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2793A - 안심 귀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안심 귀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2793A
KR20130082793A KR1020110137603A KR20110137603A KR20130082793A KR 20130082793 A KR20130082793 A KR 20130082793A KR 1020110137603 A KR1020110137603 A KR 1020110137603A KR 20110137603 A KR20110137603 A KR 20110137603A KR 20130082793 A KR20130082793 A KR 201300827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information
tag
servi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7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창호
김강구
권창희
Original Assignee
(주)써스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써스포 filed Critical (주)써스포
Priority to KR1020110137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82793A/ko
Publication of KR20130082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27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안심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사용자 단말이 안심귀가 서비스를 제공받는 방법은 사물 또는 운송 수단에 부착된 태그를 인식하여 상기 태그에 상응하는 사물 또는 운송 수단 정보를 획득한 후 사용자 단말에 대한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사물 또는 운송 수단 정보, 상기 현재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알림 메시지를 기등록된 하나 이상의 지인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심 귀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afety home-coming service}
본 발명은 대중교통을 이용하거나 임의의 관광지를 여행하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안심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택시, 버스, 지하철 등과 같은 대중 교통을 통한 범죄가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늦은 시간 귀가하는 여성, 학생, 노약자의 경우, 택시 이용시, 택시 번호를 휴대 단말을 이용하여 촬영한 뒤 부모님 등에게 전송하는 수준으로 신변을 보호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대중 교통 수단 이용 또는 낯선 특정 관광지를 여행하는 사용자의 위치를 자동으로 추적하여 실시간으로 보호자에게 전송하는 등과 같이 보다 안정적으로 신변을 보호 할수 있는 해결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10-2005-0047669(2005. 05. 23)
본 발명은 대중교통을 이용하거나 임의의 관광지를 여행하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안심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여 등록된 지인에게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안심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이 안심귀가 서비스를 제공받는 방법에 있어서, 사물 또는 운송 수단에 부착된 태그를 인식하여 상기 태그에 상응하는 사물 또는 운송 수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사물 또는 운송 수단 정보, 상기 현재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알림 메시지를 기등록된 하나 이상의 지인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알림 메시지를 기등록된 하나 이상의 지인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일정 시간마다 상기 현재 단말의 현재 위치를 획득하여 이동 경로를 추적하는 단계; 상기 이동 경로에 따른 추적 지도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경로를 일정 주기마다 상기 지인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적 지도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안심 귀가에 따른 보험 가입을 위한 보험 가입 메뉴를 디스플레이상의 일 영역에 상기 추적 지도와 함께 표출시킬 수 있다.
상기 알림 메시지를 기등록된 하나 이상의 지인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알림 메시지를 사용자로부터 긴급 호출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긴급 호출 명령이 입력된 경우, 지정된 경찰청 서버 또는 보험사 서버로 긴급 통화를 시도하거나 긴급 호출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태그가 관광지에 부착된 태그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추천 명소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받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태그는 N차원 코드, RFID 태그 및 NFC 태그 중 적어도 하나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과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안심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태그 정보를 포함하는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 요청에 상응하여 상기 태그 정보에 대응하는 사물 또는 운송 수단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일정 주기마다 위치 정보를 요청하여 저장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는 단계; 및 상기 사물 또는 운송 수단 정보, 상기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응하여 기등록된 지인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 요청에 목적지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이동 경로를 추적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이동 경로가 상기 목적지 정보로의 이동 경로와 다른 경우, 위급 상황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지인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물 또는 운송 수단 정보는 운송 수단 차량 번호 및 회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상기 사물 또는 운송 수단 정보를 이용하여 운송 수단의 회사 서버로 안심귀가 서비스 동작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긴급 호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긴급 호출 요청 수신에 상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긴급 호출 메시지를 기등록된 보험사 서버 또는 경찰청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안심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
안심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통신부; 사물 또는 운송 수단에 부착된 태그를 인식하여 상기 태그에 상응하는 사물 또는 운송 수단 정보를 획득하는 리더기;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획득부; 및 상기 사물 또는 운송 수단 정보, 상기 현재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알림 메시지를 기등록된 하나 이상의 지인 단말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알림 메시지를 상기 지인 단말로 전송한 이후, 상기 위치 획득부를 통해 일정 시간마다 상기 현재 단말의 현재 위치를 획득하여 이동 경로를 추적하도록 제어하고, 일정 주기마다 상기 지인 단말로 상기 추적된 이동 경로를 전송하되, 상기 이동 경로에 따른 추적 지도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심 귀가에 따른 보험 가입을 위한 보험 가입 메뉴를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에 상기 추적 지도와 함께 표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긴급 호출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긴급 호출 명령의 입력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긴급 호출 명령이 입력된 경우, 지정된 경찰청 서버 또는 보험사 서버로 긴급 통화를 시도하거나 긴급 호출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태그가 관광지에 부착된 태그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추천 명소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받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태그는 N차원 코드, RFID 태그 및 NFC 태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물 또는 운송 수단에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태그-상기 태그는 태그 정보를 포함함; 상기 태그를 인식하여 상기 태그 정보를 획득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태그 정보를 수신받아 상응하는 사물 또는 운송 수단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거나 상기 사물 또는 운송 수단 정보를 포함하는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응하여 기등록된 하나 이상의 지인 단말로 전송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사물 또는 운송 수단 정보를 제공받은 이후, 일정 주기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되,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추적 지도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긴급 호출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긴급 호출 메시지를 기등록된 보험사 서버 또는 경찰청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태그 정보 수신에 상응하여, 안심귀가에 상응하는 보험 안내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보험 안내 정보에 상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가입 요청 수신시, 보험사 서버로 보험 가입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대중교통을 이용하거나 임의의 관광지를 여행하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안심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여 등록된 지인에게 제공하여 안심하고 귀가하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심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심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심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출력된 운송 수단 정보를 예시한 도면.
도 7은 지인 단말에 출력되는 알림 메시지를 예시한 도면.
도 8은 사용자 단말에 위치 추적에 상응하여 표출된 지도 정보를 예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심 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심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태그(110), 사용자 단말(120) 및 서비스 제공 서버(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태그(110)는 차량과 같은 운행수단, 특정 위치(예를 들어, 판촉물, 관광지 등)에 부착 또는 프린트된다. 예를 들어, 운행수단은 버스, 지하철, 택시 등과 같은 대중 교통 수단일 수 있다. 물론, 태그(110)는 운행수단 이외에도, 해당 운행수단을 업으로 이용하는 기사(예를 들어, 버스 운전 기사, 대리운전 기사, 택시 기사 등)가 소지한 특정 물품 또는 해당 기사들이 착용하는 유니폼의 특정 위치에 부착 또는 프린트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태그(110)가 택시의 특정 위치에 부착 또는 프린트된 것을 가정하여 이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태그(110)는 N차원 코드, RFID 태그 및 NFC 태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N차원 코드는 바코드 또는 QR 코드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120)은 태그(110)를 인식하여 태그 정보를 획득한 후 해당 사용자에 상응하여 기등록된 지인의 단말(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지인 단말이라 칭하기로 함)로 운송수단 탑승 또는 하차에 따른 알림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기 위한 장치이다.
또한, 사용자 단말(120)은 태그(110) 인식에 상응하여 일정 주기마다 해당 사용자 단말(120)의 위치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120) 또는 지인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택시에 탑승하여 소지한 사용자 단말(120)을 이용하여 택시에 부착된 태그(110)를 인식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20)은 사전 등록된 지인 단말 또는 서비스 제공 서버(120)로 당해 사용자 단말(120)이 택시에 탑승한 시간 정보 및 해당 사용자 단말(120)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알림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20)로 안심귀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이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20)이 운행수단에 부착된 태그(110) 인식시, 해당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태그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미리 지정된 방법으로 알림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20)에 상응하여 등록된 지인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알림 정보를 생성하는 주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20)일 수도 있으며, 서비스 제공 서버(120)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각각의 실시예를 모두 포함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태그 정보를 획득한 후, 일정 주기마다 해당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위치 정보를 분석할 수도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120)의 상세 기능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설명]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20)은 통신부(210), 입력부(215), 리더기(220), 위치 획득부(225), 디스플레이부(230), 저장부(235) 및 제어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신부(210)는 통신망을 통해 다른 장치들(예를 들어, 지인 단말(미도시), 서비스 제공 서버(12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수단이다.
입력부(215)는 사용자로부터 당해 사용자 단말(12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 어플리케이션 구동을 위한 제어 명령 등을 입력받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입력부(215)는 복수의 키 버튼(예를 들어, 숫자/문자키, * 또는 # 기호키, 하나 이상의 기능키(예를 들어, 메뉴키, 통화키, 확인키, 어플리케이션 실행키 등)로 구현되거나 터치 스크린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리더기(220)는 사물 또는 운행 수단에 부착된 태그를 인식하여 태그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수단이다. 여기서, 태그 정보는 해당 태그를 식별하기 위한 태그 코드를 포함한다. 태그 코드는 적어도 하나의 숫자 및 적어도 하나의 문자 또는 숫자와 문자의 조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더기(220)는 태그(110) 인식을 통해 획득된 태그 정보를 제어부(240)로 출력할 수 있다.
위치 획득부(225)는 제어부(240)의 제어에 따라 당해 사용자 단말(120)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위치 획득부(225)는 사용자 단말(120)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한 후 이를 제어부(240)의 제어에 따라 서비스 제공 서버(120)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당해 사용자 단말(120)이 별도의 GPS 모듈을 구비하는 경우, 위치 획득부(225)는 구비된 GPS 모듈을 통해 GPS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당해 사용자 단말(120)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20)은 이동통신 시스템과 연동되어 해당 사용자 단말(120)을 통해 당해 사용자 단말(12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이동통신 시스템과 연동되어 사용자 단말(12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은 셀방식을 이용하거나 무선 중계기의 식별정보(예를 들어, SSID)를 이용할 수 있다.
GPS 모듈을 통해 위치 정보를 획득하거나 이동통신 시스템과 연동되어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은 이미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디스플레이부(230)는 당해 사용자 단말(120)을 통해 입력/수신되는 데이터, 기저장된 데이터를 시각 정보의 형태로 출력하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230)는 액정화면(LCD)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230)는 제어부(240)의 제어에 따라 당해 사용자 단말(120)에 상응하는 추적 지도를 출력할 수도 있다.
저장부(2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20)을 운용하기 위해 필요한 소프트웨어, 태그(110) 인식을 통해 획득된 태그 정보 등을 저장한다.
제어부(24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20)의 내부 구성 요소들(예를 들어, 통신부(210), 입력부(215), 리더기(220), 위치 획득부(225), 디스플레이부(230), 저장부(235) 등)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이다.
또한, 제어부(240)는 리더기(220)를 통해 태그 정보가 획득되면, 해당 위치 획득부(225)로 위치 정보 획득 명령을 전송하여 당해 사용자 단말(120)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0)는 태그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120)로 전송하고, 해당 서비스 제공 서버(120)로부터 당해 태그(110)가 부착된 사물 또는 운송 수단에 대한 정보(이하에서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사물 또는 운송 정보라 칭하기로 함)를 획득한 후, 해당 사물 또는 운송 정보와 함께 시간 정보를 포함하여 알림 정보를 생성하여 기등록된 하나 이상의 지인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알림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20)의 지인 단말로 전송하는 주체가 사용자 단말(120) 이외에도 서비스 제공 서버(120)일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별도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설명]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송수신부(310), 위치 획득부(315), 메시지 생성부(320), 저장부(325) 및 서비스 제어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송수신부(310)는 통신망을 통해 다른 장치들(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송수신부(310)는 서비스 제어부(330)의 제어에 따라 사물 또는 운송 정보를 사용자 단말(120)로 전송할 수 있다.
위치 획득부(315)는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일정 주기마다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해당 위치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수단이다.
메시지 생성부(320)는 안심귀가 서비스 가입된 사용자 단말(120)에 상응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120)에 상응하여 사전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지인 단말로 전송할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메시지 생성부(320)는 사용자 단말(120)을 통해 획득된 사물 또는 운송 수단 정보와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와 해당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해당 정보가 수신된 시간 정보를 포함하여 알림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저장부(325)는 안심귀가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 단말(120)에 상응하여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지인 단말에 대한 단말정보, 당해 서비스 제공 서버(120)를 운용하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알고리즘 등을 저장한다.
즉, 저장부(325)는 안심귀가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 단말(120)에 대한 가입자 정보와 지인 단말에 대한 단말 정보를 상호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서비스 제어부(33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120)의 내부 구성 요소들(예를 들어, 송수신부(310), 위치 획득부(315), 메시지 생성부(320) 및 저장부(325) 등)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이다.
또한, 서비스 제어부(330)는 위치 획득부(315)에 저장된 사용자 단말(120)의 위치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단말(120)의 이동 경로 정보를 일정 시간마다 지인 단말로 전송하도록 메시지 생성부(3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어부(330)는 사용자 단말(120)에 상응하여 최초 사물 또는 운송 수단 정보 획득시 목적지 정보가 함께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된 경우, 이동 경로 정보를 분석하여 목적지로의 이동 경로가 아닌 경우, 위급 상황 정보를 생성하여 지인 단말 또는 경찰서 서버(미도시)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 4 설명]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심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사용자가 택시에 승차한 것을 가정하여 안심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410에서 사용자 단말(120)은 택시에 부착된 태그(110)를 인식하여 태그 정보를 획득하고, 해당 태그 정보에 상응하는 사물 또는 운송 수단 정보를 획득한다. 이하에서는 태그(110)가 부착된 위치가 택시이므로, 태그에 상응하여 획득되는 정보가 운송 수단 정보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태그가 RFID 태그 또는 NFC 태그와 같은 전자 태그의 형태인 경우, 사용자 단말(120)은 해당 태그 인식을 통해 태그 정보로써 운송 수단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반면, 태그가 N차원 코드(예를 들어, 바코드 또는 QR 코드)인 경우, 해당 사용자 단말(120)은 태그 인식을 통해 태그 정보로써 태그 코드를 획득하고, 태그 코드에 상응하는 운송 수단 정보를 ODS 서버(미도시)를 통해 획득할 수도 있다.
단계 415에서 사용자 단말(120)은 당해 사용자 단말(120)에 대한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사용자 단말(120)이 당해 사용자 단말(12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은 이미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단계 420에서 사용자 단말(120)은 운송 수단 정보, 현재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 요청을 서비스 제공 서버(120)로 전송한다. 여기서,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 요청은 목적지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운송 수단 정보는 택시번호 및 회사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단계 425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20)의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 요청에 상응하여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기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지인 단말로 전송한다. 여기서, 알림 메시지는 운송 수단 정보, 위치 정보,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20)의 안심귀가 서비스 가입 여부를 사전에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운송 수단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운송 수단(즉, 택시) 회사 서버(미도시)로 안심귀가 서비스 동작 중임을 알릴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해당 회사 서버(미도시)가 등록된 택시 기사 단말(미도시)로 승객이 안심귀가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음을 통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단계 430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20)로 위치 추적 요청을 전송한다. 여기서, 위치 추적 요청은 위치 정보를 전송할 시간 주기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435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일정 주기마다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저장한다.
단계 440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20)을 통해 수신된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추적 지도를 생성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12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120)은 당해 사용자 단말(120)의 현재 위치에 따른 추적 지도를 서비스 제공 서버(120)를 통해 제공받아 표출할 수 있다.
단계 445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 요청에 목적지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또는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목적지 정보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목적지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거나 미수신된 경우, 단계 445에서 대기한다.
그러나 만일 목적지 정보가 포함되어 있거나 수신된 경우, 단계 450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추적된 이동 경로가 상기 목적지 정보상의 이동 경로와 상이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목적지 정보로의 이동 경로는 복수일 수 있다.
즉,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현재 위치 대비 목적지까지의 이동 경로를 모두 도출한 후 추적된 이동 경로가 해당 도출된 이동 경로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이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일 목적지상의 이동 경로와 상이하지 않으면, 단계 450에서 대기한다.
그러나 만일 목적지상의 이동 경로와 상이한 경우, 단계 455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위급 상황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20)에 상응하여 기등록된 지인 단말로 전송한다.
이어, 단계 460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긴급 호출 요청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긴급 호출 명령이 미수신된 경우, 단계 460에서 대기한다.
그러나 만일 긴급 호출 명령이 수신된 경우, 단계 465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기등록된 지인 단말, 경찰청 서버 또는 보험사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 긴급 호출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한다.
도 4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120)와 연계되어 안심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이하 도 5에서는 사용자 단말에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경우, 해당 사용자 단말을 통해 안심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 도 8 설명]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심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6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출력된 운송 수단 정보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7은 지인 단말에 출력되는 알림 메시지를 예시한 도면이며, 도 8은 사용자 단말에 위치 추적에 상응하여 표출된 지도 정보를 예시한 도면이다.
단계 510에서 사용자 단말(120)은 택시 내부에 부착된 태그(110)를 인식하여 운송 수단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120)로부터 획득한다.
보다 상세하게, 사용자 단말(120)은 택시 내부에 부착된 태그(110) 인식에 상응하여 당해 사용자 단말(120)에 안심귀가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안심귀가 어플리케이션이 미설치된 경우, 사용자 단말(120)은 해당 안심귀가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를 위한 서버(미도시)로 연결하여 안심귀가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를 유도한다. 사용자 단말(120)이 안심귀가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 단말(120)은 안심귀가 서비스를 미제공할 수 있다.
그라나, 만일 사용자 단말(120)상에 안심귀가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경우, 해당 사용자 단말(120)은 태그(110) 인식을 통해 획득된 태그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120) 또는 ODS 서버(미도시)로 전송하여 운송 수단 정보를 획득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120)을 통해 표출시킬 수 있다.
도 6에 사용자 단말(120)을 통해 표출된 운송 수단 정보가 예시되어 있다.
단계 515에서 사용자 단말(120)은 운송 수단 정보 획득에 상응하여 기등록된 지인 단말로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20)은 도 6과 같이 운송 수단 정보가 표출된 상황에서 사용자에 의해 공유 메뉴가 선택되면,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기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지인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사용자 단말(120)이 사용자의 특정 입력 명령(예를 들어, 공유 메뉴 선택)에 상응하여 알림 메시지를 기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지인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가정하고 있으나 사용자의 특정 입력 명령 없이도 알림 메시지를 지인 단말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도 5에서는 사용자 단말(120)이 지인 단말을 등록하는 과정을 별도로 도시하고 있지 않으나, 사전에 안심귀가 서비스에 상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지인 단말을 등록하는 과정이 선행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7에 지인 단말로 제공된 알림 메시지가 예시되어 잇다.
단계 520에서 사용자 단말(120)은 당해 사용자 단말(120)의 위치 정보를 일정 시간마다 획득하여 당해 사용자 단말(120)의 이동 경로를 추적한다.
이어, 사용자 단말(120)은 이동 경로 추적에 상응하여 일정 시간마다 적어도 하나의 기등록된 지인 단말로 이동 경로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20)상에 설치된 안심귀가 어플리케이션은 해당 위치 추적에 상응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20)의 현태 위치에 상응하는 추적 지도를 서비스 제공 서버(120)로부터 제공받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20)은 해당 사용자 단말(120)의 현재 위치에 상응하는 광고를 서비스 제공 서버(120)로부터 제공받아 함께 표출시킬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20)은 서비스 제공 서버(120)로부터 보험 가입을 위한 보험 안내 정보를 더 제공받아 추적 지도와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보험 안내 정보에 상응하는 보험 메뉴가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120)은 서비스 제공 서버(120)를 통해 보험 가입을 위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120)로 전송하여 필요한 정보를 획득한 후 보험사 서버(미도시)와 연동되어 보험 가입 요청을 처리할 수 있다.
단계 525에서 사용자 단말(120)은 사용자로부터 긴급 호출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긴급 호출 명령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 단계 525에서 대기한다.
그러나 만일 긴급 호출 명령이 입력된 경우, 단계 530에서 사용자 단말(120)은 기등록된 경찰청 서버(미도시) 또는 보험사 서버(미도시)로 긴급 통화 연결을 시도하거나 긴급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도 9 설명]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심 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관광객을 대상으로 안심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120)을 이용하여 관광지의 특정 위치에 부착된 태그(110)를 인식하면, 사용자 단말(120)은 태그(110)에 상응하는 관광지 정보를 태그 정보로써 획득할 수 있다(단계 910).
이어, 태그 정보 획득에 상응하여 사용자 단말(120) 또는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9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관광지 방문에 상응하는 알림 메시지를 지인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어,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지속적으로 해당 사용자 단말(120)에 대한 위치를 추적한 후, 해당 사용자 단말(120)의 현재 위치에 상응하는 추천 명소 정보를 해당 사용자 단말(120)로 전송할 수 있다(920).
도 9에는 별도로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관광객이 외국인 경우, 태그(110) 인식을 통해 통역 서비스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국인이 소지한 사용자 단말을 통해 태그(110) 인식시, 태그 정보와 함께 사용자 단말에 대한 단말 정보(예를 들어, IMSI)가 함께 서비스 제공 서버(130)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단말 정보를 통해 해당 사용자 단말을 소지한 외국인의 국가를 인식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상응하는 통역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IMSI 등을 통해 국가를 인식하는 방법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120)을 통해 특정 사물에 부착된 태그(110)를 인식하여 태그 정보를 획득한 후, 해당 사용자 단말(120)에 대한 위치를 주기적으로 추적한 후 이를 지정된 지인의 단말로 송출하거나 응급 상황시 경찰청, 보험사 서버 등으로 긴급 전화 연결을 시도하여 긴급전화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예를 들어, 보험사 등에서 일반 사용자에게 제공한 판촉물에 태그가 부착(또는 프린트)된 경우, 사용자는 해당 판촉물에 부착된 태그(110) 인식을 통해 자신의 위치를 추적한 후, 추적된 위치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130) 또는 당해 사용자 단말(12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20)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해당 추적된 위치 정보를 지정된 지인 단말로 송출하고, 응급 상황시 긴급 전화를 연결하여 안심 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치매 환자, 노인, 어린이, 여성등과 같은 약자들에게 특정 태그가 부착된 판촉물 또는 사용자 단말(120)에 탈부착시킬 수 있는 장신구의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 해당 사용자 단말(120)을 통해 태그(110) 인식을 통해 해당 사용자 단말(120)에 대한 위치를 추적하도록 하여 노약자가 안전하게 귀가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심 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다양한 전자적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저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소프트웨어 분야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저장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상술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전자적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장치, 예를 들어,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태그
120: 사용자 단말
130: 서비스 제공 서버

Claims (21)

  1. 사용자 단말이 안심귀가 서비스를 제공받는 방법에 있어서,
    사물 또는 운송 수단에 부착된 태그를 인식하여 상기 태그에 상응하는 사물 또는 운송 수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사물 또는 운송 수단 정보, 상기 현재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알림 메시지를 기등록된 하나 이상의 지인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메시지를 기등록된 하나 이상의 지인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일정 시간마다 상기 현재 단말의 현재 위치를 획득하여 이동 경로를 추적하는 단계;
    상기 이동 경로에 따른 추적 지도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경로를 일정 주기마다 상기 지인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추적 지도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안심 귀가에 따른 보험 가입을 위한 보험 가입 메뉴를 디스플레이상의 일 영역에 상기 추적 지도와 함께 표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메시지를 기등록된 하나 이상의 지인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알림 메시지를 사용자로부터 긴급 호출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긴급 호출 명령이 입력된 경우, 지정된 경찰청 서버 또는 보험사 서버로 긴급 통화를 시도하거나 긴급 호출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가 관광지에 부착된 태그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추천 명소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받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는 N차원 코드, RFID 태그 및 NFC 태그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 방법.
  7. 안심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통신부;
    사물 또는 운송 수단에 부착된 태그를 인식하여 상기 태그에 상응하는 사물 또는 운송 수단 정보를 획득하는 리더기;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획득부; 및
    상기 사물 또는 운송 수단 정보, 상기 현재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알림 메시지를 기등록된 하나 이상의 지인 단말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알림 메시지를 상기 지인 단말로 전송한 이후, 상기 위치 획득부를 통해 일정 시간마다 상기 현재 단말의 현재 위치를 획득하여 이동 경로를 추적하도록 제어하고, 일정 주기마다 상기 지인 단말로 상기 추적된 이동 경로를 전송하되,
    상기 이동 경로에 따른 추적 지도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심 귀가에 따른 보험 가입을 위한 보험 가입 메뉴를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에 상기 추적 지도와 함께 표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10. 제7 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긴급 호출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긴급 호출 명령의 입력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긴급 호출 명령이 입력된 경우, 지정된 경찰청 서버 또는 보험사 서버로 긴급 통화를 시도하거나 긴급 호출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11.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가 관광지에 부착된 태그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추천 명소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받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12.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는 N차원 코드, RFID 태그 및 NFC 태그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13. 사물 또는 운송 수단에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태그-상기 태그는 태그 정보를 포함함;
    상기 태그를 인식하여 상기 태그 정보를 획득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태그 정보를 수신받아 상응하는 사물 또는 운송 수단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거나 상기 사물 또는 운송 수단 정보를 포함하는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응하여 기등록된 하나 이상의 지인 단말로 전송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사물 또는 운송 수단 정보를 제공받은 이후, 일정 주기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되,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추적 지도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긴급 호출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긴급 호출 메시지를 기등록된 보험사 서버 또는 경찰청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
  16.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태그 정보 수신에 상응하여, 안심귀가에 상응하는 보험 안내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보험 안내 정보에 상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가입 요청 수신시, 보험사 서버로 보험 가입 요청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
  17. 사용자 단말과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안심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태그 정보를 포함하는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 요청에 상응하여 상기 태그 정보에 대응하는 사물 또는 운송 수단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일정 주기마다 위치 정보를 요청하여 저장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는 단계; 및
    상기 사물 또는 운송 수단 정보, 상기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응하여 기등록된 지인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 방법.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 요청에 목적지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이동 경로를 추적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이동 경로가 상기 목적지 정보로의 이동 경로와 다른 경우, 위급 상황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지인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 방법.
  19.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사물 또는 운송 수단 정보는 운송 수단 차량 번호 및 회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상기 사물 또는 운송 수단 정보를 이용하여 운송 수단의 회사 서버로 안심귀가 서비스 동작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 방법.
  20.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긴급 호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긴급 호출 요청 수신에 상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긴급 호출 메시지를 기등록된 보험사 서버 또는 경찰청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 방법.
  21.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하기 위한 기록 매체.
KR1020110137603A 2011-12-19 2011-12-19 안심 귀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300827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7603A KR20130082793A (ko) 2011-12-19 2011-12-19 안심 귀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7603A KR20130082793A (ko) 2011-12-19 2011-12-19 안심 귀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2793A true KR20130082793A (ko) 2013-07-22

Family

ID=48993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7603A KR20130082793A (ko) 2011-12-19 2011-12-19 안심 귀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82793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504B1 (ko) * 2011-10-20 2014-07-29 (주)모바코리아 스마트폰을 이용한 안심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22280A (ko) * 2013-08-22 2015-03-04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 서버 및 그의 동작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50026038A (ko) * 2013-08-30 2015-03-1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Nfc 기술을 기반으로 한 안전관리 시스템
KR20160014125A (ko) 2014-07-28 2016-02-11 아이팝콘주식회사 대중교통수단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고주파 신호수신을 통한 위치정보제공방법
KR101653640B1 (ko) * 2015-04-14 2016-09-05 (주)모비프렌 블루투스를 활용한 안심택시 서비스
KR20200115806A (ko) * 2019-03-26 2020-10-08 고승곤 안심 메시지 발송 서비스 제공 서버, 방법 및 사용자 단말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504B1 (ko) * 2011-10-20 2014-07-29 (주)모바코리아 스마트폰을 이용한 안심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22280A (ko) * 2013-08-22 2015-03-04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 서버 및 그의 동작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50026038A (ko) * 2013-08-30 2015-03-1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Nfc 기술을 기반으로 한 안전관리 시스템
KR20160014125A (ko) 2014-07-28 2016-02-11 아이팝콘주식회사 대중교통수단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고주파 신호수신을 통한 위치정보제공방법
KR101653640B1 (ko) * 2015-04-14 2016-09-05 (주)모비프렌 블루투스를 활용한 안심택시 서비스
KR20200115806A (ko) * 2019-03-26 2020-10-08 고승곤 안심 메시지 발송 서비스 제공 서버, 방법 및 사용자 단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172111A1 (en) Identity Authentication And Verification
Bojan et al. An internet of things based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KR10189228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82793A (ko) 안심 귀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174688B1 (ko) 실시간 버스 정보를 이용한 승객 하차 지점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EP2930681A1 (en) Transportation boarding system using geotagging and mobile devices
CN102917115A (zh) 防止和/或限制移动设备的使用的系统和方法
KR20130082834A (ko) 안심 콜택시 서비스 시스템
WO2015005948A1 (en) Identity authentication and verification
KR20150062600A (ko) 어린이집 등하원 관리방법
KR20160107997A (ko) 스마트 택시 서비스 지원 시스템
KR101648759B1 (ko) 여행객 관리시스템
US8983437B2 (en) System for actively notifying instant messages and locations in a certain area and method therefor
KR20150021391A (ko) 교통카드와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노선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1423504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안심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102922B1 (ko) 식별코드를 이용한 차량/사용자위치정보 제공방법 및 시스템
JP2020161137A (ja) 公共交通システム
KR101834826B1 (ko) 비콘 신호 기반의 승하차 알림
JP2019184336A (ja) カーナビゲーション装置の目的地設定システム
US11750604B2 (e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KR20150014548A (ko)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택시 안심 서비스 방법
US20200082430A1 (en) Terminal device, display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20150022280A (ko)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 서버 및 그의 동작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186783B1 (ko) 내비게이션 장치, 그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1932253B1 (ko) 행사장에 입장한 참석자의 활동을 모니터링 하는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