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1712B1 - 태양에너지 이용장치의 태양 위치추적장치 - Google Patents

태양에너지 이용장치의 태양 위치추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1712B1
KR101661712B1 KR1020150191467A KR20150191467A KR101661712B1 KR 101661712 B1 KR101661712 B1 KR 101661712B1 KR 1020150191467 A KR1020150191467 A KR 1020150191467A KR 20150191467 A KR20150191467 A KR 20150191467A KR 101661712 B1 KR101661712 B1 KR 101661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rntable
solar energy
solar
support
su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91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에디영
Original Assignee
정에디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에디영 filed Critical 정에디영
Priority to KR1020150191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17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1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17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H02S20/32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specially adapted for solar track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02S30/10Frame struc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에너지 이용장치가 태양과 마주할 수 있도록 방위각과 고도각을 조절하는 태양 위치추적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에너지 이용장치의 태양 위치추적장치는 바닥에 고정되는 테이블받침대, 상기 테이블받침대의 중앙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원판형상의 턴테이블, 및 상기 턴테이블을 상기 테이블받침대에서 회전시켜 태양에너지 이용장치의 방위각을 조절하는 테이블구동기구를 포함하는 태양에너지 이용장치의 태양 위치추적장치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의 가운데 양측에 세워져 태양에너지 이용장치가 상하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한 쌍의 메인지지대, 상기 메인지지대의 각각에서 상기 턴테이블의 회전 중심을 향해 경사지도록 세워지는 제1 보강대, 및 상기 메인지지대 각각에서 상기 메인지지대에 설치되는 태양에너지 이용장치가 태양을 바라보는 반대방향의 후방으로 경사지게 세워지는 제2 보강대를 포함한다. 따라서, 풍압에 의한 지지력을 향상시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태양에너지 이용장치의 태양 위치추적장치{a solar tacker of solar energy device}
본 발명은 태양에너지 이용장치가 태양과 마주할 수 있도록 방위각과 고도각을 조절하는 태양 위치추적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화석연료의 고갈로 인해 신재생 에너지의 기술개발이 활발히 일어나고 있다.
신재생 에너지의 일례로는 태양에너지를 들 수 있다.
이 태양에너지는 태양의 열 또는 빛을 이용하여 유체를 가열하거나, 발전을 수하는 형태로 태양에너지를 변환함으로써, 화석연료에 의존하지 않고 유체를 가열하거나, 전기를 생산할 수 있었다.
한편, 태양에너지를 변환하는 장치는 태양과 마주할 때 가장 효율이 높기 때문에 태양의 위치를 추적하여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태양에너지 변환시키기 위해 태양의 위치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구동장치의 일례로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6-0107458호(2006.10.13.공개)의 "MPC형 집광기의 태양위치추적용 구동장치"가 개시된 바가 있다.
상기한 종래의 MPC형 집광기의 태양위치추적용 구동장치는 고도회전프레임에 장착된 다수의 각 반사판의 초점이 집광기의 초점에 모이도록 조정을 하고 태양의 고도 변화에 따라 고도회전프레임과 집광기둥 간에 설치된 고도조정엑츄에이트의 작동에 의하여 초점을 유지하며 시간의 변화에 따른 태양의 경도변화는 집광기둥다리의 장착된 경도조정구동장치의 구동에 의하여 집광기를 지지하는 집광기둥다리 양측에 부착된 캐스트롤이 레일 위를 이동하여 집광기의 초점을 유지하도록 구성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MPC형 집광기의 태양위치추적용 구동장치는 집광기 자체의 중량부하와 풍압부하를 양쪽의 기둥과 다리로 분산하여 고가의 유압제어기기 대신에 저렴한 소용량의 모터로 제어가능하고 풍압에 대하여 안정적인 구조를 이룰 수 있었다.
하지만, 종래의 MPC형 집광기의 태양위치추적용 구동장치는 풍압을 가장 많이 받는 집광기의 양단만 집광기둥에 지지되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풍압에 따른 지지력이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풍압에 따라 쉽게 흔들려 집광기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풍압에 흔들림 없이 견고히 지지하여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태양 위치추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정확한 위치로 방위각을 조절할 수 있으며, 집광기와 연결된 연결라인이 방위각의 조절에 따라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태양 위치추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에너지 이용장치의 태양 위치추적장치는 바닥에 고정되는 테이블받침대, 상기 테이블받침대의 중앙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원판형상의 턴테이블, 및 상기 턴테이블을 상기 테이블받침대에서 회전시켜 태양에너지 이용장치의 방위각을 조절하는 테이블구동기구를 포함하는 태양에너지 이용장치의 태양 위치추적장치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의 가운데 양측에 세워져 태양에너지 이용장치가 상하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한 쌍의 메인지지대, 상기 메인지지대의 각각에서 상기 턴테이블의 회전 중심을 향해 경사지도록 세워지는 제1 보강대, 및 상기 메인지지대 각각에서 상기 메인지지대에 설치되는 태양에너지 이용장치가 태양을 바라보는 반대방향의 후방으로 경사지게 세워지는 제2 보강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보강대는 메인지지대를 상기 턴테이블의 회전 중심을 향해 30°내지 60°의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보강대는 상기 태양에너지 이용장치가 태양을 바라보는 반대방향을 향해 30°내지 60°의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턴테이블에 결합되는 상기 제2 보강대의 끝단은 상기 한 쌍의 메인지지대의 사이 중앙으로 모이도록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테이블받침대와 상기 턴테이블의 사이에는 상기 테이블 받침대의 둘레에 설치되어 상기 테이블받침대에서 상기 턴테이블이 타고 이동하는 가이드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테이블구동기구는 상기 턴테이블에 설치되어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스프로켓, 및 상기 테이블받침대의 둘레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구동스프로켓이 타고 이동하는 가이드체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지지대에 설치되는 태양에너지 이용장치를 상하로 회전시켜 고도각을 조절하는 고도각조절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턴테이블과 상기 테이블받침대는 상기 태양에너지 이용장치와 연결되는 연결라인이 회전 중심으로 인출되도록 관통된 인출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태양에너지 이용장치를 지지하는 메인지지대를 제1 보강대와 제2 보강대에 의해 보강하여 지지함으로써, 풍압에 의한 흔들림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풍압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구동스프로킷이 가이드체인에 치합되는 형태로 턴테이블이 회전하여 정확한 위치로 방위각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태양에너지 이용장치와 연결되는 연결라인을 턴테이블의 회전중심을 통해 인출하여 턴테이블의 회전시 연결라인이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에너지 이용장치의 태양 위치추적장치에 태양에너지 이용장치를 설치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에너지 이용장치의 태양 위치추적장치에 태양에너지 이용장치를 설치한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에너지 이용장치의 태양 위치추적장치에 태양에너지 이용장치를 설치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에너지 이용장치의 태양 위치추적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에너지 이용장치의 태양 위치추적장치의 테이블구동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에너지 이용장치의 태양 위치추적장치의 테이블구동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에너지 이용장치의 태양 위치추적장치의 고도각조절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열 이용장치의 태양 위치추적장치(100)에 설치되는 태양열 이용장치는 태양열에 의해 유체를 가열하는 태양열 보일러, 또는 태양광에 의해 발전하는 태양전지 또는 태양열을 모으는 집열기, 또는 태양광을 모으는 집광기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열 이용장치의 태양 위치추적장치(100)는 테이블받침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테이블받침대(110)는 바닥에 고정설치될 수 있다.
한편, 테이블받침대(110)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테이블받침대(110)의 하부 둘레에는 바닥에 고정되는 다리(111)가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테이블받침대(110)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원형의 프레임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테이블받침대(110)의 중심에는 하기에 설명될 턴테이블(12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부(115)가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축부(115)의 중앙에는 태양에너지 이용장치(200)와 연결되는 연결라인이 인출되는 인출공(12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라인은 태양에너지 이용장치(200)의 종류에 따라 유체가 이동하는 배관 또는 전기가 이동하는 전선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테이블받침대(110)의 둘레 상부로는 복수 개의 가이드롤러(117)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테이블받침대(110)의 측면 둘레에는 하기에 설명될 가이드체인(145)이 삽입되는 체인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열 이용장치의 태양 위치추적장치(100)는 턴테이블(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턴테이블(120)에는 태양에너지 이용장치(200)가 설치되어 태양에너지 이용장치(200)가 태양의 방위각을 따라 이동하도록 태양에너지 이용장치(2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턴테이블(120)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턴테이블(120)의 회전 중심에는 테이블받침대(110)의 회전축부(11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테이블받침대(110)와 턴테이블(120)의 사이에 회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베어링이 설치될 수도 있으며, 턴테이블(120)은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테이블받침대(110)와 동일하게 원형의 프레임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여기서, 턴테이블(120)의 원형의 프레임 형태로 제작될 때에는 미관 또는 회전에 따른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해 보호커버로 상면이 덮여질 수도 있다.
그리고, 턴테이블(120)의 회전 중심에도 테이블받침대(110)와 마찬가지로 태양에너지 이용장치(200)와 연결되는 연결라인이 인출되는 인출공(12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인출공(121)이 회전 중심에서 편심되어 형성될 경우, 태양에너지 이용장치(200)가 회전하면서 인출라인이 함께 따라 회전함으로써, 인출라인이 바닥에 쓸려 쉽게 파손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인출공(121)을 회전 중심에 형성함으로써, 인출라인이 태양에너지 이용장치(200)와 함께 회전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턴테이블(120)의 둘레는 테이블받침대(110)에 설치된 가이드롤러(117)에 안착되어 회전 시 가이드롤러(117)를 타고 회전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열 이용장치의 태양 위치추적장치(100)는 메인지지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메인지지대(130)는 태양에너지 이용장치(200)를 턴테이블(120)에서 지지할 수 있다.
한편, 메인지지대(130)는 태양에너지 이용장치(200)를 양측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한 쌍의 테이블의 양측 중앙에 세워지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메인지지대(130)에는 한 쌍의 메인지지대(130)를 가로방향으로 관통하여 연결축(160)이 설치될 수 있으며, 연결축(160)에는 태양에너지 이용장치(200)가 연결되어 연결축(160)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전하는 형태로 고도각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에너지 이용장치(200)의 태양 위치추적장치(100)는 제1 보강대(131) 및 제2 보강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제1 보강대(131)와 제2 보강대(133)는 메인지지대(130)가 태양에너지 이용장치(200)를 견고히 지지할 수 있도록 메인지지대(130)를 보강하여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태양에너지 이용장치(200)는 그 특성상 태양과 접촉면적이 넓어지도록 판의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메인지지대(130)만으로 태양에너지 이용장치(200)를 지지할 경우에는 바람이 강하게 불 때, 태양에너지 이용장치(200)가 쉽게 흔들리고, 넘어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메인지지대(130)를 제1 보강대(131)와 제2 보강대(133)에 의해 보강하여 지지함으로써, 센 바람이 불어도 태양에너지 이용장치(20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제1 보강대(131)는 각각의 메인지지대(130)에서 턴테이블(120)의 회전 중심이 위치된 방향으로 일단은 메인지지대(130)의 상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턴테이블(120)의 회전 중심이 위치된 부분에 결합되는 형태로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보강대(131)가 경사지게 설치되는 각도(a)는 메인지지대(130)에서 30°이상 60°이하의 범위로 기울어져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보강대(131)가 경사지게 설치되는 범위를 넘어서면, 제1 보강대(131)를 설치한 효과가 미미하다.
그리고, 제2 보강대(133)는 각각의 메인지지대(130)에서 태양에너지 이용장치(200)가 태양과 마주하는 반대방향으로 세워져 메인지지대(130)를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제2 보강대(133)는 일단이 메인지지대(130)의 상부에 위치되고, 타단은 턴테이블(120)의 둘레에 끝단이 위치하는 형태로 경사지게 세워질 수 있다.
그리고, 제2 보강대(133)가 경사지게 설치되는 각도(b)는 메인지지대(130)에서 30°이상 60°이하의 범위로 기울어져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보강대(133)가 경사지게 설치되는 범위를 넘어서면, 제2 보강대(133)를 설치한 효과가 미미하다.
또한, 제2 보강대(133)의 턴테이블(120)에 결합되는 타단은 양측에 위치되는 메인지지대(130)의 사이 중간으로 모아지는 형태로 경사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보강대(133)가 모아지는 끝단에서의 둘 사이의 각도는 대략 90°의 각도(c)를 이루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에너지 이용장치(200)의 태양 위치추적장치(100)는 고도각조절기구(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고도각조절기구(150)는 메인지지대(130)에 설치된 태양에너지 이용장치(200)를 연결축(160)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고도각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고도각조절기구(150)는 지지바(151), 링크바(153) 및 구동부(155)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바(151)는 일단이 턴테이블(120)에 결합되고, 타단은 태양에너지 이용장치(200)에 결합되며, 지지바(151)의 중앙부분은 상호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중앙부분을 중심으로 양단이 회전하는 형태로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다.
그리고, 링크바(153)는 지지바(151)의 회전하는 중앙을 중심으로 양측 중간부분을 연결하며, 링크바(153)의 중앙 부분도 링크바(153)의 중앙이 접히도록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다.
또한, 구동부(155)는 구동모터(157)와 나사봉(156)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구동모터(157)는 지지바(151)의 회전하는 중앙부분에 위치되고, 나사봉(156)은 구동모터(157)에서 링크바(153)의 중앙부분을 관통하여 나사체결하는 형태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고도각조절기구(150)은 구동모터(157)가 나사봉(156)을 회전시키면, 나사봉(156)에 결합된 링크바(153)의 중앙부분이 나사봉(156)의 회전 방향에 따라 지지바(151)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져 링크바(153)가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형태로 턴테이블(120)에서 태양에너지 이용장치(2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고도각조절기구(150)은 링크바(153)와 지지바(151)의 접히거나 펼쳐지는 힘에 따라 태양에너지 이용장치(200)을 회전시킴으로써, 작은 힘으로도 태양에너지 이용장치(200)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고도각조절기구(150)는 실린더에 의해 구현되어 일단은 턴테이블(120)에 고정되고, 타단은 태양에너지 이용장치(200)에 결합되어 길이의 신축에 따라 태양에너지 이용장치(200)의 고도각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고도각조절기구(150)이 실린더로 구현되는 경우, 실린더는 유압실린더, 공압실린더, 또는 전기적인 모터에 의해 작동하는 전동실린더일 수도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에너지 이용장치(200)의 태양 위치추적장치(100)는 테이블구동기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테이블구동기구(140)는 턴테이블(120)을 회전시켜 턴테이블(120)에 설치된 태양에너지 이용장치(200)의 방위각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테이블구동기구(140)는 구동스프로킷(141)과, 가이드체인(145)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스프로킷(141)은 턴테이블(120)에 설치될 수 있으며, 구동모터(143)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체인(145)은 테이블받침대(110)의 둘레를 감싸도록 고정설치되어 구동스프로킷(141)의 회전 시 가이드체인(145)을 타고 이동하여 턴테이블(120)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테이블구동기구(140)는 구동스프로킷(141)에 맞물리는 가이드체인(145)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기구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 장력조절기구는 가이드체인(145)이 결합되는 테이블받침대(110)에 설치되어 가이드체인(145)의 일단을 당기거나 미는 형태로 장력을 조절하거나, 턴테이블(120)에 설치되어 구동스프로킷(141)에 가이드체인(145)이 걸쳐지는 거리를 조정하여 장력을 조절하는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 구성 간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에너지 이용장치(200)의 태양 위치추적장치(100)는 태양에너지 이용장치(200)를 설치할 위치에 테이블받침대(110)의 다리(111)를 고정시키고, 테이블받침대(110)의 회전축부(115)에 턴테이블(120)을 회전축부(115)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다.
이때, 턴테이블(120)의 둘레는 테이블받침대(110)에 설치된 가이드롤러(117)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턴테이블(120)의 상부에는 턴테이블(120)의 중간 양측에 메인지지대(130)가 각각 설치되고, 메인지지대(130)에는 연결축(160)이 한 쌍의 메인지지대(130)를 관통하는 형태로 설치되며, 연결축(160)에는 태양에너지 이용장치(200)가 고정되어 연결축(16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메인지지대(130)에서 턴테이블(120)의 회전중심이 위치된 방향으로는 제1 보강대(131)가 경사지게 설치되고, 제2 보강대(133)는 태양에너지 이용장치(200)가 태양을 바라보는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한편, 턴테이블(120)에는 길이 신장에 따라 태양에너지 이용장치(200)가 연결축(160)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고도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고도각조절기구(150)의 일단이 턴테이블(120)에 고정되고, 타단은 태양에너지 이용장치(200)에 결합되는 형태로 설치된다.
여기서, 태양에너지 이용장치(200)와 외부의 설비들과 연결되는 연결라인은 테이블받침대(110)와 턴테이블(120)의 회전중심에 형성되는 인출공(121)을 통해 인출되어 연결된다.
그리고, 테이블받침대(110)에서 턴테이블(120)이 회전하여 태양에너지 위치추적장치(100)의 방위각을 조절하도록 턴테이블(120)을 테이블받침대(110)에서 회전시키는 테이블구동기구(140)가 설치된다.
이때, 테이블구동기구(140)는 테이블받침대(110)의 둘레에 가이드체인(145)이 설치되고, 테이블받침대(110)에는 구동모터(143)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스프로킷(141)이 설치되어 구동스프로킷(141)의 회전 시 구동스프로킷(141)이 가이드체인(145)을 타고 이동하는 형태로 턴테이블(12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태양에너지 이용장치(200)의 태양 위치추적장치(100)는 태양의 위치를 감지하여 감지된 정보를 전기적으로 변환하는 태양감지센서와 테이블구동기구(140) 및 고도각조절기구(150)가 연결되어 태양에너지 이용장치(200)가 태양을 바라보도록 제어한다.
이때, 고도각조절기구(150)는 태양에너지 이용장치(200)를 턴테이블(120)에서 연결축(160)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밀거나 당기는 형태로 고도각을 조절하고, 테이블구동기구(140)는 구동스프로킷(141)을 회전시켜 구동스프로킷(141)이 가이드체인(145)을 타고 이동하는 형태로 턴테이블(120)을 회전시키는 형태로 방위각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태양에너지 이용장치(200)의 태양 위치추적장치(100)는 메인지지대(130)를 제1 보강대(131)와 제2 보강대(133)에 의해 보강하여 태양에너지 이용장치(200)를 견고하게 지지함으로써, 풍압에 따른 흔들림을 최소화시키고, 풍압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턴테이블(120)을 구동스프로킷(141)과 가이드체인(145)을 포함하는 테이블구동기구(140)에 의해 회전시켜 태양의 위치에 따른 방위각을 정확히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턴테이블(120)을 가이드롤러(117)에 의해 지지하여 턴테이블(120)을 부드럽게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태양에너지 이용장치(200)에 연결되는 연결라인을 턴테이블(120)의 회전중심에 위치되는 인출공(121)을 통해 인출하여 태양에너지 이용장치(200)의 방위각에 따른 이동 시 연결라인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태양 위치추적장치 110: 테이블받침대
111: 다리 115: 회전축부
117: 가이드롤러 120: 턴테이블
121: 인출공 130: 메인지지대
131: 제1 보강대 133: 제2 보강대
140: 테이블구동기구 141: 구동스프로킷
143: 구동모터 145: 가이드체인
150: 고도각조절기구 151: 지지바
153: 연결바 155: 구동부
156: 나사봉 157: 구동모터
160: 연결축 200: 태양에너지 이용장치

Claims (7)

  1. 바닥에 고정되는 테이블받침대, 상기 테이블받침대의 중앙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원판형상의 턴테이블, 및 상기 턴테이블을 상기 테이블받침대에서 회전시켜 태양에너지 이용장치의 방위각을 조절하는 테이블구동기구를 포함하는 태양에너지 이용장치의 태양 위치추적장치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의 가운데 양측에 세워져 태양에너지 이용장치가 상하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한 쌍의 메인지지대,
    상기 한 쌍의 메인지지대의 각 상부로부터 하부에 위치된 상기 턴테이블의 회전 중심을 향해 경사지도록 세워지는 제1 보강대, 및
    상기 메인지지대에 설치되는 태양에너지 이용장치가 태양을 바라보는 반대방향의 후방으로 각 상기 메인지지대의 상부로부터 하부에 위치된 상기 턴테이블의 둘레까지 경사지게 세워지는 제2 보강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보강대는 메인지지대를 상기 턴테이블의 회전 중심을 향해 30°내지 60°의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제2 보강대는 상기 태양에너지 이용장치가 태양을 바라보는 반대방향을 향해 30°내지 60°의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턴테이블에 결합되는 상기 제2 보강대의 끝단은 상기 한 쌍의 메인지지대의 사이 중앙으로 모이도록 상기 턴테이블의 둘레에 위치되고,
    상기 턴테이블과 상기 테이블받침대는 상기 태양에너지 이용장치와 연결되는 연결라인이 회전 중심으로 인출되도록 관통된 인출공을 포함하되, 상기 인출공은 상기 테이블받침대의 중심에서 상기 턴테이블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부의 중앙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에너지 이용장치의 태양 위치추적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받침대와 상기 턴테이블의 사이에는 상기 테이블 받침대의 둘레에 설치되어 상기 테이블받침대에서 상기 턴테이블이 타고 이동하는 가이드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에너지 이용장치의 태양 위치추적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구동기구는
    상기 턴테이블에 설치되어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스프로켓, 및
    상기 테이블받침대의 둘레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구동스프로켓이 타고 이동하는 가이드체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에너지 이용장치의 태양 위치추적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지지대에 설치되는 태양에너지 이용장치를 상하로 회전시켜 고도각을 조절하는 고도각조절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에너지 이용장치의 태양 위치추적장치.
  7. 삭제
KR1020150191467A 2015-12-31 2015-12-31 태양에너지 이용장치의 태양 위치추적장치 KR1016617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1467A KR101661712B1 (ko) 2015-12-31 2015-12-31 태양에너지 이용장치의 태양 위치추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1467A KR101661712B1 (ko) 2015-12-31 2015-12-31 태양에너지 이용장치의 태양 위치추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1712B1 true KR101661712B1 (ko) 2016-09-30

Family

ID=57079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91467A KR101661712B1 (ko) 2015-12-31 2015-12-31 태양에너지 이용장치의 태양 위치추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171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4814A (ko) 2016-12-06 2018-06-15 한국 천문 연구원 광센서를 이용한 태양 추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894316B1 (ko) * 2017-08-03 2018-09-04 주식회사 대류 스마트 볼라드 및 스마트 볼라드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731B1 (ko) * 2009-08-31 2010-03-12 김귀환 태양 추적에 의한 태양광 발전장치
KR20110126208A (ko) * 2010-05-17 2011-11-23 정동진 태양추적시스템
KR20120073189A (ko) * 2012-05-25 2012-07-04 주식회사 성일에스아이엠 회전형 솔라셀 설치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731B1 (ko) * 2009-08-31 2010-03-12 김귀환 태양 추적에 의한 태양광 발전장치
KR20110126208A (ko) * 2010-05-17 2011-11-23 정동진 태양추적시스템
KR20120073189A (ko) * 2012-05-25 2012-07-04 주식회사 성일에스아이엠 회전형 솔라셀 설치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4814A (ko) 2016-12-06 2018-06-15 한국 천문 연구원 광센서를 이용한 태양 추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894316B1 (ko) * 2017-08-03 2018-09-04 주식회사 대류 스마트 볼라드 및 스마트 볼라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02099B1 (en) Modular solar tracking frame
CN102027298B (zh) 太阳跟踪设备
JP5952491B2 (ja) 追跡式太陽光発電装置
US7705277B2 (en) Sun tracking solar panels
CN101755342B (zh) 滚动跟踪式太阳能组件
US10008977B2 (en) Heliostat apparatus and solar heat collecting apparatus and concentrating photovoltaic apparatus
US9224898B2 (en) Coaxial drive tracking system for use with photovoltaic systems
US8844515B2 (en) Carousel heliostat having louvered horizontal mirrors for solar tower systems
US20130192659A1 (en) Solar Tracking System
KR101875826B1 (ko) 가로등용 태양광 발전용 추적장치
WO2015037230A1 (ja) ヘリオスタット装置ならびに太陽熱集熱装置および太陽光集光発電装置
WO2016185555A1 (ja) ソーラーパネル用架台
KR20070102444A (ko) 태양광집광기의 태양위치추적용 장치의 구조
KR200481150Y1 (ko) 원호형 각도 조절 수단을 구비한 일축 가변형 태양광 발전장치
KR101661712B1 (ko) 태양에너지 이용장치의 태양 위치추적장치
US9239172B2 (en) Solar concentrator with support system and solar tracking
KR20080077814A (ko) 태양 추적식 태양광 발전장치
EP2489961A1 (en) Solar energy conversion system with solar tracker
KR101616974B1 (ko) 태양광 집광장치
JP2013172145A (ja) 追尾型太陽光発電装置
KR20100022540A (ko) 태양전지판의 각도조절장치
KR20190000481A (ko) 태양광 발전장치
US20130291926A1 (en) Solar Tracking Apparatus
KR102325368B1 (ko) 기울기 가변형 태양광 발전장치
EP2660535A1 (en) Structural support azimuth rot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4