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3828A - 자동 점등 및 제설이 가능한 볼라드 및 그의 운용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 점등 및 제설이 가능한 볼라드 및 그의 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3828A
KR20100013828A KR1020080075531A KR20080075531A KR20100013828A KR 20100013828 A KR20100013828 A KR 20100013828A KR 1020080075531 A KR1020080075531 A KR 1020080075531A KR 20080075531 A KR20080075531 A KR 20080075531A KR 20100013828 A KR20100013828 A KR 201000138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bollard
detection sensor
light emitting
det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5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0226B1 (ko
Inventor
윤진효
Original Assignee
윤진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진효 filed Critical 윤진효
Priority to KR1020080075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0226B1/ko
Publication of KR20100013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3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0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02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03Individual devices arranged in spaced relationship, e.g. buffer boll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F21S9/035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the solar unit being integrated within the support for the lighting unit, e.g. within or on a pole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점등 및 제설이 가능한 볼라드 및 그의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 자동 점등 및 제설이 가능한 볼라드는, 상측 및 하측이 개방된 상단부재와 상부에 요홈부가 형성된 중단부재 및 하단부재로 구성된 볼라드 몸체; 상기 상단부재의 상측에 형성되어 광(빛)을 투과시키는 투명덮개; 상기 투명덮개를 통해 투과되는 광(빛)과 상기 볼라드 몸체 외부의 온도를 검출하는 광 및 온도 검출 센서; 상기 투명덮개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투명덮개로 열을 발산하는 열선소자; 상기 열선소자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투명덮개를 통해 투과되는 태양광을 집열하는 집열판부재; 상기 상단부재측면으로 일부 노출되어 주변 움직임을 검출하는 움직임 검출센서; 상기 상단부재와 중단부재 사이에서 광(빛)을 발광하는 발광소자; 상기 발광소자에서 발광된 광(빛)을 반사하는 반사판부재; 상기 상단부재와 중단부재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발광소자에서 발광된 광(빛)과 반사판부재에서 반사된 광(빛)을 확산하는 확산 커버부재; 상기 중단부재의 요홈부에 위치하여 상기 집열판부재에서 집열된 광(빛)을 전기에너지로 축전하는 축전지; 상기 광 및 온도 검출 센서에서 검출된 광(빛)과 온도, 그리고 상기 움직임 검출 센서에서 검출된 움직임에 따라 상기 발광소자를 발광시키거나, 상기 열선소자가 동작하도록 상기 축전지에 축전된 전기에너지를 상기 발광소자나 열선소자로 공급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패널;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 자동 점등 및 제설이 가능한 볼라드 및 그의 운용 방법은 태 양광을 이용해 충전하여 사용하므로 기본적으로 에너지가 절약되는 한편 보행자가 있는 경우에 점등되고, 없는 경우에는 점등되지 않으므로 축전지에 축전되는 에너지 역시 절약할 수 있으며, 눈이 온 경우에는 열선을 통해 볼라드에 적설된 눈을 자동으로 제설할 수 있어 축전지에 필요한 에너지를 충전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눈이 온 경우에도 볼라드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볼라드, 자동점등, 자동제설

Description

자동 점등 및 제설이 가능한 볼라드 및 그의 운용 방법{Bollard capable auto lighting and snow removing and method for operating thereof}
본 발명은 에너지를 절약함과 동시에 유지 관리가 용이하고, 교통안전사고 예방에 효과가 우수한 자동 점등 및 제설이 가능한 볼라드 및 그의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도와 보도의 경계부, 횡단보도에는 차량의 보도 침입을 막기 위한 볼라드가 설치된다.
초기에 차량의 진입을 차단하기 위한 볼라드는 목재를 가공하여 제조하는 경우가 있었는데, 목재로 이루어진 볼라드는 목재가 간직한 자체적인 특성상 강도가 취약하여 외부로부터의 충격, 즉 차량의 충돌 등이 가해질 경우 쉽게 파손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외부충격이 가해지지 아니하더라도 일정 기간 사용하게 되면 습기 등의 수분에 의해 휘어지거나 부식이 발생되어 도시의 미관을 저해시킴과 아울러 볼라드로서의 제 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결점이 있다.
그러한 목재로 이루어진 볼라드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석재, 철재로 이 루어진 볼라드가 안출되었다.
그와 같은 경우 보통 원기둥 모양의 석재를 마련하여 인도와 차도의 경계에 설치되는데, 주간에는 볼라드의 위치의 식별이 용이하지만, 야간에는 식별이 용이하지 않아 차량는 물론 보행자가 충돌할 수 있는 위험이 있었다.
따라서 야간의 안전문제를 고려하여 볼라드의 외주면의 일부에 광(빛) 반사판을 마련함으로써 볼라드를 향하여 조사되는 광(빛)을 반사시킴으로서, 식별력을 제고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볼라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일 예에 따른 볼라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종래 다른 예에 따른 볼라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종래 일예에 따른 볼라드(1)는 단순히 원형 석재로 구성된 것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2에 나타낸 종래 다른 예에 따른 볼라드는 단순히 원형 석재로 구성된 종래 일예에 따른 볼라드의 문제를 일부 해결하기 위하여, 볼라드(1) 외부에 차량 전조등으로부터의 광(빛)을 반사하기 위한 반사판의 역할을 하는 복수의 반사시트(2)를 붙여놓은 것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다른 예에 따른 볼라드에 있어서도 반사시트(2)에서 반사되는 광(빛)은 볼라드(1) 내부에서 능동적으로 발산되는 방식이 아니라, 외부에서 차량의 전조등이나 가로등으로부터 광(빛)이 부여되는 경우 반사하도록 된 것으 로, 광(빛)이없는 인적이 드문 곳에 설치되는 경우 보행자의 충돌 문제는 여전히 갖고 있으며, 흙이나 먼지, 매연 등에 의해 반사시트(2)에 이물질이 붙게 되는 경우 차량의 전조등이나 가로등으로부터 광(빛)을 반사할 수 없음으로써, 제 역할을 충분히 하지 못해 차량 충돌 위험을 여전히 갖고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반사시트(2)는 자외선에 상당시간 노출되면 탈색 변색되거나, 갈라지면서 볼라드(1)에서 떨어져 나가게 되므로 주기적으로 반사시트(2)를 교체 또는 보수하여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에너지를 절약함과 동시에 유지 관리가 용이하고, 교통안전사고 예방에 효과가 우수한 자동 점등 및 제설이 가능한 볼라드 및 그의 운용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자동 점등 및 제설이 가능한 볼라드는, 상측 및 하측이 개방된 상단부재와 상부에 요홈부가 형성된 중단부재 및 하단부재로 구성된 볼라드 몸체; 상기 상단부재의 상측에 형성되어 광(빛)을 투과시키는 투명덮개; 상기 투명덮개를 통해 투과되는 광(빛)과 상기 볼라드 몸체 외부의 온도를 검출하는 광 및 온도 검출 센서; 상기 투명덮개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투명덮개로 열을 발산하는 열선소자; 상기 열선소자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투명덮개를 통해 투과되는 태양광을 집열하는 집열판부재; 상기 상단부재측면으로 일부 노출되어 주변 움직임을 검출하는 움직임 검출센서; 상기 상단부재와 중단부재 사이에서 광(빛)을 발광하는 발광소자; 상기 발광소자에서 발광된 광(빛)을 반사하는 반사판부재; 상기 상단부재와 중단부재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발광소자에서 발광된 광(빛)과 반사판부재에서 반사된 광(빛)을 확산하는 확산 커버부재; 상기 중단부재의 요홈부에 위치하여 상기 집열판부재에서 집열된 광(빛)을 전기에너지로 축전하는 축전지; 상기 광 및 온도 검출 센서에서 검출된 광(빛)과 온도, 그리고 상기 움직임 검출 센서에서 검출된 움직임에 따라 상기 발광소자를 발광시키거나, 상기 열선소자가 동작하도록 상기 축전지에 축전된 전기에너지를 상기 발광소자나 열선소자로 공급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패널;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자동 점등 및 제설이 가능한 볼라드에서, 상기 볼라드 몸체는 탄성부재를 이용하여 형성하고, 상기 광 및 온도 검출센서는 각각 별도로 구성하거나, 눈(snow)을 감지할 수 있는 눈 감지센서가 광 및 온도검출센서와 함께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움직임 검출센서는 복수개 구성되며, 상기 발광소자는 발광다이오드(LED) 또는 고휘도 발광 다이오드(high luminance LED)로 복수개 구성되고, 상기 제어모듈은 일반적인 제어부(중앙처리장치(CPU))와, 월별정보, 날짜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와, 현재시간 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제공할 수 있는 타이머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중단부재와 하단부재 경계면 외측으로 중단부재와 하단부재의 소정영역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외부 광(빛)을 반사하는 고휘도 반사 부재와, 상기 볼라드 몸체를 지상에 고정시키는 볼라드 몸체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자동 점등 및 제설이 가능한 볼라드의 운용 방법은, 광 및 온도 검출 센서에서 검출된 광(빛)과 온도, 그리고 상기 움직임 검출 센서에서 검출된 움직임에 따라 상기 발광소자를 발광시키거나, 상기 열선소자가 동작하도록 상기 축전지에 축전된 전기에너지를 상기 발광소자나 열선소자로 공급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패널을 포함하는 자동 점등 및 제설이 가능한 볼라드의 운용 방법에 있어서, 집열판 부재에서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전환하여, 축전지에 전환된 전기에너지를 축전하는 단계; 광 및 온도 검출 센서와 움직임 검출센서에서 검출된 센싱정보를 제어모듈에서 분석하여 움직임을 검출하는 단계; 움직임이 검출된다면, 발광소자를 구동시키는 단계; 동절기에 태양광이 검출되지 않으면서, 현재시간이 야간에 해당한다면, 온도가 영하인지를 판단하여 영하인 경우 열선소자를 구동시켜 제설하거나, 동절기에 광(빛)이 검출되지 않으면서, 현재시간이 야간에 해당하지 않는 다면 열선소자를 구동시켜 제설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자동 점등 및 제설이 가능한 볼라드 및 그의 운용 방법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운전자 및 보행자의 식별력을 향상시켜 차량의 안전 운행과 보행자의 안전 보행이 가능해진다.
둘째, 야간에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에 설치하는 경우 차량운전자에게 보행자가 있음을 인식시켜 안전운전이 가능해지고, 보행자의 안전보행도 향상된다.
셋째, 도로에서 인도로 진입되는 보도의 경우 특히 야간의 경우에 차량이 근접하는 경우 조명이 점등되면 사전 예고가 되어 차량과 볼라드의 충돌 가능성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태양광을 이용해 충전하여 사용하므로 기본적으로 에너지가 절약되는 한편 보행자가 있는 경우에 점등되고, 없는 경우에는 점등되지 않으므로 축전지에축전되는 에너지 역시 절약할 수 있다.
다섯째, 눈이 온 경우에는 열선을 통해 볼라드에 적설된 눈을 자동으로 제설할 수 있어 축전지에 필요한 에너지를 충전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눈이 온 경우에도 볼라드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점등 및 제설이 가능한 볼라드 및 그의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여,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도 3은 본 발명 자동 점등 및 제설이 가능한 볼라드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자동 점등 및 제설이 가능한 볼라드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자동 점등 및 제설이 가능한 볼라드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 자동 점등 및 제설이 가능한 볼라드는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 및 하측이 개방된 상단부재(70a)와 상부에 요홈부(71)가 형성된 중단부재(70b) 및 하단부재(70c)로 볼라드 몸체(70)가 구성되고, 상기 상단부재(70a)의 상측에 형성되어 태양광으로부터의 광(빛)을 투과시키는 투명덮개(20)와, 상기 투명덮개(20)를 통해 투과되는 광(빛)과 상기 볼라드 몸체(70) 외부의 온도를 검출하는 광 및 온도 검출 센서(10)와, 상기 투명덮개(20)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투명덮개(20)로 열을 발산하는 열선소자(120)와, 상기 열선소자(120)하부에 형성되어 상 기 투명덮개(20)를 통해 투과되는 태양광을 집열하는 집열판부재(100)와, 상기 상단부재(70a) 측면으로 일부 노출되어 주변 움직임을 검출하는 움직임 검출센서(30)와, 상기 상단부재(70a)와 중단부재(70b) 사이에서 광(빛)을 발광하는 발광소자(80)와, 상기 발광소자(80)에서 발광된 광(빛)을 반사하는 반사판부재(90)와, 상기 상단부재(70a)와 중단부재(70b)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발광소자(80)에서 발광된 광(빛)과 반사판부재(90)에서 반사된 광(빛)을 확산하는 확산 커버부재(40)와, 상기 중단부재(70b)의 요홈부(71)에 위치하여 상기 집열판부재(100)에서 집열된 광(빛)을 전기에너지로 축전하는 축전지(110)와, 상기 광 및 온도 검출 센서(10)에서 검출된 광(빛)과 온도, 그리고 상기 움직임 검출 센서(30)에서 검출된 움직임에 따라 상기 발광소자(80)를 발광시키거나, 상기 열선소자(120)가 동작하도록 상기 축전지(110)에 축전된 전기에너지를 상기 발광소자(80)나 열선소자(120)로 공급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패널(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50은 중단부재(70b)와 하단부재(70c) 경계면 외측으로 중단부재(70b)와 하단부재(70c)의 소정영역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차량이나 가로등과 같은 외부로부터의 광(빛)을 반사하는 고휘도 반사 부재이고, 60은 상기 볼라드 몸체(70)를 지상에 고정시키는 볼라드 몸체 고정수단이다.
그리고 광 및 온도 검출 센서(10), 움직임 검출센서(30), 발광소자(80), 집열판 부재(100), 축전지(110), 열선소자(120) 및 제어패널(130)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종 센싱신호와 그에 따른 발광, 열선동작 및 집열된 태양광에 대한 축적이 제어패널(130)의 제어에 따라 수행된다. 다만 도 4에 서는 도면을 도시함에 있어 전기선의 연결까지 도시하는 경우 볼라드의 기본 구성 설명이 방해될 수 있어 도 5를 통해 전기적인 연결을 도시하였다.
여기서 볼라드 몸체(70)는 탄성부재(우레탄 등)를 이용하여 형성함으로써 보행자나 차량 접촉시 충격을 최소화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광 및 온도 검출센서(10)는 태양광과 볼라드 외부의 온도를 검출한다. 이때, 광 및 온도 검출센서(10)는 광 검출센서와 온도 검출센서를 따로 구성할 수도 있고, 하나의 센서모듈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광 및 온도 검출센서(10)에서 온도 검출대신 눈(snow)을 감지할 수 있는 눈 감지센서로 구성할 수도 있거나, 광 및 온도검출센서(10)와 함께 눈 감지센서를 추가로 구성할 수도 있음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움직임 검출센서(30)는 두 개 이상 복수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발광소자(80)는 발광다이오드(LED)를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고휘도 발광 다이오드(high luminance LED)를 복수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제어모듈(130)은 일반적인 제어부(중앙처리장치(CPU))와 월별정보, 날짜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와, 현재시간 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제공할 수 있는 타이머(131)가 포함되어 있음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월별 정보는 계절 정보에 이용될 수 있고, 시간정보는 월별정보 및 월별 정보에 따른 포함되는 일별정보와 일별정보에 포함되는 주간이나 야간 정보(일출, 일몰정보)를 제어부에 제공할 수 있다.
그와 같은 월별정보 및 월별 정보에 따른 포함되는 일별정보와 일별정보에 포함되는 주간이나 야간 정보(일출, 일몰정보)는 메모리부에 미리 저장해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 자동 점등 및 제설이 가능한 볼라드의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 자동 점등 및 제설이 가능한 볼라드의 운용 방법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집열판 부재에서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전환하여(S10), 축전지에 전환된 전기에너지를 축전한다(S20).
한편 광 및 온도 검출 센서(10)와 움직임 검출센서(30)에서 검출된 센싱정보는 제어모듈에서 분석된다(S30).
이때, 움직임 검출센서(30)에서 움직임이 검출되었는지를 판단한다(S40).
판단결과(S40), 움직임 검출센서(30)에서 움직임이 검출되었다면 발광소자를 구동시킨다(S50).
그러나, 판단결과(S40) 움직임이 검출되지 않았다면, 광 및 온도 검출 센서(10)에서 광(빛)이 검출되는지를 판단한다(S60). 여기서, 광 및 온도 검출 센서(10)에서 검출되는 광(빛)은 태양광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 발명 볼라드가 기본적으로 태양광을 축전하여 동작하는데, 동절기에 눈이 적설된 경우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판단결과(S60), 태양광이 검출된다면, 계속해서 센서검출정보를 분석한다(S30). 이때, 축전지에는 계속해서 전기에너지가 축전된다(S20).
그러나, 판단결과(S60), 태양광이 검출되지 않았다면 현재시간이 야간인가를 판단한다(S70).
이와 같은 야간 정보는 제어모듈의 메모리에 데이터로써 저장된 월별정보 및 월별 정보에 따른 포함되는 일별정보와 일별정보에 포함되는 주간이나 야간 정보(일출, 일몰정보)에 따라 계절별로 차이가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동절기에도 일반적으로 대략 오전 6-7시부터 오후 5-6시(주간)까지는 태양광이 존재하고, 일반적으로 대략 오전 6시-7시부터 오후 5-6시(야간)까지는 태양광이 없을 수도 있다.
따라서 동절기에 광(빛)이 검출되지 않으면서, 현재시간이 야간에 해당한다면, 온도가 영하인지를 판단하여(S80), 영하인 경우 야간에 눈이 내려 적설될 수 있으므로 열선소자를 구동시킨다(S90).
그러나, 동절기에 광(빛)이 검출되지 않으면서, 현재시간이 야간에 해당하지 않는 다면 주간인 상황에 투명덮개를 통해 태양광이 투과되지 못하는 상태일 가능성이 상당히 높으므로 열선소자를 구동시킨다(S90).
물론, 누군가 장난으로 투명덮개에 불투명 소재(천, 종이 등)를 씌울 수도 있겠으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겨울철에 눈이 적설된 경우가 대부분을 차지할 수 있으므로 상당한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 볼라드의 경우 보행자나 물체의 움직임을 검출하여 선택적으로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로부터 보행자의 안전을 보다 한층 보장할 수 있고, 운전자 역시 발광소자에 의해 사람이나 물체가 있음을 예상함으로써 적극적 으로 방어운전을 할 수 있게 되어 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태양광을 축전하여 사용함으로써 에너지 절감 효과가 상당해지는데, 제설을 위하여 별도의 인력을 투입할 필요가 없어 유지 관리가 용이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며, 스쿨존이나 버스 정류장에 설치하는 경우 교통안전이 보다 강화되고, 야간에 불필요한 정차를 없앨 수도 있다.
한편, 움직임 검출센서(30)의 움직임 검출 거리는 횡단보도나 도로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 일 예에 따른 볼라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종래 다른 예에 따른 볼라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 자동 점등 및 제설이 가능한 볼라드의 외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자동 점등 및 제설이 가능한 볼라드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자동 점등 및 제설이 가능한 볼라드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 자동 점등 및 제설이 가능한 볼라드의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광 및 온도 검출 센서 20 : 투명덮개
30 : 움직임 검출센서 40 : 커버부재
50 : 고휘도 반사 부재 60 : 볼라드 고정 수단
70 : 볼라드 몸체 80 : 발광소자
90 : 반사판부재 100 : 집열판 부재
110 : 축전지 120 : 열선소자
130 : 제어패널

Claims (4)

  1. 상측 및 하측이 개방된 상단부재와 상부에 요홈부가 형성된 중단부재 및 하단부재로 구성된 볼라드 몸체;
    상기 상단부재의 상측에 형성되어 광(빛)을 투과시키는 투명덮개;
    상기 투명덮개를 통해 투과되는 광(빛)과 상기 볼라드 몸체 외부의 온도를 검출하는 광 및 온도 검출 센서;
    상기 투명덮개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투명덮개로 열을 발산하는 열선소자;
    상기 열선소자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투명덮개를 통해 투과되는 태양광을 집열하는 집열판부재;
    상기 상단부재측면으로 일부 노출되어 주변 움직임을 검출하는 움직임 검출센서;
    상기 상단부재와 중단부재 사이에서 광(빛)을 발광하는 발광소자;
    상기 발광소자에서 발광된 광(빛)을 반사하는 반사판부재;
    상기 상단부재와 중단부재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발광소자에서 발광된 광(빛)과 반사판부재에서 반사된 광(빛)을 확산하는 확산 커버부재;
    상기 중단부재의 요홈부에 위치하여 상기 집열판부재에서 집열된 광(빛)을 전기에너지로 축전하는 축전지;
    상기 광 및 온도 검출 센서에서 검출된 광(빛)과 온도, 그리고 상기 움직임 검출 센서에서 검출된 움직임에 따라 상기 발광소자를 발광시키거나, 상기 열선소자가 동작하도록 상기 축전지에 축전된 전기에너지를 상기 발광소자나 열선소자로 공급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패널; 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점등 및 제설이 가능한 볼라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점등 및 제설이 가능한 볼라드에서,
    상기 볼라드 몸체는 탄성부재를 이용하여 형성하고,
    상기 광 및 온도 검출센서는 각각 별도로 구성하거나, 눈(snow)을 감지할 수 있는 눈 감지센서가 광 및 온도검출센서와 함께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움직임 검출센서는 복수개 구성되며,
    상기 발광소자는 발광다이오드(LED) 또는 고휘도 발광 다이오드(high luminance LED)로 복수개 구성되고,
    상기 제어모듈은 일반적인 제어부(중앙처리장치(CPU))와, 월별정보, 날짜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와,
    현재시간 정보가 상기 제어부에 제공되는 타이머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점등 및 제설이 가능한 볼라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단부재와 하단부재 경계면 외측으로 중단부재와 하단부재의 소정영역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외부 광을 반사하는 고휘도 반사 부재와, 상기 볼라드 몸체를 지상에 고정시키는 볼라드 몸체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점등 및 제설이 가능한 볼라드.
  4. 광 및 온도 검출 센서에서 검출된 광(빛)과 온도, 그리고 상기 움직임 검출 센서에서 검출된 움직임에 따라 상기 발광소자를 발광시키거나, 상기 열선소자가 동작하도록 상기 축전지에 축전된 전기에너지를 상기 발광소자나 열선소자로 공급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패널을 포함하는 자동 점등 및 제설이 가능한 볼라드의 운용 방법에 있어서,
    집열판 부재에서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전환하여, 축전지에 전환된 전기에너지를 축전하는 단계;
    광 및 온도 검출 센서와 움직임 검출센서에서 검출된 센싱정보를 제어모듈에서 분석하여 움직임을 검출하는 단계;
    움직임이 검출된다면, 발광소자를 구동시키는 단계;
    동절기에 태양광이 검출되지 않으면서, 현재시간이 야간에 해당한다면, 온도가 영하인지를 판단하여 영하인 경우 열선소자를 구동시켜 상기 제설하거나, 동절기에 광이 검출되지 않으면서, 현재시간이 야간에 해당하지 않는다면 열선소자를 구동시켜 제설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점등 및 제설이 가능한 볼라드의 운용 방법.
KR1020080075531A 2008-08-01 2008-08-01 자동 점등 및 제설이 가능한 볼라드 KR1009602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5531A KR100960226B1 (ko) 2008-08-01 2008-08-01 자동 점등 및 제설이 가능한 볼라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5531A KR100960226B1 (ko) 2008-08-01 2008-08-01 자동 점등 및 제설이 가능한 볼라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3828A true KR20100013828A (ko) 2010-02-10
KR100960226B1 KR100960226B1 (ko) 2010-05-28

Family

ID=42087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5531A KR100960226B1 (ko) 2008-08-01 2008-08-01 자동 점등 및 제설이 가능한 볼라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022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114Y1 (ko) * 2013-09-06 2013-12-03 박진우 보행도로 진입차단용 차단구조물
CN105841934A (zh) * 2016-06-15 2016-08-10 吉林大学 车载路面裂纹主动视觉检测系统光照影响的测试系统
CN107794856A (zh) * 2017-10-10 2018-03-13 北京交通大学 一种自闪式交通路障装置
KR101894316B1 (ko) 2017-08-03 2018-09-04 주식회사 대류 스마트 볼라드 및 스마트 볼라드 시스템
KR20180108304A (ko) * 2017-03-24 2018-10-04 주식회사 에프앤에이치티 제설장치가 구비된 신호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3740B1 (ko) * 2010-10-20 2011-05-09 주원테크 주식회사 발광 볼라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1069Y1 (ko) * 2001-04-17 2001-10-11 극동엔지니어링(주) 태양전지를 이용하여 적설과 결빙을 방지하는 도로교통표지판
JP3831231B2 (ja) * 2001-11-06 2006-10-11 株式会社キクテック 車止め
KR200394955Y1 (ko) * 2005-06-22 2005-09-06 박다경 안전성 및 시공성을 향상시킨 볼라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114Y1 (ko) * 2013-09-06 2013-12-03 박진우 보행도로 진입차단용 차단구조물
CN105841934A (zh) * 2016-06-15 2016-08-10 吉林大学 车载路面裂纹主动视觉检测系统光照影响的测试系统
CN105841934B (zh) * 2016-06-15 2018-01-12 吉林大学 车载路面裂纹主动视觉检测系统光照影响的测试系统
KR20180108304A (ko) * 2017-03-24 2018-10-04 주식회사 에프앤에이치티 제설장치가 구비된 신호등
KR101894316B1 (ko) 2017-08-03 2018-09-04 주식회사 대류 스마트 볼라드 및 스마트 볼라드 시스템
CN107794856A (zh) * 2017-10-10 2018-03-13 北京交通大学 一种自闪式交通路障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0226B1 (ko) 2010-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0226B1 (ko) 자동 점등 및 제설이 가능한 볼라드
KR100555413B1 (ko) 태양전지를 이용한 조명 경계석
KR101783391B1 (ko) 조명식 교통안전표지
KR101590420B1 (ko) 횡단보도 안전장치
WO2008116949A1 (es) Dispositivo para la iluminación y/o delimitación de pasos de peatones
KR101140531B1 (ko) 도로 경계석 안전 표시장치
KR100694289B1 (ko) 횡단보도의 발광장치
KR20200073477A (ko) 횡단보도 안전 조명 시스템
KR20100071465A (ko) 지능형 도로 경계석 및 상기 지능형 도로 경계석을 이용한 횡단보도 표시 방법
KR101428583B1 (ko) 횡단보도 조명등 및 횡단보도 조명장치
KR101250868B1 (ko) 횡단보도 조명용 볼라드
KR101904994B1 (ko) 횡단보도 조명장치
KR20130044975A (ko) 결로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도로 반사경
KR20120050117A (ko) 조명기능이 구비된 볼라드
KR102360401B1 (ko) 배터리 잔량에 의한 밝기제어와 보행자 및 신호대기자 조사가 가능한 태양광 횡단보도 조명시스템
JP3833001B2 (ja) 路面標示システム
JP2002138426A (ja) 縁石ブロック発光装置
KR101201879B1 (ko) 차량 검지센서에 의한 충돌예방시스템
KR200432252Y1 (ko) 태양광을 이용한 안전등이 부가된 도로의 중앙분리대차광막
KR101499708B1 (ko) 도로 표지병
KR200420428Y1 (ko) 발광소자를 구비한 볼라드
RU122514U1 (ru) Система регулирования дорожного движения на нерегулируемом пешеходном переходе
KR102274056B1 (ko) 스마트 도로경계석 커버
KR200353260Y1 (ko) 태양전지를 이용한 조명 볼라드
KR101046763B1 (ko) 도로표시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