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4241B1 - 대중교통수단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고주파 신호수신을 통한 위치정보제공방법 - Google Patents

대중교통수단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고주파 신호수신을 통한 위치정보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4241B1
KR101694241B1 KR1020140095271A KR20140095271A KR101694241B1 KR 101694241 B1 KR101694241 B1 KR 101694241B1 KR 1020140095271 A KR1020140095271 A KR 1020140095271A KR 20140095271 A KR20140095271 A KR 20140095271A KR 101694241 B1 KR101694241 B1 KR 1016942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blic transportation
transportation means
identification information
termin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5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4125A (ko
Inventor
이기범
서혜령
박진형
송정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얍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얍컴퍼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얍컴퍼니
Priority to KR1020140095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4241B1/ko
Publication of KR20160014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41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4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42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20Monitoring the location of vehicles belonging to a group, e.g. fleet of vehicles, countable or determined number of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대중교통수단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고주파 신호수신을 통한 위치정보제공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대중교통수단(100)에 장착된 위성항법장치(120)를 인공위성(200)을 통해 위치인식서버(300)에 연결하여 실시간으로 파악된 대중교통수단(100) 위치정보를 단말기(400)에 제공하는 위치정보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위치인식서버(300)가,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내에 설치된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고주파 신호발생기(110)로부터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18000-20000Hz 주파수의 고주파 신호를 활성화된 마이크를 통해 자동 수신하여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와 상기 단말기(400) 식별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와 상기 단말기(400) 식별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프로그램(411)이 탑재된 제1단말기(410)가 상기 대중교통수단(100)에 승차됨에 따라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18000-20000Hz 주파수의 고주파 신호의 자동 수신을 통해 상기 프로그램(411)이 자동 실행되어 상기 프로그램(411)이 파악한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와 상기 제1단말기(410) 식별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상기 위치인식서버(300)가, 상기 제1단말기(410)가 상기 대중교통수단(100)에 승차됨에 따라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18000-20000Hz 주파수의 고주파 신호의 자동 수신을 통해 상기 프로그램(411)이 자동 실행되어 상기 프로그램(411)이 파악한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와 상기 제1단말기(410) 식별정보를 상기 제1단말기(410)로부터 전송받은 경우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승차정보와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위치정보를 상기 제1단말기(410) 식별정보에 따라 기등록된 하나 이상의 제2단말기(420)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인식서버(300)가, 상기 제1단말기(410)가 상기 대중교통수단(100)에서 하차됨에 따라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18000-20000Hz 주파수의 고주파 신호의 자동 수신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상기 프로그램(411)이 파악하지 못한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와 상기 제1단말기(410) 식별정보를 상기 제1단말기(410)로부터 전송받지 못한 경우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하차정보와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위치정보를 상기 제1단말기(410) 식별정보에 따라 기등록된 하나 이상의 상기 제2단말기(420)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고주파 신호수신을 통한 위치정보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고주파 신호발생기(110)가 장착된 대중교통수단(100)에 미리 프로그램(411)이 설치된 제1단말기(410)를 소지한 사용자가 탑승을 한 경우 제1단말기(410)에 구비된 활성화된 마이크를 통해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18000-20000Hz 주파수의 고주파 신호가 단방향으로 자동 수신되어 자동으로 프로그램(411)이 실행되고, 실행된 프로그램(411)이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와 상기 단말기(400) 식별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승차정보와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위치정보가 기등록된 하나 이상의 상기 제2단말기(420)에 자동 전송됨으로써 보호자가 예외없이 탑승자의 승차사실과 승차위치, 현위치 등을 파악할 수 있어 불안감 해소에 만전을 기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대중교통수단(100)에서 하차시에도 자동으로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하차정보와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위치정보가 기등록된 하나 이상의 상기 제2단말기(420)에 자동 전송됨으로써 보호자가 예외없이 탑승자의 하차사실과 하차위치 등을 파악할 수 있어 불안감이 해소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대중교통수단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고주파 신호수신을 통한 위치정보제공방법{Positio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using the high frequency signal reception including identification of public transport}
대중교통수단에 승차한 경우 대중교통수단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의 자동 수신을 통해 대중교통수단 위치정보를 지정된 단말기에 실시간으로 알려줌으로써 탑승자가 별도의 행위 하지 않은 경우도 보호자가 탑승자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위치정보제공방법과 위치정보제공서버에 관한 것이다.
최근 택시, 버스 또는 지하철 등의 교통수단 등을 이용시 사고나 범죄 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특히 노약자나 여성 등을 대상으로 한 범죄가 잇따르고 있어,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하는 시민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아침 이른 시간 또는 밤 늦은 시간 등 통행량이 적은 시간에 대중교통수단 이용시 탑승자가 별일 없이 목적지에 도착하는지 보호자 또는 가족 등이 궁금해 하고 있다. 또한 목적지 이전에 하차하거나 사고 등이 발생한 경우 이를 보호자나 가족에게 실시간으로 알릴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필요성 때문에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 10-2013-0082793 에서 '안심 귀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안심 귀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이 안심귀가 서비스를 제공받는 방법은 사물 또는 운송 수단에 부착된 태그를 인식하여 상기 태그에 상응하는 사물 또는 운송 수단 정보, 상기 현재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알림 메시지를 기등록된 하나 이상의 지인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의 안심 귀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탑승자가 태그를 인식하는 별도의 행위를 해야하고 이를 간과 시에는 위치정보 등이 전송되지 않아 안심 귀가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대중교통수단에 탑승시 탑승자의 단말기가 대중교통수단의 식별정보를 자동으로 파악하여 보호자 등에 대중교통수단의 위치정보를 자동으로 제공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 10-2013-0082793 (2013. 07. 22.)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대중교통수단에 탑승시 탑승자의 단말기가 대중교통수단 식별정보를 자동으로 파악하고 이에 상응하여 실시간으로 파악된 대중교통수단의 위치정보 등을 보호자 등에게 자동으로 전송하여 보호자의 불안감을 해소에 도움이 되는 대중교통수단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수신을 통한 위치정보제공방법 및 위치정보제공서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시 말해 탑승자가 별도의 행위를 하지 않은 경우에도 탑승한 대중교통수단 위치정보 등이 자동으로 보호자 등의 단말기에 전송되고, 대중교통수단에는 간단한 대중교통수단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발생기를 장착하여 기존에 운영되고 있는 위치정보제공시스템을 활용함으로써 비용적으로도 유리한 대중교통수단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수신을 통한 위치정보제공방법 및 위치정보제공서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대중교통수단(100)에 장착된 위성항법장치(120)를 인공위성(200)을 통해 위치인식서버(300)에 연결하여 실시간으로 파악된 대중교통수단(100) 위치정보를 단말기(400)에 제공하는 위치정보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위치인식서버(300)가,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와 상기 단말기(400) 식별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와 상기 단말기(400) 식별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프로그램(411)이 탑재된 상기 제1단말기(410)가 상기 대중교통수단(100)에 승차됨에 따라 상기 프로그램(411)이 파악한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와 상기 제1단말기(410) 식별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상기 위치인식서버(300)가, 상기 대중교통수단(100)에 승차됨에 따라 상기 프로그램(411)이 파악한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와 상기 제1단말기(410) 식별정보를 상기 제1단말기(410)로부터 전송받은 경우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승차정보와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위치정보를 상기 제1단말기(410) 식별정보에 따라 기등록된 하나 이상의 제2단말기(420)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인식서버(300)가, 상기 대중교통수단(100)에서 하차됨에 따라 상기 프로그램(411)이 파악하지 못한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와 상기 제1단말기(410) 식별정보를 상기 제1단말기(410)로부터 전송받지 못한 경우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하차정보와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위치정보를 상기 제1단말기(410) 식별정보에 따라 기등록된 하나 이상의 상기 제2단말기(420)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수신을 통한 위치정보제공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와 상기 단말기(400) 식별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와 상기 단말기(400) 식별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프로그램(411)이 탑재된 상기 제1단말기(410)가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승차됨에 따라 상기 프로그램(411)이 파악한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와 상기 제1단말기(410) 식별정보를 전송받는 수신부; 상기 대중교통수단(100)에 장착된 위성항법장치(120)를 인공위성(200)을 통해 연결하여 대중교통수단(100)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제어부: 및 상기 대중교통수단(100)에 승차됨에 따라 상기 프로그램(411)이 파악한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와 상기 제1단말기(410) 식별정보를 상기 제1단말기(410)로부터 전송받은 경우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승차정보와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위치정보를 상기 제1단말기(410) 식별정보에 따라 기등록된 하나 이상의 제2단말기(420)에 전송하는, 상기 대중교통수단(100)에서 하차됨에 따라 상기 프로그램(411)이 파악하지 못한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와 상기 제1단말기(410) 식별정보를 상기 제1단말기(410)로부터 전송받지 못한 경우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하차정보와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위치정보를 상기 제1단말기(410) 식별정보에 따라 기등록된 하나 이상의 상기 제2단말기(420)에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수신을 통한 위치정보제공서버(500)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대중교통수단(100)에 장착된 위성항법장치(120)를 인공위성(200)을 통해 위치인식서버(300)에 연결하여 실시간으로 파악된 대중교통수단(100) 위치정보 등을 단말기(400)에 제공하는 위치정보제공방법에 있어서, 위치정보제공서버(500)가,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와 상기 단말기(400) 식별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와 상기 단말기(400) 식별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프로그램(411)이 탑재된 제1단말기(410)가 상기 대중교통수단(100)에 승차됨에 따라 상기 프로그램(411)이 파악한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와 상기 제1단말기(410) 식별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상기 위치정보제공서버(500)가, 상기 위치인식서버(300)에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위치인식서버(300)가 실시간으로 파악한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위치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상기 위치정보제공서버(500)가, 상기 제1단말기(410)가 상기 대중교통수단(100)에 승차됨에 따라 상기 프로그램(411)이 파악한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와 상기 제1단말기(410) 식별정보를 전송받은 경우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승차정보와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위치정보를 상기 제1단말기(410) 식별정보에 따라 기등록된 하나 이상의 제2단말기(420)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정보제공서버(500)가, 상기 제1단말기(410)가 상기 대중교통수단(100)에서 하차됨에 따라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와 상기 제1단말기(410) 식별정보를 상기 제1단말기(410)로부터 전송받지 못한 경우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하차정보와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위치정보를 상기 제1단말기(410) 식별정보에 따라 기등록된 하나 이상의 상기 제2단말기(420)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수신을 통한 위치정보제공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와 단말기(400) 식별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와 상기 단말기(400) 식별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프로그램(411)이 탑재된 제1단말기(410)가 상기 대중교통수단(100)에 승차됨에 따라 상기 프로그램(411)이 파악한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와 상기 제1단말기(410) 식별정보를 전송받는, 위치인식서버(300)가 실시간으로 파악한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위치정보를 전송받는 수신부; 및 상기 위치인식서버(300)에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를 전송하는, 상기 제1단말기(410)가 상기 대중교통수단(100)에 승차됨에 따라 상기 프로그램(411)이 파악한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와 상기 제1단말기(410) 식별정보를 전송받은 경우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승차정보와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위치정보를 상기 제1단말기(410) 식별정보에 따라 기등록된 하나 이상의 제2단말기(420)에 전송하는, 상기 제1단말기(410)가 상기 대중교통수단(100)에서 하차됨에 따라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와 상기 제1단말기(410) 식별정보를 상기 제1단말기(410)로부터 전송받지 못한 경우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하차정보와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위치정보를 상기 제1단말기(410) 식별정보에 따라 기등록된 하나 이상의 상기 제2단말기(420)에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수신을 통한 위치정보제공서버(500)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중교통수단(100)에 장착된 위성항법장치(120)를 인공위성(200)을 통해 위치인식서버(300)에 연결하여 실시간으로 파악된 대중교통수단(100) 위치정보를 단말기(400)에 제공하는 기존의 위치정보제공방법에 있어서, 대중교통수단(100)에 간단한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발생기(110)를 장착하고 사용자 단말기(400)에 미리 프로그램(411)을 설치하여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수신을 통한 위치정보제공방법이 구현됨으로써 적은 비용이 요구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발생기(110)가 장착된 대중교통수단(100)에 미리 프로그램(411)이 설치된 제1단말기(410)를 소지한 사용자가 탑승을 한 경우 자동으로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와 상기 단말기(400) 식별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와 상기 제1단말기(410) 식별정보에 따라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승차정보와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위치정보가 기등록된 하나 이상의 상기 제2단말기(420)에 자동 전송됨으로써 보호자가 예외없이 탑승자의 승차사실과 승차위치, 현위치 등을 파악할 수 있어 불안감 해소에 만전을 기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대중교통수단(100)에서 하차시에도 자동으로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하차정보와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위치정보가 기등록된 하나 이상의 상기 제2단말기(420)에 자동 전송됨으로써 보호자가 예외없이 탑승자의 하차사실과 하차위치 등을 파악할 수 있어 불안감이 해소될 수 있다.
또한 제1단말기(410) 소지자가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승차 또는 하차됨에 따라 파악된 대중교통수단(100)의 위치정보와 관련된 부가정보가 제1단말기(410)에 제공됨으로써 제1단말기(410) 소지자가 대중교통수단(100) 탑승시간 동안 유용한 정보 또는 관련 쿠폰을 발급받을 수 있고, 하차시 주변의 정보 등을 미리 파악하여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기존의 위치정보제공방법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수신단계와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와 단말기(400) 식별정보 파악단계와 전송단계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3은 위치인식서버(300)를 이용한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수신을 통한 위치정보제공방법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4는 위치인식서버(300)와 위치정보제공서버(500)를 이용한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수신을 통한 위치정보제공방법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5는 위치인식서버(300)를 이용한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수신을 통한 위치정보제공방법에 따른 순서도이다.
도 6은 위치인식서버(300)와 위치정보제공서버(500)를 이용한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수신을 통한 위치정보제공방법에 따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중교통수단(100)은 택시, 버스, 지하철 등 공중이 이용하는 교통수단이면 무엇이든 해당 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 본인 소유의 자가용 등도 해당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발생기(110)는 고주파나 전파 기타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 여하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모든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신호는 음파, 초음파, 전파 등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 모든 것이 가능하다. 사람의 가청범위를 벗어나는 고주파 또는 전파가 바람직하다. 고주파의 경우 18000-20000 Hz의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전파의 경우 블루투스 기술에 사용되는 2400-2500 MHz의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특히 대중교통수단(100) 내에서만 신호의 수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일정한 범위에서 전파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발생기(110)는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어떠한 장치라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고주파의 경우 스피커, 블루투스 기술의 경우 마스터가 역할을 수행한다. 블루투스 기술의 경우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발생기(110)가 마스터(master) 기기 역할을 하고 이를 수신하는 단말기(400) 또는 제1단말기(410)가 슬레이브 기기 역할을 한다. 이들이 연결되어 피코넷(piconet)을 형성한다.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발생기(110)는 대중교통수단(100) 운행시간 내에 지속적으로 신호를 발생시키고, 대중교통수단(100) 운행시간 내에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수신이 가능한 단말기(400) 또는 제1단말기(410)를 소지한 사용자가 대중교통수단(100)에 탑승시, 단말기(400) 또는 제1단말기(410)가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성항법장치(120)(Global Positioning System, 이하 GPS 라한다.)는 인공위성(200)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위치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장치를 말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인식서버(300)란 위성항법장치(120)로부터 전송받은 위치정보 인식하고, 대중교통수단(100) 위치정보, 승차정보, 하차정보 등을 기지정된 하나 이상의 제2단말기(420)에 제공하는 서버를 말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정보제공서버(500)는 위치인식서버(300)로부터 대중교통수단(100) 위치정보 등을 전송받아, 대중교통수단(100) 위치정보, 승차정보, 하차정보 등을 기지정된 하나 이상의 제2단말기(420)에 전송하는 서버를 말한다.
상기 단말기(400) 또는 제1단말기(410)는 휴대전화, 개인용 PC, 업무용 PC, 가맹점 PC, 태블릿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400) 또는 제1단말기(410)는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수신부의 예로는 고주파를 수신할 수 있는 마이크(mike), 블루투스(bluetooth) 기술의 전파를 수신할 수 있는 슬레이브(slave) 등이 있고, 기타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어떠한 장치라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단말기(420)는 보호자, 친구, 가족, 경찰서, 사설경비업체 등 사용자가 자신의 위치정보를 전송받기 원하는 모든 사람과 장소의 단말기를 포함한다. 제2단말기(420)는 휴대전화, 개인용 PC, 업무용 PC, 가맹점 PC, 태블릿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중교통수단(100)에서 상기 신호수신은 자동으로 이루어지거나 수신부를 수동으로 활성화시킨 이후에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다. 신호수신이 자동으로 이루어진 경우 프로그램(411)이 실행되고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와 단말기(400) 또는 제1단말기(410) 식별정보의 파악 및 전송이 이루어지게 된다. 사용자가 수신부를 수동으로 활성화시키는 방식을 선택한 경우 활성화시킨 이후에 신호수신이 있고 프로그램(411)이 실행되어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와 단말기(400) 또는 제1단말기(410) 식별정보의 파악 및 전송이 이루어지게 된다. 사용자는 편리성과 배터리 효율을 모두 감안하여 자동 방식과 수동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단말기(400) 또는 제1단말기(410)에는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를 파악하여,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와 상기 단말기(400) 또는 제1단말기(410)의 식별정보를 위치인식서버(300) 또는 위치정보제공서버(500)에 전송하는 프로그램(411)이 탑재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411)은 사용자가 미리 위치인식서버(300) 또는 위치정보제공서버(500) 등에서 다운받아 단말기(400) 또는 제1단말기(410)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411)은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형태로 상기 단말기(400) 또는 제1단말기(410)에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설치 후에 사용자는 아이디와 비밀번호 등의 사용자 정보 입력하고 회원으로 가입할 수 있고, 대중교통수단(100)의 승차정보, 하차정보, 위치정보 등을 전송받을 하나 이상의 제2단말기(420)를 미리 지정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 긴급상황 발생시 지정된 메세지를 기지정된 하나 이상의 제2단말기(420)에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기존의 위치정보제공방법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기존의 위치정보제공방법은 인공위성(200)으로부터 전송되는 GPS 신호를 대중교통수단(100)에 부착된 위성항법장치(120)가 수신(S11)하여 파악하고, 파악한 대중교통수단(100) 위치정보 등을 위치인식서버(300)에 전송(S12)한다. 상기 위치인식서버(300)가 위치정보의 제공을 원하는 단말기(400)에 대중교통수단(100) 위치정보 등을 제공(S13)하게된다.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위치정보 등에는 승차 또는 하차 시점의 상기 대중교통수단(100)의 위치, 탑승 중의 현재위치, 목적지까지의 예상시간, 상기 대중교통수단(100)의 노선도, 노선도 상의 대중교통수단(100) 들의 현재 위치, 정류장정보 등을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수신단계와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와 단말기(400) 식별정보 파악단계와 전송단계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대중교통수단(100)에 장착된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발생기(110)가 신호를 발생시키면, 제1단말기(410)가 이를 수신(S21)한다. 제1단말기(410)에 미리 설치된 프로그램(411)이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와 제1단말기(410) 식별정보를 파악(S22)한다. 상기 프로그램(411)이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와 제1단말기(410) 식별정보를 위치인식서버(300) 또는 위치정보제공서버(500)에 제공(S23)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위치인식서버(300)를 이용한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수신을 통한 위치정보제공방법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단말기(410) 소지자가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발생기(110)가 부착된 대중교통수단(100)에 승차하여 제1단말기(410)가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최초로 수신(S101)하게 된다. 제1단말기(410)에 미리 설치된 프로그램(411)이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와 제1단말기(410) 식별정보를 파악(S102)하게 된다. 파악된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와 제1단말기(410) 식별정보는 위치인식서버(300)에 최초로 전송(S103)된다. 위치인식서버(300)가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와 제1단말기(410) 식별정보를 최초로 전송받음에 따라 제1단말기(410) 소지인이 대중교통수단(100)에 승차하였음을 파악하고, 대중교통수단(100) 승차정보와 실시간으로 파악중인 대중교통수단(100) 위치정보를 기지정된 하나 이상의 제2단말기(420)에 전송(S104)한다. 제1단말기(410) 소지인이 대중교통수단(100)에 탑승 중에는 계속적으로 신호의 수신(S101)이 있고, 실시간으로 파악중인 대중교통수단(100) 위치정보가 기지정된 하나 이상의 제2단말기(420)에 계속적으로 전송(S104)된다.
제1단말기(410)의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의 수신(S101)은 지정된 간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정된 간격이란 정류소 간 소요시간을 고려하여 정해질 수 있다. 통상 20초에서 120초의 시간 간격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정된 시간은 제1단말기(410) 소지인이 임의로 지정할 수도 있고, 대중교통수단(100)의 실시간 운행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지정될 수도 있다. 상기 신호의 수신(S101)이 지정된 간격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이후의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와 제1단말기(410) 식별정보의 전송단계(S103)와 대중교통수단(100) 승차정보와 위치정보 전송단계(S104)도 지정된 간격으로 이루어진다. 제1단말기(410)의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의 수신(S101)이 최초로 된 경우 또는 지정된 횟수 초과하는 경우 위치인식서버(300)가 제1단말기(410) 소지인의 대중교통수단(100) 승차사실을 파악하고, 제1단말기(410)의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의 수신(S101)이 지정된 간격으로 계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위치인식서버(300)가 제1단말기(410) 소지인이 대중교통수단(100)에 탑승 중인 사실을 파악할 수 있다.
제1단말기(410) 소지인이 대중교통수단(100)에서 하차함에 따라 제1단말기(410)가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불수신(S105)하게 되면 제1단말기(410)로부터 위치인식서버(300)로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와 제1단말기(410) 식별정보가 부전송(S106) 되게 된다. 위치인식서버(300)는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와 제1단말기(410) 식별정보가 부전송(S106)되게 되면 제1단말기(410) 소지인이 대중교통수단(100)에서 하차하였음을 파악하고 대중교통수단(100) 하차정보와 위치정보를 기지정된 하나 이상의 제2단말기(420)에 전송(S107) 하게 된다.
제1단말기(410)의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의 수신(S101)이 지정된 간격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지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신호가 불수신(S105) 되는 경우 제1단말기(410)로부터 위치인식서버(300)로 지정된 시간 초과하여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와 제1단말기(410) 식별정보가 부전송(S106) 되게 된다. 위치인식서버(300)는 지정된 시간 초과하여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와 제1단말기(410) 식별정보가 부전송(S106) 되면 제1단말기(410) 소지인의 대중교통수단(100) 하차정보를 파악하고 기지정된 하나 이상의 제2단말기(420)에 대중교통수단(100) 하차정보와 위치정보를 전송(S107) 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위치인식서버(300)와 위치정보제공서버(500)를 이용한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수신을 통한 위치정보제공방법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단말기(410) 소지자가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발생기(110)가 부착된 대중교통수단(100)에 승차하여 제1단말기(410)가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최초로 수신(S201)하게 된다. 제1단말기(410)에 미리 설치된 프로그램(411)이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와 제1단말기(410) 식별정보를 파악(S202)하게 된다. 파악된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와 제1단말기(410) 식별정보는 위치정보제공서버(500)에 최초로 전송(S203)된다. 위치정보제공서버(500)는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를 대중교통수단(100)의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중인 위치인식서버(300)에 전송(S204)하고, 위치인식서버(300)가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대중교통수단(100) 위치정보를 위치정보제공서버(500)에 전송(S205)한다. 위치정보제공서버(500)가 제1단말기(410)로부터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와 제1단말기(410) 식별정보를 최초로 전송(S203) 받은 경우, 위치정보제공서버(500)가 제1단말기(410) 소지인이 대중교통수단(100)에 승차하였음을 파악하고, 대중교통수단(100) 승차정보와 위치인식서버(300)로부터 전송(S205)받은 대중교통수단(100) 위치정보를 기지정된 하나 이상의 제2단말기(420)에 전송(S206)한다. 제1단말기(410) 소지인이 대중교통수단(100)에 탑승 중에는 계속적인 신호의 수신(S201)이 있고, 실시간으로 파악중인 대중교통수단(100) 위치정보가 위치정보제공서버(500)로부터 기지정된 하나 이상의 제2단말기(420)에 계속적으로 전송(S206)된다.
제1단말기(410)의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의 수신(S201)은 지정된 간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정된 간격이란 정류소 간 소요시간을 고려하여 정해질 수 있다. 통상 20초에서 120초의 시간 간격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정된 시간은 제1단말기(410) 소지인이 임의로 지정할 수도 있고, 대중교통수단(100)의 실시간 운행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지정될 수도 있다. 상기 신호의 수신(S201)이 지정된 간격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이후의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와 제1단말기(410) 식별정보의 전송단계(S203),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 전송단계(S204), 대중교통수단(100) 위치정보 전송단계(S205)와 대중교통수단(100) 승차정보와 위치정보 전송단계(S206)도 지정된 간격으로 이루어진다. 제1단말기(410)의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의 수신(S201)이 최초로 된 경우 또는 지정된 횟수 초과하는 경우, 위치정보제공서버(500)가 제1단말기(410) 소지인의 대중교통수단(100) 승차사실을 파악하고, 제1단말기(410)의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의 수신(S201)이 지정된 간격으로 계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위치인식서버(300)가 제1단말기(410) 소지인이 대중교통수단(100)에 탑승 중인 사실을 파악할 수 있다.
제1단말기(410) 소지인이 대중교통수단(100)에서 하차함에 따라 제1단말기(410)가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불수신(S207)하게 되면 제1단말기(410)로부터 위치정보제공서버(500)로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와 제1단말기(410) 식별정보가 부전송(S208) 되게 된다. 위치정보제공서버(500)는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와 제1단말기(410) 식별정보가 부전송(S208)되게 되면 제1단말기(410) 소지인이 대중교통수단(100)에서 하차하였음을 파악하고 위치인식서버(300)와의 단계를 진행하지 않고 대중교통수단(100) 하차정보와 위치정보를 기지정된 하나 이상의 제2단말기(420)에 전송(S209) 하게 된다.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수신을 통한 위치정보제공방법에는 제1단말기(410)가 상기 대중교통수단(100)에 승차됨에 따라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위치정보와 관련된 부가정보를 제1단말기(410)에 전송하는 단계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부가정보의 제공은 승차시, 탑승중, 하차시 등의 상황에 따라 위치인식서버(300) 또는 위치정보제공서버(500)로부터 제1단말기(410)로 계속적으로 전송되며, 부가정보 전송 여부는 제1단말기(410) 소지인의 선택에 따라 활성화되거나 비활성화될 수 있다.
승차시 또는 탑승중의 부가정보에는 제1단말기(410) 소지인이 대중교통수단(100)에 승차 이후 노선도 정류장 근처 매장에서 사용가능한 쿠폰발행, 발행된 쿠폰 사용 가능 매장위치, 노선도 상의 서비스제공장소의 현황정보, 탑승 중 시간 활용 위한 기사나 정보의 제공이 포함된다. 또한 탑승 이후의 실시간 교통상황정보, 도착지까지의 시간, 날씨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부가정보는 제1단말기(410) 소지인의 승차위치, 승차시 시간, 탑승중 위치, 탑승시간, 쿠폰 발행 내역, 쿠폰 사용 내역, 탑승 중의 기존의 부가정보 활용패턴 등 기축적된 데이터를 위치인식서버(300) 또는 위치정보제공서버(500)가 분석하여 실시간으로 변형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부가정보에는 지정된 횟수 이상의 쿠폰 발행 또는 쿠폰 사용이 적립되어 조건이 성취되면 경품 등의 제공을 포함한다. 제1단말기(410) 소지인은 발행된 쿠폰 사용가능한 매장을 파악하고 하차 정류장 등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승차시 또는 탑승 중에 제공되는 부가정보에는 근처의 영화관의 잔여좌석정보, 콘서트 잔여좌석 정보 등도 포함한다.
하차시의 부가정보에는 발급받은 쿠폰의 사용가능한 매장위치, 추가의 쿠폰발행이 가능한 매장위치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부가정보는 제1단말기(410) 소지인의 하차위치, 하차시간, 쿠폰 발행 내역, 쿠폰 사용 내역 등 기축적된 데이터를 위치인식서버(300) 또는 위치정보제공서버(500)가 분석하여 실시간으로 변형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부가정보에는 지정된 횟수 이상의 쿠폰 발행 또는 쿠폰 사용이 적립되어 조건이 성취되면 경품 등의 제공을 포함한다. 또한 하차시에 제공되는 부가정보에는 근처의 영화관의 잔여좌석정보, 콘서트 잔여좌석 정보 등도 포함한다.
상기의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수신을 통한 위치정보제공방법 및 위치정보제공서버(500)는 정류장에 설치된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발생기와 연계되어 사용될 수 있다. 즉 정류장에 설치된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발생기를 통해 대중교통수단의 도착시간 전에 제1단말기(410) 소지인이 상기 대중교통수단(100)의 승차를 예약하고, 예약사실이 제2단말기(420)에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승차 전에 승차할 대중교통수단(100)의 예약을 통해 탑승중에 발급될 쿠폰 발행이 예약될 수 있다. 또한 하차시에는 하차된 정류장의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발생기의 신호를 수신하여 하차 정류장 근처의 부가정보를 제1단말기(410)가 수신할 수 있고, 하차정보가 제2단말기(420)에 전송되어 하차정보가 다시 한번 확인될 수 있다.
상기의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수신을 통한 위치정보제공방법 및 위치정보제공서버(500)는 일반 길거리, 학교, 그외의 특정장소 등에 설치된 신호발생기와 연계되어 확장된 위치정보제공방법 및 위치정보제공서버로 이용될 수 있다. 즉 대중교통수단에 한정되지 않고 광범위한 신호 수신을 통해 제1단말기(410) 소지인의 위치를 자동적으로 제2단말기(420) 소지인이 실시간으로 파악함으로써 보다 안전한 귀가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1단말기(410) 소지인은 자신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고 위치정보에 따른 다양한 부가정보를 전송받아 보다 효율적인 시간활용을 할 수 있다.
상기의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수신을 통한 위치정보제공방법 및 위치정보제공서버(500)는 정류장 또는 지하철역 근처의 서비스제공장소에 설치된 서비스제공장소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발생기와 연계되어 사용될 수 있다. 즉 서비스제공장소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발생기가 설치된 서비스제공장소에 제1 단말기(410) 소지인이 입장시 입장정보와 서비스제공장소 위치정보가 제2단말기(420) 소지인에 전송되어 제2단말기 소지인이 제1단말기 소지인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제1단말기(410) 소지인은 대중교통수단(100)에 승차시 또는 탑승중에 발행된 쿠폰을 서비스제공장소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발생기가 설치된 서비스제공장소에서 사용가능한지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대중교통수단(100)에 승차시 또는 탑승중 발행된 쿠폰이 서비스제공장소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발생기가 설치된 서비스 제공장소에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사용내역이 적립되고 일정 조건 만족시 추가의 경품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부가정보의 제공과 추가의 경품제공을 통해 제1단말기 소지인은 시간활용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고, 구매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의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수신을 통한 위치정보제공방법 및 위치정보제공서버(500)는 제2단말기(420)에는 전송없이 단독으로 제1단말기(410) 소지인에게 승차 전, 승차시, 탑승중, 하차시, 하차후에 대중교통수단(100) 위치정보와 대중교통수단(100) 위치정보와 관련된 부가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의 전송을 통해 제1단말기(410) 소지인이 자신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위치정보와 관련된 부가정보의 활용을 통해 시간을 절약하고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의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수신을 통한 위치정보제공방법 및 위치정보제공서버(500)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위치정보제공을 요하는 다양한 상황에 적용될 수 있으며, 다양한 상황에 적용되는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수신을 통한 위치정보제공방법 및 위치정보제공서버(500) 모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범주에 속한다고 볼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대중교통수단
110 :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발생기
120 : 위성항법장치(GPS)
200 : 인공위성
300 : 위치인식서버
400 : 단말기
410 : 제1단말기
411 : 프로그램
420: 제2단말기
500 : 위치정보제공서버

Claims (12)

  1. 대중교통수단(100)에 장착된 위성항법장치(120)를 인공위성(200)을 통해 위치인식서버(300)에 연결하여 실시간으로 파악된 대중교통수단(100) 위치정보를 단말기(400)에 제공하는 위치정보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위치인식서버(300)가,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내에 설치된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고주파 신호발생기(110)로부터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18000-20000Hz 주파수의 고주파 신호를 활성화된 마이크를 통해 자동 수신하여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와 상기 단말기(400) 식별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와 상기 단말기(400) 식별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프로그램(411)이 탑재된 제1단말기(410)가 상기 대중교통수단(100)에 승차됨에 따라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18000-20000Hz 주파수의 고주파 신호의 자동 수신을 통해 상기 프로그램(411)이 자동 실행되어 상기 프로그램(411)이 파악한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와 상기 제1단말기(410) 식별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상기 위치인식서버(300)가, 상기 제1단말기(410)가 상기 대중교통수단(100)에 승차됨에 따라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18000-20000Hz 주파수의 고주파 신호의 자동 수신을 통해 상기 프로그램(411)이 자동 실행되어 상기 프로그램(411)이 파악한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와 상기 제1단말기(410) 식별정보를 상기 제1단말기(410)로부터 전송받은 경우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승차정보와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위치정보를 상기 제1단말기(410) 식별정보에 따라 기등록된 하나 이상의 제2단말기(420)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인식서버(300)가, 상기 제1단말기(410)가 상기 대중교통수단(100)에서 하차됨에 따라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18000-20000Hz 주파수의 고주파 신호의 자동 수신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상기 프로그램(411)이 파악하지 못한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와 상기 제1단말기(410) 식별정보를 상기 제1단말기(410)로부터 전송받지 못한 경우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하차정보와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위치정보를 상기 제1단말기(410) 식별정보에 따라 기등록된 하나 이상의 상기 제2단말기(420)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고주파 신호수신을 통한 위치정보제공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내에 설치된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고주파 신호발생기(110)로부터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18000-20000Hz 주파수의 고주파 신호의 자동 수신과 이에 따라 상기 프로그램(411)이 자동 실행되어 상기 프로그램(411)이 파악한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와 상기 제1단말기(410) 식별정보 전송은 지정된 간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대중교통수단(100)에 승차됨에 따라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18000-20000Hz 주파수의 고주파 신호의 자동 수신을 통해 상기 프로그램(411)이 자동 실행되어 상기 프로그램(411)이 파악한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와 상기 제1단말기(410) 식별정보를 상기 제1단말기(410)로부터 지정된 간격으로 전송받은 경우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승차정보와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위치정보를 상기 제1단말기(410) 식별정보에 따라 기등록된 하나 이상의 제2단말기(420)에 지정된 간격으로 전송하고,
    상기 대중교통수단(100)에서 하차됨에 따라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18000-20000Hz 주파수의 고주파 신호의 자동 수신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상기 프로그램(411)이 파악하지 못한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와 상기 제1단말기(410) 식별정보를 상기 제1단말기(410)로부터 지정된 간격을 초과하여 전송받지 못한 경우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하차정보와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위치정보를 상기 제1단말기(410) 식별정보에 따라 기등록된 하나 이상의 상기 제2단말기(420)에 전송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고주파 신호수신을 통한 위치정보제공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인식서버(300)가, 상기 제1단말기(410)가 상기 대중교통수단(100)에 승차됨에 따라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위치정보와 관련된 부가정보를 파악하고 제1단말기(410)에 전송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고주파 신호수신을 통한 위치정보제공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인식서버(300)가, 상기 제1단말기(410)가 상기 대중교통수단(100)에서 하차됨에 따라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위치정보와 관련된 부가정보를 파악하고 제1단말기(410)에 전송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고주파 신호수신을 통한 위치정보제공방법.
  6. 삭제
  7. 대중교통수단(100)에 장착된 위성항법장치(120)를 인공위성(200)을 통해 위치인식서버(300)에 연결하여 실시간으로 파악된 대중교통수단(100) 위치정보 등을 단말기(400)에 제공하는 위치정보제공방법에 있어서,
    위치정보제공서버(500)가,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내에 설치된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고주파 신호발생기(110)로부터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18000-20000Hz 주파수의 고주파 신호를 활성화된 마이크를 통해 자동 수신하여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와 상기 단말기(400) 식별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와 상기 단말기(400) 식별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프로그램(411)이 탑재된 제1단말기(410)가 상기 대중교통수단(100)에 승차됨에 따라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18000-20000Hz 주파수의 고주파 신호의 자동 수신을 통해 상기 프로그램(411)이 자동 실행되어 상기 프로그램(411)이 파악한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와 상기 제1단말기(410) 식별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상기 위치정보제공서버(500)가, 상기 위치인식서버(300)에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위치인식서버(300)가 실시간으로 파악한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위치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상기 위치정보제공서버(500)가, 상기 제1단말기(410)가 상기 대중교통수단(100)에 승차됨에 따라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18000-20000Hz 주파수의 고주파 신호의 자동 수신을 통해 상기 프로그램(411)이 자동 실행되어 상기 프로그램(411)이 파악한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와 상기 제1단말기(410) 식별정보를 상기 제1단말기(410)로부터 전송받은 경우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승차정보와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위치정보를 상기 제1단말기(410) 식별정보에 따라 기등록된 하나 이상의 제2단말기(420)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정보제공서버(500)가, 상기 제1단말기(410)가 상기 대중교통수단(100)에서 하차됨에 따라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18000-20000Hz 주파수의 고주파 신호의 자동 수신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상기 프로그램(411)이 파악하지 못한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와 상기 제1단말기(410) 식별정보를 상기 제1단말기(410)로부터 전송받지 못한 경우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하차정보와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위치정보를 상기 제1단말기(410) 식별정보에 따라 기등록된 하나 이상의 상기 제2단말기(420)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고주파 신호수신을 통한 위치정보제공방법.
  8. 삭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내에 설치된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고주파 신호발생기(100)로부터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18000-20000Hz 주파수의 고주파 신호의 자동 수신과 이에 따라 상기 프로그램(411)이 자동 실행되어 상기 프로그램(411)이 파악한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와 상기 제1단말기(410) 식별정보 전송은 지정된 간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대중교통수단(100)에 승차됨에 따라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18000-20000Hz 주파수의 고주파 신호의 자동 수신을 통해 상기 프로그램(411)이 자동 실행되어 상기 프로그램(411)이 파악한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와 상기 제1단말기(410) 식별정보를 상기 제1단말기(410)로부터 지정된 간격으로 전송받은 경우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승차정보와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위치정보를 상기 제1단말기(410) 식별정보에 따라 기등록된 하나 이상의 제2단말기(420)에 지정된 간격으로 전송하고,
    상기 대중교통수단(100)에서 하차됨에 따라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18000-20000Hz 주파수의 고주파 신호의 자동 수신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상기 프로그램(411)이 파악하지 못한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와 상기 제1단말기(410) 식별정보를 상기 제1단말기(410)로부터 지정된 간격을 초과하여 전송받지 못한 경우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하차정보와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위치정보를 상기 제1단말기(410) 식별정보에 따라 기등록된 하나 이상의 상기 제2단말기(420)에 전송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고주파 신호수신을 통한 위치정보제공방법.
  10. 제 7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제공서버(500)가, 상기 제1단말기(410)가 상기 대중교통수단(100)에 승차됨에 따라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위치정보와 관련된 부가정보를 파악하고 제1단말기(410)에 전송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고주파 신호수신을 통한 위치정보제공방법.
  11. 제 7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제공서버(500)가, 상기 제1단말기(410)가 상기 대중교통수단(100)에서 하차됨에 따라 상기 대중교통수단(100) 위치정보와 관련된 부가정보를 파악하고 제1단말기(410)에 전송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대중교통수단(100)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고주파 신호수신을 통한 위치정보제공방법.
  12. 삭제
KR1020140095271A 2014-07-28 2014-07-28 대중교통수단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고주파 신호수신을 통한 위치정보제공방법 KR1016942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5271A KR101694241B1 (ko) 2014-07-28 2014-07-28 대중교통수단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고주파 신호수신을 통한 위치정보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5271A KR101694241B1 (ko) 2014-07-28 2014-07-28 대중교통수단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고주파 신호수신을 통한 위치정보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4125A KR20160014125A (ko) 2016-02-11
KR101694241B1 true KR101694241B1 (ko) 2017-01-09

Family

ID=55351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5271A KR101694241B1 (ko) 2014-07-28 2014-07-28 대중교통수단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고주파 신호수신을 통한 위치정보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42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2602B1 (ko) * 2017-04-18 2020-01-08 황병구 공간정보기술을 활용한 좌석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15175B1 (ko) * 2019-02-01 2020-05-26 주식회사 씨앤에이치커뮤니케이션즈 위치 추적 장치 및 방법
KR102330466B1 (ko) * 2019-11-06 2021-11-24 (주)에이텍티앤 고정밀 저전력 블루투스 신호 암호화를 이용한 차량 탑승 관리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9452B1 (ko) * 2005-09-06 2006-09-2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안심 대중교통 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KR101243682B1 (ko) * 2011-11-23 2013-03-25 (주)한우리 개인 맞춤형 대중교통 정보처리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4268A (ko) * 2005-06-22 2006-12-28 주식회사 팬택 승객 안심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20130082793A (ko) 2011-12-19 2013-07-22 (주)써스포 안심 귀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9452B1 (ko) * 2005-09-06 2006-09-2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안심 대중교통 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KR101243682B1 (ko) * 2011-11-23 2013-03-25 (주)한우리 개인 맞춤형 대중교통 정보처리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4125A (ko) 2016-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191850A1 (en) Alert Method, Apparatus, System and Program Product
KR101935001B1 (ko) 버스정류소 교통약자 승차 예약 시스템
US8725313B2 (en) System,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vehicular communication
JPH10108246A (ja) 呼出局と1以上の被呼局との間で通信を確立する装置及び方法
KR101868321B1 (ko) 대중교통 스마트 승하차 관리시스템
JPWO2003027618A1 (ja) 案内システム、案内装置、案内装置と通信する無線装置
KR101694241B1 (ko) 대중교통수단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고주파 신호수신을 통한 위치정보제공방법
KR20180067574A (ko) 차량 추적 경보 시스템
JP2009010883A (ja) 電波発信規制機能付き車載装置及び電波発信規制システム
US20100214134A1 (en) Vehicle arrival alerting method and system thereof
US20030112141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emergency information from a communication device outside a vehicle
KR101414344B1 (ko) 긴급차량접근 알림 및 피양 안내 시스템
WO2013110388A1 (en) Method, network entity and communication system for increasing traffic security
JP6851048B2 (ja) タクシー手荷物忘れ防止システム
JP4784554B2 (ja) プローブデータ収集システム
JP2002288785A (ja) 交通支援システム及び交通支援方法
KR102157262B1 (ko)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
JP2016218726A (ja) 歩行者端末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歩車間通信システム及び歩行者端末送信方法
JP2007004772A (ja) ワイヤレス・システムを介して緊急対応を提供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04251692A (ja) 情報通信システム
JP7021525B2 (ja) 介助支援端末、介助支援システム、介助支援方法、および介助支援プログラム
RU2705716C1 (ru) Способ и компоновка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выходной громкостью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одного акустического устройства
JP5325476B2 (ja) 携帯端末、および携帯端末の機能制限方法
KR101653640B1 (ko) 블루투스를 활용한 안심택시 서비스
JP5897096B1 (ja) 車両の走行支援通信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100279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521

Effective date: 2016110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