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8336A - 화재감지기능과 IoT허브 기능을 가진 차임벨 - Google Patents

화재감지기능과 IoT허브 기능을 가진 차임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8336A
KR20210058336A KR1020190145666A KR20190145666A KR20210058336A KR 20210058336 A KR20210058336 A KR 20210058336A KR 1020190145666 A KR1020190145666 A KR 1020190145666A KR 20190145666 A KR20190145666 A KR 20190145666A KR 20210058336 A KR20210058336 A KR 202100583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me
front door
information
server
door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5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정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플커뮤니케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플커뮤니케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플커뮤니케이션
Priority to KR1020190145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8336A/ko
Publication of KR20210058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83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6Personal emergency signalling and security systems
    • G06K9/0022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2Manually actuated calamity alarm transmitting arrangements emergency non-personal manually actuated alarm, activators, e.g. details of alarm push buttons mounted on an infrastruc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감지기능과 IoT 허브 기능을 가진 차임벨에 관한 것으로, 차임벨은 현관문의 외부 측면에 부착되어 현관문의 도어락과 연동되고, 현관문 내부의 하나 이상의 센서를 통해서 화재가 감지된 경우, 차임벨에서 화재 감지 정보를 수신하여, 도어락이 열리게 하는 제어 정보를 상기 도어락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재감지기능과 IoT허브 기능을 가진 차임벨{CHIME BELL HAVING IoT HUB AND DETECTING FIRE}
본 발명은 화재감지기능과 IoT 허브 기능을 가진 차임벨(chime bell)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현관문에 장착된 차임벨 디바이스를 통하여 스마트 홈 내외부 환경을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1인 가구 세대가 증가함에 따라서, 도심뿐만 아니라 비도심 지역에서도 혼자 집에 거주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택배 또는 음식 배달 서비스가 활발해지면서 1인 가구원의 안전에 많은 관심이 모이게 되어, 1인 가구원의 안전을 위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현관문의 경우, 현관문 외부의 상황을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하는 인터폰 시스템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을 뿐이어서 외부의 상황에 대해서 정확하게 알지 못함에서 오는 불안감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실내에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외부에서 이를 잘 알지 못하거나, 알더라도 현관문이 잠겨 있어 구조대 등이 강제로 문을 열기 전까지는 구조할 수 없는 환경이 많이 언론에 노출되고 있다.
또한, 화재 발생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독거 노인이나 유아 및 유아 보호자가 실내에서 위급한 상황을 맞이하는 경우에도 이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없어 사고로 이어지는 문제들이 계속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차임벨을 통해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방법과 스마트홈 IoT 허브로서 차임벨이 동작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현관문 밖의 외부 상황을 차임벨 및 스마트폰을 통해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또한, 현관문 밖의 정보를 차임벨을 통해 수집하여 도어락 및 스마트폰으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현관에 부착된 차임벨에 관한 것으로, 상기 차임벨은 현관문의 외부 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현관문의 도어락과 연동되고, 상기 현관문 내부의 하나 이상의 센서를 통해서 화재가 감지된 경우, 상기 차임벨에서 화재 감지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도어락이 열리게 하는 제어 정보를 상기 도어락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임벨은 하나 이상의 스마트폰과 연동되어, 상기 차임벨을 통해 촬영되는 이미지 정보를 상기 스마트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임벨은, 상기 현관문 내부의 기기를 제어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임벨은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서버와 연동되고, 상기 차임벨에서 전송되는 이미지 정보는 상기 서버에서 DB화되어 저장되고,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차임벨에서 촬영된 이미지 정보가 상기 서버에 저장된 이미지 정보와 기설정된 수준 이상으로 유사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이미지 정보에 대해서 특정 속성을 매핑하여, 상기 차임벨에서 상기 매핑된 특정 속성 정보를 스마트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미지 정보는 사람의 얼굴 이미지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는 차임벨 시스템은, 현관문의 외부 측면에 부착되는 차임벨; 상기 현관문에 설치된 도어락; 상기 차임벨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차임벨의 카메라부에서 수집된 이미지 데이터가 수신되는 스마트폰; 및 상기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현관문 내부의 하나 이상의 센서를 통해서 화재가 감지된 경우, 상기 차임벨에서 화재 감지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도어락이 열리게 하는 제어 정보를 상기 도어락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임벨은, 상기 현관문 내부의 기기를 제어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임벨의 카메라부에서 수집된 이미지 데이터는 상기 서버에서 DB화되어 저장되고,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차임벨의 카메라부에서 수집된 이미지 데이터가 상기 서버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와 기설정된 수준 이상으로 유사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대해서 특정 속성을 매핑하여, 상기 차임벨에서 상기 매핑된 특정 속성 정보를 상기 스마트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미지 데이터는 사람의 얼굴 이미지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차임벨의 제어 방법은, 현관문 내부의 하나 이상의 센서를 통해서 화재가 감지된 경우, 상기 차임벨에서 화재 감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현관문의 도어락이 열리게 하는 제어 정보를 상기 도어락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차임벨을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하나 이상의 스마트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화재감지기능과 IoT 허브 기능을 가진 차임벨에 관한 것으로, 현관문 외부 측면에 차임벨 기기를 부착함으로써 외부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차임벨과 무선으로 연결된 스마트폰에서 현관문 외부 정보를 수신하여, 스마트폰을 통해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차임벨의 연결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차임벨의 화재감지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차임벨의 화재감지 과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예에 따르는 차임벨의 실내 기기 제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차임벨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차임벨의 제어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사용자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나 타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 기반 단말,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나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차임벨의 연결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관 보안 시스템은 차임벨(100)과 도어락(200), 스마트폰(300) 및 화재감지센서(400)가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차임벨(100)은 기존의 초인종을 업그레이드한 개념으로서, 현관문 등에 간단한 방식으로 부착할 수 있는 전자기기이다. 종래의 현관문의 경우 철문으로 외부를 볼 수 있는 외시경을 포함하고 있으며, 현관문과 별도로 인터폰 시스템 등을 통해서 도어벨을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러한 경우, 도어벨이 고장난 경우에 그 수리가 불편하였으며, 외시경의 위치가 현관문의 특정 위치에 부착되어 있음으로써 키가 작은 어린이가 외부 상황을 모니터링하기 불편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는 차임벨(100)은 현관문에 다양한 방식으로 부착할 수 있다. 도어벨의 무게에 따라 그 부착방식이 달라질 수 있으며, 또는 현관문의 재질에 따라서 부착방식이 달라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차임벨(100)은 현관문에 흡착식으로 부착될 수 있으며, 또는 자석으로 부착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접착제(접착테이프)를 이용하거나 구조적인 체결부를 이용하여 부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차임벨(100)은 통신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도어락(200), 스마트폰(300) 및 화재감지센서(400)와 유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스마트폰(300)에서는 차임벨(100)을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차임벨(100)은 도어락(200), 스마트폰(300) 및 화재감지센서(400)는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으며, 블루투스(BT),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등의 근거리 무선 방식으로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차임벨(100), 도어락(200), 스마트폰(300) 및 화재감지센서(400) 간에 별도의 서버를 포함하거나, 공유기 등과 같은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를 구성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도어락(200)은 현관문의 개폐를 수행하는 기기이다. 도어락(200)은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서 기계적으로 동작하여 현관문을 잠금 또는 잠금해제할 수 있다. 도어락(200)에는 다양한 잠금 명령 또는 잠금해제 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잠금 명령 신호로 현관문의 문과 벽의 센서가 일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거나, 전기적인 신호가 흐를 경우, 내부에서 잠금 버튼을 누르는 경우, 스마트폰(300)으로부터 잠금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등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 또한, 잠금 해제 명령 신호로 현관문 상에 기설정된 비밀번호가 입력된 경우, 기설정된 카드(NFC, 비콘 등)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도어락(200)에 입력된 생체 정보(예, 홍채, 지문 등)가 기입력된 생체 정보와 높은 확률로 일치하는 경우, 스마트폰(300)으로부터 잠금 해제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등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도어락(200)은 현관문의 개폐 상황 정보를 스마트폰(3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스마트폰(300)을 통해 현재 현관문이 열린 상태인지 닫힌 상태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도어락(200)은 현관문의 개폐 상황 정보를 스마트폰(300)에 직접 또는 차임벨(100) 기기를 통해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스마트폰(300)은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서 일반적인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화재감지센서(400)는 화재 상황 또는 화재 징후가 발생하는 것을 감지하는 기기이다. 화재감지센서(400)는 현관문 내부의 실내 곳곳에 설치될 수 있으며, 화재가 발생하는 상황을 감지하도록 독립적으로, 또는 전자기기 내부에 포함되어 위치할 수 있다.
화재감지센서(4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차임벨(100), 도어락(200) 및 스마트폰(300)과 연결될 수 있다. 화재감지센서에서 화재 상황이 감지된 경우, 다른 기기로 화재 발생 상황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차임벨의 화재감지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는 외부와 현관문(10)을 통해 구별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현관문(10)을 통해 출입할 수 있다.
화재감지센서(400)에서 화재 상황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침실의 천장에 화재감지센서(400)가 부착되어 있고, 침대에 놓인 전기매트에 전기 합선 등의 이유로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 화재감지센서(400)는 화재가 감지되었음을 차임벨(100), 도어락(200) 및 스마트폰(30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
차임벨(100)은 화재감지센서(400)로부터 화재 발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300)에 전달할 수 있다. 스마트폰(300)의 사용자는 실내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인지하고, 화재 발생에 대한 대응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차임벨(100)은 음성출력부를 통해서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멜로디(사이렌) 또는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해당 소리를 들은 외부인들로 하여금 빠른 구조를 요청하는 신호로 작동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300)은 구조대 등에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SMS, 인터넷 등의 신호로 기설정된 정보(위치, 사용자 연락처)를 구조대 네트워크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을 통해 구조대의 빠른 출동을 유도할 수 있다.
스마트폰(300)은 사용자로부터 현관문이 열리도록 하는 제어 정보를 차임벨(100) 또는 도어락(2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차임벨(100)은 네트워크로 연결된 도어락(200)에 도어락(200)이 열리게 하는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어락(200)은 다양한 기기로부터 현관문(10)이 열리게 하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현관문(10)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여기서, 현관문(10)의 잠금을 해제한다는 것은, 외부에서 비밀번호나 인증 등의 절차를 거치지 않고 문을 열 수 있는 상태로 전환한다는 의미를 포함한다.
상기 설명과 같이, 화재감지센서(400)에서 화재가 감지되어 차임벨(100)이 도어락(200)의 잠금을 해제함으로써, 도어락(200)의 비밀번호 또는 인증을 통과할 수 없는 외부인에게 실내로 들어올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실내의 위급한 사람을 빠르게 구조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효과는, 실내에 화재가 발생한 사실을 알게 되더라도 현관문(10)이 잠겨있음으로써 빠른 구조를 할 수 없었던 기존 환경에 비하여, 옆집 사람, 행인, 경비원, 구조대 등이 빠르게 접근할 수 있는 유리한 측면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차임벨의 화재감지 과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앞서 도 2에서 설명한 상황은 화재가 감지되었을 때 현관문(10)의 잠금이 해제되는 경우에 대한 것이었다. 화재감지센서(400)가 제대로 동작하여 빠른 구조가 이루어진 상황이라면 도2의 상황이 가장 적절할 수 있다.
다만, 화재감지센서(400)에서 화재를 감지한 것이 아니라, 어떠한 이유로든 오작동하여 화재감지 정보를 차임벨(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도어락(200)의 잠금 해제를 한다는 것은 실내 보안을 해제하는 것이기 때문에 도난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차임벨(100)은 화재가 감지되었을 때, 현관문(10)에 접근하는 사람들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비원이 현관문(10)에 접근하는 경우, 차임벨(100)은 카메라부를 통해 경비원의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300)에 전송할 수 있다.
스마트폰(300)에서는 사용자에 의해서 현관문(10)에 접근한 사람에게 도어락(200)의 잠금 해제 정보를 도어락(200)에 전송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경비원이 현관문(10) 앞에 있음을 인지하여, 경비원의 실내 접근을 허용할 수 있다.
다만, 화재가 감지되었으나, 사용자가 이를 바로 확인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스마트폰(300)과 연동된 서버(500)의 DB에 저장된 이미지 정보와 차임벨(100)의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서버(500)는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이미지 정보가 DB에 저장된 이미지 정보와 기설정된 수준 이상으로 유사한지 판단할 수 있다. 서버(500) DB에 미리 저장된 경비원 이미지와 차임벨(100)에서 촬영된 경비원 이미지가 상당히 유사하여 동일인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서버(500)는 스마트폰(300)에 식별된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300)은 차임벨(100) 및/또는 도어락(200)에 도어락 잠금 해제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버(500)에 저장된 이미지 정보는 사람의 얼굴 이미지 정보일 수 있다. 이미지에서 사람을 식별할 수 있는 기존 기술로 인하여 얼굴 이미지가 높은 정확도의 식별력을 가지기 때문이다.
다만, 본 발명에서의 이미지 정보가 반드시 얼굴 이미지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사람의 홍채 이미지, 모세혈관 이미지, 걸음걸이 동적 이미지 등 최근 사람을 식별할 수 있는 다양한 이미지 정보가 이에 해당된다고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서버(500)에 저장된 이미지 정보는 단순히 사용자에 의해서 입력된 이미지 정보뿐만 아니라, 구조대 대원의 이미지 정보 등 구조활동 권한을 가진 다양한 외부 이미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명과 같이, 간단한 인증 절차를 통함으로써, 화재 상황에서도 무분별한 실내 출입을 방지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이러한 간단한 인증이라도 필요한 이유는, 부정한 목적을 가진 도둑이 화재감지센서(400)에 화재가 감지되도록 상황을 만들고, 도어락(200)이 자동으로 잠금 해제되는 상황을 악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예에 따르는 차임벨의 실내 기기 제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차임벨(100)은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도어락(200) 등 다양한 기기와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으며, 실내 가전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임벨(100)은 실내 전등을 제어하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현관문(10)에 외부인이 접근한 경우, 차임벨(100)에서 이미지 정보를 촬영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300) 또는 외부 서버(미도시)를 통해 절도범 식별 등 실내로의 접근을 제한해야 하는 경우임을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차임벨(100)은 실내 조명이 켜지도록 하여 실내에 사람이 있는 것처럼 조성할 수 있다. 또는 TV, 냉장고, 세탁기 등을 동작시킴으로써 유사한 상황을 조성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차임벨(100)은 장기간 도어락(200)의 개폐 정보를 DB로 저장할 수 있으며, 해당 정보를 통해서 사용자의 출입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차임벨(100)은 도어락(200)의 개폐시 마다 이미지를 촬영하여 실내외에 출입하는 한 명 이상의 사용자의 출입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현재 실내에 몇 명이 위치하고 있는지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실내 위치 사용자 수 정보는 차임벨(100)을 통해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먼저, 실내 위치 사용자 수 정보는 독거 노인 관리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차임벨(100) 및 도어락(200)을 통해 일정 시간(예, 48시간) 동안 실내 독거 노인의 외부 출입이 없는 경우, 복지 담당자 시스템에 신고하거나, 주변인에게 이러한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독거 노인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독거 노인과 유사한 예로, 어린 유아와 보호자 1명이 실내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보호자 1명이 의식을 잃는 등으로 도어락(200)의 개폐 정보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실내의 유아는 혼자 현관문을 개폐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구조 요청까지 할 수 없기 때문에, 차임벨(100)을 통해 외부 담당자 또는 기설정된 사용자에게 개폐가 일정 시간 동안 없음을 지시하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의 독거 노인과 어린 유아의 보호에 대한 실시예는 현재 사회적으로 발생하는 복지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설명하고 있다.
또한, 반대 개념으로 사용자가 장기가 실외에 있는 경우(예, 해외 여행), 사용자는 스마트폰(300)을 통해서 실내 전자 기기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IoT 기기들이 간단한 모드(예, 해외여행 모드) 등으로 동작할 수 있으며, 차임벨(100) 역시 스마트폰(300)과 유사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실내에 사용자가 부재하는 경우, 차임벨(100)은 연결된 다양한 실내 기기들과 네트워크로 연결됨으로써, 스마트 IoT 홈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차임벨(100)은 IoT 환경의 허브로서 동작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차임벨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차임벨(100)은 카메라부(110), 음성출력부(120) 및 통신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차임벨(100)은 그밖에 전원부, 센싱부, 램프부, 제어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카메라부(110)는 현관문 외부의 상황을 수집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카메라부(110) 는 현관문 외부의 음성 또는 영상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카메라부(110)는 블랙박스와 같이 24시간 현관문 외부의 상황을 수집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센싱부, 전원부 등의 제어를 통해 동작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카메라부(110)는 현관문 외부의 상황을 수집해야 하기 때문에, 피사체(object)에 대한 최적의 촬영을 위하여, 피사체가 현관문 근처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경우 현관문 밖의 조명이 켜진 상태로 촬영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음성출력부(120)는 현관문 외부의 사람에게 음성 데이터를 출력한다. 현관문 외부의 사람(예, 택배기사, 배달원 등)과 커뮤니케이션이 필요하기 때문에, 스마트폰을 통해 입력된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거나, 차임벨소리를 출력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통신부(130)는 스마트폰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통신부(130)는 스마트폰과 블루투스(BT), 블루투스 저전력(BLE), Wi-Fi Direct(WFD), 지그비 등의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통신부(130)는 공유기(AP) 등과 연결되어, 다른 가전 기기와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임벨(100)은 거실 조명, 신발장 조명 등과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으며, 차임벨(100)이 동작되는 경우, 거실, 신발장 조명이 on/off 되도록 연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전원부(미도시)는 현관 외부에 별도로 부착되는 특성상, 교체가 간단한 전지의 형태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현관문 내측의 무선 충전 패드에 연결되어 상시 전원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소형의 차임벨 사이즈를 고려하여 전지의 형태로 전원을 공급하는 형태가 바람직하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차임벨의 제어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차임벨의 카메라부에서 수집된 이미지 데이터는 서버에서 DB화될 수 있다(S610). 차임벨의 카메라부에서 다양한 이미지를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촬영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이미지 정보는 서버에서 데이터베이스화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관문에 경비원이 접근하면, 차임벨의 카메라부에서는 경비원의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으며, 이를 스마트폰을 통해 서버에 전송함으로써, 서버에서 데이터베이스화 될 수 있다.
서버는 수집된 이미지 데이터가 서버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와 기설정된 수준 이상으로 유사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수집된 이미지 데이터에 특정 속성을 매핑할 수 있다(S620).
예를 들어, 차임벨의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경비원 이미지가 서버에 기저장된 경비원 이미지와 높은 확률로 유사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판단에는 이미지 식별 및 비교 기술이 적용되며,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서버는 기저장된 경비원 A의 이미지임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해당 경비원 A가 현관문에 접근하였음을 해당 경비원 A과 관련된 속성(예, 보안관리)에 매핑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서버에 저장된 경비원 A의 데이터를 통해서, 경비원이 경비 업무를 제대로 수행하고 있는지 등을 판단하는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서버는 경비원 A의 이미지로 결정하였음을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전송할 수 있다(S630). 사용자는 스마트폰을 통해 수신되는 정보를 통해 현재 현관문 앞에 누가 와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가 혼자 사는 경우라면 대부분의 외부인을 사용자 혼자서 식별할 수 있지만, 여러 명이 공동 생활하는 경우(예, 4인 가족)라면, 외부인을 특정할 수 있는 기억이 사용자마다 상이할 수 있기 때문에, 서버를 통해서 누적 관리하여 빠르게 외부인을 식별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쳐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차임벨
200: 도어락
300: 스마트폰
400: 화재감지센서
500: 서버

Claims (10)

  1. 차임벨에 있어서,
    상기 차임벨은 현관문의 외부 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현관문의 도어락과 연동되고,
    상기 현관문 내부의 하나 이상의 센서를 통해서 화재가 감지된 경우, 상기 차임벨에서 화재 감지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도어락이 열리게 하는 제어 정보를 상기 도어락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임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임벨은 하나 이상의 스마트폰과 연동되어,
    상기 차임벨을 통해 촬영되는 이미지 정보를 상기 스마트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임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임벨은,
    상기 현관문 내부의 기기를 제어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임벨.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임벨은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서버와 연동되고,
    상기 차임벨에서 전송되는 이미지 정보는 상기 서버에서 DB화되어 저장되고,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차임벨에서 촬영된 이미지 정보가 상기 서버에 저장된 이미지 정보와 기설정된 수준 이상으로 유사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이미지 정보에 대해서 특정 속성을 매핑하여,
    상기 차임벨에서 상기 매핑된 특정 속성 정보를 스마트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임벨.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정보는 사람의 얼굴 이미지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임벨.
  6. 차임벨 시스템에 있어서,
    현관문의 외부 측면에 부착되는 차임벨;
    상기 현관문에 설치된 도어락;
    상기 차임벨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차임벨의 카메라부에서 수집된 이미지 데이터가 수신되는 스마트폰; 및
    상기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현관문 내부의 하나 이상의 센서를 통해서 화재가 감지된 경우, 상기 차임벨에서 화재 감지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도어락이 열리게 하는 제어 정보를 상기 도어락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임벨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차임벨은,
    상기 현관문 내부의 기기를 제어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임벨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차임벨의 카메라부에서 수집된 이미지 데이터는 상기 서버에서 DB화되어 저장되고,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차임벨의 카메라부에서 수집된 이미지 데이터가 상기 서버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와 기설정된 수준 이상으로 유사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대해서 특정 속성을 매핑하여,
    상기 차임벨에서 상기 매핑된 특정 속성 정보를 상기 스마트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임벨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데이터는 사람의 얼굴 이미지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임벨 시스템.
  10. 차임벨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현관문 내부의 하나 이상의 센서를 통해서 화재가 감지된 경우, 상기 차임벨에서 화재 감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현관문의 도어락이 열리게 하는 제어 정보를 상기 도어락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차임벨을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하나 이상의 스마트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임벨의 제어 방법.
KR1020190145666A 2019-11-14 2019-11-14 화재감지기능과 IoT허브 기능을 가진 차임벨 KR202100583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666A KR20210058336A (ko) 2019-11-14 2019-11-14 화재감지기능과 IoT허브 기능을 가진 차임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666A KR20210058336A (ko) 2019-11-14 2019-11-14 화재감지기능과 IoT허브 기능을 가진 차임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8336A true KR20210058336A (ko) 2021-05-24

Family

ID=76152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5666A KR20210058336A (ko) 2019-11-14 2019-11-14 화재감지기능과 IoT허브 기능을 가진 차임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5833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7433B1 (ko) * 2021-12-16 2022-08-30 주식회사 지케이이엔지 아파트 화재 발생 시의 화재 발생 경보 전파 및 대피로 제공방법
KR102437437B1 (ko) * 2021-12-16 2022-08-30 주식회사 지케이이엔지 아파트 화재 발생 시의 화재 발생 경보 전파 및 대피로 제공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7433B1 (ko) * 2021-12-16 2022-08-30 주식회사 지케이이엔지 아파트 화재 발생 시의 화재 발생 경보 전파 및 대피로 제공방법
KR102437437B1 (ko) * 2021-12-16 2022-08-30 주식회사 지케이이엔지 아파트 화재 발생 시의 화재 발생 경보 전파 및 대피로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98399B2 (en) Property scene adjustments
US10768625B2 (en) Drone control device
US11663870B2 (en) Scalable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and concierge service
US11846477B2 (en) Smart firearm safety device
KR101559682B1 (ko) 실내,외 감시가 가능한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KR20210058336A (ko) 화재감지기능과 IoT허브 기능을 가진 차임벨
TWI744642B (zh) 事件管控方法及事件管控裝置
JP2020106994A (ja) 制御システム
JP2011034136A (ja) 警備システム
JP2019153094A (ja) 照明装置、生体移動検出システム、生体移動検出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11028585A (ja) 警備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