 관제서버(2)와 연동되며 공동주거단지의 공동출입문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관제서버(2) 및/또는 상기 리더기(301)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공동출입문의 잠금장치의 개폐를 제어한다.
상기 개별출입문 제어유닛(5)은 상기 관제서버(2)와 연동되며 공동주거단지의 각 세대의 개별출입문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관제서버(2) 및/또는 상기 리더기(302)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각 세대의 개별출입문의 잠금장치의 개폐를 제어한다.
상기 게이트 제어유닛(6)은 상기 관제서버(2)와 연동되며 공동주거단지의 외곽 게이트에 구비되어, 상기 관제서버(2) 및/또는 상기 리더기(303)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외곽 게이트의 개폐를 제어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RFID 스마트키를 이용한 주거단지 통합 관제 시스템은, 상기 관제서버(2)와 연동되는 다수의 영상입력수단(9)이 추가로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영상입력수단(9)은 주거단지의 요소 요소에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RFID 스마트키(1) 사용자가 주거단지 내에 현재 위치한 장소를 확인하는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응급신호가 호출되면 호출되는 지역의 영상입력수단을 이용하여 현장정보를 자세하게 파악하여, 응급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체할 수 있게 한 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RFID 스마트키를 이용한 주거단지 통합 관제 시스템은, 상기 관제서버(2)와 연동되며, RFID 스마트키 사용자(1)가 긴급상황 발생으로 인하여 긴급호출을 할 경우 각 상황 및 단계에 맞도록 경보 및/또는 방송을 할 수 있는 경보수단(4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경보수단(40)은 위급한 상황임을 주거단지내의 경보수단을 이용하여 전파하여 긴급상황에 처한 사용자로부터 그 긴급상황을 벗어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며, 우발적인 범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영상입력수단(9)으로부터 입력된 영상자료는 상기 관제서버(2)에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되며, 상기 관제서버(2)와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관리자 및 세대원의 유/무선 단말기로 실시간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RFID 스마트키를 이용한 주거단지 통합 관제 시스템은, 상기 관제서버(2) 및 엘리베이터 제어유닛(10)과 연동 되며, 상기 관제서버(2) 및/또는 상기 리더기(304)로부터 정보를 받아 상기 RFID 스마트키(1) 소지자가 위치한 층으로 엘리베이터를 이동시키도록 엘리베이터를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유닛(1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엘이베이터 외부측 출입문의 일측에 구비된 엘리베이터 층수 조작 버튼부의 일측에 구비된 리더기(304)로 상기 RFID 스마트키(1) 소지자가 접근하면, 상기 리더기(304)는 상기 RFID 스마트키(1)로 고유한 식별신호를 전송할 것을 요청하며, 수신받은 신호를 상기 관리서버(2)나 엘리베이터 제어유닛(10)으로 전송하여 등록된 고유한 식별정보와 일치하면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유닛(10)은 상기 RFID 스마트키(1) 소지자가 위치한 층으로 엘리베이터를 이동시킨다.
상기 RFID 스마트키(1) 소지자가 거주하는 층(관제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층)과 현재 엘리베이터를 호출한 층수가 다를 경우에, 엘리베이터를 호출한 층으로 엘리베이터는 이동하며, 상기 RFID 스마트키(1) 소지자가 엘리베이터에 탑승하면 상기 엘리베이터는 자동으로 RFID 스마트키(1) 소지자가 거주하는 층으로 이동한다. 상기 RFID 스마트키(1) 소지자가 거주하는 층과 현재 엘리베이터를 호출한 층수가 같을 경우에는,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를 호출한 층으로 이동하며, 상기 RFID 스마트키(1) 소지자가 엘리베이터에 탑승하면 상기 엘리베이터는 자동으로 1층으로 이동한다. 이 경우 엘리베이터의 층수 선택 버튼을 선택하여 내리고 싶은 층을 지정하여 내릴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RFID 스마트키를 이용한 주거단지 통합 관제 시스템은, 상기 관제서버(2)와 연동되며, 상기 관제서버(2) 및/또는 상기 리더기(305)로부터 정보를 받아 주거단지 내의 주차장의 차단바(21)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주차장 제어유닛(20)이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주차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제서버(2)와 연동되며, 상기 관제서버(2) 및/또는 상기 주차장 제어유닛(20)으로 주차장 정보를 전송하는 주차감지수단(22)이 구비될 수 있다.
주차장의 일측에는 주차한 차량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상기 관제서버(2)로 제 공하는 주차감지수단(22)이 구비된다. 상기 주차감지수단(22)은 주차한 차량의 차량등록번호나 차량의 상태정보를 감지하여 그 정보를 상기 관제서버(2)로 제공한다. 상기 관제서버(2)는 주차감지수단(22)으로 부터 전송된 정보를 관제서버(2)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차량정보와 비교 분석하여 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한다. 주거단지의 관리자나 세대원은 관제서버(2)와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단말기(7)를 통하여 상기 정보를 제공받아서 세대원의 차량이 주차장의 어느 위치에 주차되어 있는지, 차량의 상태가 어떠한지, 차량이 도난되었는지 여부 등을 쉽고 편리하게 알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관제서버(2)및 상기 주차장 제어유닛(20)과 연동되며, 상기 주차장의 현재 주차장 내의 주차대수와 주차가 가능한 위치 및 주차가능 차량 대수를 실시간으로 알려주는 주차안내수단(5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주차안내수단(50)은 바람직하게는 주차장의 현재 주차장 내의 주차대수와 주차가 가능한 위치 및 주차가능 차량 대수를 실시간 영상으로 출력하는 영상출력수단이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주차안내수단은 주차장의 현재 주차장 내의 주차대수와 주차가 가능한 위치 및 주차가능 차량 대수를 실시간 영상 및 음성으로 출력하는 영상 및 음성 출력수단(50)이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주차장의 입구에는 차량의 진입을 차단하는 차단바(2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차단바(21)의 일측에는 리더기(305)가 구비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리더기(305)는 주차장 제어유닛(20)과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차량이 주차장으로 진입하면, 상기 주차장 출입구의 일측에 구비된 리더기(305)는 차량 및/또는 차량의 탑승자가 소지한 RFID 스마트키(1)로 고유한 식별정보를 전송할 것을 요청한다. 상기 리더기(305)는 상기 RFID 스마트키(1)로 부터 전송받은 고유한 식별정보를 상기 관제서버(2) 및/또는 주차장 제어유닛(20)으로 전송한다.
상기 식별정보를 관제서버(2) 및/또는 주차장 제어유닛(20)가 수신한 경우, 등록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차단바(21)를 개폐한다.
차단바가 개방되어 차량이 주차장으로 진입할시에, 주차장의 일측에 구비된 주차안내수단(50)은 현재 차량의 주차대수 및 주차가 가능한 주차위치를 영상 및/또는 음성 출력수단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알려준다.
차량의 운전자는 상기 주차안내수단(50)의 안내를 받아서 쉽고 편리하게 주차위치를 찾아서 차량을 주차할 수 있다.
상기 주차안내수단(50)은 차량진입시 수신받은 고유정보를 토대로 상기 관제서(2)가 구축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차량운전자가 차량을 주차한 후에 가장 가깝고 쉽게 개별세대로 이동할 수 있도록 그 주차위치를 안내한다.
즉, 주차가 가능한지 여부를 상기 영상 및또는 음성 출력 수단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알려주며, 상기 주차장으로 진입한 차량에 탑승한 사용자가 거주하고 있는 개별세대와 최대한 가까운 곳의 주차가능 위치를 알려 준다.
도 5에 보는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 주차장 내의 장애인 주차구역 등 일반인 들은 주차할 수 없는 주차금지 구역을 통제하기 위한 주차금지수단(23)이 구비된다.
상기 주차금지수단(23)은 평상시에는 차량의 주차를 막고 있다가, 주차장으로 장애인용 차량이 진입하여 그 차량의 정보가 관제서버(2)에 전달되어 장애인용 차량인 것이 확인되면, 주차장 제어유닛(20)의 제어에 따라서 주차금지 구역 내에 구비된 주차금지수단(23)을 개방하여 장애인 등이 편리하게 주차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RFID 스마트키를 이용한 주거단지 통합 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제서버(2)와 연동되며, 관제서버(2)로부터 RFID 스마트키(1) 사용자의 고유한 식별정보를 받아 주거단지내 사용자의 편의생활을 위한 각종 편의시설의 출입, 편의 기구 및/또는 기기 등을 제어하는 편의시설 제어유닛(30)이 추가로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포츠센터제어유닛(30)은 스포츠센터의 요소요소에 구비되어 있는 리더기(3), 출입문제어부(31), 락커룸제어부(32), 운동기기제어부(33), 유/무선 단말기(34)로 구성된다.
스포츠센터제어유닛(30)은 스포츠센터 내부의 제어를 통제하며, 상기 관제서버(2)와 연동되어 다양한 정보를 관제서버(2)로 제공하고 제공받는다.
상기 리더기(3)는 스포츠센터의 요소요소에 구비되어 RFID 스마트키(1)사용자의 현재 위치 및 사용시간 등 다양한 정보를 스포츠센터제어유닛(30) 및/또는 관제서버(2)에 전송한다.
상기 출입문 제어부(31)는, RFID 스마트키(1) 소지자가 스포츠센터의 출입문으로 근접할 경우, 출입문 일측에 구비된 리더기(306)로 부터 수신된 RFID 스마트키(1) 고유정보를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한다.
상기 락커룸제어부(32)는, RFID 스마트키(1) 소지자가 락커룸으로 진입시에 RFID 스마트키(1) 소지자의 고유신호를 락커룸리더기(307)로 부터 전송받아 소지자가 사용하도록 설정된 개별락커에 구비된 LED등의 점등 변화로 알려주며, 자동으로 개별락커의 문을 개방시켜준다. 소지자가 개별락커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면 자동으로 개별락커를 문을 잠가준다.
운동기기제어부(33)는 스포츠센터내의 다양한 운동기기(36)와 연동이 되어 있으며, 상기 관제서버(2)와 연동되어 있다. 상기 RFID 스마트키 소지자(1)가 운동기기(36)로 접근하면 운동기기(36)에 구비된 운동기기 리더기(308)가 상기 RFID 스마트키 소지자(1) 식별정보를 전송받아 운동기기제어부(22) 및/또는 상기 관제서버(2)로 전송하며, 상기 운동기기제어부 및/또는 상기 관제서버(2)는 등록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운동기기(36)의 사용을 허가한다.
상기 RFID 스마트키(1) 사용자가 상기 운동기기(36)의 사용을 마치면, 상기 운동제어부(22)는 상기 사용자의 운동시간, 횟수, 운동방법 등의 데이터를 상기 스포츠센터제어유닛(30) 및/또는 상기 관제서버(2)에 전송하여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한다.
상기 유/무선 단말기(34)는 상기 스포츠센터제어유닛(30) 및/또는 상기 관제서버(2)와 연동이 되어있으며, RFID 스마트키 사용자(1)의 고유한 식별정보를 수신 하여 관제서버(2)에 그 정보를 전달한다. 상기 관제서버(2)는 수신된 식별정보를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와 비교 분석하여 상기 유/무선 단말기(34)로 사용자의 스포츠센터 사용기록, 사용시간, 운동횟수, 운동방법, 건강상태 등의 정보를 제공하여 효율적인 운동 방법 등을 제시하여 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RFID 스마트키를 이용한 주거단지의 통합관제 시스템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술하였다.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 것으로 본 발명이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거나 국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RFID 스마트키를 이용한 주거단지 통합 관제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RFID 스마트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공동출입문에 있어서 제어흐름도를 예시한 순서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공동출입문에 있어서 제어유닛과 리더기가 일체형일 경우에 있어서의 제어흐름도를 예시한 순서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RFID 스마트키를 이용한 주거단지 통합 관제 시스템의 주차장 부분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RFID 스마트키 2:관제서버 201:데이터베이스
3, 301, 302, 303, 304, 305, 306, 307, 308:리더기 4:공동출입문제어유닛
5:개별출입문제어유닛 6:게이트제어유닛
7:유선 및/또는 무선 단말기 8:외부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
9:영상입력수단 10:엘리베이터제어유닛 11:버튼부
12:LED 13:전원공급부 20:주차장제어유닛
21:차단바 22:주차감지수단 23:주차금지수단
30:편의시설(스포츠센터)제어유닛 31:출입문 제어부
32:락커룸제어부 33:운동기기제어부 34:유선 및/또는 무선단말기 36:운동기기 40:경보수단 50:주차안내수단

Claims (22)

  1. 암호화된 고유의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RFID 스마트키(1);
    상기 RFID 스마트키(1)와 무선으로 송수신하며, 상기 RFID 스마트키의 고유 식별정보를 요청하거나 상기 RFID 스마트키(1)로부터 수신된 고유 식별정보를 전송하는 RFID 리더기(3);
    상기 RFID 리더기(3)와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연동되며 상기 RFID 리더기(3)로부터 수신된 고유의 식별정보를 구분하고 분석하여 다양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연동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201)에서 다양한 정보를 독출하는 관제서버(2);
    상기 관제서버(2)와 연동되며 공동주거단지의 공동출입문에 구비되어, 상기 관제서버(2)로부터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공동출입문의 잠금장치를 제어하는 공동출입문 제어유닛(4);
    상기 관제서버(2)와 연동되며 공동주거단지의 각 세대에 구비되어, 상기 관제서버(2)로부터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각 세대의 개별출입문의 잠금장치를 제어하는 개별출입문 제어유닛(5); 및
    상기 관제서버(2)와 연동되며 공동주거단지의 외곽 게이트에 구비되어, 상기 관제서버(2)로부터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외곽 게이트를 개폐하는 게이트제어유닛(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스마트키를 이용한 주거단 지 통합 관제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RFID 스마트키(1)의 고유한 식별정보를 상기 리더기(3)가 수신하는 수신거리는 1 내지 2m 사이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스마트키를 이용한 주거단지 통합 관제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RFID 스마트키(1)는 능동형 RFID 스마트키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스마트키를 이용한 주거단지 통합 관제 시스템.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FID 스마트키(1)는 상기 RFID 스마트키(1) 기능을 ON/OFF 하거나 긴급상황 발생시 그 여부를 알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RFID 스마트키(1)의 일측에 소정의 버튼부(11)가 구비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스마트키를 이용한 주거단지 통합 관제 시스템.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FID 스마트키(1)는 RFID 스마트키의 무선신호 송수신 상태 및 작동상태를 점등 상태의 변화로 표현하는 다수의 LED(12)가 구비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스마트키를 이용한 주거단지 통합 관제 시스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RFID 스마트키(1)는 상기 RFID 스마트키(1)의 무선 신호 송수신 상태 및 작동상태를 점등 상태의 변화로 표현하는 다수의 LED(12)가 구비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스마트키를 이용한 주거단지 통합 관제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더기(3)는 주거단지의 요소 요소에 다수가 구비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스마트키를 이용한 주거단지 통합 관제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더기(3)는 각각의 제어유닛과 일체화되어 구비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스마트키를 이용한 주거단지 통합 관제 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서버(2)는 상기 데이터베이스(201)의 정보를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한 유선 및/또는 무선 단말기(7)로 제공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스마트키를 이용한 주거단지 통합 관제 시스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서버(2)는 긴급상황발생시 외부 주요기관(경찰서, 소방서, 병원, 행정기관 등)에 그 발생정보를 외부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8)를 통하여 제공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스마트키를 이용한 주거단지 통합 관제 시스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서버(2)는 주거단지 내의 소정의 위치이동 범위 를 지정한 상기 RFID 스마트키(1) 소지자가 그 지정된 위치이동 범위를 이탈할 경우에 자동으로 위치이탈 정보를 허가된 관리자, 부모 또는 보호자의 유선 및/또는 무선 단말기(7)로 제공하여 미아의 발생, 유괴 등의 범죄나 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스마트키를 이용한 주거단지 통합 관제 시스템.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서버(1)와 연동되는 다수의 영상입력수단(9)이 추가로 더 구비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스마트키를 이용한 주거단지 통합 관제 시스템.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서버(1)와 연동되며, 상기 관제서버(1)에 구축된 다양한 데이터베이스(201) 정보를 유선 및/또는 무선네트워크를 통하여 제공받는 유선 및/또는 단말기(7)가 추가로 더 구비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스마트키를 이용한 주거단지 통합 관제 시스템.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서버(1)와 연동되며, 상기 RFID 스마트키 소지자(1)가 긴급상황 발생으로 인하여 긴급호출을 할 경우 발생 된 상황 및 상황별 조치단계에 맞도록 경보 및/또는 방송을 할 수 있는 경보수단(40)이 추가로 더 구비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스마트키를 이용한 주거단지 통합 관제 시스템.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서버(2)와 연동 되며, 상기 관제서버(1) 및/또는 상기 리더기(304)로 부터 식별정보를 받아 상기 RFID 스마트키(1) 소지자가 위치한 층으로 엘리베이터를 이동시키도록 엘리베이터를 제어하는 엘리베이터제어유닛(10)이 추가로 더 구비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스마트키를 이용한 주거단지 통합 관제 시스템.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서버(2)와 연동되며, 상기 관제서버(1) 및/또는 상기 리더기(305)로 부터 정보를 받아 주거단지 내의 주차장의 차단바(21)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주차장제어유닛(20)이 추가로 더 구비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스마트키를 이용한 주거단지 통합 관제 시스템.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서버(2)와 연동되며, 상기 관제서버(1) 및/또는 상기 주차장제어유닛(20)으로 주차장 내의 다양한 정보를 전송하는 주차감지수단(22)이 추가로 더 구비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스마트키를 이용한 주거단지 통합 관제 시스템.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서버(2) 및 상기 주차장제어유닛(20)과 연동되며, 상기 주차장의 현재 주차장 내의 주차대수와 주차가 가능한 위치 및 주차가능 차량대수를 실시간으로 알려주는 주차안내수단(50)이 추가로 더 구비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스마트키를 이용한 주거단지 통합 관제 시스템.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안내수단(50)은 주차장의 현재 주차장 내의 주차대수와 주차가 가능한 위치 및 주차가능 차량대수를 실시간 영상으로 출력하는 영상출력수단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스마트키를 이용한 주거단지 통합 관제 시스템.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안내수단(50)은 주차장의 현재 주차장 내의 주차대수와 주차가 가능한 위치 및 주차가능 차량대수를 실시간 영상 및 음성으로 출력하는 영상 및 음성 출력수단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스마트키를 이용한 주거단지 통합 관제 시스템.
  21. 제 16항 내지 제 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서버(2) 및 주차장 제어유닛(20)과 연동되며, 주차장 내의 장애인 주차구역 등 주차를 통제하기 위한 주차금지수단(23)이 추가로 더 구비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스마트키를 이용한 주거단지 통합 관제 시스템.
  2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서버(2)와 연동되며, 상기 관제서버(2)로 부터 상기 RFID 스마트키(1) 사용자의 정보를 전송 받아 주거단지내 세대원의 편의 생활을 위한 각종 편의시설의 출입, 편의기구 및/또는 기기 등을 제어하는 편의시설제어유닛(30)이 추가로 더 구비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스마트키를 이용한 주거단지 통합 관제 시스템.
KR1020090128788A 2009-12-22 2009-12-22 알에프아이디 스마트키를 이용한 주거단지 통합 관제 시스템 KR201100720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8788A KR20110072027A (ko) 2009-12-22 2009-12-22 알에프아이디 스마트키를 이용한 주거단지 통합 관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8788A KR20110072027A (ko) 2009-12-22 2009-12-22 알에프아이디 스마트키를 이용한 주거단지 통합 관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2027A true KR20110072027A (ko) 2011-06-29

Family

ID=44403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8788A KR20110072027A (ko) 2009-12-22 2009-12-22 알에프아이디 스마트키를 이용한 주거단지 통합 관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7202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6686B1 (ko) * 2013-10-24 2014-08-07 주식회사 공간소프트 원패스 비상호출 시스템 및 방법
KR200477007Y1 (ko) * 2015-01-12 2015-05-18 이태권 출입통제 통합 제어 시스템
KR102001112B1 (ko) 2019-02-12 2019-07-17 (주)신일승강기 전자 태그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장치 이동에 필요한 통신 정보 제공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6686B1 (ko) * 2013-10-24 2014-08-07 주식회사 공간소프트 원패스 비상호출 시스템 및 방법
KR200477007Y1 (ko) * 2015-01-12 2015-05-18 이태권 출입통제 통합 제어 시스템
KR102001112B1 (ko) 2019-02-12 2019-07-17 (주)신일승강기 전자 태그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장치 이동에 필요한 통신 정보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3733B1 (ko) Rfid 태그를 이용한 위치확인 시스템
CN101043400B (zh) 使用智能通信装置的进入验证系统和方法
CN204256490U (zh) 一种智能化的小区安防系统
CA2476947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t tracking and room monitoring in establishments having multiple rooms for temporary occupancy
KR100867027B1 (ko) 주택 출입 현관의 통합 감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감시방법
US11051645B1 (en) Secured package holder device
US10186095B2 (en) Systems and methods related to door control networks
JP6515837B2 (ja) 識別システム
KR100900027B1 (ko) 공동주택 단지에서의 비상호출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에따른 비상호출 모니터링 방법
JP5457148B2 (ja) 警備システム
CN107408328A (zh) 数字未来现在安全系统、方法和程序
JP2009110294A (ja) 病室訪問者管理システム
KR100994796B1 (ko) 무선장치를 이용한 공동주택 통합보안시스템 및 서비스방법
KR20110072027A (ko) 알에프아이디 스마트키를 이용한 주거단지 통합 관제 시스템
JP2015152986A (ja) 被管理者用退出管理システム
JP2005031984A (ja) セキュリティ管理装置、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20110097208A (ko) 알에프아이디 스마트키를 이용한 주차 통합 관제 시스템
KR20130040408A (ko) 다중 인증수단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보안 시스템
Datta et al. Automation, security and surveillance for a smart city: Smart, digital city
JP2005056261A (ja) ホーム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100869293B1 (ko) 키홀더 카드를 이용한 통합보안 시스템 및 방법
KR101997236B1 (ko) 출입통제 영역 관리를 위한 출입자의 위치추적시스템
KR20210058336A (ko) 화재감지기능과 IoT허브 기능을 가진 차임벨
JP2006285698A (ja) 警備装置、警備方法、警備プログラム
JP2007227991A (ja) 家電機器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